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332A -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332A
KR20230024332A KR1020237000384A KR20237000384A KR20230024332A KR 20230024332 A KR20230024332 A KR 20230024332A KR 1020237000384 A KR1020237000384 A KR 1020237000384A KR 20237000384 A KR20237000384 A KR 20237000384A KR 20230024332 A KR20230024332 A KR 20230024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ment
clamping
connector
contact
retaining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도플러
실베스트레 키리
데니스 메닌
에르베 뮐러
Original Assignee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filed Critical 스타우블리 일렉트리컬 커넥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2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1)는, 접촉 캐리어(2) 및 이 접촉 캐리어(2)에 장착되고 중심 축선(M)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접촉 요소(3)를 포함하며,접촉 캐리어(2)는 측벽(6)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벽(4) 및 후방 벽(5)을 가지며, 전방 벽(4), 후방 벽(5) 및 측벽(6)은 수용 공간(7)을 형성하며, 유지 웨브(8)가 전방 벽(4)으로부터 수용 공간(7)을 통해 후방 벽(5)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그 유지 웨브(8)는 각각 전방 체결 부분(9)과 후방 체결 부분(10) 및 이들 체결 부분(9, 10) 사이에 위치되는 클램핑 부분(11)을 가지며, 유지 웨브(8)는 클램핑 부분(11)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12)를 가지며, 각 경우에 하나의 접촉 요소(3)가 그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에 의해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 사이의 중간 공간(14)에 클램핑되고, 체결 부분(9, 10) 중의 적어도 하나는 굴곡 힌지(15)의 구조를 가지며, 그래서, 접촉 요소(3)의 삽입 및/또는 제거 중에, 유지 웨브(8)가 굴곡 힌지(1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청구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 20 2013 000 969 U1에는, 랫칭(latching) 요소를 통해 하우징에 유지되는 복수의 접촉 요소를 갖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 요소 각각은 대응하는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DE 20 2013 000 969 U1의 단점은, 접촉 요소는 비교적 큰 힘을 사용해야만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GB 1 491 217은 접촉 요소가 스프링 탭(tab)에 의해 유지되는 추가 커넥터를 개시한다. 그 스프링 탭은 폐쇄 요소에 의해 그의 클램핑 위치에 유지된다.
GB 1 491 217은, DE 20 2013 000 969 U1와 비교하여, 접촉 요소는 더 쉽게 수용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또한 그 수용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폐쇄 요소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 요소를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이 복잡하다.
추가 단점은, DE 20 2013 000 969 U1 및 GB 1 491 217의 주제는 제조하고 장착하는 것이 복잡하다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에는 특히 복수의 부품을 갖는 복잡한 기계적 설계와 관련하여 그러하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쉽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접촉 요소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목적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접촉 캐리어 및 이 접촉 캐리어에 장착되고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한다. 접촉 캐리어는 측벽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가지며, 전방 벽, 후방 벽 및 측벽은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가 전방 벽으로부터 수용 공간을 통해 후방 벽까지 연장되어 있다. 서로 평행한 복수의 유지 웨브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는 각 경우에 전방 체결 부분과 후방 체결 부분 및 이들 체결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클램핑 부분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는 클램핑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를 가지며, 각 경우에 하나의 접촉 요소가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 사이의 중간 공간에 그 클램핑 구조에 의해 클램핑되고 그리고/또는 각 경우에 하나의 접촉 요소가 유지 웨브와 한 측벽 사이의 중간 공간에 그 클램핑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체결 부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접촉 요소가 삽입 및/또는 제거될 때, 유지 웨브가 굴곡 힌지의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굴곡 힌지의 구조를 갖는다.
굴곡 힌지의 배치로 접촉 요소의 간단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조립 및 분해 중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결정된 위치가 생성된다.
결정된 힌지는 굴곡 힌지의 배치에 의해 생성되며, 그 결과, 접촉 요소가 항상 동일한 조건에서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지 웨브는 클램핑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편향된다.
