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561B1 - 차량용 베리어 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베리어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61B1
KR101795561B1 KR1020160095853A KR20160095853A KR101795561B1 KR 101795561 B1 KR101795561 B1 KR 101795561B1 KR 1020160095853 A KR1020160095853 A KR 1020160095853A KR 20160095853 A KR20160095853 A KR 20160095853A KR 101795561 B1 KR101795561 B1 KR 10179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inge
locking
protrusion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
오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으로,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한 쌍의 관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한 쌍의 연결부재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하나의 연결부재에 형성되고 록킹홀을 갖는 제1조인트와, 다른 연결부재에 형성되고 관통홀을 갖는 제2조인트와, 관통홀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록킹홀에 끼워져 제1조인트와 제2조인트를 록킹시키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힌지 연결유닛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미 사용시 간편하게 접어서 적재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베리어 네트 {Barrier Ne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공간의 화물이 승객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베리어 네트의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물칸과 승객실이 개방되어 있는 밴형 차량이나 RV 차량은 화물칸의 용적이 크고 필요에 따라 그 용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저용으로 많이 구입하고 있는데, 이러한 밴형 차량에 대하여 국가들마다 안전법규상을 정하여 일정 기준이상의 설치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로 인하여 승객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가 일정속도로 주행하다 급정거나 충돌시 화물칸의 화물이 관성에 의하여 승객실로 넘어오지 않도록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베리어 네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베리어 네트(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을 덮기 위한 망부재(1)와, 이 망부재(1)에 구비되어 망부재(1)를 일정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틀부재(2)와, 틀부재(2)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틀부재(2)를 차량에 대해 지지하기 위하여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에는 지지부재(3)를 차량의 내측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10)는 망부재(1) 가장자리 중 상단부와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가 딱딱한 바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망부재(1)로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 전체를 덮기 위해서는 지지부재(3)도 적재공간의 폭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리어 네트(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베리어 네트(10)를 정리해서 보관해야 하는데, 지지부재(3)가 적재공간의 폭과 같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3)에 망부재(1)를 말아서 지지부재(3)를 적재공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넣어서 보관하거나 외부에 따로 보관해야 하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리어 네트를 차량의 내측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분리한 후에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힌지 연결유닛은, 한 쌍의 관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한 쌍의 연결부재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한 쌍의 연결부재중 하나의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록킹홀이 형성되는 제1조인트와, 다른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록킹홀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조인트와, 관통홀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록킹홀에 끼워져 제1조인트와 제2조인트를 록킹시키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록킹돌기의 상단에는 제2조인트의 관통홀에 끼워진 록킹돌기가 제2조인트의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서되고, 걸림부의 위쪽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가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가 레버를 잡고 돌릴 때, 걸림부의 밑면이 관통홀의 가장자리 윗면에 접촉되어 록킹돌기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조인트의 관통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록킹돌기의 걸림부 밑면에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부는, 한 쌍의 연결부재중 하나의 연결부재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끼움홀이 형성되는 제1힌지 돌출부와, 다른 연결부재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 돌출부와, 제1힌지 돌출부와 제2힌지 돌출부가 겹쳐져서 연통되는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에 끼워지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관통홀은, 록킹돌기의 걸림부가 걸리도록 걸림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록킹홀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록킹돌기는, 제1관통홀에서 제2관통홀 까지 연장 형성되며, 제1관통홀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1록킹돌기와, 제2록킹돌기의 하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관통홀의 하단에는 걸리고, 제2관통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제1록킹돌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록킹홀에 끼워져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제2록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록킹돌기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2록킹돌기가 끼워지는 제1조인트의 록킹홀과 제2조인트의 제2관통홀에는 나선형 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록킹돌기가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힌지 연결유닛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미 사용시 간편하게 접어서 적재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서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연결한 힌지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3의 힌지 연결유닛으로 인하여 지지부재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와 도 7은 도 3의 연결 힌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서 한 쌍의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연결한 연결 힌지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3의 힌지 연결유닛으로 인하여 지지부재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도 3의 연결 힌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100)는, 적재공간에 있는 화물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망부재(110)와, 망부재(1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망부재(110)가 사각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테두리 부재(120)와, 테두리 부재(1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베리어 네트(100)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131)로 구성되는 지지부재(130)와, 한 쌍의 관부재(131)를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 연결유닛(140)을 포함한다.
