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852A -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 Google Patents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852A
KR20010091852A KR1020000048074A KR20000048074A KR20010091852A KR 20010091852 A KR20010091852 A KR 20010091852A KR 1020000048074 A KR1020000048074 A KR 1020000048074A KR 20000048074 A KR20000048074 A KR 20000048074A KR 20010091852 A KR20010091852 A KR 2001009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ble
extension line
metal wire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387B1 (ko
Inventor
니미야다카유키
고미네제니치
구노아키라
다케무라노리오
미사쿠가쓰노리
미사쿠가즈에
다카기가오루
바커마키코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다이메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사쿠 덴세쓰
다이메이 텔레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다이메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사쿠 덴세쓰, 다이메이 텔레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9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6Roll or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5Helical or coi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은, 나선상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공법으로서, 전주간에 장설된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하고,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을 연선 당김 또는 빼냄을 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CABLE ERECTION TECHNIQUE AND CABLE ERECTION COIL}
본 발명은 각종 케이블을 가설하는 공법 및 그 가설공법에 사용하는 코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가설작업을 간략화함과 동시에 가설 작업시 및 가설 후에 있어서 케이블을 안정상태로 보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케이블아나 텔레비전 용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을 가설하는 경우, 전주간에 항장선(抗張線)으로서 메선저와이어를 장설(張設)하고, 이 메선저외이어에 케이블행어 등의 금속제 조구(弔具)를 50∼60 ㎝의 간격으로 1개씩 설치하면서 케이블을 병렬로 현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가설공사는, 작업자가 다수의 금속제 조구를 소지하여, 이들 조구를 메선저와이어의 세로 방향에 따라서 50∼60 ㎝의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설치해 가는 것이고, 게다가 조구의 설치작업을 고소에서 행하기 때문에, 다대한 시간과 노력을 요하며, 상당한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었다.
근년, 케이블 가설공사를 간략화하는 수법으로서, 합성수지를 주체로 하는 재료로 연속라선상(連續螺琁狀)으로 성형한 신축자재의 체인코일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돼 있다. 체인코일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가설하는 경우, 메선저와이어에 체인코일을 외삽(外揷)하고, 이 체인코일을 메선저와이어에 따라서 신장시키는 동시에 코일 내측에 케이블을 연선(延線)하여, 그대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케이블의 가설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자재의 체인코일은, 가설작업이 간단하다는 잇점은 있으나, 반면, 메선저와이어에 대한 걸이기구가 벗겨진 경우나, 합성수지를 주체로 하기 때문에 화재나 사고 등에 의해 일부가 절단된 경우에, 코일이 수축하여 케이블이 늘어져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체인코일을 신장시키면서 케이블을 가설하는 때에, 코일의 고정단이 빠지거나, 신장시킨 비고정단을 갑작스레 놓치거나 하면, 탄성신축력에 의해 체인코일이 원래의 길이에 수축하여 버리기 때문에, 케이블 가설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하여야 하여, 그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가설작업을 간략화함과 동시에 가설 작업시 및 가설후에 있어서 케이블을 안정상태로 보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은, 나선상(螺旋狀)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공법으로서, 전주간에 장설(張設)된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外揷)하고,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선(延線 ),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주간에 장설(張設)된 메선저와아어 등의 항장선에,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외삽(外揷)하고,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선(延線), 땅김 또는 빼냄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코일에는 신장시에 소성변형하는 따위의 물성이 부여돼 있기 때문에, 코일의 항장선에 대한 걸이기구가 벗겨지거나, 사고 등에 의해 일부가 절단된 경우라도, 소성변형한 코일의 강도에 의거하여 케이블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케이블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한 상태에 보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블 가설작업시에 코일의 고정단이 빠지거나, 신장시킨 비고정단을 갑작스레 놓치어도, 코일이 원래의 길이에 수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케이블의 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코일은 금속선을 구비하고 있어서, 화재에 의해 절단되는 일도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장선의 둘레에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코일에 부설하여, 그 코일을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면 좋다. 이와 같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상기 케이블 가설공법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신장시의 코일의 치수를 정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장선의 둘레에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일단측을 항장선에 대하여 계지함과 동시에,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코일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코일 연신장치를 항장선에 따라서 코일의 타단측에 견인하여, 그 코일을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신장시키면 좋다. 또는, 항장선의 둘레에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일단측을 항장선에 대하여 계지함과 동시에,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코일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코일 연신장치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코일의 타단측을 항장선에 따라서 견인하여, 그 코일을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면 좋다.
