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985A -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985A
KR20020004985A KR1020017012400A KR20017012400A KR20020004985A KR 20020004985 A KR20020004985 A KR 20020004985A KR 1020017012400 A KR1020017012400 A KR 1020017012400A KR 20017012400 A KR20017012400 A KR 20017012400A KR 20020004985 A KR20020004985 A KR 2002000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ilicon
water
agent
containing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980B1 (ko
Inventor
미즈노하루유키
이마이시게오
미우라마사시
이소카즈요시
미야모토히로유키
니시카와타케시
야마모토쇼오조
야마모토케이스케
쯔카다요시유기
마스야스노브
Original Assignee
미즈타니 치카히사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타니 치카히사,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filed Critical 미즈타니 치카히사
Publication of KR2002000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applied to the substrate as oligomers or polymers
    • C04B41/4961Polyorganosiloxanes, i.e. polymers with a Si-O-Si-O-chain;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8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f carbon-to-silico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92Resistance against biological degrad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식변기, 세면기등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과, 이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물줄기관계요업제품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하고,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한다. 이때, 오염방지처리제로서,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진것을 채용한다. 이에의해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높은 오염방지효과를 부여할수있다.

Description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CERAMICS PRODUCT TO BE USED AROUND WATER AND METHOD OF ANTIFOULING TREATMENT THEREFOR}
수세식변기등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사용시, 물이외에 배설물, 비누액, 세수액, 세발액, 입술연지, 머리염색약 등과 접촉한다. 이때문에, 이러한 요업제품의 내면등에는, 배설물의 오염을 쉽게 제거할수있도록, 유리질을 이루는 유약층이 형성되어있다. 또, 최근, 이들오염에 기인하는 점액이나 요석(尿石)의 발생을 방지하기위해, 유약층에 올리고디나미 효과를 가지게하는 항균처리를 행하는 일도 진행되고있다. 또, 배설물, 비누액, 세수액, 세발액, 머리역색액등은 수성이며, 이들이 사용하는 물과 함께 내면등에 부착하고, 그 후에 이들이 건조해서 오염되는 것으로 생각되기때문에, 유약면을 발수처리하고, 이들이 유약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일도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집안에서 화장실, 부엌, 세면소등, 물을 사용하는 개소에서 사용되는 예를들면 수세식변기, 세면기등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과, 이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도 1은, 시험예 1에 관한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2는, 시험예 2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3은, 시험예 3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4은, 시험예 4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5은, 시험예 5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6은, 시험예 6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7은, 시험예 7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8은, 시험예 8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9은, 시험예 9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0은, 시험예 10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1은, 시험예 11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2은, 시험예 12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3은, 시험예 13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4은, 시험예 14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5은, 시험예 15에 관한 것이고, (A)는 오염방지처리제의 화학식이며, (B)는 그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모식구조도.
도 16은, 실시예 1에 관한 서양식수세식변기의 단면도.
도 17은, 실시예 2에 관한 일본식수세식변기의 단면도.
도 18은, 실시예 3에 관한 남성용수세식소변기의 사시도.
도 19는, 실시예 3에 관한 남성용수세식소변기의 일부파단평면도.
도 20은, 실시예 4에 관한 세면기를 가진 세면화장대의 평면도.
도 21은, 실시예 4에 관한 세면기를 가진 세면화장대의 정면도.
도 22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1에 관한 것이며, 마모회수와 물의 접촉각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그러나,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은, 단순히 배설물등이 건조해서 유약면에 잔류하고있는것이 아니고, 유약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에 배설물등의 성분이 결합해서 이루어진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수산기와 배설물등의 성분과의 결합은, 그 수산기와 수중의 금속이온과의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한 결합을 개재해서 행하여지고있다. 이러한 금속이온중의, 특히 용성실리카는, 그물코구조를 이루는 규산(소위 규산스케일)로서 석출하고, 오염을 도입하기쉬운것으로 생각할수있다.
실제로, 발명자들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표 1∼4에 표시한 바와같이(수치의 단위는 ppm), 일반적으로는 오염을 가지지않는것으로 생각되는 일본전국의 수도물 및 용수(일본국에서 명수(名水) 호칭격의 것과 대등)로서도, 평균 10ppm정도의 용성실리카를 함유하고있다.
No. 분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1 수도물 23 12 16
2 수도물 17 12 15
3 수도물 16 12 14
4 수도물 20 18 19
5 수도물 25 18 21
6 수도물 16.4
7 수도물 38.7
8 용수 42.7
9 용수 24.7
10 수도물 19 15 17
11 수도물 18 15 17
12 수도물 24 19 22
13 용수 12.3 7.8 10.5
14 용수 15.3
15 수도물 21
16 수도물 23
17 수도물 14
18 수도물 23
19 수도물 23
20 수도물 21
21 수도물 14
22 수도물 20
23 수도물 16
No 분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24 수도물 20
25 수도물 17 9 12
26 수도물 17 9 12
27 수도물 26 24 25
28 수도물 22 19 20
29 수도물 21 13 18
30 수도물 20 15 16
31 용수 32
32 수도물 30 25 27.5
33 수도물 29.3 24 26.7
34 수도물 28.1 21.7 25
35 수도물 24 20 21
36 수도물 22 16 20
37 용수 28.7
38 용수 26.9
39 용수 15.7 11.5 13.6
40 용수 21.9
41 용수 5.6
42 용수 16
43 용수 21.4
44 용수 15
45 용수 35.1
46 수도물 11 10 11
No. 분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47 수도물 11 10 11
48 수도물 11 10 11
49 수도물 11 11 11
50 용수 50.1
51 수도물 14
52 수도물 11.4
53 용수 13.5
54 용수 25
55 용수 28.2
56 용수 22.6
57 용수 18.6
58 용수 10.7
59 수도물 17.2 10.1 13.9
60 수도물 17 10.9 14.1
61 수도물 22 10 16
62 수도물 12 9 11
63 용수 7.1
64 수도물 15.3 12.9 14.1
65 수도물 18.1 13.3 15
66 수도물 31 21.6 26
67 수도물 27 7.8 12.3
68 수도물 15.4 13.5 14.7
69 수도물 35.6 22.8 29.2
No. 분류 최고치 최저치 평균치
70 용수 54.2
71 용수 67.2 52.2 64.2
72 수도물 59.3 55.3 57.2
73 수도물 62.6 57.4 59.4
74 수도물 56.4 51.2 53.2
75 수도물 56.6 53.4 54.7
76 수도물 57.8 53.1 54.9
77 용수 43.4
78 용수 55.9
79 용수 50.3
80 수도물 108 11 62
81 용수 5.3
이렇게해서, 용성실리카등의 금속이온을 다량함유하는 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있어서는, 배출물등의 오염이 달라붙기가 쉬우며, 그 청소가 곤란하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염방지효과가 큰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을 제공하는 일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있다.