"굴곡 힌지"라는 용어는, 전방 벽과 클램핑 부분 사이 또는 후방 벽과 클램핑 부분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힘이 가해지면, 굴곡 힌지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힘이 멈추면 다시 클램핑 위치를 취하게 된다. 굴곡 힌지는 편향이나 비틀림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편향과 비틀림 변형의 조합도 생각할 수 있다.
"유지되는"이라는 용어는, 접촉 요소를 중간 공간에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접촉 요소는 제자리에 클램핑 및/또는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지 웨브가 수용 공간에 존재하고 따라서 복수의 중간 공간이 접촉 요소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접촉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접촉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접촉 요소 또는 공압 접촉 요소 또는 유압 접촉 요소 또는 광학 접촉 요소이다.
유지 웨브가 움직일 때, 클램핑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 힌지에 추가로, 변형, 특히 탄성 변형을 겪는다. 클램핑 부분의 변형 정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 힌지의 변형 정도보다 작다.
굴곡 힌지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이러한 설계는, 힘이 가해질 때 변형이 실제로 굴곡 힌지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장한다. 클램핑 부분은 대응적으로 굴곡 힌지보다 튼튼하게 설계되며 그에 따라 변형되지 않거나 단지 약간만 변형된다.
굴곡 힌지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분의 최대 단면적의 15% 내지 75%, 특히 25% 내지 60%에 대응한다.
전방 체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 체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후방 벽에 일체로 형성된다.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유지 웨브의 치수는 길이로 정의되고, 2개의 인접하는 중간 공간 사이의 치수는 폭으로 정의되며, 그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치수는 높이로 정의되고, 클램핑 부분의 폭은 굴곡 힌지의 폭과 동일하고, 클램핑 부분의 높이는 굴곡 힌지의 높이보다 크다.
이러한 설계로, 변형하기 쉬운 굴곡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클램핑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양측에서 굴곡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폭은 바람직하게는 그 높이 보다 작다.
굴곡 힌지는, 활성화되면, 접촉 요소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중심에서 굴곡 힌지를 통과하는 축선에 대한 비틀림 운동 및 접촉 요소로부터 멀어지게 또는 그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일어나는 편향 운동을 겪게 된다.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굴곡 힌지의 단면적의 중심점을 통과한다. 축선의 방향으로 굴곡 힌지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 일정하다.
굴곡 힌지와 전방 벽 사이 및/또는 굴곡 힌지와 후방 벽 사이의 천이부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부로 둥글게 되도록 설계된다.
변형 중에 발생하는 응력 피크는 라운딩부에 의해 쉽게 소산된다.
클램핑 부분은 바람직하게 활성화 탭(tab)을 가지며, 유지 웨브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힘이 그 활성화 탭을 통해 유지 웨브에 가해질 수 있다
유지 웨브의 방향에서 볼 때, 활성화 탭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2개의 활성화 탭을 통해 작용하는 도구에 의해 2개의 유지 웨브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서로 멀어지게 움직이도록,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의 활성화 탭은 각각의 유지 웨브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벽은 활성화 탭을 갖거나 측벽은 활성화 탭을 제공하고, 인접하는 유지 웨브는, 측벽의 활성화 탭 및 그 측벽에 인접하는 유지 웨브의 활성화 탭에 작용하는 도구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측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인다.
활성화 탭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분의 전체 길이 또는 그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된다.
접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외부적으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설계되고, 접촉 요소는 클램핑 구조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갖는다.
클램핑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훅크를 가지며, 이 훅크는 접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라운딩부를 가지며, 중심 축선에 대해 횡단면에서 볼 때, 그 오목한 라운딩부는 본질적으로 원호의 형상, 특히 본질적으로 1/4 원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훅크는 접촉 요소 주위에 결합하고 그래서 그 접촉 요소를 중간 공간에 유지시킨다.
