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45Y1 - 버스의 에어덕트 - Google Patents

버스의 에어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45Y1
KR200147445Y1 KR2019970009070U KR19970009070U KR200147445Y1 KR 200147445 Y1 KR200147445 Y1 KR 200147445Y1 KR 2019970009070 U KR2019970009070 U KR 2019970009070U KR 19970009070 U KR19970009070 U KR 19970009070U KR 200147445 Y1 KR200147445 Y1 KR 200147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screw
fixed
bu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386U (ko
Inventor
김월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09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에어덕트를 루프패널이나 윈도우 프레임에 나사로서 취부시, 나사가 수직으로 체결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방을 쳐다보면서 작업하므로서 작업이 까다롭고, 에어덕트를 윈도우 프레임에 설치시 그 작업공간이 협소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에 날카로운 삽입부(431)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가이드(432)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430)과, 하단에는 가이드홈(420)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괘지편(412)과 탄성편(413)에 의해 괘지홈(411)이 형성된 고정부(410)를 형성하며, 루프패널(200)의 내측에는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을 설치하므로서, 에어덕트(100)의 일측은 커튼레일(400)의 고정부(410)에 형성된 괘지홈(411)에 삽입하여 괘지편(412)과 탄성편(413)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의 경사면(510)에 접면시켜 경사진 상태에서 스크류 리벳(600)으로서 고정시킴에 따라 에어덕트(100)의 설치에 따른 부품수가 절약되고 취부작업이 삽입방식이나 리벳팅으로 이루어지므로 취부 작업성이 향상되며 작업공정 또한 감소시키므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에어덕트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 구조에 따라 승용차, 트럭, 버스로 분류되는데, 승용차는 세단, 리무진, 쿠페, 컨버터블, 로드스타, 하드톱, 스테이션 왜건 등으로 나뉘어지고, 트럭은 보닛형, 캡오버형, 픽업, 라이드밴, 패널밴 등으로 나뉘어지며, 버스는 보닛형(컨펜셔블), 박스형(코치형)으로 나뉘어 진다.
이와 같은 자동차는 차체와 섀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차체는 차안, 트렁크, 엔진룸, 트럭룸, 펜더룸으로 구성된다.
또한 차체와 섀시프레임을 구별하지 않고 차체와 섀시프레임이 일체로 되어 주로 중량이 가벼운 승용차에 사용되는 모노코크(monocoque)식이 있고, 차체와 섀시프레임을 구별하여 주로 중량이 무거운 트럭이나 버스에 사용되는 차체/섀시프레임 분리식이 있다.
상기한 버스의 경우는 일반 대중 교통수단으로서 사람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박스형이 많이 사용된다.
한편, 에어컨이란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를 말하고 공기조화(공조라고도 칭함)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조화란 건물 안의 필요한 공간을 온도, 습도, 기류, 공기 청정도의 4 가지 조건에 대해 희망하는 상태로 인공적인 조정을 행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의 경우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부하로 부터 항상 탑승자가 쾌적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공조장치가 적용되는 버스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즉, 버스용 냉난방장치는 서브엔진을 동력원으로 한 서브엔진식(일체유니트방식)과 메인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얻어 콤프레셔를 구동하는 직결식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노선버스에 있어서는 직결식을 관광버스에 있어서는 서브엔진식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구미에서는 관광버스 등에 있어서도 직결식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서브엔직식은 장치 일식이 하나의 유니트로 모아져서 바닥밑에 탑재되며 특징은 가설장비성이 좋으며, 주행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냉방을할 수 있고, 점검, 정비를 한 곳에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바닥면 지상높이가 낮은 노선버스 등에서는 바닥판밑만으로는 수납할 수가 없어서 유니트 위쪽 바닥을 부분적으로 실내로 튀어나오게 해서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거주성을 저해하는 것이 되어 이것이 노선버스에서의 서브엔진식이 적은 까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결식은 콤프레서, 에바플레이터, 콘덴서 등 여러기기가 분산배치되어 있으며 서브엔진도 없기 때문에 바닥면의 부분돌기 없이 바닥밑으로의 수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방장치는 노선버스의 경우, 차량용 메인엔진의 냉각수를 열원으로 하는 온수식 난방이 주류이다. 한편 관광버스는 등유 등을 연소시켜서 직접공기를 데우는 온기방식을 대신해서 서브엔진식 냉방장치 속에 온수용의 배관과 그 온수를 다시 강제적으로 데우는 예열기(등유 등을 열원으로 하고 있다.)를 짜맞추어서 일체화한 장치(서브엔진식 에어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그 기능으로서 제습회로나 외기도입장치가 부가되고 또 실온을 자동적으로 컨트롤하는 등 더욱더 고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의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장치에서 발생되는 온기나 냉기는 차내 각각의 좌석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공기통로를 에어덕트라고 하며 통상 천장과 창문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 은 종래 에어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에어덕트(10)의 일측은 루프패널(10)의 내측에 취부되고 타측은 커튼레일(curtain rail)(40)과 함께 윈도우 프레임(30)에 설치되고 있는데, 그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에어덕트(10)의 일측은 루프패널(20)의 내측에 제 1 나사(50)에 의해 가조립된 후, 윈도우 프레임(30)의 상단에 커튼을 설치되기 위한 커튼레일(40)이 