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701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701B1
KR100990701B1 KR1020080064596A KR20080064596A KR100990701B1 KR 100990701 B1 KR100990701 B1 KR 100990701B1 KR 1020080064596 A KR1020080064596 A KR 1020080064596A KR 20080064596 A KR20080064596 A KR 20080064596A KR 100990701 B1 KR100990701 B1 KR 10099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erminal
terminal fitting
side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721A (ko
Inventor
유우지로우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9Electrical connectors with grounding to metal mounting pane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의 접지선과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전기 전도성 브래킷(B)에 장착되는 하우징(11)과, 접지선(ground wire)으로서의 외부 도체를 각각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과 접속되고 하우징(11)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12)과, 하우징(11)에 장착되며,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단자 피팅(12)의 외부 도체 단자(14)와 접촉하게 되는 회로측 접촉부(38)와 브래킷(B)과 접촉하게 되는 브래킷측 접촉부(40)를 갖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기 배선에 구비되는 접지선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접지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의 예가, 일본 특허 공개 제H06-267615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접속되는 단자 피팅과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접지선)를 브래킷과 접속하기 위한 접지 단자가 차체에 고정된 브래킷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지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외부 도체와 접촉하게 되는 회로측 접촉부와 브래킷과 접촉하게 되는 브래킷측 접촉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 피팅이 커넥터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고, 이들 단자 피팅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각각 브래킷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접지 단자가 전체적으로 확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지 단자에는 복수의 회로측 접촉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접지 단자의 형상이 복잡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접지 단자를 형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제작 공정 중에, 복수의 접지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연쇄 단자(chained terminal)를 후프 가공할 때의 곤란함과 같이 접지 단자 자체를 제작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의 접지선과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클레임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전도성 브래킷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접지선(ground wire)을 포함한 케이블과 접속되고 커넥터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과,
접지선 및/또는 접지선에 접속되는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부와, 브래킷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측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며, 커넥터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split ground terminal)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스플릿 접지 단자의 회로측 접촉부가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과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반면에, 각 스플릿 접지 단자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브래킷과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각각의 접지선이 브래킷과 전기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측 접촉부 및 브래킷측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플릿 접지 단자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고, 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접지 단자가 모든 회로측 접촉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1)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가,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의 사이에서 브래킷측 접촉부를 회피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중에 구획부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므로,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는 서로에 대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2)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 내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구획부는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전단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로 장착하는 작업을 구획부에 의해 안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좋아진다.
(3)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의 동일 플레이트 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직선 형상의 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브래킷이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4) 단자 피팅은 커넥터 하우징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로측 접촉부는, 상기 단자 피팅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지선 및/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과 접촉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단자 피팅의 레벨의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자 피팅이 복수의 레벨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서의 배치 효율이 향상되므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5)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대칭 위치에서 브래킷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균형이 잡히는 방식(well-balanced manner)으로 브래킷과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양호한 접촉 성능을 얻을 수 있다.
(6) 단자 피팅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고, 인접 레벨의 단자 피팅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자 피팅이 오프셋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단자 피팅의 배치 효율이 향상되며, 이는 커넥터의 소형화에 적합한 것이다.
(7) 회로측 접촉부는 단자 피팅과 접촉하게 되고, 커넥터 하우징은 장착된 단자 피팅과 탄성 결합할 수 있는 단자 피팅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 피팅 유지 부재는 회로측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단자 피팅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자 피팅이 단자 피팅 유지 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므로, 단자 피팅과 회로측 접촉부는 양호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8) 커넥터 하우징은 브래킷을 로킹하기 위한 브래킷 로킹부를 구비하고, 브 래킷 로킹부는 브래킷측 접촉부와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브래킷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래킷측 접촉부와 브래킷 로킹부가 브래킷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브래킷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브래킷측 접촉부와 브래킷 로킹 부재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케이블의 접지선과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선을 포함한 케이블과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을 전기 전도성 브래킷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접지선 및/또는 접지선에 접속되는 단자 피팅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부와, 브래킷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측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발명 및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 방법은,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의 사이에서 브래킷측 접촉부를 회피하는 위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 내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구획부는 브래킷과 스플릿 접지 단자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의 전단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의 동일 플레이트 면과 접촉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은 커넥터 하우징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로측 접촉부는, 단자 피팅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지선 및/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과 접촉하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고, 인접 레벨의 단자 피팅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더라도, 이들 실시예의 각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플릿 접지 단자의 회로측 접촉부가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과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반면에, 각 스플릿 접지 단자의 브래킷측 접촉부는 브래킷과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각각의 접지선이 브래킷과 전기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측 접촉부 및 브래킷측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플릿 접지 단자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고, 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접지 단자가 모든 회로측 접촉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차체(도시 생략)에 고정되었거나 고정 가능한 브래킷(B)에 장착되는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12)과 브래킷(B)의 삽입 방향(도 12의 좌측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지칭하고, 반대 방향(도 12의 우측 방향)을 후방 방향으로 지칭하며, 수직 방향과 관련해서는 도 2 및 도 12를 참조한다. 