2개의 훅크가 바람직하게 각 경우에 중간 공간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 또는 측벽에 배치되고 훅크 쌍을 형성하며, 한 훅크는 중심 축선에 대해 아래로부터 접촉 요소 주위에 결합하고, 다른 훅크는 중심 축선에 대해 위로부터 접촉 요소 주위에 결합한다.
훅크 쌍의 훅크는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상이한 감싸기 각도로 접촉 요소 주위에 결합한다.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는 더 쉽게 풀릴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훅크 쌍이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의 중심 축선 또는 유지 웨브 또는 측벽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훅크의 길이는 개별 훅크 쌍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다르다.
접촉 요소의 장착은 오프셋 배치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클램핑 구조는 더 바람직하게는 유지 웨브 또는 측벽에서 안전 요소를 가지며, 이 안전 요소는 접촉 요소의 중심 축선의 방향으로 일어나는 접촉 요소의 이동에 대한 정지 수단을 제공한다.
안전 요소는 예컨대 오목부 중의 하나 안으로 들어간다.
수용 공간과 대향하는 표면에서,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웨브에 있는 클램핑 구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계를 갖는 클램핑 구조를 갖는다.
전방 벽과 후방 벽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 마다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접촉 요소에 대한 접근이 제공된다. 각 경우에 2개의 인접하는 개구가 서로에 대해 위아래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는 또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서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수용 공간 안으로 들어가는 클램핑 구조는 또한 대응적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는 전기적 접촉 요소이고, 소켓 부분 또는 핀 부분으로 설계된 전방측 접촉 부분을 갖는다. 접촉 요소는 또한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후방측 접촉 부분을 갖는다.
접촉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서 클램핑 탭을 가지며, 이 클램핑 탭에 의해 접촉 캐리어가 유지 프레임에 클램핑될 수 있다.
제 1 접촉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접촉 캐리어의 안내 부분이 밀려 들어갈 수 있는 수용부를 전방 벽의 영역에서 갖는다. 그 수용부는, 접촉 요소 중에서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을 위한 보호부로서 역할할 수 있다.
전방 벽의 영역 및 측벽의 부분 영역에서, 추가 접촉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접촉 캐리어의 수용부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안내 부분을 갖는다.
추가 실시 형태는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그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목적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2개의 커넥터의 추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1에 따른 2개의 커넥터의 추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따른 2개의 커넥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따른 2개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커넥터 중 하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커넥터 중 하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앞 도의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넥터(1)의 다른 도들이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커넥터는 각 경우에 소켓측(1a) 또는 핀측(1b)으로 나타나 있다. 소켓측(1a)에 있는 커넥터(1)의 본질적인 특징부들은 핀측(1b)에 있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각 경우에 단지 커넥터(1)를 참조하며, 이는 소켓측(1a)과 핀측(1b) 모두를 동일하게 의미한다.
커넥터(1)는 접촉 캐리어(2) 및 접촉 캐리어(2)에 장착된 복수의 접촉 요소(3)를 포함한다. 접촉 요소(3)는 중심 축선(M)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접촉 요소(3)는 전기 접촉 요소(3)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압, 유압 또는 광학 접촉 요소도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2)는 측벽(6)을 통해 서로 연결된 전방 벽(4) 및 후방 벽(5)을 갖는다. 전방 벽(4), 후방 벽(5) 및 측벽(6)은 수용 공간(7)을 형성한다. 접촉 요소(3)는 수용 공간(7)에 위치된다. 더욱이, 복수의 유지 웨브(8)가 전방 벽으로부터 수용 공간(7)을 통해 후방 벽(5)까지 연장된다. 유지 웨브(8)는 각각 전방 체결 부분(9)과 후방 체결 부분(10), 및 이들 체결 부분(9, 10) 사이에 위치되는 클램핑 부분(11)을 포함한다. 접촉 요소(3)는 클램핑 부분(11)을 통해 수용 공간(7)에 유지된다.
