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930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930B1
KR101015930B1 KR1020090003948A KR20090003948A KR101015930B1 KR 101015930 B1 KR101015930 B1 KR 101015930B1 KR 1020090003948 A KR1020090003948 A KR 1020090003948A KR 20090003948 A KR20090003948 A KR 20090003948A KR 101015930 B1 KR101015930 B1 KR 10101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tting
terminal
connector
partial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840A (ko
Inventor
히로요시 마에소바
히데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커넥터(40)는 복수의 단자 피팅(42), 각 단자 피팅(42)을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 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42)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하우징(41) 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42)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배치되어 있고,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제1 변형 공간(65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64A; locking lance)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배치되어 있고,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65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2 로킹 랜스(64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단자 피팅을 유지하기 위한 로킹 랜스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가 도 50에 도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단자 피팅(2)이 뒤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단자 수용 챔버(3)가 하우징(1) 내에서 상하 레벨로 형성되고, 단자 피팅(2)을 유지하기 위한 로킹 랜스(4)가 각 단자 수용 챔버(3)의 천장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로킹 랜스(4)는 단자 피팅(2)을 삽입 및 인출할 때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로킹 랜스(4)의 탄성 변형 중에 로킹 랜스(4) 위에 구획된 변형 공간 내로 후퇴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H06-32581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커넥터는 로킹 랜스와 변형 공간이 2개의 상하 레벨로 서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커넥터가 확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배열 방향으로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으로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선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제1 변형 공간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로킹 랜스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로킹 랜스에 대응하는 제1 변형 공간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해 측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2 로킹 랜스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제2 변형 공간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는 배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커넥터를, 배열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변형 공간과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적어도 부분적인 오버랩 및 제2 변형 공간과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적어도 부분적인 오버랩만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자 피팅과,
각 단자 피팅을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 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폭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서,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배치되어 있고, 삽입된 단자 피팅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제1 변형 공간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배치되어 있고, 삽입된 단자 피팅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로킹 랜스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로킹 랜스에 대응하는 제1 변형 공간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해 측방향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2 로킹 랜스에 대응하는 제2 변형 공간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구획되어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는 폭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커넥터를, 폭방향으로 제1 변형 공간과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오버랩 및 제2 변형 공간과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오버랩만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1) 제1 및 제2 변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감으로써 제1 및 제2 로킹 랜스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형 제한부를 구비하는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 내로 장착되고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는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 내로 장착되고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리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홈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및 제2 변형 공간에 들어감으로써 제1 및 제2 로킹 랜스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변형 제한부를 구비하는 리테이너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 내로 장착되거나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리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홈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소형화를 위해 적합한 것이다.
(2) 지그 삽입 홈은 제2 변형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리테이너는, 지그 삽입 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지그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그 삽입 홈이 제2 변형 공간과 연통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때, 조작부는 제2 변형 공간 내로 삽입되는 변형 제한부의 부분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3) 제2 변형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제2 로킹 랜스와 실질적으로 마주하여 제2 로킹 랜스가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고, 지그 삽입 홈은 바람직하게는 과잉 변형 방지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로킹 랜스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확보하면서 지그 삽입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작게 유지하면서 보다 양호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4) 지그 삽입 홈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한 쌍의 과잉 변형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로킹 랜스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만족스럽게 발휘할 수 있다.
(5) 리테이너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선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리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이 리세스는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인접하게, 그리고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에 대하여 측방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소형화를 위하여 적합한 것이다.
(6)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는 제1 변형 공간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에 장착되는 리테이너의 부분은 제1 변형 공간 내로 삽입되는 변형 제한부의 부분에 측방향으로 그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7)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크 아암을 구비한다. 특히, 로크 아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과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아암을 구비하고, 로크 아암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로크 아암과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오버랩만큼 높이 방향의 소형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8)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수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수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외주면은 접속 방향에서 보아 비대칭이다. 특히,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수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수가 상이하며,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외주면은 접속 방향에서 보아 비대칭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대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끼워질 때에 적절한 자세와 다른 자세로 있으면, 접속 방향에서 보아 접속 원주면이 비대칭이기 때문에, 경사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접속 원주면에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적절한 자세와 다른 자세에서의 접속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소형화에 보다 적합한 것이다.
(9) 제1 및 제2 로킹 랜스는 실질적으로 배열 방향으로 직선으로 정렬되어 있고, 및/또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0)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의 중심 위치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더라도, 이들 실시예의 각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4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차 또는 차량(도시 생략)에 고정되어 있거나 장착될 수 있는 브래킷(B)에 장착되는 커넥터(40) 및 이 커넥터(40)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접속되는 두 커넥터(10, 40)의 대향측[특히 절연 케이블(W)의 인출 방향 또는 측부]을 후방측으로 지칭하고, 수직 방향[높이 방향(HD)]과 관련해서는 도 1, 도 16 및 도 47을 참고로 한다.
<상대 커넥터>
먼저, 상대 커넥터(10)를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11;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상대 하우징(11)" 지칭함]과, 이 상대 하우징(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케이블[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W)]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상대 단자 피팅(12)과, 상대 하우징(11)에 또는 그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전방) 리테이너(13)를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
상대 단자 피팅(12)과 연결되는 동축 케이블(W)은 내부 도체(코어), 내부 절연층, 외부 도체(예컨대, 편조선, 도전성 막 또는 층) 및 외부 피복(outer sheath)이 축방향 중심으로부터 그 순서로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들 중에서, 내부 도체는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을 형성하고, 외부 도체는 상기 전기 회로의 접지선이나 도체, 이 전기 회로의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실드를 형성한다.
<상대 단자 피팅>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 피팅(12)은 동축 케이블(W)의 내부 도체와 접속되는 내부 도체 단자(도시 생략)와, 내부 도체 단자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도체 단자(14)와, 내부 도체 단자와 외부 도체 단자(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내부 및 외부 도체 단자를 서로 절연 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체(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외부 도체 단자(14)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내부 도체 단자의 외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메인부(14a)와, 동축 케이블(W)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서 노출된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바람직하게는 크림핑, 벤딩 또는 폴딩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14b)가 차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는 커넥터(40)와의 접속 시에 상기 메인부(14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이 때에, 내부 도체 단자는 단자 피팅(42)의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을 형성하는] 내부 도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접속부(14b)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crimping piece)를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바람직하게는 각각]에 구비한다.
와이어 접속부(14b)와 연결된 메인부(14a)의 바닥판에는, 상대 하우징(11)의 로킹 랜스(2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랜스 로킹 구멍 또는 리세스(15)가 형성되어 있고, 로킹 랜스(20)는 바람직하게는 랜스 로킹 구멍(15)의 전방 에지와 결합될 수 있다. 랜스 로킹 구멍(15)의 전방 에지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가공된다. 랜스 로킹 구멍(15)의 (바람직하게는 양측) 측방향 에지에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을 따라 돌출하거나 서 있도록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16; stabilizer)가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17)가, 원주 방향으로 랜스 로킹 구멍(15)으로부터 약 90도 간격을 두고 있는 메인부(14a)의 위치에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돌출부(17)는 커넥터(40)와의 접속 시에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대 하우징>
상대 하우징(11)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이며, 커넥터(40)의 적어도 하나의 로크 아암(52)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부(18)가 상대 하우징(11)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18)는, 상대 하우징(11)의 측면(상면)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에 개방된 전단 및 후단을 갖는 한 쌍의 홈부(18a)를 형성할 때에 남겨지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부(18)의 전면(前面)은 로크 아암(52)의 이동을 그 위에서 안내하도록 경사지거나 둥글게 되어 있다. 로크부(18)의 후면은 높이 방향(HD)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크 아암(52)과 결합할 수 있는 로킹면으로서 작용한다.
상대 하우징(11)에는, 상대 단자 피팅(12)이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는, 상대 단자 피팅(12)의 메인부(14a)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합치되게 둥글거나 라운드진 단면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FBD)으로 상대 하우징(11)을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 단자 피팅(12)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수용 챔버 내로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 피팅(12)의 랜스 결합부(15)와 탄성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대 단자 피팅(12)을 유지할 수 있는 로킹 랜스(20)가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로킹 랜스(20)는 높이 방향(HD)[상대 단자 피팅(12)의 삽입 및 인출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상항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탄성 변형 중에 높이 방향으로 로킹 랜스(2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변형 공간(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한다.