단자 피팅(12)은 도 15 및 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먼저, 브래킷(B)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은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며, 고정 위치로부터 차제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측방향으로 긴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선단 근처의 폭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브래킷(B)을 관통하도록 로크 구멍(Ba)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B)의 선단은, 커넥터(10)에 보다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경사져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10)를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11)[이하에서는 간단히 "하우징(11)"으로 지칭함]과, 커넥터 하우징(11)에 장착되고 각각의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도시 생략)의 단부와 접속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자 피팅(12)과, 하우징(11)에 장착된 단자 피팅(12)의 일부와 브래킷(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는 브래킷(B)에 장착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케이블은 단자 피팅(12)과 접속된 동축 케이블이며, 내부 도체(코어), 내부 절연층, [편조선(braided wire) 또는 도전성 필름과 같은] 외부 도체 및 외부 피복이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동축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들 중에서, 내부 도체는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을 형성하고, 외부 도체는 그 전기 회로의 접지선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피팅(12)은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접속되는 내부 도체 단자(도시 생략)와, 내부 도체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도체 단자(14)와, 내부 도체 단자와 외부 도체 단자(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재됨으로써 이들 도체 단자를 서로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절연체(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외부 도체 단자(14)는, 튜브와 유사한 형상(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내부 도체 단자를 둘러싸는 메인부(15)와,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서 노출된 외부 도체와 크림핑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16)가 차례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부(15) 및/또는 케이블 접속부(16)와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바닥 플레이트(14a)와 반대측에서 메인부(15)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 장치(17; stabilizer)가 메인부(15)[바람직하게는 그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안정 장치(17)는, 개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메인부(15)의 후단의 실질적으로 양측 부분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2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플레이 트 부재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메인부(15)의 상기 개방부의 전방 에지를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메인부(15)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랜스(lance) 결합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안정 장치(17)로부터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약 90도만큼 간격을 두고 있는 메인부(15)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커팅 및 벤딩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도체 단자는 커넥터(10)와 접속된 상대 커넥터의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을 형성하는) 상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접속부(16)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방 크림핑 부재(16a) 및/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후방 크림핑 부재(16b)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전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12)과 하나 이상의 스플릿 접지 단자(1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단자 수납부(20)와, 상대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리셉터클(21)과, 브래킷(B)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되는 브래킷 장착부(2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21)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납부(20)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의) 실질적으로 튜브 형태이며,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대 커넥터가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접속 공간이 내부에 구획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20)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속된 상대 커넥터를 래치 고정(latching)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크 아암(23)이 그 측면(상면)에 제공된다. 로크 아암(2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특히 단자 수납부(20)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속부와 함께 시소와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로크 아암(23)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또는 전방 근처에서 및/또는, 단자 수납부(20)의 측면(상면)의 폭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항 중앙 위치)에서 접속되어 있고, 후단의 조작부를 제외하고는 리셉터클(21)의 상부 벽에 의해 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가 덮여 있다.
단자 수납부(20)에는, 각 단자 피팅(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와 각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에 관련해서는 스플릿 접지 단자(13)와 함께 후술하고,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를 먼저 설명한다.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납부(20)에 상하 2개의 레벨로 배치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2개는 단자 수납부(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는 상하 레벨에서 폭 방향(두 레벨이 배치되는 수직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변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는 실질적으로 상부 레벨의 두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각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는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되어 배치되어 있고, 각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중앙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는, 단자 피팅(12)의 메인부(15)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을 갖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단자 수납부(20)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이므로, 단자 피팅(12)을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 수납 챔버 내로 개별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2)을 유지하도록 삽입된 단자 피팅(12)의 랜스 결합부(18)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로킹 랜스(26)가 각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주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로킹 랜스(26)에 의해 유지된 단자 피팅(12)은 메인부(15)의 전방부가 접속 공간 내로 돌출하도록 유지되어 있다(도 13 참조).
