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266B1 - 포인팅장치 - Google Patents

포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266B1
KR100403266B1 KR10-2000-0062855A KR20000062855A KR100403266B1 KR 100403266 B1 KR100403266 B1 KR 100403266B1 KR 20000062855 A KR20000062855 A KR 20000062855A KR 100403266 B1 KR100403266 B1 KR 10040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air
substrate
mounting substrate
poi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263A (ko
Inventor
미요시토시하루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조작에 의해 X-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는 포인팅장치를 박형화하고, 부품점수를 저감하고, 장착기판과의 사이의 납땜이나 커넥터에 의한 접속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착기판(10)에 고정되는 케이스(20)에, 슬라이드조작식의 조작체(30)와, 조작체(3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20)내를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40A),(40B)를 설치한다. 이동체(40A),(40B)의 각 한쪽부분을 케이스(20)의 옆쪽으로 돌출시키고, 각 돌출부분(43A),(43B)의 하면을 장착기판(10)의 표면에 대향시킨다. 각돌출부분(43A),(43B)의 하면에 장착한 접촉자(50A),(50B)를, 장착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접촉시킴으로써, 케이스(20)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 X-Y방향의 볼륨부분을 형성한다. 케이스(20)의 직교하는 2변부분을 옆쪽으로 셸터형상으로 플랜지하고, 각 플랜지부분(23A),(23B)과 각돌출부분(43A),(43B)과의 사이에 원점복귀용의 스프링(60A),(60B)를 배치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인팅장치{po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모콘, 게임기, 휴대전화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포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기판의 판면을 따라서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X-Y방향의 신호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슬라이드조작식의 포인팅장치는, 기본적으로, 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직선적으로 이동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이동위치를 검출하여, X-Y방향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1쌍의 신호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의 신호출력수단으로서는, 볼륨외에, 자기센서에 의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자기센서에 의한 것은 대형이고 고가이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평 5-324187호 공보에 기재된 X-Y방향입력장치와 같이, 볼륨로 이루어진 신호출력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장치의 소형화 및 저코스트화의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평 5-324187호 공보에 기재된 X-Y방향입력장치에서는 케이스내에 수용된 1쌍의 이동체에 접촉자를 장착하고, 각접촉자를, 이동체와 함께 케이스내에 수용된 전용기판의 표면의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시킴으로써, 케이스내에 볼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케이스내의 볼륨은, 케이스가 고정되는 장착기판의 표면의 전기회로와 커넥터나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인팅장치는, 신호출력수단으로서 볼륨을 사용하므로, 자기적인 신호출력수단을 사용하는 것보다 소형이고 염가로 된다. 그러나, 그 볼륨을 구성하기 위해 케이스내에 전용기판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에 의한 부품점수의 증가나 두께의 증대가 문제가 된다. 또, 장치실장시에는, 케이스내의 전용기판을, 케이스가 고정되는 장착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한 부품점수의 증대나 실장작업공수의 증대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이며, 신호출력수단으로서 볼륨을 사용하고, 또한, 볼륨을 사용하는 종래장치와 비교해서 부품점수의 저감, 박형화 및 실장작업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포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포인팅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동 포인팅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동 포인팅장치의 종단정면도
도 5는, 동 포인팅장치에 사용된 상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6은, 동 상부케이스의 종단정면도
도 7은, 동 상부케이스의 저면도
도 8은, 동 포인팅장치에 사용된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9는, 동 하부케이스의 종단정면도
도 10은, 동 포인팅장치에 사용된 상단의 이동체의 평면도
도 11은, 동 이동체의 종단정면도
도 12는, 동 이동체의 저면도
도 13은, 동 포인팅장치에 사용된 하단의 이동체의 평면도
도 14는, 동 이동체의 종단정면도
도 15는, 동 이동체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20: 케이스
20a: 상부케이스 20b: 하부케이스
21, 27: 본체부분 22, 28: 연결부분
23A, 23B: 플랜지부분 26A: 압압(押壓)부분
30: 조작체 40A, 40B: 이동체
41A, 41B: 본체부분 42A, 42B: 가이드부분
43A, 43B: 돌출부분 46A, 46B: 제 1수용부분