변형 공간(21)은,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에 대향하는 측에서] 탄성 변형 방향으로 로킹 랜스(20)에 마주하는 상대 하우징(11)의 벽에 형성되고, 전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로킹 랜스(2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홈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로킹 랜스(20)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벽면이 각각 경사져 있다(도 1 참조). 또한, 로킹 랜스(20)가 탄성 한계를 넘어서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기 전에 로킹 랜스(20)와 결합됨으로써 로킹 랜스(20)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22)가, 사이에 변형 공간(21)이 위치된 상태로 로킹 랜스(20)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상대 하우징(11)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응 안정기(16)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 삽입 홈(23)이 로킹 랜스(20)의 측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에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도록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의 내주벽면에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상대 단자 수용 챔버 및 로킹 랜스 등의 배치>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는 상대 하우징(11) 내에 높이 방향(HD)을 따라 오프셋된 2 이상의 레벨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술한 총 3개의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는 상대 하우징(11) 내에 높이 방향(HD)을 따라 2개의 레벨로 설치되어 있고, 로킹 랜스(20) 및 변형 공간(21)이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이한 레벨(특히 상부 및 하부 레벨) 사이의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 로킹 랜스(20) 및 변형 공간(21)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상부) 레벨에 속하는 부분에 첨자 A를 붙이고, 제2(하부) 레벨에 속하는 부분에 첨자 B를 붙이며,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경우에는 첨자를 부여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는 상대 하우징(11) 내에서 제1(상부) 레벨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 이상의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와, 제2(하부) 레벨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를 구비하며,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와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는 높이 방향(HD)으로 서로 인접하는 위치 관계로 있다.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는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로부터 폭방향(WD)으로 변위되어 있고,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는 폭방향(WD)으로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19B)는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고,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19B)의 중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에 대응하는 상대 하우징(11)의 상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반면에,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 에 대응하는 하부는 바닥 단부를 향하여 협소하게 되므로, 상대 하우징(11)의 외형(외주면, 접속 외주면)은 전방[접속 방향으로 전방측]에서 보아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이다.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에 배치된 제1 로킹 랜스(20A)는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또는 하향으로, 즉 실질적으로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반면에,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에 배치된 제2 로킹 랜스(20B)는 실질적으로 외측 또는 상향으로, 즉 실질적으로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를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로킹 랜스(20A)와 제2 로킹 랜스(20B)의 탄성 변형 방향은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또한, 제1 로킹 랜스(20A) 및 제2 로킹 랜스(20B)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HD)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폭방향(WD)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상에 정렬되어 있다.
제1 로킹 랜스(20A)의 탈출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변형 공간(21A)이 높이 방향(HD)으로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는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로킹 랜스(20B)의 탈출을 허용하기 위한 제2 변형 공간(21B)이 높이 방향(HD)으로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는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의 사이[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부(18)와 홈부(19a)는 높이 방향(HD)으로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 는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쪽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의 사이[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 로킹 랜스(20), 변형 공간(21) 및 로크부(18)[홈부(18a)]가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대 하우징(11)의 소형화를 위하여 적합한 것이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
전방 리테이너(13)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앞으로부터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가 상대 하우징(1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는 바람직하게는 상대 하우징(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는, 높이 방향(HD)으로 각 로킹 랜스(20)와 각 변형 공간(2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범위에 있어서 상대 하우징(11)의 전면(前面)에서, 로킹 랜스(20)와 변형 공간(21)의 배열 방향인 실질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스트립 형상(즉, 높이보다 넓이가 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대 하우징(11)의 양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는, 개방 전단을 갖고 및/또는 전면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범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의 형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에 의해, 로킹 랜스(20)에 마주하는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의 전방벽의 부분이 절결되어(cut off) 있다.
전방 리테이너(13)를 장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 리테이너 유지부(25)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리테이너 유지부(26)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에 의해 오목하게 된 상대 하우징(11)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측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 유지부(25, 26)는 실질적으로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그 돌출 높이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의 깊이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테이너 유지부(25)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의 전단 위치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리테이너 유지부(26)는 제1 리테이너 유지부(25)보다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그로부터 하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전방 리테이너>
전방 리테이너(13)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및/또는 전체적으로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를 따라 실질적으로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WD)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긴 주판(27; primary plate), 주판(27)의 후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28)과, 주판(27)의 후면의 중간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변형 제한부(29)를 구비한다.
변형 제한부(29)는, 전방 리테이너(13)가 상대 하우징(11) 내로 장착될 때에 로킹 랜스(20)용의 변형 공간(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로킹 랜스(2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변형 제한부(29)가 폭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주판(27)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 또는 중간의 변형 제한부(29)[또는 중간 변형 제한부(29) 중 적어도 하나] 가 상대 하우징(11)의 제2 변형 공간(21B)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비교적 높은 위치[또는 측방향 변형 제한부(29)에 대하여 높이 방향(HD)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의 변형 제한부(29)는 상대 하우징(11)의 제1 변형 공간(21A)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변형 제한부(29)는 상대 하우징(11)의 제1 변형 공간(21A) 및 제2 변형 공간(21B)에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오프셋 위치에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 전방으로부터 각 로킹 랜스(20)에 마주하는 주판(27)의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절결부(2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로킹 랜스(20)는 장착 상태에서 대응 절결부(27a)을 통하여 전방에서 외측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도 14 참조). 이에 따라, 각 로킹 랜스(20)를 강제로 탄성 변형시키는 지그(도시 생략)가 대응 절결부(27a)를 통하여 전방에서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각 절결부(27a)는 바람직하게는 주판(27)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높이 방향(HD)으로 각 변형 제한부(29)와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양 측판(28)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중간 위치에서 상대 하우징(11)의 측면 형상과 합치하게 둔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 양 측판(28)의 상부는 높이 방향(HD)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인 반면에, 그 하부는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11)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 유지부(25, 26)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로킹부(30, 31)가 양 측 판(28)의 상부 및 하부의 내면[상대 하우징(11)의 측면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로킹부(30, 31)는 측판(28)의 내면에 개방 전단 및 후단을 갖는 한 쌍의 홈부를 형성할 때에 남겨지는 부분이다. 제1 로킹부(30)는 측판(28)의 상부의 비교적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제2 로킹부(31)는 측판(28)의 하부의 비교적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제1 및 제2 로킹부(30, 31)는 전후 방향(FBD)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개방된 후단을 갖고 전방 리테이너(13)를 이동시키도록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걸리는 조작 홈(32)이 양 측판(28)의 하부의 후방 에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방 리테이너(13)는 상대 하우징(11)에 있어서 전후 방향(FBD)으로 상이한 두 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리테이너(13)가 상대 하우징(11)으로부터 전방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1 로킹부(30)의 전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 유지부(25)의 후면과 결합하며, 이로써 전방 리테이너(13)가 그 위치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된다. 이 때에, 각 변형 제한부(29)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21)의 전방으로 후퇴하거나 대응 변형 공간(2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변위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로킹 랜스(20)의 탄성 변형, 즉 상대 단자 피팅(12)의 삽입 및 인출을 허용한다. 이러한 장착 위치는 부분 로킹 위치로 지칭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방 리테이너(13)가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2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 바람직하게는 상대 하우징(11) 및 전방 리테이너(13)의 외주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2 로킹부(31)의 전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 유지부(26)의 후면과 결합하며, 이로써 전방 리테이너(13)가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에, 각각의 변형 제한부(29)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각 로킹 랜스(2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이 장착 위치는 완전 로킹 위치로 지칭된다.
<브래킷>
다음으로, 커넥터(40)가 장착되는 브래킷(B)을 설명한다. 브래킷(B)은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대하여 고정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측방향으로 긴 캔틸레버 형상 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킹 구멍(locking hole) 또는 리세스(Ba)가 선단 근처의 브래킷(B)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B)의 선단은 커넥터(40)를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전체 원주에 걸쳐 경사지거나 둥글게 되어 있다.
<커넥터>
다음으로, 브래킷(B)에 장착되는 커넥터(40)를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는 커넥터 하우징[41; 이하에서 단순히 "하우징(41)"으로 지칭함]과, 하우징(4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있거나 장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W)의 단부와 접촉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자 피팅(42)과, 하우징(41)에 장착되는 전방 리테이너(43)와, 브래킷(B) 및/또는 단자 피팅(42)의 부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하우징(41)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 바람 직하게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분할 접지 단자(44)를 구비한다. 이 커넥터(40)는 브래킷(B)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10)와 접속되어 있다. 단자 피팅(42)과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W)의 구조는 전술한 상대 커넥터(10)의 동축 케이블(W)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단자 피팅>
도 15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피팅(42)은 동축 케이블(W)의 내부 도체와 접속되는 내부 도체 단자(도시 생략)와, 내부 도체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동축 케이블(W)의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도체 단자(45)와, 내부 및 외부 도체 단자를 서로 절연 상태로 유지하도록 내부 도체 단자와 외부 도체 단자(45)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절연체(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외부 도체 단자(45)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내부 도체 단자의 외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메인부(45a)와, 동축 케이블(W)의 단부에서 노출된 외부 도체에 접속되는[바람직하게는 크림핑, 벤딩 또는 폴딩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45b)가 차례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46)는 메인부(45a) 및 와이어 접속부(45b)와 접속된 바닥판 또는 기판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메인부(45a)[바람직하게는 그 후단측]에서 메인부(45a)로부터 펼쳐지거나(open up)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46)는, 메인부(45a)의 후단부 또는 그 근방의 개방부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측면)의 위치에 (바람직 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수직 방향(VD)으로 돌출하는 판형 부재의 형태이다. 메인부(45a)의 개방부의 전방 에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는 랜스 결합부(47)는 메인부(45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가공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48)가 [바람직하게는 랜스 결합부(47)로부터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떨어져 있는 메인부(45a)의 위치에서 절단 및 벤딩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도체 단자는, 커넥터(40)와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10)의 (차량의 전기 회로의 신호선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대 단자 피팅(1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 접속부(45b)는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바람직하게는 각각)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크림핑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하우징(41)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42) 및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분할) 접지 단자(4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49)와, 상대 커넥터(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리셉터클(50)과, 브래킷(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브래킷 장착부(51)를 개략적으로 구비한다.