본 발명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상기 과제해결을 위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이 형성된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으로서,
상기 오염방지처리제는, 상기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 본 발명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은, 상기 과제해결을 위해,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하고, 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오염방지처리제는, 상기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염방지처리제가 규소함유관능기(X-Si-o-)를 가지고, 이 규소함유관능기가 유약층등의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OH)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해서 그 수산기를 실드한다. 이 때문에, 많은 용성실리카등의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한다고 해도, 그 수산기는 이미 불능화 되어서 그들 금속이온과 결합하지 않고, 배설물등의 성분을 결합하지않게된다. 특히, 금속이온으로서 용성실리카를 함유하는 물을 사용해도, 그물코구조를 이루는 규산으로서 석출하지 않고, 또는 석출하기 어려워, 오염을 도입하기어렵다. 이렇게해서, 오염방지처리제가 이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지면, 용성실리카등의 금속이온을 다수 함유하는 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있어서, 배설물등의 오염이 달라붙기 어렵게되어, 그 청소가 용이하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염방지처리제로서, 규소함유관능기끼리에서는 결합하고 있지 않는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 의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 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오염방지처리제의 규소함유관능기끼리가 결합하고 있으면, 규소가 많아져서 피막에 그물코구조를 이루는 규산이 석출하고, 거기에 오염이 도입되기 용이한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오염방지처리제의 규소함유관능기는 요업제품의 유약층에 있는 규소와 마찬가지로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오염방지처리제로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진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렇게해서 불화탄소기를 가지면, 불화탄소기의 작은 임계표면장력에 의해, 오염방지효과가 발수효과로서도 나타나고,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불화탄소기는 -CnF2n+1(n은 1≤n≤12의 자연수)인것이 가능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불소수가 많고, 플루오로실란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 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크다.
오염방지처리제로서,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진것도 채용하는것도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렇게해서 알킬기를 가지면, 알킬기의 큰임계표면장력에 의해, 오염방지효과가 내 입술연지오염, 내마모성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오염방지처리제로서,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지않는 것을 채용할수도 있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크다.
내마모성의 관점에서는, 알킬기로서, 메틸기를 채용할수있다. 다른 한편으로, 내알칼리의 관점에서는, 알킬기로서, 프로필기 또는 헥실기를 채용할수있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알킬기가 프로필기, 헥실기등이면, 알킬기가 부피가 크게되어서 내알칼리의 점에서 뛰어나는 한편, 내마모성의 점에서 뒤떨어진다. 다른한편으로, 알킬기가 메틸기이면, 내마모성의 점에서 뛰어나는 한편, 내알칼리의 점에서 뒤떨어진다.
오염방지처리제가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진경우, 불화탄소기보다 알킬기가 많은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오염방지처리제가 퍼플루오로알킬실란만으로 없어지며, 내입술연지오염 및 내마모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다.
다른한편, 오염방지처리제가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는 경우, 알킬기보다 불화탄소기가 많은것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오염방지처리제중의 퍼플루오로알킬실란이 많게되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다.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는 디메틸실록산(O-Si(CH3)2)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 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다.
이 디메틸실록산은, 직쇄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있는것외의, 고리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 있는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이에의해 내물때오염, 내입술연지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안정되게 높은효과를 발휘한다.
디메틸실록산이 직쇄형항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 있는것의 구체예로서는, 특개평8-209118호 공보기재된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오염방지처리제를 채용할수있다. 여기서, 제 1제는 퍼플로로알킬기함유유기규소화합물과 가수분해성기함유메틸폴리실록산 화합물과의 친수성용매속에서 공가수분해물이며, 제 2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강산과의 혼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제는, C8F17CH2CH2Si(OCH3)3과, Si(CH3O)3CH2CH2-(Si(CH3)2O)10-Si(CH3)2CH2CH2Si(OCH3)3을 0.1N염산수, t-부타놀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친수성용매속에서 공가수분해한 것이며, 제 2제는, HO-Si(CH3)2O)30-Si(CH3)2OH와 메탄술폰산과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은, 처리면이 물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는 부분인 경우에 효과가 크다. 물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는 부분에서는, 수중의 금속이온이 수산기와 결합하기 쉽고, 오염을 생성하기 쉽기때문이다. 이런의미에서, 본 발명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으로서는, 서양식 수세식변기, 일본식수세식변기, 남성용수세식소변기 또는 세면기인 경우에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처리면 이외에 항균처리를 행할수도 있다. 이미 사용된 후의 처리면에 본 발명의 오염방지처리방법을 행하면, 오염방지처리되어 있지 않은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을 오염방지처리한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으로하거나, 오염방지효과가 저하된 물줄기관계의 오염방지효과를 높이거나 할수있다.
