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885A -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100885A KR20010100885A KR1020010019185A KR20010019185A KR20010100885A KR 20010100885 A KR20010100885 A KR 20010100885A KR 1020010019185 A KR1020010019185 A KR 1020010019185A KR 20010019185 A KR20010019185 A KR 20010019185A KR 20010100885 A KR20010100885 A KR 200101008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wall
- wall portion
- receptacle
- plu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리셉터클형 및 플러그형 커넥터에 있어서, 소형의 연결구조를 실현시킬 수가 있으며, 연결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상대방의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콘택트의 보호가 충분하다.
플러그형 커넥터(2)의 콘택트유지벽(17) 및 홈 형상의 가이드벽(18)을 각각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23)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44)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한다.
각 커넥터(1, 2)의 하우징(24, 9)은 콘택트유지벽(31, 17)의 주위를 에워싸는 부분을 갖는다.
커넥터(2)의 측벽부에 형성한 소정 깊이의 세로 홈에, 커넥터(1)의 측벽부의 내면에 형성한 세로 리브를 끼워 결합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및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의 피 보수부분, 예를 들면 토너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착탈하는 경우에 착탈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토너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본체에 착탈 할 때에, 양자사이에서의 전원공급이나 신호전달에 공여되는 커넥터를 동시에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 토너카트리지를 가로방향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본체 내에 삽입/발취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너카트리지의 삽입/발취 방향과 커넥터의 삽입/발취 방향을 일치시킨 형이 일반적이다.
한편, 화상형성장치본체 내의 각 부품의 레이아웃 관계상, 토너카트리지를 화상형성장치본체 내에서 상하 시킬 때에, 양 커넥터가 삽입/발취 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토너카트리지의 측판에 플러그형 커넥터를 배치하는 이른바 사이드형과 함께 화상형성장치본체에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배치하게 된다.
그런데, 낡은 토너카트리지를 교환할 때에, 양 커넥터가 분리된다.
이 경우, 각 커넥터의 콘택트가 외부의 이물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하지 않도록, 콘택트를 보호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각 커넥터의 하우징의 기본형상으로서는, 콘택트 그룹의 주위를 에워싸는 박스형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양 커넥터의 하우징이 완전한 박스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 양 커넥터를 연결하려고 하면, 예를 들면 플러그형 커넥터를 측면시각으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토너카트리지의 측면으로부터 크게 돌출하게 된다. 그 결과, 토너카트리지가 대형으로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 커넥터의 하우징의 어느 한 쪽의 측벽을 폐지하거나, 혹은 일부의 측벽을 서로 다른 측벽으로부터 독립시켜 형성하거나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경우, 양 커넥터의 연결강도가 약화되어, 콘택트 사이의 전기적 도통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양 커넥터가 서로 분리되었을 때 보호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연결구조를 실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강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방의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콘택트의 보호가 충분한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그 쌍이 되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개략 하면도.
도 3은, 배면에서 본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요부 세로단면도.
도 5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요부 가로단면도.
도 6은, 화상형성장치본체 내에서 조립 결합된 상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의 세로단면도.
도 7은, 끼워 결합된 상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의 개략 가로단면도이며,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해서는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셉터클형 커넥터 2 : 플러그형 커넥터
3 : 화상형성장치본체 4 : 측판
5 : 토너카트리지 6 : 측판
7, 8 : 콘택트(contact) 17 : 콘택트유지벽
18 : 가이드벽 22 : 콘택트
23 : 주(主) 삽입/발취 오목부 24 : 하우징
28 : 전벽부(前壁部) 29 : 후벽부(後壁部)
30 : 측벽부(側壁部) 31 : 중벽부(中壁部)
32 : 세로 리브(rib) 44 : 부(副) 삽입/발취 오목부
61 : 전벽부 62 : 측벽부
63 : 하벽부 64 : 단부
65 : 개구(開口)테두리부 66 : 결합 홈(끼워서 결합되는)
67 : 테두리부 68 : 제 1의 부분
69 : 제 2의 부분 71,72,73 : 코너 부
74 : 측테두리 75 : 세로 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설치대상의 측면에 설치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설치대상과 함께 승강(昇降)됨에 따라, 플러그형 커넥터를 착탈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있어서, 전벽부, 후벽부, 좌우의 측벽부, 및 전후벽부에 평행으로 콘택트를 유지하는 중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좌우 측벽부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세로 리브(rib)의 코너부가 전벽부와 중벽부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 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 전벽부와 중벽부와 좌우의 세로 리브에 의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콘택트유지벽을 삽입/발취시키기 위한 주 삽입/발취 오목부가 구획되어 있으며, 후벽부와 중벽부와 좌우의 측벽부와 좌우의 세로 리브에 의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가이드벽을 삽입/발취시키는 홈 형상을 형성하는 부 삽입/발취 오목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특히, 세로 리브의 코너부를 전벽부와 중벽부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 끼리를 연결함으로서, 각 삽입오목부를 구획하는 구조를 컴팩트하고 또한 고강도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대방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콘택트유지벽 및 가이드벽을 각각 주 삽입/발취 오목부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 주 삽입/발취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는 세로 리브, 전벽부 및 중벽부로 구획되기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의 보호가 확실하다.
