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405A -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 Google Patents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405A
KR20010112405A KR1020017012758A KR20017012758A KR20010112405A KR 20010112405 A KR20010112405 A KR 20010112405A KR 1020017012758 A KR1020017012758 A KR 1020017012758A KR 20017012758 A KR20017012758 A KR 20017012758A KR 20010112405 A KR20010112405 A KR 2001011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mino
polyacetal
group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578B1 (ko
Inventor
히로시 모리
로버트 제임스 카살
겐이찌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 이. 보울러,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메리 이. 보울러
Publication of KR2001011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냄새 감소 첨가제를 폴리아세탈 수지중에 혼입시킴으로써 그의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냄새 감소 첨가제와 약산성 이미노의 조합은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더욱 감소시키는데 상승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Description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Polyacetal Resins with Reduced Formaldehyde Odor}
주로 포름알데히드 단량체 또는 트리옥산, 포름알데히드의 삼량체를 포함하는 출발 물질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아세탈 수지는 인장 강도, 강성 뿐만 아니라 내피로성, 내미끄럼성, 내약품성 등과 같은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이 수지는 그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예를 들어,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때문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때때로 이 수지는 심지어 실온에서도 수지 원료인 포름알데히드가 미량 방출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폴리아세탈 수지로부터 제조된 성형품도 미량의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할 수 있으며, 이는 성형 부품을 몇몇 환경에서 덜 바람직하도록 만들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866,671호는 냄새 수준이 감소된 산성 히단토인 및 이미다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 및 폴리아세탈 수지로부터 성형된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감소시키는 수단이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a) 폴리아세탈 수지, 및
b) 상기 폴리아세탈 수지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50%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1종 이상의 냄새 감소 첨가제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냄새 감소 첨가제는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절반 이상 감소시키는데 상승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a) 폴리아세탈 수지; b)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냄새 감소 첨가제 충분량; 및 c) 활성 이미노를 갖는 약산성 유기 시클릭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패키지 수지 및 성형 부품용으로 열안정성, 공기 오븐 노화 및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상당히 감소된 신규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세탈 수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세탈 기재 수지는 폴리옥시메틸렌 단독중합체, 공중합체(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 및 옥시메틸렌 단위와 미량의 다른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삼원공중합체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 옥시메틸렌 반복 단위(-CH2O-)로 이루어진 고분자량 중합체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아세탈은 그의 말단기가 보호되거나 보호되지 않은 선형, 분지형 또는 가교형일 수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5,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70,000일 것이다. 분자량은 편리하게는 공칭 기공 크기가 60 및 1000 Å인 듀퐁 PSM 바이모달 칼럼 키트를 사용하여 160℃의 m-크레졸중에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아세탈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단독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무수 포름알데히드 또는 그의 시클릭 삼량체, 즉 트리옥산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단독중합체는 옥시메틸렌 단위와 비교하여 큰 안정성을 갖는 적합한 잔기로 말단 캡핑됨으로써 열분해에 대해 안정화된다. 다른 한편,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고급 옥시알킬렌 단위로 무질서하게 산재된 약 85 내지 99.9%의 옥시메틸렌 반복 단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량 중합체(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인접 탄소 원자를 가짐)이다.
공중합체는 폴리아세탈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1종 이상의 공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더욱 통상 사용되는 공단량체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 옥시드 및 그의 포름알데히드와의 시클릭 부가 생성물을 포함한다. 공단량체의 양은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중량% 이하일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공단량체는 에틸렌 옥시드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는 그의 보다 큰 강성 때문에 공중합체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아세탈 단독중합체는 그의 말단 히드록실기가 화학 반응에 의해 말단 캡핑되어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기, 바람직하게는 아세테이트 또는 메톡시기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첨가제
본 발명의 냄새 감소 첨가제는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의 경우, 아미노기(들)의 수에 특정한 제한은 없다. 아미노 화합물은 탄소수 2 이상의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기일 수 있다. 아미노 화합물은 아미노기(들) 이외에 1종 이상의 기, 예를 들어 히드록실, 에스테르, 에테르, 카르복실, 카르보닐, 아미도, 이미도, 술폰, 카르복스아미도, 이미노 및(또는) 불포화 기를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은 염기도가 약 2 내지 8 pkb인 약염기, 바람직하게는 염기도가 약 4 내지 8 pkb인 매우 약한 염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은 낮은 휘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즉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은 Tbp> Tm-60℃(여기서, Tbp는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이고 Tm은 폴리아세탈 기재 수지의 융점임)이어야 한다.