각 로킹 랜스(26)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의 형상이고, 상하 방향[단자 피팅(1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랜스(26)는 바람직하게는 인접 레벨로 단자 피팅 수납 챔버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주벽면의 단부 또는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킹 랜스(26)는 상부 레벨의 두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부 또는 하부 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부 또는 상부 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각 상부 레벨 및 하부 레벨에 있는 로킹 랜스(26)는 변형 방향이 실질적으로 반대이고, 폭 방향으로 인접 레벨의 로킹 랜스(26)를 위한 변형 공간(27)에 인접하도록(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하는 위치 관계로 있다. 따라서 로킹 랜스(26)와 변형 공간(27)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1)의 소형화에 적합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안정 장치(1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 장치 삽입 홈(28)이, 각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주벽면에 있어서 로킹 랜스(26)의 양측에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1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 삽입 홈(29)이, 두 안정 장치 삽입 홈(28)으로부터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약 90도만큼의 간격을 두고 있는 각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내주벽면의 위치에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피팅(12)이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면, 돌출부(19)는 돌출부 삽입 홈(29)과 결합하여, 단자 피팅(12)이 전방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브래킷 장착부(22)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장착부(22)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11)의 측면(도 2에 도시된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고, 브래킷(B)은 그 플레이트 면이 수직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자세로 브래킷 장착부(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브래킷 장착부(22)는 바람직하게는 후방측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구멍 또는 백(bag)의 형태이고, 그 내부 공간은 브래킷(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수납 챔버(30)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래킷 장착부(22)는, 하우징(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측벽(31)과, 측벽(31)의 돌출 단부로부터 또는 돌출 단부 근처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며 하우징(11)의 측면에 마주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벽(32)과, 바람직하게는 양 돌출 벽(32)을 접속하도록 양 돌출 벽(32)의 부분에 이어지는 연결 벽(33; bridging wall)과, [바람직하게는 연결 벽(33)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브래킷 로킹 부재(34)와, 돌출 벽(32)과 측벽(31)의 전단에 접속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전방 정지 벽(35)을 포함한다. 브래킷 장착부(22)[브래킷 수납 챔버(30)]는 상부 및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그러한 수직 방향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수납 챔버(30)는 바람직하게는 브래킷(B)의 폭 및 두께에 합치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브래킷 로킹 부재(34)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의 형태이고, 실질적으로 폭 방향[브래킷(B)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 수납 챔버(3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브래킷 로킹 부재(34)의 자유단의 내면에 로크 돌출부(36)가 설치되고, 하우징(11)은 브래킷(B)의 로크 구멍(Ba)과 로크 돌출부(36)의 결합에 의하여 브래킷(B)에 고정된 채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브래킷 로킹 부재(34)는 브래킷 장착부(22)의 수직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 로킹 부재(34)는 브래킷(B)을 삽입하는 공정 시에 외측으로 변위된다.
다음으로, 스플릿 접지 단자(13)와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예컨대 2가지) 유형의 스플릿 접지 단자(13)가 있다. 즉, 상부 레벨의 두 단자 피팅(12)을 브래킷(B)에 접속하기 위하여 2극을 갖는 것과, 하부 레벨의 하나의 단자 피팅(12)을 브래킷(B)에 접속하기 위하여 단극을 갖는 것이 있으며, 각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단자 수납부(20)에 형성된 대응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 내로 개별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플릿 접지 단자(13)와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2극용의 부분의 도면 부호와 단극용의 부분의 도면 부호에 각각 첨자 A 및 B를 병기하고,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경우에는 도면 부호에 첨자를 병기하지 않는다.
