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40A - 접철식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접철식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40A
KR20010089440A KR1020017005950A KR20017005950A KR20010089440A KR 20010089440 A KR20010089440 A KR 20010089440A KR 1020017005950 A KR1020017005950 A KR 1020017005950A KR 20017005950 A KR20017005950 A KR 20017005950A KR 20010089440 A KR20010089440 A KR 2001008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ruts
folding
foldabl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103B1 (ko
Inventor
아멘트에두아르트
에흐렌베르거마리나
질홀거
슈파레르헤닝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8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장치(13)에 관한 것이다. 이 분리 장치에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분리 그물망 또는 분리 격자(14)가 포함된다. 이 분리 그물망(14)의 2개의 에지(16, 17) 각각에는 보강 지주(19, 21)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이 에지는 평행하게 연장한다. 이들 2개의 보강 지주중 하나(19)는 차량의 지붕 아래에서 분리 장치(1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나머지 보강 지주(21)는 예컨대 뒤좌석 등받이 또는 화물 적재실의 바닥부에, 그리고 지붕 라이닝에서 소정 거리에 고정된다. 2개의 보강 지주(19, 21)은 각각 힌지(30)를 구비한다. 따라서, 분리 장치(13)는 그 폭을 따라 접혀질 수 있고, 다음에 감길 수 있다. 이 분리 장치(13)에 마련된 주머니의 형태의 포장 장치(95, 96)는 접혀진 분리 장치(13)를 포장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분리 장치{FOLDABLE SEPARATING DEVICE}
독일 특허출원 공개 제DE-A-197 30 801호에는 승용차의 화물 적재 공간을 승객실 자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간단한 안전 그물망이 개시되어 있다. 이 안전 그물망은 뒷좌석 등받이의 상부 에지 또는 앞좌석 등받이와 지붕 라이닝 사이에 경계를 이루는 공간의 전면에 전개되어 있다. 사고시에 이 공간을 통해 물건이 화물 적재 공간으로부터 승객실로 내던져지며, 여기에서 승객을 다치게 한다. 이를 피하는 것이 공지된 안전 그물망에 대한 목적이다.
공지된 안전 그물망에는 그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각각에 연속하는 튜브 모양의 지주(支柱)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지주는 측방으로 변위 가능한 고정 부재에 의해 이에 대응하는 차체의 T자홈 형태의 현수 주머니내에 현수되는 반면에, 튜브 모양의 하부 지주는 간단한 밴드에 의해 차체 바닥에 고정된다. 이러한 공지된 안전 그물망의 장점은 하우징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점에 있다.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안전 그물망은 양쪽 지주 중 하나에 감기며, 이에 대응하여 공간을 덜 차지할 수 있다. 지주가 너무 길기 때문에, 이것을 차량 자체에 포장해 두기에는 확실히 어려움만 존재할 뿐이고,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빈번하게 차고에 보관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지 않는 때에도 자동차에 쉽게보관할 수 있는 간단한 안전 그물망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가진 분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신규한 탈착식 분리 장치는 상부 지주와 하부 지주를 사용하며, 이들 지주 사이에는 사용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지주와 결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전개 불가능한 표면 구조물이 연장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 공간 요구를 더욱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지주는 그 유효 길이에 있어서 적어도 최대 길이의 30% 정도가 단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분리 장치의 감긴 꾸러미는 길이가 더욱 짧아져서 화물 공간에 별다른 문제없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유효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한 간단한 조치는 지주를 적어도 1회 접을 수 있게 만드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 지주 각각은 힌지 축을 가진 힌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각각의 지주는 2개의 지주부로 분할된다.
유효 길이의 최대 감소는 개개 지주의 지주부가 동일한 길이로 되는 경우에 달성된다.
표면 구조물을 접혀진 지주부에 감는 동안에, 이 표면 구조물에 어떤 장력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 전개된 분리 장치의 경우 서로에 대해 평행한 2개의 지주에 직각을 이루는 2개의 힌지 축이 일직선으로 위치하는 방식으로 힌지 축이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물건이 분리 장치를 향해 적재 공간으로부터 내던져지는 충돌 사고의 경우에, 지주가 가능한 한 큰 저항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위해, 힌지 축은 분리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며, 다시 말해서 힌지 축은 차량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더군다나, 접을 때 지주부가 서로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바로 유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개개의 힌지에 인접하는 지주부에 대하여 힌지 축을 오프셋 상태로 배열하는 것이 적합하다.
힌지 근처에서 클램핑 또는 찌그러지는 위험을 배제하기 위해, 오프셋은 큰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지주부가 힌지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서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 1.5 ∼ 2 ㎝ 의 틈새가 힌지 근처에 유지된다.
이 장치는 힌지가 단지 하나의 힌지 축만을 가진 간단한 힌지인 경우에 매우 튼튼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힌지는 가장 간단한 경우에 힌지 볼트에 의해 서로 풀릴 수 없게 결합되는 2개의 힌지 누름판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힌지 누름판은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에 의해 힌지 누름판은 각각의 지주부와 단단하면서도 확실하게 결합된다. 이 연장부는 어떤 위치에서 힌지 누름판이 일직선으로 위치하는 그런 방식으로 힌지 누름판에 정렬되며, 이 힌지 누름판은 힌지 축에 대해, 보다 적합하게는 힌지 축에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서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힌지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는 경우에, 분리 장치의 조작은 실질적으로 단순화된다. 이에 의해 지주부로 구성되는 지주가 자체의 측면 수용부에 쉽게 현가될 수 있는 견고한 연속 지주처럼 조작될 수 있다. 잠금 기구는 걸어맞춤식 잠금 기구 또는 맞물림식 잠금 기구이다. 잠금 작용이 일어나는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지주가 최대로 신장된 위치이다.
