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941A -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941A
KR19980023941A KR1019970003668A KR19970003668A KR19980023941A KR 19980023941 A KR19980023941 A KR 19980023941A KR 1019970003668 A KR1019970003668 A KR 1019970003668A KR 19970003668 A KR19970003668 A KR 19970003668A KR 19980023941 A KR19980023941 A KR 19980023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ody
wafer
coil spring
torsion co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483B1 (ko
Inventor
와따루 오구찌
요시마사 구로다
다쯔아끼 가와세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마사다까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마사다까, 아루푸스 덴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마사다까
Publication of KR1998002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점수가 적어 소형화에 적합하고, 조작성이 우수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정접점(10 내지 13)을 가지는 웨이퍼(1)와, 이 웨이퍼(1)에 회전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2)와, 이 조작체(2)에 설치된 가동접점(27a, 28a)을 가지는 섭동자(3)와, 조작체(2)에 감겨진 비틀림코일스프링(4)을 구비하고,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양 아암부(4b, 4c)를 웨이퍼(1)의 계합단부(8a, 8b)에 계지한다. 이로써 조작체(2)의 회전조작시 가동접점(27a)이 고정접점(10, 11)과 접촉함으로써 제 1전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4)중 어느 한쪽의 아암부(4b, 4c)가 휘어짐으로써 조작체(2)에 대하여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한다. 또 조작체(2)의 압입조작시 가동접점(27a)이 고정접점(12)과 슬라이딩접촉함으로써 제 2전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양 아암부(4b, 4c)가 휘어짐으로써 조작체(2)에 대하여 상기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한다.

Description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비디오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에 구비되고, 회전조작 또는 슬라이드조작과 압입조작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조작에 의하여 각각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전화 등에 있어서는 회전조작형 전기부품인 로터리스위치와 압입조작형 전기부품인 택트스위치를 서로 근접하여 따로따로 설치하고, 로터리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전기신호에 의하여 예를 들어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택트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2전기신호에 의하여 예를 들어 호출한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선택한 전화번호를 자동다이얼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회전조작형 전기부품(로터리스위치)과, 압입조작형 전기부품(택트스위치)을 따로따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두 개의 전기부품을 병설하려면 수납공간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복합조작할 때, 사용자의 임의대로 로터리스위치의 조작체를 손가락으로 회전조작하고 나서 그 손가락을 이동하여 택트스위치의 조작체를 압입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조작체를 웨이퍼회전(또는 슬라이드)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하고, 그 조작체에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휘감음과 동시에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웨이퍼에 탄성접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조작체에 휘감긴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웨이퍼에 탄성접촉하면, 조작체의 회전 또는 슬라이드조작시 비틀림코일스프링의 한쪽 아암부가 휘어져 조작체에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하고, 조작체의 압입조작시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쪽의 아암부가 휘어져 조작체에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한 개의 조작체에 의하여 회전 또는 슬라이드조작과 압입조작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도 2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회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3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압입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4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조립사시도,
도 6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된 웨이퍼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도 8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으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클릭기구의 요부단면도,
도 12는 클릭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클릭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클릭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
도 15는 클릭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웨이퍼2 : 조작체
3 : 섭동자4 : 비틀림코일스프링
4a : 감김부4b, 4c : 아암부
8 : 벽부8a, 8b : 계합단부
9 : 지지축10, 11 : 회전검출용 고정접점
12 : 압입검출용 고정접점13 : 공통고정접점
14 : 단부15 : 오목부
24 : 돌기27a, 28a : 가동접점
31 : 웨이퍼32 : 조작체
33 : 섭동자34 : 비틀림코일스프링
34a : 감김부34b, 34c : 아암부
37 : 가이드홈38a, 38b : 가이드홈
39 : 단부48 : 돌기
42, 43 : 슬라이드검출용 고정접점
44 : 압입검출용 고정접점45 : 공통고정접점
51, 52 : 돌기54 내지 57 : 가동접점
62, 66 : 제 1돌기63, 67 : 제 2돌기
64, 65, 68 : 돌기
본 발명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서는 회전검출용 및 압입검출용의 각 고정접점을 가지는 웨이퍼와, 이 웨이퍼에 회전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이 조작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속이탈가능한 가동접점과, 감김부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하는 센터복귀용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상기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각각 상기 웨이퍼에 탄성접촉하고 있다.