먼저, 양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공통 구조를 설명한다. 각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7)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37)를 부분적으로 커팅하고 벤딩함으로써 형성된 회로측 접촉 부재(38)와, 베이스 플레이트(37)의 측방향 에지에서 벤딩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레이트(39)와, 사이드 플레이트(39)로부터 연장하는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단자 피팅(12)의 외부 도체 단자(14)와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브래킷(B)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7)는 전후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방향으로) 단자 수납부(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평면도로 보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37)의 측방향 양측 에지를 커팅하고 벤딩함으로써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유지 부재(41)가 형성된다. 이들 유지 부재(41)는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내벽면에 결합하거나 맞물리고, 이로써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하우징(11)의 밖으로 나오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6,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베이스 플레이트(37)에 전방측이 개방된 한 쌍의 슬릿을 형성하고 두 슬릿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부재를 벤딩함으로써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사이드 플레이트(37)와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장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7)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한 후에 베이스 플레이트(37)의 전단 위치 또는 그 근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7)를 향하여 뒤로 벤딩되거나 접히고, 접혀진 부분은 단자 피팅(12)과의 접촉부(38a)로서 기능한다.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베이스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단자 피팅(1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즉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회로측 접촉 부재(38)의 자유 단부는 양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부분적으로 넓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돌출 부분(42)은 베이스 플레이트(37)의 플레이트 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회로측 접촉 부재(38)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회로측 접촉 부재(38)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39)는 베이스 플레이트(37)의 측방향 에지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레이트 부재를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벤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7)와 사이드 플레이트(39)는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 형상을 형성한다. 사이드 플레이트(39)는 수직 방향으로 좁고 긴 부재이며, 브래킷측 접촉 부재(40)가 그 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후단이 베이스 단부이고 전단이 자유단인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의 형태[바람직하게는 회로측 접촉 부재(38)와 유사한 형태]이다.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사이드 플레이트(39)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7)와 실질적으로 반대측을 향하여 [장착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중간 위치에서 피크를 갖는 실질적으로 산형으로 적절하게 형성된다. 이 피크부는 접촉부(40a)로서 기능한다. 회로측 접촉 부재(38)와는 달리, 브래킷측 접촉 부재(40)의 자유단은 심지어 탄성 변형 중에도 베이스 플레이트(37)와도 사이드 플레이트(39)와도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베이스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폭 방향[브래킷(B)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 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및/또는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브래킷(B)과의 접촉면으로서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의 외면은,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장착 상태에서 브래킷(B)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실질적으로 양측 중 하나 이상이 경사져 있다. 또한,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회로측 접촉 부재(38)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양 스플릿 접지 단자(13A, 13B)의 개별 구조를 설명한다. 2극 또는 그 이상의 다극 스플릿 접지 단자(13A)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A)[도 5 참조]를 갖는 반면에,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13B)는 단 하나의 회로측 접촉 부재(38B)를 갖는다[도 8 참조]. 따라서 2극 또는 그 이상의 다극 스플릿 접지 단자(13A)의 베이스 플레이트(37A)는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13B)의 베이스 플레이트(37B)보다 큰 폭을 갖는다(도 6 및 도 9 참조). 2극 스플릿 접지 단자(13A)에 있어서, 2개의 회로측 접촉 부재(38A)는 베이스 플레이트(37A)에서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이와 달리,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13B)에 있어서는, 회로측 접촉 부재(38B)는 베이스 플레이트(37B)의 중심으로부터 사이드 플레이트(39B)와 반대측을 향하여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양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공통 구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는, 단자 수납 부(20)에서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각각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보다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외측, 및/또는 브래킷 수납 챔버(30)보다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내측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홈의 형태이다. 각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는 대응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합치되도록 후방에서 보았을 때 벤딩되거나 실질적으로 L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납부(43)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사이드 플레이트(39)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가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2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납 챔버(24, 25)를 접속하고 각 회로측 접촉 부재(38) 중 하나 이상이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5)이, 하나 이상의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베이스 플레이트 수납부(43)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사이에서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단자 수납부(20)에 있어서, 수납 챔버(25, 30)를 접속하고 브래킷측 접촉 부재(40)가 브래킷 수납 챔버(3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브래킷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6)이,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베이스 플레이트 수납부(44)와 브래킷 수납 챔버(30) 사이에서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각각의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개별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2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A)는 단자 수납부(20)의 상단부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우측 단부의 상부로 [브래킷 장착부(22)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2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A)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납부(43A)가 상부 레벨의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위에, 즉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A)가 상부 레벨의 우측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와 브래킷 수납 챔버(30)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수의 회로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5A)[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회로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5A)]은 상부 레벨의 대응하는 (바람직하게는 양쪽 또는 2개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6A)은 단자 수납부(20)의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A)와 브래킷 수납 챔버(30)의 상부를 접속한다.
