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237A -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237A
KR20010112237A KR1020017008710A KR20017008710A KR20010112237A KR 20010112237 A KR20010112237 A KR 20010112237A KR 1020017008710 A KR1020017008710 A KR 1020017008710A KR 20017008710 A KR20017008710 A KR 20017008710A KR 20010112237 A KR20010112237 A KR 20010112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joint
windshield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521B1 (ko
Inventor
로이취볼프강
보스티노
오스트로브스키볼프강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11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60S1/0455Device for lifting the wipers off the screen in its parking position or at extremes of w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13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holding the arm off the glas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working position and the fully folded bac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10)을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 부품(12)은 베어링 하우징(38) 내에 수용되어 폴딩 조인트(46)에 의해서 와이퍼 로드(16)를 구비한 조인트 부품(14)과 연결되는 구동축(34)에 안착된다. 또한, 일단부에서 고정 부품(12)에 안착되고 타단부에서 조인트 부품(14)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50)이 폴딩 조인트(46)를 예비 인장 상태로 유지한다. 정지 위치에서, 조절 장치는 진동 레버(24)의 일단부에 의해서 조인트 부품(14)을 차량의 창유리 표면(22)으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린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진동 레버(24)는 고정 부품(12)에 배치된 폴딩 조인트(46) 내에 수용된다. 차량에 고정된 램프(26)는 진동 레버(24)의 타단부(28)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공지된 창유리용 와이퍼는 고정 부품과 이 고정 부품에 폴딩 조인트(folding joint)를 거쳐서 안착되며 와이퍼 로드를 구비한 조인트 부품이 설치된 와이퍼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품은 베어링 하우징(bearing housing) 내에 지지되어 와이퍼 아암을 차량의 창유리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구동축에 안착된다. 또한, 와이퍼 로드의 자유 단부에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안착된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보통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유지 시스템(support system)을 포함하는데, 이 유지 시스템은 중간 브래킷과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크로우(craw)에 의해서 헤드 스트립(head strip)에 배치된 와이퍼 스트립을 유지하는 메인 브래킷을 구비한다. 복수의 부품들로 구성된 상기 유지 시스템과 헤드 스트립에 삽입된 니들 스프링 슬라이드(needle spring slide)는 와이핑시 와이퍼 스트립을 통하여 만곡된 차량의 창유리에 균일한 밀착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장 스프링이 폴딩 조인트(folding joint)를 예비 인장 상태로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창유리용 와이퍼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 DE 37 44 237 A1 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간단한 실시예로서, 메인 브래킷, 중간 브래킷 및 크로우 브래킷이라 불리는 부품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중간 브래킷 자체를 와이퍼 스트립을 고정하는 크로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DE-AS 16 80 194 호에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서는 스프링 하중식 태핏으로 형성되며 와이퍼 아암이 중지할 때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들어올리는 스트로크 장치(stroke device)에 의해서 와이퍼 아암이 다시 작동할 때에도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태핏은 제어 가능한 전자석이 여기되면서 전환되어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창유리에 안착시킨다. 그렇지만, 상기 태핏의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에 태핏은 지금까지 진행된 위치에 머무르게 되며, 이 위치에서 상기 태핏은 와이퍼 아암의 운동 영역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창유리용 와이퍼는 손상될 수 있다.
