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06B1 -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 Google Patents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06B1
KR102019106B1 KR1020180016477A KR20180016477A KR102019106B1 KR 102019106 B1 KR102019106 B1 KR 102019106B1 KR 1020180016477 A KR1020180016477 A KR 1020180016477A KR 20180016477 A KR20180016477 A KR 20180016477A KR 102019106 B1 KR102019106 B1 KR 10201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in body
guide rail
pul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712A (ko
Inventor
최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16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바디체의 내부에서 개별 인출되는 인출지지프레임에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종류별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공대상판넬이 안착된 인출지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개별 인출하여 가공장치를 통한 가공작업의 수행이나 다양한 종류의 판넬 보관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 양 측면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10)이 상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바디체(100);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에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되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어 개방시,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이어지는 연장가이드레일(310)이 내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출가이드도어(300); 상기 가이드레일(110)상에 가이드롤러(421)를 매개로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개별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되 상측면에 일정면적의 판넬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400);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인출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고정하는 고정락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INDIVIDUALLY WITHDRAWABLE MULTISTAGE LOADING TABLE}
본 발명은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바디체의 내부에서 개별 인출되는 인출지지프레임에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종류별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공대상판넬이 안착된 인출지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개별 인출하여 가공장치를 통한 가공작업의 수행이나 다양한 종류의 판넬 보관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면적의 판넬로는 금속제 박스나 배전반 박스, 엘씨디나 엘이디 티브이, 공항에 설치되는 대형 안내 전광판의 프레임박스의 제작을 위한 금속재 판넬과 유리판넬, 박스를 제작하기 위한 종이판넬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판넬 중 일 예로써 금속판을 가공시에는 공장에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판을 절단하는 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여러장의 금속판을 적재해놓았다가 금속판 가공 작업을 할 때 금속판을 한장 씩 가공 다리로 가져오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여러장의 금속판을 상하로 적재 공간부가 있는 랙 형태의 적재대를 현장에 설치해 놓고, 적재대의 각 적재 공간부에 파레트에 의해 받쳐서 여러장의 금속판을 적재한다.
이때, 금속판을 너무 많이 적재하면 나주에 옮기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파레트 위에 일정 장수의 금속판을 적재하고, 다시 적재된 금속판 위해 파레트를 올려 놓고 다시 파레트 위에 여러장의 금속판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금속판 적재를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수평방형으로 적재 공간부가 있는 랙 형태의 적재대에 적어도 2층 이상으로 파레트와 여러장의 금속판을 적재하는 방식이다. 또한, 금속판의 가공작업(레이져 컷팅기에 의한 레이저 컷팅작업)이 필요할 때에는 지게차를 가지고 와서 지게차로 파레트와 적재된 금속판을 가공 장치(레이저 컷팅기 등)에 근접한 위치로 가지고 간 다음, 상기 파레트와 적재된 금속판을 가공 장치 옆에 내려놓고 금속판을 한장 씩 가공 장치 위에 올려놓고 금속판의 레이저 절단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상기와 같이 여러장의 금속판을 파레트 위에 수평하게 적재함에 따라 작업자가 금속판을 상기 가공장치 앞으로 이송하는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금속판을 이송시 적어도 두명 이상의 작업자가 커다란 금속판을 함께 들고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랙 형태의 적재대에 복수층으로 파레트와 각각의 파레트에 여러장의 금속판을 적재해 놓은 상태에서 중간층의 파레트에 있는 금속판을 가공하여야 되는 경우,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층에 있는 파레트를 들어낸 후, 상기 중간층의 파레트를 들어내고, 그 다음에 상기 상측의 파레트를 적재대의 적재 공간부로 집어넣어 적재하는 반복적인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의 증가는 물론 작업능률의 저하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는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증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공간에 다수개의 가공대상 금속판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금속판을 가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공간의 협소를 야기함은 물론 금속판넬의 손상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6057호의 다단 적재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바디체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판넬이 종류별로 안착된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메인바디체의 개구부에 마련된 인출가이드도어의 완전개방시 상기 메인바디체의 내부 가이드레일과 인출가이드도어의 연장가이드레일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출지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인출가능토록 하여 가공장치를 통한 가공작업의 수행이나 판넬의 보관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 양 측면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10)이 상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바디체(100);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에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되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어 개방시,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이어지는 연장가이드레일(310)이 내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출가이드도어(300); 상기 가이드레일(110)상에 가이드롤러(421)를 매개로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개별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되 상측면에 일정면적의 판넬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400);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인출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고정하는 고정락부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개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지는 경우,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의 연이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지지하는 조작지지부재(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작지지부재(600)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설치되는 안내구(320)를 따라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하측단에 지면밀착구(620)가 설치된 왕복이동바(610)와, 상기 왕복이동바(610)에 관절부(6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왕복이동바(610)를 상하 왕복이동시키는 파지구(6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락부재(500)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폭 방향 양측 선단에 마련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성된 통공(330)으로 삽입되는 락스틱(510)과, 상기 락스틱(510)의 일측에 수직되게 돌출형성되는 걸림스틱(520)과,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락스틱(510)을 상기 통공(330)에 끼운후 회전시 상기 걸림스틱(5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531)이 형성된 걸림제한편(5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200)는,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하측에 설치되는 지지편(210)과, 일측이 상기 지지편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결합되되 중심각이 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면상 호 형상의 회전구(220)와, 상기 지지편(210) 및 