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992B1 -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992B1
KR100396992B1 KR10-2001-0013650A KR20010013650A KR100396992B1 KR 100396992 B1 KR100396992 B1 KR 100396992B1 KR 20010013650 A KR20010013650 A KR 20010013650A KR 100396992 B1 KR100396992 B1 KR 10039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knocker
master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977A (ko
Inventor
오카자키야스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12Tand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6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 B62L1/08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by the elements moving radially relative to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6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 B62L1/10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wheel rim being engaged by the elements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Hydraulic Control Valves For Brak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에 후륜 브레이크뿐만아니라, 전륜 브레이크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한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륜 브레이크(Br)를 유압 작동시킬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20)를 차체(8)에 부착, 그의 피스톤(23)에 이를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축으로 지지한 노커(nocker)(31)를 접하게 하고, 이 노커(31)에 노커(31)를 통하여 피스톤(23)을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축으로 지지한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를 분리가능하게 접촉하게 하고, 이들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와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과의 각 사이를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통하여 접속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A FRONT AND REAR WHEEL BRAKE INTERLOC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를 조향 핸들에 축으로 지지하는 한편,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을 차체의 하부에 축으로 지지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에 후륜 브레이크뿐만아니라, 전륜 브레이크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를 조향 핸들의 레버 홀더에 축으로 지지하는 한편,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을 차체의 하부에 축으로 지지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조향 핸들에 전륜 브레이크를 유압 작동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를 부착, 이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노커를 통하여 브레이크 레버에 의해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노커와 브레이크 페달사이를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에 의해 접속하고,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에는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노커만을 요동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그 출력 유압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도 작동시키도록 한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특개평 9-58434호 참조).
그런데, 조향 핸들 및 브레이크 페달사이의 거리가 매우 길기 때문에, 상기 종래 장치와 같이 조향 핸들에 설치되는 마스터 실린더의 노커와 브레이크 페달과의 사이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필요로 하는데다, 굴곡부가 많은 와이어 배치로 되므로 조작력의 전달효율의 저하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시에는 후륜 브레이크뿐만아니라 전륜 브레이크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개요도,
도2는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의 요부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의 3-3선 확대 단면도,
도4는 도2의 4-4선 확대 단면도,
도5는 도2에 대응한 작용 설명도,
도6은 다른 상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f : 전륜 브레이크 Br : 후륜 브레이크
D :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 1 : 조향 핸들
2 : 브레이크 레버 3 : 브레이크 페달
4 :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 5 : 리어 브레이크 와이어
6 :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 8 : 차체
8h : 헤드 파이프 20 : 마스터 실린더
23 : 피스톤 31 : 노커(nocker)
32 : 제1 작동 레버 33 : 제2 작동 레버
34 : 피벗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2)를 조향 핸들(1)에 축으로 지지하는 한편, 후륜 브레이크(Br)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3)을 차체(8)의 하부에 축으로 지지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전륜 브레이크(Bf)를 유압 작동시킬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20)를 조향핸들(8h)보다 하방의 차체(8)에 설치하고,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23)의 외측 단부를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노커(31)를 상기 피스톤의 외단에 접촉하게 하고, 상기 노커(31)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23)을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를 각각 상기 노커에 분리 가능하게 접촉시키고, 이들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에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통하여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이 각각 접속된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한다.
이 제1의 특징에 의하면, 브레이크 레버(2)만을 조작하였을 때는 제1 작동 레버가 노커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가압 작동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유압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 노커는 제2 작동 레버와의 접촉부에서 분리되므로, 브레이크 페달에는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아, 후륜 브레이크의 비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만을 조작하였을 때는, 후륜 브레이크가 작동됨과 동시에,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통하여 제2 작동 레버를 요동시키고, 노커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가압 작동하며, 이에 따라 발생한 유압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 노커는 이번에는 제1 작동 레버와의 접촉부에서 분리되므로, 브레이크 레버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런데,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는 조향 핸들보다 하방 차체에 축으로 지지되는 제2 작동 레버에 접속되기 때문에, 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비교적 짧은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굴곡이 적은 와이어 배치로서 조작력의 전달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에 추가하여, 노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를 공통의 피벗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에 지지한 것을 제2의 특징으로 한다.
