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153A -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153A
KR20010093153A KR1020017007240A KR20017007240A KR20010093153A KR 20010093153 A KR20010093153 A KR 20010093153A KR 1020017007240 A KR1020017007240 A KR 1020017007240A KR 20017007240 A KR20017007240 A KR 20017007240A KR 20010093153 A KR20010093153 A KR 2001009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utoff
mold
bas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109B1 (ko
Inventor
도미니끄 퐁프레드
에드몽 꽁빠씨
Original Assignee
도미니끄 퐁프레드
에드몽 꽁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니끄 퐁프레드, 에드몽 꽁빠씨 filed Critical 도미니끄 퐁프레드
Publication of KR2001009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05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removing the top of placed piles of shee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Shovels (AREA)
  • Sewage (AREA)
  • Revetment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urn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컷오프 요소(10)는 편평한 폐쇄 베이스(18)를 가진 플라스틱 재료의 주형틀과, 베이스와 예각을 형성하는 점감된 측면 엔벌로프(20)로 형성되고, 베이스(18)에 의해 정의된 컷오프 영역(28)을 따라서 콘크리트 일부분을 파괴시키고 컷오프 후에 미소량으로 콘크리트 블록이 상승 이동하도록 팽창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각도는 25°와 60°사이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CUT-OFF DEVICE FOR CONCRETE STRUCTURES}
경화된 콘크리트 덩어리에서 일련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주조 작업이 수행되기 전에, 위치 결정된 재진입 수단을 사용한 컷오프 장치는 이미 제안되었다. 그 후 반응 요소는 상이한 수용기와 연통하는 채널로 삽입된다. 상기 재진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수직 강체 바아(bar)를 구비한 제거 가능한 케이지(cage)를 사용한다. 팽창 요소의 반응으로 인해, 콘크리트 덩어리의 폭발이 유발되고, 이 폭발된 콘크리트 블록은 분해된다.
본 발명은, 팽창 효과에 의해서 콘크리트의 균열을 유발하는 화학적 또는 기계적 성질의 반응 요소(agent)를 수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용기(recipient)를 장착한 1 이상의 컷오프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 또는 파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컷오프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콘크리트 내로 침투를 촉진시키는 안내 수단과 결합된 도 1 의 컷오프 요소의 주형틀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콘크리트를 주조하기 전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몇몇의 컷오프 요소로 장착된 위치 결정 프레임의 전면도,
도 4 는 도 3 의 평면도,
도 5 는 지연 작용 반응 요소로 채워진 주형틀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지지 지그(jig)에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도 6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나머지 부위의 역학적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파괴될 콘크리트 구조물 일부분의 파괴 영역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컷오프 또는 파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각 컷오프 요소의 수용기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만들어지고, 편평한 폐쇄 베이스 및 이 베이스와 예각을 이루는 측면 케이싱을 갖춘 주형틀(flask)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형틀의 베이스에 의해 정해진 파괴 영역을 따라 콘크리트 일부분을 파괴시키기 위한 팽창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도는 25°와 60°사이로 구성되며, 컷오프된 후 콘크리트 블록은 미소량으로 상승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싱의 정점은 요구되는 파괴 레벨에 베이스를 위치하기 위한 지지 수단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수단은 케이싱의 정점에 배열된 관형의 연결 토수구(spout)에 연결된 강체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는 파괴 작용 요소를 주형틀로 삽입하기 위한 입구 채널로서 작용한다.
콘크리트 주조 작업 전후에, 각각의 컷오프 요소는 개별적으로 또는 위치 결정 프레임에 그룹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콘크리트 주조 작업 전에, 위치 결정 프레임은 컷오프 요소의 상이한 튜브들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스페이서에 의해 돌출된 보강 바아에 고정된다. 콘크리트의 주조관이 축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오리피스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는 위치 결정 프레임의 내부쪽 반경 방향으로 유리하게 신장된다.
