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975A -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975A
KR20010094975A KR1020010013648A KR20010013648A KR20010094975A KR 20010094975 A KR20010094975 A KR 20010094975A KR 1020010013648 A KR1020010013648 A KR 1020010013648A KR 20010013648 A KR20010013648 A KR 20010013648A KR 20010094975 A KR20010094975 A KR 2001009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ront wheel
interlocking
wire
wheel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849B1 (ko
Inventor
오카자키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9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12Tand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6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 B62L1/08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by the elements moving radially relative to the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축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또 와이어 길이의 증가를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작력 전달 효율을 높인다.
브레이크 페달(8)에 연결 링크(11)를 통해 연결된 이퀄라이저(10)의 양단에, 후륜 브레이크(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1)와,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7)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벨 크랭크(13)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륜 브레이크(BF)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일단이 벨 크랭크(13)의 다른 단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A front and rear brake interloc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축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는, 예컨대 특개평 9-58434호 공보 등에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이퀄라이저의 양단에, 후륜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와, 전륜 브레이크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는, 상기 이퀄라이저로부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뒷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앞쪽으로 굴곡시켜야만 하므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가 작아지게 되고, 또 굴곡에 의한 와이어 길이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조작력 전달효율의 저하를 보충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또 굴곡을 작게 하여 와이어 길이의 증가를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작력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 및 전륜 브레이크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에 축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 링크를 통해 연결된 이퀄라이저의 양단에, 후륜 브레이크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벨 프랭크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륜 브레이크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벨 크랭크의 다른 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브레이크 페달의 근방에 배치된 벨 크랭크에서 앞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할 수 있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가 굴곡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회피하도록 하여, 와이어 길이의 증가를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작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벨 크랭크에 이퀄라이저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여 상기 벨 크랭크를 회동하여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퀄라이저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벨 크랭크에 작용하는 하중이 스프링 하중을 상회할 때까지는 벨 크랭크가 회동하지 않고, 전륜 브레이크도 브레이크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가 선행하여 브레이크 작동하고, 뒤이어 전륜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 조작시의 차량 거동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브레이크 레버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륜 브레이크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레버 및 전륜 브레이크 사이에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가 설치되고, 상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는,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에서 상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로의 힘의 전달을 회피하면서, 헤드 파이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짧게 하는 데다, 핸들 조작을 고려하지 않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차체 프레임을 따라 배선할 수 있어, 조작력 전달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브레이크 페달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3에서 본 도면,
도 4는 브레이크 페달을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의 도 2에 대응한 측면도,
도 5는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헤드 파이프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의 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제2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헤드 파이프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
도 9는 제3 실시예의 연동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브레이크 레버 4 : 브레이크 페달
5A, 5B : 전후 브레이크력 전달계 7 : 차체 프레임
10 : 이퀄라이저 11 : 연결 링크
12 :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 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로드
13 : 벨 크랭크 14 :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
15 : 스프링 16 : 헤드 파이프
BF : 전륜 브레이크 BR : 후륜 브레이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1∼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연동 브레이크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브레이크 페달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3에서 본 도면, 도 4는 브레이크 페달을 브레이크 조작했을 때의 도 2에 대응한 측면도, 도 5는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헤드 파이프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서, 차량인 자동 이륜차의 조향 핸들(1)에는, 그 우측 그립(1a)에 인접하여 레버 홀더(2)가 고착되어 있고, 상기 레버 홀더(2)에서 축 지지된 브레이크 레버(3)는, 드럼식인 전륜 브레이크(BF)의 작동 레버(4)에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를 통해 접속된다. 즉, 브레이크 레버(3)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BF)가 브레이크 작동한다.