이와 달리,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B)는 단자 수납부(20)의 하부 단부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우측 단부의 하부로 [브래킷 장착부(22)를 향하여] 연장하는 영역에 걸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A)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납부(43B)가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의 외측 또는 아래에, 즉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B)가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와 브래킷 수납 챔버(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회로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5B)은 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에 실질 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6B)은 단자 수납부(20)의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B)와 브래킷 수납 챔버(30)의 하부를 접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측 접촉 부재 연통 공간(4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와 브래킷 수납 챔버(30)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연통부에 있어서, 각각의 수납 챔버(25, 3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 스플릿 접지 단자(13) 및 브래킷(B)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47)가 남겨진다. 구획부(47)는 양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를 구획하는 베이스부(48)와, 베이스부(48)의 선단으로부터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하고 양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와 브래킷 수납 챔버(30)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49)를 구비하며, 후방에서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대략 포크 형상 또는 T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47)에 있어서, 베이스부(48)는 양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의 측벽 부분을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반면에, 양 돌출부(49)는 양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의 천장벽 및 브래킷 수납 챔버(30)의 바닥벽 부분을 구성하거나 형성한다. 양 돌출부(49)는 바람직하게는 브래킷측 접촉 부재(40)의 단부에 근접한 위치까지 돌출하지만,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피하고 있다(도 11 참조).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사이드 플레이트(39)의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백래시 방지 돌출부(50)가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에 마주하는 돌출부(49)[바람직하게는 양 돌출부의 선단]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플레이트(39)를 요동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47)는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와 브래킷 수납 챔버(30)가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획부의 후단은 하우징(11)(바람직하게는 후단)[스플릿 접지 단자(13)와 브래킷(B)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전단]에 배치되어 있고 후방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개별적으로 하우징(11)의 대응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하우징(11)의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때에, 사이드 플레이트(39)는 하우징(11)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 구획부(47)의 후단에 의해 안내(위치 결정)됨으로써 브래킷 수납 챔버(30)에 들어가지 않고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실하게 들어간다.
장착 상태에서, 각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대기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대응하는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양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도 11, 도 12,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면서 대기 상태에 들어가거나 도달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래킷 수납 챔버(30)로 들어간다. 각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랜스(26)에 마주하는 그러한 위치에, 즉 약 180도만큼 각도상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브래킷 수납 챔버(30)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대칭 위치에, 및/또는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된 브래킷 로킹 부재(34)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등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각각의 유지 부재(41)는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의 내벽면에 맞물려서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하우징(1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 후에, 동축 케이블의 단부와 접속된 각각의 단자 피팅(12)은 개별적으로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단자 피팅(12)이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우징(11)의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피팅 수납 챔버(2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면, 안정 장치(17)와 돌출부(19)는 각각 안정 장치 삽입 홈(28)과 돌출부 삽입 홈(2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이로써 단자 피팅(12)은 (회전하지 않도록) 원주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며, 그 삽입(전방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도 14 참조).
삽입 과정에서는, 로킹 랜스(26)가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되거나, 및/또는 회로측 접촉 부재(38)도 단자 피팅(12)에 의해 또한 탄성 변형된다. 단자 피팅(12)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킹 랜스(2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결합부(18)에 결합하여 단자 피팅(12)을 하우징(11)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외측(단자 피팅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단자 피팅(12)의 외부 도체 단자(14)의 바닥 플레이트(14a)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 피팅(12)은 로킹 랜스(26)와 실질적으로 대향측에 배치된 회로측 접촉 부재(38)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재되어, 로킹 랜스(26)와 회로측 접촉 부재(38) 양자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모든 단자 피팅(12)의 장착이 종료된 후에, 브래킷(B)은 후속하여 하우징(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 브래킷(B)을 하우징(11)의 후방으로부터 브래킷 수납 챔버(3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면, 브래킷(B)은 하우징(11)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 구획부(47)의 후단에 의해 안내(위치 결정)되어 사이드 플레이트 수납부(44)에 들어가지 않고 브래킷 수납 챔버(30)로 확실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브래킷(B)을 삽입하는 공정에서, 브래킷 로킹 부재(34)는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양)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브래킷(B)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브래킷(B)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크 돌출부(36)는 로크 구멍(B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브래킷 로킹 부재(3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돌출부(36)를 로크 구멍(Ba)의 에지와 결합하며, 이로써 하우징(11)은 브래킷(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된]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커넥터(10)의 반경 방향 내측[브래킷 로킹 부재(34)와 실질적으로 반대측]에 마주하는 브래 킷(B)의 동일 플레이트 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양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대칭 위치에서 브래킷(B)과 접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이 브래킷(B)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양쪽)의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하나 이상의 각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대응 단자 피팅(12)의 외부 도체 단자(14)와 접촉하고 있으며,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양쪽)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브래킷(B)과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동축 케이블의 접지선으로서의 외부 도체는 하나 이상의 외부 도체 단자(14)와 하나 이상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통하여 브래킷(B)과 접촉하며, 이로써 접지된다.