각 컷오프 요소의 주형틀의 편평한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신장된다. 이로 인해, 모든 주형틀의 동일면상의 베이스를 통과하는 평면을 따른 콘크리트의 수평 파괴가 유발된다. 그 후 베이스에서컷오프 블록은 상승되고, 작업은 종결된다.
기울어진 평면 내에서 위치 결정 프레임 상에 배열된 기울어진 베이스를 구비한 주형틀을 사용하여 대각선 파괴도 가능하다.
개선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주형틀은 지연 팽창 작용 요소로 채워지고, 그후 콘크리트가 주조되기 전 또는 후에, 충전된 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위치된다.
다른 장점과 특징은 주어진 비한정적인 예시 및 도면과 함께,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좀 더 명확하게 서술될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파괴 장치용 컷오프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수직 튜브(16)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14)에연결되는 주형틀(12)을 포함한다. 상기 주형틀(12)은 점감식 측면 케이싱(20)에 연결된 상당히 편평한 폐쇄 베이스(18)를 갖는 중공 포켓 형태이다. 다른 회전체도 케이싱(20)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주조될 때, 상기 베이스(18)는 콘크리트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보상하기 위해 볼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은 베이스(18)와 예각을 형성하고, 베이스와의 상기 각도는 25°와 60°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형 토수구(22)는 튜브(16)의 하면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케이싱(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크류 또는 다른 결합 수단으로 튜브(16)를 케이싱(20)에 고정시킨다.
제 1 작동 모드에 따라서, 콘크리트 주조 작업이 수행된 후, 컷오프 요소(10)는 프레시콘크리트(fresh concrete)(24)로 수직하게 삽입된다. 상 단부가 돌출되어 예컨대 화학적 또는 역학적 팽창 형태의 파괴 작용 요소의 삽입을 위한 액세스 오리피스(26)로서 작용하도록 튜브(16)의 길이가 선택된다.
콘크리트(24) 내로의 컷오프 요소(10)의 침투 깊이는 정확하게 파괴 영역(28)을 결정한다. 파괴 작용 요소가 삽입된 후, 일정한 시간 경과한 후 팽창 효과가 플라스틱 주형틀(12)에서 나타난다. 최종 반발력(F)은 점감식 케이싱(20)의 벽을 따라서 수직으로 분포하고, 베이스(18)에 평행한 반경방향 성분(F1) 및 베이스(18)에 수직인 수직 성분(F2)을 형성한다. 이리하여, 컷오프 영역(28)을 결정하는 주형틀(12)의 편평한 베이스(18)를 관통하는 평면에서 콘크리트의 수평 파괴가 유발된다. 컷오프되었을 때, 수직 성분(F2)의 작용으로 콘크리트 블록이 약간 상승 이동하게 된다.
도 2 에 따르면, 편평한 베이스(18)의 외부면에 고정된 안내 수단(30)에 의해 컷오프 요소(10)의 프레시콘크리트로의 삽입이 촉진된다. 안내 수단(30)은 예컨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원뿔로 형성되고, 이것의 정점은 아래쪽으로 향하며, 이것의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18)와 접촉하게 된다.
컷오프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에 따라서, 다수의 컷오프 요소(10)는 프레시콘크리트 내에 위치된다. 이들 요소는 개별적으로 삽입 또는 공통의 위치 결정 프레임(32) 상에서 그룹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위치 결정 프레임을 사용하여 삽입하면 주형틀(12)의 세트를 프레시콘크리트 내로 동시에 신속히 침투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파괴 작용 요소는 상이한 튜브(16)의 오리피스(26)를 통하여 주형틀(12)로 삽입된다. 파괴 작용 요소의 팽창 반응 후에, 콘크리트의 수평 파괴로 인하여, 파괴된 콘크리트 블록의 단순한 수직 상승에 의해 컷오프가 얻어지게 된다.
도 3 및 도 4 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컷오프 요소(10)를 구비한 위치 결정 프레임(32)은 콘크리트(24)가 주조되기 전에 위치된다. 위치 결정 프레임(32)은 파일을 수용하기 위해 돌출된 보강 바아(34)에 미리 스페이서(3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튜브(16)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보강 바아에 단단히 고정된 후프(39) 상에 놓여 있다.