한편, 후륜 브레이크(BR)도 드럼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후륜 브레이크(BR)의 작동 레버(6)에는, 차체 프레임(7)에 축 지지된 브레이크 페달(8)을 밟음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브레이크 페달(8)의 밟음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륜 브레이크(BF)의 작동 레버(4)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브레이크 페달(8)은, 그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 및 전륜 브레이크(BF)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2 및 도3에서, 브레이크 페달(8)은, 차체 프레임(7)에 고정된 축(9)에서 회동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축(9)의 반경 방향을 따라 거의 윗쪽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연결 레버부(8a)가 브레이크 페달(8)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연결 레버부(8a)의 뒷쪽에는 거의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이퀄라이저(1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레버부(8a) 및 이퀄라이저(10)는 상기 축(9)의 축선에 직교하는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된다. 연결 레버부(8a)의 선단부에는 연결 링크(11)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퀄라이저(10)의 중간부에는 연결 링크(11)의 다른 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브레이크 페달(9)은 연결 링크(11)를 통해 이퀄라이저(10)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이퀄라이저(10)의 상단에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로서의 브레이크 로드(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브레이크 로드(12)의 다른 단은, 후륜 브레이크(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후륜 브레이크(BR)의 작동 레버(6)에 연결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7)에는 벨 크랭크(13)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 벨 크랭크(13)는 브레이크 페달(8)과 공통의 축(9)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벨 크랭크(13)의 일단에는, 상기 이퀄라이저(10)의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벨 크랭크(13)의 다른 단에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일단이 이 벨 크랭크(13)에서 차량의 앞쪽으로 연장하도록 하여 연결된다.
또, 벨 크랭크(13) 및 차체 프레임(7) 사이에는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15)은 브레이크 페달(8)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벨 크랭크(13)에 이퀄라이저(10)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벨 크랭크(13)를 회동하여 힘을 가하는 스프링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8)을 브레이크 조작하면,이 브레이크 페달(8)로부터의 브레이크 조작력이 연결 링크(11)를 통해 이퀄라이저(10)에 입력되고, 이 이퀄라이저(10)에서 소정의 비율로 분배된 조작력이, 브레이크 로드(12) 및 벨 크랭크(13)에 전달된다. 즉, 이퀄라이저(10)로의 연결 링크(11) 및 브레이크 로드(12)의 연결부 사이의 거리(L1)와, 이퀄라이저(10)로의 연결 링크(11) 및 벨 크랭크(13)의 연결부 사이의 거리(L2)의 비율인 레버 비에 따른 비율로 분배된 조작력이 브레이크 로드(12) 및 벨 크랭크(13)에 전달된다.
이퀄라이저(10)에서 벨 크랭크(13)에 가해진 하중은 이 벨 크랭크(13)를 도 4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지만, 그의 회동 토크가, 스프링(15)에 의한 복귀 토크를 하회할 때는 벨 크랭크(13)는 회동하지 않고, 상기 회동 토크가 스프링(15)에 의한 복귀 토크를 상회하면, 벨 크랭크(13)가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를 견인하게 된다.
도5 및 도6을 함께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7)은 그 전단에 헤드 파이프(16)를 구비하고 있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는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로부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로의 힘의 전달을 회피하면서, 헤드 파이프(16)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에 접속된다.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는, 브레이크 레버(3)에 연결된 레버측 브레이크 와이어(18)와, 전륜 브레이크(BF)의 작동 레버(4)에 연결된 전륜 브레이크측 브레이크 와이어(19)가 조인트 부재(17)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조인트 부재(17)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한 쌍의 긴 구멍(23, 23)이 설치되어 되고, 레버측 브레이크 와이어(18)의 단부에 설치된 접속자(24)가 상기 양쪽의긴 구멍(23, 23)에 삽입 통과하여 걸어맞추어진다. 한편, 전륜 브레이크측 브레이크 와이어(19)의 단부에 설치된 접속자(25)는, 상기 조인트 부재(17)의 하부에 걸어맞추어진다.
헤드 파이프(16)에 고정되는 커버(21) 내에 수납된 벨 크랭크(20)는 추축(樞軸)(22)에 의해, 커버(2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벨 크 랭크(20)의 일단의 아래쪽에서 접촉하는 단부(17a,17a)가 상기 조인트 부재(17)에 설치된다. 또,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단부는 상기 벨 크랭크(20)의 다른 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에 작용한 견인력에 따라 벨 크랭크(20)가 도 5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는, 벨 크랭크(20)의 일단에서 조인트 부재(17)가 밀어올려짐으로써, 전륜 브레이크측 브레이크 와이어(19)가 견인되어 전륜 브레이크(BF)가 브레이크 작동하는데, 긴 구멍(23, 23)의 길이 방향으로 조인트 부재(17) 및 접속자(24)가 상대 이동함으로써 레버측 브레이크 와이어(18)에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 브레이크 레버(3)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레버측 브레이크 와이어(18)에 작용한 견인력으로 조인트 부재(17)가 끌어 올려진 때에는, 전륜 브레이크측 브레이크 와이어(19)가 견인되어 전륜 브레이크(BF)가 브레이크 작동하지만, 벨 크랭크(20)는 두고 가므로 작동하지 않아,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에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는,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의 조인트 부재(17)로부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로의 힘의 전달을 회피하면서, 헤드 파이프(16)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에접속된다.