힌지 누름판에는 잠금 작용을 위해 잠금 위치에서 서로 정렬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잠금 작용을 위해 구멍 속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볼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트는 스프링에 의해 전진 위치 쪽으로 예비 응력을 받으며, 그 결과 원하는 신장 위치에 도달한 경우 잠금 작용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볼트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2개의 힌지 누름판 중의 하나의 영역에서 지지되어 볼트를 2개의 구멍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반대로 미는 역할을 하는 작동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지주부가 끼워넣어지는 연장부로의 전이점에서 힌지 누름판의 버클링 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힌지 누름판에는 연장부 속으로 연장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 연장된 지주에 있어서 지주부가 서로 일직선으로 연장하도록, 각각의 힌지 누름판의 연장부는 약간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은 양쪽의 힌지 누름판에서 동일한 물리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단지 한가지 종류의 힌지 누름판이 힌지를 구성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의해, 제조 기술에 따른 비용은 단지 하나의 공구만이 힌지 누름판의 프레싱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간소하게 된다.
힌지 누름판을 지주부와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힌지 누름판은 그 에지에 톱니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 리세스 또는 노치를 구비한다.
힌지와 잠금 장치를 오염 물질의 침투로부터 보호하고, 탄성 부품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힌지 누름판에는 조개 껍데기 형상의 덮개가 배치된다.
지주부가 튜브 형상인 경우에, 지주는 가벼운 중량에도 굴곡에 대한 매우 높은 저항을 확보하게 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각각의 지주부는 힌지 근처에서 단면에 있어서 편평하게 변한 원통형 튜브이며, 계란형 단면 형상을 취하는 편평하게 변한 부분에 연장부가 삽입된다.
힌지 누름판의 연장부 상에 각각의 지주부가 축 방향으로 고정되며, 이때 지주부가 연장부 상으로 코킹되며, 이 과정에서 지주부의 재료는 각각의 힌지 누름판의 에지측 리세스 속으로 압입된다.
지주부는 에너지 소모성 변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충돌 사고의 경우 표면 구조물에 걸리는 최대 부하는 감소하게 된다.
이 표면 구조물은 그물망 또는 천공된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 또는 지주부는 조작의 단순화를 위해 표면 구조물에 비틀림이 일어나지 않게 고정된다. 게다가, 단순한 조작이라는 의미는 지주부가 여전히 표면 구조물에 변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표면 구조물이 각각의 힌지 영역에서 리세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함께 접힐 때 표면 구조물의 클램핑 및 간단한 제조 가능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는 고정 장치에 배치되며, 이 고정 장치는 분리 장치를 포장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고정 장치는 분리 장치가 풀리거나 전개되는 어떠한 위험도 없이 콤팩트한 유닛으로서 조작될 수 있다.
이 포장 장치는 분리 장치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주머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주머니는 2개의 유연한 주머니 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이들 벽 각각은 2개의 지주 중 하나의 지주부를 따라 연장하고, 해당 지주부의 영역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분리 장치가 2개의 지주를 함께 접은 후에 2개의 접힌 지주 중 하나에 대해 풀리는 경우에 완전한 주머니가 생기게 된다. 주머니 벽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주머니로부터 감김 상태의 풀림이 방지된다.
2개의 주머니 벽은 항상 파스너의 일부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들 벽이 고정되는 각각의 지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이다. 포장 위치에서는 이러한 2개의 에지가 인접하게 되며, 이에 의해 지퍼 파스너가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의 안정성은 분리 장치가 표면 구조물의 에지에 제공된 2개의 지주에 추가하여 2개의 에지측 지주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3 지주를 구비하는 경우에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점은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도면에 본 발명의 주제에 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도 1은 자동차의 지붕과 뒤좌석 등받이 사이에 전개된 분리 장치를 일부 파단한 차체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분리 장치의 지주의 중간 힌지를 힌지 축에 대해 평행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중간 힌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힌지의 힌지 누름판을 도시한 평면도 및 도 4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따른 힌지의 잠금 볼트에 예비 응력을 걸기 위한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따른 분리 장치의 지주부의 힌지측 단부를 파단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지주와 이에 대응하는 힌지 누름판의 조립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분리 장치의 상부 지주의 에너지 소모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따른 분리 장치의 다양한 조작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스테이션 웨건(station wagon)의 후방 영역(1)을 파단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후방 영역(1)은 파단된 좌측 후방 윈도우를 보았을 때 다소 입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후방 영역은 2개의 C-칼럼(3)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되고 있는 지붕(2)을 구비한다. 이 C-칼럼(3)의 앞에는 후방 측면 윈도우(5)가 지붕(2) 아래 및 측벽(4) 위에 위치하는 반면에, C-칼럼(3)의 뒤에는 다른 후방 측면 위도우(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측면 윈도우(5, 6)는 후방 영역(1)의 좌측면에 거울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후방 영역(1)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화물 적재면(7)에 의해 하부에서 폐쇄된다.
2개의 후방 측면 윈도우(5) 사이에는 뒤좌석 등받이(9)가 C-칼럼의 높이에위치하며, 배면(11)을 가진 뒤좌석 등받이(9)는 대략 C-칼럼(3) 사이에 위치한다.
지붕(2)의 하부 에지와 뒤좌석 등받이(9)의 상부 에지 사이에는, 뒤좌석 등받이(9) 앞에 있는 승객 공간이 뒤좌석 등받이 뒤에 있는 후방 영역(1)의 화물 적재 공간과 연통하는 공간(12)이 위치한다.
