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02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024A
KR20090049024A KR1020080110484A KR20080110484A KR20090049024A KR 20090049024 A KR20090049024 A KR 20090049024A KR 1020080110484 A KR1020080110484 A KR 1020080110484A KR 20080110484 A KR20080110484 A KR 20080110484A KR 20090049024 A KR20090049024 A KR 20090049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ncet
terminal fitting
cavity
lock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811B1 (ko
Inventor
료타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경사부의 안내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잠금 랜싯에 의한 구속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캐비티(11)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상의 잠금 랜싯(16)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18)가 제1 잠금 영역(18a)과 제2 잠금 영역(18b)을 포함한다. 제1 잠금 영역(18a)은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측에 배치되는데, 제1 잠금 영역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린다. 제2 잠금 영역(18b)은 잠금용 돌출부(18)의 기단부측에 배치되는데, 제2 잠금 영역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리지 않지만,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함에 따라 단자 피팅(30)과 맞물린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커넥터는, 하우징(1)의 캐비티(2)에 삽입된 단자 피팅(3)이 캐비티(2)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잠금 랜싯(4)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 랜싯(4)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캔틸레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잠금 랜싯(4)과 이를 위한 변형 공간(5)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몰드용 제거 공간(6)이 캐비티(2)의 전방벽(7)에 개구를 형성한다. 상대 단자(도시 생략)의 탭이 전방으로부터 캐비티(2)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으로서의 진입 구멍(8)이 상기 전방벽(7)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탭을 진입 구멍(8)으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서의 테이퍼형 안내 경사부(9)가 전방벽(7)의 전방면에 진입 구멍(8)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2004-362831호에 개시된 커넥터가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로서 알려져 있다.
단자 피팅(3)과 맞물릴 수 있으며 캐비티(2) 안으로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4a)가 잠금 랜싯(4)에 형성되므로, 안내 경사부(9)의 일부분이 제거 공간(6)에 의해 절개된다. 잠금 랜싯(4)에 의한 구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잠금용 돌 출부(4a)의 돌출 거리를 증대시켜, 잠금용 돌출부(4a)와 단자 피팅(3)의 맞물림 영역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잠금용 돌출부(4a)의 돌출 거리가 증대되면, 제거 공간(6)의 개구 영역이 그만큼 증대되고, 그 결과 안내 경사부(9)의 절개 영역이 제거 공간(6)에 의해 증대되어, 안내 경사부(9)의 안내 기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안내 경사부의 안내 기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잠금 랜싯에 의한 구속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단자 피팅이 삽입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캐비티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자 피팅의 캐비티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잠금 랜싯, 그리고
단자 피팅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을 구속하도록 잠금 랜싯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용 돌출부는,
잠금용 돌출부의 돌출 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잠금 영역과,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없지만,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함 에 따라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잠금 영역을 구비한다.
제1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변위된다면, 잠금 랜싯은 단자 피팅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에 작용하는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캐비티를 향해 변위되고, 이러한 잠금 랜싯의 변위에 의해 제2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린다. 제2 잠금 영역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혹은 그 부근에 위치하므로,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비해, 잠금용 돌출부와 단자 피팅의 맞물림 영역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입 구멍이 캐비티의 전방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진입 구멍은 상대 단자가 전방으로부터 캐비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경사진, 혹은 수렴하는 안내 경사부가 진입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전방벽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 경사부는 상대 단자를 진입 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대 단자가 전방으로부터 캐비티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캐비티의 전방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진입 구멍과,
상대 단자를 진입 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진입 구멍을 둘러싸도록 전방벽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테이퍼형 안내 경사부와,
캐비티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자 피팅의 캐비티로의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형 잠금 랜싯, 그리고
단자 피팅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을 구속하도록 잠금 랜싯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용 돌출부는,
잠금용 돌출부의 돌출 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잠금 영역과,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없지만,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함에 따라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잠금 영역을 구비한다.
제1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변위된다면, 잠금 랜싯은 단자 피팅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에 작용하는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캐비티를 향해 변위되고, 이러한 잠금 랜싯의 변위에 의해 제2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린다. 제2 잠금 영역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측에 위치하므로,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비해, 잠금용 돌출부와 단자 피팅의 맞물림 영역이 증대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변위되어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 기능을 필요로 할 때, 잠금 랜싯은 잠금용 돌출부와 단자 피팅의 맞물림 영역을 증대시키도록 변위된다. 따라서,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잠금 랜싯을 몰드에 의해 형성할 때, 잠금용 돌출부의 캐비티로의 돌출량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용 돌출부의 캐비티로의 돌출량을 줄인다는 것은, 잠금 랜싯 성형용 몰드를 제거하기 위한 전방벽 절개를 통해 형성되는 몰드 제거 공간을 진입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내 경사부의 안내 영역이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이 단자 피팅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에 작용할 때, 잠금 랜싯은 잠금면의 경사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캐비티를 향해 당겨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잠금면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도,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잠금용 돌출부가 단자 피팅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가능성은 없다.