전술한 커넥터(10)에 추가하여 상이한 수의 동축 케이블 및 단자 피팅을 사용하는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커넥터(10)에 사용된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상기 하우징의 구조를 커넥터(10)의 하우징(11)에 부분적으로 공통으로 되게 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동축 케이블과 2개의 단자 피팅(12)을 이용하는 2극 커넥터(10')에 있어서는, 전술한 3극 커넥터(10)로부터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B)를 생략함으로써 구성된 하우징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2극 스플릿 접지 단자(13A)를 하우징(11')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 외에, 도시 생략한 단극 커넥터에 있어서는, 2극 스플릿 접지 단자 수납 챔버(25A)를 생략함으로써 구성된 하우징을 이용함으로써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13B)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상이한 수의 극을 갖는 복수 타입의 커넥터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플릿 접지 단자가 각각의 커넥터 타입에 대하여 특별한 부품으로서 제작되는 경우에 비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12)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와 브래킷(B)과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하우징(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접지 단자에 모든 회로측 접촉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개별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보다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접지선과 브래킷(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브래킷(B)과 하나 이상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47)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 내에서 스플릿 접지 단자(13)와 브래킷(B) 사이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를 피하는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서로에 대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위한 수납 챔버 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가 바람직하게는 동일 방향으로 하우징(11) 내에 장착되어 있고, 구획부(47)는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하우징(11)의 전단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B)과 스 플릿 접지 단자(13)를 장착하는 작업을 구획부(47)에 의해 안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각 브래킷측 접촉 부재(40)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브래킷(B)의 동일 플레이트 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의 브래킷(B)을 사용할 수 있고, 브래킷(B)이 장착되는 하우징(11)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피팅(12)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 내에서 복수의 레벨(또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회로측 접촉 부재(38)는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커넥터(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단자 피팅(12)에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고, 각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는 실질적으로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여러 타입의 커넥터(10)에 있어서의 배치 효율이 개서되어, 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브래킷측 접촉 부재(40)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칭 위치에서 브래킷(B)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는 균형이 잡히는 방식(well-balanced manner)으로 브래킷(B)과 접촉할 수 있고, 이로써 양호한 접촉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자 피팅(12)이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것들끼리 서로 변위된 상태로 오프셋되어 복수의 레벨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1) 내에서 단자 피팅(12)의 배치 효율이 향상되며, 이는 커넥터(10)의 소형화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장착된 단자 피팅(12)과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로킹 랜스(26)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 내에서 회로측 접촉 부재(38)와 반대측의 단자 피팅(1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피팅(12)은 로킹 랜스(26)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될 수 있어서 단자 피팅(12)과 회로측 접촉 부재(38)를 양호한 접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에는 바람직하게는 브래킷(B)과 결합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브래킷측 접촉 부재(40)와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브래킷(B)의 측면 또는 브래킷(B)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래킷 로킹 부재(34)를 구비하기 때문에, 브래킷(B)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브래킷측 접촉 부재와 브래킷 로킹 부재가 동일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케이블의 접지선과 브래킷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커넥터(10)는 전기 전도성 브래킷(B)에 장착되는 하우징(11); 접지선으로서의 외부 도체를 각각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과 접속되고 하우징(11)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12); 하우징(11)에 장착되고, 외부 도체와 접속된 단자 피팅(12)의 하나 이상의 각 외부 도체 단자(14)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38)와 브래킷(B)에 접촉하게 되는 브래킷측 접촉 부재(40)를 갖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스플릿 접지 단자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거나 및/또는 전반적으로 대략 L 형상이지만, 브래킷측 접촉 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이드 플레이트를 생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브래킷의 장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스플릿 접지 단자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단자 피팅과 브래킷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고, 회로측 접촉 부재와 브래킷측 접촉 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양 방향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지 단자가 2 부재(piece)로 갈라져 있지만, 접지 단자는 3개 이상의 부재로 갈라질 수도 있다(스플릿 접지 단자의 수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플릿 접지 단자가 하나 또는 2개의 회로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회로측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스플릿 접지 단자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1개 내지 3개의 동축 케이블과 1개 내지 3개의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동축 케이블과 4개 이상의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레벨로 배열된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레벨로 배열된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플릿 접지 단자의 각 회로측 접촉 부재는 단자 피팅을 하우징 내에서 오프셋되게 각각의 레벨로 배열함으로써 단자 피팅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단자 피팅과 접촉할 수 있다. 역으 로, 본 발명은 하나의 레벨로 배열된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로측 접촉 부재가 단자 피팅의 외부 도체 단자와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지만, 이들 회로측 접촉 부재는 본 발명에 따라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할 수 있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피팅이 동축 케이블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외부 도체 및 외부 피복이 없는 통상의 절연 케이블의 단부와 접속된 단자 피팅을 사용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절연 케이블의 코어가 전기 회로의 접지선을 구성할 수 있다.