독일특허 제 DE 42 07 965 C1 호에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와이퍼의 와이퍼 아암은 스트로크 장치에 의해서 정지 위치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도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상기 스트로크 장치는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스치고 지나가는 영역의 외부에 지지된 스트로크 아암을 포함하며, 또한 스트로크 장치가 작동할 때 이 스트로크 장치는 와이퍼 아암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창유리용 와이퍼의 와이핑 위치와 스트로크 아암의 상승 위치가 일치하는 스트로크 높이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스트로크 장치가 고장나는 경우에 와이퍼 아암의 운동이 스트로크 아암과 충돌하여 와이퍼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독일특허 제 DE 32 28 087 A1 호에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공지된 와이퍼 장치에서는 태핏의 축방향 스트로크를 통하여 와이퍼 아암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태핏은 와이퍼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두 개의 아암 형태의 레버와 맞물린다. 이로 인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는 창유리용 와이퍼의 정지 위치에서 가압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와이퍼 립은 변형 상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독일특허 제 DE 40 28 494 A1 호에는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와이퍼에서는 운동 전환시 발생하는 소음 방지를 위하여 와이퍼 아암의 밀착력이 감소된다. 이를 위하여, 폴딩 조인트의 조인트 볼트에는 인장 스프링을 걸기 위한 걸림 장치가 레버 아암의 일단부에 지지되고 다른 레버 아암의 일단부에서 베어링 하우징에 설치된 램프(ramp) 위를 진행하는 롤러를 갖는 진동 레버가 지지된다. 상기 걸림 장치는 창유리용 와이퍼의 전환 위치에서 와이퍼 아암의 밀착력이 감소되는 형태로 램프와 진동 레버에 의해서 와이퍼 아암의 회전 위치에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창유리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창유리용 와이퍼를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창유리용 와이퍼를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와이퍼 지지대의 영역에서 창유리용 와이퍼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와이퍼 아암 12: 고정 부품
14: 조인트 부품 16: 와이퍼 로드
18: 와이퍼 블레이드 20: 와이퍼 스트립
22: 창유리 24: 진동 레버
26: 램프 28, 30: 단부
32: 롤러 34: 구동축
36: 크랭크 38: 베어링 하우징
40: 베어링 부시 42: 클램핑 척
44: 나사 46: 폴딩 조인트
48: 힌지축 50: 인장 스프링
52: C-브래킷 54, 56: 걸림 장치
58: 상승 높이
본 발명에 따라서, 진동 레버가 고정 부품에 배치되며 차량에 고정된 램프는 상기 진동 레버의 일단부를 제어한다. 이로써, 간단한 구동 안정 수단을 이용하여 정지 위치에서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를 확실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립은 창유리용 와이퍼가 정지할 때 완전히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와이핑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와이퍼 립의 변형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립은 혹한에서 차량의 창유리에 얼어붙지않으며 폭풍에서도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램프 자체는 세척 장치의 일부분을 이루며 주로 창유리용 와이퍼의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되는 간단한 부품이다.
상기 진동 레버는 고정 부품에 지지될 수 있지만, 간단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딩 조인트의 힌지축에 지지된다. 램프와 진동 레버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램프에 지지되는 진동 레버의 일단부에는 롤러가 제공된다.
상기 와이퍼 아암은 이 와이퍼 아암이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반드시 들어올려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창유리용 윈도우가 정지할 때에만 들어올려져야 하기 때문에, 창유리용 와이퍼가 중지할 때에 도달하는 완전 정지 위치에 있는 와이퍼 장치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에, 램프는 와이퍼 장치에 따라서 전체 와이핑 영역 중 창유리용 와이퍼가 중지될 때에 해당하는 완전 정지 위치에서 진동 레버가 조인트 부품과 함께 와이퍼 블레이드를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들어올리는 형태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정지 위치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에는 차량의 엔진 보닛과 윈드실드 윈도우 사이에서, 소위 보닛 틈새(bonnet clearance)가 존재한다. 상기 보닛 틈새는 여러 가지 차량 형태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창유리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가 들어올려지는 상승 높이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와 같이 상승 높이의 조절은, 예를 들면 진동 레버의 양 단부들을 굽히거나 다른 조절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단부들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하의 도면을 통하여 다른 장점들을 설명하며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기술한다. 도면, 실시예 및 청구항들은 복수의 특징들을 조합된 형태로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로서는 상기 특징들을 발명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고려하거나 의미있는 다른 조합된 형태로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용 와이퍼는 고정 부품(12)과 이 고정 부품에 폴딩 조인트(46)를 거쳐서 안착된 조인트 부품(1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와이퍼 로드(16)를 구비한 와이퍼 아암(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 로드(16)에는 와이퍼 블레이드(18)가 안착되며, 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20)은 차량의 창유리(22)를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한 밀착력 하에서 차량의 창유리(22)에 압착된다.
상기 밀착력은 인장 스프링(50)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한편으로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부는 조인트 부품(14)의 걸림 장치(56)에 걸리며 다른 한편으로 타단부는 C-브래킷(52)에 의해서 고정 부품(12)의 걸림 장치(54)에 걸리기 때문에 폴딩 조인트(46)를 예비 인장 상태로 유지한다.
베어링 하우징(38) 내에서 베어링 부시(40: bearing bush)에 의해 이 베어링 부시의 단부들에 지지되는 구동축(34)은 이 구동축의 일단부에서 크랭크(36)에 의해 구동되며 타단부에서 나사(44)에 의해 클램핑 척(42: clamping chuck)에 고정되는 고정 부품(12)을 구동한다.