또, 각 브레이크 와이어(14, 18, 19)는, 양단부를 고정부에 유지된 가소성의 가이드 튜브(26,27,28 )내에 삽입 통과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브레이크 페달(8)에 연결 링크(11)를 통해 연결된 이퀄라이저(10)의 양단에, 후륜 브레이크(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는 브레이크 로드(12)와,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7)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벨 크랭크(13)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륜 브레이크(BF)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일단이 벨 크랭크(13)의 다른 단에 연결되므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를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 배치된 벨 크랭크(13)에서 앞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가 굴곡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회피할 수 있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길이가 증대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작력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벨 크랭크(13)는 브레이크 페달(8)과 동일 축선 둘레에 회동가능하게 차체 프레임(7)에 지지되므로, 벨 크랭크(13)를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벨 크랭크(13)에는 브레이크 페달(8)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벨 크랭크(13)에 이퀄라이저(10)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는 스프링력이 작용하므로, 이퀄라이저(10)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어 벨 크랭크(13)에 작용하는 하중이 스프링 하중을 상회할 때까지는 벨 크랭크(13)가 회동하지 않는다. 그 결과, 브레이크 페달(8)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F)를 선행하여 브레이크 작동시킨 후, 전륜 브레이크(BR)를 뒤이어 브레이크 작동시킬 수 있어, 브레이크 페달(8)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시의 차량 거동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레버(3)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륜 브레이크(BF)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에 설치된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의 헤드 파이프(16)에 대응하는 중간부에,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에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로의 전달을 회피하면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가 접속되므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짧게 하는 데다, 핸들 조작을 고려하지 않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를 차체 프레임(7)을 따라 배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작력 전달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의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와, 레버측 브레이크 와이어(18) 및 전륜 브레이크측 브레이크 와이어(19)가 조인트 부재(17)를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었지만, 하나의 브레이크 와이어로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를 연결하여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허용하면, 상기 벨 크랭크(20)가 브레이크 레버(3)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은 연동 브레이크 장치 중 헤드 파이프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 단면도이다.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의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B)는, 헤드 파이프(16)에 고정된 마스터 실린더(30)와, 이 마스터 실린더(30)에서의 피스톤(31)의 바깥단에 걸어맞추어지도록 하여 헤드 파이프(16)에 축 지지되는 노커(nocker)(32)와, 이 노커(32)를 통해 상기 피스톤(31)을 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헤드 파이프(1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작동 레버(33)와, 제1 작동 레버(33) 및 브레이크 레버(3)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34)와, 마스터 실린더(30)의 출력 유압을 유압식의 전륜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기 위한 유압 도관(35)으로 구성된다.
마스터 실린더(30)의 실린더 본체(36)는, 이 실린더 본체(3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피스톤(31)의 바깥단을 아래쪽을 향하여, 헤드 파이프(16)의 일측면에 고착되고, 피스톤(31)의 바깥 단부와 실린더 본체(36)의 사이에 피스톤(31)의 돌출부를 덮는 탄성 부츠(boot)(37)가 팽팽하게 설치된다. 또, 실린더 본체(36)의 상부에는 출력 포트(38)가 설치되고, 이 출력 포트(38)에 유압 도관(35)이 접속된다.
상기 실린더 본체(36)의 하단부에는, 뒷쪽으로 돌출하는 레버 홀더(3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 홀더(39)에 노커(32), 제1 작동 레버(33) 및 제2 작동 레버(40)가 공통의 추 축(41)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커(32)는, 그 선단부를 피스톤(31)의 바깥단 즉, 아래단에 걸어맞추도록 배치된다. 또, 제1 작동 레버(33)는, 마스터 실린더(30)의 아래쪽을 가로로 잘라그 앞쪽까지 연장하고 있고, 제1 작동 레버(33)의 중간부에는, 노커(32)의 선단부 하면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대치된 접촉부(33a)가 설치된다. 또, 제1 작동 레버(33)의 선단에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34)의 단부의 접속자(42)가 끼워맞추어진다.