그러한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의 구체적 예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알킬 아미노벤조에이트, 예를 들어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부틸 m-아미노벤조에이트, 2-아미노-2-에틸-프로판디올 및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2-아미노-2-에틸-프로판디올 및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및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냄새 감소 첨가제의 양은 수지 또는 그의 성형 부품의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절반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한다. 첨가제의 양은 폴리아세탈 수지 100 중량부 당 약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부이다.
다른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윤활제; 핵생성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유기 중합체 물질; 무기, 유기의 섬유상, 과립상 또는 판상 충전제, 산화방지제, 안료, 착색제, 카본블랙, 강화제 및 유리 섬유와 같은 충전제 등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통상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윤활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그의 변형물과 같은 실리콘 유형의 윤활제; 올레산 아미드; 알킬산 아미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아미드 유형의 윤활제; 비스-지방산 아미드 유형의 윤활제, 예를 들어 비스아미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유형의 윤활제; 탄화수소 유형의 윤활제 왁스, 클로로 탄화수소, 플루오로카본; 옥시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유형의 윤활제; 지방산의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에스테르 유형의 윤활제; 다가 폴리글리콜, 폴리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알코올 유형의 윤활제; 및 금속을 갖는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등과 같은 금속 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지의 산화적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장애된 페놀 유형의 산화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융점이 100℃ 이상, 특히 120℃ 이상인 그러한 산화방지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폴리아미드 수지, 아미드 화합물, 우레아 유도체 및 트리아진 유도체와 같은 포름알데히드 포착제로서 열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화합물, 특히 나일론 삼원공중합체,히드록시 함유 중합체 및 비용융 질소 또는 히드록시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12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66/610 삼원공중합체, 폴리아미드 6/66/612 삼원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폴리 베타 알라닌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아미드 화합물은 스테아르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에루스산(erucic acid)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스테아르산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베헨산 아미드, 헥사메틸렌디아민-디스테아르산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올레산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에루스산 아미드, 크실릴렌디아민-디에루스산 아미드, 디(크실릴렌디아민-스테아르산 아미드)세바스산 등이다.
적합한 우레아 유도체는 N-페닐우레아, N,N'-디페닐우레아, N-페닐티오우레아, N,N'-디페닐티오우레아 등이다.
적합한 트리아진 유도체는 멜라민, 벤조구안아민, N-페닐멜라민, N,N'-디페닐멜라민, N-메틸올멜라민, N,N'-트리메틸올멜라민, 2,4-디아미노-6-시클로헥실트리아진 등이다.
이러한 열안정화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 나일론 66, 폴리 베타-알라닌, 에틸렌디아민-디스테아르산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베헨산 아미드, 에틸렌디아민-디에루스산 아미드, 디(크실릴렌디아민-스테아르산 아미드)세바스산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배합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첨가제는 건조 분말, 농축물("마스터 배치"),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한가지 바람직한 혼입 방법은 펠렛을 코팅하기 위해 냄새 감소 첨가제를 폴리아세탈 수지 펠렛에 첨가하고, 그에 의해 혼합물을 압출기 또는 사출 성형기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외에, 냄새 감소 첨가제는 열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를 폴리아세탈 수지중으로 배합하는 동시에 배합될 수 있다. 첨가제는 입자 형태 또는 용융 상태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의 성형 부품은 압축 성형, 진공 형성,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취입 성형, 회전 성형, 용융 방사 및 열성형을 포함하여 플라스틱 형성 업계에 통상적인 임의의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청구되는 조성물의 사출 성형시, 금형에 부착된 금형 퇴적물을 가시적으로 평가한 결과 거의 관찰되지 않거나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아세탈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특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열안정성 시험
수지 펠렛 2g을 250℃의 질소 분위기에서 30분 동안 용융시켰다. 수지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포름알데히드 가스를 4% 수성 중아황산나트륨 용액중으로 도입한 후, 0.1 N 염산(HCl)으로 적정하였다. 생성된 포름알데히드 가스(TEF)의 양을 하기식으로 표현하였다:
형성된 포름알데히드의 양(%)=30.03 NV/S×100
식중, V는 30분후에 적정하는데 요구되는 HCl의 양(ml)이고, N은 HCl의 노르말 농도(ml)이고, S는 시료의 양(g)이고, 30.03은 포름알데히드의 분자량이다.