본 발명에서는, 처리면에 수산기를 새롭게 재생시키는 전처리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의해 피막이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전처리공정으로서는, 규산오염(물때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처리면을 연마제로 문지르고 또는 산성불화암모늄 혹은 불화수소산을 도포후 세정하는 것을 채용할수있다. 또, 전처리공정으로서, 오줌때오염을 제거하기위해, 처리면을 산성액으로 세정하는 제 1공정과, 제 1공정후, 규산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그 처리면을 연마제로 문지르고 또는 산성불화암모늄 혹은 불화수소산을 도포후 세정하는 것을 행하는 제 2공정을 채용할수있다.
(시험예 및 평가)
이하, 본 발명을 시험예 1∼15 및 이들 대해서의 평가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시험예 1)
먼저, 수세식변기, 세면기등의 표면에 유약층을 가지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을 준비하고, 이 요업제품의 내면등의 처리면을 에타놀에 의해 세정한다.
또, 오염방지처리제로서, 제 1제와 제 2제를 중량비 1:1∼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준비한다. 중량비는 제 1제 및 제 2제속의 성분량에 의해서 선택한다.
여기서, 제 1제는, 퍼플로로알킬기함유 유기규소화합물로서의
C8F17CH2CH2Si(OCH3)3과, 과수분해성기 함유 메틸폴리실록산화합물로서의
Si(CH3O)3CH2CH2-(Si(CH3)2O)10-Si(CH3)2CH2CH2Si(OCH3)3를 준비하고, 이들을 0.1N염산수, t-부타놀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침수성용매속에서 공가수분해한것이다. 이에의해, C8F17CH2CH2Si(OCH3)3과 Si(CH3O)3CH2CH2-(Si(CH3)2O)10-Si(CH3)2CH2CH2Si(OCH3)3은 각각 실란올(Si-OH)기를 가진 것으로 된다고 생각할수있다.
다른한편, 제 2제는, 오라가노폴리실록산(HO-(Si(CH3)2O)30-Si(CH3)2OH)와, 강한산으로서의 메탄술폰산과의 혼합물이다.
이들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하면, 공가수분해물의 실란올기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강한산과 반응해서 탈수반응에 의해 실록산결합(Si-O-Si)하고, 복수의 분자가 복잡하게 뒤얽힌 부가화합물로 되는 것으로 생각할수있다. 이때문에,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해서 이루어진 오염방지처리제는, 퍼플로로알킬기함유유기규소화합물, 가수분해성기함유메틸폴리실록산화합물, 오르가노폴리실록산등의 1분자만으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제 1도(A)에 표시한바와같이, 이들복수의 분자가 복잡하게 뒤얽힌 부가화합물, 1종의 폴리머로서 결합되어서 구성되고 있는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오염방지처리제를 티슈페이퍼, 부직포등에 물들이고, 처리면을 그 티슈페이퍼등으로 약 10회 문질므로서, 그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를 도포한다. 약 10분간, 처리면에 도포한 오염방지처리제를 건조시킨다. 이에의해, 부가화합물의 실란올기와 요업제품의 표면의 실란올기가 탈수반응에 의해 실록산결합(Si-O-Si)하고, 부가화합물과 요업제품의 처리면이 강고하게 화학결합 되는것으로 생각할수있다. 이후, 처리면에 잔류한 미반응의 오염방지처리제를 에탄올에 의해 제거한다.
이렇게해서, 도 1(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하고,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한다.
(시험예 2)
도 2(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2(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또한, 오염방지처리제 2의 C8F17및 CH3의 위쪽의 괄호쓰기는 각각 C8F17기 및 CH3기의 비율이다(이하, 마찬가지). 다른조건은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3)
도 3(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3(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실험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4)
도 4(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4(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5)
도 5(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5(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6)
도 6(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6(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7)
도 7(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7(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8)
도 8(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8(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9)
도 9(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9(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0)
도 10(A)에 표시한 2액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0(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1)
도 11(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1(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2)
도 12(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2(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3)
도 13(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3(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4)
도 14(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4(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15)
도 15(A)에 표시한 1액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채용하고, 도 15(B)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업제품 1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 2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다른조건은 시험예(1)과 마찬가지이다.
(평가)
미처리된 요업제품 및 상기 시험예 1∼15에서 얻게된 요업제품에 대해, 이하의 내물때오염시험, 내입술연지오염시험, 내머리염색액오염시험, 내마모성시험 및 내 알칼리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내물때오염시험: 200ppm의 규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준비하고, 70℃의 이 수용액에 약 3시간 각 요업제품의 유약층을 침지한다. 이후, 염색제에 의해 각 요업제품의 물이 모이는 부분의 경게인 유수면에 석출된 규산을 착색한다. 그리고, 육안에 의해, 가장 양호한 것을 ○, 약간 양호한 것을 △, 나쁜 것을 ×로 해서 평가하였다.
내입술연지오염시험: 시판된 유성의 입술연지를 각 요업제품의 유약층에 도포하고, 48시간 방치한 후에 닦아낸다. 그리고, 육안에 의해, 가장 양호한 것을 을 ○, 약간 양호한 것을 △, 나쁜 것을 ×로 해서 평가하였다.