상기 조작체의 오조작을 방지하기위해서는 웨이퍼와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 돌기를 마련하고, 다른 쪽에는 이 돌기를 조작체의 센터위치에서 받아들이기 가능한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같이 하면, 조작체의 회전조작중 압입조작이나 압입조작중의 회전조작이 규제된다.
또 본 발명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서는 슬라이드검출용 및 압입검출용의 각 고정접점을 가지는 웨이퍼와, 이 웨이퍼에 슬라이드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이 조작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접점에 접속이탈가능한 가동접점과, 감김부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하는 센터복귀용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상기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각각 상기 웨이퍼에 탄성접촉하고, 상기 웨이퍼와 상기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방향과 압입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을 마련하고, 다른쪽에 이 가이드홈에 계합하는 돌기를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에 씌워지는 덮개부재중 어느 한쪽에 고정측 클릭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체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동접점의 적어도 한 개에 가동측 클릭부를 설치하면, 상기 조작체를 압입조작하였을 때 가동측 클릭부가 고정측 클릭부와 계탈하여 클릭(절도)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클릭감을 내기위한 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절감이 도모된다.
(실시예)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제 1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도 2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회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3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을 압입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4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조립사시도, 도 6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웨이퍼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 개구(1a)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웨이퍼(1)와, 이 웨이퍼(1)에 회전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2)와, 이 조작체(2)의 하면에 고정된 도전성탄성판으로 이루어지는 섭동자(3)와, 중앙의 감김부(4a)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4b, 4c)가 돌출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4)과, 웨이퍼(1)내에 설치된 클릭판(5)과, 웨이퍼(1)의 상부개구(1a)를 덮는 덮개부재(6)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웨이퍼(1)는 대략 원형의 내저부(7)와 이 내저부(7)의 주위에 모든 주위에 걸쳐 세워설치된 벽부(8)를 구비하고 있고, 벽부(8)에는 한쌍의 계합단부(8a, 8b)가 형성되어 있다. 내저부(7)의 중앙에는 조작체(2)를 지지하는 지지축(9)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지지축(9)의 압입방향의 바로앞측(도 6의 상측)에는 이 압입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9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저부(7)에는 조작체(2)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검출용 고정접점(10, 11)과, 이들 고정접점(10, 11)에 대하여 압입방향의 안길이측(도 6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압입검출용 고정접점(12)과, 지지축(9)을 사이에 끼워 고정접점(12)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조작체(2)의 회전방향 및 압입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통고정접점(13)이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들 고정접점(10 내지 13)은 각각 외부단자(10a 내지 13a)로서 웨이퍼(1)의 벽부(8)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벽부(8)의 압입방향의 바로앞측은 지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상부분에 단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14)는 조작체(2)의 회전범위를 규정하는 것으로 단부(14)의 중앙부분에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벽부(8)의 압입방향의 안길이측(도 6의 하측)에 설치구멍(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2)는 좌우대칭형상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웨이퍼(1)내에 설치되는 기부 (17)와, 웨이퍼(1)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부(18)와, 이들 기부 (17)와 조작부(18)를 연결하는 연결부(19)를 가지며 연결부(19)는 웨이퍼(1)의 단부(14)에 끼워통하게 되어 있다. 기부 (17)의 중앙에 원통상의 보스(21)가 입설되어 있고, 이 보스(21)에 마련된 긴구멍(20)은 조작체(2)의 압입방향으로 뻗고, 이 긴구멍(20)에 상기 지지축(9)이 끼워통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긴구멍(20)의 주위에 환상홈(1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홈(17a)으로부터 각각 비스듬히 위쪽을 향하여 한쌍의 계합홈(22, 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감김부(4a)는 보스(21)에 휘감겨져 환상홈(17a)내에 위치되어 있고, 양 아암부(4b, 4c)는 계합홈(22, 23)을 지나 웨이퍼(1)의 계합단부(8a, 8b)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긴구멍(20)의 압입방향의 바로앞측에는 이 긴구멍(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20a)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비조작시나 도 2에 나타내는 회전조작시 긴구멍(20)의 평면(20a)과 지지축(9)의 평면(9a)은 떨어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고,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압입조작시 상기 평면(20a)과 평면(9a)은 서로 접촉한다.