냄새 시험 1 - 펠렛
수지 펠렛 100 g을 300 ml 폴리에틸렌 용기중에 밀봉하고, 다양한 온도, 즉 실온, 50℃ 및 80℃에서 유지하였다. 시험 개시시에, 그후 1 및 2시간 후, 가스 10 ml를 주사기를 사용하여 용기로부터 빼내어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가스상 측정 장치(Lion Company 제조의 포름알데미터 마크 II(Formaldemeter Mark I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냄새 시험 2 - 펠렛
수지 펠렛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밀봉된 22.7 kg(50 lb) 가방(bag)중에 실온에서 저장하였다. 밀봉된 가방으로부터 가스 1 cc를 빼내어 가스 시료를 시험하고,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가스상 측정 장치인 포름알데미터 마크 I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냄새 시험 3 - 성형된 인장-막대 시험
0.15875 cm(1/16 인치)의 인장 막대를 특허 청구된 조성물뿐만 아니라 대조 조성물로부터 성형하였다. 인장 막대를 밀봉된 3.785 ℓ(1 갤론) 폴리에틸렌 용기중에서 실온에서 저장하였다. 밀봉된 용기로부터 가스 1 cc를 빼내어 가스 시료를 시험하고,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포름알데미터 마크 I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냄새 시험 4 - 성형 부품 시험
다양한 온도인 50℃ 및 80℃에서 밀봉된 300 ml 폴리에틸렌 용기에 보관된 특허 청구된 조성물로부터 성형 부품을 성형하였다. 밀봉된 용기로부터 가스 1 cc를 빼내어 가스 시료를 시험하고,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포름알데미터 마크 II(Lion Company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성분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폴리아세탈 수지는
1. 수평균 분자량이 약 37,000인 폴리아세탈 A(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lmington, Delaware, USA("DuPont")에서 시판함),
2. 수평균 분자량이 약 30,000인 폴리아세탈 B(DuPont에서 시판함),
3. 수평균 분자량이 약 77,000인 폴리아세탈 C(DuPont에서 시판함), 및
4. 상표명 두라콘(Duracon)(등록상표) M25로 폴리플라스틱스(Polyplastics) (일본)에서 시판되는 폴리아세탈 D이다.
실시예에 사용된 첨가제는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THAM은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이고, EPA는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이고, AEPD는 2-아미노-2-에틸-프로판디올이고, AMP는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이다.