리셉터클(50)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49)의 (바람직하게는 전단의) 둘레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튜브의 형태이며, 상대 커넥터(10)가 전후 방향(FBD)을 따라 또는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접속 공간[단자 수용부(49) 로의 공간]이 리셉터클(50)의 내측에 구획되어 있다. 이 접속 공간을 특정하는 리셉터클(50)의 내주면[상대 하우징(11)과의 연결 원주면]은, 전방(접속 방향으로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 상대 하우징(11)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합치하게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하우징(11)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52)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로크 아암(52)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측면)의 위치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52)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크 보호부(53)가 단자 수용부(49) 및 리셉터클(50)의 측면(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
도 19, 도 20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52)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는 아암 본체부(54)를 구비하고, 로크부(18)와 결합되는 클로 형상(claw-shaped)의 상호 결합부(55)가 아암 본체부(54)의 전단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 또는 외측으로부터 눌리거나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56)가 그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호 결합부(55)를 구비하는 아암 본체부(54)의 전단부는 중간부보다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조작부(56)를 구비하는 아암 본체부의 후단부는 중간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아암 본체부(54)는 (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일정 폭을 갖는 중간부와, 중간부와 보다 협소한 전단부를 연결하며 전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협소하게 되는 폭을 갖는 부분과, 단차를 형성하면서 중간부보다 넓게 형성된 후단부를 구비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부(55)를 구비하는 아암 본체부(54)의 전단부는 리셉터클(50)의 상부(50a)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된 부분 절결부(50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있어서, 상호 결합부(55)가 접속 공간 내로 돌출한다. 달리 말하면, 리셉터클(50)에 절결부(50b)를 형성할 때에 구획된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로크 아암(52)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 절결부(50b)를 형성하여 전후 방향으로 단자 수용부(49) 및 리셉터클(50)의 상부를 관통시키거나 오목하게 한다.
로크 아암(52)의 양 측면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 지지부(57)를 통하여 양 로크 보호부(53)의 대향 내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하면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2 로크 지지부(58)를 통하여 리셉터클(50)과 단자 수용부(49)의 대향 상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써 로크 아암(52)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연결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높이 방향(HD)으로 수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 지지부(57)는 로크 아암(52)과 로크 보호부(5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로크 아암(5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전후 방향(FBD)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그 후단(또는 후단 부근)은 로크 아암(52)의 넓은 후단부의 측방향 단부의 전단과 연결되어 있고, 그 전단부의 측방향 에지는 로크 보호부(53)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로크 지지부(57)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52)보다 짧고, 구체적으로는 로크 아암(52)의 길이의 약 절반이며, 로크 보호부(53)와 연결된 전단부는 로크 아암(52)의 중간부의 전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아암(52)과 연결된 후단부와 로크 보호부(53)와 연결된 전단부 사이에 있는 제1 로크 지지부(57)의 부분은 로크 아암(52) 및 로크 보호부(53)로부터 떨어져 있고,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써 로크 아암(52)은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크 지지부(58)의 바닥 단부는, 절결부(50b)의 둘레 에지를 포함하고 단자 수용부(49)의 전단부 및 리셉터클(50)의 후단부의 양측에 걸쳐 있거나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 리셉터클(50)의 상부(50a)와 연결되어 있다. 양쪽 제2 로크 지지부(58)는 절결부(50b)의 실질적으로 양측의 위치에서 폭방향(WD)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로크 지지부(58)의 상단은 로크 아암(52)의 아암 본체부(54)의 중간부의 전단 위치 또는 그 위치 부근에서 연결되어 있고, 이들 연결 위치는 전후 방향(FBD)으로 단자 수용부(49)와 리셉터클(50)의 연결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리셉터클(50) 및 단자 수용부(49)와 제2 로크 지지부(58)의 연결 위치는 전후 방향(FBD)으로 로크 보호부(53)와 제1 로크 지지부(57)의 연결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
전방에서 하우징(41)을 보았을 때, 리셉터클(50)의 상부(50a), 로크 보호부(53) 및 로크 지지부(57, 5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하나 이상의 공간에, 리셉터클(50)을 보강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59)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보강부(59)의 바닥 단부는 리셉터클(50)의 상부(50a)의 전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측방향 단부는 로크 보호부(53)의 전단 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59)의 전단면은 리셉터클(50)의 전단면 및 로크 보호부(53)의 전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 지지부(57)는 로크 아암(52)과 평행하게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60)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60)의 전단은 보강부(59)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연장부(60)의 하나 이상의 측방향 에지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인접 로크 보호부(53)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 장착부>
다음으로, 브래킷 장착부(51)를 설명한다. 브래킷 장착부(51)는 도 16 내지 도 18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방향(HD)으로 연장되는 하우징(4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장착부에 장착되는 브래킷(B)은 그 판 표면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있다.
브래킷 장착부(51)는 바닥이 있는 리세스 또는 후단부가 개방된 백의 형태이며, 그 내부 공간은 브래킷(B)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수용 챔버(51a)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브래킷 장착부(51)는, 하우징(4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측벽(51b)과, 하우징(41)의 측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양 측벽(51b)의 돌출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벽(51c; bulging wall)과, 양 팽출벽(51c)을 가교하거나 연결하도록 양 팽출벽(51c)의 부분으로부터 추가로 돌출하는 가교벽(51d)과, 가교벽(51d)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브래킷 로킹 부재(51e)와, 하우징(4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측벽(51b)의 전단 및 팽출벽(51c)의 전단과 연결 되어 있는 전방 정지벽(51f)을 구비한다. 브래킷 수용 챔버(51a)는 브래킷(B)의 폭 및 두께와 합치되게 적절한 치수로 설정된다.
브래킷 로킹 부재(51e)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의 형태이고, 실질적으로 폭방향(WD)[브래킷(B)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브래킷 수용 챔버(51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브래킷 로킹 부재(51e)의 자유 단부의 내면에 로크 돌출부(lock projection)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로크 돌출부는 브래킷(B)의 로크 구멍(Ba)의 구멍 에지와 결합되며, 이로써 하우징(41)이 이탈하지 않도록 브래킷(B) 상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도 34 참조). 브래킷 로킹 부재(51e)는 브래킷 장착부(51)의 수직 방향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 로킹 부재(51e)는 브래킷(B)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변위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49)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수용부(49)는, 단자 피팅(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와, 전방 리테이너(4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와, 하나(또는 그 이상의 분할) 접지 단자(4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나(또는 그 이상의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를 구비한다.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를 분할 접지 단자(44)와 함께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자 피팅 수용 챔 버(61)와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를 연속해서 설명한다.
<단자 피팅 수용 챔버>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는, 상대 단자 피팅(42)의 메인부(45a)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합치하게 바람직하게는 둥글거나 라운드진 단면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단자 수용부(49)를 관통하는 구멍 또는 리세스의 형태이며, 단자 피팅(42)은 삽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42)의 랜스 결합부(47)와 탄성 결합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2)을 유지할 수 있는 로킹 랜스(64)가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 피팅(42)은, 바람직하게는 메인부(45a)의 전방부가 접속 공간 내로 돌출하도록 로킹 랜스(64)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도 30 참조).
로킹 랜스(64)는 높이 방향(HD)[상대 단자 피팅(42)의 삽입 및 인출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상향 및 하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탄성 변형 중에 높이 방향(HD)으로 로킹 랜스(64)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변형 공간(65) 내로 후퇴된다. 변형 공간(65)은,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와 실질적으로 반대쪽 측면에서] 탄성 변형 방향으로 로킹 랜스(64)에 마주하는 상대 하우징(41)의 벽에 형성되고 전단부가 개방된 홈의 형태이다. 또한, 로킹 랜스(64)가 탄성 한계를 넘어서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기 전에 로킹 랜스(64)와 결합됨으로써 로킹 랜스(64)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66)가, 사 이에 변형 공간(65)이 위치된 상태로 로킹 랜스(64)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하우징(41)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각 안정기(4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정기 삽입 홈(67)이, 로킹 랜스(64)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도록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의 내주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각 돌출부(4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돌출부 삽입 홈(68)이, 바람직하게는 로킹 랜스(64)로부터 약 90도의 각도 간격를 두고 있는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도록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의 내주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8)는 단자 피팅(42)이 적절한 깊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돌출부 삽입 홈(68)의 전방 에지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단자 피팅(42)은 정지되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단자 피팅 수용 챔버 및 로킹 랜스 등의 배치>
전술한 복수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는 단자 수용부(49) 내에 높이 방향(HD)으로 2 이상의 레벨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전술한 총 3개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는 단자 수용부(49) 내에 높이 방향(HD)으로 2개의 레벨로 설치되어 있고, 로킹 랜스(64), 변형 공간(65) 및 과잉 변형 방지부(66)가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레벨 및 제2 레벨(상부 및 하부 레벨) 사이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로킹 랜스(64), 변형 공 간(65) 및 과잉 변형 방지부(66)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 레벨(바람직하게는 상부 레벨)에 속하는 부분에 첨자 A를 붙이고, 제2 레벨(바람직하게는 하부 레벨)에 속하는 부분에 첨자 B를 붙이며,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경우에는 첨자를 부여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는 단자 수용부(49) 내에서 제1(상부) 레벨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 이상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제2(하부) 레벨에 배치된[또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대하여 수직 방향(VD)으로 변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를 구비하며,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는 높이 방향(HD)[또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그러한 위치 관계로 있다.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로부터 폭방향(WD)[또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배열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고,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사이(또는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는 폭방향(WD)으로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의 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61B)는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고,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61B)의 중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배치된 제1 로킹 랜스(64A)는 하향으로 또 는 외측으로, 즉 실질적으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는 반면에,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배치된 제2 로킹 랜스(64B)는 상향 또는 외측으로, 즉 실질적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를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로킹 랜스(64A)와 제2 로킹 랜스(64B)의 탄성 변형 방향은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또한, 제1 로킹 랜스(64A) 및 제2 로킹 랜스(64B)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HD)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폭방향(W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상에 정렬되어 있다.
