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565B1 - 차량용 베리어 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베리어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65B1
KR101795565B1 KR1020160096817A KR20160096817A KR101795565B1 KR 101795565 B1 KR101795565 B1 KR 101795565B1 KR 1020160096817 A KR1020160096817 A KR 1020160096817A KR 20160096817 A KR20160096817 A KR 20160096817A KR 101795565 B1 KR101795565 B1 KR 10179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inge
pair
uni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09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으로,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연결편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각 연결편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한 쌍의 연결부재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는 록킹유닛과, 록킹유닛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유닛과, 록킹유닛과 힌지부 및 작동부재가 설치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힌지 연결유닛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미 사용시 간편하게 접어서 적재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베리어 네트 {Barrier Ne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공간의 화물이 승객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베리어 네트의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물칸과 승객실이 개방되어 있는 밴형 차량이나 RV 차량은 화물칸의 용적이 크고 필요에 따라 그 용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레저용으로 많이 구입하고 있는데, 이러한 밴형 차량에 대하여 국가들마다 안전법규상을 정하여 일정 기준이상의 설치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로 인하여 승객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동차가 일정속도로 주행하다 급정거나 충돌시 화물칸의 화물이 관성에 의하여 승객실로 넘어오지 않도록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베리어 네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베리어 네트(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을 덮기 위한 망부재(1)와, 이 망부재(1)에 구비되어 망부재(1)를 일정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한 틀부재(2)와, 틀부재(2)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틀부재(2)를 차량에 대해 지지하기 위하여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에는 지지부재(3)를 차량의 내측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10)는 망부재(1) 가장자리 중 상단부와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가 딱딱한 바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망부재(1)로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 전체를 덮기 위해서는 지지부재(3)도 적재공간의 폭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리어 네트(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베리어 네트(10)를 정리해서 보관해야 하는데, 지지부재(3)가 적재공간의 폭과 같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3)에 망부재(1)를 말아서 지지부재(3)를 적재공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넣어서 보관하거나 외부에 따로 보관해야 하는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베리어 네트를 차량의 내측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분리한 후에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힌지 연결유닛은, 한 쌍의 관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연결편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한 쌍의 연결부재가 상호 회전되도록 각 연결편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한 쌍의 연결부재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연결부재의 각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되 힌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록킹홀과, 결합하우징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홀에 끼워져서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부재와, 결합하우징에 대해 록킹부재를 탄력 지지하되, 록킹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록킹유닛; 록킹유닛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유닛; 록킹유닛과 힌지부 및 작동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크로스되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부의 상단이 각 연결편의 록킹홀이 연통될 때, 연통된 록킹홀에 끼워져서 록킹작용을 수행하고, 록킹부재의 수직부중 수평부의 중앙 밑면에서 아래로 향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수직부재의 하단이 결합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록킹부재는 록킹 및 언록킹 작용시 2개의 수직부재의 양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되, 가이드부재가 결합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부는, 하나의 연결편의 일측에 제1끼움홀과, 다른 연결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끼움홀과,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에 끼워져 하나의 연결편과 다른 연결편을 힌지 고정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작동유닛은, 결합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서 결합되되, 결합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회동하는 누름부재와, 록킹부재에 연결되되,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누름부재의 밑면에 접촉되어 누름부재의 누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록킹부재의 상하 이동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된 힌지 연결유닛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미 사용시 간편하게 접어서 적재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서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연결한 힌지 연결유닛을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힌지 연결유닛을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힌지 연결유닛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베리어 네트에서 지지부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연결한 힌지 연결유닛을 일부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힌지 연결유닛을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힌지 연결유닛의 작동전과 작동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베리어 네트(100)는, 적재공간에 있는 화물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망부재(110)와, 망부재(1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망부재(110)가 사각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테두리 부재(120)와, 테두리 부재(12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베리어 네트(100)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131)로 구성되는 지지부재(130)와, 한 쌍의 관부재(131)를 접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힌지 연결유닛(140)을 포함한다.
먼저, 망부재(11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어 적재공간에 실린 화물을 덮어서 적재공간의 화물이 승객이 타고 있는 시트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테두리 부재(120)는 망부재(110)의 사방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망부재(110)가 사각 형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망부재(110)의 양측부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지지부재(130)는 망부재(110)의 테두리 부분 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100)를 차량의 적재공간에 지지하여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단한 부재로 형성된다. 이 지지부재(130)는 중공형상이 아닌 중실부재로 형성할 수 있으나 경량화를 위하여 중공형상으로 된 관부재(13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힌지 연결유닛(140)에 의해 일자 형태에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힌지 연결유닛(140)은 한 쌍의 관부재(13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연결편(141a)(141b)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41)와, 한 쌍의 연결부재(141)가 상호 회전되도록 각 연결편(141a)(141b)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42)와, 한 쌍의 연결부재(141)가 상호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유닛(143)과, 록킹유닛(143)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유닛(144)과, 록킹유닛(143)과 힌지부(142) 및 작동유닛(144)이 설치되도록 그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하우징(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결합하우징(145)은 한 쌍의 연결부재(141)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편(141a)(141b), 힌지부(142), 록킹유닛(143), 작동유닛(144)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그 양측면 및 그 일면(도 4에서 후방)에는 연결편(141a)(141b)이 납작한 상태(수평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슬릿(145a)이 형성된다.
