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974B1 -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 Google Patents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974B1
KR100967974B1 KR1020070114348A KR20070114348A KR100967974B1 KR 100967974 B1 KR100967974 B1 KR 100967974B1 KR 1020070114348 A KR1020070114348 A KR 1020070114348A KR 20070114348 A KR20070114348 A KR 20070114348A KR 100967974 B1 KR100967974 B1 KR 10096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lor tone
color
contrast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125A (ko
Inventor
이성흠
Original Assignee
이성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흠 filed Critical 이성흠
Priority to KR102007011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9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며, 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되는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있어서, 음료의 색조와 대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색조 대비부를 구비하며, 색조 대비부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감각에 의존한 음료의 성분 조절 방법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 가능하다.
성분 조절, 색조, 대비, 음료

Description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gredients of a beverage using the region of color index}
본 발명은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 음료의 색조를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색조 대비부와 대비하여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을 통해 음료의 가장 적절한 맛을 나타내도록 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 직장 혹은 야외에서 간단히 커피를 마시기 위해 인스턴트 커피 제품 혹은 커피 분말, 커피 크림 및 설탕이 일정량씩 포장되어 판매되는 커피 믹스 제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 커피 제품은 기존의 원두커피로부터 커피를 뽑아내는데 드는 작업이나 시간을 줄여서 일반인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커피 믹스 제품은 커피를 타는데 들어가는 노고를 더욱더 줄여준다. 또한, 커피 분말, 커피 크림 및 설탕이 일반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맛을 내도록하는 비율로 포장되어 판매된다.
하지만, 기호의 변화로 인해 다양한 커피의 맛을 즐기기를 원하거나, 건강 상의 이유로 적절한 양의 커피 크림만을 넣고자 하는 요구가 늘고 있으나 기존의 제품으로는 커피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커피 믹스 제품의 경우 커피 분말, 커피 크림 및 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믹스 제품의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봉투들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커피봉투에 관한 발명으로는 한국공개특허 10-2005-0096659호 '내용물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봉투'가 있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 10-2005-0096659호 '내용물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봉투'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용물조절부(130)는 내용물충진부(110)의 내측 일단부의 중앙부분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접착하여 양쪽으로 분리하기 위한 칸막이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도면의 (가)부분, (나)부분 혹은 (다)부분을 잡고 내용물을 컵에다 쏟아서 커피 분말, 커피 크림 혹은 설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에 의한 성분 조절은 일정량의 성분을 붓고서 커피 맛을 보고 또 일정량의 성분을 붓고서 커피 맛을 보는 반복적인 작업을 통하여 커피 맛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여러 단계의 반복적인 작업을 요하며 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진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음료의 성분비율의 조절을 통하여 음료의 가장 적절한 맛을 제공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을 통하여 음료의 가장 적절한 맛을 제공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포함한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을 통하여 음료의 가장 적절한 맛을 제공하기 위한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두 가지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되는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색조와 대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색조 대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는 커피 분말 및 커피 크림을 포함한 커피 음료이며, 상기 음료의 색조는 상기 커피 분말과 커피 크림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는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는 각각 다른 혼합비율을 나타내는 색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는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이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의 손잡이부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부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로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가 컵 형상인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이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음료가 담겨지는 상기 컵 형상의 내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컵 형상의 내측부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로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조 대비부가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인 경우,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일부가 상기 음료에 잠기는 경우에도 상기 색조 대비부가 보이도록 상기 색조 대비부를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되는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있어서, 제 1성분 또는 제 2성분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성분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된 상기 성분을 토출하는 토출구 및 음료의 성분 비율에 따른 색조와 대비되는 색조 대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형상의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색조 대비부가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인 경우,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일부가 상기 음료에 잠기는 경우에도 상기 색조 대비부가 보이도록 상기 색조 대비부를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는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는 각각 다른 혼합 비율을 나타내는 색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제 1성분 및 제 2성분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 및 상기 제 1성분 및 상기 제 2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되는 음료의 색조와 대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색조 대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는 커피 분말 및 커피 크림을 포함한 커피 음료이며, 상기 음료의 색조는 상기 커피 분말과 커피 크림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는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는 