이 제2의 특징에 의하면, 피벗의 공통화에 의해, 노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의 지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를 구비한 자동 이륜차용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개요도, 도2는 상기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의 요부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의 3-3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4-4선 단면도, 도5는 도2에 대응한 작용 설명도, 도6은 다른 상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우선, 도1에 있어서, 자동 이륜차의 조향 핸들(1)에 그 우측 그립(1a)에 인접하여 레버 홀더(10)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이에 브레이크 레버(2)가 축으로 지지되며, 이 브레이크 레버(2)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 및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D)를 통하여 전륜 브레이크(Bf)에 접속된다. 이 전륜 브레이크(Bf)는 도시된 예에서는 디스크 브레이크로 구성된다.
차체(8)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페달(3)이 축으로 지지되고, 이 브레이크 페달(3)은 리어 브레이크 와이어(5)를 통하여 드럼식 후륜 브레이크(Br)의 작동 레버(7)에 접속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3)은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포함하는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D)를 통하여 전륜 브레이크(Bf)에 접속된다.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에는 이들을 후퇴 방향으로 힘을 주는 복귀 스프링(11, 12)이 각각 접속된다. 또한 후륜 브레이크(Br)의 작동 레버(7)에도, 이들을 후퇴방향으로 힘을 주는 복귀 스프링(14)이 접속된다.
상기 전후륜 연동장치(D)를 도2∼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체(8)는 상기 조향 핸들(1)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8h)와, 이 헤드 파이프(8h)에서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8m)을 가지고, 마스터 실린더(20)는 그 헤드 파이프(8h)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마스터 실린더(20)는 실린더 보디(21)와, 이 실린더 보디(21)의 실린더 구멍(21a)에 요동 자유롭게 끼워 장착되고, 그 내부에 유압실(22)을 구획 구성하는 피스톤(23)과, 유압실(22)에 수납되어 피스톤(23)을 그의 후퇴 한계를 향해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24)을 구비하는 종래 보통의 구성을 가진다. 피스톤(23)의 후퇴 한계는 피스톤(23)의 중간부에 형성된 고리형상 숄더부(23a)가 실린더 구멍(21a)의 개구 단부에 걸린 고리형상 스토퍼(25)에 접촉하여 규정된다. 피스톤(23)의 실린더 구멍(21a) 외측으로 돌출된 외측 단부와 실린더 보디(21)와의 사이에 피스톤(23)의 돌출부를 덮는 탄성 부츠(boot)(26)가 설치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디(21)는, 피스톤(23)의 외측 단부를 하방으로 향해, 헤드 파이프(8f)의 일측면에 볼트(29)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실린더 보디(21)의 상부에는 유압실(22)에 연속해 있는 출력 포트(27)가 형성되고, 이것에 상기 유압 도관(28)의 상류단이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보디(21)에는 그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레버 홀더(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레버 홀더(30)에 노커(31),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가 공통의 피벗(34)에 의해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노커(31)는 피스톤(23)을 작동시키고, 선단부가 피스톤(23)의 외측 단부, 즉 하단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작동 레버(32)는 마스터 실린더(20)의 하방을 가로질러 그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의 중간부에는 노커(31)의 선단부 하면에 접하고,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촉부(32a)가 형성된다. 제1 작동 레버(32)의 선단에는 접속 구멍(35)이 형성되고, 이것에 상기 브레이크 레버(2)에 일단을 접속한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의 타단의 접속자(4a)가 끼워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브레이크 레버(2) 및 제1 작동 레버(32)사이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를 통하여 접속된다.