더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과 단자 피팅의 잠금부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린 상태에서, 단자 피팅 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의 후방 단부까지의 길이는, 제2 잠금 영역이 단자 피팅과 맞물린 상태에서, 잠금면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의 후방 단부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해 변형 공간이 마련되고, 잠금 랜싯 앞쪽의 공간과 변형 공간 앞쪽의 공간은 서로 수직으로 연통하여 몰드 제거 공간의 역할을 하며, 상기 몰드 제거 공간은 잠금 랜싯 및 변형 공간 성형용 몰드를 제거할 때에 형성되고, 상기 몰드의 제거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의 캐비티로의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진입 구멍과 몰드 제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 혹은 분할하는 구획부가 캐비티의 전방벽에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은,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잠금용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폭이 동일하며 실질적으로 캔틸러버 형상인 본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면, 안내 경사부의 안내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잠금 랜싯에 의한 구속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30)이 하우징(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단자 피팅(30)이 잠금 랜싯(16)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이 하우징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가늘고 긴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11)가 통합적으로 혹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캐비티(11)의 전후 방향(FBD)[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캐비티(11)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이며, 캐비티(11)의 후방 단부는, 단자 피팅(30)을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우징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된 단자 삽입 개구(12)의 역할을 한다.
캐비티(11)의 전방벽(13)은 하우징(10)의 전방면의 일부분을 구성 혹은 형성하며, 이 전방벽에는 하우징(10)의 전방면으로부터 캐비티(11)의 전방 단부까지 관통하는 진입 구멍(14)이 형성된다. 진입 구멍(14)의 [전후 방향(FBD)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 개구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진입 구멍(14)의 수직 방향 치수가 캐비티(11)의 수직 방향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거나 및/또는 진입 구멍(14)의 측방 치수가 캐비티(11)의 측방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진입 구멍(14)은 실질적으로 캐비티(11)의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진입 구멍(14)은, 상대 수형 단자(도시 생략)의 선단부에 있는 가늘고 긴 탭을 하우징(10)의 전방측으로부터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탭은 진입 구멍(14)에 삽입되어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고, 이로써 탭은 실질적으로 정확한 위치 관계로 단자 피팅(30)에 접속된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경사부(15)가 진입 구멍(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전방벽(13)의 전방면에 혹은 근방에 혹은 내부에 형성된다. 이 안내 경사부(15)는 바람직하게는 전방벽(13)의 전방면을 테이퍼식으로 절개함(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형성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진입 구멍(14)의 상부 에지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사다리꼴의 혹은 수렴하는 제1 안내면(15a), 제1 안내면(15a) 및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진입 구멍(14)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에지(들)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사다리꼴의 혹은 수렴하는 제2 안내면(15b), 및/또는 한 쌍의 제2 안내면(15b) 및/또는 진입 구멍(14)의 하부 에지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제3 안내면(15c)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안내면(15c)은 수직 방향으로 제1 안내면(15a)과 대칭인 사다리꼴 영역의 일부분에 몰드 제거 공간(21)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절개부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경사부(15)는 그 경사에 의해 상대 단자의 탭을 진입 구멍(14)으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의 기능을 한다.
하우징(10)에는 바람직하게는 캐비티(11)의 바닥벽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인) 잠금 랜싯(16)이 통합적으로 혹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잠금 랜싯(16)은, 바람직하게는 그 기단부(후 방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그 자세가 좌우 혹은 상하 방향[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잠금 랜싯(16)은 캐비티(11)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 위치)에 배치되며, 잠금 랜싯의 폭은 캐비티(11) 및/또는 안내 경사부(15)의 폭보다는 작지만, 진입 구멍(14)의 폭보다는 크다. 잠금 랜싯(16)은 캐비티(11) 및/또는 진입 구멍(14)의 폭방향(좌우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위치한다.
