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351A - 포인팅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351A
KR20010088351A KR1020010009136A KR20010009136A KR20010088351A KR 20010088351 A KR20010088351 A KR 20010088351A KR 1020010009136 A KR1020010009136 A KR 1020010009136A KR 20010009136 A KR20010009136 A KR 20010009136A KR 20010088351 A KR20010088351 A KR 2001008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inting device
substrate
pai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요시토시하루
Original Assignee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하시 켄지
Publication of KR2001008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 G01D5/16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resistance by relative movement of a point of contact or actuation and a resistive tr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X-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는 포인팅장치의 두께증대를 회피하면서, 그 기능향상을 도모하고, 부품점수를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작체(2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30A) 및 (30B)를 케이스(10)내에 수용한다. 이동체(30A) 및 (30B)의 아래쪽에 내장기판(40)을 수용한다. 이동체(30A) 및 (30B)를, 판형상의 금속부분(31A) 및 (31B)과, 그 양쪽에 장착된 수지부분(32A),(33A) 및 (32B), (33B)에 의해 구성한다. 케이스(10)를 수지제의 상부케이스(10a)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10b)에 의해 구성한다. 수지부분(33A) 및 (33B)에, 내장기판(40)에 미끄럼접촉하는 접촉자(50A) 및 (50B)를 장착해서, 볼륨을 구성한다. 수지부분(33A) 및 (33B)내에, 원점복귀용의 스프링(60A),(60B)을 수용한다. 조작체(20)에 의해, 내장기판(40)위의 눌러내림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인팅장치{POINTONG DEVICE}
본 발명은, 리모콘, 게임기, 휴대전화, PDA, 노트북형 개인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포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기판의 판면을 따라서 조작체를 슬라이드조작하는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X-Y방향의 신호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는, 기본적으로, 장착 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 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이동위치를 검출하여, X-Y방향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1쌍의 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신호출력수단으로서는, 볼륨외에, 자기센서에 의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자기센서에 의한 것은 대형이고 고가이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평 5-324187호 공보에 기재된 X-Y방향입력장치와 같이, 볼륨로 이루어진 신호출력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장치의 소형화 및 저코스트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 5-324187호 공보에 기재된 X-Y방향입력장치에서는, 케이스내에 수용된 1쌍의 이동체에 접촉자를 장착하고, 각 접촉자를, 이동체와 함께 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용기판의 표면의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시킴으로써, 케이스내에 볼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내의 볼륨은, 케이스가 고정되는 장착기판의 표면의 전기회로와 커넥터나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인팅장치는, 신호출력수단으로서 볼륨을 사용하므로, 자기적인 신호출력수단을 사용하는 것보다도 소형이고 염가로 된다. 그러나, 그 볼륨을 구성하기 위해 케이스내에 전용기판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에 의한 장치높이의 증대가 문제가 된다.
또, 포인팅장치의 기능향상을 위하여, 조작체로 눌러내림스위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눌러내림스위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는, 장치높이가 한층더 증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이며, 신호출력수단으로서 볼륨을 케이스내에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조작체로 눌러내림스위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높이의 증대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박형의 포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포인팅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3은, 동포인팅장치의 투시평면도
도 4는, 동포인팅장치에 사용된 상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동상부케이스의 종단정면도
도 6은, 동상부케이스의 저면도
도 7은, 동포인팅장치에 사용된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8은, 동하부케이스의 종단정면도
도 9는, 동포인팅장치에 사용된 하단의 이동체의 평면도
도 10은, 동이동체의 종단측면도
도 11은, 동이동체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0a: 상부케이스
10b: 하부케이스 11: 천판부
13A, 13B: 플랜지부분 15A, 15B: 제지부분
17: 바닥판부분 18A, 18B: 플랜지부분
20: 조작체 30A, 30B: 이동체
31A, 31B, 33A, 33B: 수지부분 32A, 32B: 금속부분
34A, 34B: 개구부분 35A, 35B: 제 1수용부분
37A, 37B: 제 2수용부분 40: 내장기판
41: 탄성접편 42: 단자부분