충돌 사고시에 물건이 후방 영역(1)으로부터 승객 공간으로 내던져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공간(12)은 분리 장치(13)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이 분리 장치(13)는 사다리꼴로 재단된 분리 그물망(14)의 형태인 표면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 그물망은 측방으로 경계 벽(15)에 의해 테두리를 형성하고, 이 그물망의 상부 및 하부 에지 각각에는 재봉되고 용접된 튜브 형상의 루프(16, 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루프(16)를 통해 지주(19)가 지나가며, 이 루프(16) 내측에서 지주(19)가 회전하거나 지주(19)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19)는 예컨대 도시 생략한 리벳에 의해 루프(16)와 추가로 결합된다.
이와 유사한 결합이 하부 지주(21)와 하부 루프(17)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다시 말해서 지주(21)는 루프(17) 내측에서 회전되거나 변위될 수가 없다.
지주(19)는 형상은 튜브 모양이고, 그 외측 단부에 에너지 소모성 요소(22)를 구비하며, 이 요소의 구성은 도 9에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에너지 소모성 요소(22)의 단부측에는 버섯 모양의 헤드(24)를 가진 고정 부재(23)가 돌출되어 있다. 이 버섯 모양의 헤드(24)에 의해 고정 부재(23)가 차체의 T자홈(25)에 수용된다.
지주(21)의 하부 에지는 2개의 인장 밴드(26)와 통상 생각할 수 있는 후크에의해 뒤좌석 등받이(9)의 배면(11)에 장착되어 있는 고리쇠(27)에 고정된다. 이 인장 밴드(26)는 제한적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 지주(19, 21)는 그 유효 길이에 있어서 축소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주(19) 뿐만 아니라 지주(21)는 중간 힌지(30)를 구비하며, 이 중간 힌지는 예컨대 지주(19)를 좌측 지주부(31)와 우측 지주부(32)로 분할한다. 이와 유사하게, 지주(21)도 중간 힌지(30)에 의해 좌우측 지주부(33, 34)로 분할된다.
힌지(30)의 구성 및 튜브 모양의 지주부(31-34)와의 결합 관계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힌지(30)는 판상으로 스탬핑된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2개의 동일한 힌지 누름판(35a, 35b) 뿐만 아니라 거의 동일한 2개의 조개 껍데기 모양의 힌지 덮개(36a, 36b)를 포함한다.
이 힌지 누름판(35a)은 서로 평행한 2개의 평탄면(38, 39)을 가진 판상의 누름부(37)와, 이 누름부로부터 단일 부품 형태로 연장하는 연장부(41)를 구비한다.
이 연장부(41)의 두께는 누름부(37)의 두께와 동일하고, 이 누름부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탄면(42) 및 이와 평행한 평탄면(43)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이 누름부(37)는 평면도로 보면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복수개의 둥근 모서리를 가진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 편평한 누름부(37)에서 연장부(41)로의 전이점에서는 절곡부(44)가 힌지 누름판(35a)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절곡부(44)는 연장부(41)의 평탄면(42, 43) 사이의 중간 판이 평탄면(37)과 높이가 동일한 그런 깊이를 가진다.
이 외에도, 연장부(41)는 예컨대 평탄면(37)에 의해 형성되는 어떤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누름부(37)와 연장부(41) 사이의 전이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44)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누름부(37)에 있고, 타단부가 연장부(41)에 위치하는 긴 계란형의 비드(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비드(45)는 평탄면(39, 43)으로부터 상승하는, 다시 말해서 일측면에서 오목한 그런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 일측면에는 연장부(41)가 절곡부(44)에 의하여 평탄면(38)에 대하여 융기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 관계는 도 5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다.
이 절곡부에 의하여, 2개의 동일한 힌지 누름판(35a, 35b)은 그 평탄면(38)에서 맞접촉될 수 있는 반면에, 해당 연장부(41)는 그때 공통의 평면에 위치하는, 즉 2개의 평탄면(38)이 서로 접촉하는 분리면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오프셋량을 가진다.
연장부(41)는 마주보는 에지에 대략 톱니 모양으로 형성된 모두 4개의 노치 또는 절개부(46)를 구비하며, 이 절개부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련 지주부(31-3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누름부(37)에는 2개의 원통형 구멍(47, 48) 뿐만 아니라 나사진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7)은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부(41)에 대하여 확실하게 오프셋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47)은 힌지(30)를 장착하는 경우에 힌지 볼트(51)가 통과하는 힌지 구멍을 형성하며, 이 볼트의 양 측면에는 폐쇄 헤드 또는 리벳 헤드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따른 조립 상태에서,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은 그 평탄면(38)에 의해 서로 접촉하고, 힌지 구멍(47)의 영역에서 힌지 볼트(5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그렇지 않는 경우 견고하게 서로 결합된다. 힌지 볼트(51)로 인하여,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은 평탄면(38)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회전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2개의 평탄면(39)은 힌지(30)가 리벳팅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한다.
힌지 덮개(36a, 36b)는 조개 껍데기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부(52)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부 상에는 무한으로 순환하는 측벽(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53)의 윤곽선은 주로 누름부(37)의 외측 윤곽선을 따르며, 이때 측벽(53)은 절곡부(44)의 영역에서 직선 측벽(54)으로 형성된다.
측벽(53)은 바닥부(52)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자유 에지에 오프셋(55)을 가지며, 이 오프셋과 함께 측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37)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직선 측벽(54)은 바닥부(52)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자유 에지와 함께 절곡부(44)의 영역에서 평탄면(43, 39)의 윤곽선을 따른다. 따라서, 누름부(37)는 장착된 상태에서 덮개(36)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에, 연장부(41)는 측벽(54) 밖으로 돌출한다.