잠금 랜싯(16)은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캐비티(11)의 바닥벽에 연속하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인 본체부(17)와,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고 및/또는 본체부(17)의 [실질적으로 캐비티(11)에 면하거나 혹은 안쪽을 향하는] 상면 혹은 내면(17a)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1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7)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세가 기울어지면서, 캐비티(11)를 향해 그리고 캐비티(11)의 실질적인 반대편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고 자유 상태에 있을 때, 본체부(17)의 상면(17a)은 캐비티(11)의 바닥벽의 내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잠금용 돌출부(18)는 본체부(17)의 전방 단부 약간 뒤쪽의 위치로부터 본체부(17)의 후방 단부 약간 앞쪽의 위치까지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본체부(17)와 유사하게 전후 방향(FBD)으로 가늘고 길다. 잠금용 돌출부(18)의 전방면은, 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직각에 가까운 각 도(약 75°내지 89°의 각도)를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잠금면(19)의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잠금면(19)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 있을 때, 본체부(17)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기단부(하단부)로부터 돌출 단부(상단부)를 향해 오버행잉(overhanging) 혹은 언더컷(undercut) 방식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도, 잠금면(19)은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부를 향해 오버행잉 혹은 언더컷 방식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며, 본체부(17)의 전방 단부에 있는 상면(17a)은 캐비티(11)의 바닥벽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는 진입 구멍(14)의 바닥측 개구 에지의 아래[진입 구멍(14)의 개구 영역에 대한 반대편]에 위치한다.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 랜싯(16)의 탄성 변형 방향(D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상측 절반 영역 혹은 캐비티(11)를 향해 있는 영역]는 단자 피팅(30)에 맞물릴 수 있는 제1 잠금 영역(18a)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제1 잠금 영역(18a)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11) 내에 [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잠금용 돌출부(18)의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바람직하게 는 실질적인 하측 절반 영역 혹은 캐비티(11)에 대한 반대편을 향하는 영역]는 제2 잠금 영역(18b)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잠금 영역(18b)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에 맞물리지 않지만,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되었을 때, 단자 피팅(30)에 맞물리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이러한 제2 잠금 영역(18b)은,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캐비티(11)의 아래 혹은 외부[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선 위치]에 위치하게 되지만,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캐비티(11)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잠금 영역(18a)이 단자 피팅(30)에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잠금면(19)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의 후방 단부(18R)까지의 길이가, 제2 잠금 영역(18b)이 단자 피팅(30)에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잠금면(19)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의 후방 단부(18R)까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에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16) 아래의 영역[캐비티(11)의 실질적인 반대편에 있는 영역]을 절개하거나 혹은 움푹 들어가게 함으로써, 잠금 랜싯(16)이 실질적으로 캐비티(11)로부터 멀어지게 아래쪽 혹은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혹은 변형 방향(DD)으로의 변형]할 수 있게 하는 변형 공간(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 공간(20)은 그 앞쪽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10)의 전방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잠금 랜싯(16) 앞쪽의 공간도 하우징(10)의 전방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잠금 랜싯(16) 앞쪽의 공간과 변형 공간(20) 앞쪽의 공간은 서 로 수직으로 연통하여 몰드 제거 공간(21)의 역할을 한다. 몰드 제거 공간(21)은 잠금 랜싯(16) 및 변형 공간(20) 성형용 몰드(도시 생략)를 제거할 때 형성되며, 이러한 성형 몰드의 제거 방향은 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몰드 제거 공간(21)은 하우징(10)의 전방 단부에 있어서 캐비티(11)의 전방벽(13)의 일부분을 절개한다. 전방벽(13)에 있어서 몰드 제거 공간(21)의 최소 및 필요 절개 영역은, 수직 방향으로 변형 공간(20)의 하단부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의 상단부(돌출 단부)에 이르는 영역이다. 여기서,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 상태에서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상단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구멍(14)의 바닥측 개구 에지의 아래에 위치하므로, 진입 구멍(14) 및 몰드 제거 공간(2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 혹은 분할하는 구획부(22)가 전방벽(13)에 형성된다. 이 구획부(22)의 전방면은 제3 안내면(15c)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구획부(22)가 존재함으로써, 진입 구멍(14)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전체 둘레에 걸쳐 폐쇄된 창 구멍 형태이다.
