KR101765012B1 - 도어 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012B1
KR101765012B1 KR1020160080066A KR20160080066A KR101765012B1 KR 101765012 B1 KR101765012 B1 KR 101765012B1 KR 1020160080066 A KR1020160080066 A KR 1020160080066A KR 20160080066 A KR20160080066 A KR 20160080066A KR 101765012 B1 KR101765012 B1 KR 10176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il spring
stopper
fixing bol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16008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완화기능과 닫힘방지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로서, 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벽면과 평행을 이루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에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넘어선 도어를 지지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SWITCHING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열려 있거나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완충구(일명 ‘도어훅’이라고도 함)는 도어를 열 때 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도어완충구는, 금속 재질의 몸체와, 몸체 선단에 마련된 완충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도어완충구는 도어의 일면(도어가 열리는 방향 쪽 일면) 또는 도어와 접촉되는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통상의 도어완충구는 충격과 소음을 완화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도어를 열고 난 후 원하지 않을 때 도어가 닫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예컨대, 도어를 열어둔 상태에서 바람 등에 의해 도어가 닫히게 되면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문틈에 손가락 등 신체 일부가 끼일 경우 골절 및 절단 등의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닫히지 않도록 도어와 바닥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패드를 끼워 고정하였다. 하지만 고정패드는 도어의 개방 시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에 대한 방지 효과를 갖지 못하므로, 도어완충구와 고정패드를 모두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정패드의 경우 사용을 하지 않고 장시간 보관을 할 경우 분실 등의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10541호(2011.01.18.)에는 한 개로서 필요에 따라 도어 개방 시의 충격완화기능과 개방된 도어의 닫힘방지기능을 모두 할 수 있도록 한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재질의 지지봉과, 지지봉의 일단에 마련된 받침구로 이루어지며, 받침구에는 철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완충구 겸용 스토퍼는 도어의 일면에 철편을 고정한 후 철편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도어 열림 시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스토퍼를 분리하여 문틈에 끼워 도어의 닫힘을 방지한다.
하지만 도어의 닫힘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문틈에 설치한 상태에서 바람 등에 의해 도어가 열릴 경우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할 수 없다. 또한, 충격완화기능과 닫힘방지기능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스토퍼를 적어도 2개 이상 마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10541호(2011.01.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완화기능과 닫힘방지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도어가 열려 있거나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는, 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벽면과 평행을 이루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에 마련되며 도어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넘어선 도어를 지지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은, 벽면에 부착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패널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너트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탄성 재질의 캡, 구름베어링, 볼-소켓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코일스프링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충격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가 코일스프링을 넘어선 도어를 지지함으로써 도어의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어가 임의로 열리거나 닫힘에 따른 충격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손가락 등이 끼어 골절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완화기능과 닫힘방지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 중 스토퍼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는 도어가 설치된 벽면 혹은 문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열림) 또는 폐쇄(닫힘) 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임의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는, 브라켓(110)과, 브라켓(1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20)와, 고정볼트(120)의 선단에 결합된 코일스프링(130)과, 코일스프링(130)의 선단에 마련된 스토퍼(14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를 벽면(30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브라켓(110)은, 벽면(300)에 부착되는 제1패널(112)과, 제1패널(112)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패널(114)로 이루어진다. 제1패널(112)에는 브라켓(110)을 벽면(30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미도시) 등이 관통되는 관통공(116)이 형성된다. 또한, 제2패널(114)에는 고정볼트(120)가 관통 및 결합되는 슬라이드 홀(118)이 형성된다.
슬라이드 홀(118)은 제2패널(11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를 갖는다. 슬라이드 홀(118)을 장공으로 형성한 이유는 고정볼트(120)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200)의 두께 또는 도어(200)의 열림량에 따라 고정볼트(120)를 횡방향(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고정볼트(120)는 코일스프링(130)이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130)이 벽면(300)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볼트(120)는 슬라이드 홀(118)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벽면(300)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볼트(120)에는 너트(150)가 결합되어 도어(200)의 두께 또는 도어(200)의 열림량에 따라 고정볼트(120)가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코일스프링(130)은 도어(200)의 개방 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코일스프링(130)은 종래의 도어완충구와 달리 벽면(300)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200)를 개방할 경우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며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구조는 종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구조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다. 즉, 종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구조의 코일스프링은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코일 사이가 이격되어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 시 또는 잦은 사용 시 내구성이 저하된다. 더불어, 코일 사이가 이격될 경우 자중에 의한 변형의 우려가 있어 장기간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실시예의 코일스프링(130)의 코일은 고정볼트(120)의 나선방향으로 감긴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30)이 고정볼트(1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하다.
스토퍼(140)는 도어(20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스토퍼(140)는 일단이 밀봉된 탄성 재질의 캡이다. 스토퍼(140)의 밀봉된 일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스토퍼(140)의 타단에는 코일스프링(130)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삽입공(142)의 내벽에는 코일스프링(13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4)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의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는 도어(200)의 열림 방향 측 벽면(300)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200)가 개방되어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에 접촉되면 코일스프링(130)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도 4 참조).
또한,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에 접촉된 도어(200)를 더 개방하면 코일스프링(130)을 넘어서게 되는데, 이럴 경우 스토퍼(140)가 도 3과 반대 위치에서 도어(200)를 지지하게 되므로 도어(20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도 5 참조).
따라서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에 따른 안전사고(손가락 등이 끼어 골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완화기능과 닫힘방지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이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가 도어(200)의 열림 방향 측 벽면(300)에 설치되어 도어(200)의 개방 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200)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를 문틀(4) 또는 문틀(4) 측 벽면에 설치할 경우 도어(200)를 닫을 때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20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 중 스토퍼(140)의 변형례를 도시한다.
스토퍼(140)는 도어(200)와의 접촉 시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어(200)와의 접촉 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구조의 적용이 필요하다.
도 6은 스프링(130)의 선단에 볼 베어링(140a)을 적용한 구조로서, 볼 베어링(140a)을 통해 도어(20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도 7은 스프링(130)의 선단에 볼-소켓(140b,140c)을 적용한 구조로서, 볼-소켓(140b,140c)을 통해 도어(20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구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일면(도어 개폐 제어장치(100)와 대면하는 일면) 상단에는 걸림구(210)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구(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판을 ㄷ자 형상으로 벤딩한 것으로, 도어(200)의 개방 시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걸림구(210)는 도어(200)가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에 직접 접촉하여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걸림구(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도어 개폐 제어장치(100)가 위치될 경우 도어(200)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장치를 도시한다.
도어 개폐 제어장치(400)는, 벽면에 설치되는 제1유닛(410~430)과, 도어(200)에 설치되는 제2유닛(440~470)을 포함한다.
제1유닛(410~430)은, 벽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410)과, 브라켓(410)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고정볼트(420)와, 고정볼트(420)의 선단에 마련된 스토퍼(430)로 구성된다.
제2유닛(440~470)은, 도어(200)의 일면(제1유닛(410~430)과 대면하는 일면) 상단에는 설치된 한 쌍의 앵글(440)과, 한 쌍의 앵글(440)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450)과, 코일스프링(450)을 앵글(440)에 고정하는 볼트(460)와, 코일스프링(450)을 감싸는 튜브(47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도어 개폐 제어장치(400)에 따르면, 도어(200)가 개방될 경우 제1유닛(410~430)의 스토퍼(430)가 제2유닛(440~470)의 코일스프링(450)에 접촉하고, 코일스프링(450)이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흡수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50)의 둘레에는 튜브(470)가 마련되므로 스토퍼(430)와의 접촉에 의해 코일스프링(4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430)가 코일스프링(450)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200)를 더 개방하면 스토퍼(430)가 코일스프링(450)을 넘어서서 도어(200)와 코일스프링(45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도 9 참조). 따라서 도어(200)의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도어(200)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200)의 닫힘에 따른 안전사고(손가락 등이 끼어 골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 개폐 제어장치 110: 브라켓
112: 제1패널 114: 제2패널
116: 관통공 118: 슬라이드 홀
120: 고정볼트 130: 코일스프링
140: 스토퍼 150: 너트
200: 도어 300: 벽면