또한,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해서는, 좌우의 측벽에 상기 세로 리브와 끼워 결합하는 결합 홈을 형성하면 좋으며, 그 결과로서, 연결구조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벽부의 각 측테두리와, 이에 대향하는 측벽부의 내면과, 세로 리브에 의해, 세로 홈이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이 세로 홈에 플러그형 커넥터의 측벽의 일부를 도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결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조립결합되는 플러그형 커넥터로서, 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전벽부와 평행이며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콘택트유지벽, 및 콘택트유지벽을 끼고 전벽부와 대향하는 하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및하벽부의 단부에 의해, 콘택트유지벽의 주위를 에워싸는 개구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의 측벽에는,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에 평행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으며, 리셉터클형의 세로 리브를 삽입/발취시키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홈의 테두리부와 이에 대향하는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측벽부의 결합 홈을 끼고 대향하는 제 1 및 제 2의 부분 가운데 전벽부에 연속하는 제 1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의 조립 결합시에, 전벽부와 함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홈 형상을 형성하는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성에서는, 콘택트유지벽 및 가이드벽을 각각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 콘택트유지벽의 주위가 전벽, 하부벽 및 좌우의 측벽부로 에워싸이게 되기 때문에, 리셉터클형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의 보호가 확실하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에 결합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을 "L"자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연결구조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세로 홈에 삽입/발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좌우의 측벽의 일부를 상대방의 커넥터의 세로 홈에 끼워 결합시켜, 연결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리셉터클형 커넥터(1)와, 리셉터클 커넥터와 쌍을 이루는 플러그형 커넥터(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개략적인 하면도, 도 3은 배면측에서 본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세로 단면도, 도 5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가로단면도, 도 6은 연결상태의 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형 커넥터(1)는 화상형성장치본체(3)의 측판(4)에 고정되는 한편, 플러그형 커넥터(2)는 피 보수부품으로서의 토너카트리지(5)의 측판(6)을 따라서 고정되며, 양 커넥터(1, 2)는 토너카트리지(5)를 화상형성장치본체(3)에 착탈할 때에 착탈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형 커넥터(2)는, 복수의 앵글형상을 이루는 콘택트(7, 8)를 가로배열로 유지하는 플러그하우징(9)과, 이 플러그하우징(9)에 조립 결합되는 커버하우징(10)과, 양 하우징(9, 10)에 의해 유지되는 회로기판(11)을 구비하고 있다.
부호 12는 커버하우징(10)의 배면상부에 돌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설치용 훅(hook)이며, 부호 13은 커버하우징(10)의 하부에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걸림 결합부이다.
플러그형 커넥터(2)를 토너카트리지(5)의 측판(6)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 각결합부(13)를 측판(6)의 대응하는 결합오목부(14)에 삽입한 후, 각 설치용 훅(12)을 측판(6)의 대응하는 걸림부(15)에 걸림 결합시켜 설치한다.