단자 피팅(30)은 전체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가늘고 긴 공지의 형상을 갖는 암형 단자 피팅이다. 단자 피팅(30)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전방 절반)는 직사각형 관 형태의 박스부(31)의 역할을 하며, 단자 피팅의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후방 절반)는 전선 연결부[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오픈 배럴(open barrel) 형태의 전선 크림핑부(32)를 포함]의 역할을 한다. 전선 크림핑부(32)는 크림핑되거나, 굽혀지거나, 접혀서 도시되지 않은 전선과의 접속 상태에 이르게 된다. 박스부(31)는 개방된 전방 단부면을 구비하고, 도시되지 않은 탄성 접촉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박스부 내에 수용되거나 혹은 박스부에 마련된다. 진입 구멍(14)을 통해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대 단자의 탭은, 박스부(3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탄성 접촉편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전선 연결부[바람직하게는 전선 크림핑부(32)]의 전방 단부는 박스부(31)의 후방 단부의 상측 부분(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상측 절반 영역)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박스부(31)의 후방 단부의 하단부[즉, 박스부(31)를 구성하는 하판의 후방 단부 에지]는 잠금 랜싯(16)의 잠금용 돌출부(18)와 맞물리게 되는 잠금부(33)의 역할을 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단자 피팅(30)은 삽입 방향(I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단자 피팅(30)의 삽입 과정에서, 잠금 랜싯(16)이 변형 공간(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박스부(31)는 잠금용 돌출부(18)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잠금 랜싯(16)을 변형 방향(DD)(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아래쪽 혹은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잠금용 돌출부(18)는 캐비티(11)로부터 변형 방향(DD)(아래쪽 혹은 바깥쪽)으로 물러난다. 단자 피팅(30)이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박스부(31)는 잠금용 돌출부(18)를 지나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잠금 랜싯(16)은 변형 방향(DD)(위쪽 혹은 안쪽)을 따라 탄성 변형되고, 잠금용 돌출부(18)[잠금면(19)]의 제1 잠금 영역(18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30)의 잠금부(33)에 후퇴 방향으로 혹은 후방으로 부터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제2 잠금 영역(18b)은 잠금부(33)와 맞물리지 않으면서 잠금부(33) 아래에 혹은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잠금용 돌출부(18)[잠금면(19)]와 단자 피팅(30)의 수직 방향에서의 맞물림 영역은, 제1 잠금 영역(18a)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이르는 영역[바람직하게는 잠금용 돌출부(18)의 높이 범위의 실질적인 절반 영역]이다.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과 단자 피팅(30)의 잠금부(33) 사이에 전후 방향(FBD)으로 간극이 존재한다. 잠금 랜싯(16)이 그 후단부를 실질적인 지점으로 하여 탄성 복원될 때,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는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 변위되고,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은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로부터 기단부(하측)을 향해 오버행잉 혹은 언더컷 방식으로 후방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으로부터 후방으로 빼낸 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이 상태에서 단자 피팅(30)을 후퇴 방향(후방)으로 변위시키려는 시도가 행해진다면, 단자 피팅(30)의 잠금부(33)가 오버행잉 잠금면(19)을 전방으로부터 밀 것이다. 그 후에, 잠금 랜싯(16)은 잠금면(19)의 경사에 의해 단자 피팅(30)에 접근하도록 [캐비티(11)를 향해] 위쪽 혹은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진다. 본체부(17)의 전방 단부가 박스부(31)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될 때, 단자 피팅(30)의 가압력에 의한 잠금 랜싯(16)의 탄성 변형이 중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용 돌출부(18)의 제2 잠금 영역(18b)이 후퇴 방향으로 (후방으로부 터) 잠금부(33)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단자 피팅(30)은 이러한 접촉(맞물림) 작용에 의해 구속된 채로 유지된다. 이때, 단자 피팅(30)과 잠금용 돌출부(18)의 수직 방향에서의 맞물림 영역은,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로부터 기단부에 이르는 영역[즉, 제1 잠금 영역(18a)과 제2 잠금 영역(18b)의 통합 영역]이며, 이 영역은 단지 제1 잠금 영역(18a)에 의한 맞물림의 영역보다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단자 피팅(30)이 후퇴 방향(후방)으로 당겨져서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 기능이 필요로 해지거나 혹은 커질 때,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변위되어 잠금용 돌출부(18)와 단자 피팅(30)의 맞물림 영역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즉 잠금 랜싯(16)을 몰드에 의해 성형할 때, 잠금용 돌출부(18)의 캐비티(11)로의 돌출량을 줄일 수 있다. 잠금용 돌출부(18)의 캐비티(11)로의 돌출량을 줄인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잠금 랜싯 성형용 몰드를 제거하도록 전방벽(13)을 절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몰드 제거 공간(21)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 구멍(14)에 대하여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획부(22)의 수직 방향 치수를 증대시킴으로써, 안내 경사부(15)의 안내 영역을 바람직하게 늘릴 수 있다.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은 바람직하게는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부를 향해 오버행잉 혹은 언더컷 방식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이 단자 피팅(30)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에 작용할 때, 잠금 랜 싯(16)은 잠금면(19)의 경사에 의해 캐비티(11)를 향해 신뢰 가능하게 당겨진다.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된 경우에도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은 바람직하게는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부를 향해 오버행잉 혹은 언더컷 방식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2 잠금 영역(18b)이 단자 피팅(30)에 맞물린 상태에서도 잠금용 돌출부(18)가 단자 피팅(3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안내 경사부의 안내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잠금 랜싯에 의한 구속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캐비티(11)의 내벽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인) 잠금 랜싯(16)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 돌출부(18)가 제1 잠금 영역(18a)과 제2 잠금 영역(18b)을 포함한다. 제1 잠금 영역(18a)은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린다. 제2 잠금 영역(18b)은 잠금용 돌출부(18)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리지 않지만,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함에 따라 단자 피팅(30)과 맞물린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잠금용 돌출부는 단자 피팅의 박스부의 후방 단부에 맞물리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박스부에 형성된 잠금 구멍에 맞물릴 수 있다.