상기 보강 바아(34)는 동축으로 튜브(16)를 포위하는 금속 콘크리트 바아에 의해 형성되고, 스페이서(36)는 콘크리트 주조관(도시안됨)의 통로용 내부 오리피스(38)를 한정하기 위해 위치 결정 프레임(32)의 내부 반경 방향으로 신장된다. 주형틀(12)의 모든 베이스(18)는 동일한 수평 평면에 분명하게 배열된다.
콘크리트가 주조되기 전후에 컷오프 요소(10)를 위치시키는 두 경우에 있어서, 팽창된 작용 요소의 입구 튜브(16)는 컷오프된 후에 회복된 콘크리트 블록에서 일체화된다.
주형틀(12)의 편평한 베이스(18)는 콘크리트 블록의 수평 파괴가 컷오프 영역(28)을 따라서 나타나게 한다. 대각선 파괴는 파괴 평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를 구비한 주형틀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형틀(12)은 튜브(12)에 의해서 신장되지는 않지만, 화학적 또는 기계적 성질의 지연 팽창 작용 요소로 직접 채워진다. 도 5 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위해 각각의 주형틀(112)은 제거 가능한 덮개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118)를 포함하고, 이 덮개는 지연 팽창 작용 요소가 채워진 후 폐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토수구(122)는 봉쇄되고, 원뿔형 또는 점감된 형태의 케이싱(120)은 도 1 의 케이싱과 유사하다.
지연 팽창 작용 요소로 채워진 주형틀(112)은, 지지 프레임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주조되기 전에 위치되거나, 회수 가능한 로드(rod)에 의해서 주조된 후 프레시콘크리트 내에 위치된다.
지연 팽창 효과는 구조물의 크기, 콘크리트의 성질, 및 주위 온도에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2일 이상의 일정한 시간 지연을 가진다.
주형틀(12, 112)의 플라스틱 재료는 어떠한 다른 동일한 파괴 또는 변형될 수 있는 재료, 예컨대 유리로 교체가능하다.
도 6 에 있어서, 튜브(16)를 지지 지그(202)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200)는 튜브(16)에 사용되는 프로파일 지지부(204)와 관련된 고정 클램프(203)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지지부(204)는, 클램프(203)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있는가에 따라서 서로를 향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가요성 브랜치(branches)를 구비한다.
콘크리트가 주조된 후, 다수의 튜브(16)와 주형틀(12)이 구비된 지지 지그(202)는 후프(39) 상에 위치한다. 상기 클램프(203)는 처진 위치에서 작동하게 되고, 각각의 튜브(16)는 개별적으로 바닥으로 하강한다. 결국에는, 상기 클램프(203)는 튜브(16)를 고정시키기 위해 폐쇄된다.
컷오프 작업이 수행된 후, 모든 클램프(203)는 개방되고, 따라서 지지 지그(202)는 동일한 치수의 다른 파일(pile)을 컷오프하기 위해 작업장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튜브(16) 고정용 장치(300)는 분명하게 원형 단면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클립핑부(302)에 의해 형성된다.

