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355A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355A
KR20230024355A KR1020237000939A KR20237000939A KR20230024355A KR 20230024355 A KR20230024355 A KR 20230024355A KR 1020237000939 A KR1020237000939 A KR 1020237000939A KR 20237000939 A KR20237000939 A KR 20237000939A KR 20230024355 A KR20230024355 A KR 2023002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connector module
latching
side wa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도플러
실베스트레 키리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2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방에서 수용 공간(4)을 획정하는 2개의 측벽(3)을 갖는 유지 프레임(2), 및 수용 공간(4)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포함하고, 측벽(3)은 수용 공간(4)과 대향하는 내측면(6)에서 복수의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그의 외측면(8)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수용 공간(4)에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 안으로 끼워질 수 있고, 측벽(3)은 그의 외측면(10)에서 랫칭(latching) 구조(11)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수용 공간(4) 외부의 랫칭 구조(11)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12)를 가지며,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전기 기능 요소 또는 광학 기능 요소 또는 유체 기능 요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13)를 포함하고, 짝지어진 상태에서 추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기능 요소와의 기능적 접촉이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로서, EP 0 742 608은 그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개시한다. 이 경우, 전기 도체 요소가 배치되는 모듈 부품이 프레임에 연결된다. 그런 다음에 그 모듈 부품은 랫칭 러그(latching lug)에 의해 유지 프레임에 대해 고정된다. EP 0 742 608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점은, 예를 들어, 개별 모듈의 부정확한 위치이다.
베이스 요소에 체결되는 모듈을 갖는 추가 플러그 커넥터가 JP-H09-147960에 알려져 있다. 이는 랫칭 요소가 내부에 위치하여 접근성 측면에서 단점이 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더 쉽게 조립될 수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방에서 수용 공간을 획정하는 2개의 측벽을 갖는 유지 프레임, 및 수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포함한다. 측벽은 수용 공간과 대향하는 내측면에서 복수의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그의 외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수용 공간에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 안으로 끼워질 수 있다. 측벽은 그의 외측면에서 랫칭(latching) 구조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수용 공간 외부의 랫칭 구조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전기 기능 요소 또는 광학 기능 요소 또는 유체 기능 요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포함하고, 짝지어진 상태에서 추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기능 요소와의 기능적 접촉이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 공간 내부에 안내 요소를 배치하는 결과로, 그 안내 요소는 외부의 기계적 영향으로부터 잘 보호된다. 외측면에 랫칭 구조를 배치하는 것은, 랫칭 러그가 쉽게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고 또한 개별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비교적 쉽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러그 커넥터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플러그 커넥터가 본 발명에 따른 제 2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기능 요소는, 제 1 플러그 커넥터의 기능 요소와 제 2 플러그 커넥터의 기능 요소 사이에 기능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아래의 설명은 제 1 플러그 커넥터와 제 2 플러그 커넥터 모두에 적용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플러그 커넥터는 선형 플러그-인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능 요소"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핀 측 또는 매칭 소켓 측을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 핀 측은 제 1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있고 소켓 측은, 제 1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있다. 데이터 신호 또는 전기 에너지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기능 요소는 유체 기능 요소, 특히 공압 기능 요소일 수도 있다. 소켓측으로 설계된 플러그 커넥터 모듈 및 플러그측으로 설계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할당과 관련하여, 모든 소켓측을 하나의 유지 프레임에 할당하고 또한 모든 플러그측을 다른 유지 프레임에 할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소켓측과 플러그측을 하나의 유지 프레임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면에 있는 랫칭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측벽의 전체 길이에 걸쳐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홈이다. 이는, 유지 프레임에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될 모든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해 단일 랫칭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랫칭 러그는, 유지 프레임에 연결될 때, 바람직하게 유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특히 양호한 접근성을 얻을 수 있다.