(2) 제1 잠금 영역과 제2 잠금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잠금 영역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3)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은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대신에,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4) 잠금 랜싯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잠금용 돌출부의 잠금면은 기단부로부터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대신에,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ID)에 대해 직각을 이룰 수 있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금 랜싯은 캐비티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위치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랜싯은 캐비티의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측 혹은 우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금 랜싯은 진입 구멍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위치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랜싯은 진입 구멍의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측 혹은 우측으로 변위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7)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금 랜싯의 폭은 진입 구멍의 폭보다 크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랜싯의 폭은 진입 구멍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8) 잠금 랜싯은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일 필요는 없고, 또한 브릿지 모양(즉, 양단부에서 지지됨)일 수 있으며,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혹은 바깥쪽으로 (실질적으로 캐비티로부터 멀어지게) 시소와 같이 변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변위됨에 따라,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단자 피팅이 후방으로 변위됨에 따라, 잠금 랜싯이 캐비티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통상의 치수를 갖는 잠금 랜싯이 단자 피팅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잠금 랜싯이 단자 피팅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캐비티
13 : 전방벽
14 : 진입 구멍
15 : 안내 경사부
16 : 잠금 랜싯
18 : 잠금용 돌출부
18a : 제1 잠금 영역
18b : 제2 잠금 영역
19 : 잠금면
30 : 단자 피팅

Claims (10)

  1. 단자 피팅(30)이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캐비티(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캐비티(11)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DD)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본체부(17)를 구비하는 잠금 랜싯(16), 그리고
    단자 피팅(30)과 맞물려서 단자 피팅(30)을 구속하도록 본체부(17)로부터 돌출하는 잠금용 돌출부(18)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용 돌출부(18)는,
    잠금용 돌출부(18)의 돌출 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잠금 영역(18a)과,
    잠금용 돌출부(18)의 기단부측에 배치되고,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없지만,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함에 따라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잠금 영역(18b)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진입 구멍(14)이 캐비티(11)의 전방벽(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진입 구멍은 상대 단자가 전방으로부터 캐비티(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테이퍼지거나 혹은 경사진 안내 경사부(15)가 진입 구멍(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전방벽(13)의 전방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 경사부는 상대 단자를 진입 구멍(14)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잠금 랜싯(16)이 캐비티(11)를 향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잠금면(19)은 잠금용 돌출부의 기단부로부터 그 돌출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랜싯(16)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과 단자 피팅(30)의 잠금부(33) 사이에는 전후 방향(FBD)으로 간극이 존재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잠금 영역(18a)이 단자 피 팅(30)과 맞물린 상태에서, 단자 피팅(30)과 맞물릴 수 있는 잠금용 돌출부(18)의 잠금면(19)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의 후방 단부(18R)까지의 길이는, 제2 잠금 영역(18b)이 단자 피팅(30)과 맞물린 상태에서, 잠금면(19)으로부터 잠금용 돌출부(18)의 후방 단부(18R)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것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랜싯(16)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해 변형 공간(20)이 마련되고, 잠금 랜싯(16) 앞쪽의 공간과 변형 공간(20) 앞쪽의 공간은 서로 수직으로 연통하여 몰드 제거 공간(21)의 역할을 하며, 상기 몰드 제거 공간(21)은 잠금 랜싯(16) 및 변형 공간(20) 성형용 몰드를 제거할 때에 형성되고, 상기 몰드의 제거 방향은 단자 피팅(30)의 캐비티(11)로의 삽입 방향(ID)에 평행한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진입 구멍(14)과 몰드 제거 공간(2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 혹은 분할하는 구획부(22)가 캐비티(11)의 전방벽(13)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부(17)는 캔틸러버 형상이고, 전방으로 연장되며, 잠금용 돌출부(18)와 폭이 동일한 것인 커넥터.