제조
폴리아세탈 수지를 압출기에서 첨가제와 혼합하고, 생성된 수지를 펠렛화하고, 몇몇 경우에 성형 부품으로 형성하였다. 시료를 열안정성 시험 및 다양한 냄새 시험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는 어떠한 냄새 감소 첨가제도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 유사한 폴리아세탈을 가공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에 기재하였고, 이는 본 발명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실시예가 수지의 용융 안정성에 심하게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수지의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제1 세트의 실험에서, 폴리아세탈 B를 사용하고, 냄새 시험 1(300 ml PE 병중의 펠렛) 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시험을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중량% 첨가제 첨가제 TEF ppm CHCHOppm 초기 ppm CHCHO50℃/1시간 ppm CHCHO80℃/1시간
비교 1-1 - 없음 0.15 19.5 84 >85
1-2 0.05 EPA 0.13 6.8 30.9 75.4
1-3 0.2 EPA 0.12 0.5 3.3 13.8
1-4 0.5 EPA 0.13 0.3 1.3 7.3
1-5 0.2 THAM 0.23 0.5 1.6 3.0
다음 세트의 실험에서, 폴리아세탈 A를 사용하고, 냄새 시험 2 (22.7 kg(50 lb) PE 밀봉된 가방)뿐만 아니라 열안정성 시험을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중량% 첨가제 첨가제 TEF ppm CHCHO19℃/3일 ppm CHCHO23℃/7일 ppm CHCHO24℃/23일
비교 2-1 0.0 없음 0.47 34.4 56.0 44.8
2-2 0.2 THAM 0.83 0.3 0.4 0.4
2-3 0.2 테오필린 2.59 2.9 0.7 1.5
2-4 0.2 숙신이미드 1.12 0.9 1.1 1.2
2-5 0.2 안트라닐아미드 1.33 0.3 0.3 0.5
2-6 0.2 글리신 무수물 - 7.6 12.0 15.1
2-7 0.2 안트라닐산 2.37 0.3 1.2 2.0
2-8 0.2 4-아미노 벤조산 - 1.6 5 13.1
2-9 0.2 우라실 0.92 1.7 3.2 6.1
2-10 0.2 바르비투르산 - 0.3 0.5 0.5
제3 세트의 실험에서, 폴리아세탈 C 및 D를 사용하고, 냄새 시험 1(300 mlPE 병중의 펠렛)을 통해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폴리아세탈 수지 중량% 첨가제 첨가제 ppm CH2O23℃/1시간 ppm CH2O50℃/1시간 ppm CH2O80℃/1시간
비교 3-1 C - 없음 12.7 70.8 >86
3-2 C 0.05 THAM 0.4 1.7 1.0
3-3 C 0.05 AMP 1.2 12.2 63.8
3-4 C 0.05 AEPD 0.4 2.0 2.8
3-5 D 0.05 THAM 0.1 1.9 2.0
하기 표 4에서, 폴리아세탈 A를 사용하고, 냄새 시험 2(22.7 kg(50 lb) 밀봉된 가방) 및 3(인장 막대 시료)를 통해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측정하였다. 몇몇 실시예에서, 5,5-디메틸히단토인(DMH)과 같은 활성 이미노를 갖는 산성 유기 시클릭 화합물을 본 발명의 첨가제에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냄새 감소 첨가제와 약산성 이미노의 조합은 포름알데히드 냄새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상승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중량% 첨가제 첨가제 TEF ppm CH2O3일 ppm CH2O7일 ppm CH2O21일 ppm CH2O인장 막대1일
비교 4-1 - 없음 0.69 34.4 95.6 80 383.2
4-2 0.05 DMH 0.63 5.1 5.3 3.8 147
4-3 0.1 DMH 0.56 5.2 3.3 3 25.6
4-4 0.2 DMH 0.64 2.6 1.8 1.8 16
4-5 0.2 THAM - - 0.4 0.4 16
4-6 0.1 50%THAM/50%DMH 0.85 0.3 0.3 0.4 12.6
4-7 0.2 50%THAM/50%DMH 0.73 0.3 0.3 0.3 7.1
또다른 세트의 실시예에서, 폴리아세탈 B를 사용하고, 냄새 시험 1(PE 병중의 펠렛)을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중량% 첨가제 첨가제 ppm CH2O23℃/1시간 ppm CH2O50℃/1시간 ppm CH2O80℃/1시간
비교 5-1 - 없음 19.5 84 >85
5-2 0.05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6.8 30.9 75.4
5-3 0.2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0.5 3.3 13.8
5-4 0.5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0.3 1.3 7.3
5-5 0.2 DMH 0.8 3.9 16.6
5-6 0.2 THAM 0.5 1.6 3.0
5-7 0.1 THAM 0.5 1.4 3.3
5-8 0.1 50%THAM/50%DMH 0.5 4.7 11.7
실시예를 폴리아세탈 B로부터의 성형 부품 30 g으로 반복하고, 포름알데히드 수준을 냄새 시험 4(300 ml PE 병중의 성형 부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본 발명의 냄새 감소 첨가제와 5,5-디메틸히단토인(DMH)와 같은 활성 이미노를 갖는 약산성 유기 시클릭 화합물의 조합의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중량% 첨가제 첨가제 ppm CH2O50℃/1시간 ppm CH2O80℃/1시간
비교 6-1 - 없음 53.8 >85
6-2 0.05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58.7 >85
6-3 0.2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45.2 60.9
6-4 0.5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35.7 32.4
6-5 0.2 DMH 30.6 42.9
6-6 0.2 THAM 67.1 >85