바닥부(52)에는 원통형 연장부(56)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의 축 방향 길이는 연장부(56)가 평탄면(39)에 안착하고, 이와 동일하게 오프셋(55)이 평탄면(39)에 부딪히도록 정해진다. 이 연장부(56)에는 덮개(36)의 외측면에서 원추형 함몰부(58)로 변하는 관통구(57)가 존재한다. 이렇게 얻어진 원추형 구멍을 통해나사진 구멍(49) 속으로 나사 결합되는 접시머리 나사(59)가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덮개(36)는 해당 누름판(35a, 35b)에 고정된다.
덮개(36b)에는 구멍(57)에 추가하여 이 덮개(36b)의 내측면에 짧은 원통형 칼라(62)에 의해 둘러싸인 다른 원통형 구멍(61)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61)은 덮개(36b)를 장착했을 경우 원통형 구멍(48)과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이 원통형 구멍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구멍(47)의 상측에 위치하며, 다시 말해서 2개의 연장부(41)가 서로에 대해 연장한 상태에 있는 그런 평면에 위치하며, 이때 원통형 구멍(4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덮혀지게 된다.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의 구멍(48)은 원통형 잠금 볼트(53)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 볼트는 구멍(48) 속에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판 스프링(64)에 의해, 잠금 볼트(63)는 구멍(61)의 방향으로 예비 응력을 받는다. 잠금 볼트(63)의 길이는 누름부(37)의 두께의 2배와 대략 동일하다.
힌지 볼트(63)를 잠금 해제 위치에 두기 위해, 원통형 샤프트(66) 및 작동 헤드(67)로 구성된 잠금 해제 단추(65)가 존재한다. 원통형 구멍(61)에 있는 잠금 해제 단추는 원통형 샤프트(66)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 샤프트(66)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 스프링 디스크(68)에 의해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판 스프링(64)은 외향 측면(39) 상에 위치한다. 이 스프링은 도 6에서는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잠금 볼트(63)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 아암(69)을 구비한만곡 진행부를 구비한다. 이와 마주보는 단부에서 판 스프링(64)은 고정 고리부(71)로 변하며, 이 고리부는 조립시 나사진 구멍(49) 상에 놓여지고 나서, 누름부(37)와 해당 덮개(36)의 연장부(56) 사이에 클램핑된다.
판 스프링(64)의 외측 윤곽선은 실질적으로 덮개(36)의 내측 윤곽선을 따르며, 그 결과 판 스프링(64)은 평탄면(39) 상에서 비틀릴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판 스프링의 심하게 접혀진 영역(72)이 직선 측벽(54)의 내측면에 부딪힌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 단부(69)가 항상 잠금 볼트(63)에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힌지(30)의 조립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2개의 동일한 힌지 누름판(35)은 그 평탄면(38)이 접촉하도록 서로 배치된다. 이 평탄면(38)은 절곡부(44)에 대하여 눌려진 측면이다. 상호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힌지 구멍(47)을 통해 힌지 볼트(51)가 삽입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리벳팅된다. 따라서,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은 유격없이 서로 결합되어, 힌지 구멍(47)의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축에 대하여 서로 선회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2에서 좌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힌지 누름판(35) 상에는 판 스프링(64)이 배치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부(71)가 나사진 구멍(49)과 일치하는 반면에, 자유 아암(69)은 구멍(48)을 덮는 위치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해당 덮개(36)는 대응하는 나사(59)에 의해 나사 결합되며, 이 과정에서 판 스프링(64)은 동시에 해당 힌지 누름판(35) 상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은 구멍(48)이 서로에 대해 정렬 상태로 되는 위치에 있게 되며, 그 결과 잠금 볼트(63)가 그 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이와 유사하게 다른 덮개(36b)도 여전히 자유 상태인 힌지 누름판(35b) 상에 고정된다. 이에 앞서, 잠금 해제 단추(65)가 삽입되기도 하고, 맞물림 스프링 디스크(68)에 의해 고정된다.
잠금 해제 단추(65)를 가압함으로써 잠금 볼트(63)가 힌지 누름판(35b)의 구멍(48)으로부터 밀려 나오며, 이 과정에서 샤프트(66)는 동시에 구멍(48) 속으로 전진한다. 잠금 해제 단추(65)가 충분하게 가압됨과 동시에, 그 작동 단추(67)가 덮개(36)의 정지부에 위치할 때까지, 잠금 볼트(63)는 판 스프링(64)의 작용에 반발하여 충분하게 반대로 가압되며, 그 결과 잠금 볼트는 더 이상 힌지 누름판(35b)의 구멍(48)에서 돌출하지 않는다.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은 단지 서로에 대해서만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이해 짧은 선회 운동 후에 잠금 해제 단추(65)는 어떤 새로운 잠금을 유발하지 않고 해제될 수 있다. 짧은 선회 경로 다음에는, 지금은 단지 힌지 누름판(35)의 구멍(48) 속에만 존재하고 있는 잠금 볼트(63)에 대향하여 다른 힌지 누름판(35)의 평탄면(38)이 위치한다. 따라서, 2개의 힌지 누름판(35a, 35b)의 선회는 항상 서로에 대해 가능하게 된다.
힌지 누름판이 다시 선회해서 2개의 연장부(41)가 서로에 대해 연장하는 위치에 복귀함과 동시에, 2개의 잠금 구멍(48)은 다시 서로 덮혀져서, 판 스프링(64)이 힌지(30)를 연장 위치에서 막기 위해 도 2에 따른 위치로 잠금 볼트(63)를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잠금 볼트(63)는 잠금 해제 단추(65)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낙하하지 못하게되며, 이때 단추의 맞물림 스프링 디스크(68)는 칼라(62)의 자유 단부에 접촉한다.
