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874A -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874A
KR20040019874A KR1020030042598A KR20030042598A KR20040019874A KR 20040019874 A KR20040019874 A KR 20040019874A KR 1020030042598 A KR1020030042598 A KR 1020030042598A KR 20030042598 A KR20030042598 A KR 20030042598A KR 20040019874 A KR20040019874 A KR 2004001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tch arm
contact
wall
cylindrica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566B1 (ko
Inventor
미쓰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4001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래치 암이 보호되는 저배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 조립체(1)는 서로 감합하는 제1커넥터(A) 및 제2커넥터(B)로 이루어져 있다. 제1커넥터(A)는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17) 및 래치 암(17)을 덮도록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 사이를 연결하는 벽(13, 15)을 갖는다. 제2커넥터(B)는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를 수용하는 감합부(31, 32) 및 래치 암(17)과 래치 계합하는 계지부(36)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therefor}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 회로기판과 전선 등의 상호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실개소56-5385호 공보참조).
이 중, 도 9(A)에 나타내는 커넥터(100)는 절연성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10)은 4개의 콘택트 수용실(111)을 하열에, 2개의 콘택트 수용실(111)을 상열에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열의 2개의 콘택트 수용실(111)을 획정하는 한 쌍의 하우징 벽(112)의 대향면에는 양 하우징 벽(112)을 연결하는 연결판부(113)가 설치되고, 연결판부(113)의 긴 쪽 방향 중앙부에서 후방(도 9(A)의 좌측)을 향해 외팔보 모양의 래치 암(114)이 뻗어 있다. 그리고 래치 암(114)의 연결판부(113)와의 고정단부에는 래치 암(114) 및 연결판부(113)의 상면을 넘듯이 계지돌기(11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 암(114)의 고정단부와 반대측의 후단부에는 래치 암(114)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1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래치 암(114)의 상면 및 연결판부(113)의 상면은 하우징벽(112)의 상면과 동일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콘택트 수용실(111) 내에는 전선에 접속된 전기콘택트(미도시)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콘택트(100)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커넥터와 감합하며 이 때 상대커넥터에 설치된 전선에 전기콘택트와 커넥터(100)의 전기콘택트가 접촉하고 전선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양 커넥터의 감합시에는 커넥터(100)의 래치 암(114)에 형성된 계지돌기(115)가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계지부(미도시)에 계지되고 양 커넥터의 감합고정이 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양 커넥터의 감합해제를 행하는 때에는 커넥터(100)의 래치 암(114)에 설치된 조작부(116)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래치 암(114)을 하방으로 탄성변형시켜 계지돌기(113)의 계지를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커넥터(200)는 도 9(A)에 나타내는 커넥터(10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연결판부(213), 래치 암(214) 및 계지돌기(215)의 하우징벽(212)에 대한 취부방식이 연결판부(113), 래치 암(114) 및 계지돌기(115)의 하우징벽(112)에 대한 취부방식과 다르다.