플러그형 커넥터(2)의 플러그하우징(9)은, 전벽부(61)와, 좌우의 측벽부(62)와, 전벽부(61)에 평행이며 각 콘택트(7, 8)의 접촉부를 가로배열로 대응시키는 콘택트유지홈(16)에 유지하는 콘택트유지벽(17)과, 콘택트유지벽(17)을 끼고 전벽부(61)와 대향하는 하벽부(63)를 갖고 있다.
플러그하우징(9)의 하면에 있어서, 전벽부(61), 좌우의 측벽부(62) 및 하벽부(63)의 단부(64)에 의해, 콘택트유지벽(17)의 주위를 에워싸는 개구테두리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측벽부(62)에는, 개구테두리부(65)로부터 콘택트유지벽(17)의 측단 테두리에 평행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으며,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후술하는 세로 리브(32)를 삽입/발취시키는 결합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홈(66)의 테두리부(67)와 이에 대향하는 콘택트유지벽(17)의 측단 테두리(17a)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 측벽부(62)의 결합 홈(66)을 끼고 대향하는 제 1 및 제 2의 부분(68, 69) 가운데 전벽부(61)에 연속하는 제 1의 부분(68)은, 전벽부(61)와 함께 단면 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벽(18)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가이드벽(18)은, 리셉터클형 커넥터(1)와의 조립결합시에,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후술하는 부 삽입/발취 오목부(44)에 삽입/발취된다.
회로기판(11)은, 플러그하우징(9)의 배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로기판(11)의 이면(11b)에는, 예를 들면, IC칩(19)이 장착되며, IC칩(19) 및 콘택트(7, 8)의 리드단(20, 21)은, 회로기판(11)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1)의 표면(11a)의 회로에 땜납 처리되어 있다.
부호 70은, 플러그하우징(9)의 하벽부(63)에 형성되며, 회로기판(11)을 관통하여 표면(11a)에 걸림 결합하는 탄성 훅 이다.
회로기판(11)이 플러그형 커넥터(2)의 하우징(9)의 실질적인 후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형 커넥터(1)는, 플러그형 커넥터(2)의 콘택트유지벽(17)을 삽입/발취시키도록 상방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콘택트(22)를 가로배열로 유지하는 주 삽입/발취 오목부(23)를 갖는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하면에 형성되는 오목부(60)내에 돌출하는 콘택트(22)의 리드부(25)의 단부에, 리드선(26)의 단부가 일괄하여 접속하도록, 상기 오목부에 끼워 결합되기 위한 플러그(2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24)은, 전벽부(28)와, 화상형성장치본체(3)의 측판(4)에 대향하는 후벽부(29)와, 좌우의 측벽부(30)와, 전벽부(28)와 후벽부(29) 사이에 개재하여 양 벽부(28, 29)에 평행한 콘택트유지벽으로서의 중벽부(31)를 갖고 있다.
중벽부(31)의 양 측테두리와 전벽부(28)의 양 측테두리는, 대응하는 측벽부(30)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세로 리브(3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벽부(28), 중벽부(31) 및 한 쌍의 세로 리브(32)에 의해 상기한 주 삽입/발취 오목부(23)의 주위 사방이 구획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로 리브(32)의 코너부(71)는 전벽부(28) 및 중벽부(31)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72, 73)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전벽부(28)의 각 측테두리(74)와, 이에 대향하는 측벽부(30)의 내면과, 세로 리브(32)에 의해, 플러그형 커넥터(2)의 상기 제 2의 부분(69)을 삽입시켜 끼워 결합시키는 세로 홈(75)이 구획되어 있다.
또, 주 삽입/발취 오목부(23)의 바닥은 하우징(24)의 높이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중저벽부(33)(도 6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콘택트(22)는, 중저벽부(33)의 고정구멍(34)에 고정되는 홈 형상을 이루는 주체부(35)와, 파형을 이루는 탄성부재부(36)와, 하우징(24)의 하면의 오목부(60)내에 돌출하는 리드부(25)를 갖고 있다.
탄성부재부(36)는, 주 삽입/발취 오목부(23)내에 있어서, 중벽부(31)에 형성된 가로배열의 콘택트유지홈(37)에 각각 유지되며, 탄성부재부(36)의 파형의 정상부에 의해 상대방의 콘택트(7, 8)에 대한 접촉부(38)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벽부(28)와 중저벽부(33)의 접속부분에는, 전벽부(28)를 관통하여 외부로 개방되는, 토너배출용 관통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39)의 내저면(40)은 바깥쪽으로 어느 정도 내려간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주 삽입/발취 오목부(23)로부터 토너가 외부로 배출되기 쉽게 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부호 41은, 라이트닝 홀(lihgtning hole)이다.
