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327A -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327A
KR20200011327A KR1020180086271A KR20180086271A KR20200011327A KR 20200011327 A KR20200011327 A KR 20200011327A KR 1020180086271 A KR1020180086271 A KR 1020180086271A KR 20180086271 A KR20180086271 A KR 20180086271A KR 20200011327 A KR20200011327 A KR 2020001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piral
cable
metal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석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와이넷(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넷(주) filed Critical 와이넷(주)
Priority to KR102018008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1327A/ko
Publication of KR2020001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금속 와이어의 표면을 합성수지가 피복이 잘 되도록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제조하고자 하는 나선형 서스펜션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2πR의 길이를 1피치로 하여 각 주기마다 360도 회전시켜 꼬는 단계; 이어서 금속 와이어 표면에 합성수지를 1차 코팅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건조하는 단계; 및 이어서 압출기에 1차 코팅된 금속 와이어를 직선으로 공급하고, 금속 와이어를 중심이 되도록하여 외경에 합성수지 피복부를 2차 코팅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케이블 지지용 서스펜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Spiral suspension for cable support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케이블 지지용 서스펜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통신케이블은 전신주를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로 연결된다. 이때, 통신케이블은 전신주 간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조가선에 현수상태로 고정되어 하방으로 처지지 않는다.
도 1 은 통상적인 통신케이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통신케이블(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1)와 또 다른 전신주(1)의 사이에 수평상태로 고정된 조가선(2)에 와이어(5)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하부로 처지지 않는다 이때, 와이어(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a)를 통해 조가선(2)에 결합되어 통신케이블(3)을 현수상태로 조가선(2)에 고정하거나, 도시된 바와 달리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과 함께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와이어(5)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2)을 따라 다수개가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야만 통신케이블(3)이 하부로 처지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케이블(3)의 가설시, 작업자는 전신주(1)에 올라가서 조가선(2)에 매달린 상태로 조가선(2)을 따라 이동하면서 통신케이블(3)을 와이어(5)로 조가선(2)에 고정하거나, 사다리차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사다리차와 함께 이동하면서 통신케이블(3)을 조가선(2)에 고정하였다.
그런데, 작업자가 조가선(2)에 매달려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설작업의 위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가설시간 또한 증가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사다리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케이블(3)을 고정하는 와이어(5)의 설치간격만큼 사다리차가 이동과 정지를 반복해야하므로 교통혼잡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다리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신케이블(3)을 고정하는 인력외에 사다리차를 운용하는 인력과 교통을통제하는 인력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인력의 낭비와 함께 작업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 선행기술문헌2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의 서스펜션은 스파이럴 형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단에 커넥터를 구비한 것으로, 각각의 서스펜션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것이나, 커넥터가 약하고, 방향성을 가지는 경우 결합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전주와 전주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조가선(와이어)에 서스펜션을 하나씩 결합하면서 밀어서 슬라이딩 시키며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없으면 설치하지 못하고 설치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셔틀러너 및 리드와이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견인 포설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전주 사이의 양 끝단을 볼트와 철물로 구성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가선에 고정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서스펜션 코팅 단면이 원형으로, 케이블과 닿는 면적이 적어 케이블에 손상줄 수 있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8257호(2012. 10. 3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06886호(2012. 11. 