Claims (11)

  1. 팽창 효과에 의해 콘크리트 일부분에 균열을 유발하기 위해 화학적 또는 기계적 성질의 파괴 작용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용기를 갖춘 1 이상의 컷오프 요소(10)를 삽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을 컷오프 또는 파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컷오프 요소(10)의 수용기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폐쇄 베이스(18, 118) 및 이 베이스와 예각을 이루는 측면 케이싱(20, 120)을 갖춘 주형틀(12, 11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형틀의 베이스(18, 118)에 의해 정해진 파괴 영역(28)을 따라서 콘크리트 일부분을 파괴시키기 위한 팽창력을 발생시키고 컷오프 후에 콘크리트 블록이 미소양으로 상승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도는 25°와 6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싱(20, 120)의 정점은 베이스(18, 118)를 파괴 영역 아래로 삽입하기 위한 지지 수단(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컷오프 요소(10)의 지지 수단(14)은 케이싱(20)의 정점에 배열된 관형의 연결 토수구(22)에 연결된 강체 튜브(16)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는 파괴 작용 요소를 주형틀(12)로 삽입하기 위한 입구 채널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주형틀(12)의 베이스(18)는 미리 주조된 프레시콘크리트 내로 컷오프 요소(10)의 침투를 촉진하기 위한 안내 수단(30)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컷오프 요소(10)의 주형틀(12)의 편평한 베이스(18)는 수평으로 배열되고,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컷오프 요소의 주형틀(12)의 편평한 베이스(18)는 삽입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거나 약간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컷오프 요소(10)는 콘크리트 주조 작업 전 또는 후에 개별적으로 삽입되거나 위치 결정 프레임(32)에 의해서 그룹으로 삽입되고, 각 컷오프 요소(10)의 측면 케이싱(20, 120)은 점감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주조 작업 전에, 위치 결정 프레임(32)은 컷오프 요소(10)의 상이한 튜브(16)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스페이서(36)에 의해서 돌출된 보강 바아(34)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 바아(34)에 단단히 고정된 후프(39)상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주조관의 축방향으로 통과하기 위한 오리피스(38)를 한정하기 위해 스페이서(36)는 위치 결정 프레임(32)의 내부쪽 반경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주형틀(112)은 지연 작용 반응 요소로 채워지고, 콘크리트가 주조되기 전 또는 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각 튜브(16)는 고정 클램프(203) 또는 클립핑부(302)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200, 300)에 의해서 지지 지그(202)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부분의 컷오프용 장치.
KR1020017007240A 1998-12-11 1999-12-10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KR100707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15848 1998-12-11
FR9815848A FR2787131B1 (fr) 1998-12-11 1998-12-11 Dispositif de recepage pour des ouvrages en be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153A true KR20010093153A (ko) 2001-10-27
KR100707109B1 KR100707109B1 (ko) 2007-04-13

Family

ID=953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240A KR100707109B1 (ko) 1998-12-11 1999-12-10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623212B1 (ko)
EP (1) EP1147264B1 (ko)
JP (1) JP4118517B2 (ko)
KR (1) KR100707109B1 (ko)
CN (1) CN1332098C (ko)
AT (1) ATE238458T1 (ko)
AU (1) AU1663500A (ko)
BR (1) BR9916100A (ko)
CA (1) CA2353967A1 (ko)
CZ (1) CZ299514B6 (ko)
DE (1) DE69907273T2 (ko)
ES (1) ES2198159T3 (ko)
FR (1) FR2787131B1 (ko)
HK (1) HK1039972B (ko)
HU (1) HUP0104597A3 (ko)
IL (1) IL143497A (ko)
MX (1) MXPA01005715A (ko)
PL (1) PL203381B1 (ko)
PT (1) PT1147264E (ko)
TR (1) TR200101694T2 (ko)
WO (1) WO2000036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1097B2 (en) * 2006-11-07 2009-11-24 Weston Wilhour System and method for casting column bases for a post frame structure
FR2913034B1 (fr) * 2007-02-23 2009-05-22 Recepieux Soc Par Actions Simp Dispositif de recepage a declenchement controle
CN110130674B (zh) * 2019-06-28 2021-07-02 绍兴文理学院 一种静态破碎的超大预埋破碎孔装置及其使用方法
JP7165461B1 (ja) * 2022-07-05 2022-11-04 千代田ソイルテック株式会社 破砕装置及び柱状改良杭の撤去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2977A (en) * 1967-03-08 1969-03-18 Us Navy Application of shaped charge to earth anchor