전방 체결 부분(9)은 전방 벽(4)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 체결 부분(10)은 후방 벽(5)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전방 벽(4)과 후방 벽(5)은 단일체로서 전방 벽(4)과 후방 벽(5)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전방 벽(4)과 후방 벽(5)은 마찬가지로 측벽(6)에 일체로 연결된다. 유지 웨브(8)는 클램핑 부분(11)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12)를 갖는다. 클램핑 구조(12)에 의해, 각 경우에 하나의 접촉 요소(3)가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 사이의 중간 공간(14) 또는 유지 웨브(8)와 측벽(8) 사이의 중간 공간(14)에 클램핑 방식으로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분(9, 10)은 굴곡 힌지(15)의 구조를 갖는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두 체결 부분(9, 10)은 굴곡 힌지(15)의 형태를 갖는다. 도 3a 및 도 3b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힌지(15)는, 접촉 요소(3)의 삽입 및/또는 제거 중에 유지 웨브(8)가 굴곡 힌지(15)의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구(W)에 의해 활성화가 일어날 수 있다.
결정된 또는 특정 힌지가 굴곡 힌지(15)의 배치에 의해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접촉 요소(3)의 조립 및 분해는 항상 동일한 조건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적 힌지가 굴곡 힌지의 형태로 존재하며 대응적으로 이 힌지는 전방 벽(4)과 클램핑 부분(11) 사이 또는 후방 벽(5)과 클램핑 부분(11)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이점이 있다. 힘이 가해지면 굴곡 힌지(15)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유지 웨브(8) 또는 이 유지 웨브(8)의 일부분을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설계에 따라, 유지 웨브(8)도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굴곡 힌지(15) 및 유지 웨브(8)는, 바람직하게는, 변형의 대부분이 굴곡 힌지에서 일어나도록 규정된다.
힘이 중단되면, 유지 웨브(8) 및 또한 굴곡 힌지(15)는 클램핑 위치를 다시 취한다. 따라서 이는 탄성 변형의 경우이다. 따라서 굴곡 힌지(15)는 응력을 받아 편향과 비틀림의 조합인 운동을 하고 그에 따라 변형된다. 설계에 따라, 굴곡 힌지는 편향 또는 비틀림에 의해서만 응력을 받고 변형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힌지(15)는 클램핑 부분(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이는 굴곡 힌지(15)는 클램핑 부분(11)에 대해 테이퍼져 있도록 설계됨을 의미한다.
굴곡 힌지(15)의 단면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분(11)의 최대 단면적의 최대 65%, 특히 25 내지 60%에 대응한다. 클램핑 부분(11)의 최대 단면적은 클램핑 구조(12)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규정된다
전방 벽(4)과 후방 벽(5) 사이의 유지 웨브(8)의 치수는 길이로 정의된다. 2개의 인접한 중간 공간(14) 사이의 유지 웨브(8)의 치수는 폭으로 정의된다. 유지 웹(8)의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지 웨브(8)의 치수는 높이로 정의된다. 클램핑 부분의 폭은 여기서 굴곡 힌지(15)의 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는 유지 웨브(8)는, 클램핑 구조(12)를 제외하고, 전방 벽(4)과 후방 벽(5) 사이에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클램핑 부분(11)의 높이는 굴곡 힌지(15)의 높이보다 크다. 그 결과, 클램핑 부분(11)은 굴곡 힌지(15)보다 더 튼튼하게 설계되며, 이는 굴곡 힌지(15)의 움직임에 유리하다.
클램핑 부분(11)은 양측에서 굴곡 힌지(15)로부터 멀어지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클램핑 부분(11)이 굴곡 힌지(15)의 위와 아래 모두에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 힌지(15)는, 활성화되면,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비틀림 운동 및 편향 운동을 겪는다. 비틀림 운동은,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에 평행하게 중심에서 굴곡 힌지(15)를 통과하는 축선(A)에 대해 일어난다. 편향 운동은 축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일어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축선(A)은 접촉 요소(5)의 중심 축선(A)에 평행하게 중심에서 굴곡 힌지(15) 및 유지 웨브(8)를 통과한다.