6-7 0.1 THAM 83 >85
6-8 0.1 50%THAM/50%5,5-DMH 10.4 38.1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조된 재료 및 수행된 과정은 넓은 본 발명의 단지 특정한 실시 양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8)

  1. a) 폴리아세탈 수지, 및
    b)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냄새 감소 첨가제 충분량
    을 포함하며, 실온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상기 냄새 감소 첨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제거된 유사한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약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이 약 4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세탈 수지가 아세탈 단독중합체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아세탈 수지가 아세탈 공중합체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저분자량의 아미노 화합물이 2-아미노-2-에틸-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수용성 저분자량의 아미노 화합물이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냄새 감소 첨가제가 약 0.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저분자량의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이 Tbp> Tm-60℃(여기서, Tbp는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이고 Tm은 폴리아세탈 기재 수지의 융점임)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유기 시클릭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유기 시클릭 화합물은 조성물의 실온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상기 냄새 감소 첨가제 및 상기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유기 시클릭 화합물이 제거된 유사한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약 50% 미만이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식중, R1, R2및 R3은 2가 유기 라디칼을 나타낸다.
  10.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 충격 개질제, 강화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윤활제, 충전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12. 폴리아세탈 수지와 (i)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2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휘발성이 낮은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 (ii) 숙신이미드, (iii) 안트라닐산, (iv) 4-아미노 벤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냄새 감소 첨가제 충분량을 블렌딩하는 단계, 및 상기 냄새 감소 첨가제가 제거된 유사한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약 50% 미만의 감소된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하는 블렌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세탈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 부품으로부터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아미노기 및 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수용성 저분자량의 1급 또는 2급 아미노 화합물이 약 4 내지 8 Pkb의 약염기성을 갖는,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를 사출 성형, 취입 성형, 압출 또는 공압출 성형, 압축 성형, 회전 성형, 용융 방사, 열 성형 또는 진공 형성에 의해 성형 부품으로 성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수용성 저분자량의 아미노 화합물이 2-아미노-2-에틸-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틸 p-아미노벤조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수용성 저분자량의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이 Tbp> Tm-60℃(여기서, Tbp는 아미노 화합물의 비점이고 Tm은 폴리아세탈 기재 수지의 융점임)인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냄새 감소 첨가제가 약 0.0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 수지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지는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1종 이상의 유기 시클릭 화합물 충분량을 블렌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유기 시클릭 화합물은 조성물의 실온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상기 냄새 감소 첨가제 및 상기 활성 이미노기를 갖는 유기 시클릭 화합물이 제거된 유사한 폴리아세탈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약 50% 미만이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감소 방법.
    식중, R1, R2및 R3은 2가 유기 라디칼을 나타낸다.