50A, 50B: 접촉자 60A, 60B: 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장착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1쌍의 이동체의 적어도 한쪽이 금속판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에서는, 1쌍의 이동체의 적어도 한쪽이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1쌍의 이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케이스내에 볼륨구성용의 내장기판을 수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조작체를 X-Y방향에 직각의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이 조작체로 아래쪽에 배치된 눌러내림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높이의 증대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박형화를 위해서는, 1쌍의 이동체의 양쪽이 금속판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케이스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짜맞춘 2피스구조로 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을 금속판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러내림스위치에 대해서는, 내장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회로와, 스위치회로위에 고정된 탄성접편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박형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금속판을 사용하는 이동체는, 이동방향에 직각의 방향으로 뻗는 판형상의 금속부분과, 상기 금속부분의 양끝부분에 장착되어서 금속부분을 상기 케이스내에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수지부분을 짜맞춘 복합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장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전기회로와 금속부분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수지부분을 볼륨구성용의 슬라이더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내장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하는 접촉자를 그 하면, 바람직하게는 그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천정면에 장착함으로써, 장치높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수지부분을 이동체의 원점복귀기구에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케이스의 천판부분과 수지부분과의 사이에 원점복귀용의 스프링을 평행으로 수용함으로써, 장치높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에 언급하는 포인팅장치는,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착기판위에 고정되는 케이스(10)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10)에 장착된 슬라이드식의 조작체(20)와, 조작체(2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10)내를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상하 1쌍의 이동체(30A),(30B)와, X-Y방향의 볼륨부분 및 X-Y방향에 직각의 Z방향의 눌러내림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10)내에 수용된 내장기판(40)과, 내장기판(40)과 함께 케이스(10)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 X-Y방향의 볼륨부분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동체(30A),(30B)의 각 옆끝부분에 장착된 1쌍의 접촉자(50A),(50B)와, 이동체(30A),(30B)를 원점위치로 자동복귀시키기 위하여 X-Y방향의 볼륨부분에 짜넣어진 1쌍의 스프링(60A),(60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체(30A) 및 접촉자(5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이동체(30B) 및 접촉자(50B)는 X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한다.
케이스(10)는, 천판부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0a)에, 바닥판부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0b)를 짜맞춘 2피스구조이다. 상부케이스(10a)는, 도 4∼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거의 4각형의 편평한 수지캡이다. 상부케이스(10a)의 천판부분(11)에는, 조작체(20)의 일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해, 원형의 개구부분(12)이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분(11)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는, 볼륨을 기성하기 위해, 개구부분(12)에 대하여 옆쪽으로 플랜지된 플랜지부분(13A),(13B)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분(13A),(13B)의 각하면에는, 스프링(60A),(60B)이 끼워맞춤하는 얕은 오목부분(14A),(14B)이, 각 변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체(30A),(3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기 위해, 리브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진 1쌍의 제지부분(15A),(15A) 및 (15B),(15B)이, 오목부분(14A) 및 (14B)의 양끝쪽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0a)의 4개의 측벽부분의 각 바깥면에는, 하부케이스(10b)와의 연결고정을 위하여 클릭부분(16)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0b)는, 도 7 및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성형가공품이며, 수지제의 상기 상부케이스(10a)에 아래쪽으로 부터 끼워맞춤하여, 상부케이스(10a)와 연결된다(도 2참조).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7)에는, 그 바닥판부분(17)위에내장기판(40)을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7')는, 바닥판부분(17)의 일부를 위쪽으로 잘라일으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부분(17)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는,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13B)에 대응하는 플랜지부분(18A),(18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판부분(17)의 4변부분에는, 상부케이스(10a)의 클릭부분(16)에 걸어맞춤하는 고정부분(19)이, 바닥판부분(17)의 가장자리부분을 위쪽으로 세워올림으로써 각각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21)는,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조작부분(21)과, 조작부분(21)의 하면에 장착된 빠짐방지부분(22)과, 빠짐방지부분(22)을 고정하는 고정부분(23)을 가지고 있다. 조작부분(21)은, 상부케이스(10a)의 천판부분(11)보다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빠짐방지부분(22)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천판부분(11)의 아래쪽에서 조작부분(21)의 하면중심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조작체(20)의 Z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위쪽으로의 빠짐을 저지한다. 고정부분(23)은, 천판부분(11)의 하면중심부분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서, 하면중심부분과의 사이에 빠짐부분(22)을 유지한다. 케이스(10)내에 삽입된 이 고정부분(23)은, 이동체(30A),(30B)를 조작하는 조작부분을 겸하고 있다.