각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대해 2개의 랫칭 러그가 제공되고, 한 랫칭 러그가 한 측벽의 랫칭 구조와 결합하고 다른 랫칭 러그는 다른 측벽의 랫칭 구조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양쪽에서 유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양호한 장착이 보장된다.
랫칭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폭을 갖는다. 그러나, 랫칭 러그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폭보다 넓지 않다. 이러한 설계의 결과로, 강성이 개선되고 따라서 외부 영향에 대한 견고성도 개선될 수 있다.
측벽의 외측면은, 바람직하게, 랫칭 러그가 놓이는 영역에서, 외측면의 외측 측방 표면으로부터 측벽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함몰 영역을 가지며, 이 함몰 영역과 랫칭 러그는, 랫칭 러그가 실질적으로 외측 측방 표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특히, 랫칭 러그가 외측 측방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설계된다. 랫칭 러그는 함몰 영역의 결과로 매립되며, 이로써, 한편으로는 컴팩트한 구조가 생성되고, 그리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랫칭 러그가 쉽게 해제될 수 없는 구조가 생성된다.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후방 끝면에서 제 1 위치 결정 요소를 가지며, 이 위치 결정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에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요소와 협력한다. 끝면에 위치 결정 요소를 배치하면,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추가 요소를 통해 안내된다는 추가 이점이 얻어진다.
제 1 위치 결정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캠이고 제 2 위치 결정 요소는 그 캠이 결합하는 수용부이다. 대안적으로, 제 2 위치 결정 요소는 캠이고 제 1 위치 결정 요소는 캠이 결합하는 수용부이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리지이고,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이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에 결합된다.
따라서 안내 홈과 안내 리지는 서로 상보적이도록 또는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안내 홈 및 안내 리지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2개의 측벽 중의 하나에 있는 안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배향을 위한 코딩이 실현될 수 있도록, 다른 측벽에 있는 안내 요소와 다르게 설계된다.
안내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수용 공간의 깊이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즉, 안내 요소는 측벽의 깊이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주 안내 영역과 삽입 영역을 가지며, 삽입 영역에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과 유지 프레임 사이의 유격은 주 안내 영역에서 보다 크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조립하기 위한 특히 유리한 구조가 확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측방 표면을 가지며, 이 측방 표면과 안내 요소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측방 표면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특히 잘 활용할 수 있다.
유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측벽을 연결하는 2개의 횡벽을 가지며, 측벽과 횡벽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설계된다.
유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으로 설계된다. 수용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입방체로 설계된다.
횡벽은,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서, 접지 접촉 요소가 유지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그 접지 접촉 요소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접지 접촉 요소는 접지 접촉부로서 역할하며, 그래서 제 2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접점 요소에 연결된다.
유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구조를 가지며, 플러그-인 이동 중에 2개의 유지 프레임이 그 안내 구조로 안내된다. 안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횡벽에 배치된다. 안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코딩 요소를 가지며, 그래서 부정확한 짝지움이 불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접촉측을 가지며, 다른 플러그와의 플러그-인 과정을 위해 기능 요소는 그 접촉측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결측을 가지며, 기능 요소는 그 연결측을 통해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호스와 같은 연결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먼저 그의 접촉측으로 수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두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수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랫칭 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연결측으로부터 돌출된다.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끝면과 후방 끝면을 가지며, 랫칭 러그는 후방 끝면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전방 끝면은, 추가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될 때, 그 추가 플러그 커넥터의 전방 끝면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은, 플러그-인 방향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 수용 공간 밖으로 돌출한다. 플러그 커넥터 모둘은, 바람직하게는, 측벽과 플러그 커넥터 모듈 사이에 중간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며, 연결될 플러그 커넥터의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그 중간 공간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 공간 밖으로 돌출하는 제 1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제 2 플러그 커넥터의 중간 공간 안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며,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의 추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b 는 앞 도면 중의 하나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2a에 따른 2개의 짝지어진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3에 따른 짝지어진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에 따른 짝지어진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4에 따른 짝지어진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추가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유지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의 사시도가 도 1 및 도 2a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서로 짝지어질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1) 중의 2개를 나타낸다.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는 유지 프레임(2) 및 유지 프레임(2)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상이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유지 프레임(2)에 장착되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유형은 다를 수 있다.