즉 상열의 2개의 콘택트 수용실(211)을 획정하는 한 쌍의 하우징벽(212)의 대향면의 상하방 거의 중간부에 양 하우징벽(212)을 연결하는 연결판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부(213) 상면의 긴 쪽방향 중앙부에서 계지돌기(215)가 입설되고 이 계지돌기(215)에서 후방(도 9(B)에서의 좌측방향)을 향해 외팔보 모양의 래치 암(114)이 뻗어 있다. 그리고 래치 암(214)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1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 암(214)의 상면만이 하우징벽(212)의 상면과 동일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른 예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평2000-77138호 공보참조)
이 커넥터(300)는 절연성 하우징(31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10)은 복수의 콘택트 수용실(311)을 상하 2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콘택트 수용실(311)보다도 상방에는 시이소오 모양의 래치 암(312)이 설치되고, 래치 암(312)의 선단에는 계지돌기(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주징(310)에는 래치 암(312)을 상방에서 덮어 보호하는 보호벽(3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콘택트 수용실(311) 내에는 전선에 접속된 전기콘택트(미도시)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커넥터(300)는 상대커넥터(400)와 감합하고 그 때 상대커넥터(400)에 설치된 전선에 접속된 전기콘택트(411)와 커넥터(300)의 전기콘택트가 접촉하고 전선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양 커넥터(300, 400)의 갑합시에는 커넥터(300)의 래치 암(312)에 형성된 계지돌기(313)가 상대하우징(410)에 형성된 계지철부(412)에 계지되고 양 커넥터(300, 400)의 감합고정이 달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커넥터(100, 200, 300)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100, 200)의 경우에는 래치 암(114, 214)의 상면이 하우징벽(112, 212)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가 달성되어 있으나 그들 래치 암(114, 214)이 노출되어 있는 구성때문에 래치 암(114, 214)를 보호할 수 없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커넥터(300)의 경우에는 래치 암(312)를 상방에서 덮어 보호하는 보호벽(314)이 하우징(31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암(312)을 보호할 수 없지만 래치 암(312)이 콘택트 수용실(31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래치 암이 보호되며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형태를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 (D)는 저면도, (E)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도 3(B)의 4A-4A선에 따른 단면도, (B)는 도 3(B)의 4B-4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제2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도 5(B)의 6A-6A선에 따른 단면도, (B)는 도 5(B)의 6B-6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커넥터의 변형예를 공구와 함께 나타내고, (A)는 공구선단을 제1커넥터의 수용부에 삽입하기 전의 사시도, (B)는 공구선단을 수용부에 있어서 래치 암에 당접시킨 상태의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9의 (A)는 종래예의 커넥터의 사시도, (B)는 종래의 다른 예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다른 예의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함께 나타낸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커넥터 조립체 11, 21 콘택트 수용통상부
13 제1정벽(벽)15 제2정벽(벽)
17 래치 암20 리브
31, 32 감합부36 계지부
37 홈A 제1커넥터
B 제2커넥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감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넥터가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 계합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래치 암이 감합방향으로 뻗는 리브를 갖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리브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는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갖는 상대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계합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형태를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사시도, (B)는 종방향으로 단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배면도, (D)는 저면도, (E)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제1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도 3(B)의 4A-4A선에 따른 단면도, (B)는 도 3(B)의 4B-4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제2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도 5(B)의 6A-6A선에 따른 단면도, (B)는 도 5(B)의 6B-6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서로 감합하는 제1커넥터(A) 및 제2커넥터(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커넥터(A)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제1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콘택트 수용통상부(收容筒狀部)(11, 12)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금속제 제1콘택트(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에는 전선이 접속된다.
제1하우징(10)은 PBT 등의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1열로 배열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를 가지고 있고, 각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는 대략 통상의 기부(11A, 12A)에서 전방(도2에서 손앞측)에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12)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열린 콘택트 수용통로(11C, 1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수용통로(11C, 12C) 내에는 제1콘택트가 수용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로(11C, 12C)의 전단측에는 상대콘택트(후술하는 제2커넥터B의 제2콘택트)를 수용하는 개구(11B, 1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통상부(11, 12)의 기부(11A, 12A)의 대향면 하변끼리는 저벽(14)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의 사이에는 제2커넥터(B)와 감합한 때에 상대측 계지부(36)와 래치 계합하는 래치 암(17)이 설치되어 있다.
래치 암(17)은 그 전후방향 거의 중앙부의 양측 둘레 부분에 있어 연결판부(16)를 통해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래치 암(17)의 상면은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의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래치 암(17)은 연결판부(16)를 중심으로 상하 접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래치 암(17)의 전단면은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의 전단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고 래치 암(17)의 후단면은 기부(11A, 12B)의 후단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어 있다. 또한 래치 암(17)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계지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래치 암의 후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조작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 암(17)의 하면에는 도 3(D) 및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계지돌기부(18)에서 감합방향 후방으로 뻗는 리브(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20)에 의해 래치 암(17)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의 기부(11A, 12B)를 포함한 대향측면상 둘레끼리는 제1정벽(頂壁)(13)에서 연결되고 각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의 제1정벽(13)보다도 전측의 대향측면상 둘레끼리는 제1정벽(15)에서 연결되어 있다.