또한 도 3a 및 3b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힌지(15)로부터 전방 벽(4)으로의 천이부 및 굴곡 힌지(15)로부터 후방 벽(5)으로의 천이부는 라운딩부(16)로 둥글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천이부의 이러한 설계는, 굴곡 힌지(15)의 탄성 변형으로 인한 응력 피크가 전방 벽(4) 또는 후방 벽(5)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면, 특히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부분(11)은 활성화 탭(17)을 갖는다. 실제 클램핑 부분(11)으로부터 돌출하는 활성화 탭(17)을 통해 힘이 유지 웨브(8) 및 굴곡 힌지(15)에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그 힘은, 유지 웨브(8)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이도록 가해질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도구(W)가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도구의 활성화에 의해, 특히 도구(W)를 비틀어 힘이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의 활성화 탭(17)에 가해질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도구(W)는 스크류드라이버이다.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의 활성화 탭(17)은, 유지 웨브(8)의 방향으로 볼 때, 본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며, 그래서, 활성화 탭(17) 사이에 위치될 있고 그 활성화 탭(17)을 통해 작동하는 도구(W)에 의해 2개의 유지 웨브는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서로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다.
모든 도에서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요소(3)는 외부적으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 요소(3)는 클램핑 구조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8)를 갖는다.
이제 도 3a, 3b, 4, 5 및 7을 참조하여 클램핑 구조(12)의 세부 사항은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클램핑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훅크(19)를 포함하고, 여기서 훅크(19)는 접촉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라운딩부(20)를 갖는다. 오목한 라운딩부(20)는, 중심 축선(M)에 대한 단면에서 볼 때, 접촉 요소의 일부분만을 둘러싼다. 오목한 라운딩부(20)는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1/4 원의 형상을 갖는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훅크(19)가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에 배치된다. 여기서 2개의 훅크(19)는 중간 공간(14)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이들 2개의 훅크(19)는 훅크 쌍을 형성한다. 여기서 하나의 훅크(18)는 아래로부터 접촉 요소(3)를 둘러싸고 다른 훅크(19)는 위로부터 접촉 요소(3) 주위에 결합한다. 이 결합은 도 7에 대응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훅크 쌍의 훅크(19)는 접촉 요소(3)를 중간 공간(14)에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훅크(19)는 또한 접촉 요소(3)에 대한 위치 결정 보조구로서 작용할 수 있다.
훅크(19)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3)가 부유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접촉 요소가 중간 공간(14)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됨을 의미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도 3a 및 3b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2개의 훅크 쌍이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의 방향으로 또는 유지 웨브(8)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중간 공간(14) 당 총 4개의 훅크(18)가 배치된다. 여기서 개별 훅크 쌍 사이의 훅크(18)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는 2개의 훅크 쌍이 본질적으로 2개의 위치에서 접촉 요소(3) 주위에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클램핑 구조는 또한 유지 웨브(8)에서 안전 요소(21)를 갖는다. 이 안전 요소(21)는, 유지 웨브(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부분으로 설계되며, 이 상승 부분은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의 방향으로 일어나는 접촉 요쇼(3)의 이동에 대한 정지 수단을 제공한다. 이 정지 작용은 도 5에 나타나 있다. 안전 요소(21)는 접촉 요소(3)에 있는 오목부(18)에 결합한다.
측벽(6)은 또한 수용 공간(7)과 마주하는 표면에서 클램핑 구조(12)를 갖는다. 여기서 클램핑 구조(12)는 유지 웨브(8) 상의 클램핑 구조(12)의 설계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계를 갖는다. 이는 본 경우에 대응하는 훅크(19) 및 안전 요소(21)도 존재함을 의미한다.