KR1020080110484A 2007-11-12 2008-11-07 커넥터 KR101065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3254A JP2009123373A (ja) 2007-11-12 2007-11-12 コネクタ
JPJP-P-2007-293254 2007-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024A true KR20090049024A (ko) 2009-05-15
KR101065811B1 KR101065811B1 (ko) 2011-09-20

Family

ID=4028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484A KR101065811B1 (ko) 2007-11-12 2008-11-07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1985B2 (ko)
EP (1) EP2058905B1 (ko)
JP (1) JP2009123373A (ko)
KR (1) KR101065811B1 (ko)
CN (1) CN1014367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945A (ja) * 2009-08-25 2011-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629530B2 (ja) * 2010-08-23 2014-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00811B2 (ja) * 2011-03-30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99029B2 (ja) * 2011-04-28 2015-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76468B2 (ja) * 2011-09-22 2015-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47858B2 (ja) * 2012-04-10 2015-07-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55448B2 (ja) * 2013-02-12 2016-07-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04278B2 (ja) 2013-04-26 2016-10-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64832B2 (ja) * 2013-08-09 2017-0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062685A (ja) * 2014-09-16 2016-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7573B2 (ja) * 2014-09-16 2017-10-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9353B2 (ja) * 2017-03-13 2020-10-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6803875B2 (ja) * 2018-06-21 2020-12-2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24247B2 (ja) * 2020-08-26 2024-0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287U (ko) * 1976-06-30 1978-01-14
JP2587111Y2 (ja) * 1993-05-10 1998-12-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H09171849A (ja) * 1995-12-19 1997-06-30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188173Y1 (ko) * 1998-02-20 2000-07-15 이창원 컨넥터
JP4083947B2 (ja) * 1999-12-27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558037B2 (ja) * 2000-12-21 2004-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3077574A (ja) * 2001-09-05 200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2003257532A (ja) * 2002-03-01 2003-09-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912204B2 (ja) * 2002-06-28 2007-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12253B2 (ja) * 2002-10-24 2007-05-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296182A (ja) 2003-03-26 2004-10-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088189B2 (ja) 2003-04-14 2008-05-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362831A (ja) *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960430B2 (ja) * 2003-10-16 2007-08-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586714B2 (ja) * 2005-11-17 2010-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602006019809D1 (de) * 2005-11-15 2011-03-10 Sumitomo Wiring Systems Verbinder
JP2007141509A (ja) * 2005-11-15 2007-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7287615A (ja) * 2006-04-20 2007-11-01 Yazaki Corp 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1985B2 (en) 2010-02-16
CN101436727A (zh) 2009-05-20
CN101436727B (zh) 2011-11-02
EP2058905A1 (en) 2009-05-13
US20090124114A1 (en) 2009-05-14
KR101065811B1 (ko) 2011-09-20
JP2009123373A (ja) 2009-06-04
EP2058905B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11B1 (ko) 커넥터
US9577382B2 (en) Connector
KR10100694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US9570854B2 (en) Terminal fitting with stabilizers and connector
US8210873B2 (en) Connector
US8708739B2 (en) Connector
CN108376851B (zh) 带止动件的连接器
KR20160140957A (ko) 커넥터
US6497591B2 (en) Connector
US7306486B2 (en) Connector
JP4457987B2 (ja) コネクタ
EP1378968A1 (en) A connector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11342699B2 (en) Terminal fitting,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connector
US113096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fitting that include locking portion and restricting piece
JP2006185759A (ja) コネクタ
JP2007012451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6692303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that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erminal fitting into the connector
EP1916746B1 (en) A connector
US10559908B2 (en) Connector
US20230090903A1 (en) Connector
US11728589B2 (en) Connector
JP2009231077A (ja) コネクタ
JP2004362831A (ja) コネクタ
JP200821833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