지주부(31-34) 각각은 둥근 단면을 가진 대응하는 긴 금속 튜브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단부에서 나중에 힌지(30)와 지주부(31-34)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 우선 원통형 튜브는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정해진 길이의 영역(73)에 걸쳐 홈(45)에 대한 수용을 위해 융기부(74)가 긴 계란형 단면에 생기도록 새로운 모양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부(31-34)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그 길이 방향의 연장부에 대해 직각인 절단면에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연장부(41)의 길이 보다 약간 더 긴 길이에 걸쳐 해당 연장부(41)의 단면에 대응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30)의 결합은 해당 지주부(31-34)가 그 단부(73)와 함께 힌지 누름판(35)의 대응하는 연장부(41)의 전방으로 삽입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지주부(31-34) 속으로 노치(75)가 압입되며, 이를 위해 지주(31-34)의 벽 재료에는 톱니 모양의 노치(46)가 새겨져 있다. 따라서, 힌지 스트립(35)와 해당 지주부(31-34) 사이의 결합이 유격없이 높은 장력에 견디게 된다. 지주부(31-34)의 결합은 힌지(30)의 조립 전(前)에 또는 후(後)에 이루어질 수 있다.
완전함을 위해 에너지 소모성 요소(22)가 간략하게 설명되지만, 이는 독일 특허출원 공개 제DE-A-43 36 380호에 기능적으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소모성 요소(22)는 튜브 모양의 플라스틱 슬리브(81)를 구비하며, 이 슬리브 속에 고정 부재(23)의 원통형 샤프트(82)가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삽입된다. 이 샤프트(82)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다수의 누름판(83, 84)이 압착되며, 이 누름판은 슬리브(81)의 원통형 구멍(88)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긴 홈(86, 87)에서 주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주부인 샤프트(32)가 슬리브(81) 속에서 비틀릴 수 없다. 구멍(88) 속에 있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89)은 한편으로는 쌍방 높이가 동일한 2개의 누름판(83, 84)에 지지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고 홈에 의해 2개의 지주부(31, 32)에 고정되는 링(91)에 지지된다.
압축 스프링(89)에 의해 고정 부재(23)가 외측으로 밀려서 누름판(85)이 링(91)의 후면에 접촉하는 전진 위치에 있게 된다.
하부 루프(17)의 영역에서는, 여전히 2개의 호일 컷아웃(95, 96)이 분리 그물망(14)에 추가적으로 재봉되며, 그 자유 에지(97, 98) 각각에는 지퍼 파스너의 일부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컷아웃(95, 96)은 사용되지 않는 분리 장치를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주머니의 측벽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장치(13)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 분리 장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개의 힌지(30)는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며, 이 위치는 연장부(41) 및 이를 구비한 지주부(31-34) 각각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해당 연장부(41) 및 지주부(31-34)의 연장선 상에 있다. 힌지(30)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선회 위치에 잠금 볼트(63)가 스냅핑되어 힌지(30)의 버클링을 방지한다.
사용 위치에서는, 상부 힌지(30) 뿐만 아니라 하부 힌지(30)의 힌지볼트(51)의 축은 자동차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사용 위치에서 충돌 사고시 물건이 화물 적재 공간으로부터 분리 그물망(14)을 향해 내던져지는 경우, 그 물건은 분리 그물망(14)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상하부 지주(19, 21)는 버클링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조인트(30)의 영역에서 최대 버클링력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2개의 힌지 누름판(35)이 누름부(37)를 통해 서로 평탄하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30)는 상대적으로 큰 버클링력을 견뎌낼 수 있다. 게다가, 누름부(37)와 연장부(41) 사이의 전이점은 비드(45)에 의해 보강되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 영역에서 안정성이 생기며, 이 안정성은 지주부(31-34)의 치수를 가지는 연속 강철제 튜브의 안정성에 상응한다.
분리 장치(13)가 필요없게 되는 경우, 이의 분리를 위해, 우선 하부 인장 밴드(26)가 그 후크에 의해 고리쇠(27)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나서, 상부 지주가 그 고정 부재(23)에 의해 T자홈(2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제, 분리 장치(13)는 자동차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자동차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도 10에 따른 모습이 생긴다. 사용자는 이제 잠금 해제 단추(65)를 가압하면서 예컨대 하부 지주(21)의 힌지(30)를 우선적으로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힌지(30)는 충분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 상태로되어 접혀질 수 있다. 도 11에는 초기 접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과정은 힌지(30)의 잠금 해제 단추(65)를 이용하여 상부 지주(19)에서 반복된다. 확실히, 상부 지주(19)가 완전하게 함께 접히는 경우, 그 양쪽 지주부(31, 32)는 힌지(30)로부터 이격된 단부의 영역에서, 예컨대 버섯 모양의 헤드(24)에서 충돌하게 된다. 분리 그물망(14)의 치수에 따르면, 양쪽 하부 지주(33, 34)도 이러한 접힘 운동을 따른다.