제2 작동 레버(40)는, 추 축(41)의 윗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2 작동 레버(40)의 하단부 뒷쪽에, 평탄한 접촉면(40a)과, 이 접촉면(40a)의 하단에서 이 작동 레버(40)의 하단면에 이르도록 하여 추 축(41)을 중심으로 한 원호면(40b)이 형성되고, 노커(32)의 후단에서 제2 작동 레버(40)측으로 굴곡 형성된 접촉편(32a)이 대치된다. 따라서, 제2 작동 레버(40)가 뒷쪽으로 요동되면, 접촉면(40a)이 접촉편(32a)에 접촉하여 노커(32)를 피스톤(31)의 작동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지만, 노커(32)가 제1 작동 레버(33)측에서 피스톤(31)의 작동 방향으로 요동되는 때에는, 접촉편(32a)이 접촉면(40a)에서 떨어져 원호면(40b)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2 작동 레버(40)의 선단에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단부의 접속자(43)가 끼워맞추어진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34)를 통해 제1 작동 레버(33)가 노커(32)를 동반하여 끌어 올려져 추 축(41)의 축선 둘레에 도 6의 윗쪽으로 요동했을 때에는, 노커(32)가 피스톤(31)을 윗쪽으로 밀어 이동하여 출력 포트(38)로부터 유압 도관(35)을 통해 전륜 브레이크에 유압이 공급되므로,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다. 그 사이, 노커(32)의 접촉편(32a)은 제2 작동 레버(40)의 접촉면(40a)에서 원호면(40b)측으로 멀어지도록 요동하므로, 제2 작동 레버(40)를 두고 가게 되어, 제2 작동 레버(40)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에는, 브레이크 레버(3)의 조작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에 의해, 제2 작동 레버(40)가 추 축(39)의 축선 둘레에 뒷쪽으로 회동하면, 제2 작동 레버(40)의 접촉면(40a)이 노커(32)의 접촉편(32a)을 누르는 상태가 되어, 마스터 실린더(30)의 피스톤(31)이 윗쪽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브레이크 페달(8)에 연결 링크(11)를 통해 연결된 이퀄라이저(10)의 일단에는, 브레이크 로드(12)가 연결되고, 상기 이퀄라이저(10)의 다른 단에는, 브레이크 페달(8)을 차체 프레임(7)에 축 지지하는 축(9)과는 다른 축(44)에서 차체 프레임(7)에 축 지지되어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 배치되는 벨 크랭크(13)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 벨 크랭크(13)의 일단에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일단이 접속되고, 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다른 단에는 긴 구멍(47)을 구비하는 접속 부재(45)가 설치되고,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의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 수단(5A)의 일부를 구성하여 헤드 파이프(16)에 배치된 조인트 부재(17)에 걸어맞출 수 있는 이퀄라이저(20)에, 상기 긴 구멍(47)에 삽입 통과되는 핀(46)이 설치된다.
또, 헤드 파이프(16) 및 접속 부재(45) 사이에는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15)은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견인력에 대항하는 스프링력을발휘하는 것으로, 이 스프링(15)의 스프링력은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를 통해 벨 크랭크(13)에 작용하고, 벨 크랭크(13)는 브레이크 페달(8)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벨 크랭크(13)에 이퀄라이저(10)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제3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브레이크 페달의 근방에 배치된 벨 크랭크에서 앞쪽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레이 아웃상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가 굴곡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회피하도록 하여, 와이어 길이의 증가를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작력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를 선행하여 브레이크 작동시키고, 뒤이어 전륜 브레이크를 브레이크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조작시의 차량 거동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짧게 하는 데다, 핸들 조작을 고려하지 않고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차체 프레임을 따라 배선할 수 있어, 조작력 전달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3)와,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후륜 브레이크(BR) 및 전륜 브레이크(BF)를 연동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7)에 축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8)을 구비한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8)에 연결 링크(11)를 통해 연결된 이퀄라이저(10)의 양단에, 후륜 브레이크(BR)에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는 후륜 브레이크력 전달부재(12)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8)의 근방에서 차체 프레임(7)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벨 크랭크(13)의 일단이 연결되고, 전륜 브레이크(BF)측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의 일단이 상기 벨 크랭크(13)의 다른 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13)에 이퀄라이저(10)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항하여 상기 벨 크랭크(13)를 회동하여 힘을 가하는 스프링(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3)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전륜 브레이크(BF)에 전달하는것을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레버(3) 및 전륜 브레이크(BF) 사이에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 5B)가 설치되고, 상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는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 5B)로부터 상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14)로의 힘의 전달을 회피하면서, 헤드 파이프(16)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전륜 브레이크력 전달계(5A, 5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KR10-2001-0013648A 2000-03-31 2001-03-16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KR100385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1224A JP3769169B2 (ja) 2000-03-31 2000-03-31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JP2000-101224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75A true KR20010094975A (ko) 2001-11-03
KR100385849B1 KR100385849B1 (ko) 2003-06-02