제1 로킹 랜스(64A)의 탈출을 허용하기 위한 제1 변형 공간(65A)과 제1 로킹 랜스(64A)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과잉 변형 방지부(66A)는 높이 방향(HD)으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는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로킹 랜스(64B)의 탈출을 허용하기 위한 제2 변형 공간(65B)과 제2 로킹 랜스(64B)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는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는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고,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사이[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52)의 전단은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지만, 폭방향(WD)으로는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어 있고,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사이[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로킹 랜스(64), 변형 공간(65), 과잉 변형 방지부(66) 및 로크 아암(52)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41)의 소형화를 위하여 적합한 것이다.
<지그 삽입 홈>
도 1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리테이너(43)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그 삽입 홈(69)이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에 형성되어 있다. 지그 삽입 홈(69)은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부분적으로 잘라내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의 위치(중간 또는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그 삽입 홈(69)은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으로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폭방향(WD)으로 좌우 섹션으로 나눈다(분할한다). 이에 따라, 지그 삽입 홈(69)의 실질적으로 측방향 양측에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가 남겨지고, 바람직하게는 제2 로킹 랜스(64B)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단과 결합할 수 있다. 지그 삽입 홈(69)은 제2 변형 공간(65B)과 연통하도록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잘라내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지그 삽입 홈(69)은 또한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의 격벽을 잘라내거나 오목하게 하며, 이로써 상기 격벽을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측방향 (좌측 및 우측) 섹션으로 분할한다. 지그 삽입 홈(69)은 제2 로킹 랜스(64B)의 기단 위치(후단 위치)보다 전방의 위치에 도달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리테이너(43)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앞으로부터, 또는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 및/또는 전후 방향(FBD)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가 단자 수용부(49)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는, 단자 수용부(49)의 전면의 하부 영역(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부 절반 영역)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 리세스 섹션(62a; recessed section)과, 바람직하게는 리세스 섹션(62a)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리세스 섹션(62a)의 실질적으로 양측 단부 위치에 형성된 홈 섹션(62b; grooved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세스 섹션(62a)은, 바람직하게는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보다 낮고, 각 과잉 변형 방지부(66A)를 포함하지만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전방벽은 포함하지 않는 단자 수용부(49)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 섹션(62a)은 각 변형 공간(65)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의 홈 섹션(62b)은 바람직하게는, 제1 로킹 랜스(6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부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이르는 높이 방향(HD)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리셉터클(50)의 내주면을 따라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 홈 섹션(62b)의 상부는 높이 방향(HD)으로 제1 로킹 랜스(64A) 및 제1 변형 공간(65A)과 오버랩되고, 폭방향(WD)으로 제1 로킹 랜스(64A) 및 제1 변형 공간(65A)에 대하여 측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홈 섹션(62b)의 하부는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인접하고, 폭방향(WD)으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측방향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리테이너(43)를 장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1 리테이너 유지부(70) 및 제2 리테이너 유지부(71)가 홈 섹션(62b)의 둘레 에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리테이너 유지부(70)는 홈 섹션(62b)의 상부 에지의 전단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돌출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리테이너 유지부(71)는 제1 리테이너 유지부(70)보다 후방의 홈 섹션(62b)의 하부 에지의 위치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한다. 전방 리테이너(43)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방 리테이너>
전방 리테이너(43)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를 따라 전체적으로 게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WD)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긴 주판(主板)(72), 주판(72)의 후면의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73)과, 주판(72)의 후면의 중간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변형 제한부(74)와, 주판(72)의 상부 에지로부터 외측 또는 상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조작부(75)를 구비한다. 주판(72)은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의 리세스 섹션(62a)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형상을 갖고,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전방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72a)이 주판(7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변형 제한부(74)는, 전방 리테이너(43)가 하우징(41) 내로 장착될 때에 로킹 랜스(64)용의 변형 공간(6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로킹 랜스(64) 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변형 제한부(74)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주판(27)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 또는 중간의 변형 제한부(74)는 하우징(41)의 제2 변형 공간(65B)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의 변형 제한부(74)는 하우징(41)의 제1 변형 공간(65A)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대응 로킹 랜스(64)와 마주하는 각 변형 제한부(74)의 표면은 대응 로킹 랜스(64)의 외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은 각 변형 제한부(74)에 인접한 주판(72)의 에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 측판(73)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중간 위치에서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의 홈 섹션(62b)의 형상과 합치하게 둔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 양 측판(73)의 상부는 높이 방향(HD)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인 반면에, 그 하부는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의 제1 및 제2 리테이너 유지부(70, 71)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로킹부(76, 77)가 바람직하게는 양 측판(73)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로킹부(76)는 측판(73)의 상부 에지의 비교적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제2 로킹부(77)는 측판(73)의 하부 에지의 비교적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75)는 바람직하게는 지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하우징(41)에 장착된 전방 리테이너(43)를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키거나 조작하도록 동작하고, 주판(72)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 로 폭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조작부(75)는 높이 방향으로 중앙 또는 중심의 제2 로킹 랜스(64B)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변형 제한부(74)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조작부(75)는 하우징(41)에 있어서 지그 삽입 홈(6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도 32). 조작부(75)의 높이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지그 삽입 홈(69)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그는 전방으로부터 끼워진 조작부(75) 위에 위치되는 지그 삽입 홈(69)의 부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방 리테이너(43)는 하우징(41)에 있어서 전후 방향(FBD)으로 상이한 두 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리테이너(43)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4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1 로킹부(76)의 전면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 유지부(70)의 후면과 결합하며, 이로써 전방 리테이너(43)가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에, 각 변형 제한부(74)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65)의 전방으로 후퇴하거나 대응 변형 공간(65)으로부터 변위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로킹 랜스(64)의 탄성 변형, 즉 상대 단자 피팅(42)의 삽입 및 인출을 허용한다. 이러한 장착 위치는 부분 로킹 위치로 지칭된다. 이 부분 로킹 위치에서, 각 변형 제한부(74)와 대응 로킹 랜스(64) 사이에는 특정의 (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간극(clearance)이 형성되며, 로킹 랜스(64)를 강제로 로킹 해제시키는 지그(도시 생략)가 전방으로부터 상기 간극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도 30). 다른 한편으로, 전방 리테이너(43)가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 내로 적어도 부분 적으로 끼워져 바람직하게는 전방 리테이너(43)의 전단면과 단자 수용부(49)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면, 제2 로킹부(77)의 전면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 유지부(71)의 후면과 결합하며, 이로써 전방 리테이너(43)가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에, 각 변형 제한부(74)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6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거나 대응 변형 공간 내로 돌출하여 각 로킹 랜스(64)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이 장착 위치는 완전 로킹 위치로 지칭된다.
<분할 접지 단자 및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
다음으로, 분할 접지 단자(44) 및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5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 접지 단자(44)는,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판을 바람직하게는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특정의 (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가지 타입의 분할 접지 단자(44)가 있다. 즉, 하나는 제1(상부) 레벨의 두 단자 피팅(42)을 브래킷(B)에 접속하도록 2개의 접점을 갖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제2(하부) 레벨의 하나의 단자 피팅(42)을 브래킷(B)에 접속하도록 하나의 접점을 갖는 것이다. 각 분할 접지 단자(44)는 단자 수용부(49)에 형성된 대응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별적으로 수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분할 접지 단자(44) 및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2개의 접점을 갖는 부분에는 첨자 A를 부여하고,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부분에는 첨자 B를 부여하며,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집합적으로 지칭하는 경우에는 첨자를 부여하지 않는다.
<분할 접지 단자의 공통 구조>
먼저, 양 분할 접지 단자(44)의 공통 구조를 설명한다. 각 분할 접지 단자(44)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 및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주판(78)과, 이 주판(78))을 부분적으로 잘라내거나 오목하게 하고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단자 접촉 부재(79)와, 주판(78)의 측방향 에지에서 구부러지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는 측판(80)과, 측판(80)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 접촉 부재(81)를 구비한다. 단자 접촉 부재(79)는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와 접촉할 수 있고,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브래킷(B)과 접촉할 수 있다.