제1정벽(13)과 제2정벽(15)와는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단차면(段差面)(13A)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1정벽(13)과 제2정벽(15)으로 래치 암(17)의 상방을 덮도록 구조되어 있다. 제1정벽(13)과 제2정벽(15)에서 청구항 1, 3, 4에 규정한 벽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1정벽(13)에는 래치 암(17)에 돌출형성된 조작부(19)가 제1정벽(13)의 상면보다도 돌출가능하게 하는 절결(1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커넥터(B)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제2 하우징(30)과 하우징(30)에 취부되는 복수의 금속제 제2콘택트(40)로 구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30)은 PBT 등의 절연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양 커넥터(A, B)를 감합한 때에 제1커넥터(A)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를 수용하는 감합부(31, 32)를 갖고 있다. 감합부(31, 32)는 제2하우징(30)의 전면(도 5(A)에서의 하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감합부(31, 32)의 사이에는 양 커넥터(A, B)를 감합한 때에 제1커넥터(A)의 래치 암(17)을 수용하는 래치 암 수용공간(35)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감합부(31)와 래치 암 수용공간(35)의 사이에는 칸막이 벽(33)이 제2하우징(30)의 저벽에서 돌출형성되고, 타방의 감합부(32)와 래치 암 수용공간(35)과의 사이에는 칸막이 벽(34)이 제2하우징(30)의 저벽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단, 각 칸막이 벽(33, 34)의 상방에는 양 커넥터(A, B)를 감합한 때에 제1커넥터(A)의 제2정벽(15)을 수용하는 공간(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하우징(30)의 정벽 전방측에는 양 커넥터(A, B)를 감합한 때에 제1커넥터(A)의 제1정벽(13)의 전단측 일부를 수용하는 절결(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 암 수용공간(35)에는 양 커넥터(A, B)가 감합한 때에 래치 암(17)에 형성된 계지돌기부(18)가 래치계합하는 계지부(36)가 제2하우징(30)의 저벽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계지부(36)에는 래치 암(17)의 계지돌기부(18)가 계지부(36)과 래치계합하는 때에 래치 암(17)에 형성된 리브(20)를 안내하는 홈(37)이 설치되어 있다. 홈(37)은 계지부(36)의 전면에서 감합방향 후방을 향해 후면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다.
그리고 각 제2콘택트(40)는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가공하여 포스트 상으로 형성되고 감합부(31, 32)후방의 하우징(30)의 후벽에 압입고정되는 고정부(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제2콘택트(40)는 고정부(41)에서 후방으로 뻗어 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납땜접속되는 기판접속부(42)와 고정부(41)에서 전방으로 뻗어 각 감합부(31, 32) 내에 돌출하는 접촉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43)는 양 커넥터(A, B)가 감합한 때에 제1커넥터(A)의 제1콘택트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1커넥터(A) 및 제2커넥터(B)를 감합하는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1커넥터(A)의 각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 내에 전선에 접속된 제1콘택트를 수용하여 제1커넥터(A)를 완성해 두고 그 일방에서 제2커넥터(B)의 제2콘택트(40)의 기판접속부(42)를 회로기판상에 납땜접속해 둔다.