상기 폴딩 조인트(46)의 힌지축(48)에는 진동 레버(24: oscillating lever)가 지지되는데, 이 진동 레버의 일단부(30)는 조인트 부품(14)의 내측면에 접하고타단부(28)는 램프(26: ramp) 위를 진행하는 롤러(32)를 지지한다. 상기 램프(26)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베어링 하우징(38)과 견고하게 결합한다. 또한, 램프를 베어링 하우징(38)과 일체의 구성 부품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램프(26)는 와이퍼 아암(10)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진동 레버(24)의 일단부가 조인트 부품(14)을 들어올리는 형태로 진동 레버(24)의 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의 창유리(22)로부터 들어올려지는 상승 높이(58)는, 한편으로 와이퍼 블레이드(18)가 차량의 창유리(22)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떨어질 수 있는 거리를 갖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접한 차량 부품, 예를 들어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엔진 보닛과 충돌하지 않는 거리를 갖도록 선택된다. 창유리 와이퍼를 중지시킬 때에 해당하는 완전 정지 위치에 와이퍼가 유지되어 있을 때, 이 완전 정지 위치에서 램프(26)는 진동 레버(24)를 통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8)를 들어올리도록 설치된다.

Claims (7)

  1. 와이퍼 아암(10)을 구비하며, 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 부품(12)은 베어링 하우징(38) 내에 수용되어 폴딩 조인트(46)에 의해서 와이퍼 로드(16)를 구비한 조인트 부품(14)과 연결되는 구동축(34)에 안착되며, 일단부에서 고정 부품(12)에 안착되고 타단부에서 조인트 부품(14)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인장 스프링(50)이 폴딩 조인트(46)를 예비 인장 상태로 유지하며, 정지 위치에서 진동 레버(24)의 일단부에 의해서 조인트 부품(14)을 차량의 창유리 표면(22)으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리는 조절 장치를 구비한 창유리용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진동 레버(24)는 고정 부품(12)에 배치된 폴딩 조인트(46) 내에 수용되며, 진동 레버(24)의 타단부(28)는 차량에 고정된 램프(26)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조인트(46)의 힌지축(48)은 진동 레버(24)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26)는 세척 장치의 구성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26)는 베어링 하우징(38)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26)의 진행 경로는 전체 와이핑 영역 중 창유리용 와이퍼가 중지될 때에 해당하는 완전 정지 위치에서 진동 레버(24)가 조인트 부품(14)과 함께 와이퍼 블레이드(18)를 차량의 창유리(22)로부터 들어올리는 형태로 와이퍼 장치의 완전 정지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8)가 차량의 창유리(22)로부터 들어올려지는 상승 높이(58)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8)의 상승 높이는 진동 레버(24)의 단부(28, 30)들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용 와이퍼.
KR1020017008710A 1999-11-11 2000-11-08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17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4147.7 1999-11-11
DE19954147A DE19954147A1 (de) 1999-11-11 1999-11-11 Scheibenwis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237A true KR20010112237A (ko) 2001-12-20
KR100717521B1 KR100717521B1 (ko) 2007-05-14

Family

ID=792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710A KR100717521B1 (ko) 1999-11-11 2000-11-08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81799B1 (ko)
EP (1) EP1177120B1 (ko)
JP (1) JP2003513853A (ko)
KR (1) KR100717521B1 (ko)
CN (1) CN1165439C (ko)
BR (1) BR0007826A (ko)
CZ (1) CZ296941B6 (ko)
DE (2) DE19954147A1 (ko)
WO (1) WO2001034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515B1 (fr) * 2002-06-28 2004-09-10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comportant un agencement de limitation du decollement"
US7703169B2 (en) * 2005-05-23 2010-04-27 Ertan Cakmak Snow removal and deicing device for windshield wiper
CN101075794A (zh) * 2006-05-19 2007-11-21 王存义 八能优效风光发电机
US20080155777A1 (en) * 2006-12-31 2008-07-03 Honda R&D Americas, Inc. Windshield wiper with adjustable bearing force
DE102008047694A1 (de) * 2008-09-18 2010-03-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cheibenwisch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heckscheibe
KR101222856B1 (ko) 2010-11-11 2013-01-16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가이드 클립 및 요크 일체형 플랫 블레이드 와이퍼 조립체
DE102011089928A1 (de) * 2011-12-27 2013-06-27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US8941344B2 (en) 2012-12-19 2015-01-27 Chrysler Group Llc Vehicle wiper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13222994A1 (de) * 2013-11-12 2015-05-28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US9988018B2 (en) * 2014-07-23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wiper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performance in winter weather conditions