먼저, 망부재(11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어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을 덮어서 적재공간의 화물이 승객이 타고 있는 시트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테두리 부재(120)는 망부재(110)의 사방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망부재(110)가 사각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망부재(110)의 양측부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지지부재(130)는 망부재(110)의 테두리 부분 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100)를 차량의 적재공간에 지지하여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단한 부재로 형성된다. 이 지지부재(130)는 중공형상이 아닌 중실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량화를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된 관부재(13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힌지 연결유닛(140)에 의해 일자 형태에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힌지 연결유닛(140)은 한 쌍의 관부재(131)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41)와, 한 쌍의 연결부재(141)를 상호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42)와, 한 쌍의 연결부재(141)중 하나의 연결부재(141)에 형성되는 록킹홀(143a)을 갖는 제1조인트(143)와,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에 연통되는 관통홀(144a)이 형성되는 제2조인트(144)와,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회전시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에 끼워지는 록킹돌기(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재(141)는 한 쌍의 관부재(131)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 연결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연결부재(141)는 힌지부(142)에 상호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관부재(131)를 접을 때 힌지부(142)에 의해 상호 회전되어 한 쌍의 관부재(131)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여기서, 힌지부(142)는 한 쌍의 연결부재(141)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단부의 일측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힌지부(142)는 하나의 연결부재(141)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끼움홀이 형성되는 제1힌지 돌출부(142a)와, 다른 연결부재(141)의 단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끼움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 돌출부(142b)와, 제1힌지 돌출부(142a)와 제2힌지 돌출부(142b)가 겹쳐져서 연통된 끼움홀들에 끼워지는 힌지핀(14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힌지 돌출부(142a)와 제2힌지 돌출부(142b)는 각각 연결부재(14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되, 연결부재(141)의 1/2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힌지 돌출부(142a)와 제2힌지 돌출부(142b)가 겹쳐진 후에 힌지부(142)가 연결부재(141)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핀(142c)은 리벳으로 구성되어 제1힌지 돌출부(142a)의 끼움홀과 제2힌지 돌출부(142b)의 끼움홀에서 빠지지 않도록 리벳 작업에 의해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헤드부가 형성된다.
제1조인트(143)와 제2조인트(144)는 힌지부(142)가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141)의 외주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연결부재(141)가 힌지부(142)에 의해 상호 회동될 때 제1조인트(143)와 제2조인트(144)를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조인트(143)는 한 쌍의 연결부재(141) 중 하나의 연결부재(141)에 돌출 형성되되, 제1힌지 돌출부(142a)가 형성되는 연결부재(141)의 반대쪽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홀(143a)이 형성된다. 제1힌지 돌출부(142a)는 연결부재(1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141)의 1/2 두께나 1/2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조인트(143)는 연결부재(1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부재(141)의 외주면에서 하측에 형성되어 그 위쪽에 제2조인트(144)가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제2조인트(144)는 한 쌍의 연결부재(141) 중 나머지 하나의 연결부재(141)에 돌출 형성되되, 제2힌지 돌출부(142b)가 형성되는 연결부재(141)의 반대쪽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되어 록킹돌기(145)가 관통되는 관통홀(144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과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록킹돌기(145)가 끼워지도록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조인트(143)의 위쪽에 제2조인트(144)가 겹쳐지도록 제1조인트(143)의 윗면과 제2조인트(144)의 하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록킹돌기(145)는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끼워져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에 끼워져서 제1조인트(143)와 제2조인트(14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단부에는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의 위쪽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145a)가 돌출 형성된다.
록킹돌기(145)는 걸림부(145a)의 윗면에 레버(145b)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에서 록킹돌기(14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홀(144a)과 록킹돌기(145)의 구조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관통홀(144a)이 2단 구조로서, 위쪽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홀에서 하측으로 확장되는 제2관통홀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관통홀(144a)에 끼워지는 록킹돌기(145)도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일부에서만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록킹돌기와, 제1록킹돌기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되 제1록킹돌기보다 큰 직경으로 되고 제2관통홀과 록킹홀(143a)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2록킹돌기가 형성된다.
제2록킹돌기는 록킹해제시 록킹홀(143a)에서 완전히 빠져서 제2관통홀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야 함으로 제2관통홀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과 제2조인트(144)의 제2관통홀에는 록킹돌기(145)를 누름에 의해서는 이동되지 않고 회전에 의해서 이동되도록 하는 나선형 홈(143b)(144b)이 형성되고, 제2록킹돌기(145)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홈(143b)(144b)에 대응되는 나선형 돌기(145c)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록킹돌기(145)의 상단에 구비된 레버(145b)를 잡고 돌려서 록킹돌기(145)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록킹돌기(145)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부(145a)와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의 상부 사이에는 사용자가 레버(145b)를 잡고 돌릴 때 사용자가 힘을 너무 줘서 록킹돌기(145)를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150)가 구비된다.
즉, 회전방지부(150)는 사용자가 레버(145b)를 잡고 돌릴 때 걸림부(145a)의 밑면이 관통홀(144a)의 가장자리 윗면에 접촉된 후에 사용자가 힘을 너무 줘서 록킹돌기(145)가 필요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방지부(150)는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51)와, 록킹돌기(145)의 걸림부(145a) 밑면에 형성되되 걸림돌기(15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리어 네트의 사용시에는 지지부재(130)인 한 쌍의 관부재(131)가 직선 상태 즉, 일자로 연결된 상태로서, 힌지 연결유닛(140)이 록킹된 상태 즉,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에 제2조인트(144)의 관통홀(144a)에 끼워져 있는 록킹돌기(145)가 끼워져 있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베리어 네트(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힌지 연결유닛(140)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 지지부재(130)인 한 쌍의 관부재(131)를 접어서 서로 접촉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힌지 연결유닛(140)에서 록킹돌기(145)의 상부에 구비된 레버(145b)를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조인트(143)의 록킹홀(143a)까지 끼워져 있던 록킹돌기(145)가 상승하면서 록킹홀(143a)에서 이탈되어 힌지 연결유닛(140)의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한 쌍의 관부재(131) 중 상호 회전시키면 서로 겹쳐져 있던 제1조인트(143)와 제2조인트(144)는 이격되면서 한 쌍의 관부재(131)가 서로 겹쳐진다.