힌지(30)의 축이 분리 그물망(14)의 전개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그렇지 않는 경우 지주(19)가 그물망(14)과 비틀리지 않게 결합되기 때문에, 이 지주는 완전한 접힘을 위해 힌지(30)의 축이 조작시 느슨하게 현수된 분리 그물망(14)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할 때까지 약 90°정도 회전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지주(19)와 함께 접는 것은 분리 그물망(14)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접혀진 상태에서, 2개의 지주부(31, 32)는 힌지 바로 근처에서 소정 간격을 가지며, 이 간격은 심지어 엄지를 제외한 강한 손가락의 직경에 상당하는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찌그러질 위험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간격은 연장부(41)에 대하여 힌지 구멍(47)이 측방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얻어진다.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라면, 그때 하부 지주(21)는 유사한 방식으로 완전하게 함께 접혀진다. 그리고 나서, 함께 접혀진 상부 지주(19)에서 출발하는 분리 그물망(14)이 그 상부 지주(19) 상에 감기며, 이렇게 최종적으로 감긴 부분이 함께 접혀진 지주(21)에 도달할 때까지 감긴다.
하부 지주(21)가 접혀 있기 때문에, 그 양쪽 컷아웃(95, 96)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더욱 세부적으로는 분리 그물망(14)으로부터 얻어진 감긴 부분의 외측면에, 구체적으로는 이 얻어진 감긴 부분의 양측면에 연장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제, 자유 에지(96, 97)에 고정되어 있는 지퍼 파스너가 폐쇄되며, 이에 의해 감긴 부분이 그렇게 형성된 주머니 속에 확실하게 포위된다. 임의의 전개는 지퍼 파스너와 결합된 컷아웃(95, 96)에 의해 방해되며, 이 컷아웃은 주머니의 측벽을 형성한다. 얻어진 주머니는 바닥부가 없기 때문에 완전한 포켓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주머니는 주로 감긴 부분이 펼쳐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지주(19, 21)의 유효 길이는 접힘에 의해 반으로 감소되며, 이에 의해 최종 감긴 부분은 전개된 안전 그물망(14)의 폭에 상당하는 것보다 확실히 더 짧은 길이를 가진다. 함께 접혀져서 감긴 분리 그물망(14)은 이제 자동차의 내부에 바로 장착될 수 있다.
힌지(30)의 영역에서 분리 그물망(1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분리 그물망(14)에는 힌지(30)의 주변에 리세스(98)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벗어난 상태에서도, 단부측 루프(16, 17)에 제공된 지주(19, 21)에 추가하여 제3 지주를 이용한 가능성도 역시 있으며, 이 제3 지주는 대략 중간에서 연장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 지주(19, 21)와 그대로 닮은 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지주는 분리 장치(13)의 안정성에 추가로 기여하기 위해 자동차의 정지 수단과 함께 연동할 수 있다.
분리 장치 중에는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분리 그물망 또는 분리 격자가 속한다.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분리 그물망의 2개의 에지에는 각각 보강 지주가 제공된다. 2개의 보강 지주 중 하나는 자동차 지붕의 아래에서 분리 그물망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에, 다른 하나의 보강 지주는 지붕 라이닝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예컨대 뒤좌석 등받이 또는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부 상에 고정된다. 이2개의 보강 지주는 각각 지주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장치는 폭에 맞춰 함께 접혀지고 나서, 그 위에 감겨진다. 분리 장치에 제공된 주머니의 형태의 포장 장치는 접혀진 분리 그물망을 포장 위치에 고정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41)

  1. 자동차에 있어서 화물 적재 공간을 승객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공된 접철식 분리 장치(13)로서,
    자동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유효 길이가 적어도 최대 길이의 30% 이상 단축될 수 있는 상부 지주(19)와,
    자동차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유효 길이가 적어도 최대 길이의 30% 이상 단축될 수 있는 하부 지주(21)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주(19, 21)에 고정되는 실질적으로 신장 불가능한 유연한 표면 구조물(14)을 구비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주(19, 21)는 그 유효 길이의 단축을 위해 1회 이상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지주(19, 21)는 그 유효 길이의 단축을 위해 하나 이상의 힌지 축(51)를 갖추고 상기 각각의 지주(19, 21)가 지주부(31-34)로 분할되는 힌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주(19, 21)의 힌지(30)에 있어서, 양쪽 지주부(31-34)는 각각의 지주(19, 21)와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상기 분리 장치(13)가 장착된 경우에 서로 평행한 2개의 지주(19, 21)에 직각을 이루는 양쪽 힌지(30)가 일직선으로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51)은 상기 분리 장치(13)가 장착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30)에 인접한 지주부(31-34)는 상기 지주(19, 21)가 접힌 경우에 그 지주부(31-34)가 적어도 상호 평행한 위치로 될 수 있는 방식으로 힌지 축(5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30)에 인접한 지주부(31-34)는 상기 지주(19, 21)가 접힌 경우에 그 지주부(31-34)는 힌지(3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지주부(31-34)의 단부가 상호 부딪힐 때 힌지(30) 근처에 소정 간격을 서로 가지는 방식으로 힌지 축(51)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 근처에서의 간격은 1.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단 하나의 힌지 축(51)을 가진 단순한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힌지 볼트(51)에 의해 서로 해제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힌지 누름판(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 누름판(35)은 상기 각각의 지주부(31-34)가 고정되는 연장부(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누름판(35)의 연장부(41)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힌지(30)의 위치에서, 상기 힌지 축(51)은 연장부(41)에 대하여, 더욱 적절하게는 힌지 축(51)이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서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해제 가능한 맞물림식으로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는 지주(19, 21)의 신장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7. 제11항 및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누름판(35)에는 잠금 위치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구멍(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을 위해 상기 구멍(48) 속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볼트(63)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63)는 스프링(64)에 의해 전진 위치로 예비 응력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63)에는 상기 힌지 누름판(35) 중 하나의 영역에서 지지되는 작동 부재(6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누름판(35)은 보강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41)에서 연장하는 비드(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41)가 힌지 축(51)이 직각을 이루는 공통 평면에서 이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힌지 누름판(35)의 연장부(41)는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 누름판(35)에는 그 에지에 리세스(4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힌지 누름판(35)에는 조개 껍데기 형상의 덮개(3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31-34)는 튜브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31-34)는 원통형 튜브에 의해 형성되며, 이 튜브는 상기 각각의 지주 누름판(35)의 연장부(41)를 수용하기 위해 편평하게 된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31-34)는 그 단부에 의해 연장부(41)에 삽입되며, 이 연장부(41)에 의해 상기 지주부(31-34)의 재료가 각각의 연장부(41)의 에지측 리세스(46)로 변위됨에 따라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31-34)는 에너지 소모성 변형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물(14)은 그물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물(14)은 천공된 호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9, 21)는 상기 표면 구조물(14)에 비틀릴 수 없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9, 21)는 상기 표면 구조물(14)에 변위할 수 없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물(14)에는 각각의 힌지(30)의 영역에서 리세스(98)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를 그 포장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이 분리 장치는 고정 장치(95, 9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95, 96)는 상기 분리 장치(13)가 포장될 확실하게 고정된 주머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2개의 유연한 주머니 벽(95, 96)를 포함하고, 이 주머니 벽에 의해 2개의 지주(21) 중 하나의 지주부(33, 34)를 따라 연장되어 해당 지주부(33, 34)의 영역에서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머니 벽(95, 96)은 지퍼 파스너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물(14)과 결합되고 다른 지주(19, 21)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되는 제3 지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지주(19, 21)는 단부측에 고정 부재(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22)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지주(19)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주(21)는 그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고정 부재(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26)는 밴드 모양 또는 노끈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분리 장치.