US9944300B2 (en) * 2015-12-28 2018-04-17 Kawasaki Iukogyo Kabushiki Kaisha Railcar with end cap
CN109774658A (zh) * 2019-03-20 2019-05-21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雨刮器的刮刷角度调节装置
CN113245247B (zh) * 2020-02-13 2022-08-30 鹏城实验室 一种窗口清洁装置、方法和水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864C (de) * 1941-02-21 1953-06-25 Union Sils Van De Loo & Co Scheibenwischer
GB826115A (en) * 1958-05-27 1959-12-23 Rov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dscreen wipers
US3026555A (en) * 1959-05-23 1962-03-27 Dudley Walter Windscreen wipers
US3224026A (en) * 1964-02-14 1965-12-21 Trzebinski Marian Windscreen wipers of motor vehicles
DE1680194C3 (de) 1967-03-31 1975-12-11 Nippondenso Co., Ltd., Kariya, Aichi (Japan) Wischanlage für Scheiben von Fahrzeugen
DE3228087A1 (de) 1982-07-28 1984-02-02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nlage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3744237A1 (de) 1987-12-24 1989-07-06 Swf Auto Electric Gmbh Scheibenwischer und fuehrungselement fuer einen scheibenwischer
JP2536106Y2 (ja) * 1989-03-10 1997-05-21 自動車電機工業 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2758453B2 (ja) 1989-09-08 1998-05-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アーム圧可変ワイパ装置
JPH0361462U (ko) * 1989-10-20 1991-06-17
JPH0485150A (ja) * 1990-07-26 1992-03-18 Yasuhiro Soma 浮上機構付車輌用ワイパー
JP2823686B2 (ja) * 1990-11-30 1998-11-11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
DE4202965C1 (en) 1992-02-01 1993-01-28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Windscreen wiper blade for vehicle - is lifted off screen in park position by lifting arm carried clear of area swept by blade
FR2687968B1 (fr) 1992-02-28 1994-04-15 Journee Sa Paul Dispositif d'essuie-glace.
JPH0627388U (ja) * 1992-09-08 1994-04-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
DE4235395C2 (de) * 1992-10-21 1995-01-05 Daimler Benz Ag Scheibenwischanlage für Kraftfahrzeuge
FR2750662B1 (fr) 1996-07-03 1998-10-09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758029B1 (fr) * 1996-12-30 1999-01-29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 de compensation de la dispersion de polarisation dans un systeme de transmission op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7120B1 (de) 2005-12-21
US6381799B1 (en) 2002-05-07
CZ296941B6 (cs) 2006-07-12
CZ20012473A3 (cs) 2002-02-13
CN1336881A (zh) 2002-02-20
WO2001034441A8 (de) 2001-11-29
DE50011911D1 (de) 2006-01-26
KR100717521B1 (ko) 2007-05-14
CN1165439C (zh) 2004-09-08
WO2001034441A1 (de) 2001-05-17
DE19954147A1 (de) 2001-05-31
JP2003513853A (ja) 2003-04-15
BR0007826A (pt) 2001-11-06
EP1177120A1 (de)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2237A (ko) 와이퍼 블레이드
US6820303B2 (en) Wiper arm with a pivoting connected wiper blade
US7203990B2 (en) Wiper blade
US6415473B1 (en) Windshield wiper
RU2271287C2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US20040068823A1 (en) Wiper arm for a windscreen wiper
US20090126140A1 (en) Wiper blade
CN1914071B (zh) 用于汽车的刮水装置
US20050251946A1 (en) Wiper blade
US20070124887A1 (en) Breakaway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a wiper system
JP2003534973A (ja) 窓ガラス、殊に自動車の窓ガラスの清掃のための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4517780A (ja) 特に自動車のウインドウ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装置
KR0162883B1 (ko) 자동차 윈도우 와이핑 장치
JP3228713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100595350B1 (ko) 와이퍼 아암
JPS62221954A (ja) 車両用ワイパ−
KR101355500B1 (ko) 바람막이 유리 와이퍼
US20020178526A1 (en) Windscreen wiper drive
US6523217B1 (en) Wiper element for cleaning motor vehicle windows
KR100783579B1 (ko) 자동차의 싱글 와이퍼 개선 구조
ES2272321T3 (es) Accionamiento de una instalacion de parabrisas.
KR20020057794A (ko) 와이퍼 아암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KR20070043405A (ko) 소음 저감형 와이퍼
KR0115998Y1 (ko) 자동차의 와이퍼아암 스프링 구조
CN105383446B (zh) 带有夹紧装置的玻璃刮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