회전구(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2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관통구(2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체(100)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구(1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종류별로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에 각각 적층시켜 가공장치의 인접된 위치에서 가공대상판넬만을 손쉽게 인출하여 가공장치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판넬 가공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보관의 용이성 및 작업공간의 활용도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의 인출가이드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바디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이드도어의 일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지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락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지지부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별도의 이송장치가 마련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의 인출가이드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바디체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가이드도어의 일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지지프레임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락부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지지부재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바디체(100)와,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일측에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설치되는 인출가이드도어(300)와,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출지지프레임(400)과,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고정하는 고정락부재(5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는 각기 다른 크기 및 두께등 여러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종류별로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400)에 파레트(10)를 매개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공대상판넬을 인출하여 가공장치를 통한 가공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바디체(100)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형상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10)이 상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바디체(100)는 지면과 수직되는 다수개의 직립프레임(150)과 상기 직립프레임(150)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조인프레임(160)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형상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폭방향 내측면에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지지하면서 인출을 가이드 하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이 다수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방향 양측의 직립프레임(150)에는 후술되는 상기 고정락부재(500)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130)이 형성된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직립프레임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설치되는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구(1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시 상기 메인바디체(100)와 수평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개방되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성된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과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10)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면서 연이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인출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장가이드레일(310)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421)가 빠지게 되어 고중량의 판넬이 안착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이 상기 메인바디체(100)로부터 이탈되어 주위 작업자를 덮치는 안정상의 문제나 판넬의 손상을 야기하는 제품손상의 문제를 유발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상기 회전제한구(120)를 설치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개방시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의 연이어진 상태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제한구(1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개방하였을때 상기 회전제한구(120)의 미세길이차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제한구(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는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에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되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어 개방시,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이어지는 연장가이드레일(310)이 내측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전방에 한 쌍이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개폐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완전개방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폭방향 측면프레임이 상기 회전제한구(120)에 닿게 되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측면과 수평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어져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200)는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하측에 설치되는 지지편(210)과, 일측이 상기 지지편(21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결합되되 중심각이 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면상 호 형상의 회전구(220)와, 상기 지지편(210) 및 회전구(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2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관통구(2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도록 위해서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가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측면과 일직선상으로 수평되게 개방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제한구(120)와 더불어 중심각이 90°의 각도를 갖는 호 형상의 상기 회전구(220)에 의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완전개방시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측면과 일직선상으로 수평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장가이드레일(310)의 연이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완전개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는 경우,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의 연이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지지하는 조작지지부재(6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제한구(120)가 닿을때 까지 완전개방하는 경우, 이러한 완전개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인출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가 흔들리지 않아야 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완전개방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손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조작지지부재(600)를 마련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완전개방상태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작지지부재(600)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설치되는 안내구(320)를 따라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하측단에 지면밀착구(620)가 설치된 왕복이동바(610)와, 상기 왕복이동바(610)에 관절부(6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왕복이동바(610)를 상하 왕복이동시키는 파지구(6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왕복이동바(610)는 상기 지면밀착구(620)가 설치된 메인봉(611)과, 상기 관절부(640)에 연결되는 연결봉(612)과, 상기 메인봉(611)과 연결봉(612)을 연결하는 나사봉(61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메인봉(611)의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왕복이동바(610)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조작지지부재(600)의 조작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제한구(120)가 위치하는 곳까지 완전개방한다.