상기 조작부(18)는 기부 (17)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부(18)의 중앙내측에는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회전조작시 이 돌기(24)는 웨이퍼(1) 단부(14)의 외측을 이동하게 되나,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센터위치에서의 압입조작시 돌기(24)는 웨이퍼(1)의 오목부(15)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섭동자(3)는 기부 (17)의 하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설치부(25, 26)와, 이들 설치부(25, 26)간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딩접촉부(27, 28)를 가지며, 이들은 일체적으로 좌우대칭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접촉부(27, 28)의 중앙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가동접점(27a, 28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가동접점(28a)은 상기 공통고정접점(13)과 항시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 1내지 도 3에서 가동접점(27a, 28a)의 상대적위치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동접점(27a, 28a)을 각각 내부에 해칭을 행한 타원 및 원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고정접점(10 내지 13) 및 외부단자(10a 내지 13a)를 각각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덮개부재(6)에는 복수의 계지부(29)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계지부(29)를 웨이퍼(1)의 벽부(8)를 따라 삽입하고, 그 선단을 절곡하여 웨이퍼(1)의 하면에 계지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웨이퍼(1)의 상부개구(1a)가 덮개부재(6)에 의하여 덮혀지게 된다.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비조작시,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양 아암부(4b, 4c)가 웨이퍼(1)의 계합단부(8a, 8b)에 각각 계지되고, 감김부(4a)가 조작체(2)의 보스(21)에 휘감겨져 있기 때문에 조작체(2)에 대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4)으로부터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때, 조작체(2)의 돌기(24)는 웨이퍼(1)의 오목부(15)와 대향함과 동시에 조작체(2)의 긴구멍(20)의 평면(20a)과 지지축(9)의 평면(9a)과는 떨어져 있다. 또 섭동자(3)의 가동접점(28a)은 공통고정접점(13)에 항시 접촉하고 있으나, 다른 가동접점(27a)은 다른 고정접점(10 내지 12)중 어느곳에도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로터리스위치와 푸시스위치는 모두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작체(2)에 연동하여 섭동자(3)도 지지축(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섭동자(3)의 가동접점(27a)이 회전검출용 한쪽의 고정접점(11)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11a)와 공통외부단자(13a)가 도통하고, 로터리스위치만이 온상태로 되어 제 1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한쪽의 아암부(4b)는 웨이퍼(1)의 계합단부(8a)에 계지되어 있으나, 다른쪽 아암부(4c)는 조작체(2)의 계합홈(23)의 단부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압압되어 계합단부(8b)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이들 아암부(4b, 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조작체(2)에 대하여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조작부(18)를 놓으면, 조작체(2)는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가세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리턴하고, 가동접점(27a)이 회전검출용 고정접점(11)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로터리스위치는 다시 오프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체(2)의 회전조작중 돌기(24)는 오목부(15)로부터 떨어져 단부(14)의 외측을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체(2)의 회전조작시 잘못하여 압입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돌기(24)가 단부(14)에 서로 접촉하여 조작체(2)를 압압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체(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체(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한 경우도 섭동자(3)의 가동접점(28a)이 공통고정접점(13)에 항시 접촉함과 동시에 다른 가동접점(27a)이 회전검출용 다른 쪽의 고정접점(10)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10a)와 공통외부단자(13a)가 