26)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나선형 서스펜션이 와이어와 합성수지 피복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광케이블의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 제3목적은 스프링 같은 연속성으로 광케이블이 중간에 이탈하거나 늘어지고 꼬이는 현상이 전혀 없어 안전한 것이며, 제4목적은 케이블의 완벽한 보호로 상습 태풍 피해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심플한 1루트 가공관로를 형성하여 공중선 정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본 발명 서스펜션이 압축된 스파이럴 형태로 커넥터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고, 제7목적은 본 발명 서스펜션을 용수철 처럼 늘려서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8목적은 전주와 전주사이에 조가선이 없어도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9목적은 한쪽 전주 밑에서 서스펜션의 한쪽을 묶어서 잡아끌어 반대쪽 전주까지 끌고가서 고정시켜 설치하도록 한 것이고, 제10목적은 서스펜션 코팅 일단면이 평면으로 케이블과 닿는 면적이 넓어 케이블에 손상없이 안정되게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11목적은 이로 인해 케이블 지지용 서스펜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의 표면을 합성수지가 피복이 잘 되도록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제조하고자 하는 나선형 서스펜션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2πR의 길이를 1피치로 하여 각 주기마다 미리 360도 회전시켜 꼬는 단계; 이어서 금속 와이어 표면에 합성수지를 1차 코팅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건조하는 단계; 및 이어서 압출기에 1차 코팅된 금속 와이어를 직선으로 공급하고, 금속 와이어를 중심이 되도록하여 외경에 합성수지 피복부를 2차 코팅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을 제공하되, 나선형 서스펜션의 신장시의 길이가 비 신장시의 길이보다 30배 내지 80배 증가되고, 신장시 영구변형으로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나선형 서스펜션이 와이어와 합성수지 피복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프링 같은 연속성으로 광케이블이 중간에 이탈하거나 늘어지고 꼬이는 현상이 전혀 없어 안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의 완벽한 보호로 상습 태풍 피해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심플한 1루트 가공관로를 형성하여 공중선 정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스펜션이 압축된 스파이럴 형태로 커넥터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서스펜션을 용수철 처럼 늘려서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주와 전주사이에 조가선이 없어도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한쪽 전주 밑에서 서스펜션의 한쪽을 묶어서 잡아끌어 반대쪽 전주까지 끌고가서 고정시켜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서스펜션 코팅 일단면이 평면으로 케이블과 닿는 면적이 넓어 케이블에 손상없이 안정되게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케이블 지지용 서스펜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케이블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제조방법의 흐름
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일측을 잡아 당
겨 늘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을 일자로 펼친 상
태의 요부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사용상태 정면
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사용상태 사시
도.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은 도 2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은 내부 중앙 금속 와이어(11)의 외주면에 합성수지 피복부(12)가 코팅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나선형 서스펜션(10)은 나선형 서스펜션의 신장시의 길이가 비 신장시의 길이보다 30배 내지 80배 증가되고, 신장시 영구변형으로 케이블(3)을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쉽고 안전한 포설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로, 제조방법의 각각의 단계를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사시도로, 일정 길이만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확대 정면도를 보인 것으로, 서스펜션이 수축된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일측을 잡아 당겨 늘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나선형 서스펜션(10)의 타측을 전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측을 잡아 당기게 되면 잡아 늘린 부분은 영구 변형된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을 일자로 펼친 상태의 요부 정면도로, 1미터에 4회 꼬인 상태를 보인 것이다.
아울러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단면도로, 내부 금속 와이어(11)의 외주면에 합성수지 피복부(12)가 코팅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더하여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사용상태 정면도로, 조가선(2)에 나선형 서스펜션(10)과 케이블(3)을 걸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사용상태 사시도로, 전술한 도 8 과 같이 조가선(2)에 나선형 서스펜션(10)과 케이블(3)을 걸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11)의 표면을 합성수지가 피복이 잘 되도록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와이어(11)를 제조하고자 하는 나선형 서스펜션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2πR의 길이를 1피치로 하여 각 주기마다 미리 360도 회전시켜 꼬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와이어(11) 표면에 합성수지를 0.2mm로 1차 코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 금속 와이어(11)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압출기에 1차 코팅된 나선형 금속 와이어(11)를 직선으로 공급하고, 금속 와이어(11)를 중심이 되도록 하여 외경에 합성수지 피복부(12)를 2차 코팅하는 단계를 거쳐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을 제조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를 2차 코팅하는 단계 이후, 합성수지로 코팅된 와이어를 처음 360도 꼬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360도 회전시키면서 합성수지 용융점 이하로 가열된 원통에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를 거쳐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용융점 이하로 가열된 원통에 나선형으로 감는 이유는 용융점 이하의 온도여야만 나선형 서스펜션(10)의 합성수지가 제자리를 잡고, 부드러우면서 무리 없이 감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금속 와이어(11)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합성수지가 