전방 벽(4) 및 후방 벽(5)은 개구(23)를 갖는다. 이 개구(23)를 통해 접촉 요소(3)에 접근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23)는 동일한 축선 상에 있지 않고 대신에 서로에 대해 위아래로 오프셋되도록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유지 웨브는 더 적은 힘의 사용으로 편향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2개의 접촉 요소 사이의 간격은 더 증가되는데, 이로써, 두 접촉 요소 사이의 전기적 혼선이 방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도에 나타나 있는 접촉 요소는 전기적 접촉 요소이다. 전기적 접촉 요소는 전방측 접촉 부분(24) 및 후방측 접촉 부분(25)을 갖는다. 소켓측(1a)에서, 전방측 접촉 부분(24)은 소켓 안으로 설계되고, 핀측(1b)에서 전방측 접촉 부분(24)은 핀 부분으로 설계된다. 연결되면, 핀 부분은 소켓 부분 안으로 들어간다. 후방측 접촉 부분(25)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모든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캐리어(2)는 외부에서 클램핑 탭(26)을 갖는다. 접촉 캐리어(2)는 이들 클램핑 탭에 의해 유지 프레임(27)에 클램핑될 수 있다. 유지 프레임(27)의 일 예가 도 8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유지 프레임(27)은 외부 클램핑 탭(26)에 의해 접촉 캐리어(2)를 유지 프레임(27)에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추가 플러그 부분도 나타나 있다.
핀측(1b)의 접촉 캐리어(2)는 또한 전방 벽(4)의 영역에서 수용부(28)를 갖는다. 여기서 수용부(28)는 소켓측(1a)의 접촉 캐리어(2)의 안내 부분(29)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소켓측(1a)의 접촉 캐리어(2)는, 전방 벽(4)의 영역 및 측벽(6)의 부분 영역에서, 핀측(1b)의 접촉 캐리어(1)의 수용부(28)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는 안내 부분(29)을 갖는다.
1 커넥터
1a 소켓측
1b 핀측
2 접촉 캐리어
3 접촉 요소
4 전방 벽
5 후방 벽
6 측벽
7 수용 공간
8 유지 웨브
9 전방 체결 부분
10 후방 체결 부분
11 클램핑 부분
12 클램핑 구조
14 중간 공간
15 굴곡 힌지
16 라운딩부
17 활성화 탭
18 오목부
19 훅크
20 오목한 라운딩부
21 안전 요소
22 표면
23 개구
24 전방측 접촉 부분
25 후방측 접촉 부분
26 클램핑 탭
27 유지 프레임
28 수용부
29 안내 부분
M 중심 축선
A 축선
W 도구

Claims (16)

  1. 접촉 캐리어(2) 및 이 접촉 캐리어(2)에 장착되고 중심 축선(M)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접촉 요소(3)를 포함하는 커넥터(1)로서,
    상기 접촉 캐리어(2)는 측벽(6)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전방 벽(4) 및 후방 벽(5)을 가지며, 상기 전방 벽(4), 후방 벽(5) 및 측벽(6)은 수용 공간(7)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8)가 상기 전방 벽(4)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7)을 통해 후방 벽(5)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8)는 각 경우에 전방 체결 부분(9)과 후방 체결 부분(10) 및 이들 체결 부분(9, 10) 사이에 위치되는 클램핑 부분(11)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8)는 클램핑 부분(11)에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12)를 가지며, 각 경우에 하나의 접촉 요소(3)가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 사이의 중간 공간(1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웨브(8)와 상기 측벽(6) 중 하나 사이의 중간 공간(14)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구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체결 부분(9, 10) 중의 적어도 하나는 굴곡 힌지(15)의 구조를 가지며, 그래서, 접촉 요소(3)가 삽입 및/또는 제거될 때, 상기 유지 웨브(8)가 굴곡 힌지(15)의 변형, 특히 탄성 변형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웨브(8)가 움직일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굴곡 힌지에 추가로, 상기 클램핑 부분(11)도 변형, 특히 탄성 변형을 겪는, 커넥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힌지(15)는 클램핑 부분(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커넥터(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힌지의 단면적은 상기 클램핑 부분(11)의 최대 단면적의 15% 내지 75%, 특히 25% 내지 60%에 대응하는, 커넥터(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체결 부분(9)은 전방 벽(4)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 체결 부분(10)은 후방 벽(5)에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4)과 후방 벽(5) 사이의 유지 웨브(8)의 치수는 길이로 정의되고, 2개의 인접하는 중간 공간(14) 사이의 치수는 폭으로 정의되며, 상기 길이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치수는 높이로 정의되고, 상기 클램핑 부분(11)의 폭은 굴곡 힌지(15)의 폭과 동일하고, 클램핑 부분(11)의 높이는 굴곡 힌지(15)의 높이보다 큰, 커넥터(1).