상기 코일을 가이드하는 항장선으로서는, 복수 가닥의 강선의 연선(撚線)으로 이루어지는 메선저와이어, 기설(旣設) 케이블, 메선저와이어와 케이블을 일체화한 복합 케이블(소위 SS형 케이블) 등을 선태할 수가 있으며, 또 필요하다면 가설(假設)의 로프 등이어도 좋다.
단,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은 항장선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나선상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하여,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리블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그 케이블 배채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하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은 케이블 가설공법은, 케이블을 천정안이나 마루밑에 정리하면서 수납하는 경우에 알맞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선, 땅김 또는 배냄의 대상이 되는 케이블은, 통신용 케이블, 테레비전용 케이블, 송전용 케이블 등과 같이 다수의 전선이나 광파이버 등을 매설하여 이루어지는 각종 케이블 외, 사무소나 주거 등에의 인입선 등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용 코일은,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선을 나선상으로 성형한 구조를 가지며, 그 수지피복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을 신장시킨 때 상기 금속선이 영구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금속선의 영구변형은 코일을 비신장시의 길이의 10배 이상으로 신장시킨 때에 생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영구변형을 생기게 하기 위해, 수지피복선의 단면적에 대한 금속선의 단면적의 비율이 25%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이용하는 소성변형가능의 코일의 일례를 보이며, 도 1 (a)는 코일의 측면도, 도 1 (b)는 그 코일을 구성하는 수지피복선의 단면도, 도 1 (c)는 그 수지피복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이용하는 코일 연신장치의 일례를 보이며, 도 2 (a)는 코일 비신장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2 (b)는 코일 산장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이용하는 타의 코일 연신장치를 보이며, 도 3 (a)는 코일 비신장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3 (b)는 코일 산장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성공법에 의해 케이블을 가설한 상태를 보이며, 도 4 (a)는 측면도, 도 4 (b)는 그의 X-X 전망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의해 케이블을 가설한 타의 상태를 보이며, 도 5 (a)는 측면도, 5 (b)는 그의 X'-X' 전망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의 케이블 가설공법을 적용한 케이블 지지구조를 보이며, 도 6 (a)는 측면도, 5 (b)는 그의 Y-Y 전망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이용하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의 일례를 보이 것이다. 도 1 (a)∼도 1 (c)에 보이는 바와 같이, 소성변형가능한 코일(1)은 금속선(1a)의 주위에 합성수지(1b)를 피복한 수지피복선(1A)을 나선상으로 성형한 구조로 돼 있다. 수지피복선(1A)의 단면형상은 바람직하기는 8각형 등의 다각형을 함유하는 비원형이며, 이 비원형이 금속선(1a)의 세로 방향에 따라서 나선상으로 회전하도록 비틀림을 부여함에 의해, 케이블 가설시에 있어서의 바람가름 소리의 발생을 저감하게 돼 있다. 코일(1)은 케이블 가설공사에 사용하기 전의 무부하의 비신장상태에서는 길이(L)이지만, 케이블 가설시에는 전주간의 1 스팬에 상당하는 길이까지 신장시킨 상태로 된다. 다만, 전주간의 1 스팬에 대하여 신장상태의 코일(1)에 과부족이 있는 경우, 코일을 절단하거나, 보충하거나 하면 좋다.