각각 다른 혼합 비율을 나타내는 색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는 음료에 있어서, 성분 조절의 대상이 되는 성분을 상기 음료에 가하는 단계, 상기 성분의 공급으로 인해 변화된 상기 음료의 색조의 변화와 구비된 색조 대비부와 대비하는 단계, 상기 음료의 색조가 상기 색조 대비부의 색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성분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음료는 커피 분말 및 커피 크림을 포함한 음료이며, 상기 음료의 색조는 상기 커피 분말과 커피 크림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성분 조절 도구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성분비율 조절을 통해 상기 음료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커피의 경우, 기존의 커피를 타는 사람의 감각에 의한 커피 크림의 성분 비율 조절이나 반복 작업을 통한 커피 크림의 성분 비율 조절과는 달리 보다 정확한 방법으로 커피를 마시고자하는 사람의 다양한 기호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의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일 실시예(200)는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이며, 헤드부(205), 손잡이부(203) 및 대비하고자 하는 색조에 해당하는 색조 대비부(2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색조 대비부(201)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200)는 상기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201)로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색조 대비부(201)가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를 사용하여 음료를 젓는 경우 적어도 상기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의 음료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상기 색조 대비부(201)를 구비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201)의 색조는 음료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특정한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낸다. 즉, 요구되는 커피 음료의 맛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상기 색조 대비부(201)를 포함하는 상기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며 젓는 경우,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상기 색조 대비부(201)의 색조 대비를 통하여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상기 색조 대비부(201)를 포함하는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2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색조 대비부(201)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위치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300)는 컵 형상의 도구이며, 외측부(307), 내측부(305), 손잡이부(309) 및 대비하고자 하는 색조를 나타내는 색조 대비부(3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색조 대비부(301)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300)는 상기 컵 형상의 도구 자체의 색조 혹은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301)로 활용하는 것이다.
상기 색조 대비부(301)는 음료 성분 조절을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요구되는 비율을 나타낸다. 즉, 요구되는 커피 음료의 맛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색조 대비부(301)를 포함하는 상기 컵 형상의 음료 성분 조절 도구(300)를 사용하여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상기 색조 대비부(301)의 색조 대비를 통하여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색조 대비부(301)를 포함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3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색조 대비부(301)가 상기 컵 형상의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컵 형상의 도구의 음료 성분 조절 도구(300)의 내측부(305)의 적어도 음료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상기 색조 대비부(301)를 구비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301)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407)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4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400)는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이며, 헤드부(409), 손잡이부(411) 및 대비하고자 하는 다양한 색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407)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색조 대비부(407)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400)는 상기 스푼 형 상의 젓개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407)로서 활용하는 것이다.
이용자의 취향에 따라 요구되는 음료의 다양한 성분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음료는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407)의 각각의 색조 대비부(401, 403, 405)가 나타내는 각각의 색조는 음료의 각각의 다른 성분 혼합비율에 따른 음료의 색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음료의 각각의 다른 성분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조를 가져야 하는 경우, 도 2의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200)와 같이 각각의 성분의 비율에 해당하는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단일 개의 색조 대비부(201)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200)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4의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400)와 같이 상기 다양한 색조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407)를 포함하는 하나의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400)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색조 대비부(401, 403, 405)는 상기 음료의 각각의 성분 비율을 나타내는 색조를 나타내며, 상기 각각의 색조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407)를 스푼 형상의 젓개 도구(400)의 손잡이부(411)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색조 대비부(407)는 음료 성분 조절을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즉, 상기 각각의 색조 대비부(401, 403, 405)는 커피 음료의 각각의 특정한 성분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커피 음료의 특정한 성분 혼합비율은 곧 상기 커피 음료의 특 정한 맛을 나타낸다. 이용자는 상기 커피 음료를 타는 경우에 이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색조 대비부(407)중 일개 색조 대비부(401, 403, 405)와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의 대비를 통하여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상기 색조 대비부(407)를 포함하는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4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색조 대비부(407)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507)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5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500)는 컵 형상의 도구이며, 외측부(509), 내측부(511), 손잡이부(513) 및 대비하고자 하는 색조를 나타내는 색조 대비부(50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색조 대비부(507)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500)는 상기 컵 형상의 도구 중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507)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용자의 취향에 따라 요구되는 음료의 다양한 