내머리염색액오염시험: 시판된 머리염색액을 각 요업제품의 유약층에 도포하고, 48시간 방치한 후에 닦아낸다. 그리고, 육안에 의해, 가장 양호한 것을 을 ○, 약간 양호한 것을 △, 나쁜 것을 ×로 해서 평가하였다.
내마모성시험: 가제를 약 17g/㎠의 하중에서 각 요업제품의 유약층에 압압하면서, 12왕복/분의 속도에 의해 2,000회 마모한다. 그리고, 물의 접촉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내알칼리성시험: 0.05wt%의 NaOH수용액을 준비하고, 이 수용액에 24시간 각요업제품의 유약층을 침지한다. 그리고, 접촉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5에 표시한다.
내물때오염시험 내입술연지오염시험 내머리염색액오염시험 내마모성시험 내알칼리성시험
미처리 × × - -
시험예 1 -13(108→95) -17(108→91)
시험예 2 -22(107→85) -3(109→106)
시험예 3 -35(106→71) -15(111→96)
시험예 4 × -35(107→72) -22(112→90)
시험예 5 × -47(109→62) -18(111→93)
시험예 6 × × -12(83→71) -34(82→48)
시험예 7 × -12(110→98) -36(101→65)
시험예 8 × × -12(104→92) -41(104→63)
시험예 9 × × -11(106→95) -37(100→63)
시험예 10 -12(100→88) -12(103→91)
시험예 11 × × -37(93→56) -16(101→85)
시험예 12 × × -37(80→43) -47(90→43)
시험예 13 × × -50(104→54) -25(80→55)
시험예 14 -11(112→101) -14(113→99)
시험예 15 × -31(107→76) -17(107→90)
표 5의 시험예 1∼15에서, 오염방지처리제 2가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지고,이 규소함유관능기가 유약층인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에 의해 실록산 결합해서 그 수산기를 실드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많은 용성실카를 함유하는 물을 사용해도, 그 수산기는 이미 불능화되어서 그들 용성실리카와 결합하지 않는것으로 생각할수있다. 이때문에, 그물코구조를 이루는 규산이 석출하지않고, 또는 석출하기 어려우며, 오염을 도입하기 어렵다. 이렇게해서, 오염방지처리제 2가 이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지면, 용성실리카를 다수함유하는 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있어서, 배설물등의 오염이 달라붙기어렵고, 그 청소가 용이하게 되는것을 알수있다. 또, 오염방지처리제 2의 규소함유관능기는 요업제품의 유약층에 있는 규소와 마찬가지로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또, 시험예 11∼13에서, 규소함유관능기끼리가 결합하고 있었던 오염방지처리제 2를 사용하면, 규소가 많게 되어서 피막에 그물코구조를 이루는 규산이 석출하고, 거기에 오염이 도입되기 쉬운것으로 생각된다. 이에대해, 다른 시험예 1∼10, 14, 15에서, 규소함유관능기끼리에서는 결합하고 있지않는 오염방지 처리제 2를 사용하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고, 바람직한것을 알수있다.
또, 시험예 1∼8, 10∼14에서,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해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진 오염방지처리제 2를 사용하면, 불화탄소기의 작은 임계표면장력에 의해, 오염방지효과가 발수효과로서 나타나고,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바람직한 것을 알수있다. 특히, 불화탄소기가 -CnF2n+1(n은 1≤n≤12의 자연수)이면, 불소수가 많고, 플루오로실란이 부피가 높아지기때문에,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크다. 특히, n=8의 -C8F17이 코스트적으로 바람직하다.
또, 시험예 14,15에서,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지않는 오염방지처리제 2를 사용하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크며, 바람직한 것을 알수있다.
다른한편, 다른시험예 1∼13에서, 규소함유 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진 오염방지처리제 2를 사용하면, 알킬기의 큰 임계표면장력에 의해, 오염방지효과가 내 입술연지오염, 내마모성으로서 나타나서 바람직한것을 알수있다. 특히, 시험예 1∼3, 6, 10에서, 내마모성의 관점에서는, 알킬기로서, 메틸기를 채용할수있다. 다른한편, 시험예 2, 3, 4∼6에서, 내알칼리의 관점에서는, 알킬기로서, 프로필기 또는 헥실기를 채용할수있다. 알킬기가 프로필기, 헥실기등이면, 알킬기가 부피가 높아져서 내알칼리의 점에서 뛰어나는 한편, 내마모성의 점에서 뒤떨어지며, 알킬기가 메틸기이면, 내마모성의 점에서 뛰어나는 한편, 내알칼리의 점에서 뒤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시험예 8에서, 오염방지처리제 2가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는 경우, 불화탄소기에서 알킬기가 많은 것을 채용하면, 오염방지처리제 2가 퍼플루오로알킬실란만으로 없어지고, 내입술연지오염 및 내마모성에 대해서 효과가 큰 것을 알수있다.
다른한편으로, 시험예 3,5에서, 오염방지처리제 2가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진경우 알킬기에서 불화탄소기가 많은 것을 채용하면, 오염방지처리제 2중에 퍼플루오로알킬실란이 많아지고,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 알칼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은것을 알수있다.
또, 시험예 1, 10에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가 디메틸실록산에 의해 결합해두면, 내물때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킬성에 대해서 효과가 높은것을 알수있다. 특히, 시험예 1에서는 디메틸실록산이 직쇄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 있는 한편, 시험예 10에서는 디메틸실록산이 고리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있고, 이들은 내물때오염, 내입술연지오염, 내머리염색액오염,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에 대해서 안정되게 높은 효과를 발휘할수 있는것을 알수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5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도 16에 표시한 서양식수세식변기(10)이다.