KR1020017012758A 1999-04-07 2000-04-05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KR100668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743299A 1999-04-07 1999-04-07
US09/287,432 1999-04-07
PCT/US2000/008951 WO2000059993A1 (en) 1999-04-07 2000-04-05 Polyacetal resins with reduced formaldehyde od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405A true KR20010112405A (ko) 2001-12-20
KR100668578B1 KR100668578B1 (ko) 2007-01-17

Family

ID=2310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758A KR100668578B1 (ko) 1999-04-07 2000-04-05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20019469A1 (ko)
EP (1) EP1171519B1 (ko)
JP (2) JP2002541288A (ko)
KR (1) KR100668578B1 (ko)
CN (1) CN1196736C (ko)
CA (1) CA2364654A1 (ko)
DE (1) DE60008232T2 (ko)
HK (1) HK1046011B (ko)
MY (1) MY124367A (ko)
WO (1) WO2000059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4757A1 (en) * 2003-09-10 2005-03-10 Pearson Jason Clay Method for reducing the acetaldehyde level in polyesters
JP5317312B2 (ja) 2003-10-24 2013-10-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WO2005059030A1 (de) 2003-12-18 2005-06-30 Ticona Gmbh Polyoxymethylen 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JP4676167B2 (ja) * 2004-05-26 2011-04-27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07069198A (ja) * 2005-08-10 2007-03-22 Japan Vilene Co Ltd ガス除去用濾材、複合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5334364B2 (ja) * 2006-09-29 2013-11-06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ガス除去用濾材、複合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5172165B2 (ja) * 2007-02-13 2013-03-27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ガス除去用濾材、複合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WO2008115458A1 (en) * 2007-03-20 2008-09-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CN105056720B (zh) * 2015-07-31 2018-07-13 安徽科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消除室内甲醛的复合催化材料的制备方法
US11015031B2 (en) * 2017-06-16 2021-05-25 Celanese Sales Germany Gmbh Reinforced polyoxymethylene composition with low emissions
KR20200055746A (ko) * 2017-09-29 2020-05-2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알데히드 저감에 유용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JP7109962B2 (ja) * 2018-03-30 2022-08-0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2019218443A (ja) * 2018-06-19 2019-12-26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CN113980615A (zh) * 2021-12-28 2022-01-28 中山市森林家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三聚氰胺胶层的功能性组合物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6252A (en) * 1962-07-31 1965-06-23 Asahi Chemical Ind A process for stabilising polyoxymethylene
GB1032874A (en) * 1964-02-13 1966-06-15 Du Pont Stabilized polyoxymethylenes
CA1276556C (en) * 1985-07-08 1990-11-20 Kenneth J. Himmelstein Organic acid as catalysts for the erosion of polymers
GB9411800D0 (en) * 1994-06-13 1994-08-03 Sandoz Ltd Organic compounds
JP3310467B2 (ja) * 1994-08-01 2002-08-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用成形品及びこれに用いる樹脂組成物
JPH08208946A (ja) * 1995-02-03 1996-08-13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加工性が改善された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
JP3504038B2 (ja) * 1995-07-17 2004-03-08 株式会社資生堂 皮膚乳化化粧料
JP3894597B2 (ja) * 1996-09-04 2007-03-22 石原産業株式会社 超微粒子酸化チタ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95922B2 (ja) * 1996-12-27 2005-09-14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セタ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L336596A1 (en) * 1997-04-30 2000-07-03 Guilford Pharm Inc Biodegradable compositions with polycycloaliphatic phosphoesters, products containing them and methods of us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59993A1 (en) 2000-10-12
HK1046011A1 (en) 2002-12-20
JP2002541288A (ja) 2002-12-03
EP1171519A1 (en) 2002-01-16
DE60008232T2 (de) 2005-01-13
KR100668578B1 (ko) 2007-01-17
DE60008232D1 (de) 2004-03-18
CN1346381A (zh) 2002-04-24
JP2010209355A (ja) 2010-09-24
CN1196736C (zh) 2005-04-13
MY124367A (en) 2006-06-30
CA2364654A1 (en) 2000-10-12
HK1046011B (zh) 2005-12-02
EP1171519B1 (en) 2004-02-11
US20020019469A1 (en)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578B1 (ko) 포름알데히드 냄새가 감소된 폴리아세탈 수지
US4766168A (en) Stabilized polyacetal compositions
EP0245962B1 (en) Stabilized polyacetal compositions
US20110086952A1 (en) Polyacetal resin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acid resistance
US5128405A (en) Polyoxymeth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 polymer having pendant --NH2 functional groups
CA2742375C (en) Methods of making thermally resistant mineral-filled polyacetal compositions
CA2012416C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with high cold impact strength
EP0675921B1 (en) Polyacetal resin composition
GB2205841A (en) Acetal resin compositions
US20050131124A1 (en) High temperature diesel-resistant polyacetal molded articles
US20050009948A1 (en) Polyacetal resins with reduced formaldehyde odor
EP0268392A2 (en) Stabilized oxym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JP2769287B2 (ja) モ−ルドデポジットの改良された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の成形方法
JPH04239049A (ja) アセタール単独重合体組成物
JPH0616900A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3086265B2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H0517662A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H04331258A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JPS6351448A (ja) 安定化された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H04331259A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