성분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음료는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507)의 각각의 색조 대비부(501, 503, 505)가 나타내는 각각의 색조는 음료의 각각의 다른 성분 혼합비율에 따른 음료의 색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음료의 각각의 다른 성분 혼합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조를 가져야 하는 경우, 도 3의 컵 형상의 도구(300)와 같이 각각의 성분의 비율에 해당하는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단일 개의 색조 대비부(301)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컵 형상의 도구(300)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5의 컵 형상의 도구(500)와 같이 상기 다양한 색조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507)를 포함하는 하나의 컵 형상의 도구(500)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색조 대비부(507)가 상기 컵 형상의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컵 형상의 도구의 성분 조절 도구(500)의 상기 내측부(511)의 적어도 음료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상기 색조 대비부(507)를 구비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507)는 음료 성분 조절을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즉, 상기 각각의 색조 대비부(501, 503, 505)는 각각의 커피 음료의 특정 성분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은 곧 상기 커피 음료의 맛을 나타낸다. 이용자는 상기 커피 음료를 타는 경우에 이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색조 대비부(507)중 일개 색조 대비부(501, 503, 505)와 커피 음료의 색조의 대비를 통하여 커피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색조 대비부(507)를 포함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5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색조 대비부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600)는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는 젓개 형상의 도구이며, 일단에 음료의 성분을 공급하는 공급수단(605), 상기 공급수단(605)으로부터 공급되는 성분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611),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600)의 말단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수단(605)을 통해 공급된 상기 성분을 토출하는 토출부(603) 및 요구되는 상기 음료의 성분 비율을 나타내는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상기 색조 대비부(601)를 구비한다.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600)는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601)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색조 대비부(601)가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음료를 젓는 경우 적어도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의 음료에 잠기지 않는 부분에 상기 색조 대비부(601)를 구비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601)는 음료 성분 조절을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요구되는 특정한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낸다. 즉, 요구되는 커피 음료의 맛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상기 색조 대비부(601) 를 포함하는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커피 음료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며 젓는 경우,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상기 색조 대비부(601)의 색조 대비를 통하여 상기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색조 대비부(601), 상기 토출구(603) 및 상기 성분 공급 수단(605)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색조 대비부를 가지는 음료 성분 비율 표시부(701)를 구비하는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의 내용물충진부(709)는 적어도 두 가지 성분이 통상의 방법으로 구역을 나누어 충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는 상기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703)와 상기 성분 중 제 1성분과 제 2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되는 음료의 색조와 대비하기 위한 색조 대비부(701)를 가진다. 상기 색조 대비부(701)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한다.
상기 조절부(703)는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구역이 나누어 충진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음료의 성분 간의 경계부분을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의 외부에 상기 조절부(703)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703)를 이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른 후 내용물을 쏟음으로써 상기 성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701)를 포함한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701)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색조 대비부(701)가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의 일부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의 일측면에 상기 색조 대비부(701)를 구비한다.
상기 색조 대비부(701)의 색조는 음료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특정한 성분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낸다. 즉, 상기 조절부(703)를 통하여 상기 커피 크림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요구되는 커피 음료의 맛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상기 색조 대비부(701)를 대비하여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상기 색조 대비부(701)를 포함하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7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의 형상 및 상기 색조 대비부(701)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색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810)를 구비하는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의 내용물충진부(809)는 적어도 두 가지 성분이 통상의 방법으로 구역을 나누어 충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는 상기 성분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803)와 상기 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 변화되는 음료의 다양한 색조와 대비하기 위한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810)를 가진다. 상기 색조 대비부(810)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한다.
상기 조절부(803)는 통상의 방법으로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구역이 나누어 충진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음료의 성분 간의 경계부분을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의 외부에 상기 조절부(803)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803)를 이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른 후 내용물을 쏟음으로써 상기 성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음료 성분 비율 표시부(810)를 포함한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상기 색조 대비부(810)로 활용하는 것으로, 상기 색조 대비부(810)가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의 일부의 색조를 활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의 일측면에 상기 색조 대비부(810)를 구비한다.