도통하고, 로터리스위치만이 온상태가 되어 제 1전기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조작체(2)의 비조작상태로부터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압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작체(2) 및 섭동자(3)가 긴구멍(2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클릭판(5)이 기부 (17)에 압압되어 좌굴변형되기 때문에 클릭(절도)감이 생김과 동시에 섭동자(3)의 가동접점(27a)이 압입검출용 고정접점(12)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12a)와 공통외부단자(13a)가 도통하고, 푸시스위치만이 온상태가 되어 제 2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양아암부(4b, 4c)는 웨이퍼(1)의 계합단부(8a, 8b)에 계지되어 있으나, 감김부(4a)가 조작체(2)의 보스(21)에 의하여 압입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들 아암부(4b, 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조작체(2)에 대하여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조작부(18)를 놓으면, 조작체(2)는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가세력으로 상승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리턴하고, 가동접점(27a)이 압입검출용 고정접점(12)으로부터 떨어지며, 푸시스위치는 다시 오프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체(2)의 압입조작중 돌기(24)는 오목부(15)의 내부를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체(2)의 압입조작시에 잘못하여 회전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돌기(24)가 오목부(15)의 벽면에 서로 접촉하여 조작체(2)를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경우도 조작체(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투시도, 도 8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개구(30)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웨이퍼(31)와, 이 웨이퍼(31)에 슬라이드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되는 조작체(32)와, 이 조작체(32)의 하면에 고정된 도전성탄성판으로 이루어지는 섭동자(33)와, 중앙의 감김부(34a)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34b, 34c)가 돌출하는 비틀림코일스프링(34)과, 웨이퍼(31)의 상부개구(30)를 덮는 덮개부재(3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퍼(31)는 장방형상의 내저부(36)를 가지고, 이 내저부(36)에는 조작체(32)의 슬라이드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37)과, 이 가이드홈(37)과 직교하여 상기 조작체(32)의 압입방향으로 뻗는 두 개의 다른 가이드홈(38a, 38b)이 형성되어 있다. 웨이퍼(31)의 슬라이드방향의 바로앞측에는 단부(39)가 형성되고, 이 단부(39)는 조작체(32)의 슬라이드범위를 규정하는 것으로, 단부(39)의 양단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아암부(34b, 34c)를 계지하는 계지부(40, 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웨이퍼(31)의 내저부(36)에는 도 7의 상부 및 하부(슬라이드방향의 양단측)에 각각 위치하는 슬라이드검출용 고정접점(42, 43)과, 도 7의 우측(압입방향의 안길이측)에 위치하는 압입검출용 고정접점(44)과, 조작체(32)의 슬라이드방향 및 압입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섭동자(33)가 항시 접촉하는 고정접점(45)이 일체성형되어 있고, 이들 고정접점(42 내지 45)은 각각 외부단자(42a, 45a)로서 웨이퍼(31)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32)는 상기 웨이퍼(31)내에 위치하는 기부 (46)와, 웨이퍼(31)의 단부(39)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부(47)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 (46)의 상면중앙에는 돌기(48)가 세워져 설치되고, 기부 (46) 상면의 양측부에는 한쌍의 벽부(49, 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감김부(34a)는 돌기(48)에 휘감겨져 있고, 양 아암부(34b,34c)는 각각 벽부(49, 50)에 계지되어 있다. 기부 (46)의 하면에는 한쌍의 돌기(51, 5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51, 52)는 상기 가이드홈(37) 및 다른 가이드홈(38a)과 계합하고 있다.
상기 섭동자(33)는 기부 (46)의 하면에 설치되는 설치부(53)와 이 설치부(53)로부터 한쪽측으로 뻗는 한쌍의 가동접점(54, 55)과, 다른쪽측으로 뻗는 한쌍의 가동접점(56, 57)으로 일체적으로 좌우대칭형상으로 구성되고, 이들 중 가동접점(57)은 상기 공통고정접점(45)과 항시 접촉하고 있다.
상기 덮개부재(35)에는 한쌍의 계지부(58)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계지부(58)를 웨이퍼(31)의 측면을 따라 삽입하여 스냅결합함으로써 웨이퍼(31)의 상부개구(30)는 덮개부재(35)로 덮여져 있다.