KR1020017005950A 1999-09-14 2000-08-30 접철식 분리 장치 KR100584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44003.4 1999-09-14
DE19944003A DE19944003C1 (de) 1999-09-14 1999-09-14 Faltbare Trenn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40A true KR20010089440A (ko) 2001-10-06
KR100584103B1 KR100584103B1 (ko) 2006-05-30

Family

ID=792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950A KR100584103B1 (ko) 1999-09-14 2000-08-30 접철식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5567B1 (ko)
EP (1) EP1128992B1 (ko)
JP (1) JP3623197B2 (ko)
KR (1) KR100584103B1 (ko)
CN (1) CN1144706C (ko)
DE (2) DE19944003C1 (ko)
WO (1) WO2001019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4080C1 (de) * 2000-10-31 2001-11-08 Butz Peter Verwaltung Sicherheitsnetz zur lösbaren Anbringung in einem Fahrzeug
FR2835530B1 (fr) 2002-02-07 2004-04-09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integre de desulfuration d'un effluent de craquage ou de vapocraquage d'hydrocarbures
US7048086B2 (en) * 2002-08-26 2006-05-23 Fujitsu Ten Limited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at collision time
DE10242510B4 (de) * 2002-09-12 2005-12-08 Bos Gmbh & Co. Kg Kfz-Sicherheitseinrichtung, insbesondere Trennnetz
US6962382B2 (en) * 2003-05-23 2005-11-08 David Scarlett Barrier system
US7017965B2 (en) * 2003-08-07 2006-03-28 Bos Gmbh & Co. Kg Motor-vehicle cargo net
DE202004007743U1 (de) * 2004-05-11 2005-09-22 Reum Protec Gmbh Befes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Sicherheitsnetzanordnung zum Schutz des Fahrgastraumes von Kombi-Pkw's
DE202004008488U1 (de) * 2004-05-25 2005-10-06 Reum Protec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ein Sicherheitsnetz
PT2361924E (pt) 2004-09-09 2014-03-13 Teva Pharma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misturas de acetato de glatirâmero trifluoroacetiílico utilizando ácido bromídrico purificado
DE102004050546B4 (de) 2004-10-16 2022-02-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ückhalteeinrichtung für Gepäckstücke in einem Fahrzeug
DE102006034635A1 (de) * 2006-07-27 2008-01-31 Dr.Ing.H.C. F. Porsche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US20080042462A1 (en) * 2006-08-18 2008-02-21 Kevin Scotton Collapsible tubing device for automobile shade
EP2008877A1 (en) * 2007-06-29 2008-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oft cargo net
US20090057637A1 (en) * 2007-08-30 2009-03-05 Galla Paul V Mounting Straps for Barriers
DE102007052228A1 (de) 2007-10-23 2009-06-10 Bos Gmbh & Co. Kg Zusammenlegbare Tren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932750B1 (fr) * 2008-06-18 2012-05-11 Cera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a projection de bagages d'un compartiment a bagages de vehicule automobile
DE202008010747U1 (de) 2008-08-08 2009-12-17 Bos Gmbh & Co. Kg Trenn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US8403615B1 (en) 2008-08-20 2013-03-26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Vehicle lift barrier
US20100244479A1 (en) * 2009-03-25 2010-09-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liding bar assembly for use in cargo storage applications
WO2012117540A1 (ja) * 2011-03-02 2012-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ルーフサイドレールへの部品配設構造
KR20120114995A (ko) * 2011-04-08 2012-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리어 네트 장착 구조
EP2674333B1 (en) 2012-06-11 2014-12-24 Volvo Car Corporation Foldable compartment divider for a vehicle
EP2703533A1 (en) 2012-09-04 2014-03-05 Volvo Car Corporation A cargo net
US8714591B1 (en) * 2013-02-06 2014-05-06 Honda Motor Co., Ltd. Vehicles, net assemblies, and clampers therefor
CN103437924B (zh) * 2013-08-15 2015-06-24 北京动力机械研究所 一种用于多余物防护的半柔性机构
US9676339B2 (en) * 2015-04-01 2017-06-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satile tonneau cover and storage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60339846A1 (en) * 2015-05-18 2016-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argo cover
CN105730349B (zh) * 2016-03-08 2018-10-26 福建省汽车工业集团云度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汽车行李舱阻隔装置
KR101795561B1 (ko) * 2016-07-28 2017-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75B1 (ko) * 2016-07-28 2017-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72B1 (ko) * 2016-07-29 2017-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65B1 (ko) * 2016-07-29 2017-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베리어 네트