유지 프레임(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방에서 수용 공간(4)을 획정하는 2개의 측벽(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측벽(3)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2개의 측벽(3)을 서로 연결하는 횡벽(21)이 측벽(3)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측벽(3) 및 또한 여기서 횡벽(21)은 수용 공간(4)을 획정한다. 수용 공간(4)은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입방체로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수용 공간(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2)에 장착된다.
측벽(3)은 수용 공간(4)과 대향하는 내측면(6)에서 복수의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또한 그의 외측면(8)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를 갖는다. 2개의 안내 요소(7, 9)는, 조립 절차 동안에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안내하고 또한 조립 후에는 위치적으로 정확한 장착을 위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 안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수용 공간(4)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고 그 수용 공간(4) 안으로 밀려 들어간 후에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 안으로 끼워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위한 안내 요소(7, 9)는 플러그-인 이동(E) 동안에 수용 공간(4) 안으로 들어간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의 수는 실질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폭에 달려 있다.
측벽(3)은 그의 외측면(10)에서 랫칭 구조(11)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또한 수용 공간(4) 외부의 랫칭 구조(11)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12)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13)를 갖는다. 기능 요소(13)는 예를 들어 핀 측 또는 소켓 측으로 설계되는 전기 접촉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기능 요소는 공압 커플링과 같은 유체 기능 요소일 수도 있다. 기능적 접촉은 두 플러그 커넥터(1)의 짝지어진 상태에서 그 기능 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측벽(3)의 외측면(10) 상의 랫칭 구조(11)는 측벽(3)의 전체 길이(L)를 따라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홈(14)이다. 이 경우, 홈(14)은 측벽(3)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연속적으로, 즉 중단 없이 연장된다. 따라서 연속 홈(14)은, 랫칭 러그(12)가 횡방향 기계적 힘 없이 랫칭 구조(11)에 걸릴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안내 요소(7, 9)에 의해 측벽(3)의 길이 방향 측면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안내 및 위치 결정이 안내 요소(7, 9)에 의해 제공되는 한편,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홈(14)에 걸리는 랫칭 러그(12)에 의해 플러그-인 이동(E)의 방향으로 고정된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유지 프레임(2)에 연결될 때, 랫칭 러그(12)는 유지 프레임(2)의 외측면(10)에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홈(14)에 결합한다. 이 경우, 랫칭 러그(12)는 측벽(3)의 후방 끝면(18)을 감싸고, 그런 다음에, 홈(14)에 결합하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측벽(3)을 따라 수용 공간(4)에 대해 외부로 돌출한다. 다시 말해, 랫칭 러그(12)는 측벽(3)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U-형 공간(27)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 실제 랫칭 러그(12)는 이 U-형 공간(27)의 일측에 배치되고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다른 측에 배치된다.