상기 코일(1)은, 비신장시의 길이(L)로부터 신장시킨 때 금속선(1a)이 소성변형하는 물성이 부여돼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1)을 비신장시의 길이(L)의 10배 이상에 신장시킨 때, 코일(1)이 직경(D)에서 수축하는 동시에, 신장 후의 길이에 보지된 상태에 소성변형하게 돼 있다. 이 금속선(1a)의 소성변형이, 비신장시의 길이(L)의 10배 미만의 신장에서 생기면, 나선피치를 일정간격으로 하면서 코일(1)을 신장시키기가 어려워진다.
금속선(1a)과 합성수지(1b)와의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코일(1)에 상기 물성을 부여하려면, 금속선(1a)이나 합성수지(1b)의 재료를 적의 선택함과 동시에, 수지피복선(1A)에 있어서의 금속선(1a)의 단면적비율을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금속선(1a)으로서는, 직격이 1.0∼5.0 ㎜의 철선, 동선, 알루미늄선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케이블 가설용으로 최적한 소성변형을 부여하려면 철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선을 이용하면 좋다. 금속선(1a)의 직경이 1.0 ㎜ 미만이면 케이블을 보지할 능력이 부족하며, 거꾸로 5.0 ㎜를 넘으면 코일 자체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수지피복선(1A)의 단면적에 대한 금속선(1a)의 단면적의 비율은 2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선(1a)의 단면적비율이 25% 미만이면, 합성수지(1b)의 탄성변형에 의해 금속선(1a)이 소성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또, 금속선(1a)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와 같은 원형 외에,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합성수지(1b)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열가소성수지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스테르가좋다. 이 폴레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에 아디핀산, 이소프탈산, 이소프탈산설포네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제 3 성분을 공중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나일론11, 나일론12 및 이들 각 나일론 구성성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아미드 등을 들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수지에는, 물론 필요에 따라 내열제, 내후제(耐候제), 내광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평활(平滑)제, 염료 및 안료 따위의 통상의 첨가제 성분을 임의로 함유시킬 수가 있다.
코일(1)의 비신장시의 길이(L)는, 취급성의 관점에서 보면 짧은 편이 좋으나, 케이블 가설시에는 적어도 전주간의 1 스팬까지 신장할 수 있게 설정하는 편이 작업성을 좋게 한다. 때문에, 비신장시의 길이(L)가 500∼2000 ㎜의 범위일 때, 그 길이(L)에 대하여 신장시의 길이를 10∼80 배, 특히 20∼60 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일(1)의 비신장시의 외경(D)은 20∼120 ㎜의 범위로 하면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코일(1)의 연신에 임하여서는, 도 2나 도 3에 보이는 코일 연신장치를 이용할 수가 있다.
도 2에 있어서, 코일 연신장치(10)는 골부재(骨部材)(11)를 원추상(圓錐狀)으로 조립한 구조를 가지고, 그 원추정부(頂部)에 코일(1)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1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코일 연신장치(10)는 원추사면(斜面)에 따라서 분할된 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양부재가 힌지(13)를 통해 개폐자재하며, 게다가 볼트(14)를 이용하여 닫은상태로 죄고 풀 수 있게 돼 있다.