이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낸 조작체(32)의 비조작시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양 아암부(34b, 34c)가 웨이퍼(31)의 계지부(40, 41)에 각각 계지되고, 감김부(34a)가 조작체(32)의 돌기(48)에 휘감겨져 있기 때문에 조작체(32)에 대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34)으로부터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때, 조작체(32)의 돌기(51)는 가이드홈(37)에 계합함과 동시에 다른 가이드홈(38a)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다른 돌기(52)도 가이드홈(37)에 계합함과 동시에 다른 가이드홈(38b)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섭동자(33)의 가동접점(57)은 공통고정접점(45)에 항시 접촉하고 있으나, 다른 가동접점(54 내지 56)은 모두 다른 고정접점(42 내지 44)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스위치와 푸시스위치는 모두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32)의 조작부(47)를 도 7의 아래쪽으로 슬라이드조작하면, 조작체(32)에 연동하여 섭동자(33)도 슬라이드하고, 이 섭동자(33)의 가동접점(57)이 공통고정접점(45)에 항시 접촉함과 동시에 다른 가동접점(54)이 슬라이드검출용 고정접점(43)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43a)와 공통외부단자(45a)가 도통하고, 슬라이드스위치만이 온상태로 되어 제 1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한쪽 아암부(34b)는 웨이퍼(31)의 계지부(40)에 계지되어 있으나, 다른쪽의 아암부(34c)는 조작체(32)의 벽부(50)에 의하여 슬라이드방향으로 압압되어 계지부(41)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양 아암부(34b, 3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조작체(32)에 대하여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조작체(32)의 조작부(47)를 놓으면, 조작체(32)는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가세력으로 도 7의 위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가동접점(54)이 슬라이드검출용 고정접점(43)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드스위치는 다시 오프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체(32)의 슬라이드조작중 조작체(32)의 양 돌기(51, 52)는 한쪽의 가이드홈(37)을 따라 슬라이드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체(32)의 슬라이드조작시 잘못하여 삽입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양 돌기(51, 52)를 다른 가이드홈(38a, 38b)을 따라 밀어넣을 수 없어 조작체(3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작체(32)를 도 7의 위쪽으로 슬라이드조작한 경우, 섭동자(33)의 가동접점(57)이 공통고정접점(45)에 항시 접촉함과 동시에 다른 가동접점(56)이 슬라이드검출용 다른 고정접점(42)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42a)와 공통외부단자(45a)가 도통하고, 슬라이드스위치만이 온상태로 되어 제 1전기신호가 출력된다.
또 조작체(32)가 도 7에 나타낸 센터위치에 있을 때, 이 조작체(32)의 조작부(47)를 도 7의 우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체(32)의 돌기(51, 52)가 각각 가이드홈(38a, 38b)을 따라 압입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섭동자(33)의 가동접점(55)이 압입검출용 고정접점(44)에 접촉하기 때문에 외부단자(44a)와 공통외부단자(45a)가 도통하고, 푸시스위치만이 온상태로 되어 제 2전기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양 아암부(34b, 34c)는 웨이퍼(31)의 계지부(40, 41)에 계지되어 있으나, 감김부(34a)가 조작체(32)의 돌기(48)에 의하여 도 7의 우방향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양 아암부(34b, 34c)가 닫히는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조작체(32)에 대하여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 조작체(32)의 조작부(47)를 놓으면, 조작체(32)는 비틀림코일스프링(34)의 가세력으로 도 7의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센터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가동접점(55)이 압입검출용 고정접점(44)으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푸시스위치는 다시 오프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체(32)의 압입조작중 조작체(32)의 양 돌기(51, 52)는 가이드홈(38a, 38b)을 따라 압입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체(32)의 압입조작시에 잘못하여 슬라이드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양 돌기(51, 52)를 다른 가이드홈(37)을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는 없음으로 이 경우도 조작체(32)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 3실시예에 관한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서 덮개부재를 제거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상기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 구비되는 클릭기구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1 내지 도 6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달고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은 상기한 제 1실시예의 클릭판(5)을 사용하는 대신 조작체(2)와 덮개부재(6)로 클릭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덮개부재(6)에는 슬릿(60)에 의하여 두개의 들보모양의 변형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변형부(61)의 중앙에 고정측 클릭부로서의 제 1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체(2)의 기부 (17)에는 가동측 클릭부로서의 제 2돌기(6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돌기(63)는 덮개부재(6)의 이면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이 클릭기구이외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 1실시예의 복합조작형 전기부품과 기본적으로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낸 비조작상태로부터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체(2)는 긴구멍(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조작체(2)의 기부 (17)에 형성한 제 2돌기(63)가 덮개부재(6)에 형성한 변형부(61)의 이면을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돌기(63)가 제 1돌기(62)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클릭감이 생긴다. 