상하 1쌍의 이동체(30A),(30B)중, 상단의 이동체(3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Y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하단의 이동체(30B)는 X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X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양자는 직각으로 짜맞추어져 있으나, 개개의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이 구성을, 하단의 이동체(30B)에 대해, 도 9∼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하단의 이동체(30B)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금속부분(31B)과, 금속부분(31B)의 양끝부분에 장착된 1쌍의 수지부분(32B),(32B)으로 이루어진다. 금속부분(31B)은 이동방향(X방향)에 직각의 Y방향으로 뻗는 거의 평판이다. 금속부분(31B)에는, 조작체(20)의 고정부분(23)이 관통하는 4각형의 긴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34B)은, 조작체(20)의 Y방향의 상대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Y방향으로 길게 뻗어있다. 금속부분(31B)의 Y방향의 양끝부분은, 수지부분(32B),(33B)에 몰드됨으로써 수지부분(32B),(33B)과 결합되어 있다.
1쌍의 수지부분(32B),(33B)은, 케이스(10)내에 금속부분(31B)을 유지하는 슬라이더이며, 케이스(10)의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7)위에 얹어놓인 내장기판(40)의 위를, 평행의 2변부분을 따라서 X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한쪽의 수지부분(32B)은 순수한 슬라이더인 것에 대해, 다른쪽의 수지부분(33B)은 볼륨부분 및 원점복귀기구의 구성부재를 겸하고 있다.
수지부분(33B)은,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B)과 하부케이스(10b)의 플랜지부분(18B)과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7)위에 얹어놓인 내장기판(40)의 가장자리부분위에 배치되어 있다. 수지부분(33B)의 상면에는, 스프링(60B)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제 1수용부분(35B)이, 플랜지부분(13B)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분(14B)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수용부분(35B)의 양끝쪽에는, 1쌍의 슬릿형상의 오목부분(36B),(36B)이, 제 1수용부분(35B)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분(36B),(36B)에는, 플랜지부분(13B)의 하면에 형성된 제지부분(15B),(15B)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수지부분(33B)의 하면에는, 접촉자(50B)를 수용하는 제 2수용부분(37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수용부분(37B)은, 수지부분(33B)의 두께증대를 회피하기 위해, 제 1수용부분(35B)과 겹치지 않도록 그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자(50B)는, 제 2수용부분(37B)의 천정면에 하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단의 이동체(30A)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금속부분(31A)과, 금속부분(31A)의 양끝부분에 장착된 1쌍의 수지부분(32A),(33A)으로 이루어지고, 수지부분(33A)은, 볼륨부 및 원점복귀기구의 구성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 이동체(30A)는, 상기한 하단의 이동체(30B)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되는 점, 및 금속부분(31A)이 하단의 이동체(30B)의 금속부분(31B)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하단의 이동체(30B)와 실질동일구성이므로,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숫자의 부호(단 첨자는 A)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내장기판(40)은, 하부케이스(10b)의 바닥판부분(17)위에 얹어놓여 있다. 내장기판(40)의 직교하는 2변부분의 상면에는, 볼륨부분을 구성하기 위해 1쌍의 저항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1쌍의 접촉자(50A),(50B)는, 이 1쌍의 저항회로에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내장기판(40)의 거의 중앙부분상면에는, 눌러내림스위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스위치회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스냅플레이트라불리는 돔형상의 탄성접편(41)이 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탄성접편(41)은, 조작체(20)를 위쪽으로 부세하는 한편, 아래쪽으로 변형함으로써 아래쪽의 스위치회로를 단락시킨다.
내장기판(40)의 일부는, 단자부분(42)으로서 케이스(10)의 밖으로 돌출한다(도 1 및 도 3참조). 단자부분(42)이 붙어있는 부분에는, 상부케이스(10a)의 측벽부분 및 하부케이스(10b)의 고정부분(19)을 관통시키기 위해, 개구부분(43)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스프링(60A),(60B)중, 한쪽의 스프링(60A)은,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과 이동체(30A)의 수지부분(33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부분(33A)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수용부분(35A)내에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60A)에는, 플랜지부분(13A)의 하면에 형성된 제지부분(15A),(15A)가 양끝쪽으로부터 맞닿아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스프링(60B)은,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B)과 이동체(30B)의 수지부분(3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구체적으로는, 수지부분(33B)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수용부분(35B)내에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60B)에는, 플랜지부분(13B)의 하면에 형성된 제지부분(15B),(15B)이 양끝쪽으로부터 맞닿아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체(20)에 X-Y방향의 외력을 가하지 않을때는, 스프링(60A),(60B)에 의해 이동체(30A),(30B)가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조작체(20)도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또, 탄성접편(41)에 의한 부세에 의해, 조작체(20)가 상한위치(빠짐방지부분(22)이 상부케이스(10a)의 천판부분(11)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조작체(20)를 X방향으로 조작하면, 하단의 이동체(30B)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접촉자(50B)가 내장기판(4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위를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X방향의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고, 당해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30B)의 이동에 따라서, 그 제 1수용부분(35B)내에 수용된 스프링(60B)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나,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B)의 하면에 형성된 제지부분(15B),(15B)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스프링(60B)이 축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압축된다. 이 때문에, 조작체(20)에 부가되어 있는 외력을 제거하면, 이동체(30B)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조작체(2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조작체(20)를 Y방향으로 조작하면, 상단의 이동체(30A)가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접촉자(50A)가 내장기판(4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위를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고, 당해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30A)의 이동에 따라서, 스프링(60A)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나,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의 하면에 형성된 제지부분(15A),(15A)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스프링(60A)이 축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압축된다. 이 때문에, 조작체(20)에 부가되어 있는 외력을 제거하면, 이동체(30A)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조작체(2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이들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체(20)의 X-Y방향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당해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탄성접편(41)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조작체(20)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탄성접편(41)이 변형하고, 아래쪽의 내장기판(40)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회로를 단락시킨다. 이에 의해, 눌러내림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얻게된다.