이 상태에서 제1커넥터(A)와 제2커넥터(B)를 갑합하면 제1커넥터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12)가 제2커넥터(B)의 감합부(31, 32) 내에 수용된다. 이 때 제1커넥터(A)의 제2정벽(15)가 제2커넥터(B)의 공간(38) 내에 수용되고 제1정벽(13)의 전단측 일부가 절결(39)에 수용된다. 또한 양 커넥터(A, B)의 감합시에는 제1커넥터(A)의 래치 암(17)도 제2커넥터(B)의 의 래치 암 수용공간(35) 내에 수용된다. 이 래치 암(17)의 수용시에는 래치 암(17)의 전단에 형성된 계지돌기부(18)가 제2커넥터(B)의 계지부(36) 상을 이동하면서 래치 암(17)이 상방으로 변이하고 또한 양 커넥터(A, B)의 감합을 추진함으로써 계지돌기부(18)가 계지부(36)를 타고 넘어 래치 암(17)이 하방으로 변이함과 함께 도 1과 같이 계지돌기부(18)가 계지부(36)의 후측에 위치하여 래치계합한다.이에 따라 양 커넥터(A, B)의 감합고정이 달성된다. 그리고 래치 암(17)의 계지돌기부(18)가 계지부(36)와 래치계합하는 때에 래치 암(17)에 형성된 리브(20)가 계지부(36)에 형성된 홈(37)에 안내된다. 이 때문에 제1커넥터(A)에서의 커넥터 수용통상부 배열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래치 암(17)의 되돌림현상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커넥터(A, B)가 감합하면 제1커넥터(A)의 제1콘택트와 제2커넥터(B)의 제2콘택트(40)의 접촉부(43)가 접촉하고 전선과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상호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양 커넥터(A, B)의 갑합해제를 행하는 때에는 도 2(A)의 화살표와 같이 래치 암(17)의 후단에 형성된 조작부(19)를 상방에서 압압하여 래치 암(17)의 전단의 계지돌기부(18)를 상방으로 변이시켜 계지돌기부(18)의 계지부(36)에 대한 래치계합을 해제하면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커넥터(A)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간을 연결하도록 래치 암(17)이 설치되어 있고 래치 암(17)을 덮도록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간을 연결하는 제1정벽(13) 및 제2정벽(15)을 가지므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래치 암(17)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2커넥터(B)는 제1커넥터(A)의 콘택트 수용통상부(11, 21)를 수용하는 감합부(31, 32)를 가짐과 함께 래치 암(17)과 래치계합하는 계지부(36)를 가지므로 제1커넥터(A)와 어울려서 래치 암(17)을 보호할 수 있는 저배의 커넥터 조립체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커넥터(A)의 제1콘택트를 전선에, 제2커넥터(B)의 제2콘택트(40)를 회로기판에 접속하고 전선과 회로기판을 상호접속하도록 하고 있으나 전선과 전선, 전선과 회로기판을 상호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커넥터(A)의 래치 암(17)의 후단에 조작부(19)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형성하고, 이 조작부(19)의 상단을 절결(13B)에서 상방으로 돌출시켜, 이 조작부(19)의 상단을 도 2(A)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시켜 래치계합을 해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변경도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의 경우에는 제1커넥터(A)의 래치암(17)의 후단상면에 1쌍의 돌기(21, 22)를 공구(T)의 선단이 파고드는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래치 암(17)의 이동을 방지하는 돌기(23)를 추가 설치한다. 이에 따라 래치 암(17)의 후단 상면에 공구(T)의 선단의 수용부(24)를 획정하여 둔다. 그리고 공구(T)의 선단을 절결(13B)에서 도 7(A)의 화살표방향으로 삽입하여 수용부(24)에서 래치 암(17)의 후단 상면을 압압하고 래치계합을 해제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하면 도 2와 같이 조작부(19)를 제1커넥터(A)의 제1정벽(13)의 상면보다도 돌출시킬 필요는 없고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의 경우에는 제1커넥터의 래치암(17)의 후단을 제1하우징(10)의 후단면보다도 다시 후방으로 연장한 연장부(25)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연장부(25)의 상면을 도 8(A)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압시켜 래치계합을 해제한다. 이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조작부(19)를 제1커넥터(A)의 제1정벽(13) 상면보다도 돌출형성시킬 필요는 없고, 커넥터의 저배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제1커넥터가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가지므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래치 암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 계합하는 계지부를 가지므로 제1커넥터와 어울려서 래치 암을 보호할 수 있는 저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2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래치 암이 감합방향으로 뻗는 리브를 갖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리브를 안내하는 홈을 가지므로,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를 달성하면서 래치 암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고 더욱이 제1커넥터에 있어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배열방향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래치 암의 되돌림 현상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3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가지므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래치 암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청구항 4에 관계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갖는 상대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계합하는 계지부를 가지므로래치 암을 보호할 수 있는 저배의 커넥터 조립체에 적합한 커넥터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서로 감합하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커넥터가 1열로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 계합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래치 암이 감합방향으로 뻗는 리브를 갖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리브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갖는 상대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계합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1열로 배열된 복수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여 배설된 래치 암 및 해당 래치 암을 덮도록 상기 2개의 콘택트 수용통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벽을 갖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통상부를 수용하는 감합부 및 상기 래치 암과 래치 계합하는 계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30042598A 2002-08-30 2003-06-27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0754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5062 2002-08-30