설치되고, 그 레일부(41) 상단에 상기 에어덕트(10)의 타측이 올려지면서 제 2 나사(60)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에어덕트(10)가 설치되는 것인데, 이때 에어덕트(10)의 설치작업에 있어서, 제 1 나사(50),가 루프패널(20)에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방을 향하여 제 1 나사(50),를 조립하므로서 체결작업이 난해하고, 제 1 나사(5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잔해물이 작업자의 얼굴 등에 떨어지게 되어 부상의 우려도 있어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 1 나사(50)에 의해 에어덕트(10)가 루프패널(20)에 가조립된 후, 윈도우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커튼레일(40)의 레일부(41) 상단으로 상기 에어덕트(10)의 타측에 올려지면서 제 2 나사(60)에 의해 조립되는데, 이 또한 작업자가 상방을 향하여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하여 취부작업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덕트의 취부에 사용되는 부품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에어덕트의 취부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의 감소 및 취부성의 향상으로 인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에어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날카로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과, 커튼레일의 하단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단 레일부의 일측에는 탄성편과 괘지편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편과 괘지편으로서 괘지홈이 형성되도록 한 고정부를 형성하며, 루프패널의 내측에는 고정나사에 의해 V자형 브라켓이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정핀을 윈도우 프레임의 하단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핀의 가이드에 커튼레일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삽설한 다음. 에어덕트의 일측을 상기 커튼레일의 괘지홈에 삽입한다음 상방으로 올려 에어덕트의 타측이 루프패널의 내측에 설치된 V자형 브라켓의 경사면에 접면되도록한 뒤, 리벳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에어덕트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레일을 보인 단면도.
도 2b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을 보인 단면도.
도 2c 는 본 고안에 따른 V자형 지지 브라켓에 에어덕트의 일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d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에어덕트 200 : 루프패널
400 : 커튼레일 410 : 고정부
411 : 괘지홈 412 : 괘지편
413 : 탄성편 420 : 가이드홈
430 : 고정핀 431 : 삽입부
432 : 가이드 500 : 지지 브라켓
520 : 고정나사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a 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레일을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V자형 지지 브라켓에 에어덕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2d 는 본 고안에 따라 에어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에 날카롭게 구성된 삽입부(4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이드(432)가 돌설되어 있는 고정핀(430)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핀(430)의 가이드(432)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설될 수 있도록 커튼레일(400)의 하단에 가이드홈(420)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에어덕트(100)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고정부(410)를 형성하되, 고정부(410)의 상측에 지그재그 형상의 탄성편(413)과 하부에 V자 형태의 괘지편(412)에 의해 괘지홈(411)이 형성되도록 하며, 루프패널(200)의 내측에는 고정나사(520)에 의해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10)은 에어덕트(100)의 타측 선단에 형성된 구멍이며, (300)은 윈도우 프레임이고, (430)은 커튼레일(400)을 윈도우 프레임(300)에 고정시키고 있는 나사이고, (510)은 V자형 지지 브라켓의 경사면이며, (600)은 스크류 리벳이고, (610)은 스크류 리벳(600)의 몸체이며, (620)은 리벳이고, (611)은 상기 몸체(610)의 삽입공이며, (612)는 몸체(610)의 괘지발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버스 냉난방장치의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인 에어덕트를 취부함에 있어서, 우선 윈도우 프레임(300)에 고정핀(430)의 날카로운 삽입부(431)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핀(430)의 타측에 형성된 가이드(432)에 커튼레일(400)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홈(420)을 끼워 고정시키고, 커튼레일(400)의 상단은 나사(430)로서 윈도우 프레임(300)에 고정시키며, 루프패널(200)의 내측으로는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을 설치하되, 양측을 고정나사(520)로 루프패널(200)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에어덕트(100)의 일측 선단을 상기 커튼레일(400)의 고정부(410)에 형성된 괘지홈(411)에 삽입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에어덕트(100)의 타측 선단이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의 경사면(510)에 접면되도록 한 다음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에어덕트(100)의 일측 선단을 커튼레일(400)의 괘지홈(411)에 삽입한 다음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에어덕트(100)의 일측 선단이 V자 형태의 괘지편(412)에 괘지됨과 동시에 탄성편(413)이 탄성되면서 상기 에어덕트(100)의 일측이 고정되는 것이고, 상단으로 회동된 에어덕트(100)의 타측은 루프패널(200)의 내측에 미리 설치해놓은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의 경사면(510)과 접면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V자형 지지 브라켓(500)과 에어덕트(100)의 