Claims (10)

  1. 삭제
  2. 벽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벽면과 평행을 이루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결합되고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넘어선 도어를 지지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벽면에 부착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 제2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패널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 재질의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구름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에 마련된 소켓과,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볼로 이루어진 볼-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7. 벽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의 선단에 마련된 스토퍼;
    도어의 일면에 설치된 한 쌍의 앵글;
    상기 한 쌍의 앵글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을 상기 앵글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구름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에 마련된 소켓과, 상기 소켓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볼로 이루어진 볼-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20160080066A 2016-06-27 2016-06-27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176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66A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개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066A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012B1 true KR101765012B1 (ko) 2017-08-03

Family

ID=5965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066A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6-06-27 도어 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2-04-19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스토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6A (ja) 2000-12-18 2002-07-05 Mitsuo Akashi ドアの指詰め防止装置
KR200280813Y1 (ko) 2002-04-04 2002-07-0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JP2008088753A (ja) * 2006-10-04 2008-04-17 Tatsuo Kiryu 係止具および係止具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JP2008127855A (ja) * 2006-11-21 2008-06-05 Nihon Funen Co Ltd 戸当た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356A (ja) 2000-12-18 2002-07-05 Mitsuo Akashi ドアの指詰め防止装置
KR200280813Y1 (ko) 2002-04-04 2002-07-0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JP2008088753A (ja) * 2006-10-04 2008-04-17 Tatsuo Kiryu 係止具および係止具を利用したドアストッパー
JP2008127855A (ja) * 2006-11-21 2008-06-05 Nihon Funen Co Ltd 戸当た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008B1 (ko) 2021-07-30 2022-04-19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6173B (zh) 多接头铰接结构
ES2682216T3 (es) Dispositivo de introducción
KR102146417B1 (ko) 진동감쇠장치 및 이를 채용한 분전반 설치 구조체
ES2777613T3 (es) Guía de extracción de cajones
KR101765012B1 (ko) 도어 개폐 제어장치
US10794078B2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US8978203B2 (en) Decklid hinge assembly for a vehicle
KR20160023498A (ko) 내진 구조를 지닌 창호프레임 장치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US7360339B1 (en) Automobile door protector
KR101089783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US20170362865A1 (en) Hinged door fixing apparatus for preventing hinged door from being automatically closed
KR20120006822A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20180113337A (ko) 오버슬램범퍼 어셈블리
KR20170017417A (ko) 측면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미닫이문
JP2014141827A (ja) スライド扉の制止構造
KR200442328Y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교차방지장치
KR102611208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KR101883962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20110133865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KR102646324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CN214786998U (zh) 一种减震防火钢质门
KR102581698B1 (ko) 폴딩도어용 롤러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