결합하우징(145)의 상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통해서 후술하는 작동유닛(144)의 누름부재(144a)의 양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하우징(145)은 그 전면이 별도로 형성되는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커버부재가 결합하우징(145)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하우징(145)의 내측 바닥 중 후방 쪽에는 각 연결편(141a)(141b)을 힌지 고정하는 힌지핀(142c)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스부(145b)가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재(141)는 한 쌍의 관부재(131)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는 후술하는 힌지부(142)에 의해 힌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편(141a)(141b)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편(141a)(141b)은 판부재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연결부재(141)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겹쳐지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연결편(141a)이 다른 연결편(141b)의 위쪽이나 아래쪽에서 겹쳐져서 후술하는 힌지부(142)에 의해 힌지 고정된다. 따라서, 각 연결편(141a)(141b)은 힌지부(142)를 중심으로 상호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이 각 연결편(141a)(141b)은 후술하는 록킹유닛(143)에 의해 록킹되어 상호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힌지부(142)는 하나의 연결편(141a)에 형성되는 제1끼움홀(142a)과, 다른 연결편(141b)에 형성되는 제2끼움홀(142b)과, 제1끼움홀(142a)과 제2끼움홀(142b)에 끼워지는 힌지핀(14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 연결편(141a)(141b)에 형성되는 제1끼움홀(142a)과 제2끼움홀(142b)은 연결편(141a)(141b)의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각 연결편(141a)(141b)이 상호 회전될 때, 각 연결편(141a)(141b)의 타측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록킹유닛(143)의 록킹홀(143a)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록킹유닛(143)은 한 쌍의 연결부재(141)의 각 연결편(141a)(141b)에 각각 형성되되, 힌지부(142)로부터 이격되는 록킹홀(143a)과, 결합하우징(145)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홀(143a)에 끼워져서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부재(143b)와, 결합하우징(145)에 대해 록킹부재(143b)를 탄력 지지하되 록킹부재(143b)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부재(143b)는 대략 '십자(十)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부(143b-1)와 수직부(143b-2)가 크로스 되어 형성되며, 수직부(143b-2)의 상단이 각 연결편(141a)(141b)에 형성된 록킹홀(143a)이 연통될 때 록킹홀(143a)에 끼워져 록킹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록킹부재(143b)는 탄성부재(143c)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직부(143b-2)의 상단부가 각 연결편(141a)(141b)의 록킹홀(143a)에 끼워져 힌지 연결유닛(140)을 록킹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록킹부재(143b)의 수직부(143b-2)는 수평부(143b-1)의 중앙 밑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수직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되되, 수직부재의 하단이 결합하우징(145)의 바닥에 형성된 걸림홀(145c)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왕복 이동된다.
록킹부재(143b)의 수직부(143b-2)인 2개의 수직부재에서 각 하단의 외측에는 걸림턱(143d)이 형성되어 수직부재 하단이 결합하우징(145)의 걸림홀(145c)에 끼워져 걸림홀(145c)의 외측에서 걸리면서 수직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43c)가 수직부재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록킹부재(143b)는 록킹 및 언록킹 작용시 수직으로 왕복 이동할 때, 록킹부재(143b)의 2개의 수직부재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수평부(143b-1)의 밑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43e)와, 가이드부재(143e)가 끼워져 왕복 이동되도록 결합하우징(145)의 바닥에서 위쪽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45d)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작동유닛(144)은 결합하우징(145)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서 결합되되, 결합하우징(145)의 내부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힌지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누름부재(144a)와, 록킹부재(143b)에 연결되되,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누름부재(144a)의 밑면에 접촉되어 누름부재(144a)의 누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록킹부재(143b)의 상하 이동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4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부재(144b)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즉, 수직형상 부재 하단부가 절곡 형성되며, 절곡된 하단부가 록킹부재(143b)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누름부재(144a)의 밑면에 접촉되며 사용자가 누름부재(144a)를 누를 때 누름부재(144a)에 접촉된 상단부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절곡된 하단부가 록킹부재(143b)를 눌러서 힌지 연결유닛(140)의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리어 네트의 사용시에는 지지부재(130)인 한 쌍의 관부재(131)가 직선 상태 즉, 일자로 연결된 상태로서, 힌지 연결유닛(140)이 록킹된 상태 즉, 한 쌍의 연결부재(141)에 구비된 각 연결편(141a)(141b)의 록킹홀(143a)이 연통되어 록킹부재(143b)의 수직부(143b-2) 상단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리어 네트(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힌지 연결유닛(140)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 지지부재(130)인 한 쌍의 관부재(131)를 접어서 서로 접촉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결합하우징(145)의 개구부에 결합된 누름부재(144a)를 눌러 록킹유닛(143)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누름부재(144a)의 밑면에 접촉되어 있는 작동부재(144b)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록킹부재(143b)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록킹부재(143b)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각 연결편(141a)(141b)의 록킹홀(143a)에 끼워져 있던 록킹부재(143b)의 수직부(143b-2) 상단이 이탈된다.