도 41 및 도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판(78)은 전후 방향의 길이 및 폭이 단자 수용부(49)보다 짧고,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절곡(bending)에 의해 주판(78)의 양측 에지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유지 부재(82)가 형성되고, 이들 유지 부재(82)는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내벽면을 맞물어서,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가 하우징(41)에 유지된 상태로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6, 도 37,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79)는, 주판(78)에 전단부가 개방된 한 쌍의 슬릿을 형성하고 양 슬릿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 부재를 구부림으로써 캔틸레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 접촉 부재(79)가 구부러짐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자 접촉 부재(79)의 폭 및 양 슬릿의 폭의 합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절결부(83)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83)는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 주판(78)을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길고 협소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전단이 개방되어 있다.
단자 접촉 부재(79)는 측판(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장착 상태에서 커넥터(40)의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주판(78)으로부터 구부러지고, [절결부(83)의 개구를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주판(78)의 전단 위치에서 주판(78)을 향하여 접혀 있고, 이 접힌 부분(79a; folded portion)이 단자 피팅(42)과의 접촉점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단자 접촉 부재(79)는 전후 방향(FBD)으로 절결부(8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단자 접촉 부재(79)는 높이 방향(HD)으로 절결부(83)가 형성된 주판(78)으로부터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어, 절결부(83) 내의 공간을 활용한다. 단자 접촉 부재(79)는 기단(base end)을 지지점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상향 및 하향[단자 피팅(42)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옆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84)가 단자 접촉 부재(79)의 자유 단부의 실질적으로 양측 에지에 설치되어 있다. 양 돌출부(84)는 단자 접촉 부재(79)의 자유 단부를 부분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형성되고, 그 돌출 길이는 슬릿의 폭보다 길다. 양 돌출부(84)는 주판(78)의 절결부(83)의 둘레 에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 접촉 부재(79)의 탄성력이 증가하고, 그 과잉 탄성 변형이 방지된다.
도 35, 도 36,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판(78)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구부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각 절결부(83)의 뒤쪽에서 주판(78)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85)가 형성된다. 특히, 폭방향(WD)으로 절결부(83)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한 쌍의 요동 방지부(85)가 마련되어 있다. 요동 방지부(85)는 주판(78)으로부터 단자 접촉 부재(7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서 있다. 요동 방지부(85)에 의하여 주판(78)이 하우징(41)에 대하여 수직 방향(VD)[단자 접촉 부재(79)가 단자 피팅(4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80)은 주판(78)의 측방향 에지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판 부재를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주판(78)과 측판(80)은 전방 또는 뒤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 형상을 형성한다. 측판(80)은 수직 방향(VD)으로 연장하는 협소한 긴 부재의 형태이며,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그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도 36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79)와 유사하게,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후단이 기단이고 전단이 자유단인 캔틸레버의 형태이다.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바람직하게는, 측판(80)으로부터 주판(78)과 실질적으로 반대측[장착 상태에서 커넥터(4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서 있고 중간 위치에 피크를 갖는 대략 완만한 산 형상을 갖고, 그 피크부가 접촉점으로서 기능한다. 단자 접촉 부재(79)와는 달리, 브래킷 접촉 부재(81)의 자유단은 심지어 탄성 변형 중에도 주판(78) 및 측판(80)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기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폭방향(WD)[브래 킷(B)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단자 피팅(42)의 수직 배열 방향(V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브래킷(B)과의 접촉면으로서의 브래킷 접촉 부재(81)의 외면은 도 35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이 테이퍼져 있고, 그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부)는 그 양측보다 외측으로 [장착 상태에서 브래킷(B)을 향하여] 돌출한다. 또한,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단자 접촉 부재(79)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 접지 단자의 개별 구조>
다음으로, 양 분할 접지 단자(44A, 44B)의 개별 구조를 설명한다.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A)(도 36)에는 2개의 단자 접촉 부재(79A)와 2개의 절결부(83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B)(도 39)에는 하나의 단자 접촉 부재(79B)와 하나의 절결부(83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A)의 주판(78A)의 폭은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B)의 주판(78B)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도 36 및 도 39). 2개의 단자 접촉 부재(79A)와 2개의 절결부(83A)는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A)(도 36)의 폭방향(WD)에 대하여 주판(78A)에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하나의 단자 접촉 부재(79B)와 하나의 절결부(83B)는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44B)(도 39)에 있어서 주판(78B)의 중심으로부터 측판(80B)과 실질적으로 반대측을 향하여 변위된 위치에 형성된다.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의 공통 구조>
다음으로, 양쪽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의 공통 구조를 설명한다.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49)에 있어서 후단이 개방되고,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보다 반경 방향 외측 및 커넥터(40)에 있어서 브래킷 수용 챔버(51a)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실질적으로 배치된 홈의 형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는, 뒤에서 보았을 때 대응 분할 접지 단자(44)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합치되고,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연장되고 주판(7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주판 수용부(86)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으로 연장되고 측판(80)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측판 수용부(87)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실질적으로 L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주판 수용부(86)와 인접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사이에 있는 단자 수용부(49)의 부분에 개방된 후단을 갖도록, 수용 챔버(61, 63)를 연통시키고 단자 접촉 부재(79)를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이 각각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측판 수용부(87)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 사이에 있는 단자 수용부(49)의 부분에 개방된 후단을 갖도록, 수용 챔버(51a, 63)를 연통시키고 브래킷 접촉 부재(81)를 브래킷 수용 챔버(51a) 내로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접촉 부재 연통 홈(8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분할 접지 단자용의 위치 결정 구조>
도 17, 도 41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주판 수용부(86)의 원주면 상에서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장착된 분할 접지 단자(44)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90)는 단자 접촉 부재(79) 및 분할 접지 단자(44)의 절결부(83)와 합치하게 폭방향(WD)으로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할 접지 단자(44)를 장착할 때에, 위치 결정부(90)가 절결부(83A)에 끼워지며, 이로써 분할 접지 단자(44)는 폭방향(WD)으로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에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 접촉 부재(79)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 및 단자 피팅(42)에 대하여 폭방향(WD)으로 위치 결정된다. 각 위치 결정부(9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고, 폭방향(WD)으로 연장되는 주판 수용부(86)의 표면으로부터 대응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을 향하여 돌출하는 리브의 형태이고, 그 전단은 주판 수용부(86)의 전방 에지와 연결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부(90)의 후단은 하우징(41)의 후단 위치보다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90)의 길이는 주판(78)에서의 절결부(83)의 길이보다 (바람직하게는 약간)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79)의 돌출부(84)의 삽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삽입 홈(91)에는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과 주판 수용부(86)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step) 또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삽입 홈(91)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및/또는 그 폭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부(84)가 형성된 단자 접촉 부재(79)의 넓은 부분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주판(78)으로부터 서 있거나 돌출하여 있는 요동 방지부(85)는 돌출부 삽입 홈(91)의 둘레 에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주판(78)과 단자 접촉 부재(79)가 높이 방향(HD)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90)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바람직하게는 각) 주판 수용부(86)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리브(92)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92)는 바람직하게는 아치형 횡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된다. 리브(92)는 주판(78)이 주판 수용부(86) 내로 장착될 때에 주판(78)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주판(78)은 요동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의 개별 구조>
다음으로,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개별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용의 수용 챔버(63A)는, 단자 수용부(49)의 상단으로부터 도 17에 도시된 우측[브래킷 장착부(51)측]의 상부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용의 수용 챔버(63A)는 커넥터(40)에 있어서 제1(상부) 레벨의 양쪽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상부, 즉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측판 수용부(87A)는 도 17의 제1(상부) 레벨의 우측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상부) 레벨의 양쪽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 바람직 하게는 한 쌍의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A)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위치 결정부(90A)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접촉 부재 연통 홈(89A)은 단자 수용부(49)의 상부에 배치된 측판 수용부(87A)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의 상부를 연통시킨다. 또한, 리브(92A)는 주판 수용부(86A)의 실질적으로 양단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용의 수용 챔버(63B)는 단자 수용부(49)의 바닥 단부로부터 도 17에 도시된 우측[브래킷 장착부(51)측]의 하부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용의 수용 챔버(63B)의 주판 수용부(86B)는 커넥터(40)에 있어서 제2(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아래에, 즉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측판 수용부(87B)는 제2(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B)은 제2(하부) 레벨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90B)는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B)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접촉 부재 연통 홈(89B)은 단자 수용부(49)의 하부에 배치된 측판 수용부(87B)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의 하부를 연통시킨다. 또한, 유사한 리브(92B)가 돌출부 삽입 홈(91)에 인접한 주판 수용부(86B)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구획부>
브래킷 접촉 부재 연통 홈(89)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 분할 접지 단자 수 용 챔버(63)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연통부에 있어서는, 각 수용 챔버(51a, 63)에 장착된 분할 접지 단자(44)와 브래킷(B) 사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하는 구획부(93)가 남겨진다. 구획부(93)는 바람직하게는, 양쪽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측판 수용부(87) 사이를 구획하는 기부(93a)와, 기부(93a)의 선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며 양쪽 측판 수용부(87)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 사이를 구획하는 한 쌍의 돌출부(93b)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뒤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획부(93)의 기부(93a)는 양쪽 측판 수용부(87)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하는 반면에, 구획부의 돌출부(93b)는 양쪽 측판 수용부(87)의 천장벽과 브래킷 수용 챔버(51a)의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한다. 양쪽 돌출부(93b)는 브래킷 접촉 부재(81)의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이르기까지 돌출하고 있지만, 여전히 브래킷 접촉 부재(81)를 피하고 있다(도 46).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93)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형태이고, 여기서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와 브래킷 수용 챔버(51a)가 개방되어 있고, 그 후단은 하우징(41)의 후단[분할 접지 단자(44)와 브래킷(B)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전단]에 배치되고 뒤에서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기능 설명>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커넥터(40)와 상대 커넥터(10)를 각각 조립한 후에, 양 커넥터(10, 40)를 접속한다.
