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02Y1 -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02Y1
KR200307202Y1 KR20-2002-0036952U KR20020036952U KR200307202Y1 KR 200307202 Y1 KR200307202 Y1 KR 200307202Y1 KR 20020036952 U KR20020036952 U KR 20020036952U KR 200307202 Y1 KR200307202 Y1 KR 200307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rotating
rotating doo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갑
Original Assignee
이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갑 filed Critical 이종갑
Priority to KR20-2002-0036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회동개폐하는 회동도어에 장착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도어가 임으로 폐쇄될 경우 상기 회동도어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완전히 폐쇄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소정의 완충력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완충부재에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현격하게 줄이는 한편 임의로 폐쇄되는 회동도어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동도어용 완충장치{Damper for rotating door}
본 고안은,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현격하게 줄이는 한편 임의로 폐쇄되는 회동도어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동도어란 소정의 본체에 대해 회동하면서 본체의 일영역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가리킨다. 이러한 회동도어는, 피아노나 오르간 덮개 외에도 김치냉장고의 도어, 일반 용기의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의 장점 외에도 회동도어는 외부 충격이나 그 밖의 진동요인에 의해 임의로 폐쇄될 경우, 안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전술한 각 종 회동도어들 중, 피아노의 덮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회동도어를 개방한 후, 본체에 마련된 복수의 건반을 누르면서 피아노 연주를 하는 도중, 만일 외부 충격이나 그 밖의 진동요인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도어가 닫힌다면 회동도어의 폐쇄 하중에 의해 연주자는 손에 부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특히, 피아노의 경우에는 그 회동도어의 중량이 비교적 많이 나가기 때문에 부상의 정도는 더더욱 클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안전상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7043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소정의 완충장치를 피아노 본체와 회동도어에 장착함으로써 회동도어가 임의로 폐쇄되더라도 연주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7043에 공지된 완충장치의 경우에는 캠하우징과 캠을 장착해야만 하는 한편 이에 연동하는 판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고장 발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현격하게 줄이는 한편 임의로 폐쇄되는 회동도어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도어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가 장착된 피아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지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아노 20 : 본체부
30 : 회동도어 50 : 완충부재
52 : 실린더본체 54 : 실린더로드
56 : 브래킷부재 60 : 접촉지지부재
70 : 완충커버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회동개폐하는 회동도어에 장착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도어가 임으로 폐쇄될 경우 상기 회동도어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완전히 폐쇄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소정의 완충력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완충부재에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수축가능한 실린더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본체의 하부에 고정된 채로 소정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에 결합되는 브래킷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구동하는 완충커버를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커버의 폐쇄단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재는 라운딩처리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에는 패킹이 끼워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접촉지지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아노(10)는 복수의 건반(22)이 형성된 본체부(20)와, 본체부(20)의 건반(22) 영역을 회동개폐하는 회동도어(30)를 갖는다. 물론, 피아노(10)는 본체부(20)와 회동도어(30) 외에도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동도어(30)가 본체부(20)의 건반(22) 영역을 회동개폐하기 위해, 회동도어(30)와 본체부(20) 사이에는 경첩(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연주자는 회동도어(30)를 상향으로 회동개방시킨 다음, 건반(22)을 누르면서 피아노(10) 연주를 할 수 있으며, 연주가 완료되면 다시 회동도어(30)를 하향 회동폐쇄하여 본체부(20)의 건반(22) 영역을 덮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아노(10) 연주를 하는 도중, 만일 회동도어(30)가 임의로 폐쇄된다면 회동도어(30)의 하중에 의해 연주자는 손에 부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이 영역에 완충장치(40)를 마련하여 한번에 일시적으로 회동도어(30)가 닫히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완충장치(40)는, 본체부(20)에 장착되는 한편 회동도어(30)가 임으로 폐쇄될 경우 회동도어(30)가 본체부(20)의 상부 일영역을 완전히 폐쇄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소정의 완충력을 갖는 완충부재(50)와, 회동도어(30)에 마련되어 완충부재(50)에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재(60)를 포함한다.
완충부재(50)는, 내부에 작동유체(52a) 및 압축스프링(52b)이 마련된 실린더본체(52)와, 실린더본체(52)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수축가능한 실린더로드(54)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실린더로드(54)가 압축스프링(52b) 및 작동유체(52a)에 의해 실린더본체(52)로부터 길이 수축되면서 완충되는 완충력은 회동도어(30)가 자중에 의해 건반(22) 영역을 덮는 힘(폐쇄력)에 비해서는 작다.