또, 각 측벽부(30)에는 각각 상하 한 쌍의 스테이(stay)(42, 43)가 연설되어 있다.
양 커넥터(1, 2)가 조립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하면, 중벽부(31)와, 후벽부(29)와, 세로 리브(32)부착의 양 측벽부(30)로 구획되는 상태로, 단면이 홈 형상을 이루는 부 삽입/발취 오목부(44)가 구획되어 있다.
이 부 삽입/발취 오목부(44)는 플러그형 커넥터(2)의 가이드벽(18)을 삽입/발취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벽(18)용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44)의 하부는 복수의 리브(45, 46) 사이를 아래쪽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47)을 통해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리브(45)는 중벽부(31)와 후벽부(29)를 연결하고 있으며, 리브(46)는 측벽부(30)와 중벽부(31)를 연결하고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2)의 콘택트유지벽(17) 및 가이드벽(18)이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23) 및 부 삽입/발취 오목부(44)에 끼워져서, 플러그형 커넥터(2)의 콘택트(7, 8)와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콘택트(22)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관통구멍(39, 47)의 출구는, 양 커넥터(1, 2)의 결합부분을 피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 커넥터(1, 2)의 결합된 상태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2)의 콘택트유지벽(17) 및 홈 형상의 가이드벽(18)을 각각 리셉터클형 커넥터(1)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23)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44)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다.
또, 플러그형 커넥터(2)에 관해서는, 콘택트유지벽(17)의 주위가 전벽부(61), 하벽부(61) 및 좌우의 측벽부(62)에 의해 에워싸이기 때문에, 리셉터클형 커넥터(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7, 8)의 보호가 확실하다.
또한, 좌우의 측벽부(62)에 결합 홈(66)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9)을 측면시각으로 "L"자형으로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결구조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한편, 리셉터클형 커넥터(1)에 관해서는, 콘택트유지벽으로서의 중벽부(31)의 주위가 전벽부(28), 후벽부(29)와 좌우의 측벽부(30)에 의해 에워싸게 되기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22)의 보호가 확실하다.
더욱이, 전벽부(28)와 중벽부(31)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72, 73)끼리가, 측벽부(30)의 내면에 형성한 세로 리브(32)의 코너부(71, 71)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삽입 오목부(23, 44)를 구획하는 구조를 컴팩트하고 또한 고강도로 형성할 수가 있다.
특히, 플러그형 커넥터(2)가 토너카트리지 등과 함께 교환되어 버리는데 대하여, 화상형성장치본체에 배치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1)는 계속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고강도로 형성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플러그형 커넥터가 장착되는 토너카트리지는, 단체인 것도 좋으며, 또 토너카트리지와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예를 들면, 현상장치 등, 크리닝장치, 감광체드럼, 대전기(帶電器) 등]을 일체적으로 갖는 유닛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 플러그형 커넥터를 토너카트리지 이외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부품에 장착하여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을 가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특히, 세로 리브의 코너부를 전벽부와 중벽부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 끼리를 연결함으로서, 각 삽입오목부를 구획하는 구조를 컴팩트하고 또한 고강도로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대방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콘택트유지벽 및 가이드벽을 각각 주 삽입/발취 오목부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 주 삽입/발취 오목부가, 서로 연결되는 세로 리브, 전벽부 및 중벽부로 구획되기 때문에, 플러그형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의 보호가 확실하다.
또한,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해서는, 좌우의 측벽에 상기 세로 리브와 끼워 결합하는 결합 홈을 형성하면 좋으며, 그 결과로서, 연결구조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유지벽 및 가이드벽을 각각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 및 홈 형상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하여, 강고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한, 콘택트유지벽의 주위가 전벽, 하부벽 및 좌우의 측벽부로 에워싸이게 되기 때문에, 리셉터클형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의 콘택트의 보호가 확실하다.