47A, 47B: 제 2수용부분 50A, 50B: 접촉자
60A, 60B: 스프링 70: 빠짐방지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한쪽부분이 케이스의 밖으로 돌출해서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향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각돌출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볼륨을 구성하는 1쌍의 접촉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에서는, 케이스내에 수용되는 1쌍의 이동체의 각 한쪽부분이 케이스의 밖으로 돌출하고, 각 돌출부분에 장착된 접촉자가, 케이스가 고정되는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볼륨이 구성되기 때문에, 케이스내의 전용기판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당해 장치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납땜이나 커넥터에 의한 접속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에서는, 1쌍의 이동체를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작체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 스프링에 대해서는, 1쌍의 이동체의 각돌출부분에 위쪽으로부터 씌워지도록 케이스의 거의 직각의 2변부분을 옆쪽으로 플랜지하고, 각 플랜지부분과 각돌출부분의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스프링을 설치함으로 말미아믄 포인팅장치의 대형화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여기에 언급하는 포인팅장치는, 도 1∼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장착기판(10)에 고정되는 케이스(20)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20)에 장착된 슬라이드식의 조작체(30)와, 조작체(30)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20)내를 X-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상하 1쌍의 이동체(40A),(40B)와, 케이스(20)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 X-Y방향의 볼륨부분을 구성하기 위해, 이동체(40A),(40B)의 각한쪽부분에 장착된 1쌍의 접촉자(50A),(50B)와, 이동체(40A),(40B)를 원점위치로 자동복귀시키기 위해 X-Y방향의 볼륨부분에 짜넣어진 1쌍의 스프링(60A),(60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체(40A) 및 접촉자(5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이동체(40B) 및 접촉자(50B)는 X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한다.
케이스(20)는, 천판부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0a)에, 바닥판부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20b)를 짜맞춘 2피스구조이다. 상부케이스(20a)는, 도 5∼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거의 4각형의 캡으로 이루어진 본체부분(21)과, 본체부분(21)의 아래쪽에 하부케이스(20b)를 연결하기 위하여, 그 4귀퉁이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4개의 라운드바형상의 연결부분(22),(22)‥과, 본체부분(21)의 직교하는 2변부로부터 옆쪽으로 셸터형상으로 플랜지된 1쌍의 플랜지부분(23A),(23B)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분(21)의 천판부분은, 위쪽으로 볼록한 완만한 돔형상이고, 그 중심부분에는, 조작체(30)의 일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개구부분(24)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분(23A),(23B)의 하면에는, 스프링(60A),(60B)이 끼워맞춤하는 얕은 오목부분(25A),(25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하면의 양끝부분에는, 이동체(40A),(4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기 위하여, 리브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진 1쌍의 압압부분(26A),(26A) 및 (26B),(26B)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20b)는, 도 8 및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의 4각형의 얕은 용기로 이루어진 본체부분(27)과, 본체부분(27)의 4귀퉁이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플랜지된 4개의 연결부분(28),(28)‥을 가지고 있으며, 각 연결부분(28)에는, 상부케이스(20a)의 대응하는 연결부분(22)이 압입되는 원형의 관통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0a)의 연결부분(22),(22)‥를 하부케이스(20b)의 관통구멍(29),(29)‥에 압입함으로써, 상부케이스(20a)의 본체부분(21)의 아래쪽에 약간의 틈새를 형성해서 하부케이스(20b)의 본체부분(27)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분(22),(22)‥의 각 선단부분은, 연결부분(28),(28)‥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장착기판(10)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삽입됨으로써, 당해 케이스(20)를 장착기판(10)위에 고정한다.
즉, 연결부분(22),(22)‥는, 당해케이스(20)를 장착기판(10)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분을 겸하고 있으며, 이 공정을 위해, 대각위치에 있는 2개의 연결부분(22),(22)의 선단부분에는 버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기판(10)에는, 연결부분(22),(22)‥이 삽입되는 4개의 장착구멍외에, 하부케이스(20b)의 본체부분(27)이 삽입되는 개구부분(11)이, 4개의 장착구멍의 안쪽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4참조).