나선형 서스펜션(10)의 안쪽 변형이 크게 되어 변형이 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나선형 금속 와이어(11)는 강철와이어, 구리와이어, 알미늄와이어, 아연도금와이어, 스테인리스강와이어 및 합금와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나선형 금속 와이어(11)의 단면적은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 전체 단면적의 50%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단면적이 50% 미만이면 케이블(3) 지지에 문제가 발생하고, 피복의 무게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고, 금속 와이어(11)가 전체 비율에 비해 가늘기 때문에 약해지기 때문에 50% 이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합성수지를 2차 코팅하여 이루어진 피복의 모양은 원형, 반달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은 신장시 영구변형으로 30배 내지 80배 증가되도록 1미터당 200회 이상의 회전이 되도록 나선형 모양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200회 이하일 경우에는 나선형 서스펜션(10)의 간격이 벌어지기 때문에 200회 이상의 회전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10)은 케이블(3)의 가설 단순화와 가설 후 안정된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나선형 서스펜션
11: 와이어
12: 합성수지 피복부

Claims (8)

  1. 금속 와이어의 표면을 합성수지가 피복이 잘 되도록 초음파 세척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제조하고자 하는 나선형 서스펜션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2πR의 길이를 1피치로 하여 각 주기마다 미리 360도 회전시켜 꼬는 단계;
    이어서 금속 와이어 표면에 합성수지를 1차 코팅하는 단계;
    이후 금속 와이어를 건조하는 단계; 및
    이어서 압출기에 1차 코팅된 금속 와이어를 직선으로 공급하고, 금속 와이어를 중심이 되도록하여 외경에 합성수지 피복부를 2차 코팅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를 2차 코팅하는 단계 이후,
    합성수지로 코팅된 와이어를 처음 360도 꼬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360도 회전시키면서 합성수지 용융점 이하로 가열된 원통에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는,
    강철와이어, 구리와이어, 알미늄와이어, 아연도금와이어, 스테인리스강와이어 및 합금와이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의 단면적은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전체 단면적의 50% 이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를 2차 코팅하여 이루어진 피복의 모양은 원형, 반달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은,
    신장시 영구변형으로 30배 내지 80배 증가되도록 1미터당 200회 이상의 회전이 되도록 나선형 모양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 또는 2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을 제공하되, 나선형 서스펜션의 신장시의 길이가 비 신장시의 길이보다 30배 내지 80배 증가되고, 신장시 영구변형으로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KR1020180086271A 2018-07-24 2018-07-24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1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71A KR20200011327A (ko) 2018-07-24 2018-07-24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271A KR20200011327A (ko) 2018-07-24 2018-07-24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327A true KR20200011327A (ko) 2020-02-03

Family

ID=6962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271A KR20200011327A (ko) 2018-07-24 2018-07-24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13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7B1 (ko) 2011-05-09 2012-11-07 박귀현 통신케이블용 서스펜션
KR101206886B1 (ko) 2011-08-22 2012-11-30 박귀현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57B1 (ko) 2011-05-09 2012-11-07 박귀현 통신케이블용 서스펜션
KR101206886B1 (ko) 2011-08-22 2012-11-30 박귀현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4049B2 (en) Carbon fiber based tubing encapsulated cable
US2744707A (en) Helically-preformed lashing for connecting cables to messenger strands
NZ218471A (en) Cable vibration dampener
KR101066376B1 (ko) 접지선 합사 장치
CN110518514A (zh) 一种自锁自卷式保护套管
JP2005168284A (ja) 螺旋状支持具およびその架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敷設方法
KR20200011327A (ko) 케이블 지지용 나선형 서스펜션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23352A1 (en) Carbon fiber based tubing encapsulated cable
KR100653387B1 (ko) 케이블 가설공법 및 케이블 가설용 코일
US20190386410A1 (en) Composite core conductor compression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same
RU2656852C1 (ru) Спиральный зажим
JP200829263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方法
JP4439458B2 (ja) 螺旋状ケーブル支持具およびケーブル通線方法
KR101229889B1 (ko) 인입선 행거
JP3360010B2 (ja) 合成樹脂線のコイル状ケーブルハンガー及び その製造方法
JP2006238544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CN202856260U (zh) 一种针织自卷式套管
JP3069725U (ja) ワイヤ―コイル
CN213424662U (zh) 户外高韧性通信线束
JPH1198630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保護リング
CN208781594U (zh) 一种用于地质勘探的定位电缆
RU51275U1 (ru) Каб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арианты)
US20160035460A1 (en) Anti-twist cable
JP2002017028A (ja) 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2019062707A (ja) 鳥害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