또, 좌우의 측벽부에 결합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하우징을 "L"자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연결구조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6)
- 설치대상의 측면에 설치된 플러그형 커넥터가 설치대상과 함께 승강됨에 따라, 플러그형 커넥터를 착탈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있어서,전벽부, 후벽부, 좌우의 측벽부, 및 전후벽부에 평행으로 콘택트를 유지하는 중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좌우 측벽부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세로 리브의 코너부가 전벽부와 중벽부의 대응하는 측테두리의 코너부 끼리를 연결하고 있으며,전벽부와 중벽부와 좌우의 세로 리브에 의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콘택트유지벽을 삽입/발취시키기 위한 주 삽입/발취 오목부가 구획되고,후벽부와 중벽부와 좌우의 측벽부와 좌우의 세로 리브에 의해, 플러그형 커넥터의 가이드벽을 삽입/발취시키는 홈 형상을 이루는 부 삽입/발취 오목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벽부의 측테두리와, 상기 측테두리와 대향하는 좌우의 측벽부 중의 하나의 내면과, 세로 리브에 의해, 세로 홈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형 커넥터.
-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조립 결합되는 플러그형 커넥터로서,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전벽부와 평행이며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콘택트유지벽, 및 콘택트유지벽을 끼고 전벽부와 대향하는 하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및 하벽부의 단부에 의해, 콘택트유지벽의 주위를 에워싸는 개구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좌우의 측벽에는,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에 평행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고, 리셉터클형의 세로 리브를 삽입/발취시키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결합 홈의 테두리부와 결합 홈의 테두리부에 대향하는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좌우 측벽부의 결합 홈을 끼고 대향하는 제 2의 부분에 대향하는 제 1의 부분 중 전벽부에 연속하는 제 1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가 조합된 때, 전벽부와 함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벽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2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세로 홈에 삽입/발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상기 청구항 2에 기재한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조립 결합되는 플러그형 커넥터로서,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전벽부와 평행이며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주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콘택트유지벽, 및 콘택트유지벽을 끼고 전벽부와 대향하는 하벽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전벽부, 좌우의 측벽부 및 하벽부의 단부에 의해, 콘택트유지벽의 주위를 에워싸는 개구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좌우의 측벽에는,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에 평행으로 소정의 길이로 뻗고, 리셉터클형의 세로 리브를 삽입/발취시키는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결합 홈의 테두리부와 결합 홈의 테두리부에 대향하는 콘택트유지벽의 측단 테두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좌우 측벽부의 결합 홈을 끼고 대향하는 제 2의 부분에 대향하는 제 1의 부분 중 전벽부에 연속하는 제 1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가 조합된 때, 전벽부와 함께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부 삽입/발취 오목부에 삽입/발취되는 홈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벽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 2의 부분은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세로 홈에 삽입/발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12319 | 2000-04-13 | ||
JP2000112319A JP4381560B2 (ja) | 2000-04-13 | 2000-04-13 | リ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プラグ型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0885A true KR20010100885A (ko) | 2001-11-14 |
KR100372489B1 KR100372489B1 (ko) | 2003-02-15 |
Family
ID=1862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9185A KR100372489B1 (ko) | 2000-04-13 | 2001-04-11 |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328591B2 (ko) |
EP (1) | EP1146607B1 (ko) |
JP (1) | JP4381560B2 (ko) |
KR (1) | KR100372489B1 (ko) |
CN (1) | CN1172407C (ko) |
DE (1) | DE60119611T2 (ko) |
TW (1) | TW4932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360B1 (ko) | 2002-11-22 | 2006-06-22 |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 기판 내장형 압접 커넥터 |
US6793507B2 (en) * | 2002-12-13 | 2004-09-2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Cable connector riser |
JP4477423B2 (ja) * | 2004-06-08 | 2010-06-09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構造 |
DE202006003204U1 (de) * | 2006-03-01 | 2006-05-11 |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 Elektrischer Kontakt |