이때, 사용자는 누름부재(144a)의 누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연결부재(141)를 상호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연결부재(141)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관부재(131)가 접촉된 상태인 접히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지지부재(130)가 접히면 사용자는 누름부재(144a)의 누름을 해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베리어 네트
110 : 망부재
120 : 테두리 부재
130 : 지지부재 131 : 관부재
140 : 힌재 연결유닛
141 : 연결부재
141a : 연결편 141b : 연결편
142 : 힌지부
142a : 제1끼움홀 142b : 제2끼움홀
142c : 힌지핀
143 : 록킹유닛
143a : 록킹홀 143b : 록킹부재
143b-1 : 수평부 143b-2 : 수직부
143c : 탄성부재 143d : 걸림턱
143e : 가이드부재
144 : 작동유닛
144a : 누름부재 144b : 작동부재
145 : 결합하우징
145a : 슬릿 145b : 보스부
145c : 걸림홀 145d : 가이드홈부

Claims (7)

  1. 적재공간의 화물을 덮는 그물 형태의 망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을 형상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와,
    망부재의 가장자리중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어 베리어 네트를 적재공간에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관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한 쌍의 관부재를 힌지 연결하여 접어서 서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한 힌지 연결유닛을 포함하되,
    힌지 연결유닛은, 한 쌍의 관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연결편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한 쌍의 연결부재가 상호 회전되도록 각 연결편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와,
    한 쌍의 연결부재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는 위하여 한 쌍의 연결부재의 각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어 힌지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록킹홀과, 결합하우징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홀에 끼워져서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부재와, 결합하우징에 대해 록킹부재를 탄력 지지하되 록킹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록킹유닛과,
    록킹유닛을 작동시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유닛과,
    록킹유닛과 힌지부 및 작동부재가 설치되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부재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크로스되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부의 상단이 각 연결편의 록킹홀이 연통될 때, 연통된 록킹홀에 끼워져서 록킹작용을 수행하고,
    록킹부재의 수직부중 수평부의 중앙 밑면에서 아래로 향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수직부재로 구성되고, 수직부재의 하단이 결합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는 걸림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록킹부재는 록킹 및 언록킹 작용시 2개의 수직부재의 양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되, 가이드부재가 결합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에 끼워져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2. 제1항에 있어서,
    힌지부는,
    하나의 연결편의 일측에 제1끼움홀과,
    다른 연결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끼움홀과,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에 끼워져 하나의 연결편과 다른 연결편을 힌지 고정하는 힌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작동유닛은,
    결합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서 결합되되, 결합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회동하는 누름부재;
    록킹부재에 연결되되,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단부가 누름부재의 밑면에 접촉되어 누름부재의 누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록킹부재의 상하 이동을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20160096817A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17A KR101795565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베리어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817A KR101795565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베리어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65B1 true KR101795565B1 (ko) 2017-11-09

Family

ID=6038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817A KR101795565B1 (ko) 2016-07-29 2016-07-29 차량용 베리어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03B1 (ko) * 1999-09-14 2006-05-30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접철식 분리 장치
KR100820135B1 (ko) 2007-05-22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베리어 네트를 구비한 커버 스크린
JP2011126306A (ja) 2009-12-15 2011-06-30 Taikyu Co Ltd 自転車の車体フレーム折畳・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03B1 (ko) * 1999-09-14 2006-05-30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접철식 분리 장치
KR100820135B1 (ko) 2007-05-22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베리어 네트를 구비한 커버 스크린
JP2011126306A (ja) 2009-12-15 2011-06-30 Taikyu Co Ltd 自転車の車体フレーム折畳・固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2665B2 (en) Vehicle frame assembly
US8763538B2 (en) Folding table
KR101786779B1 (ko)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CN103909846B (zh) 多用途车辆
TWM538892U (zh) 具有收折結構之攜車架
KR101795565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JP2010076571A (ja) 車両の荷室構造
KR101795572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JP2016049938A (ja) 車両用荷室構造
JP3849219B2 (ja) オープンカーの風の巻き込み防止装置
KR101795561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KR101795575B1 (ko) 차량용 베리어 네트
CN115478743A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
JP2002370677A (ja) 自動車の荷台部構造
JPH1059047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5580088B2 (ja) 横跳ね上げシートのロック機構
KR100197271B1 (ko) 더블 폴딩 시트
KR100520770B1 (ko) 차량의 탈착식 더블폴딩 시트
KR101973266B1 (ko)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CN213594356U (zh) 一种婴幼儿手推车
JPH09188167A (ja) 車両用折り畳み式シートのロッキング装置
CN210707764U (zh) 一种可折叠的滑板车
JP5378178B2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
KR102143995B1 (ko) 시트백 장치
CN108337885B (zh) 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