(8)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피팅이 동축 케이블의 단부와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이들 단자 피팅이 반드시 케이블과 직접적으로 접속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은 케이블과 직접 접속된 상대 단자와 접속된 양단을 갖는 중간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커넥터는 상대 단자를 통하여 케이블과 접속된 중간 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9)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로측 접촉 부재 및 브래킷측 접촉 부재 모두가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의 형태이지만, 이들 접촉 부재는 예컨대 양단에서 지지된 부재의 형태일 수도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없는 부품일 수도 있다. 회로측 접촉 부재와 브래킷측 접촉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없으면, 상대 단자 피팅 또는 브래킷은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 형태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10)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피팅의 외부 도체 단자의 메인부가 실질적으 로 원통 형상이지만, 이 메인부는 예컨대 박스 형상, 직사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일 수도 있다.
(1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내에 바람직하게는 오프셋되게 배치된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격자 형태로 배치된 단자 피팅을 포함하는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 형상의 브래킷 로킹 부재가 브래킷 장착부의 외벽에 제공되어 있지만, 이 로킹 부재는 브래킷 장착부의 내벽(브래킷측 접촉 부재를 향한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브래킷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고, 브래킷 장착부는 이 로킹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브래킷은 로킹 부재 등을 생략함으로써 브래킷 장착부에 프레싱될 수도 있다.
(1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의 하나의 브래킷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복수의 브래킷 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브래킷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브래킷의 형상은 브래킷 장착부의 형상에 따라 예컨대 L형 단면을 갖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1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킹 랜스가 회로측 접촉 부재와 반대측의 단자 피팅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지만, 단자 피팅과 로킹 랜스 사이의 각도 간격을 180도 이외의 각도로 변경할 수도 있다.
(15) 상대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아암은 하우징 내에서 브래킷 장착부와 실질적으로 반대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3은 하우징과 브래킷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이고,
도 5는 2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배면도이고,
도 6은 2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7은 2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단극 스플릿 접지 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스플릿 접지 단자가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단자 피팅이 스플릿 접지 단자가 장착된 하우징 내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단자 피팅이 스플릿 접지 단자가 장착된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스플릿 접지 단자와 단자 피칭이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브래킷이 스플릿 접지 단자와 단자 피팅이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내 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브래킷이 스플릿 접지 단자와 단자 피팅이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브래킷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브래킷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스플릿 접지 단자, 단자 피팅 및 브래킷이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2극 스플릿 접지 단자가 2극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커넥터 하우징
12 : 단자 피팅
13 : 스플릿 접지 단자
26 : 로킹 랜스(단자 피팅 유지 부재)
34 : 브래킷 로킹 부재(브래킷 로킹부)
38 : 회로측 접촉 부재(회로측 접촉부)
40 : 브래킷측 접촉 부재(브래킷측 접촉부)
47 : 구획부
B : 브래킷

Claims (15)

  1. 전기 전도성 브래킷(B)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접지선(ground wire)을 포함한 케이블과 접속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피팅(12)과,
    각각이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12)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부(38)와, 브래킷(B)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를 포함하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장착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13; split ground terminal)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측 접촉부(38)는 커넥터 하우징(11)에 형성된 회로측 접촉부 연통 공간(45A,45B)을 통해 상기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12)에 접속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47)가, 커넥터 하우징(11)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사이에서 브래킷측 접촉부(40)를 회피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획부(47)는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11)의 전단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는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B)의 동일 플레이트 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12)은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로측 접촉부(38)는, 상기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12)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는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는 대칭 위치에서 브래킷(B)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12)은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고,