신호출력수단으로서의 볼륨부분은, 케이스(10)의 직교하는 2변부분내에 내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부착의 볼륨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점수가 저감한다. 특히, 이동체(30A),(30B)의 한쪽의 수지부분(23A),(23B)이, 슬라이더와 함께, 볼륨부분의 구성부재 및 원점복귀기구의 구성부재를 겸하므로, 부품점수가 특히 적다. 또, 내장기판(40)이 볼륨부분과 눌러내림스위치의 양쪽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점에서도 부품점수가 저감된다.
그리고, 케이스(10)내에 볼륨부분이 내장기판(40)과 함께 수용되고, 또한, 눌러내림스위치가 짜넣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체(30A),(30B)가 판형상의 금속부분(32A),(32B)를 사용하고, 하부케이스(10b)가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높이가 낮게 억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다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박형이다.
또, 스프링(60A)은,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과 이동체(30A)의 수지부분(33A)의 사이에 평행으로 수용되고, 스프링(60B)는,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B)과 이동체(30B)의 수지부분(33B)의 사이에 평행으로 수용되어 있으므로, 스프링(60A),(60B)을 배치한 것으로 말미아믄 장치외부치수의 증대가 가급적으로 회피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60A),(60B)를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이동체(30A),(30B)의 수지부분(33A),(33B)의 상면에 형성하고, 이동체(30A),(3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는 제지부분을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13B)의 하면에 형성하였으나, 스프링(60A),(60B)을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상부케이스(10a)의 플랜지부분(13A),(13B)의 하면에 형성하고, 이동체(30A),(3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는 제지부분을 이동체(30A),(30B)의 수지부분(33A),(33B)의 하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스프링(60A),(60B)의 한쪽의 수지부분(32A),(32B)의 쪽에 원점복귀기구를 구성하고, 다른쪽의 수지부분(33A),(33B)의 쪽에 볼륨부분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금속판을 사용함으로써, 신호출력수단으로서의 볼륨을 케이스내에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장치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조작체에 의해 눌러내림 스위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경에 있어서도, 장치높이의 증대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기능이고 박형의 장치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볼륨을 케이스내에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9)

  1. 장착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를 구비하고 있고, 1쌍의 이동체의 적어도 한쪽이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짜맞춘 2피스구조이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적어도 한쪽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1쌍의 이동체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볼륨구성용의 내장기판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판을 사용하는 이동체는, 이동방향에 직각의 방향으로 뻗는 판형상의 금속부분과, 상기 금속부분의 양끝부분에 장착되어서 금속부분을 상기 케이스내에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1쌍의 수지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분은, 볼륨구성용의 접촉자를 하면쪽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상기 내장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케이스의 천판부분과 상기 수지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된 원점복귀용의 스프링에 의해 원점위치에 탄성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X-Y방향에 직각의 Z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아래쪽에 배치된 눌러내림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눌러내림스위치는, 상기 내장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회로와, 스위치회로위에 고정된 탄성접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KR1020010009136A 2000-03-09 2001-02-23 포인팅장치 KR20010088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4335A JP3732380B2 (ja) 2000-03-09 2000-03-09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0-64335 2000-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351A true KR20010088351A (ko) 2001-09-26

Family

ID=1858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136A KR20010088351A (ko) 2000-03-09 2001-02-23 포인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8740B2 (ko)
EP (1) EP1132857A3 (ko)
JP (1) JP3732380B2 (ko)
KR (1) KR20010088351A (ko)
CN (1) CN1254833C (ko)
HK (1) HK1038437A1 (ko)
TW (1) TW4620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62B1 (ko) * 2009-02-04 2009-10-06 심재우 정보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8015A1 (de) * 2001-04-10 2002-10-24 Cimosys Ag Goldingen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zum Verstellen von Teilen eines Möbels relativ zueinander
KR100396518B1 (ko) * 2001-07-2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923971B1 (ko) 2002-12-30 2009-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장치
FI115109B (fi) * 2003-01-22 2005-02-28 Nokia Corp Tunnistusjärjestely ja tunnistusjärjestelyn käsittävä matkaviestin