각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랫칭 러그(12)가 제공되며, 한 랫칭 러그(12)는 한 측벽(3)의 랫칭 구조(11)와 결합하고 다른 랫칭 러그(12)는 다른 측벽(3)의 랫칭 구조(11)와 결합한다. 즉, 양 측벽(3)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각각의 랫칭 구조(11)와 연결된다. 수용 공간(4)에 대해 양쪽에서의 이러한 대칭적인 감싸기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유지 프레임(2)의 수용 공간(4)에 양호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랫칭 러그(12)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폭을 갖는다. 즉, 넓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서, 랫칭 러그(12)는 또한 비교적 좁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서보다 더 넓다. 그러나, 랫칭 러그(12)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보다 좁은 폭을 갖거나 복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능 요소(13)가 장착되는 수용 지점(28)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5)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용 지점(28)은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기능 요소(13)의 형상에 의존한다. 그러나, 수용 지점(28)은, 기능 요소(13)가 일반적으로 고정된 하지만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수용 지점(28)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측벽(3)의 외측면(8)은, 랫칭 러그(12)가 놓이게 되는 영역에서 함몰 영역(15)을 갖는다. 이 경우, 함몰 영역(15)은 외측면(8)의 외측 측방 표면(16)으로부터 측벽(3) 안으로 연장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함몰 영역(15)은 측벽(3)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함몰 영역(15) 및 랫칭 러그(12)는, 랫칭 러그(12)가 외측 측방 표면(16)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랫칭 러그(1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측 측방 표면(16)과 동일 면내에 있다. 홈(14)(함몰 영역(15)을 더욱 깊게 함)은 함몰 영역(15)에 배치된다.
측벽(3)은 또한 그의 후방 끝면(17)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결정 요소(18)를 갖는다. 이 경우, 이 제1 위치 결정 요소(18)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결정 요소(19)와 협력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제1 위치 결정 요소(18)는 캠이고 제2 위치 결정 요소(19)는 그 캠이 안으로 연장되는 수용부이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위치 결정 요소(18)는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에 대해 길이 방향(L)으로 오프셋되고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추가로 도움을 준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안내 리지로서 설계된다.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안내 홈으로서 설계된다. 이 경우, 안내 리지가 안내 홈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안내 홈에 결합한다. 이 경우, 모든 안내 요소(7, 9)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측벽(3) 중 하나에 있는 안내 요소(7)는 2개의 측벽(3) 중 다른 하나에 있는 안내 요소(7)와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래서 수용 공간(4)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배향에 대한 코딩이 제공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수용 공간(4)에 한 배향으로만 설치될 수 있다.
안내 홈들 사이의 그리드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5 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 범위, 특히 약 3.5 mm 이다. 이는 매우 미세하게 분리된 그리드 간격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데, 이는, 모듈이 더 미세하게 구조화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적인 효과를 갖는다.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수용 공간(4)의 깊이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다시 말해, 안내 요소(7)는 측벽(3)의 깊이(T)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측벽(3) 중의 하나에 있는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벽(3)의 깊이(T)의 일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반면, 다른 측벽(3)에 있는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전체 깊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또한 코딩 표면(36)을 가질 수 있다. 이 코딩 표면(36)은 도 2b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코딩 표면(36)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수용 공간(4) 안으로 부정확하게 밀려 들어가면, 코딩 표면(36)이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전체 깊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음)에 맞닿고 그래서 삽입될 수 없도록 배치된다. 정확한 위치는 도 5b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으며, 코딩 표면은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가 없는 영역에 위치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삽입 영역(25) 및 주 안내 영역(26)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삽입 영역(25)은 주 안내 영역(26) 앞에 배치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삽입 영역(25)은 경사면으로서 설계된다. 이 경우, 삽입 영역(25)에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5)과 유지 프레임(2) 사이의 유격은 주 안내 영역(26)에서보다 더 크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수용 공간(4)에 더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삽입 영역(25)을 갖지 않고, 대신에 주 안내 영역(26)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또한 삽입 영역(25)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측방 표면(20)을 갖는다. 이 경우, 측방 표면(20)과 안내 요소(7, 9) 사이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그의 측방 표면(20)에서 고정된 방식으로 거의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유지 프레임(2)에서 2개의 인접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5) 사이에 유격이 있다. 그 유격은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된다.