    인접 레벨의 단자 피팅(12)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측 접촉부(38)는 단자 피팅(12)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은 장착된 단자 피팅(12)과 탄성 결합할 수 있는 단자 피팅 유지 부재(26)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피팅 유지 부재(26)는 회로측 접촉부(38)와 반대측의 단자 피팅(12)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은 브래킷(B)을 로킹하기 위한 브래킷 로킹부(34)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로킹부(34)는 브래킷측 접촉부(40)와 반대측의 브래킷(B)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접지선(ground wire)을 포함한 케이블과 접속된 복수의 단자 피팅(12)을 전기 전도성 브래킷(B)에 장착되는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각각이 커넥터 하우징(11)에 형성된 회로측 접촉부 연통 공간(45A,45B)을 통해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12)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회로측 접촉부(38)와, 브래킷(B)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를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47)를, 커넥터 하우징(11)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사이에서 브래킷측 접촉부(40)를 회피하는 위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는 커넥터 하우징(11) 내로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획부(47)는 브래킷(B)과 스플릿 접지 단자(13)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커넥터 하우징(11)의 전단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측 접촉부(40)는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브래킷(B)의 동일 플레이트 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12)은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로측 접촉부(38)는, 상기 단자 피팅(12)의 레벨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지선 또는 접지선에 접속된 단자 피팅(12)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12)은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복수의 레벨로 배열되어 있고,
    인접 레벨의 단자 피팅(12)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080064596A 2007-07-03 2008-07-0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0990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5209A JP4978784B2 (ja) 2007-07-03 2007-07-03 コネクタ
JPJP-P-2007-00175209 2007-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21A KR20090004721A (ko) 2009-01-12
KR100990701B1 true KR100990701B1 (ko) 2010-10-29

Family

ID=3978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596A KR100990701B1 (ko) 2007-07-03 2008-07-0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53201B2 (ko)
EP (1) EP2020707B1 (ko)
JP (1) JP4978784B2 (ko)
KR (1) KR100990701B1 (ko)
CN (1) CN101340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8784B2 (ja) 2007-07-03 2012-07-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9940B2 (ja) 2008-01-17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259500A (ja) * 2008-04-15 2009-11-05 Yazaki Corp 同軸コネクタのアース構造
JP2014035855A (ja) * 2012-08-08 2014-0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装着構造
JP6008751B2 (ja) * 2013-02-04 2016-10-1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部品の取付具
JP6002592B2 (ja) * 2013-02-04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子接続構造
JP6047446B2 (ja) 2013-02-15 2016-12-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子接続構造
US9437977B1 (en) * 2015-03-06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Grounding and retention member
CN106816786B (zh) * 2015-11-27 2021-02-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组件
DE102016109266A1 (de) * 2016-05-06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JP6708025B2 (ja) * 2016-07-04 2020-06-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8462020B (zh) * 2017-02-20 2021-04-0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作业装置
DE102018116566A1 (de) * 2018-07-09 2020-01-0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JP6519702B1 (ja) * 2018-07-19 2019-05-29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21067061A1 (en) * 2019-10-01 2021-04-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Ganged coaxial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1486A (ja) 1998-07-06 2000-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202005007221U1 (de) * 2005-05-06 2006-09-21 Wieland Electric Gmbh Befestigungseinsatz für einen Steckverbinder
EP2020707A1 (en) 2007-07-03 2009-02-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1226A (en) * 1980-10-20 1983-02-0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Filter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5240425A (en) * 1991-09-20 1993-08-3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H06267615A (ja) * 1993-03-12 1994-09-22 Yazaki Corp 電磁シールドコネクタ
JPH10241791A (ja) * 1996-12-25 1998-09-1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H10223269A (ja) * 1997-02-05 1998-08-21 Kel Corp 圧接コネクタ
US6554646B1 (en) * 1998-12-14 2003-04-29 Berg Electronics Group,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11102752A (ja) * 1997-09-29 1999-04-13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1486A (ja) 1998-07-06 2000-01-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202005007221U1 (de) * 2005-05-06 2006-09-21 Wieland Electric Gmbh Befestigungseinsatz für einen Steckverbinder
EP2020707A1 (en) 2007-07-03 2009-02-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0707A1 (en) 2009-02-04
US20090011661A1 (en) 2009-01-08
JP2009016126A (ja) 2009-01-22
CN101340040B (zh) 2011-10-05
US7553201B2 (en) 2009-06-30
CN101340040A (zh) 2009-01-07
KR20090004721A (ko) 2009-01-12
JP4978784B2 (ja) 2012-07-18
EP2020707B1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70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US10763600B2 (en) Connector structure
KR101015930B1 (ko) 커넥터
US9209582B2 (en) Connector
JP2863083B2 (ja) コネクタ用防水栓
US7806720B2 (en) Wire harness and wire harness assembling method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US10819071B2 (en) Connector structure that is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either an STP cable or a UTP cable
KR20140059798A (ko) 플러그 커넥터
JP6943175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1110819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6682367B2 (en) Holder-equipped connector
KR20040019874A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JP200811770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20150111444A1 (en) Joint terminal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083213A (ja) コネクタ構造
WO2022264799A1 (ja) コネクタ
JP7436315B2 (ja) コネクタ
JP3136124B2 (ja) 多極コネクタ用リテイナ
JPH078976U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230058773A (ko) 커넥터 조립체
JP2002233030A (ja) 電気接続箱
JP2024057375A (ja) コネクタ
JP202012352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