조작체(30)는, 도 1∼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조작부분(31)과, 조작부분(31)의 하면중심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라운드바형상의 축부분(32)을 가지고 있다. 조작부분(31)은, 상부케이스(20a)의 본체부분(21)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본체부분(21)에 형성된 개구부분(24)의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되어있다. 축부분(32)은, 개구부분(24)으로부터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개구부분(24)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은 외경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축부분(32)에 밖에서 끼움고정된 고리형상의 빠짐방지부재(70)로부터, 조작체(30)는 빠짐방지되고, 이 상태에서, 장착기판(10)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분(21)의 만곡된 돔형상의 천판부분을 따라서 슬라이드조작될 수 있다.
상하 1쌍의 이동체(40A),(40B)중, 상단의 이동체(40A)는 Y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고, Y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다. 이 이동체(40A)는, 도 10∼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방향과 직각의 방향(X방향)으로 뻗어 그 중앙부를 조작체(30)의 축부분(32)이 관통하는 본체부분(41A)과, 본체부분(41A)의 한쪽의 끝부분에 T자형상으로 연달아 설치된 가이드부분(42A)과, 본체부(41A)의 다른쪽의 끝부분에 T자형상으로 연달아 설치되어서 볼륨부분을 구성하는 돌출부분(43A)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분(41A)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내에 수용되고 있으며, 조작체(40A)의 X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조작체(30)의 축부분(3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44A)은, X방향으로 긴 긴구멍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분(42A)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사이로부터 케이스(2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본체부분(21)의 바깥쪽면에 맞닿는다.
돌출부분(43A)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사이로부터 케이스(2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본체부분(21)의 바깥쪽면에 맞닿음으로써, 가이드부분을 겸하는 동시에, 상부케이스(20a)의 한쪽의 플랜지부분(23A)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한쪽의 볼륨부분을 구성한다. 플랜지부분(23A)의 하면에 대향하는 돌출부분(43A)의 상면에는, 한쪽의 스프링(60A)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제 1수용부분(45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수용부분(45A)의 양끝쪽에는, 플랜지부분(23A)의 하면에 형성된 압압부분(26A),(26A)이 삽입되는 1쌍의 슬릿형상의 오목부분(46A),(46A)이, 수용부(45A)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출부분(43A)의 하면에는, 한쪽의 접촉자(50A)를 수용하는 제 2수용부분(47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수용부분(47A)의 천정면에는, 접촉자(50A)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48A)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의 이동체(40B)는, 상단의 이동체(40A)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 이동체(40B)는, 도 13∼도 15에 표시되어 있으며, X방향의 신호입력을 행하기 위해 X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점, 및 상단의 이동체(40A)와의 사이에서 양쪽의 가이드부분(42B) 및 돌출부분(43B)을 동일레벨로 하기 위해, 본체부분(41B)의 중앙부를 그 두께분만큼 아래쪽으로 움패게한 점을 제외하고, 상단의 이동체(4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즉, 이동체(40B)는, 이동방향과 직각의 방향(Y방향)으로 뻗어 그 중앙부분을 조작체(30)의 축부분(32)의 관통하는 본체부분(41B)과, 본체부분(41B)의 한쪽의 끝부분에 T자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된 가이드부분(42B)과, 본체부분(41B)의 다른쪽의 끝부분에 T자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되어서 볼륨부분을 구성하는 돌출부분(43B)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분(41B)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조작체(30)의 Y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조작체(30)의 축부분(32)이 관통하는 관통구멍(44B)은, Y방향으로 긴 긴구멍으로 되어있다. 가이드부분(42B)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사이로부터 케이스(2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그 바깥쪽면에 맞닿는다.