횡벽(21)은 외측면에서 수용부(22)를 갖는다. 접지 접촉 요소(23)가 이 수용부에 유지될 수 있다. 접지 접촉 요소(23)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접촉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짝지어진 플러그 커넥터(1)의 접지 접촉 요소(2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안내 구조(32)가 각 경우에 횡벽(21)에 배치된다. 안내 구조(32)는 2개의 플러그 커넥터(1)를 플러그-인 이동(S)을 따라 짝지어지도록 안내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구조(32)는 한 플러그 커넥터(1)에서 안내 러그(33)로서 설계될 수 있고 다른 플러그 커넥터(1)에서는 안내 개구(34)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러그(33)는 안내 개구(34)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안내 러그(33)와 안내 개구(34)는 바람직하게 코딩 요소를 갖는다. 이들 코딩 요소는 참조 번호 "37, 38"로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딩 요소(37)는 예컨대 홈(37)이고, 코딩 요소(38)는 예컨대 그 홈에 결합하는 스프링(38)이다. 도 3에 있는 점선은 상호 협력을 나타낸다.
위의 설명에 따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모든 플러그-인 지점은 서로 다른 피팅(fitting)을 갖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 의해 점유된다. 이 경우에,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접촉측(K)을 가지며, 이 접촉측을 통해 기능 요소(13)가 다른 플러그 커넥터와의 플러그-인 과정을 위해 접근 가능하다.
도 3에 따른 2개의 플러그 커넥터(1)는 플러그-인 이동(S)을 따라 서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모든 기능 요소(13)는 서로 연결된다. 그러면, 짝지어진 상태에서 2개의 플러그 커넥터(1)의 접촉측(K)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접촉측(K)의 반대편에서,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연결측(A)을 갖는다. 기능 요소(13)는 이 연결측(A)을 통해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호스와 같은 연결 요소(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플러그 연결 모듈(5)은 각 경우에 먼저 그의 접촉측(K)으로 수용 공간(4)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플러그-인 이동(S)의 방향으로 수용 공간(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의 랫칭 러그(12)도 따라서 연결측(A)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3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도 4에서 짝지어진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도에서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인 방향(S)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플러그 커넥터(1)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수용 공간(4) 밖으로 돌출한다. 대조적으로, 하부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측벽(3)과 플러그 커넥터 모듈(5) 사이에 중간 공간(29)을 갖는다. 이제, 도 5a 및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4) 밖으로 돌출하는 상부 플러그 커넥터(1)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일부분은 중간 공간(29) 안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구성은, 기능 요소가 핀-소켓 구성으로 설계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도 5a 및 도 5b에서, 상부 플러그 커넥터(1)의 기능 요소(13)는 핀 측 기능 요소(30)로서 설계되고 하부 플러그 커넥터(1)의 기능 요소(13)는 소켓 측 기능 요소(31)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4) 밖으로 돌출하는 핀측 기능 요소(13)의 영역은, 마찬가지로 수용 공간(4) 밖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영역(35)에 의해 기계적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인 절차 동안 터치 보호가 제공된다.
도 3 내지 5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가 도 6에 나타나 있다.