US3496729A (en) * 1968-05-24 1970-02-24 Bernd Pleuger Protective tube for concrete pile
US4165198A (en) * 1976-09-07 1979-08-21 Farmer Foundation Company Method for forming pier foundation columns
JPS5670324A (en) * 1979-11-12 1981-06-12 Shogo Matsugishi Concrete crushing body and crush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JPS5985023A (ja) * 1982-11-05 1984-05-16 Shotaro Shimura 場所打杭工法
JPS5991214A (ja) * 1982-11-18 1984-05-25 Sumitomo Cement Co Ltd 場所打杭の杭頭処理工法
JPS6059223A (ja) * 1983-09-08 1985-04-05 Hazama Gumi Ltd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方法
US4673157A (en) * 1985-11-13 1987-06-16 Wells Gordon T Footing form
US4767241A (en) * 1985-11-13 1988-08-30 Wells Gordon T Method for simultaneous forming of concrete footings and piers
US5622453A (en) * 1995-04-27 1997-04-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nsification of geomaterials for sealing applications
FR2767346A1 (fr) * 1997-08-12 1999-02-19 Dominique Fonfrede Procede et dispositif de recepage pour des pieces d'ouvrage en be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104597A2 (hu) 2002-03-28
CA2353967A1 (en) 2000-06-22
AU1663500A (en) 2000-07-03
PL348183A1 (en) 2002-05-06
EP1147264B1 (fr) 2003-04-23
BR9916100A (pt) 2001-09-04
EP1147264A1 (fr) 2001-10-24
PT1147264E (pt) 2003-11-28
CN1332098C (zh) 2007-08-15
JP4118517B2 (ja) 2008-07-16
TR200101694T2 (tr) 2002-01-21
US6623212B1 (en) 2003-09-23
PL203381B1 (pl) 2009-09-30
JP2002532642A (ja) 2002-10-02
HK1039972B (zh) 2007-11-09
HUP0104597A3 (en) 2002-04-29
ES2198159T3 (es) 2004-01-16
FR2787131B1 (fr) 2001-03-16
DE69907273T2 (de) 2004-05-06
MXPA01005715A (es) 2003-07-14
FR2787131A1 (fr) 2000-06-16
HK1039972A1 (en) 2002-05-17
DE69907273D1 (de) 2003-05-28
CZ299514B6 (cs) 2008-08-20
WO2000036228A1 (fr) 2000-06-22
KR100707109B1 (ko) 2007-04-13
IL143497A (en) 2005-06-19
CZ20012047A3 (cs) 2002-06-12
CN1329690A (zh) 2002-01-02
IL143497A0 (en) 2002-04-21
ATE238458T1 (de) 200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8031B1 (en) Hydraulic pile cap removal
KR20010093153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컷오프 장치
KR20170125457A (ko) 전단저항력 향상기능을 갖는 압력식 쏘일 네일링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KR101105853B1 (ko) 몰드 케이스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20190083898A (ko) 오버랩 배열구조의 주열식 흙막이 시공 방법
KR20060115157A (ko) 더블 케이싱을 이용한 단계별 가압식 쏘일네일링 장치
KR20190104673A (ko) 터널 보강용 그라우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KR102229184B1 (ko) 콘크리트에 철근을 고정하는 방법
US5020945A (en) B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difying concrete blocks
CN109763651A (zh) 保温一体化模板与混凝土外墙采用锚栓固定的施工方法
US4958467A (en) B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difying concrete blocks
JPH0464665A (ja) U型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20190091741A (ko) 모르타르가 채워진 터널 보강용 그라우팅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36Y1 (ko) 콘크리트 도로의 섹션 연결장치
FI73773C (fi) Foerfarande foer foerkortande av en gjuten och pao sin omkrets armerad betongpaole.
JP3275191B2 (ja) 山留め工法
GB24172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concrete foundations
JP2856913B2 (ja) 可撓性型枠材及びそれを利用した貫通孔形成工法
US20050126111A1 (en) Break-away concrete form stake with self-sealing feature
JPH094225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間隔保持具
GB2257741A (en) Forming foundations.
KR20060012841A (ko) 지반경화재 주입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연약지반강화방법
JPH07224420A (ja) 地下水非遮断土留壁構築工法
RU96121446A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например тру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070116522A (ko) 체결부재용 캡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매설용 단열재 인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