그래서, 한 쌍의 관부재(131)를 서로 접으면서 망부재(110)도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베리어 네트
110 : 망부재
120 : 테두리 부재
130 : 지지부재
131 : 관부재
140 : 힌재 연결유닛
141 : 연결부재
142 : 힌지부
142a : 제1힌지 돌출부 142b : 제2힌지 돌출부
142c : 힌지핀
143 : 제1조인트
143a : 록킹홀 143b : 나선형홈
144 : 제2조인트
144a : 관통홀 144b : 나선형홈
145 : 록킹돌기
145a : 걸림부 145b : 레버
145c : 나선형 돌기
150 : 회전방지부
151 : 걸림돌기
152 : 걸림홈

Claims (8)

  1.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힌지 연결유닛은, 한 쌍의 관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한 쌍의 연결부재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한 쌍의 연결부재중 하나의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록킹홀이 형성되는 제1조인트와,
    다른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고 록킹홀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조인트와,
    관통홀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록킹홀에 끼워져 제1조인트와 제2조인트를 록킹시키는 록킹돌기;를 포함하되,
    록킹돌기의 상단에는 제2조인트의 관통홀에 끼워진 록킹돌기가 제2조인트의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부가 돌출 형서되고, 걸림부의 위쪽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가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가 레버를 잡고 돌릴 때, 걸림부의 밑면이 관통홀의 가장자리 윗면에 접촉되어 록킹돌기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2조인트의 관통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록킹돌기의 걸림부 밑면에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부는,
    한 쌍의 연결부재중 하나의 연결부재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1끼움홀이 형성되는 제1힌지 돌출부;
    다른 연결부재의 단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 돌출부;
    제1힌지 돌출부와 제2힌지 돌출부가 겹쳐져서 연통되는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에 끼워지는 힌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관통홀은, 록킹돌기의 걸림부가 걸리도록 걸림부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록킹홀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5. 제4항에 있어서,
    록킹돌기는,
    제1관통홀에서 제2관통홀 까지 연장 형성되며, 제1관통홀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1록킹돌기와,
    제2록킹돌기의 하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관통홀의 하단에는 걸리고, 제2관통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제1록킹돌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록킹홀에 끼워져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제2록킹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6. 제5항에 있어서,
    제2록킹돌기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2록킹돌기가 끼워지는 제1조인트의 록킹홀과 제2조인트의 제2관통홀에는 나선형 돌기에 대응되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록킹돌기가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7. 삭제
  8. 삭제
KR1020160095853A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53A KR101795561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베리어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53A KR101795561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베리어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61B1 true KR101795561B1 (ko) 2017-11-09

Family

ID=6038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53A KR101795561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베리어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03B1 (ko) * 1999-09-14 2006-05-30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접철식 분리 장치
KR100971651B1 (ko) * 2010-03-03 2010-07-22 박인원 접이식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03B1 (ko) * 1999-09-14 2006-05-30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접철식 분리 장치
KR100971651B1 (ko) * 2010-03-03 2010-07-22 박인원 접이식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981B2 (ja) 折畳式コンテナー
JP5607333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RU2722102C2 (ru) Убираемый отсек для хранени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341914B2 (ja) 格納式車両用シート
CN107264419A (zh) 用于机动车辆的可展开的、可扩展的存储总成
JP2024069267A (ja) プレイヤード
KR101795561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JP2014227095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KR101795572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WO2005028255A1 (fr) Dispositif de rangement escamotable pour véhicule automobile
KR101231470B1 (ko) 절첩식 컨테이너
CN210083314U (zh) 折叠控制装置及可折叠可调整角度的婴儿车座椅架
KR101795565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75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JP7236025B2 (ja) 一体化された折り畳み可能なドアを有する車両用テールゲート
US20200247484A1 (en) Tailgate Conversion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IT202000023731A1 (it) Gabbia per il trasporto di animali in automobile
KR101140183B1 (ko) 차량 도어들 간의 잠금장치
KR200474646Y1 (ko) 좌우 개폐 방식의 열림판을 갖는 절첩식 컨테이너
FR2816560A1 (fr) Dispositif de retenue et d'articulation autour d'un axe de rotation d'une tablette arriere amovible de vehicule automobile
KR101973266B1 (ko)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JP2004359201A (ja) 格納式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360439B1 (ko) 차량용 루프캐리어 장치
CN213973694U (zh) 一种连接结构及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