이후,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설치된 상기 조작지지부재(600)의 파지구(630)를 파지한 후 하측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관절부(640)를 매개로 상기 왕복이동바(610)가 지면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왕복이동바(610)에 설치된 상기 지면밀착구(620)가 지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완전개방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인출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가 움직이거나 요동하지 않아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상에 가이드롤러(421)를 매개로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개별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되 상측면에 일정면적의 판넬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판넬은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별도의 파레트를 매개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은,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410)과,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길이방향 양측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420)과, 상기 연결프레임(420) 및 메인프레임(410)을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보강프레임(430)으로 이루어진 사각 틀체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프레임(410)에는 작업자가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인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파지손잡이(41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2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 상을 구름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롤러(42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판넬를 종류별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가공장치를 통한 판넬 사공시 필요한 판넬만을 용이하게 꺼내어 가공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용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락부재(500)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인출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인출하는 경우,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고정락부재(500)를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연결하여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안착된 판넬의 이동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이 요동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고정락부재(500)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폭방향 양측 선단에 마련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성된 통공(330)으로 삽입되는 락스틱(510)과, 상기 락스틱(510)의 일측에 수직되게 돌출형성되는 걸림스틱(520)과,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락스틱(510)을 상기 통공(330)에 끼운 후 회전시 상기 걸림스틱(5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531)이 형성된 걸림제한편(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락스틱(510)은 "ㄱ"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선단을 관통하여 왕복이동되면서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통공(330)으로 삽입되는 끼움봉체(511)와, 상기 끼움봉체(511)의 길이방향 타측단에서 꺾여지게 형성되는 파지봉체(513)로 이루지고, 상기 끼움봉체(511)에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걸림되어 상기 통공(33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돌출구(5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스틱(520)은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끼움봉체(511)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락스틱(5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통공(330)에 삽입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제한편(530)의 삽입홈(531)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측으로 수용한 후에는 상기 락스틱(510)의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형성된 상기 연결공(130)에 끼워 본 발명에 따른 다단적재대의 이송이나 작업중 충격에 의해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이 상기 메인바디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락부재(500)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서 판넬을 이송시 이송되는 판넬에 의한 상기 고정락부재(500)의 걸림현상이나 작업자의 신체 걸림현상으로 인한 작업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락부재(500)를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넬의 이송이나 작업자의 작업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에 판넬를 진공흡착하여 인접되는 가공장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흡착장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안착된 판넬을 인접된 가공장치로 손쉽게 이송할 수 있도로 하는 크래인 방식의 별도의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진공흡착장치나 이송장치(700)를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하거나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인접되는 위치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여러 종류의 판넬이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판넬을 가공하는 경우,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상기 힌지결합부(200)에 의해 회전시킨 후 상기 회전제한구(120)가 닿은 위치까지 완전개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마련된 상기 조작지지부재(6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지면밀착구(620)가 지면에 강하게 압박밀착될 수 있도로 하여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완전개방하여 상기 조작지지부재(600)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서된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일직선상으로 연이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연결공(130)에 길이방향 일측이 끼워진 상기 고정락부재(500)를 해체하고, 가공대상판넬이 안착된 인출지지프레임(400)을 인출한다.
그 후,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이 일정길이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락부재(500)의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성된 통공(330)을 삽입하면서 상기 고정락부재(500)의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걸림스틱(520)이 상기 걸림제한편(530)의 삽입홈(5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인출된 인출지지프레임(400)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바디체(100)에 설치되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통해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안착된 판넬을 가공장치로 손쉽게 이송하여 판넬가공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는 여러 다양한 종류의 판넬을 종류별로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적층시켜 가공장치의 인접된 위치에서 가공대상판넬만을 손쉽게 인출하여 가공장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넬 가공작업의 효율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공간의 활용도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바디체 110: 가이드레일
120: 회전제한구 130: 연결공