타측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스크류 리벳(600)을 사용하여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즉, 몸체(610)의 내부에는 삽입공(61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절결되어 괘지발(6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611)에는 리벳(6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크류 리벳(600)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몸체(610)는 에어덕트(100)가 설치되기 전,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의 경사면(510)에 미리 삽입되어 고정된 후, 에어덕트(100)의 타측 선단이 상기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의 경사면(510)에 접면되면서 리벳(620)을 상기 에어덕트(100)의 타측 선단에 형성된 구멍(110)을 관통시켜 몸체(610)의 삽입공(611)에 삽입하게 되면, 리벳(620)이 몸체(610)의 삽입공(611)에 삽입됨과 동시에 절결된 괘지발(612)을 벌어지게 하면서 몸체(610)가 V자형 지지 브라켓(500)에 고정되게 되고, 리벳(620) 또한 에어덕트(100)의 타측과 함께 V자형 지지 브라켓(500)에 견고히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의 냉난방장치에서 발생된 공기가 실내 각각의 좌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에어덕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전에는 에어덕트를 루프패널이나 윈도우 프레임에 나사로서 장착시, 나사가 수직으로 체결됨에 따라 작업자가 상방을 쳐다보면서 작업하므로서 작업이 까다롭고 에어덕트가 윈도우 프레임에 설치시 그 작업공간이 협소한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에어덕트의 일측은 커튼레일의 일측 고정부에 형성된 괘지홈에 삽입하여 괘지편과 탄성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은 미리 설치해 놓은 V자형 지지 브라켓의 경사면에 접면시켜 경사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스크류 리벳으로서 고정시킴에 따라 에어덕트의 설치에 따른 부품수가 절약되고 취부작업이 삽입방식이나 리벳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며 작업공정 또한 감소시키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생산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버스의 냉난방장치에서 발생된 온기나 냉기가 이동되는 에어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버스의 루프패널과 윈도우 프레임 사이에 에어덕트를 취부함에 있어서, 부품의 개선을 통하여 부품수 및 작업공정을 줄이고 아울러 취부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버스의 에어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1)

  1. 버스 냉난방장치의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인 에어덕트를 취부함에 있어서, 일측에 날카롭게 구성된 삽입부(4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가이드(432)가 돌설되어 있는 고정핀(430)과, 하단에 가이드홈(420)이 형성되고 커튼이 설치되는 상단 레일부의 일측에는 고정부(410)를 형성하되, 고정부(410) 상측에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의 탄성편(413)과, 상기 고정부(410) 하측에 형성된 V자 형태의 괘지편(412)과, 상기 탄성편(413)과 괘지편(412)에 의해 형성되는 괘지홈(411)과, 루프패널(200)의 내측에는 고정나사(520)에 의해 고정되는 V자형 지지 브라켓(500)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에어덕트.
KR2019970009070U 1997-04-29 1997-04-29 버스의 에어덕트 KR200147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070U KR200147445Y1 (ko) 1997-04-29 1997-04-29 버스의 에어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070U KR200147445Y1 (ko) 1997-04-29 1997-04-29 버스의 에어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86U KR19980064386U (ko) 1998-11-25
KR200147445Y1 true KR200147445Y1 (ko) 1999-06-15

Family

ID=1949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070U KR200147445Y1 (ko) 1997-04-29 1997-04-29 버스의 에어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20A (ko) * 1999-06-30 2001-01-15 정몽규 리어 엔진 버스의 에어 크리너 장착 구조
KR100836836B1 (ko) * 2006-09-18 2008-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 설치형 에어컨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86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1011A (zh) 用于公共汽车的车顶空调
KR920005377B1 (ko) 차량의 앞부분의 차체구조
KR200147445Y1 (ko) 버스의 에어덕트
KR200206161Y1 (ko) 리어쿨러 파이프 고정용블럭
KR100471475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 모듈의 센터멤버 구조
US6142865A (en) Long life vehicle ventilation system
JP3194659B2 (ja) 自動車の後部構造
JPH0612131U (ja) 空調装置におけるルーバーの取付構造
JPH0453739B2 (ko)
JPH11189177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KR960002168Y1 (ko) 조립식 지붕이 장착된 버스
JP2592408Y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217960Y1 (ko) 철도차량용 에어콘 확산기
JPS6299207A (ja) 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
JPH0352165Y2 (ko)
KR0123495Y1 (ko) 상용차용 라디에이터 지지 조립체
KR100577808B1 (ko) 자동차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JP2022059192A (ja)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JPH078312Y2 (ja) 自動車の成形天井
KR19990011509U (ko) 자동차용 히팅 덕트
JP5970286B2 (ja) 鉄道車両用のドア構造
KR19990043259A (ko) 버스의 커텐레일
JPH0627229U (ja) 車両の換気装置
KR19990019640U (ko) 윈드 실드 글라스의 습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