상기 코일 연신장치(10)를 이용하여 코일(1)을 연신할 경우, 도 2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주(P,P)간에 장설된 메선저와이어(W)의 둘레에 코일(1)을 외삽한 후, 그 코일(1)의 일단측을 클램프 부재(2)로 메선저와이어(W)에 대하여 계지하고, 또한 코일(1)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12)를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10)를 코일(1)의 일단측에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한구멍(12)이 코일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골부재(11)의 원추부분이 코일(1)을 감싸게 코일 연신장치(10)를 설치한다. 그리하여, 도 2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부재(11)의 원추저부(底部)에 비끄러맨 견인용 로프(15)를 이용하여 코일 연신장치(10)를 메선저와이어(W)에 따라서 코일(1)의 타단측에 견인하여, 그 코일(1)을 제한구멍(12)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킨다. 또, 메선저와이어(W)에 따라서 이동하는 코일 연신장치(10)를 지상에서 조작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선저와이어(W)에 걸이쇠(16)를 걸어, 이 걸이쇠(16)에 견인로프(15)와 지상으로부터의 조작용 로프(17)를 연결하여 있다. 또 코일(1)의 타단측도 걸이쇠(16)에 연결하여 놓으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연신장치(10)를 이용하여 코일(1)을 연신하면, 신장상태에 있어서의 코일(1)의 피치 및 외경을 제한구멍(12)의 치수에 의거하여 설정할 수가 있고, 또한 전장에 걸쳐 코일(1)을 균등하게 연신할 수가 있다. 또, 코일 연신장치(10)는 골부재(11)의 조립체이기 때문에, 그의 간극을 통하여 코일(1)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기 때문에 메선저와이어(W)에 큰 부담을거는 일도 없다.
한편, 도 3에 있어서, 코일 연신장치(20)는 골부재(骨部材)(21)를 원추상으로 조립한 구조를 가지고, 그 원추정부에 코일(1)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2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코일 연신장치(20)는 원추사면에 따라서 분할된 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들 양부재가 힌지(23)를 통해 개폐자재하며, 게다가 볼트(24)를 이용하여 닫은 상태로 죄고 풀 수 있게 돼 있다.
상기 코일 연신장치(20)를 이용하여 코일(1)을 연신할 경우, 도 3 (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주(P,P)간에 장설된 메선저와이어(W)의 둘레에 코일(1)을 외삽한 후, 그 코일(1)의 일단측을 클램프 부재(2)로 메선저와이어(W)에 대하여 계지하고, 또 코일(1)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22)를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20)를 코일(1)의 일단측에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한구멍(22)이 코일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골부재(21)의 원추부분이 코일(1)을 감싸게 코일 연신장치(20)를 설치한다.
그리하여, 도 3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선저와이어(W)의 위에서 주행자재한 선도차(26)에 코일(1)의 타단측을 연결한 후, 골부재(21)의 원추저부에 비끄러맨 고정용 로프(25)를 이용하여 전주(P)에 대한 코일 연신장치(20)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도차(26)로 코일(1)의 타단측을 메선저와이어(W)에 따라서 견인하여, 그 코일(1)을 제한구멍(22)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킨다. 이 선도차(26)는 전진만 허용하고, 후퇴시에는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돼 있다. 메선저와이어(W)에 따라서 이동하는 선도차(26)를 지상에서 조작가능하게 하기 위해,선도차(26)에는 지상으로부터의 조작용 로브(27)를 연결하여 있다. 또, 이와 같은 선도차(26)는 도 2에 보이는 가설공법에 적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연신장치(20)를 이용하여 코일(1)을 연신하면, 신장상태에 있어서의 코일(1)의 피치 및 외경을 제한구멍(22)의 치수에 의거하여 설정할 수가 있고, 또한 전장에 걸쳐 코일(1)을 균등하게 연싱할 수가 있다. 또, 코일 연신장치(20)는 골부재(21)의 조립체이기 때문에, 그의 간극을 통하여 코일(1)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기 때문에 메선저와이어(W)에 큰 부담을 거는 일도 없다. 또한, 선도차(26)에 케이블(C)의 선단을 연결하여 놓으면, 코일(1)의 연신과 동시에 케이블(C)의 연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의해 케이블을 가설한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도 4 (a) 및 도 4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서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1)을 사용하고, 전주간에 장설된 메선저와이어(W)의 둘레에 코일(1)을 외삽하고, 이를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S)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S)을 통하여 케이블(C)의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하게 한다.