제2 작동 레버(33)는 피벗(34)의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 제2 작동 레버(33)의 하단부 후측에 평탄한 접촉면(33a)과, 이 접촉면(33a)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작동 레버(33)의 하단면에 이르는 피벗(34)을 중심으로한 원호면(33b)이 형성되고, 그 접촉면(33a)에 노커(31)의 후단으로부터 제2 작동 레버(33)측으로 굴곡 형성된 접촉편(31a)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작동 레버(33)가 후방으로 요동되면, 접촉면(33a)이 접촉편(31a)에 접하여 노커(31)를 피스톤(23)의 작동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는데, 노커(31)가 제1 작동 레버(32)측으로부터 피스톤(23)의 작동 방향으로 요동될 때는 접촉편(31a)이 접촉면(33a)에서 분리되어 원호면(33b)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2 작동 레버(33)의 선단에는 접속 구멍(36)이 형성되고, 이것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3)에 일단을 접속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의 타단의 접속자(6a)가 끼워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브레이크 페달(3) 및 제2 작동 레버(33)사이는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는 헤드 파이프(8h)에 전방 단부를 결합하는 메인 프레임(8)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브레이크 페달(3)과, 리어 브레이크 와이어(5)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와의 접속부에는 브레이크 페달(3)에의 조작력을 일정한 비율로 양 브레이크 와이어(5, 6)에 분배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40)(도1 참조)가 사이에 장착된다.
각 브레이크 와이어(4, 5, 6)는 양단부가 고정부에 지지되는 가요성의 가이드 튜브(37, 38, 39)내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의 중지 상태에서는 통상,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마스터 실린더(20)의 후퇴 한계에 위치하는 피스톤(23)의 하방 단부에 노커(31)의 선단이 접하고, 이 노커(31)의 하면에 제1 작동 레버(32)의 접촉부(32a)가 접하고, 노커(31)의 접촉편(31a)에 제2 작동 레버(33)의 접촉면(33a)이 접해있다. 이와같은 상태는 각 브레이크 와이어(4, 6)의 가이드 튜브(37, 39)의 단부 위치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레버(2)만을 조작하면,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를 통하여 제1 작동 레버(32)가 노커(31)를 따라 끌어올려지고, 피벗(34) 주위에서 상방으로 요동하므로, 그의 노커(31)가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23)을 상방으로 가압 이동시켜, 유압실(22)에 유압을 발생시킨다. 그의 유압은 출력 포트(27)로부터 유압 도관(28)을 통해 전륜 브레이크(Bf)의 휠 실린더에 공급되므로,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동안, 노커(31)의 접촉편(31a)은 제2 작동 레버(33)의 접촉면(33a)에서 원호면(33b)측으로 물러나도록 요동하므로, 제2 작동 레버(33)를 남겨 두고 가게된다. 따라서, 제2 작동 레버(33),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 및 브레이크 페달(3)에는 브레이크 레버(2)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아 후륜 브레이크(Br)의 비작동 상태가 유지된다.
브레이크 레버(2)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브레이크 레버(2)의 복귀 스프링(11) 및 피스톤(23)의 복귀 스프링(24)의 반발력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2)로부터 피스톤(23)에 이르는 부재는 당초의 중지 위치로 복귀하고, 전륜 브레이크(Bf)를 비작동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다음에 브레이크 페달(3)만을 조작하면, 그 조작력은 견인력으로서 이퀄라이저(40)를 통하여 리어 브레이크 와이어(5)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에 분배된다. 리어 브레이크 와이어(5)에 분배된 견인력은 작동 레버(7)에 작용하여, 이것을 작동방향으로 요동하므로, 후륜 브레이크(Br)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에 분배된 견인력은 제2 작동 레버(33)에 작용하여 이것을 피벗(34)의 주위에서 후방으로 요동하면, 제2 작동 레버(33)의 접촉면(33a)이 노커(31)의 접촉편(31a)을 가압하는 상태로 되므로, 그의 노커(31)를 따라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23)을 상방으로 가압 작동시키려고 하지만, 제2 작동 레버(33)의 요동 토크가, 피스톤(23)의 복귀 스프링(24)이 노커(31)에 미치는 복귀 토크를 밑돌때는, 피스톤(23)은 후퇴 한계에 멈추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 토크가 복귀 스프링(24)에 의한 복귀 토크를 윗돌면, 제2 작동 레버(33)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커(31)를 따라 후방으로 요동하고,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23)을 상방으로 가압 작동하게 되어, 유압실(22)에 발생시킨 유압을 가지고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하여, 브레이크 페달(3)만의 조작에 의해, 후륜 브레이크(Br)를 선행하여 작동시키고, 약간의 타임 래그(time-lag)를 두고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체의 노우즈 다이브(nose-dive)를 억제하면서, 전후륜을 대략 동시에 제동할 수 있다.