<상대 커넥터의 조립 작업>
상대 커넥터(10)의 조립 작업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전방 리테이너(13)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11) 내에 부분 로킹 위치로 장착한다. 동축 케이블(W)의 단부에 연결된 상대 단자 피팅(12)을 삽입 방향(ID),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상대 하우징(11)의 각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면, 하나 이상의 안정기(16)가 하나 이상의 각 안정기 삽입 홈(2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로써 상대 단자 피팅(12)이 (회전이 방지되게) 원주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원활하게 삽입된다(전방으로 이동한다).
삽입 과정에서, 로킹 랜스(20)는 상대 단자 피팅(12)에 의해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대 단자 피팅(12)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킹 랜스(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로킹 랜스 구멍(15)과 결합하며, 이로써 상대 단자 피팅(12)은 상대 하우징(11)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유지된다. 그 후, 전방 리테이너(13)를 완전 로킹 위치를 향하여 압박하거나 변위시키면, 각 변형 제한부(29)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 대응 상대 단자 피팅(12)과 결합된 각 로킹 랜스(2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대 단자 피팅(12)을 유지하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 작업(분할 접지 단자 장착 작업)>
다음으로, 커넥터(30)의 조립 작업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분할 접지 단자(44)를 하우징(41)의 대응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 내로 개별적으로 장착한다. 분할 접지 단자(44)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1)의 뒤로부터 분 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 내로 삽입할 때에, 측판(80)은 하우징(41)의 후단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 구획부(93)의 후단에 의해 안내(위치 결정)됨으로써 브래킷 수용 챔버(51a)에는 들어가지 않고 측판 수용부(87)에 확실하게 들어간다.
다른 한편으로, 삽입 과정에서, 위치 결정부(90)는 도 41 및 도 4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분할 접지 단자(44)의 주판(78)의 절결부(8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고, 위치 결정부(90)의 양 측면은 절결부(83)의 실질적으로 측방향 에지를 따라 미끄러지며, 이로써 주판(78)은 주판 수용부(86)에 대하여 폭방향(WD)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에, 단자 접촉 부재(79)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에 대하여 유사하게 위치 결정된다.
장착 상태에서, 도 29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접촉 부재(79)는 대응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에 위치되어 대기 상태로 기다리고,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브래킷 수용 챔버(51a)에 위치되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대기 상태로 기다린다. 각 단자 접촉 부재(79)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랜스(64)와 마주하는 위치, 즉 로킹 랜스로부터 약 180도의 각도를 두고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중간 위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된 브래킷 로킹 부재(51e)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브래킷 수용 챔버(51a) 내의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90)는 주판(78)의 절결부(8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 단자 접촉 부재(79)를 대응 단자 접촉 부재 연통 홈(88)에 대하여 폭방향(WD)으로 요동치지 않게 유지 하고, 위치 결정부(90)는 절결부(83)의 둘레 에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주판(78)을 보강한다. 이 상태에서, 각 유지 부재(82)는 분할 접지 단자 수용 챔버(63)의 내벽면을 맞물어서, 분할 접지 단자(44)는 하우징(41)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유지된다.
<커넥터 조립 작업(전방 리테이너 및 단자 피팅 장착 작업)>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접지 단자(44)를 장착하는 중에, 전방 리테이너(43)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 내에 부분 로킹 위치로 장착한다. 분할 접지 단자(44)가 장착되기 전에 전방 리테이너(43)를 장착하더라도 상관없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W)의 단부에 연결된 각 단자 피팅(42)을 대응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단자 피팅(42)을 도 2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1)의 뒤로부터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면, 하나 이상의 안정기(46)가 하나 이상의 각 안정기 삽입 홈(67)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돌출부(48)가 하나 이상의 각 돌출부 삽입 홈(68)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이로써 단자 피팅(42)은 (회전이 방지되게) 원주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원활하게 삽입된다(전방으로 이동한다)(도 46 참조).
삽입 과정에서, 로킹 랜스(64)는 단자 피팅(42)에 의해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단자 접촉 부재(79)도 또한 탄성 변형된다. 단자 피팅(42)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킹 랜스(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결합부(47)와 결합하며, 이로써 단자 피팅(42)은 하우징(41) 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고 유지된다. 그 후, 전방 리테이너(43)를 완전 로킹 위치로 또는 완전 로킹 위치를 향하여 압박하거나 변위시키면, 각 변형 제한부(74)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변형 공간(6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 대응 단자 피팅(42)과 결합된 각 로킹 랜스(64)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 피팅(42)을 유지하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도 30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접촉 부재(79)는 커넥터(40)의 반경 방향 외측[수직 배열 방향 또는 수직 방향(VD)으로 외측]으로부터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의 바닥판과 탄성 접촉한다. 따라서 단자 피팅(42)은, 실질적으로 양측에 배치된 단자 접촉 부재(79)와 로킹 랜스(64) 사이에 유지되어 양자(64, 79)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용된다. 단자 접촉 부재(7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90)에 의해 단자 피팅(42)에 대하여 폭방향(WD)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단자 접촉 부재는 접촉 상태로 만족스럽게 유지될 수 있다.
<커넥터 내로의 브래킷 장착 작업>
다음으로, 브래킷(B)을 하우징(41) 내에 장착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브래킷(B)을 도 18 및 도 3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41)의 뒤로부터] 브래킷 수용 챔버(51a) 내에 삽입할 때에, 브래킷(B)은, 하우징(41)의 후단 위치에 배치된 구획부(93)의 후단에 의해 안내(위치 결정)됨으로써 측판 수용부(87)에 들어가지 않고 브래킷 수용 챔버(51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실하게 들어간다.
브래킷(B)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브래킷 로킹 부재(51e)는 브래킷(B)에 의해 외측으로 일시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및/또는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브래킷(B)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크 돌출부가 로크 구멍(Ba)에 들어가고, 브래킷 로킹 부재(51e)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며, 로크 돌출부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구멍 또는 리세스(Ba)의 구멍 에지 또는 리세스 에지와 결합하며, 이로써 하우징(41)이 브래킷(B)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유지된다. 장착 상태에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VD)[단자 피팅(42)의 수직 배열 방향]으로 배치된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커넥터(40)의 반사상 내측 방향을 향하는[브래킷 로킹 부재(51e)와 반대측을 향하는] 브래킷(B)의 동일한 판 표면과 탄성 접촉한다.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실질적으로 수직 대칭 위치에서 브래킷(B)과 접촉 상태로 있다.
<두 커넥터의 접속 작업>
다음으로, 브래킷(B)에 장착된 커넥터(40)에 상대 커넥터(10)를 접속한다. 도 4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대 하우징(11)을 하우징(41)의 리셉터클(50)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우거나 삽입한다. 이 때에, 상대 하우징(11)을 접속면이 경사진 상태로 하우징(41) 내로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상대 하우징(11)이 리셉터클(50)의 내주면과 간섭하여 리셉터클(50)을 변형시켜 전술한 경사 접속(oblique connection)이 허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로크 보호부(53)가 하나 이상의 보강부(59)에 의해 연결되어 리셉터클(50)을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50)을 변형시키기가 어려우며, 이로써 경사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자세 로부터 수직으로 뒤집힌 자세로 상대 하우징(11)을 하우징(41) 내로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리셉터클(50)의 내주면과 상대 하우징(11)의 외주면이 바람직하게는 접속 방향에서 보았을 때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이기 때문에, 상대 하우징(11)이 리셉터클(50)의 전단과 간섭하여 부적절한 자세에서의 접속을 방지한다.
실질적으로 적절한 자세로 하우징(4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된 상대 하우징(11)이 적절한 깊이에 도달하면, 로크 아암(52)의 상호 결합부(55)가 로크부(18) 상으로 이동하고, 아암 본체부(54)는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된다. 상대 하우징(11)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에 이르기까지 끼워지면, 상호 결합부(55)는 로크부(18)를 지나서 이동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부(18a)로 들어가고, 아암 본체부(54)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상호 결합부(55)의 후면과 로크부(18)의 후면을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하우징(11, 41)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게 유지된다.