이 서양식수세식변기(10)은 사발(11)은 가지고 있으며, 사발(11)의 위 가장자리에는 림(12)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림(12)는 내부에 세정수를 유통하기 위한 유통수로(13)을 가지고 있으며, 림(12)의 하부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사출물구멍(14)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서양식수세식변기(10)의 뒷부분 윗면에는 내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탱크(15)가 얹어놓여져있고, 이 세정탱크(15)에 저장된 세정수가 림(12)내의 유통수로(13)에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해서, 유통수로(13)에 인도된 세정수는 그들 사출물구멍(14)으로부터 사발(11)의 내부면을 향해서 힘있게 분사되고, 따라서 사발(11)의 내부면이 세정되도록 되어있다.
또, 사발(11)의 하부에는 유수면(溜水面)(1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세정수를 저류한 유수부분(17)이 존재하고있고, 이 유수부분(17)은 배수트랩(18)에 접속되어있다. 유수부분(17)내부에 저류되는 세정수의 수위h는, 유수부분(17)의 바닥부분에서부터 배수트랩(18)의 넘치는 부분(19)까지의 높이이다. 또한, 사발(11)의 바닥부분근처에는 세정수를 배수트랩(18)을 향해서 힘있게 분사하는 분사제트구멍(20)이 형성되어있다.
이 서양식수세식변기(10)에서는, 세정탱크(15)의 얹어놓은 부분을 제외하고, 도자기질의 소지(21)위에 유약층(22), (23)이 형성되어있다. 사발(11)의 내부면에 있어서의 상부끝에서부터 유수면(16)부터 깊이d(약3㎝)까지의 부분과, 림(12)의 바닥면 및 안둘레면과, 세정탱크(15)의 얹어놓은부분을 제외하는 윗면에 형성된 유약층(22)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지않다. 나머지부분에 형성된 유약층(23)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다, 항균제로서는, 은 혹은 은화합물, 아연, 구리 혹은 그들의 화합물 또는 그들을 소정의 담체로 담지시켜서 이루어진 널리 알려져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이서양식수세식변기(10)에서는, 항균제를 함유하지않는 유약층(22)의 표면을 처리면으로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24)를 형성하고 있다. 사발(11)의 내부면에 있어서의 유수면(16)에서 깊이d(약3㎝)까지의 부분에 피막(24)를 형성한 것은, 유수면(16)의 수위h가 유수부분(17)의 내부의 세정수의 증발에 의해서 하강하거나 상승하거나 하기 때문에, 유수면(16)이 가장 하강했을시에 있어서도 피막(24)가 그 유수면(16)과 동등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양식수세식변기(10)에서는, 세정수에 의해서 물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는 유약층(22)에 오염방지층으로 이루어진 피막(24)를 형성하고 있기때문에, 수중의 금속이온이 유약층(22)의 수산기와 결합함에 따른 오염을 유효하게방지할수있다. 특히, 이 서양식수세식변기(10)에서는, 림(12)의 하부면 및 내부둘레면 및 윗면에 피막(24)를 형성하고있기 때문에, 이것에 국부세정장치를 장착하고, 그 국부세정장치의 노즐에서 분사된 세정수가 튀어되돌아와서 그들 림(12)의 하부면등에 부착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 림(12)의 하부면등의 오염을 유효하게 방지할수있다.
또한, 유약층(22)에 항균제를 포함시키지 않았던 것은, 피막(24)에 의해 항균제가 음폐되기 쉬워, 항균제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것을 회피한것이다. 다른한편으로, 항상 수몰상태에 있는 유수부(17)의 바닥부나 이에 이어지는 배수트랩(18)을 포함하는 나머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피막(24)를 형성하지 않고, 유약층(23)에 항균제를 함유시키고 있다. 이것은, 여기서의 오염의 주된것은 소변요석, 대변 및 이들을 영양원으로해서 발생증식하는균등의 유기물에 의한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유약층(23)내부의 항균제에 의해서 분해하기 위해서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도 17에 표시한 일본식 수세식변기(30)이다.
이 일본식수세식변기(30)도 사발(31)을 가지고있고, 사발(31)의 위 가장자리에는 안쪽에 있는 가리개를 제외해서 림(32)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림(32)는 내부에 세정수를 유통하기 위한 유통수로(33)을 가지고있고, 이 유통수로(33)은 안쪽에 있는 가리개의 앞부분에서 도시생략된 급수관과 접속하도록 되어있다. 림(32)의 후방쪽의 하부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사출수구멍(34)가형성되고,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림(32)내의 유통수로(33)을 개재하고, 사출수구멍(34)로부터 사말(31)의 내면을 향해서 힘있게 분사되고, 따라서 사발(31)의 내면이 세정되도록 되어있다. 또, 사발(31)의 하부에서는 유수면(35)에서 아래쪽으로 세정수를 저류한 유수부(36)이 존재하고있으며, 이 유수부(36)은 배수트랩(37)에 접속되고있다.
이 일본식수세식변기(30)에 있어서는, 도자기질의 소지(38) 위에 유약층(39), (40)이 형성되어있다. 사발(31)의 상부의 안가장자리를 제외한 사발(31)의 내부면에 형성된 유약층(39)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지않다. 잔여부분에 형성된 유약층(40)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다. 또, 이 일본식수세식변기(30)에 있어서도, 항균제를 함유하지않는 유약층(39)의 표면을 처리면으로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41)을 형성하고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일본식수세식변기(30)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질수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도 18에 표시한 남성용수세식소변기(50)이다.
이 남성용수세식소변기(50)은, 위쪽에 위치하는 물사출부(51)과 이 물사출부(51)과 일체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사발(52)를 가지고있다.