또, 돌출부분(43B)은, 케이스(20)의 본체부분(21),(27)사이로부터 케이스(20)이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그 바깥쪽면에 맞닿음으로써, 가이드부를 겸하는 동시에, 상부케이스(20a)의 다른쪽의 플랜지부분(23B)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다른쪽의 볼륨부분을 구성한다. 플랜지부분(23B)의 하면에 대향하는 돌출부분(43B)의 상면에는, 다른쪽의 스프링(60B)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제 1수용부분(45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수용부분(45B)의 양끝쪽에는, 플랜지부분(23B)의 하면에 형성된 압압부분(26B),(26B)이 삽입되는 1쌍의 슬릿형상의 오목부분(46B),(46B)이, 수용부분(45B)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출부분(43B)의 하면에는, 다른쪽의 접촉자(50B)를 수용하는 제 2수용부분(47B)이형성되어 있다. 제 2수용부분(47B)의 천정면에는, 접촉자(50B)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48B)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접촉자(50A),(50B)는, 케이스(20)를 장착기판(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장착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된 1쌍의 저항회로에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1쌍의 스프링(60A),(60B)중, 한쪽의 스프링(60A)은,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A)과 이동체(40A)의 돌출부분(43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분(43A)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수용부분(45A)내에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분(23A)의 하면에 형성된 압압부분(26A),(26A)이 양끝쪽으로 부터 맞닿은 상태로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스프링(60B)은,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B)과 이동체(40B)의 돌출부(4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분(43B)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수용부분(45B)내에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수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분(23B)의 하면에 형성된 압압부분(26B),(26B)이 양끝쪽으로부터 맞닿은 상태로 되어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포인팅장치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착기판(10)에 케이스(20)를 고정하면, 접촉자(50A),(50B)가, 장착기판(10)의 표면에 형성된 1쌍의 저항회로에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케이스(20)의 직교하는 2변부분에 X-Y방향의 볼륨부분이 구성된다. 이 때문에, 당해 장치를 납땜이나 커넥터로 장착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부품점수나 실장작업공수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장착기판(10)위의 저항회로를 이용하므로, 당해 장치로부터 볼륨구성용의 전용기판이 배제되며, 이에 의해서도 부품점수의 저감이 가능해지며, 또한 케이스(20)의 박형화도 가능하게 된다.
조작체(30)에 장착기판(10)을 따른 방향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때는, 스프링(60A),(60B)에 의해 이동체(40A),(40B)가 원점위치에 유지되며, 이에 의해서 조작체(30)도 원점위치에 유지된다.
조작체(30)를 X방향으로 조작하면, 하단의 이동체(40B)가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접촉자(50B)가 장착기판(1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X방향의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당행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40B)의 이동에 따라서 스프링(60B)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나, 압압부분(26B),(26B)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당하기 때문에, 스프링(60B)이 축방향으로 압압되어 압축된다. 이 때문에, 조작체(30)에 부가되어 있는 외력을 제거하면, 이동체(40B)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조작체(3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조작체(30)를 Y방향으로 조작하면, 상단의 이동체(40A)가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접촉자(50A)가 장착기판(10)위의 대응하는 저항회로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이동량에 대응한 전기신호가 출력되어, 당행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이동체(40A)의 이동에 따라서 스프링(60A)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나, 압압부분(26A),(26A)의 한쪽에서 그 이동이 저지당하기 때문에, 스프링(60A)이 축방향으로 압압되어 압축된다. 이 때문에, 조작체(30)에 부가되어 있는 외력을 제거하면, 이동체(40A)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고, 이에 의해서 조작체(30)도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한다.
이들 조작의 조합에 의해, 조작체(30)의 X-Y방향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당해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입력된다.
