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124Y1 -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124Y1
KR200163124Y1 KR2019960046036U KR19960046036U KR200163124Y1 KR 200163124 Y1 KR200163124 Y1 KR 200163124Y1 KR 2019960046036 U KR2019960046036 U KR 2019960046036U KR 19960046036 U KR19960046036 U KR 19960046036U KR 200163124 Y1 KR200163124 Y1 KR 200163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ateral link
vehicle body
welded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130U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60046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1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래터럴 링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의 구조가 복잡하고, 성형성 및 용접성이 불량하며, 제작성이 나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사이드 프레임(1)의 측면과 하면에 동시에 부착되는 제 1 용접부(7a)와, 그 제 1 용접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래터럴 링크가 힌지(7d)에 의해 결합되는 연장부(7b)를 갖는 제 1 브라켓(7)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에 용접되는 제 2 용접부(8a)와, 상기 제 1 브라켓의 연장부의 플랜지면(7c)에 용접되는 제 3 용접부(8b)를 포함하는 제 2 브라켓(8)와; 상기 래터럴 링크와 함께 제 1 브라켓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그 반대쪽이 크로스 멤버에 부착되는 제 3 브라켓(6)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lateral link)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래터럴 링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 하부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덮여지는 플로어 패널, 그 플로어 패널의 좌, 우측에 설치되며,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 및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크로스 멤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에는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한 래터럴 링크(3)가 설치된다. 래터럴 링크(3)는 일측 사이드 프레임(1)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4, 5)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 1 브라켓(4)과 크로스 멤버(2)의 사이에는 제 3 브라켓(6)이 연결되는 구조로 취부된다.
제 1 및 제 2 브라켓(4, 5)은 도 2 및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의 하부면과 측면에 동시에 용접되고, 상호간에 플랜지부(4a, 5a)가 용접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차체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거치된 래터럴 링크(3)는 차체의 롤링이나 좌, 우 차체의 기울기에 차이가 발생될 경우, 토션 바의 역할로서 차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상술한 차체의 하부 구조에 있어서, 래터럴 링크를 지지하는 브라켓 특히, 제 1 브라켓은 오목부(4b)가 구비되어 계단식으로 형성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성형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라켓에 용접되는 제 2 브라켓은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고, 성형성이 나쁘며, 용접점의 수가 많아 용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품의 생산성 및 제작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래터럴 링크가 지지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므로서, 성형성, 용접성, 및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기구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공지된 래터럴 링크 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종래 공지된 래터럴 링크 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기구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래터럴 링크 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래터럴 링크 및 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프레임 2 : 크로스 멤버
3 : 래터럴 링크 6 : 제 3 브라켓
7 : 제 1 브라켓 7a : 제 1 용접부
7b : 연장부 7c : 플랜지면
8 : 제 2 브라켓 8a : 제 2 용접부
8b : 제 3 용접부 8c : 확대부
8d : 보강 비이드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을 제안한다.
즉, 본 고안은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과 하면에 부착되는 제 1 용접부와, 그 제 1 용접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래터럴 링크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연장부를 갖는 제 1 브라켓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에 용접되는 제 2 용접부와, 상기 제 1 브라켓의 연장부의 플랜지면에 용접되는 제 3 용접부를 포함하는 제 2 브라켓와; 상기 래터럴 링크와 함께 제 1 브라켓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그 반대쪽이 크로스 멤버에 부착되는 제 3 브라켓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브라켓의 용접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하면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연장부의 단면은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과 용접되는 제 2 브라켓의 제 2 용접부에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제 1 브라켓과 용접되는 제 2 브라켓의 제 3 용접부에는 보강 비이드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기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래터럴 링크 및 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1)은 사이드 프레임, (2)는 크로스 멤버를 지칭한다.
차체의 전, 후 방향을 길게 위치된 사이드 프레임(1)의 사이에는 차체를 횡단하는 크로스 멤버(2)가 연결된다. 또한 좌,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에는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한 래터럴 링크(3)가 설치된다.