그사이에, 피스톤(23)을 가압 작동하는 노커(31)는 제1 작동 레버(32)의 접촉부(32a)로부터 분리되고, 제1 작동 레버(32)를 두고 가므로, 브레이크 레버(2)는 정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 페달(3)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브레이크 페달(3)의 복귀 스프링(12), 피스톤(23)의 복귀 스프링(24) 및 작동 레버(7)의 복귀 스프링(14)의 반발력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3) 및 피스톤(23)은 당초의 정지 위치로 복귀하고, 전륜 브레이크(Bf) 및 후륜 브레이크(Br)를 비작동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을 동시에 조작하면, 이들 조작력은 제1 및 제2 작동 레버(32, 33)로부터 노커(31)를 통하여 피스톤(23)에 가산되어 가해지게 되어, 전륜 브레이크(Bf)를 강력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마스터 실린더(20)는 헤드 파이프(8h)의 측면에 설치되고, 그 실린더 보디(21)에 연결 설치된 레버 홀더(30)에 노커(31),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가 축으로 지지되고, 브레이크 레버(2) 및 제1 작동 레버(32)사이가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를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브레이크 페달(3) 및 제2 작동 레버(33)사이가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통하여 접속되며, 그의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는 메인 프레임(8)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되므로, 특히 길어지기 쉬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최단 길이를 가지고 메인 프레임(8)의 일측면에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른 물체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굴곡이 적은 와이어 배치로서 조작력의 전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커,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는 공통의 피벗(34)에 의해 레버 홀더(30)에 지지되므로, 피벗(34)은 1개로 충분하여 이들 지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후륜 브레이크(Br)는 디스크 브레이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작동 레버(32), 제2 작동 레버(33) 및 노커(31)는 메인 프레임(8m)에 직접 축으로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자동 이륜차에 한정되지 않고, 브레이크 레버 및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한 삼륜 또는 사륜 경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를 조향 핸들에 축으로 지지하는 한편,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을 차체의 하부에 축으로 지지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전륜 브레이크를 유압 작동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를 조향 핸들보다 하방의 차체에 부착하고, 이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의 외측 단부에 이를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노커를 접하게 하고, 이 노커에 각각 이 노커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을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를 분리 가능하게 접하게 하고, 이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에는 브레이크 레버 및 브레이크 페달을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통하여 각각 접속하였으므로, 브레이크 레버(2)만을 조작하였을 때는, 제1 작동 레버가 노커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가압 작동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유압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노커는 제2 작동 레버와의 접촉부에서 분리되므로, 브레이크 페달에는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만을 조작하였을 때는, 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통하여 제2 작동 레버를 회동시키고, 노커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을 가압 작동하며, 이에 따라 발생한 유압에 의해 전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고, 그 사이에, 노커는 제1 작동 레버와의 접촉부에서 분리되므로, 브레이크 레버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아, 전륜 브레이크의 비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는 조향 핸들보다 하방의 차체에 축으로 지지되는 제2 작동 레버에 접속되므로, 이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를 비교적 짧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굴곡이 적은 와이어 배치로서 조작력의 전달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의하면, 노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를 공통의 피벗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에 지지하였으므로, 피벗의 공통화에 의해, 노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의 지지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륜 브레이크(Bf)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2)를 조향 핸들(1)에 축으로 지지하는 한편, 후륜 브레이크(Br)를 작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3)을 차체(8)의 하부에 축으로 지지한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전륜 브레이크(Bf)를 유압 작동시킬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20)를 조향핸들(8h)보다 하방의 차체(8)에 설치하고,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23)의 외측 단부를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노커(31)를 상기 피스톤의 외단에 접촉하게 하고, 상기 노커(31)를 통하여 상기 피스톤(23)을 가압 작동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20)에 요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한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를 각각 상기 노커에 분리 가능하게 접촉시키고, 이들 제1 작동 레버(32) 및 제2 작동 레버(33)에는 프론트 브레이크 와이어(4) 및 연동 브레이크 와이어(6)를 통하여 브레이크 레버(2) 및 브레이크 페달(3)이 각각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커(31),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33)를 공통의 피벗(34)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20)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장치.