CN106627386B (zh) * 2016-09-28 2018-09-14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具有分隔装置的后备箱
DE102017206905A1 (de) 2017-04-25 2018-10-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päckraumabdeckung und Abtrenneinrichtung
US10202093B1 (en) 2017-05-02 2019-02-12 Brian Gethard Barrier for an interior cab of vehicle
DE102018133161A1 (de) 2018-12-20 2020-06-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ückhalteeinrichtung für Gepäckstücke
CN111231883A (zh) * 2020-03-17 2020-06-05 尹立杰 一种车用隔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5997A (en) * 1949-08-09 1951-08-28 Pittsburgh Steel Co Load bracing frame
US2997331A (en) * 1958-02-21 1961-08-22 Donald F Kudner Vehicle guard partition
US2982579A (en) * 1958-03-19 1961-05-02 Sidney D Greenwald Adjustable and removable partitioning device for automobiles
US2998279A (en) * 1959-01-09 1961-08-29 Mateny Henry Vehicle divider
US3044821A (en) * 1959-10-27 1962-07-17 Clarice B Wicker Automobile safety barrier
US3049373A (en) * 1961-04-03 1962-08-14 William C Biggers Safety guard attachment for the tailgate openings of station wagon vehicles
US3789439A (en) * 1972-10-27 1974-02-05 Cross River Prod Inc Foldable and adjustable crib
US4281487A (en) * 1979-08-06 1981-08-04 Koller Karl S Energy absorbing load carrying strut and method of providing such a strut capable of withstanding cyclical loads exceeding its yield strength
US4819300A (en) * 1987-04-13 1989-04-11 Hartwell Corporation Strut assembly
US5215288A (en) * 1991-08-12 1993-06-01 Roadway Express, Inc. Load bar for a variably positioned bulkhead
USD348421S (en) * 1993-02-22 1994-07-05 Dexter Timothy J Truck bed cargo restraining net
DE4336380C2 (de) 1993-10-25 1995-08-10 Baumeister & Ostler Gmbh Co Sicherheitsnetzanordnung
US5427486A (en) * 1994-03-17 1995-06-27 Green; Gerald D. Adjustable load securing device for vehicles
US5542151A (en) * 1995-05-01 1996-08-06 Century Products Company Rotatable bending joint for collapsible playpen
DE19641794A1 (de) * 1995-10-24 1997-04-30 Volkswagen Ag Rückhalteeinrichtung
DE19540934C2 (de) * 1995-11-03 1998-10-29 Opel Adam Ag Trennwand zum variablen Abtrennen eines Ladebereiches eines Kraftfahrzeuges von einem Fahrgastraum
US5730542A (en) * 1997-05-14 1998-03-24 Top Fortune Ltd. Joint for a playen
DE19730801C1 (de) * 1997-07-18 1999-03-25 Baumeister & Ostler Gmbh Co Einfaches Sicherheitsnetz mit Haken zum Einhängen
DE19731326C2 (de) * 1997-07-22 2003-03-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Windschutz für ein Cabriolet
GB9721287D0 (en) * 1997-10-07 1997-12-10 Tomy Uk Ltd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use by babies and young children
US6371342B2 (en) * 1998-07-21 2002-04-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argo reten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007886D1 (de) 2004-10-28
DE19944003C1 (de) 2001-03-22
CN1144706C (zh) 2004-04-07
EP1128992B1 (de) 2004-09-22
JP2003509270A (ja) 2003-03-11
US6595567B1 (en) 2003-07-22
EP1128992A1 (de) 2001-09-05
JP3623197B2 (ja) 2005-02-23
WO2001019649A1 (de) 2001-03-22
CN1321126A (zh) 2001-11-07
KR100584103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103B1 (ko) 접철식 분리 장치
US5295707A (en) Shock absorbing air bag container
US5437474A (en) Safety-net construction, particularly for use in motor vehicles
DE102006017066B4 (de) Volumenfüllende mechanische Struktur
US6488325B1 (en) Luggage compartment cover for a vehicle
US6419268B1 (en) Inflatable airbag module for an airbag unit
EP2008877A1 (en) Soft cargo net
US20060208518A1 (en) Easy-to-use safety net device
KR101621252B1 (ko) 패스너 클립
US5695217A (en) Safety net construction
EP1623887A2 (en) Passenger protecting device
EP1431133B1 (en) Curtain airbag device
JP3704844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KR20030066377A (ko)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JPH06340241A (ja) 自動車のためのガスバッグ拘束装置
EP1621416B1 (en) Airbag unit and case of the unit
DE102014017531A1 (de) Kopfschutz-Airbagvorrichtung
KR20150090120A (ko) 자동차의 격실 섹션을 위한 보호 장치
DE19531304B4 (de) Sicherungsnetz zum Überspannen und Festlegen von Ladegut auf einem Laderaumboden eines Kraftfahrzeugs
US5378013A (en) Cover retainer assembly for inflatable restraint air bag
EP1800938B9 (en) Mounting for a seat belt retractor unit
JP2002347558A (ja) ドア補強部材
EP2674333B1 (en) Foldable compartment divider for a vehicle
JP2607257Y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560758Y2 (ja) 自動車用長尺荷物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