또, 스프링(60A)은,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A)과 이동체(40A)의 돌출부분(43A)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프링(60B)은,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B)과 이동체(40B)의 돌출부분(4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60A),(60B)를 배설함으로 말미아믄 장치바깥치수의 증대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60A),(60B)을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이동체(40A),(40B)의 돌출부분(43A),(43B)의 상면에 형성하고, 이동체(40A),(4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는 압압부분을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A),(23B)의 하면에 형성하였으나, 스프링(60A),(60B)을 수용하는 수용부분을 상부케이스(20a)의 플랜지부분(23A),(23B)의 하면에 형성하고, 이동체(40A),(40B)의 이동시에 스프링(60A),(60B)을 압축하는 압압부분을 이동체(40A),(40B)의 돌출부분(43A),(43B)의 하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포인팅장치는, 신호출력수단으로서 볼륨을 사용하므로, 자기적인 신호출력수단을 사용하는 것보다 소형이고 염가이다. 또한, 케이스내에 수용되는 1쌍의 이동체의 각한쪽부분을 케이스의 밖으로 돌출시켜, 각돌출부분에 장착된 접촉자를, 케이스가 고정되는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시킴으로써, 볼륨은 구성하므로, 케이스내의 전용기판을 불필요하게 한다. 또, 당해장치를 상기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납땜이나 커넥터에 의한 접속을 불필요하게 한다. 이 때문에, 볼륨을 사용하는 종래장치와 비교해서 부품점수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박형화 및 실장작업공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1쌍의 이동체를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조작체가 원점위치로 자동복귀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1쌍의 이동체의 각 돌출부분에 위쪽으로부터 씌워지도록 케이스의 거의 직각의 2변부분을 옆쪽으로 플랜지하고, 각 플랜지부분과 각 돌출부분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스프링을 설치함으로 말미아믄 포인팅장치의 대형화를 가급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Claims (3)

  1. 기판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X-Y방향의 신호입력을 위하여 케이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주위모든 방향으로 슬라이드조작되는 슬라이드식의 조작체와,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에 따라서 케이스내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한쪽부분이 케이스의 밖으로 돌출해서 상기 기판의 표면에 대향하는 1쌍의 이동체와, 1쌍의 이동체의 각 돌출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저항회로에 미끄럼접촉함으로써 볼륨을 구성하는 1쌍의 접촉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1쌍의 이동체를 원점위치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1쌍의 이동체의 각 돌출부분에 위쪽으로부터 씌워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거의 직각의 2변부분을 옆쪽으로 플랜지하고, 각 플랜지부분과 각 돌출부분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장치.
KR10-2000-0062855A 2000-01-21 2000-10-25 포인팅장치 KR100403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3188A JP3621860B2 (ja) 2000-01-21 2000-01-21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0-13188 2000-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63A KR20010086263A (ko) 2001-09-10
KR100403266B1 true KR100403266B1 (ko) 2003-10-30

Family

ID=1854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855A KR100403266B1 (ko) 2000-01-21 2000-10-25 포인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67733B2 (ko)
EP (1) EP1118957A3 (ko)
JP (1) JP3621860B2 (ko)
KR (1) KR100403266B1 (ko)
CN (1) CN1187679C (ko)
HK (1) HK10338623A1 (ko)
TW (1) TW495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44B1 (ko) * 2002-06-28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스위치 조립체
US7429976B2 (en) * 2003-11-24 2008-09-3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ompact pointing device
US7570247B2 (en) * 2003-11-24 2009-08-0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PL211215B1 (pl) * 2003-12-05 2012-04-30 Patrycjusz Kosuń Komputerowe urządzenie wskazujące
JP4475092B2 (ja) * 2004-10-20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の中点復帰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操作用電子部品
US7978173B2 (en) 2005-01-14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including a moveable puck with mechanical detents
US7586480B2 (en) 2005-02-28 2009-09-0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Hybrid pointing device
JP2007004705A (ja) * 2005-06-27 2007-01-11 Mitsumi Electric Co Ltd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4566088B2 (ja) * 2005-08-05 2010-10-20 任天堂株式会社 操作部材の原点復帰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入力装置
TWI306688B (en) * 2005-11-18 2009-02-21 Sunplu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adaptively driving a tracking element with mechanical devi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701440B2 (en) * 2005-12-19 2010-04-20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inting device adapted for small handheld devices having two display modes
US7733327B2 (en) * 2006-04-19 2010-06-0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Re-centering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US20070247446A1 (en) * 2006-04-25 2007-10-25 Timothy James Orsley Linear positioning input device