유지 프레임(2)의 추가 실시 형태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측벽(3)의 길이는 도 1 내지 6에 따른 실시 형태의 측벽(3)의 길이보다 작게 설계된다. 물론, 다른 길이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플러그 커넥터
2 유지 프레임
3 측벽
4 수용 공간
5 플러그 커넥터 모듈
6 내측면
7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
8 외측면
9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
10 외측면
11 랫칭 구조
12 랫칭 러그
13 기능 요소
14 홈
15 함몰 영역
16 외측 측방 표면
17 후방 끝면
18 제 1 위치 결정 요소
19 제 2 위치 결정 요소
20 측방 표면
21 횡벽
22 수용부
23 접지 접촉 요소
24 전방 끝면
25 삽입 영역
26 주 안내 영역
27 U-형 공간
28 수용 지점
29 중간 공간
30 핀측 기능 요소
31 소켓측 기능 요소
32 안내 구조
33 안내 러그
34 안내 개구
35 돌출 영역
36 코딩 표면
37 코딩 요소
38 코딩 요소
A 연결측
B 폭
K 접촉측
E 플러그-인 이동
T 깊이
S 플러그-인 방향
L 길이

Claims (20)

  1.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로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방에서 수용 공간(4)을 획정하는 2개의 측벽(3)을 갖는 유지 프레임(2), 및
    상기 수용 공간(4)에 설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3)은 수용 공간(4)과 대향하는 내측면(6)에서 복수의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그의 외측면(8)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상기 수용 공간(4)에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 안으로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측벽(3)은 그의 외측면(10)에서 랫칭(latching) 구조(11)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상기 수용 공간(4) 외부의 랫칭 구조(11)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랫칭 러그(12)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전기 기능 요소 또는 광학 기능 요소 또는 유체 기능 요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13)를 포함하고, 짝지어진 상태에서 추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기능 요소와의 기능적 접촉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8)에 있는 랫칭 구조(11)는, 상기 측벽(3)의 전체 길이(L)에 걸쳐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홈(14)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랫칭 러그(12)는, 상기 유지 프레임(2)에 연결될 때, 그 유지 프레임(2)의 외측면(8)에 놓이게 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 대해 2개의 랫칭 러그(12)가 제공되고, 한 랫칭러그(11)가 한 측벽(3)의 랫칭 구조(11)와 결합하고 다른 랫칭 러그(12)는 다른 측벽(3)의 랫칭 구조(11)와 결합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러그(12)는 실질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폭을 갖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의 외측면(8)은, 상기 랫칭 러그(12)가 놓이는 영역에서, 외측면(8)의 외측 측방 표면(16)으로부터 상기 측벽(3)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함몰 영역(15)을 가지며, 이 함몰 영역(15)과 랫칭 러그(12)는, 상기 랫칭 러그(12)가 실질적으로 상기 외측 측방 표면(16)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특히, 랫칭 러그(12)가 외측 측방 표면(16)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은 그의 후방 끝면(17)에서 제 1 위치 결정 요소(18)를 가지며, 이 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에 배치되는 제 2 위치 결정 요소(19)와 협력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결정 요소(18)는 캠이고, 제 2 위치 결정 요소(19)는 상기 캠이 결합하는 수용부이며, 또는 제 2 위치 결정 요소(19)가 캠이고 제 1 위치 결정 요소(18)는 그 캠이 결합하는 수용부인,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측 안내 요소(9)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리지이고, 상기 유지 프레임측 안내 요소(7)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홈에 결합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3) 중의 하나에 있는 안내 요소(7)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배향을 위한 코딩이 실현되도록, 다른 측벽(3)에 있는 안내 요소(7)와 다르게 설계되어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7)는 수용 공간(4)의 깊이(T)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7, 9)는 삽입 영역(25)과 주 안내 영역(26)을 가지며, 상기 삽입 영역(25)에서 플러그 커넥터 모듈(5)과 유지 프레임(2) 사이의 유격은 주 안내 영역(26)에서 보다 큰,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측방 표면(20)을 가지며, 이 측방 표면(20)과 안내 요소(7, 9) 사이의 간격은, 2개의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이 측방 표면(20)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2)은, 상기 측벽(3)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측벽(3)을 연결하는 2개의 횡벽(21)을 가지며, 측벽(3)과 횡벽(21)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설계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4)은 안내 구조(32)를 가지며, 플러그-인 이동 중에 2개의 유지 프레임(4)이 상기 안내 구조로 안내되며, 이 안내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코딩 요소(37, 38)를 갖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접촉측(K)을 가지며, 다른 플러그 커넥터와의 플러그-인 과정을 위해 상기 기능 요소(13)는 상기 접촉측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연결측(A)을 가지며, 상기 기능 요소(13)는 상기 연결측을 통해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호스와 같은 연결 요소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먼저 그의 접촉측(K)으로 상기 수용 공간(4)에 설치될 수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러그(12)는 상기 연결측(A)으로부터 돌출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3)은 전방 끝면(24)과 후방 끝면(17)을 가지며, 상기 랫칭 러그( 12)는 상기 후방 끝면(17)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끝면(24)은, 추가 플러그 커넥터(1)에 연결될 때, 그 추가 플러그 커넥터(1)의 전방 끝면(24)에 대해 배향될 수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플러그-인 방향(S)에서 볼 때, 돌출 영역(35)으로 상기 수용 공간(4) 밖으로 돌출하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은, 상기 측벽(3)과 플러그 커넥터 모듈(5) 사이에 중간 공간(29)이 형성되도록 설계되며, 플러그 커넥터 모듈(5)의 돌출 영역이 상기 중간 공간 안으로 돌출될 수 있는,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1).