이용자의 취항에 따라 요구되는 음료의 다양한 성분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음료는 다양한 색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색조 대비부(810)가 나타내는 각각의 색조는 음료의 각각의 다른 성분 혼합비율에 따른 음료의 색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색조 대비부(810)의 색조는 음료 성분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지침으로써, 일례로 커피 음료의 경우 커피 분말, 설탕 및 커피 크림의 다양한 성분 비율 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낸다. 즉, 상기 조절부(803)를 통하여 상기 커피 크림의 성분 비율을 조절하면서,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요구되는 커피 음료의 맛에 해당하는 상기 커피 음료의 색조와 동일한 색조를 나타내는 상기 색조 대비부(810)를 대비하여 음료의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두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상기 색조 대비부(810)를 포함하는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800)를 이용하여 그 성분 비율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의 형상 및 상기 색조 대비부(810)의 형상이나 위치는 도 8에 도시된 형상이나 위치 이외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 10-2005-0096659호 '내용물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 봉투'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성분 조절 도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303, 400, 500, 600 : 음료 성분 조절 도구
201, 301, 305, 407, 507, 601, 701, 810 : 색조 대비부
605 : 공급수단
603 : 토출구
611 : 조절수단
700, 800 :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703, 803 : 조절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적어도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성분의 혼합비율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되는 음료의 성분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에 있어서,
    제 1성분 또는 제 2성분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성분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
    상기 조절수단을 상부에 구비한 젓개 형상의 도구;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의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및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 상에 위치하면서 음료의 성분 비율에 따른 색조와 대비되는 색조 대비부를 구비하며,
    상기 색조 대비부는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 자체의 색조 또는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개 형상의 음료 성분 조절 도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 대비부가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조인 경우, 상기 젓개 형상의 도구의 일부가 상기 음료에 잠기는 경우에도 상기 색조 대비부가 보이도록 상기 색조 대비부를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
  13. 제 11항 에 있어서,
    상기 음료 성분 조절 도구는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색조 대비부는 각각 다른 혼합비율을 나타내는 색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성분 조절 도구.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114348A 2007-11-09 2007-11-09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KR10096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48A KR100967974B1 (ko) 2007-11-09 2007-11-09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348A KR100967974B1 (ko) 2007-11-09 2007-11-09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25A KR20090048125A (ko) 2009-05-13
KR100967974B1 true KR100967974B1 (ko) 2010-07-07

Family

ID=4085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348A KR100967974B1 (ko) 2007-11-09 2007-11-09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9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75A (ko) * 2002-04-27 2003-11-01 전인택 평삭기와 블라스팅기 겸용 장치.
KR20040019874A (ko) * 2002-08-30 2004-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0384475Y1 (ko) * 2005-02-24 2005-05-16 이상진 취식도구
KR20050096659A (ko) * 2004-03-31 2005-10-06 박창복 내용물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봉투
KR200419874Y1 (ko) * 2006-03-15 2006-06-26 문기호 변온수단을 구비한 이중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75A (ko) * 2002-04-27 2003-11-01 전인택 평삭기와 블라스팅기 겸용 장치.
KR20040019874A (ko) * 2002-08-30 2004-03-0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050096659A (ko) * 2004-03-31 2005-10-06 박창복 내용물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봉투
KR200384475Y1 (ko) * 2005-02-24 2005-05-16 이상진 취식도구
KR200419874Y1 (ko) * 2006-03-15 2006-06-26 문기호 변온수단을 구비한 이중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125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19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from liquid concentrates beverages having multi-layer visual appearance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RU250061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ыбора и розлива продуктов
EP2624733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selectable beverage sensory parameters
EP1061840B1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EP1704803A1 (en) Beverage cartridge and system
US20160249765A1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method for providing a multi-layered beverage, and ingredients container for use thereof
KR100967974B1 (ko) 색조 대비부를 포함한 음료 성분 조절 도구
KR200343895Y1 (ko) 막대기로 일체된 커피믹서
KR200335109Y1 (ko) 커피분말 정량 공급장치
KR200306820Y1 (ko) 일회용 커피믹스
KR20180003536U (ko) 막대 각설탕
EP1921022A1 (en) Multi-cup vessel for ice-creams
TW201821003A (zh) 可調配咖啡口味之咖啡裝置及其操作方法
CA2976159A1 (en) User-configurable flavoring system
KR200274035Y1 (ko) 분말 온수 분리형 음료자동제조기
KR20160018053A (ko) 설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커피믹스
JP2007097519A (ja) 冷菓子およびその提供方法
US20180263424A1 (en) Eze chef is a device,a transparent thinwall plastic sheath, that when placed over a clear transparent plastic botte will measure ingredient levels to insure perfect recipe presentations of finished food entrees
US20190225373A1 (en) Twin-glass combinational drinking apparatus
KR20140095397A (ko) 당분조절이 가능한 즉석식품
KR20210061759A (ko)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20040105671A (ko) 일회용 종이컵을 접은 형태로 한 일체형 일회용 커피믹스
KR20000000475A (ko) 1회용 커피믹스
JP2010239955A (ja) チョコレートの串団子、チョコレートのまんじゅ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