이러한 적절한 접속 시에,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는 상대 단자 피팅(12)의 외부 도체 단자(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고, 돌출부(17)는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의 외주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고, 단자 피팅(42)의 내부 도체 단자는 상대 단자 피팅(12)의 내부 도체 단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양 커넥터(10, 40)의 접지선은 전기 접속되고, 신호선은 전기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양쪽 분할 접지 단자(44)의 각 단자 접촉 부재(79)는 각 단자 피팅(42)의 외부 도체 단자(45)와 접촉하고 있고, 양쪽 브래킷 접촉 부재(81)는 브래킷(B)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양 커넥터(10, 40)의 접지선은 분할 접지 단자(44)를 통하여 브래킷(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로써 접지된다.
<두 커넥터의 분리 작업>
유지보수 또는 다른 이유로 두 커넥터(10, 40)를 분리할 수 있고, 각 단자 피팅(12, 42)을 각 커넥터(10, 4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로크 아암(52)의 조작부(56)를 누르거나 조작하여 로크 아암(52)을 로크부(18)로부터 분리하면서, 상대 하우징(11)을 리셉터클(50)로부터 멀어지게 당기거나 변위시킨다(도 47). 두 커넥터(10, 40)를 분리한 후에, 전방 리테이너(13)의 조작 홈(32)에 지그를 걸어서 전방 리테이너(13)를 부분 로킹 위치(도 11)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지그에 의해 로킹 랜스(20)를 강제로 탄성 변형시켜 대응 상대 단자 피팅(12)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상대 단자 피팅(12)을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W)을 당김으로써 당길 수 있다(도 10). 다른 한편으로, 커넥터(40)에 있어서, 커넥터(40)를 브래킷(B)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지그 삽입 홈(69)에 노출된 전방 리테이너(43)의 조작부(75)를 잡도록 지그를 전방으로부터 하우징(41)의 지그 삽입 홈(6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그 후, 지그를 전방으로 조작함으로써, 전방 리테이너(43)를 부분 로킹 위치(도 30)로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지그에 의해 로킹 랜스(64)를 강제로 탄성 변형시켜 단자 피팅(42)으로부터 분리하면서 단자 피팅(42)을 동축 케이블(W)을 당김으로써 당길 수 있다(도 29).
<분할 접지 단자를 공통으로 이용하는 방법>
전술한 커넥터(40)에 더하여 상이한 수의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W) 및 단자 피칭(42)을 이용하는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구조를 상기 커넥터(40)의 하우징(41)의 구조와 부분적으로 공통으로 되게 함으로써 상기 커넥터(40)에 사용된 분할 접지 단자(44)를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분할 접지 단자(44)는 상이한 수의 접점을 갖는 복수 타입의 커넥터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분할 접지 단자를 각 커넥터 타입 전용의 부품으로서 생산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비용 절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40)는 복수의 단자 피팅(42)과, 각 단자 피팅(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 내에 폭방향(WD)으로 배치되고 단자 피팅(4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하우징(41)에 있어서 폭방향(W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서, 높이 방향(HD)[또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단자 피팅(4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측방향에 구획된 제1 변형 공간(65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64A)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65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2 로킹 랜스(64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체 커넥터(40)를, 높이 방향으로 제1 변형 공간(65A)과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오버랩 및 제2 변형 공간(65B)과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오버랩만큼 소형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대 커넥터(1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단자 피팅(12)과, 각 단자 피팅(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상대 하우징(11)과, 상대 하우징(11) 내에 폭방향(WD)으로 배치되고 상대 단자 피팅(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와, 상대 하우징(11)에 있어서 폭방향(WD)으로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사이에서, 높이 방향(HD)[또는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대 단자 피팅(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와,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대 단자 피팅(1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에 대하여 측방향에 구획된 제1 변형 공간(21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20A)와,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대 단자 피팅(1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21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2 로킹 랜스(20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체 커넥터(10)를, 높이 방향(HD)으로 제1 변형 공간(21A)과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B)의 오 버랩 및 제2 변형 공간(21B)과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19A)의 적어도 부분적인 오버랩만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변형 공간(65A, 65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감으로써 제1 및 제2 로킹 랜스(64A, 64B)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변형 제한부(74)를 구비하는 전방 리테이너(43)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42)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하우징(41) 내에 장착되거나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전방 리테이너(43)를 이동시키는 지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홈(69)이 하우징(41)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41) 내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소형화를 위하여 적합한 것이다.
또한, 지그 삽입 홈(69)은 바람직하게는 제2 변형 공간(65B)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방 리테이너(43)는 지그 삽입 홈(69) 내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지그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75)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지그 삽입 홈이 제2 변형 공간을 연통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부(75)가 변형 제한부(74)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제2 변형 공간(65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전방 리테이너(43)의 높이를 짧게 할 수 있다.
하우징(41)은 바람직하게는 제2 변형 공간(65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에 두고 제2 로킹 랜스(64B)와 마주하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구비하며,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지그 삽입 홈(6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로킹 랜스(64B)의 과잉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확보하면서 지그 삽입 홈(69)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41)을 작게 유지하면서 보다 양호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과잉 변형 방지부(66B)가 바람직하게는 지그 삽입 홈(69)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로킹 랜스(64B)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만족스럽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에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리테이너(4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는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41) 내에서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해 측방향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소형화를 위하여 적합한 것이다. 상대 커넥터(10)는 유사하게 구성되며,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가 제1 변형 공간(65A)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 내로 장착되는 전방 리테이너(43)의 부분은 변형 제한부(74)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변형 공간(65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전방 리테이너(43)를 높이 방향(HD)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0)는 유사하게 구성되며,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우징(41)은 상대 하우징(11)과 접속될 수 있으며, 상대 하우징(11)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아암(52)을 구비하며, 이 로크 아암(52)은 제1 단자 피팅 수 용 챔버(61A) 사이에 배치되고,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은 높이 방향(HD)으로의 로크 아암(52)과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오버랩만큼 높이 방향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상대 하우징(11)은 하우징(41)과 결합할 수 있으며, 하우징(41)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수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하고, 접속 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우징(11)과 하우징(41)의 접속 원주면은 비대칭이다. 이에 따라, 상대 하우징(11)을 하우징(41) 내에 끼워 넣을 때 상대 하우징(11)이 적절한 자세와 다른 자세로 있으면, 접속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속 원주면이 비대칭이기 때문에 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접속 원주면에 리브를 마련함으로써 적절한 자세와 다른 자세에서의 접속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소형화에 보다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소형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커넥터(40)는 복수의 단자 피팅(42)과, 각 단자 피팅(4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 내에 폭방향(WD)으로 배치되고 단자 피팅(4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하우징(41)에 있어서 폭방향(W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서,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단자 피팅(4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고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측방향에 구획된 제1 변형 공간(65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64A)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고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65B)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2 로킹 랜스(64B)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 레벨의 2개와 하부 레벨의 1개를 포함한 총 3개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상대 단자 수용 챔버)가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단자 피팅 수용 챔버(상대 단자 수용 챔버)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및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상대 단자 수용 챔버)의 수가 동일하더라도 상관없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자 피팅 수용 챔버(상대 단자 수용 챔버)가 상부 및 하부의 2개 레벨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단자 피팅 수용 챔버(상대 단자 수용 챔버)가 수직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레벨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지그 삽입 홈이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분할하고 제2 변형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삽입 홈이 제2 변형 공간과 연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2 과잉 변형 방 지부의 강도가 증가하고 제2 로킹 랜스가 전체 폭에 걸쳐 수용될 수 있으므로, 과잉 변형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가 지그 삽입 홈에 의해 2개의 섹션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는 지그 삽입 홈의 위치 또는 폭을 조정함으로써 일측에만 남아있을 수도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지그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삽입 홈은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전체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지그 삽입 홈이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삽입 홈은 높이 방향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로부터 변위될 수도 있다(오버랩되지 않을 수도 있다).
(7)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넥터에만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 사이에 지그 삽입 홈이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 지그 삽입 홈이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및/또는 전방 리테이너에 지그 삽입 홈 내에 위치되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지그 삽입 홈이 제2 변형 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지그 삽입 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및/또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2개의 섹션으로 분할하면서 지그 삽입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8)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에서는 전방 리테이너가 각 변형 공간에 대응하는 변형 제한부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복수의 변형 공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변형 제한부를 구비하는 전방 리테이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9)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리테이너가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의 배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로크 아암이 높이 방향으로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와 부분적으로 오버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아암은 높이 방향(HD)으로 양쪽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로부터 변위될 수도 있다(오버랩되지 않을 수도 있다).