상기 코일(1)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공사에 있어서는, 단지 코일(1)을 전주간에 신장시키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케이블(C)을 나선상 루프를 통해 일정간격에 현가하기 위한 현가점을 모조리 형성하여, 케이블(C)의 연선을 행할 수가 있고, 게다가 케이블(C)을 연선한 후는 코일(1)을 그대로 케이블 고정용 조구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때문에, 활차 등의 케이블 연선용 치구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가가설하는 작업이 불요하게 되는 동시에, 종래의 케이블 가설과 같이 다수의 금속제 조구를 일정간격으로 1개씩 장치하는 작업을 간략화 할 수가 있다.
메선저와이어(W)에 현가시키는 케이블(C)을 추가할 경우, 전주측으로부터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S)에 따라서 케이블(C)을 간단히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메선저와이어(W)에 현가시킨 케이블(C)의 가닥을 감하는 경우, 케이블 배치공간(S)로부터 임이의 케이블(C)을 빼내면 된다. 케이블(C)은 소성변형한 코일(1)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현가돼 있기 때문에, 빼낼 때에 케이블(C)이 많이 매달리는 일이 없다.
또, 코일(1)은 신장시에 금속선(1a)이 소성변형하기 때문에, 메선저 와이어(W)에 대한 걸이기구가 벗겨지거나, 사고 등에 의한 코일의 일부가 절단된 경우라도, 소성변형한 금속선(1a)에 의해 케이블(C)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케이블 가설작업시에, 코일(1)의 고정단이 빠지거나, 신장시킨 비고정단을 갑작스레 놓치어도 코일(1)이 원래의 길이에 수축하는 일은 없다. 때문에 상기 코일(1)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공법에 의하면, 가설시나 가설후에 있어서, 케이블(C)을 안정한 상태로 보지할 수가 있다. 또, 케이블 가설장소의 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코일(1)이 화염으로 인해 합성수지가 불타버린다 해도, 금속선(1a)에 의해 케이블(C)을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에 의해 케이블을 가설한 타의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메선저와이어(W')와 케이블(C')을, 세로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한 다수의 접합부(J)를 거쳐 일체화한 SS형 케이블을 항장선으로서 이용한 것이다. 도 5 (a) 및 도 5 (b)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항장선으로 SS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전주간에 장설된 SS형 케이블의 둘레에 코일(1)을 외삽하고, 이를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S)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S)을 통하여 케이블(C)의 연선, 땅김, 빼냄을 행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의 실시형태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가설공법을 보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항장선을 이용하지 않고 천정 안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경우의 케이블 가설공법이다. 도 6 (a) 및 도 6 (b)에 있어서, 천정 안의 상벽면(30)으로부터는 좌우 한쌍의 지주(31, 3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늘어지고, 그의 하단부에 지지 플레이트(32)가 설치돼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32) 상에는 다수의 케이블(C)이 설치돼 있다.
지지 플레이트(32)에의 케이블(C)의 설치 가닥 수에는 한도가 없기 때문에, 그 한도를 지나서 다시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는 지지 플레이트(32)의 옆에 타의 지지 플리에트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지 플레이트의 설치에는 많은 노력을 요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케이블 지지구조에도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을 적용하면 좋다.
즉, 상술한 코일(1)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S)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를 지지 플레이트(32)에 따르게 지주(31, 31)에 계지하고, 그 케이블 배치공간(S)을 통하여 케이블(C)의 연선, 당김 또는 빼냄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킨 코일(1)은, 어느정도의 보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C)의 지지구조로서 유효하다. 또, 케이블 배치공간(S)을 통하여 케이블(C)의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고, 또한 가설작업시 및 가설 후에 있어서 케이브(C)을 안정상태로 보지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은, 통신용 케이블, 텔레비전용 케이블, 송전용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의 가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케이블 가설공법은, 상기 외의 사용방법으로서 지하통로나 공동구(共同溝) 등의 내부에 케이블을 가설하는 경우에도 썩 알맞다. 이들 지하통로나 공동구에서는 메선자와이어 등의 항장선에 따라서 코일을 신장시켜도 좋고, 또는 항장선을 이용하지 않고 코일을 신장시키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나선상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하여, 전주간에 장설된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하고,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하므로, 케이블의 가설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가설작업시 및 가설 후에 있엇서 케이블을 안정한 상태에 보지할 수가 있다.