물사출부(51)에는, 스펏(53)을 개재하고, 도 19에 표시한 바와같이, 도시생략의 급수관과 접속되는 급수실(54)와, 이 급수실(54)와 연통하는 물사출실(55)가 형성되고, 물사출실(55)는 소정간격으로 다수형성된 사출물구멍(56)에 의해 사발(52)에 연통하고 있다.
다른한편으로, 사발(52)의 좌우 및 아래쪽의 앞쪽가장자리에는 림(57)이 형성되어있다. 림(57)은 내부에 세정수를 유통하기 위한 유통수로(58)을 가지고있다. 물사출부(51)에는, 급수실(54)와 연통하는 수로(59)가 형성되고, 수로(59)는 이 유통수로(58)에 연통하고 있다. 림(57)의 하부면에도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사출물구멍(58)이 형성되어있다.
이렇게해서,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는, 물사출부(51)의 급수실(54) 및 물사출실(55)를 개재해서 사출물구멍(56)으로부터 사발(52)의 내부면을 향해서 힘있게 분사되는 동시에, 물사출부(51)의 급수실(54), 수로(59) 및 림(57)내부의 유통수로(58)을 개재해서 사출물구멍(60)으로부터 사발(52)의 내부면을 향해서 힘있게 분사되고, 따라서 사발(52)의 내부면이 세정되도록 되어있다.
이 남성용수세식소변기(50)에 있어서는, 배면을 제외하고, 도 18에 표시한 바와같이, 도자기질의 소지(61)위에 유약층(62), (63)이 형성되어있다. 도 18에 햇칭으로 표시한 사발(52)에 있어서의 사출물구멍(56)의 바로밑에 위치하는 내부면상부와 사발(52)의 내부면의 좌우양끝과, 사발(52)의 하단앞쪽에 형성된 유약층(62)에는 항균제가 분사되어있지않다.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유약층(63)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다. 또, 이 남성용수세식소변기(50)에 있어서도, 항균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약층(62)의 표면을 처리면으로하고, 상기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64)를 형성하고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남성용수세식소변기(50)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성취할수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도 20 및 도 21에 표시한 바와같이, 세면기(71)이다. 이 세면기(71)은, 베이스캐비닛(70)에 결합되고, 세면화장대를 구성하고있다.
세면기(71)은, 사발면(72)의 주위에 대략수평인 평탄면(73)을 가지는 동시에, 평탄면(73)의 후방에서 일어서고 있는 수직면(74)를 가지고있다. 평탄면(73)의 수직면(74)쪽에는 핸들(75) 및 급수전(76)이 장착되어있다.
이 세면기(71)에 있어서는, 도자기질의 소지(77)위에 유약층(78), (79)가 형성되어있다. 도 20 및 도 21에 햇칭으로 표시한 수평면(73) 및 수직면(74)에 형성된 유약층(78)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지않다. 사발면(72)를 포함하는 나머지부분에 형성된 유약층(79)에는 항균제가 분산되어있다. 또, 이 세면기(71)에 있어서도, 항균제를 함유하지않는 유약층(78)의 표면을 처리면으로하고, 상기 시험예(1)과 마찬가지로, 이 처리면에 오염방지제로 이루어진 피막(80)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면기(71)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성취할수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이미 사용되어서 표면에 규산오염 등의 오염이 부착한 서양식수세식변기에 대해,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방법을 행하고있다.
먼저, 변기장치로부터 앉는자리를 분리하는등의 사전준비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처리면에 염색제를 분무하고, 규산오염을 확인한다.
그후, 처리면에 수산기를 재생성 시키는 전처리공정을 행한다. 이 전처리공정의 제 1공정으로서, 처리면에 예를들면 염산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산성액을 분무하고, 예를들면 5∼10분정도의 소정시간 이것을 방치한다. 제 1공정에 의해, 처리면에 고착하고 있던 칼슘계열의 오염인 오물때오염이 염산수용액속에 용해하고, 처리면으로부터 이탈한다. 그후, 젖은 헝겊에 의해 처리면의 닦아내기를 행한다. 이때, 연마제혼입나일론(상품명「타이넥스」:듀폰사제품)으로 만들어진 브러시를 사용하고, 처리면을 연마할수도 있다.
그리고, 처리면의 수산기와 화합결합하고, 통상적인 청소작업에서는 제거할수없는 규산오염의 제거를 행한다. 이 때문에, 전처리공정의 제 2공정으로서, 알루미나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마제에 의해 처리면을 문지른다. 이때, 먼저 연마제에 의해 처리면을 문지른후에, 내수페이퍼(#1000)에 의해 그 처리면을 연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의해, 처리면에 수산기가 재생성된다. 여기서, 재차 염색제를 분무하고, 규산오염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염색제를 씻어낸 후에 세정수를 사용해서 세정하고, 젖은헝겊등으로 닦아내며, 다시 건조한 헝겊등으로 닦아낸다. 이후, 유수부분내의 세정수의 빼내기를 행한후, 처리면을 드라이어등으로 건조시키고, 예를들면 에타놀등의 유기용제에 의해 처리면을 닦아낸다. 이어서, 처리면을 드라이어등으로 건조시키고, 그 유기용제를 휘발시킨다.
이러한 전처리공정후의, 상기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다. 이렇게해서 오염방지처리된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를 얻는다.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와, 전처리공정을 행하지 않고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한 비교예 1의 서양식수세식변기와 아무런 전처리공정도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의 형성도 행하지 않았던 비교예 2의 서양식수세식변기에 대해서, 인공적으로 규산오염을 부착시켜, 오염방지효과를 비교하였다. 인공적인 규산오염의 부착은, 상기 내물때오염시험과 마찬가지로, 70℃에 유지한 200ppm의 규산나트륨수용액에 처리면을 3시간 침지함으로써 행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에서는 규산오염이 부착하지 않았던데 대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서양식수세식변기에서는 규산오염이 부착하였다.