JP5050823B2 (ja) * | 2007-12-10 | 2012-10-1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9791634B2 (en) | 2008-09-30 | 2017-10-17 | Apple Inc. |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
US7841776B2 (en) | 2008-09-30 | 2010-11-30 | Apple Inc. |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
JP5966985B2 (ja) * | 2013-03-21 | 2016-08-1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コネクタ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78121A (en) * | 1983-06-17 | 1987-07-07 | Amp Incorporated | Multiplane connector system |
JPH0584045U (ja) * | 1992-04-18 | 1993-11-1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薄型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
US5267881A (en) * | 1992-09-24 | 1993-12-07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2910558B2 (ja) * | 1994-04-08 | 1999-06-23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H08180940A (ja) * | 1994-12-22 | 1996-07-12 | Amp Japan Ltd | 電気コネクタ |
JPH08250212A (ja) * | 1995-03-13 | 1996-09-27 | Sony Corp | 回路基板接続装置 |
JP3125850B2 (ja) * | 1995-08-09 | 2001-01-22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およびその成形装置並びに製造方法 |
JPH09213407A (ja) * | 1996-01-31 | 1997-08-15 | Canon Inc |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US5674085A (en) * | 1996-05-24 | 1997-10-07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 |
JP3311250B2 (ja) * | 1996-07-31 | 2002-08-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3498886B2 (ja) * | 1997-04-11 | 2004-02-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嵌合構造 |
JPH11242371A (ja) * | 1997-10-31 | 1999-09-07 | Canon Inc |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US6045389A (en) * | 1998-06-30 | 2000-04-04 | The Whitaker Corporation | Contact and connector for terminating a pair of individually insulated wires |
US6371793B1 (en) * | 1998-08-24 | 2002-04-16 | Panduit Corp. |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
-
2000
- 2000-04-13 JP JP2000112319A patent/JP438156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3-26 TW TW090107070A patent/TW49329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4-10 CN CNB01110385XA patent/CN117240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4-11 KR KR10-2001-0019185A patent/KR1003724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4-11 DE DE60119611T patent/DE6011961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4-11 EP EP01303375A patent/EP114660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4-12 US US09/832,891 patent/US632859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72489B1 (ko) | 2003-02-15 |
DE60119611T2 (de) | 2007-05-03 |
EP1146607A2 (en) | 2001-10-17 |
JP2001297817A (ja) | 2001-10-26 |
US20010031582A1 (en) | 2001-10-18 |
CN1172407C (zh) | 2004-10-20 |
DE60119611D1 (de) | 2006-06-22 |
CN1317849A (zh) | 2001-10-17 |
TW493299B (en) | 2002-07-01 |
JP4381560B2 (ja) | 2009-12-09 |
EP1146607A3 (en) | 2005-01-12 |
US6328591B2 (en) | 2001-12-11 |
EP1146607B1 (en) | 2006-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8708B1 (ko) | 리셉터클형 커넥터 | |
KR100467121B1 (ko) | 전기잭 | |
US5387135A (en) | Special purpose modular receptacle jack | |
JP5291205B2 (ja) | プリント回路基板用の垂直コネクタ | |
CN2562509Y (zh) | 小型可插拔光传接模组壳体 | |
US7682183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KR0183463B1 (ko) | 표면설치형 전기콘넥터 및 그를 위한 시일드 | |
KR100372489B1 (ko) | 리셉터클형 커넥터 및 플러그형 커넥터 | |
WO1998054789B1 (en) | Modular jack with filter insert | |
JP2005158630A (ja) | 電気コネクタ | |
CN108323138A (zh) | 收发器模组 | |
KR200332285Y1 (ko) | 전기접속구 | |
CN1255904C (zh) | 安装在印刷电路板上的屏蔽的电接插件 | |
CN207910154U (zh) | 一种防水rj板端连接器 | |
US20010004567A1 (en) | Modular connector | |
EP0148106A2 (en) | Diminutive electrical connector | |
CN213959244U (zh) | 电连接件模组 | |
KR20230024355A (ko)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
KR100386871B1 (ko) | 배면 커넥터 및 이를 배면에 조립하는 방법 | |
US20200203880A1 (en) | Connector assembly | |
CN220420970U (zh) | 一种连接器组件及电连接结构 | |
CN212626176U (zh) | 座子组件及插座 | |
KR102676250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
US20240332840A1 (en) | Wire connector | |
US11276968B2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