Family

ID=1861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48A KR100385849B1 (ko) 2000-03-31 2001-03-16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69169B2 (ko)
KR (1) KR100385849B1 (ko)
CN (1) CN1230334C (ko)
BR (1) BR0101023B1 (ko)
ID (1) ID297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0420B2 (ja) * 2004-01-30 2010-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CN100363212C (zh) * 2004-03-17 2008-01-23 重庆力帆实业(集团)有限公司 手脚独立控制四轮车联动制动装置
JP2005289089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4555630B2 (ja) * 2004-08-27 2010-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4801825B2 (ja) * 2008-03-18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CN102407840B (zh) * 2011-12-01 2013-12-04 胡达广 一种惯性助力制动系统
JP2014012462A (ja) 2012-07-04 2014-01-23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用ブレーキ装置及び鞍乗型車両
CN103693152B (zh) * 2012-09-27 2017-01-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鞍乘型车辆的联动制动装置
WO2014116913A2 (en) * 2013-01-25 2014-07-31 Bidare Srinivas R Suspension-responsive brake-proportioning mechanism
JP6000873B2 (ja) * 2013-02-27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ペダル連動ブレーキ装置
JP5997667B2 (ja) * 2013-08-05 2016-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CN103538676A (zh) * 2013-09-26 2014-01-29 江苏宗申三轮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正三轮摩托车的三轮联合制动操控装置
JP6193708B2 (ja) * 2013-09-30 2017-09-06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05579734B (zh) * 2013-09-30 2018-01-0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用前后联动制动装置
JP6322009B2 (ja) * 2013-10-15 2018-05-09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306896B2 (ja) * 2014-02-27 2018-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6306895B2 (ja) * 2014-02-27 2018-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N105314049B (zh) * 2014-05-26 2018-06-19 虞定生 一种同步车刹
CN105270554A (zh) * 2014-06-16 2016-01-27 王民海 一种同步车刹
TWI560097B (en) * 2014-11-06 2016-12-01 Sanyang Industry Co Ltd Linked brake system
JP2016175442A (ja) * 2015-03-18 2016-10-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N106143765B (zh) * 2015-04-14 2019-04-16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辅助安全刹车装置及其骑行车辆
WO2017056281A1 (ja) * 2015-09-30 2017-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6499319B2 (ja) * 2015-12-22 2019-04-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N105752253A (zh) * 2016-01-10 2016-07-13 湖北航特科技有限责任公司 摩托车前碟后鼓联动装置
WO2018109705A1 (en) * 2016-12-15 2018-06-21 Tvs Motor Company Limited Synchronous brake actuation assembly for a two-wheeler
JP2020032733A (ja) * 2016-12-28 2020-03-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559174B2 (ja) * 2017-03-27 2019-08-14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11936380B (zh) * 2018-03-28 2022-05-27 印度商宜诺摩托克普有限公司 减速系统
CN111959667B (zh) * 2020-08-26 2022-02-01 湖北航特科技有限责任公司 车辆联动制动装置和摩托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1023A (pt) 2001-11-06
KR100385849B1 (ko) 2003-06-02
CN1230334C (zh) 2005-12-07
JP3769169B2 (ja) 2006-04-19
ID29723A (id) 2001-10-04
CN1319519A (zh) 2001-10-31
JP2001278170A (ja) 2001-10-10
BR0101023B1 (pt) 2009-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849B1 (ko)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JP4943994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鞍乗型車両
US9126653B2 (en) Straddle type vehicle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KR100396992B1 (ko)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JP4801825B2 (ja)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TW200426070A (en) Linking brake device used on miniaturized vehicle
JP3673055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769167B2 (ja) 車両用前後輪ブレーキ連動装置
JP5792135B2 (ja)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EP1955938B1 (en) Brake device and straddle-type vehicle
JP3486860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0126060A (ja) 鞍乗型車両
JP2006111030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738260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513691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465078B2 (ja) 鞍乗型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4040763B2 (ja)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JPH09277924A (ja) 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6137704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4590197B2 (ja) 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JP6322009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08104280A (ja) 車両用前後連動ブレーキ装置
JP3881422B2 (ja) 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JPH10264876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EP3453603A1 (en) Saddl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