또,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의 피막과, 비교예 1의 서양식수세식변기의 피막에 대해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이 평가는, 각 피막의 동일개소를 상기 마모성시험과 마찬가지로해서 시판되는 브러시로 문지르고, 마모회수와 이에 수반하는 물의 접촉각(°)과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행하였다. 결과를 도 22에 표시한다.
도 22에서,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의 피막에서는 마모회수가 증가하더라도 발수성이 거의 저하하고 있지 않는데 대해 비교예 1의 수세식변기의 피막에서는 비교적 적은 마모회수에서도 발수성이 대폭으로 저하하는 것을 알수있다. 여기서, 예를들면 1회의 청소마다 각피막을 10회 문지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청소를 1주간에 4회 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1년 약 50주에 있어서는, 피막의 동일개소를 브러시에 의해 2,000회 문지르는 것으로 된다. 즉, 마모회수가 5,000회이면 사용기간이 2년반에 상당하고, 마모회수가 10,000회이면 사용기간이 5년에 상당한다. 이때문에, 실시예 5의 서양식수세식변기의 피막은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수있는 것을 알수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규산오염을 제거하기위하여 연마제를 사용하였으나, 산성불화암모늄 또는 불화수소산을 처리면에 도포한후, 세정하는 수단을 채용할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예시이며, 본 발명은 그 주된뜻을 이탈하지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변경을 가한 모양에 의해 실시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은 높은오염방지효과를 성취할수있다. 또, 본 발명의 오염방지처리방법에 의하면,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에 높은 오염방지효과를 부여할수있다.

Claims (24)

  1.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이 형성된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으로서,
    상기 오염방지처리제는, 상기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2. 제 1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끼리에서는 결합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4. 제 3항에 있어서, 불화탄소기는 -CnF2n+1(n은 1≤n≤12의 자유수)인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고, 상기 불화탄소기보다 상기 알킬기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고, 상기 알킬기보다 상기 불화탄소기가 많은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7. 제 5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는 디메틸실록산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8. 제 6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는 디메틸실록산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9. 제 7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제 1제는 퍼플로로알킬기함유 유기규소화합물과 가수분해성기함유 메틸폴리실록산화합물과의 친수성용매속에서 공(共)가수분해물이며, 상기 제 2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강산(强酸)과의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10. 제 9항에 있어서, 디메틸실록산은 직쇄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결합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11. 제 1항에 있어서, 처리면은 물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는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12.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제로 이루어진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처리면에 오염방지처리를 행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오염방지처리제는, 상기 처리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와 탈수반응 또는 탈수소반응에 의해 결합하는 규소함유관능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끼리에서는 결합하고있지않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불화탄소기는 -CnF2n+1(n은 1≤n≤12의 자유수)인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6.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고, 상기 불화탄소기보다 상기 알킬기가 많은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7.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불화탄소기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규소함유관능기와 결합한 말단의 알킬기를 가지고, 상기 알킬기보다 상기 불화탄소기가 많은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는 디메틸실록산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는 디메틸실록산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오염방지처리제는 제 1제와 제 2제를 혼합한 것이며, 상기 제 1제는 퍼플로로알킬기함유유기규소화합물과 가수분해성기 함유 메틸폴리실록산화합물과의 친수성용매속에서의 공가수분해물이며, 상기 제 2제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강산과의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디메틸실록산은 직쇄형상으로 규소함유관능기와 알킬기를 결합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22. 제 12항에 있어서, 처리면은 이미 사용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처리면에 수산기를 재생성시키는 전처리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24. 제 12항에 있어서, 처리면은 물젖음과 건조를 반복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의 오염방지처리방법.
