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13Y1 -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13Y1
KR200280813Y1 KR2020020010261U KR20020010261U KR200280813Y1 KR 200280813 Y1 KR200280813 Y1 KR 200280813Y1 KR 2020020010261 U KR2020020010261 U KR 2020020010261U KR 20020010261 U KR20020010261 U KR 20020010261U KR 200280813 Y1 KR200280813 Y1 KR 200280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er
stopper
elastic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10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13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장치와 도어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서 도어가 개방될 때의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아울러 도어를 개방 위치에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환형원판상의 덮개부와 상기 고정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중공의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내부의 격벽에 의해 제 1공간부와 제 2공간부가 형성되어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더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는 탄성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 Door stopper with shock absorber }
본 고안은 도어용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흡수장치와 도어고정장치를 구비하여 도어 개방 시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도어를 개방위치에 고정하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형 구조를 가지는 도어는 자유로운 힌지 회전을 하므로 열거나 닫을 때 도어의 프레임, 열리는 측 벽면 등과 충돌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도어가 개방될 때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상부 또는 하부에 충격방지 스토퍼를 설치하고 있다.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는 고정부(101)와 그 고정부(101)에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봉형상의 지지부(103)와 그 지지부(103) 선단의 머리부(104)와 그 머리부(104)에 부착이 되는 고무돌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1)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03) 둘레에 통공(102)이 형성되어서 이 통공(102)을 통하여 나사(미도시)에 의해 도어(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종래 도어용 스토퍼는 도어가 최대로 개방되는 경우 도어가 개방되는 측 벽면과 상기 고무돌기(105)가 충돌하면서 도어의 개방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에 의해 약한 충격은 어느 정도 흡수되나, 도어가 강한 힘에 의해 개방될 때의 강한 충격과 소음을 완전히 흡수하는 정도의 기능을 발휘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 바람에 의해 또는 닫는 힘이 지나쳐서 강하게 닫히는 경우 도어와 도어프레임이 손상되거나 충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고 손가락 등이 끼어 부상이 유발되기도 한다. 종래의 도어용 스토퍼는 도어가 개방될 때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방지 스토퍼로서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어 고정용 스토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 개방에 의한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와 도어를 개방위치에 고정하는 도어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실시형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어용 스토퍼의 부분절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분해절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어가 천천히 열릴 때의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어가 강하게 열릴 때의 상태도.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0 : 도어용 스토퍼
2 : 도어핸들 11 : 본체
3 : 벽면 16 : 스프링
5 : 금속판재 13 : 슬라이더
6 : 출입문 14 : 탄성램
7 : 도어프레임 15 : 자성판재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격흡수장치와 도어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는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환형원판상의 덮개부와 상기 고정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중공의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내부의 격벽에 의해 제 1공간부와 제 2공간부가 형성되어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더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는 탄성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는 도어의 하부 또는 상부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설치되고,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탄성램은 도어가 개방되는 측 벽면에 충돌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탄성램이 벽면에 충돌하면 탄성램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면서 상기 본체의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간다.
본 고안의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는 도어를 개방하는 힘에 따라 작동상태가 상이하다.