150: 직립프레임 160: 조인프레임
200: 힌지결합부 210: 지지편
220: 회전구 230: 관통구
300: 인출가이드도어 310: 연장가이드레일
320: 안내구 330: 통공
400: 인출지지프레임 410: 메인프레임
411: 파지손잡이 420: 연결프레임
421: 가이드롤러 430: 보강프레임
500: 고정락부재 510: 락스틱
511: 끼움봉체 512: 걸림돌출구
513: 파지봉체 520: 걸림스틱
530: 걸림제한편 531: 삽입홈
600: 조작지지부재 610: 왕복이동바
611: 메인봉 612: 연결봉
613: 나사봉 620: 지면밀착구
630: 파지구 640: 관절부
700: 이송장치

Claims (6)

  1. 다수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 양 측면부에 다수개의 가이드레일(110)이 상측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메인바디체(100);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에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내부를 개폐하되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어 개방시, 상기 가이드레일(110)과 연이어지는 연장가이드레일(310)이 내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인출가이드도어(300); 상기 가이드레일(110)상에 가이드롤러(421)를 매개로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개별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되 상측면에 일정면적의 판넬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인출지지프레임(400);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인출된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을 고정하는 고정락부재(500);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개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지는 경우,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의 연이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를 지지하는 조작지지부재(600)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지지부재(600)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설치되는 안내구(320)를 따라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하측단에 지면밀착구(620)가 설치된 왕복이동바(610)와, 상기 왕복이동바(610)에 관절부(6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왕복이동바(610)를 상하 왕복이동시키는 파지구(6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락부재(500)는,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폭 방향 양측 선단에 마련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형성된 통공(330)으로 삽입되는 락스틱(510)과, 상기 락스틱(510)의 일측에 수직되게 돌출형성되는 걸림스틱(520)과, 상기 인출지지프레임(400)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락스틱(510)을 상기 통공(330)에 끼운후 회전시 상기 걸림스틱(5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531)이 형성된 걸림제한편(5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200)는, 상기 메인바디체(100)의 개구부 방향에 위치하는 폭 방향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하측에 설치되는 지지편(210)과, 일측이 상기 지지편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에 결합되되 중심각이 9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평면상 호 형상의 회전구(220)와, 상기 지지편(210) 및 회전구(2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2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관통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체(100)에는, 상기 힌지결합부(200)를 매개로 회전되는 상기 인출가이드도어(300)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 및 연장가이드레일(310)이 연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전제한구(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6477A 2018-02-09 2018-02-09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KR10201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77A KR102019106B1 (ko) 2018-02-09 2018-02-09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77A KR102019106B1 (ko) 2018-02-09 2018-02-09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12A KR20190096712A (ko) 2019-08-20
KR102019106B1 true KR102019106B1 (ko) 2019-09-09

Family

ID=6780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77A KR102019106B1 (ko) 2018-02-09 2018-02-09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6452B (zh) * 2019-09-17 2020-11-17 中国化学工程第六建设有限公司 封闭式厂房内设备及管道安装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00Y1 (ko) * 1995-12-30 2000-03-02 정몽규 사이드게이트의개폐장치
KR200280813Y1 (ko) * 2002-04-04 2002-07-0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101231870B1 (ko) * 2012-08-23 2013-02-08 (주)한영Fa산업 금형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927A (ko) * 1997-11-14 1999-06-05 윤종용 냉장고용 좌우개폐 도어의 상측 힌지장치
KR101823063B1 (ko) * 2016-07-05 2018-01-30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이중스토퍼 구조를 갖는 양방향 인출식 중량물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00Y1 (ko) * 1995-12-30 2000-03-02 정몽규 사이드게이트의개폐장치
KR200280813Y1 (ko) * 2002-04-04 2002-07-0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도어용 충격흡수 스토퍼
KR101231870B1 (ko) * 2012-08-23 2013-02-08 (주)한영Fa산업 금형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12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50690B (zh) 吸取装置、拆垛装置及拆垛方法
US111736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rate carton formation
US9662793B1 (en) Stack gripper
EP2467319B1 (de) Lager- und kommissioniersystem mit einem universell einsetzbaren winkelladungsträger
CN104607993A (zh) 料盘式自动上料收盘设备
WO2014161646A1 (de) Verfahren und greiferkopf zur entnahme von stückgutgebinden von einem stapel
EP2826732B1 (de) Erweitbare Kommissioniervorrichtung mit einem aus Modulen ausgebauten Regal
DE102006019153A1 (de) Bereitstellungsmodul für Paletten mit einem Transportmodul, das unter den Stapelplätzen der Paletten samt einer Hebeeinrichtung verfahrbar ist
KR102019106B1 (ko) 개별인출형 판넬 다단적재대
EP2415571A2 (en) Machine for machining wooden frames or similar
CN209796914U (zh) 装车设备
RU26118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ывания в стопу и извлечения из стопы пластинообразных объектов
KR100637397B1 (ko) 철판 적재장치
KR200404813Y1 (ko) 클램프 방식 캔용기 적재장치
AT12362U1 (de) Vorrichtung zum abstapeln und transportieren plattenförmiger gegenstände
WO2018192490A1 (zh) 夹取货箱的装置
IT201800006467A1 (it) Sistema e metodo automatizzato per lo stoccaggio e la movimentazione di materiale pesante
KR102246502B1 (ko) 트레이 병합 기능을 갖는 스토커
CN219885594U (zh) 料箱搬运装置和料箱搬运机器人
CN216270374U (zh) 一种用于叠放板料的料架
CN216806546U (zh) 一种板材堆放装置
JP3663672B2 (ja) 板状材のストッカー装置
KR102183005B1 (ko) 카툰 반전 이송 공급기의 도어 장치
US20090142175A1 (en) Lifting Frame
CN214356154U (zh) 一种光机电一体化设备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