EP1503277B1 (en) * 2003-07-28 2007-12-19 Alps Electric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US6831238B1 (en) * 2004-01-16 2004-12-14 Nokia Corporation Finger-controllable multi-directional switch
JP4268537B2 (ja) * 2004-02-20 2009-05-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2005250595A (ja) * 2004-03-01 2005-09-15 Nec Saitama Ltd 携帯端末
JP4489525B2 (ja) * 2004-07-23 2010-06-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JP4446925B2 (ja) * 2005-04-28 2010-04-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4392391B2 (ja) 2005-04-28 2009-12-24 任天堂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の原点復帰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7004705A (ja) * 2005-06-27 2007-01-11 Mitsumi Electric Co Ltd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4566088B2 (ja) 2005-08-05 2010-10-20 任天堂株式会社 操作部材の原点復帰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US20070068785A1 (en) * 2005-09-26 2007-03-29 Taiwan Pwl Corporation Rocker level assembly
TWI306688B (en) * 2005-11-18 2009-02-21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adaptively driving a tracking element with mechanical devi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JP4674167B2 (ja) * 2006-01-25 2011-04-20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US7737945B2 (en) * 2006-07-28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inting device with moveable magnetic disc and method
KR100872650B1 (ko) * 2006-12-11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파워윈도우 스위치
KR100931068B1 (ko) * 2007-12-21 2009-12-10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포인팅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400263B2 (en) * 2008-11-19 2013-03-19 Honda Motor Co., Ltd. Sliding key fob
US8188838B2 (en) * 2008-11-19 2012-05-29 Honda Motor Co., Ltd. Sliding key fob
TWM366750U (en) * 2009-05-19 2009-10-11 Taiwan Misaki Electronics Co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5539790B2 (ja) * 2010-06-11 2014-07-02 任天堂株式会社 操作部材の取り付け構造
JP5910082B2 (ja) * 2011-12-28 2016-04-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および操作入力装置
CN103971977B (zh) * 2013-02-05 2016-06-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9303B1 (ko) * 1971-02-03 1976-12-25
US5019677A (en) * 1990-07-11 1991-05-28 Microslate Corp. Computer input device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US5327162A (en) * 1992-03-17 1994-07-05 Alps Electric Co., Ltd. X-y direction input device
US5293158A (en) * 1992-05-05 1994-03-08 Alps Electric Co., Ltd. X-Y direction input device
JPH09330171A (ja) * 1996-06-12 1997-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5912612A (en) * 1997-10-14 1999-06-15 Devolpi; Dean R. Multi-speed multi-direction analog poin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62B1 (ko) * 2009-02-04 2009-10-06 심재우 정보처리 장치
WO2010090405A2 (en) * 2009-02-04 2010-08-12 Jae-Woo Shi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0090405A3 (en) * 2009-02-04 2010-10-28 Jae-Woo Shi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2857A3 (en) 2004-03-24
JP3732380B2 (ja) 2006-01-05
CN1319858A (zh) 2001-10-31
TW462064B (en) 2001-11-01
EP1132857A2 (en) 2001-09-12
US6528740B2 (en) 2003-03-04
US20010030113A1 (en) 2001-10-18
CN1254833C (zh) 2006-05-03
HK1038437A1 (en) 2002-03-15
JP2001255995A (ja)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8351A (ko) 포인팅장치
US6667733B2 (en) Pointing device
JP3923253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2287891A5 (ko)
US8022326B2 (en) Push switch
US7564004B2 (en) Switch device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0585298B1 (ko) 누름버튼 스위치
JP2007128731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US6166337A (en)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contacted by depressing a key located at a housing wall which makes an angle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EP2469559B1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JP4418378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4513579B2 (ja) 押釦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3345509A (ja) 信号入力装置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US20070007117A1 (en) Switch
US8455776B2 (en) Push switch
JP4619879B2 (ja) 多方向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835841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1022435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US20040147233A1 (en) Power key assembly fro electronic devices
JP2011253720A (ja) 小型電子機器用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とメイン基板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