KR10-2001-0013650A 2000-03-31 2001-03-16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KR100396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1177 2000-03-31
JP2000101177A JP3845245B2 (ja) 2000-03-31 2000-03-31 車両における前後輪ブレーキ連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77A KR20010094977A (ko) 2001-11-03
KR100396992B1 true KR100396992B1 (ko) 2003-09-03

Family

ID=1861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50A KR100396992B1 (ko) 2000-03-31 2001-03-16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845245B2 (ko)
KR (1) KR100396992B1 (ko)
CN (1) CN1227133C (ko)
BR (1) BR0101024B1 (ko)
ID (1) ID29720A (ko)
MY (1) MY1318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0420B2 (ja) * 2004-01-30 2010-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2005289089A (ja) * 2004-03-31 2005-10-20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2006199275A (ja) * 2004-12-21 2006-08-03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制動装置及び鞍乗型車両
CN100360373C (zh) * 2005-01-25 2008-01-09 叶忻泉 摩托车联动刹车装置
JP4943994B2 (ja) * 2007-02-08 2012-05-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及び鞍乗型車両
JP5227872B2 (ja) * 2008-08-29 2013-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4923031B2 (ja) * 2008-11-28 2012-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6322009B2 (ja) * 2013-10-15 2018-05-09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279313B2 (ja) * 2013-12-24 2018-02-14 日信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6306896B2 (ja) * 2014-02-27 2018-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6306895B2 (ja) * 2014-02-27 2018-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CN105197172A (zh) * 2014-06-11 2015-12-30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连动刹车系统
TWI689430B (zh) * 2018-12-03 2020-04-01 三陽工業股份有限公司 連動煞車系統裝置
CN111959667B (zh) * 2020-08-26 2022-02-01 湖北航特科技有限责任公司 车辆联动制动装置和摩托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133C (zh) 2005-11-16
ID29720A (id) 2001-10-04
BR0101024B1 (pt) 2009-05-05
MY131863A (en) 2007-09-28
JP3845245B2 (ja) 2006-11-15
JP2001278169A (ja) 2001-10-10
KR20010094977A (ko) 2001-11-03
CN1319529A (zh) 2001-10-31
BR0101024A (pt) 2001-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849B1 (ko) 차량용 전후 연동 브레이크 장치
KR100396992B1 (ko)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JP4943994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鞍乗型車両
US9126653B2 (en) Straddle type vehicle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EP2684788B1 (en) Straddle type vehicle interlocking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JP5981638B2 (ja) 自動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JP4090593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532753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EP3444174B1 (en) Saddle-type vehicle
EP1955938B1 (en) Brake device and straddle-type vehicle
KR100396991B1 (ko) 차량용 전후륜 브레이크 연동 장치
JPH10273087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5792135B2 (ja) 自動二輪車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H11105770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0235033A (ja) 鞍乗り型車両の連動ブレーキ装置
JP2006111030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EP3388322B1 (en) Straddled vehicle
JP4590197B2 (ja) 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JPH10338183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4042908A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464648B2 (ja)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JP4086521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2018177201A (ja) 鞍乗型車両
EP3453603B1 (en) Saddled vehicle
CN219524148U (zh) 连动刹车驻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