    .
KR1020237000939A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KR20230024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0821 2020-06-18
EP20180815.1 2020-06-18
EP20180815 2020-06-18
EP20180821.9 2020-06-18
PCT/EP2021/065244 WO2021254822A1 (de) 2020-06-18 2021-06-08 Modular aufbaubaren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355A true KR20230024355A (ko) 2023-02-20

Family

ID=763059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384A KR20230024332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KR1020237000939A KR20230024355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384A KR20230024332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231339A1 (ko)
EP (2) EP4169131A1 (ko)
JP (2) JP2023529964A (ko)
KR (2) KR20230024332A (ko)
CN (2) CN115917886A (ko)
WO (2) WO20212548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1217A (en) 1975-04-29 1977-11-09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DE69622082T2 (de) 1995-05-12 2003-02-27 Framatome Connectors Int Verbindungsmodul mit abnehmbaren Kontakten und Anwendung in Verbindungsleisten
JP3171312B2 (ja) 1995-11-27 2001-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汎用コネクタ
JP2001015223A (ja) * 1999-06-25 2001-01-19 Nec Corp 汎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合方法
DE102004002850B4 (de) * 2004-01-19 2010-05-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TWM283372U (en) * 2005-07-22 2005-12-11 Advanced Connectek Inc Spring connector
JP2013069542A (ja) * 2011-09-22 201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抜き構造
DE202012010735U1 (de) * 2012-11-12 2012-12-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DE202013000969U1 (de) 2013-01-31 2014-05-0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5104562B4 (de) * 2015-03-26 2018-12-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Halterahmen und Steckverbinder mit Halterahmen für ein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03972A (zh) 2023-03-14
US20230231339A1 (en) 2023-07-20
EP4169130A1 (de) 2023-04-26
CN115917886A (zh) 2023-04-04
JP2023529964A (ja) 2023-07-12
KR20230024332A (ko) 2023-02-20
JP2023529963A (ja) 2023-07-12
WO2021254822A1 (de) 2021-12-23
EP4169131A1 (de) 2023-04-26
US20230352870A1 (en) 2023-11-02
WO2021254821A1 (de)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9492A1 (en) Backplane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effect
EP0971442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ide type retainer
US8241063B2 (en)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engaging a positioning depression on a shield case
JP5811460B2 (ja) コネクタ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8915750B2 (en) Plug connector with mis-insert features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connector therewith
US9379473B2 (en) Connector
US20110097931A1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992951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lic shielding plate unitarily formed with verticla board
CN110190461B (zh) 插头连接器
KR101594199B1 (ko) 전기 커넥터
KR20040019874A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CN110247247B (zh) 一种插座壳体、插座及转接连接组件
US6431891B1 (en) Power connector with easily removable conductive pin
KR20230024355A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US6443775B2 (en) Modular connector
US10128605B2 (en) Connector
JP2021103653A (ja) コネクタ
EP2438656B1 (en) Connector assembly
CN110299639B (zh) 一种插座壳体、插座及转接连接组件
CN112952410B (zh) 连接器
JP7306885B2 (ja) コネクタ
US2024015437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thereof with improved mounting features
US20220407261A1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