Claims (8)

  1. 나선상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 공법으로서, 전주간에 장설된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하고, 그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을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하는 케이블 가설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상기 코일에 부설하여, 그 코일을 상기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는, 케이블 가설공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일단측을 상기 항장선에 대하여 계지함과 동시에,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상기 코일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코일 연신장치를 상기 항장선에 따라서 상기 코일의 타단측에 견인하여, 그 코일을 상기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는, 케이블 가설공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장선의 둘레에 상기 코일을 외삽한 후, 그 코일의 일단측을 상기 항장선에 대하여 계지함과 동시에, 그 코일의 외경보다 작은 제한구멍을 구비한 코일 연신장치를 상기 코일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코일 연신장치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타단측을 상기 항장선에 따라서 견힌하여, 그 코일을 상기 제한구멍으로부터 배출하면서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는, 케이블 가설공법.
  5. 나선상으로 성형된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소성변형가능한 코일을 이용한 케이블 가설 공법으로서, 상기 코일을 소성변형하기까지 신장시키어 나선 내측에 일련의 케이블 배치공간을 형성하여, 그 케이블 배치공간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선, 땅김 또는 빼냄을 행하는 케이블 가설공법.
  6. 금속선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수지피복선을 나선상으로 성형한 구조를 가지고, 그 수지피복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을 신장시킨 때 상기 금속선이 영구변형하는 케이블 가설용 코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비신장시의 길이의 10배 이상에 신장시킨 때 상기 금속선이 영구변형하는, 케이블 가설용 코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피복선의 단면적에 대한 상기 금속선의 단면적의 비율이 25% 이상인, 케이블 가설용 코일.
KR1020000048074A 2000-03-13 2000-08-19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KR100653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9176A JP3791891B2 (ja) 2000-03-13 2000-03-13 ケーブル架設工法
JP2000-069176 2000-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852A true KR20010091852A (ko) 2001-10-23
KR100653387B1 KR100653387B1 (ko) 2006-12-01

Family

ID=1858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074A KR100653387B1 (ko) 2000-03-13 2000-08-19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505818B1 (ko)
JP (1) JP3791891B2 (ko)
KR (1) KR100653387B1 (ko)
CN (1) CN1293686C (ko)
AU (1) AU773882B2 (ko)
HK (1) HK1041565A1 (ko)
ID (1) ID29641A (ko)
TW (1) TW4748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2976A1 (en) * 2006-03-07 2007-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tallation of spliced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114A (ja) * 2001-07-30 2003-02-14 Daimei Kk 架空設備の構築方法
GB2389244B (en) * 2002-05-31 2006-01-04 Daimei Telecom Engineering Cor Cable erection method using a plastically deformable coil.