즉, 도어가 보통의 힘에 의해 천천히 열리면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램의 선단과 벽면이 접촉할 때부터 상기 탄성램과 상기 슬라이더를 탄지하는 상기 스프링이 함께 수축이 되면서 슬라이더가 상기 본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 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는 도어가 힌지 회전에 의해 벽면에 강하게 충돌하지 않을 만큼의 탄성력을 부여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도어가 강한 힘에 의해 열리면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탄성램과 벽면이 접촉할 때 강한 충격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램의 선단과 벽면이 충돌하는 순간 상기 탄성램 만이 수축되면서 강한 충격을 흡수한다. 이 때에는 상기 스프링은 수축되지 않고 상기 탄성램이 어느 정도 수축되어 충격이 흡수된 후에 상기 스프링도 수축되면서 잔존 충격이 흡수되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램과 스프링이 충격흡수장치로 작용하여 도어가 강하게 열릴 때와 천천히 열릴 때의 각각의 경우에 적합하도록 충격을 흡수하므로 도어 개방에 의한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램 선단 외측면에는 벽면에 설치된 금속판재와 착탈되는 자성판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어가 최대의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자성판재와 금속판재의 자기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자성판재와 금속판재는 도어고정장치의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는 도어가 개방될 때의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도어를 개방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실시형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여닫이형 구조를 가지는 도어(1)는 출입문(6)의 도어프레임(7)의 경첩(미도시) 등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 회전을 하며 개방된다. 상기 도어(1)의 대략 중간에 설치되는 도어핸들(2)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는데, 도어(1)의 개방 방향에 위치하는 벽면(3)과 도어(1)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스토퍼(10)가 도어(1)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어용스토퍼(10)에 접하는 상기 벽면(3)에는 금속판재(5)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어용 스토퍼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2와 도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10)는 고정부(11a)와 몸체부(11b) 및 덮개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11)와 스프링(16) 슬라이더(13) 탄성램(14) 그리고 자성판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의 분해절개도이고, 도 5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 있어서, 도어용 스토퍼(10)의 본체(11)는 도어(미도시)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11a)와 몸체부(11b)와 몸체부(11b) 선단의 덮개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1a)는 원판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1b)가 형성되는 부분의 둘레에 다수의 통공(11c)이 형성되어서 이 통공(11c)을 통해 나사(미도시)가 도어(미도시)에 상기 고정부(11a)를 고정한다. 상기 몸체부(11b)는 상기 고정부(11a)에 일체로 수직형성되는 중공체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1b) 선단에는 중심에 통공(17b)과 통공(17b)의 둘레에 이탈방지벽(17a)이 형성되는 덮개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b)에는 슬라이더(13)가 삽입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3)는중공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의 대략 중간에 형성되는 격벽(13c)에 의해 제 1공간부(13b)와 제 2공간부(13a)로 나누어진다. 이 제 2공간부(13a) 선단의 외벽 둘레에는 안내돌기부(13d)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3) 대략 중간의 외벽 둘레에는 멈춤돌기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공간부(13a)의 선단 외벽에서 바깥방향으로 가면서 안쪽으로 만곡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스커트부(12)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부(11b)의 내부공간부(11d)에는 스프링(16)이 설치되는데 스프링(16)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11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13)의 제 2공간부(13a)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더(13) 내부의 격벽(13c)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16)은 상기 슬라이더(13)를 외측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고, 상기 슬라이더(13)는 상기 스커트부(12)와 안내돌기부(13d)가 안내하는 상기 내부공간부(11d)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13)의 멈춤돌기부(13e)는 상기 본체(11)의 이탈방지벽(17a)에 걸려서 슬라이더(13)가 상기 본체(1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스프링(16)으로부터 슬라이더(13)에 일정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3) 제 1공간부(13b)에는 탄성재질의 원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램(14)이 제 1공간부(13b)의 길이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삽입설치되고, 이 탄성램(14)의 선단에는 자성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자성판재(15)가 부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어가 천천히 열릴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도어가 강하게 열릴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는 도어를 개방하는 힘에 따라 작동하는 형태가 상이하다.
도 6에 있어서, A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상태이고 B는 도어에 의해 스토퍼(10)가 천천히 밀리는 경우의 상태이다. 도어(미도시)가 보통의 힘에 의해 천천히 열리면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램(14)의 선단과 벽면(미도시)이 접촉할 때부터 상기 탄성램(14)과 상기 슬라이더(13)를 탄지하는 상기 스프링(16)이 함께 수축이 되면서 슬라이더(13)가 상기 본체(11)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도 6의 B의 상태가 된다. 이 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는 도어(미도시)가 힌지 회전에 의해 벽면(미도시)에 강하게 충돌하지 않을 만큼의 탄성력을 부여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도 7에 있어서, A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상태이고 B는 도어에 의해 천천히 스토퍼(10)가 강하게 밀리는 경우의 상태이다.