다시 말해, 완충부재(50)가 장착되어 있다 할지라도 회동도어(30)의 자중으로 본체부(20)의 건반(22) 영역을 덮을 수는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완충부재(50)가 장착됨으로써 회동도어(30)가 폐쇄되는 속도 및 힘은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는 바, 완충부재(50)로 인해 회동도어(30)는 일정한 위치에서 서서히 하향 회동하면서 폐쇄될 수 있기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본체(52)는 그 하부가 판상의 브래킷부재(56)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부재(56)의 판면에는 복수의 나사홀(5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건반(22) 영역을 제외한 본체부(20)의 일측 내에 별도의 결합부재(58)를 나사홀(56a)로 통과시켜 본체부(20)의 저면으로 체결함으로써 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여 실린더본체(52)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처럼 브래킷부재(56)와 실린더본체(52)를 장착하고 나면, 브래킷부재(56)와 실린더본체(52)는 외관상 노출되지 않으며 실린더로드(54)를 덮은 완충커버(70)의 일부 영역만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한편, 본 고안에서는 실린더로드(54)에 결합되어 실린더로드(54)와 함께 구동하는 완충커버(70)를 더 마련하고 있다. 완충커버(70)는 그 일단이 개구되어 실린더로드(54)를 통해 실린더본체(52)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가 되며, 그 타단은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완충커버(70)에 직접 접촉되는 접촉지지부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50)와 대응되는 회동도어(30)의 내면에 위치하며 우레탄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노출면이 완충커버(70)의 타단과 대응하도록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지지부재(60)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6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60a)에는 패킹(60b)이 끼워져 체결구(60a)를 은닉하고 있다.
이에, 접촉지지부재(60)의 체결구(60a)를 통해 스크루(62)를 삽입하여 회동도어(30)의 내면으로 체결한 다음, 체결구(60a)에 패킹(60b)을 끼워 넣어 회동도어(30)에 접촉지지부재(60)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체부(20)를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결합부재(58)를 나사홀(56a)로 통과시켜 본체부(20)의 저면으로 체결함으로써 브래킷부재(56)를 포함하여 실린더본체(52)를 본체부(20)에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도어(30)를 상향으로 회동개방시킨 후, 건반(22)을 누르면서 피아노(10) 연주를 한다. 연주도중, 외부 충격이나 그 밖의 진동요인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도어(30)가 임의로 폐쇄되면, 회동도어(30)의 내면에 마련된 접촉지지부재(60)가 완충커버(70)의 라운딩일단에 접촉되어 회동도어(30)의 하중으로 완충커버(70)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완충커버(70)를 포함하여 실린더로드(54)가 실린더본체(52)에 대해 완충되면서 길이 수축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부터 회동도어(30)는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처럼 회동도어(30)가 서서히 닫히게 됨으로써 연주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완충부재(50)의 완충력에 비해 회동도어(30)의 하중에 대한 중력이 큰 관계로 회동도어(30)는 본체부(20)의 건반(22) 영역을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임의로 폐쇄되는 회동도어(30)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지지부재(60)를 회동도어(30)에 마련하고 완충부재(50)를 본체부(20)에 장착하고 있지만, 반대로 접촉지지부재(60)를 본체부(20)에 장착하고 완충부재(50)를 회동도어(30)에 마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지지부재(60)와 완충부재(50)를 각 한 쌍만 장착하고 있으나, 그 이상으로 장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완충장치(40)를 회동도어(30)라 표현한 피아노 덮개에 장착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기술하고 있으나, 본 완충장치(40)는 오르간 덮개를 포함하여 김치냉장고의 도어, 일반 용기의 도어 등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모든도어에도 충분히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현격하게 줄이는 한편 임의로 폐쇄되는 회동도어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도어용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회동개폐하는 회동도어에 장착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도어가 임으로 폐쇄될 경우 상기 회동도어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영역을 완전히 폐쇄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소정의 완충력을 갖는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회동도어 중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완충부재에 부분적으로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실린더본체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수축가능한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본체의 하부에 고정된 채로 소정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에 결합되는 브래킷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와 함께 구동하는 완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커버의 폐쇄단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재는 라운딩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에는 패킹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KR20-2002-0036952U 2002-12-11 2002-12-11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KR200307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52U KR200307202Y1 (ko) 2002-12-11 2002-12-11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52U KR200307202Y1 (ko) 2002-12-11 2002-12-11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02Y1 true KR200307202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52U KR200307202Y1 (ko) 2002-12-11 2002-12-11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82B1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광진산업 싱크대 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82B1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광진산업 싱크대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9363A1 (en) Slow-Down Mechanism Placed in Furniture Hinge
US6588624B1 (en) Cover damping mechanism
US7360278B2 (en) Home-b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00099301A (ko) 유니버셜 댐핑 기구
KR200307202Y1 (ko) 회동도어용 완충장치
US5920019A (en) Damper for generating damping force variable in dependence on angular position of fall board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1007646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경첩장치
US5804745A (en)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volume of grand piano
KR200266489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200361241Y1 (ko) 도어 완충기
KR0132628Y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200280813Y1 (ko)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100424583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970001264Y1 (ko) 자동차 후드 완충장치
KR200266493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US6055779A (en) Device for damping closing movement of lid
KR0135852Y1 (ko) 후드 완충장치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JPS5846469Y2 (ja) ピアノの防音板開閉機構
KR200371628Y1 (ko) 상향식 도어 개폐 구조
EP1113137A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door
KR200314300Y1 (ko) 회동덮개 닫힘 충격 방지장치
JP2001182427A (ja) 扉の開閉機構
JP3733472B2 (ja) 家具等における開き扉の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