JP4041815B2 (ja) * 2003-11-11 2008-02-06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ケーブルの螺旋状支持具
US11038322B2 (en) * 2018-06-15 2021-06-15 Karl Severson Method of installing spiral hangers about a messenger line while removing lashing wire
DE102018221781A1 (de) * 2018-12-14 2020-06-18 Schott Ag Glaskörperlage, Glaskörperbündel sowie Herstellungsverfahren einer Glaskörperlage
CN113991530A (zh) * 2021-12-01 2022-01-28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更换绝缘子串用作业滑车的挂点装置
CN114069532B (zh) * 2021-12-03 2024-04-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昌乐县供电公司 一种防风抗低温收缩线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4707A (en) * 1952-05-03 1956-05-08 Thomas F Peterson Helically-preformed lashing for connecting cables to messenger strands
US2895713A (en) * 1956-10-08 1959-07-21 Antennavision Mfg & Engineerin Cable lasher
US3162992A (en) * 1962-12-20 1964-12-29 Amp Inc Cable installing and wrapping apparatus
US3556483A (en) * 1968-03-15 1971-01-19 Roland G Mantion Cable lasher
US3783495A (en) * 1972-12-04 1974-01-08 C Derrer Cable de-lashing tool
US3814383A (en) * 1973-02-08 1974-06-04 Jackson Communication Corp Method of stringing aerial cable
US4331721A (en) * 1980-02-13 1982-05-25 Ayers Anne L Decorative holder
CA2004470A1 (en) 1988-12-01 1990-06-01 Paul Frederick Wettengel Drop cable
US4960266A (en) * 1989-12-11 1990-10-02 Siecor Corporation Aerial cable installation method
US5916006A (en) * 1994-06-27 1999-06-29 Handsontoys, Inc. Flexible foam construction toy set
JP3035620B2 (ja) * 1995-08-30 2000-04-24 ヒエン電工株式会社 ケ−ブル吊り下げ用螺旋状支持具の施工方法
JPH1051918A (ja) * 1996-08-05 1998-02-20 Nakajima Tsushinki Kogyo Kk ケーブル架設方法及びケーブルハンガ
TW375742B (en) * 1997-02-06 1999-12-01 Commscope Inc Aerially installed communication cable
JP3628476B2 (ja) * 1997-03-31 2005-03-09 大日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線撚り線のコイル状ケーブルハンガー
JPH1198630A (ja) * 1997-09-17 1999-04-09 Misaku Densetsu:Kk ケーブルの架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保護リング
KR20000028290A (ko) * 1998-10-30 2000-05-25 이종훈 나선형 첨선을 이용한 송전선 풍소음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2976A1 (en) * 2006-03-07 2007-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tallation of spliced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s
US7353602B2 (en) 2006-03-07 2008-04-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tallation of spliced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s
US7882630B2 (en) 2006-03-07 2011-0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installing an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5818B1 (en) 2003-01-14
AU773882B2 (en) 2004-06-10
US20030066991A1 (en) 2003-04-10
CN1293686C (zh) 2007-01-03
KR100653387B1 (ko) 2006-12-01
US6913822B2 (en) 2005-07-05
CN1319926A (zh) 2001-10-31
HK1041565A1 (en) 2002-07-12
TW474891B (en) 2002-02-01
ID29641A (id) 2001-09-13
JP3791891B2 (ja) 2006-06-28
JP2001258140A (ja) 2001-09-21
AU2798701A (en) 200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387B1 (ko)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RU2255400C2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абеля (варианты) и катушка для монтажа кабеля
JPH03226209A (ja) ケーブルの布設方法
JP2003047114A (ja) 架空設備の構築方法
JP4179430B2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GB2389244A (en) Coiled cable support
JP3069725U (ja) ワイヤ―コイル
JP2003134622A (ja) ケーブル柱上架設工法
JP2001275217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4169416B2 (ja) ケーブル架設用エクステンドコイル
JPH1198630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保護リング
JP2006238544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2002017028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CN209961982U (zh) 一种光缆架空敷设特制组件
KR20200011327A (ko)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JP2001275216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H11178137A (ja) ケーブル架設用チェーンコイル
JP2000166036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2001103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チェーンコイル
JPH11178136A (ja) ケーブル架設用チェーンコイル
JP2001057729A (ja) ケーブル架設用チェーンコイル
JPH03222616A (ja) ケーブル布設装置
JPH06209509A (ja) 配線・配管材の懸吊布設具
JP2002354645A (ja) ケーブル架設用チエーンコイル
JP2009093114A (ja) 収納ケース付き光ケーブルとその布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