JP2002255062A JP2004095346A (ja) 2002-08-30 2002-08-30 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874A true KR20040019874A (ko) 2004-03-06
KR100754566B1 KR100754566B1 (ko) 2007-09-05

Family

ID=3204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598A KR100754566B1 (ko) 2002-08-30 2003-06-27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32928B2 (ko)
JP (1) JP2004095346A (ko)
KR (1) KR100754566B1 (ko)
CN (1) CN100336270C (ko)
TW (1) TWI3010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74B1 (ko) * 2007-11-09 2010-07-07 이성흠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4268B2 (en) 2003-08-19 2006-12-05 Spacelabs Medical, Inc. Latching medical patient parameter safety connector and method
JP4658774B2 (ja) * 2005-10-28 2011-03-23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8109883B2 (en) 2006-09-28 2012-02-07 Tyco Healthcare Group Lp Cable monitoring apparatus
US8668651B2 (en) 2006-12-05 2014-03-11 Covidien Lp ECG lead set and ECG adapter system
KR100842729B1 (ko) * 2007-03-19 2008-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격 방지 커넥터 조립체
CA2646037C (en) 2007-12-11 2017-11-28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electrode connector
WO2009143283A1 (en) * 2008-05-20 2009-11-26 Lightscape Materials, Inc. Silicate-based phosphors and led lighting devices using the same
USD737979S1 (en) 2008-12-09 2015-09-01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US8694080B2 (en) 2009-10-21 2014-04-08 Covidien Lp ECG lead system
CA2746944C (en) 2010-07-29 2018-09-25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adapter system and method
EP2734106B1 (en) 2011-07-22 2019-09-18 Kpr U.S., Llc Ecg electrode connector
US8634901B2 (en) 2011-09-30 2014-01-21 Covidien Lp ECG leadwire system with noise suppression and related methods
US9408546B2 (en) 2013-03-15 2016-08-09 Covidien Lp Radiolucent ECG electrode system
CN105120742B (zh) 2013-03-15 2017-07-28 柯惠有限合伙公司 具有导电部件的电极连接器
USD771818S1 (en) 2013-03-15 2016-11-15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85A (en) 1979-06-22 1981-01-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ire proofing inorganic laminate
JP3180016B2 (ja) * 1996-02-08 2001-06-25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296961B2 (ja) * 1996-03-15 2002-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検知コネクタ
JP3134780B2 (ja) * 1996-07-15 2001-02-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
JP3301329B2 (ja) * 1996-12-27 2002-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267236B1 (ko) 1997-08-30 2000-10-16 윤종용 컨넥터
JP3427745B2 (ja) 1998-08-28 2003-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3654063B2 (ja) * 1999-07-12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01085111A (ja) 1999-09-10 2001-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254417B1 (en) * 2000-07-20 2001-07-03 Acer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Inc. I/O connecto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2110295A (ja) 2000-10-02 2002-04-12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雄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74B1 (ko) * 2007-11-09 2010-07-07 이성흠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2928B2 (en) 2004-12-21
CN100336270C (zh) 2007-09-05
TW200405622A (en) 2004-04-01
CN1487631A (zh) 2004-04-07
TWI301006B (en) 2008-09-11
US20040067677A1 (en) 2004-04-08
JP2004095346A (ja) 2004-03-25
KR100754566B1 (ko)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66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US7114998B2 (en)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7114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99070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US6217371B1 (en) Modular connector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JP2007184231A (ja) コネクタプラグ
US6375504B1 (en) Connector and a cap therefor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CN111403949B (zh) 连接器组件
EP1100156B1 (en)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6129574A (en) Connector having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neous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EP1077513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housing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10811812B2 (en) Waterproof connector including rear holder for holding wires and preventing waterproof member from detaching from housing
JP5064933B2 (ja) 電気コネクタ
US6443775B2 (en) Modular connector
KR960012624A (ko) 전기 케이블 어셈블리
EP1626462A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811770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N112186418B (zh) 连接器组件
CN111106474B (zh) 连接器以及线束
US20230231339A1 (en) Modular plug connector
CN112952410B (zh) 连接器
JP2023117787A (ja) 電気的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