US7889176B2 (en) * 2006-07-18 2011-02-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US20080024441A1 (en) * 2006-07-25 2008-01-31 Jonah Harley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 and method
US7737945B2 (en) * 2006-07-28 2010-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inting device with moveable magnetic disc and method
US9141230B2 (en) 2006-08-30 2015-09-22 Avao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sensing in displacement type input apparatus and methods
US7639234B2 (en) * 2007-01-04 2009-12-29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and absolute position mapping in displacement type pointing devices
JP5317433B2 (ja) * 2007-06-06 2013-10-16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エル.エル.シー. 酸性金合金めっき液
US8232963B2 (en) * 2007-08-27 2012-07-31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ontrol and data entry apparatus
US20090058802A1 (en) * 2007-08-27 2009-03-05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Input device
US7978175B2 (en) * 2007-11-23 2011-07-1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agnetic re-centering mechanism for a capacitive input device
US20090135157A1 (en) * 2007-11-27 2009-05-2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apacitive Sensing Input Device with Reduced Sensitivity to Humidity and Condensation
KR100911801B1 (ko) * 2008-11-18 2009-08-12 주식회사 아이엠스토리지 마우스 장치
CN102053725B (zh) * 2009-11-11 2013-02-2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指向装置
JP5539790B2 (ja) * 2010-06-11 2014-07-02 任天堂株式会社 操作部材の取り付け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3637U (ko) * 1988-02-29 1989-09-12
JPH05158609A (ja) * 1991-12-04 1993-06-25 Fujitsu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H0575831U (ja) * 1992-03-17 1993-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X−y方向入力装置
JPH08123609A (ja) * 1994-10-26 1996-05-17 Mitsumi Electric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9303B1 (ko) * 1971-02-03 1976-12-25
US4670743A (en) * 1985-01-31 1987-06-0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Keyboard cursor controller
US5541622A (en) * 1990-07-24 1996-07-30 Incontrol Solutions, Inc. Miniature isometric joystick
DE4034166A1 (de) * 1990-10-26 1992-04-30 Cherry Mikroschalter Gmbh Cursorvorrichtung mit nullpunktrueckstellung
US5696537A (en) * 1991-06-20 1997-12-09 Tandberg Data Storage As Mouse for data entry and control with control of ball friction force
US5327162A (en) * 1992-03-17 1994-07-05 Alps Electric Co., Ltd. X-y direction input device
US5293158A (en) * 1992-05-05 1994-03-08 Alps Electric Co., Ltd. X-Y direction input device
JPH08321409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ライド形可変抵抗器
JPH09330171A (ja) * 1996-06-12 1997-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US6034670A (en) * 1996-09-30 2000-03-07 Chen; Mei Yun Cursor positioning apparatus
US5808603A (en) * 1997-02-06 1998-09-15 Chen; Mei Yun Computer input device
US6091401A (en) * 1997-06-02 2000-07-18 Chen; Mei Yun Device for controlling a cursor to rotate rightwards and leftwards and the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3637U (ko) * 1988-02-29 1989-09-12
JPH05158609A (ja) * 1991-12-04 1993-06-25 Fujitsu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H0575831U (ja) * 1992-03-17 1993-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X−y方向入力装置
JPH08123609A (ja) * 1994-10-26 1996-05-17 Mitsumi Electric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63A (ko) 2001-09-10
US20010009412A1 (en) 2001-07-26
US6667733B2 (en) 2003-12-23
JP3621860B2 (ja) 2005-02-16
JP2001202198A (ja) 2001-07-27
EP1118957A3 (en) 2004-03-17
CN1187679C (zh) 2005-02-02
CN1317737A (zh) 2001-10-17
EP1118957A2 (en) 2001-07-25
TW495707B (en) 2002-07-21
HK10338623A1 (en) 200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66B1 (ko) 포인팅장치
US6919519B2 (en) Multifunctional switch
JP3732380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3923253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US6524140B2 (en) Connector excellent in reliability of contact
KR20010076393A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JP4363155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99800239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US5957272A (en) Push button for control panels
JP2007128731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US20040067665A1 (en) Socket connector and contact for use in a socket connector
KR20080108905A (ko)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1270478B1 (ko)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JP2003345509A (ja) 信号入力装置
CA1312352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H0427059Y2 (ko)
JPH11232964A (ja) 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H077039U (ja) ディップスイッチ
JPH05166436A (ja) スイッチ
JPH08222305A (ja) ピンターミナルスイッチ
JPH10223093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