도어(미도시)가 강한 힘에 의해 열리면서 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도어(미도시)가 빠르게 회전하여 상기 탄성램(14)과 벽면(미도시)이 접촉할 때 강한 충격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램(14)의 선단과 벽면(미도시)이 충돌하는 순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램(14) 만이 수축되면서 강한 충격을 흡수한다. 이 때에는 상기 스프링(16)은 수축되지 않고 상기 탄성램(14)이 어느 정도수축되어 충격이 흡수되고, 그 후에 상기 스프링(16)도 수축되면서 잔존 충격이 흡수되고 도어(미도시)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램(14)과 스프링(16)이 충격흡수장치로 작용하여 도어가 강하게 열릴 때와 천천히 열릴 때의 각각의 경우에 적합하게 충격을 흡수하므로 도어 개방에 의한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램(14)의 벽면과 접하는 선단 외측면에는 자성판재(15)가 부착되고 도어(1)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에 대응되는 벽면(3)에는 금속판재(5)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자성판재(15)와 금속판재(5)는 서로 착탈이 가능하다. 도어(1)를 최대의 개방 상태로 하여 상기 자성판재(15)와 금속판재(5)의 자기력에 의해 도어(1)가 개방 상태로 고정이 되므로, 상기 금속판재(5)와 자성판재(15)는 도어고정장치의 기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10)는 도어(1)가 개방될 때의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도어(1)를 개방 상태로 고정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용 스토퍼는 충격흡수장치와 도어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서 도어가 개방될 때의 강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아울러 도어를 개방 상태로 고정하여 도어의 닫힘을 방지한다.

Claims (2)

  1.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환형원판상의 덮개부와 상기 고정부와 덮개부를 연결하는 중공의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본체;
    내부의 격벽에 의해 제 1공간부와 제 2공간부가 형성되어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
    상기 본체의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더 격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공간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삽입되는 탄성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램 선단 외측면에는 벽면에 설치된 금속판재와 착탈되는 자성판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2020020010261U 2002-04-04 2002-04-04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200280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61U KR200280813Y1 (ko) 2002-04-04 2002-04-04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261U KR200280813Y1 (ko) 2002-04-04 2002-04-04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13Y1 true KR200280813Y1 (ko) 2002-07-06

Family

ID=7312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261U KR200280813Y1 (ko) 2002-04-04 2002-04-04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68Y1 (ko) * 2011-10-21 2013-05-06 서우원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KR20160045277A (ko) * 2014-10-17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7-08-03 김성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101929967B1 (ko) * 2018-07-10 2018-12-18 (주)아이엔지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KR20190096712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68Y1 (ko) * 2011-10-21 2013-05-06 서우원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KR20160045277A (ko) * 2014-10-17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KR102105839B1 (ko) 2014-10-17 2020-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스윙 테일게이트의 오조작 방지장치
KR101765012B1 (ko) 2016-06-27 2017-08-03 김성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
KR20190096712A (ko) * 2018-02-09 2019-08-20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KR102019106B1 (ko) * 2018-02-09 2019-09-09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KR101929967B1 (ko) * 2018-07-10 2018-12-18 (주)아이엔지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624B1 (en) Cover damping mechanism
RU2594867C2 (ru) Шарнир
KR20070049591A (ko) 충격흡수기구
KR200280813Y1 (ko)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200281315Y1 (ko) 도어 개폐 구조
JPH0882157A (ja) 戸の指詰め防止装置
JP4690282B2 (ja) 開閉装置の緩衝部材、および開閉装置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200296924Y1 (ko) 도어용 안전구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JPH0235107B2 (ja) Jidoshayodoahandorusochi
KR200266493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960015984B1 (ko) 세탁기 도어 힌지구조
JP7037808B2 (ja) 扉用ヒンジ装置
KR20220146183A (ko) 문 완충장치
KR100568739B1 (ko) 테일게이트의 글라스 래치 구조
KR200145449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열림완충장치
KR20230158174A (ko) 실내 도어용 경첩
KR200246981Y1 (ko) 출입문의 충격 완충부재
KR100543753B1 (ko) 글로브박스의 댐퍼 완충구조
KR200307202Y1 (ko)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KR20230086371A (ko) 도어 닫힘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매커니즘
KR200362616Y1 (ko) 완구용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05948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