(1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하우징의 접속 원주면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이지만, 측방향으로 비대칭의 접속 원주면을 갖는 하우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접속 원주면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전방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지만, 전방 리테이너를 구비하지 않거나 측방향 또는 후방 타입의 리테이너를 구비하는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3) 전술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복수의 분할 접지 단자가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하나의 접지 단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지 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 도체를 구비하지 않는 통상의 절연선과 연결된 단자 피팅을 수용하는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가 브래킷에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브래킷에 장착되지 않는 타입의 커넥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15)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단자 피팅(상대 단자 피팅)의 외부 도체 단자의 메인부가 원통 형상이지만, 이 메인부는 예컨대 박스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3은 상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대 하우징용 전방 리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상대 하우징용 전방 리테이너의 후면도이고,
도 6은 상대 하우징용 전방 리테이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상대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상대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 14의 선 A-A를 다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전방 리테이너가 상대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전방 리테이너가 상대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대 단자 피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전방 리테이너가 상대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전방 리테이너가 상대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전방 리테이너가 상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18은 하우징과 브래킷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커넥터용 전방 리테이너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커넥터용 전방 리테이너의 후면도이고,
도 24는 커넥터용 전방 리테이너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커텍터용 전방 리테이너의 측면도이고,
도 26은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와 전방 리테이너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16 및 도 2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45의 선 F-F를 따라 취한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전방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2 및 도 도 2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9는 전방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5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0은 단자 피팅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5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1은 전방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6 및 도 2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2는 전방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로킹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5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3은 브래킷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45의 선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4는 브래킷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5의 선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5는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divided ground terminal)의 후면도이고,
도 36은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37은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38은 1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의 후면도이고,
도 39는 1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40은 1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의 측면도이고,
도 41은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가 하우징 내로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46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2는 2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 태를 도시하는, 도 46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3은 1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가 하우징 내로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46의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4는 1개의 접점을 갖는 분할 접지 단자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46의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5는 전방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6은 분할 접지 단자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후면도이고,
도 47은 두 커넥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48은 두 커넥터를 접속하는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49는 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50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대 커넥터
11 : 상대 하우징(커넥터 하우징, 상대 커넥터 하우징)
12 : 상대 단자 피팅(단자 피팅)
19A : 제1 상대 단자 수용 챔버(단자 수용 챔버)
19B : 제2 상대 단자 수용 챔버(단자 수용 챔버)
20A : 제1 로킹 랜스
20B : 제2 로킹 랜스
21A : 제1 변형 공간
21B : 제2 변형 공간
40 : 커넥터
41 : 하우징(커넥터 하우징)
42 : 단자 피팅
43 : 전방 리테이너(리테이너)
52 : 로크 아암
61A :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단자 수용 챔버)
61B :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단자 수용 챔버)
62 :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
64A : 제1 로킹 랜스
64B : 제2 로킹 랜스
65A : 제1 변형 공간
65B : 제2 변형 공간
66B : 제2 과잉 변형 방지부(과잉 변형 방지부)
69 : 지그 삽입 홈
74 : 변형 제한부
75 : 조작부

Claims (15)

  1. 각 단자 피팅(42)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41)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41) 내에 배열 방향(WD)으로 배치되어 있고 단자 피팅(42)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41) 내에서, 배열 방향(WD)으로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HD)으로는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선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 단자 피팅(42)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와,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측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는 제1 변형 공간(65A)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제1 로킹 랜스(64A; locking lance)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42)과 결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 사이에 구획된 제2 변형 공간(65B) 내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로킹 랜스(64B)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변형 공간(65)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로킹 랜스(64)의 탄성 변형을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변형 제한부(74)를 구비하는 리테이너(43)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41) 내로 장착되고 커넥터 하우징(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리테이너(43)는, 배열 방향(WD)에 있어서 측방향으로 긴 주판(72)과, 상기 주판(72)의표면의 중간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변형 공간(65) 쪽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변형 제한부(74)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3)는 단자 피팅(42)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커넥터 하우징(41) 내로 장착되고 커넥터 하우징(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리테이너(43)를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삽입될 수 있는 지그 삽입 홈(69)이 커넥터 하우징(41)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들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삽입 홈(69)은 제2 변형 공간(65B)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43)는, 지그 삽입 홈(69) 내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배치되고 지그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75)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변형 공간(65B)을 사이에 두고 제2 로킹 랜스(64B)와 마주하여 제2 로킹 랜스(64B)가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66B)가 커넥터 하우징(41)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삽입 홈(69)은 과잉 변형 방지부(66B)를 부분적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삽입 홈(69)의 양측에 한 쌍의 과잉 변형 방지부(66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43)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가, 커넥터 하우징(41)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의 중심 위치를 연결한 선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도록 높이 방향(HD)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장착 리세스(62)는 제1 변형 공간(65A)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41)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11)과 접속될 수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11)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로크 아암(52)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52)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들(61A)과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2.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41) 내에서 제1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의 수와 제2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B)의 수가 상이한 것인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41)은 상대 커넥터 하우징(11)과 접속될 수 있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11)과 커넥터 하우징(41)의 접속 외주면은 접속 방향에서 보아 비대칭인 것인 커넥터.
  14.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킹 랜스(64)는 배열 방향(WD)으로 직선으로 정렬되어 있고,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단자 피팅 수용 챔버(61A, 61B)의 중심 위치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것인 커넥터.
KR1020090003948A 2008-01-17 2009-01-16 커넥터 KR101015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8091A JP5119940B2 (ja) 2008-01-17 2008-01-17 コネクタ
JPJP-P-2008-008091 2008-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840A KR20090079840A (ko) 2009-07-22
KR101015930B1 true KR101015930B1 (ko) 2011-02-23

Family

ID=4055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948A KR101015930B1 (ko) 2008-01-17 2009-01-16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1986B2 (ko)
EP (1) EP2081260A1 (ko)
JP (1) JP5119940B2 (ko)
KR (1) KR101015930B1 (ko)
CN (1) CN101488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1351B2 (ja) * 2009-05-20 2013-09-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及び電線コネクタ
EP2485341B1 (en) * 2009-09-29 2017-01-25 Yazaki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molded resin component
JP5552951B2 (ja) * 2010-08-06 2014-07-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0996B2 (ja) * 2011-02-04 2015-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16402A (ja) * 2011-07-06 2013-0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137142B1 (en) 2011-09-22 2012-03-20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DE102011088333A1 (de) * 2011-12-13 2013-06-1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Verbindungsstruktur mit einem elektrischen Steckverbinder und eine diesbezügliche elektrische Anordnung
DE102012007481B4 (de) * 2012-04-13 2017-08-3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mit Kontaktverriegelungsmittel
DE202012010451U1 (de) * 2012-10-30 2013-01-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Isolierteil
DE102014118688A1 (de) * 2014-08-21 2016-02-25 Erni Production Gmbh & Co. Kg Kontaktelement und Steckverbinder
JP6551204B2 (ja) * 2015-12-14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606528B2 (ja) * 2017-05-31 2019-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98220B2 (ja) * 2017-12-21 2021-07-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6933126B2 (ja) * 2017-12-26 2021-09-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CN111755905B (zh) * 2019-03-27 2022-03-25 住友电装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装置
JP7041114B2 (ja) * 2019-11-19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19274B2 (ja) * 2019-11-19 2022-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761A (ja) * 1997-07-29 1999-02-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US20050100346A1 (en) * 2003-11-12 2005-05-12 Hoon Kim Optical transmitter for use in high-density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O2008091487A1 (en) 2007-01-19 2008-07-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0315B2 (en) * 1984-04-17 1988-03-10 Phillip Howard Oxley Electrically heated fuel delivery chamber
US5100346A (en) 1991-03-15 1992-03-31 Cardell Corporation Micropin connector system
US5181862A (en) * 1991-07-29 1993-01-26 Amp Incorporated Diagnostic header assembly
JP2627135B2 (ja) 1993-05-14 1997-07-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324411B2 (ja) * 1996-10-17 2002-09-17 住友電装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529019B2 (ja) 1997-10-24 2004-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付コネクタ
JP3542710B2 (ja) * 1998-02-20 2004-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34315B2 (ja) * 2000-08-11 2007-06-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86866B2 (ja) * 2004-05-07 2008-1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78784B2 (ja) 2007-07-03 2012-07-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05170B2 (ja) * 2008-01-17 2012-1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761A (ja) * 1997-07-29 1999-02-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US20050100346A1 (en) * 2003-11-12 2005-05-12 Hoon Kim Optical transmitter for use in high-density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O2008091487A1 (en) 2007-01-19 2008-07-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9940B2 (ja) 2013-01-16
CN101488617B (zh) 2012-04-18
EP2081260A1 (en) 2009-07-22
US20090186524A1 (en) 2009-07-23
KR20090079840A (ko) 2009-07-22
JP2009170302A (ja) 2009-07-30
CN101488617A (zh) 2009-07-22
US7661986B2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930B1 (ko) 커넥터
US10734762B2 (en)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KR100990701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US10566725B2 (en) Connector with laterally mounted retainer for supporting and locking a terminal fitting
US7300319B2 (en) Electrical contact
KR101179796B1 (ko) 커넥터
US9509076B2 (en) Connector with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and rear backlash preventing portion that are offset circumferenti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backlash preventing portions
US5839925A (e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s
US10340621B2 (en) Connector with moving plate having partition between terminals to prevent short-circuit
KR20090049024A (ko) 커넥터
EP1801925A1 (en) A connector
US10714863B2 (en) Connector
EP2375508B1 (en)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0944217B2 (en) Terminal fitting
US11646525B2 (en) Connector having seal member
US11165187B2 (en) Connector
JP4941321B2 (ja) コネクタ
US20150111444A1 (en) Joint terminal
JP4949276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20200313335A1 (en) Connector
US20230090903A1 (en) Connector
US20230231340A1 (en) Wire cover and connec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