래터럴 링크(3)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은 일측 사이드 프레임(1)의 측면과 저면에 동시에 부착되는 제 1 용접부(7a)와, 그 제 1 용접부(7a)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래터럴 링크(3)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연장부(7b)로 구성된 제 1 브라켓(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브라켓(7)은 종래와 달리 사이드 프레임(1)과의 접합 강성을 높이기 위해, 용접부(7a)의 폭이 사이드 프레임(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용접부(7a)의 높이가 축소되고, 종래의 오목부가 제거되어 구조가 단순화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 1 브라켓(7)의 연장부(7b)의 플랜지면(7c)에는 제 2 브라켓(8)의 제 3 용접부(8b)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 2 브라켓(8)의 제 3 용접부(8b)의 상단부에서 직상방으로 연장된 제 2 용접부(8a)는 차체의 사이드 프레임(1)에 용접된다.
여기서, 제 2 브라켓(8)의 제 2 용접부(8a)에는 제 1 브라켓(7)의 용접부(7a)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확대부(8c)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브라켓(8)의 제 3 용접부(8b)에는 보강 비이드(8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브라켓(8)와 상호 용접된 제 1 브라켓(7)의 연장부(7b)에는 일단이 크로스 멤버(2)에 부착된 제 3 브라켓(6)의 타단이 래터럴 링크(3)와 함께 힌지(7d)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서의 미설명 부호(9)는 차체의 센타 플로어 패널을 지칭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거하여, 래터럴 링크의 제 1 브라켓(7)은 종래 오목부와 계단식 구조가 제거되고, 제 1 용접부(7a)와 연장부(7b)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브라켓(7)의 연장부(7b)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강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 1 브라켓(7)와 용접되는 제 2 브라켓(8)는 제 2 용접부(8a)와 제 3 용접부(8b)의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며, 용접점의 수가 감소되고, 폐단면이 확대된다.
또한, 제 2 브라켓(8)는 확대부(8c)와 보강 비이드(8d)가 형성되어, 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제 1 브라켓(7) 및 제 2 브라켓(8)의 구조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성형성 및 제작성이 향상되고, 2부품간의 용접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된 래터럴 링크(3)는, 차체의 롤링이나 좌, 우 차체의 기울기에 차이가 발생될 경우, 토션바의 역할로서 차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래터럴 링크의 지지구조가 단순화되고, 브라켓의 성형성과 용접 작업성 및 용접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래터럴 링크 브라켓의 강성이 향상되고, 차체의 중량이 낮아지는 효과도 아울러 얻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과, 좌, 우 양측의 사이드 플레임을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하부 차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측면과 하면에 동시에 부착되는 제 1 용접부와, 그 제 1 용접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래털럴 링크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연장부를 갖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사이드 프레이의 측면에 용접되는 제 2 용접부와, 상기 제 1 브라켓의 연장부의 플렌지면에 용접되는 제 3 용접부를 포함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래터럴 링크와함께 제 1 브라켓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그 반대쪽이 크로스 멤버에 부착되는 제 3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브라켓의 용접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하면과 같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의 연장부는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용접되는 제 2 브라켓의 제 2 용접부에는 확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과 용접되는 제 2 브라켓의 제 3 용접부에는 보강 비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KR2019960046036U 1996-12-06 1996-12-06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KR200163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036U KR200163124Y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036U KR200163124Y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30U KR19980033130U (ko) 1998-09-05
KR200163124Y1 true KR200163124Y1 (ko) 1999-12-15

Family

ID=1947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036U KR200163124Y1 (ko) 1996-12-06 1996-12-06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1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936B1 (ko) * 2000-12-18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래터럴로드 브래킷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30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868B2 (en) Rear pillar construction
JPH104503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477409B2 (ja) 車体のリヤフロア構造
KR200163124Y1 (ko)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JP3305225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開口部の補強構造
KR200156989Y1 (ko) 자동차 차체의 래터럴 링크 브라켓
JP2000016350A (ja) 自動車のリヤフロア構造
JP2963641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03137132A (ja) スプリングサポート構造
JPH10244966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開口部の補強構造
JP3206399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H0423742Y2 (ko)
JPH06107233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200155333Y1 (ko) 자동차 차체의 연료 탱크 브라켓
JPH10203172A (ja) 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KR200197884Y1 (ko) 자동차 크로스멤버의 마운팅구조
JPH0423708Y2 (ko)
JP3274079B2 (ja) 横開き式バックドアの支持構造
JP3932077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車体構造
KR0147339B1 (ko) 백도어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보강구조
JP3593946B2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JP3543646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部構造
JPH08192631A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8230482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KR200204145Y1 (ko) 화물차용 캡 브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