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분(11)은 양측에서 굴곡 힌지(15)로부터 멀어지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폭은 높이보다 작은, 커넥터(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힌지(15)는, 활성화되면,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에 평행하게 중심에서 굴곡 힌지(15)를 통과하는 축선(A)에 대한 비틀림 운동 및 접촉 요소(3)로부터 멀어지는 또는 상기 축선(A)에 대해 횡방향의 편향 운동을 겪는, 커넥터(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힌지(15)와 전방 벽(4) 사이 및/또는 굴곡 힌지(15)와 후방 벽(5) 사이의 천이부는 라운딩부(16)로 둥글게 설계되어 있는, 커넥터(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분(11)은 활성화 탭(tab)(17)을 가지며, 상기 유지 웨브(8)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힘이 상기 활성화 탭을 통해 유지 웨브(8)에 가해질 수 있는, 커넥터(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탭(17) 사이에 위치되고 2개의 활성화 탭(17)을 통해 작용할 수 있는 도구(W)에 의해 2개의 유지 웨브(8)가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서로 멀어지게 움직이도록, 상기 유지 웨브(8)의 방향에서 볼 때,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의 활성화 탭(17)은 각각의 유지 웨브(8)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측벽(6)은 활성화 탭(17)을 갖거나 제공하며, 상기 측벽(6)의 활성화 탭(17)과 그 측벽(6)에 인접한 유지 웨브(8)의 활성화 탭(17)에 작용하는 도구(W)에 의해 상기 인접하는 유지 웨브(8)가 측벽(6)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클램핑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움직이는, 커넥터(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요소(3)는 외부적으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접촉 요소(3)는 상기 클램핑 구조(12)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8)를 갖는, 커넥터(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구조(12)는 적어도 하나의 훅크(19)를 가지며, 이 훅크(19)는 접촉 요소(3)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라운딩부(20)를 가지며, 상기 중심 축선(M)에 대해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오목한 라운딩부(20)는 본질적으로 원호의 형상, 특히 본질적으로 1/4 원의 형상을 갖는, 커넥터(1).
  14. 제 13 항에 있어서,
    2개의 훅크(19)가 각 경우에 상기 중간 공간(14) 또는 측벽(6)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2개의 인접하는 유지 웨브(8)에 배치되고 훅크 쌍을 형성하며, 한 훅크(19)는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아래로부터 접촉 요소(3) 주위에 결합하고, 다른 훅크(19)는 중심 축선에 대해 위로부터 접촉 요소(3) 주위에 결합하는, 커넥터(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훅크 쌍이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 또는 유지 웨브(8) 또는 측벽(6)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상기 훅크(19)의 길이는 개별 훅크 쌍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커넥터(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구조는 유지 웨브(8) 또는 측벽(6)에서 안전 요소(21)를 가지며, 이 안전 요소는 접촉 요소(3)의 중심 축선(M)의 방향으로 일어나는 접촉 요소(3)의 이동에 대한 정지 수단을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수용 공간(7)과 대향하는 표면(22)에서, 상기 측벽(6)은, 유지 웨브(8)에 있는 클램핑 구조(12)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설계를 갖는 클램핑 구조(12)를 가지며; 그리고/또는
    상기 전방 벽(4)과 후방 벽(5)은 접촉 요소 마다 개구(23)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접촉 요소(3)에 대한 접근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가 또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되도록, 각 경우에 2개의 인접하는 개구(23)가 서로에 대해 위아래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접촉 요소(3)는 전기적 접촉 요소이고, 소켓 부분 또는 핀 부분으로 설계된 전방측 접촉 부분(24)을 가지며, 상기 접촉 요소는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후방측 접촉 부분(25)을 갖는, 커넥터(1).