KR1020017012400A 1999-04-02 2000-03-23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 KR100713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1099A JP4226136B2 (ja) 1999-04-02 1999-04-02 水廻り窯業製品における溶性シリカによるケイ酸析出防止方法
JPJP-P-1999-00097010 199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985A true KR20020004985A (ko) 2002-01-16
KR100713980B1 KR100713980B1 (ko) 2007-05-04

Family

ID=1418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400A KR100713980B1 (ko) 1999-04-02 2000-03-23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709751B1 (ko)
EP (1) EP1227072B1 (ko)
JP (1) JP4226136B2 (ko)
KR (1) KR100713980B1 (ko)
CN (1) CN100358841C (ko)
AT (1) ATE472520T1 (ko)
AU (1) AU767370B2 (ko)
CA (1) CA2369529C (ko)
DE (1) DE60044609D1 (ko)
EE (1) EE200100510A (ko)
ES (1) ES2348217T3 (ko)
HK (1) HK1045297B (ko)
IS (1) IS6030A (ko)
MY (1) MY122732A (ko)
NO (1) NO20014665L (ko)
NZ (1) NZ514637A (ko)
PL (1) PL202986B1 (ko)
PT (1) PT1227072E (ko)
RU (1) RU2246467C2 (ko)
TR (1) TR200102255T2 (ko)
TW (1) TW581750B (ko)
WO (1) WO2000059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6974A1 (de) * 2008-06-03 2009-12-10 Aixtro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eiden dünner Schichten aus polymeren Para-Xylylene oder substituiertem Para-Xylylene
JP5404225B2 (ja) * 2009-07-15 2014-01-29 株式会社Lixil 防汚塗料及びガラス層をもつ製品
JP5506492B2 (ja) * 2010-03-29 2014-05-28 株式会社Lixil 防汚塗料及びこれが塗布された製品
CN103073995A (zh) * 2012-12-28 2013-05-01 广东一鼎科技有限公司 一种乳液型陶瓷防污剂
CN103316863A (zh) * 2013-07-10 2013-09-25 瓮福(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过滤器结垢清洗方法
CN106800853B (zh) * 2016-12-30 2019-03-08 张海淼 一种卫浴制品用涂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836172A (zh) * 2019-01-17 2019-06-04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镀膜产品
CN115091746B (zh) * 2022-06-23 2023-10-27 华中科技大学 一种节水超滑马桶内壁套3d打印方法、马桶组件
CN117185842B (zh) * 2023-10-12 2024-02-13 广东方向陶瓷有限公司 一种防污耐磨陶瓷砖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510B2 (ja) * 1991-01-23 1996-01-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防汚性窯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224983A3 (en) * 1991-01-23 2002-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parent substra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0370899B1 (ko) * 1994-08-12 2003-03-1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발수처리제
JP3228085B2 (ja) * 1994-08-12 2001-11-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撥水処理剤
AU704813B2 (en) * 1996-04-02 1999-05-06 S.C. Johnson & Son, Inc. A method for imparting hydrophobicity to a surface of a substrate with low concentration organofunctional silanes
DE69720231T2 (de) * 1997-11-27 2003-11-13 Ferro Italia Srl Keramischer Ziegel und Glasur zur Verwendung auf diesen Ziegel
JP2000232948A (ja) 1998-12-15 2000-08-29 Inax Corp 防汚処理された水回り衛生器
JP3634181B2 (ja) 1999-03-18 2005-03-30 株式会社Inax 陶磁器製品の防汚処理方法
JP2000273937A (ja) 1999-03-25 2000-10-03 Inax Corp 防汚処理された小便器
JP2001029248A (ja) 1999-07-16 2001-02-06 Inax Corp 防汚処理して成る洗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5297B (zh) 2008-04-18
TW581750B (en) 2004-04-01
NO20014665D0 (no) 2001-09-26
IS6030A (is) 2001-07-31
JP4226136B2 (ja) 2009-02-18
MY122732A (en) 2006-04-29
PT1227072E (pt) 2010-07-13
CA2369529A1 (en) 2000-10-12
CN1346338A (zh) 2002-04-24
HK1045297A1 (en) 2002-11-22
EP1227072B1 (en) 2010-06-30
EP1227072A4 (en) 2003-07-02
PL202986B1 (pl) 2009-08-31
JP2000290089A (ja) 2000-10-17
TR200102255T2 (tr) 2002-03-21
US6709751B1 (en) 2004-03-23
AU3326800A (en) 2000-10-23
NO20014665L (no) 2001-09-26
AU767370B2 (en) 2003-11-06
ES2348217T3 (es) 2010-12-01
EE200100510A (et) 2002-12-16
CN100358841C (zh) 2008-01-02
NZ514637A (en) 2003-09-26
RU2246467C2 (ru) 2005-02-20
WO2000059846A8 (fr) 2001-03-29
WO2000059846A1 (fr) 2000-10-12
PL350415A1 (en) 2002-12-16
EP1227072A1 (en) 2002-07-31
ATE472520T1 (de) 2010-07-15
KR100713980B1 (ko) 2007-05-04
DE60044609D1 (de) 2010-08-12
CA2369529C (en)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13B2 (en) Surfactant-free cleansing and multifunctional liqui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nonreactive abrasive solid particles and an organo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methods of using
CA2250879C (en) A method for imparting hydrophobicity to a surface of a substrate with low concentration organofunctional silanes
EP1997873B1 (en) Thickened surfactant-free cleasing and multifunctional liqui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nonreactive abrasive solid particles and an organo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methods of using
ZA200603354B (en) Cleaning and multifunction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organa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hydrogen peroxide
KR100713980B1 (ko) 물줄기관계의 요업제품 및 그 오염방지처리방법
KR101390245B1 (ko) 물때의 생성이 억제된 위생 기기
JP3634181B2 (ja) 陶磁器製品の防汚処理方法
JP5072219B2 (ja) 親水処理剤
JP2019137594A (ja) 水まわり部材
US6383557B1 (en) Plumbing fixture surface restoration process
JP2005145817A (ja) 水廻り窯業製品の防汚処理方法
JPH11350574A (ja) 防汚性物品および防汚性物品の製造方法
JPH1171805A (ja) 水回り製品
JP3615016B2 (ja) 遊戯球用洗浄剤
JP2001192587A (ja) ガラス層をもつ基体用防汚処理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層をもつ基体の防汚処理方法及びその製品
KR20130106580A (ko) 세척수 절감을 위한 소변기의 내면코팅층 형성방법
JP2000257138A (ja) 防汚性便器
JPH0131557B2 (ko)
JPH11349928A (ja) セラミックス系基材の撥水処理方法
JP2000232948A (ja) 防汚処理された水回り衛生器
JP4868810B2 (ja) 水洗により洗浄される硬質表面用の防汚剤
JP2001051107A (ja) 浴室用防曇鏡及び浴室設備並びに浴室
JP2004244240A (ja) ガラス物品の表面処理方法
JP2001051108A (ja) 浴室用防曇鏡及び浴室設備並びに浴室
TH28547B (th) สารผสมสำหรับชำระล้างชนิดเหลวเพื่อใช้กับพื้นผิวแข็งและวิธีทำความสะอาดพื้นผิวแข็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