KR1020237000384A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KR20230024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0815 2020-06-18
EP20180821.9 2020-06-18
EP20180815.1 2020-06-18
EP20180821 2020-06-18
PCT/EP2021/065243 WO2021254821A1 (de) 2020-06-18 2021-06-08 Modulare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332A true KR20230024332A (ko) 2023-02-20

Family

ID=763059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939A KR20230024355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KR1020237000384A KR20230024332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939A KR20230024355A (ko) 2020-06-18 2021-06-08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352870A1 (ko)
EP (2) EP4169131A1 (ko)
JP (2) JP2023529963A (ko)
KR (2) KR20230024355A (ko)
CN (2) CN115803972A (ko)
WO (2) WO20212548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1217A (en) 1975-04-29 1977-11-09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DE69622082T2 (de) 1995-05-12 2003-02-27 Framatome Connectors Int Verbindungsmodul mit abnehmbaren Kontakten und Anwendung in Verbindungsleisten
JP3171312B2 (ja) 1995-11-27 2001-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汎用コネクタ
JP2001015223A (ja) * 1999-06-25 2001-01-19 Nec Corp 汎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合方法
DE102004002850B4 (de) * 2004-01-19 2010-05-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TWM283372U (en) * 2005-07-22 2005-12-11 Advanced Connectek Inc Spring connector
JP2013069542A (ja) * 2011-09-22 201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抜き構造
DE202012010735U1 (de) * 2012-11-12 2012-12-03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Modularer Steckverbinder
DE202013000969U1 (de) 2013-01-31 2014-05-0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5104562B4 (de) * 2015-03-26 2018-12-06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Halterahmen und Steckverbinder mit Halterahmen für ein modulares Steckverbind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03972A (zh) 2023-03-14
JP2023529963A (ja) 2023-07-12
JP2023529964A (ja) 2023-07-12
WO2021254822A1 (de) 2021-12-23
EP4169130A1 (de) 2023-04-26
EP4169131A1 (de) 2023-04-26
US20230352870A1 (en) 2023-11-02
WO2021254821A1 (de) 2021-12-23
US20230231339A1 (en) 2023-07-20
KR20230024355A (ko) 2023-02-20
CN115917886A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7981C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mpliant cable strain relief element
EP1471609B1 (en) Connector
CN110537299B (zh) 用于重型插接连接器的保持框架
US4855631A (en) Brush holding device
US20160093980A1 (en) Holding frame for plug connector modules
ES2537885T3 (es) Conector enchufable modular
US8870468B2 (en) Multi-port shielded adapter
KR100363636B1 (ko) 개선된 캠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GB2257576A (en) Retaining contacts in electrical connectors.
JP2002048946A (ja) 複数の光コネクタを組み立てるためのアダプタ
EP2228870B1 (en) Electrical connector
EP3270469B1 (en) Connector
KR20160138473A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KR20230024332A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EP2826101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3853541B (zh) 光连接器
EP2360795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guiding protrusion or pocket with a flexible fastening member
EP2347476B1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US11923636B2 (en) Cable connector, cable connector arrangement and d-sub type cable connector
CN112217023B (zh) 用于插接连接器的触点载体
KR102398228B1 (ko) 하우징 터미널
US6152607A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holder
KR102398229B1 (ko) 전기 커넥터
CN110476304B (zh) 连接器
JP2021068612A (ja) パネル取付け型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