따라서 클릭판(5)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조립작업성을 높힐 수 있다. 또 제 1돌기(62)나 제 2돌기(63)의 크기 등을 바꿈으로써 클릭감을 적절한 느낌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 1돌기(62)의 폭을 넓게 하여 제 2돌기(63)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면, 더욱 강한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조작체(2)를 센터위치로부터 회전조작할 때 조작체(2)가 잘못하여 압입조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3실시예에서는 고정측 클릭부로서의 제 1돌기(62)를 덮개부재(6)에 형성하고, 가동측 클릭부로서의 제 2돌기(63)를 조작체(2)의 기부 (17)에 형성하고, 이들 제 1돌기(62)와 제 2돌기(63)로 클릭기구를 구성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고정측 클릭부와 가동측 클릭부를 다른 부재에 형성하여도 동등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웨이퍼(1)의 내저부(7)에 고정측 클릭부로서의 돌기(64)를 형성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감김부(4a)를 가동측 클릭부로서 겸용하고 있고, 돌기(64)를 조작체(2)의 기부 (17)에 개방설치한 구멍(64)내에 면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비조작상태에서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체(2)의 보스(21)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감김부(4a)가 돌기(64)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클릭감이 생기게 된다.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웨이퍼(1)의 벽부(8)에 형성된 한쪽의 계합단부(8b)를 고정측 클릭부로서 겸용하고, 이 계합단부(8b)에 계지되는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아암부(4c)에 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비틀림코일스프링(4)은 조작체(2)의 압입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조립되어 있고, 대략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계합단부(8a)에 계지하는 아암부(4b)에 의하여 조작체(2)는 센터위치로의 복귀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비조작상태에서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체(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아암부(4c)의 돌기(65)가 계합단부(8b)를 타고 넘음으로써 클릭감이 생기게 된다.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웨이퍼(1)의 내저부(7)에 고정측 클릭부로서의 제 1돌기(66)를 형성함과 동시에 섭동자(3)에 가동측 클릭부로서의 제 2돌기(67)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 2돌기(67)는 웨이퍼(1)의 내저부(7)에 탄성접촉하고 있으나, 스위치의 변환동작에 관여하지 않는 더미접점이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낸 비조작상태에서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체(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섭동자(3)의 제 2돌기(67)가 웨이퍼(1)의 제 1돌기(66)를 타고 넘음으로써 클릭감이 생기게 된다.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재(6)에 고정측 클릭부로서의 돌기(68)를 형성함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4)의 감김부(4a)를 가동측 클릭부로서 겸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낸 비조작상태에서 조작체(2)의 조작부(18)를 웨이퍼(1)의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체(2)의 보스(21)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감김부(4a)가 돌기(68)를 타고 넘음으로써 클릭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실시예나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클릭기구는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슬라이드조작과 압입조작을 행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같은 효과를 가진다.
조작체를 웨이퍼에 회전가능하고 또한 압입가능하게 유지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웨이퍼에 탄성접촉함으로써 회전과 압입이라는 다른 두 개의 조작을 한 개의 조작체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웨이퍼와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 돌기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이 돌기를 조작체의 센터위치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조작체의 회전조작중의 압입조작이나 압입조작중의 회전조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작체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체를 웨이퍼에 슬라이드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하여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웨이퍼에 탄성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와 압입이라는 다른 두 개의 조작을 한 개의 조작체로 행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적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와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방향과 압입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을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이 가이드홈에 계합하는 돌기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조작시 또는 압입조작시에 조작체의 이동이 가이드홈을 따라 원활함과 동시에 조작체의 슬라이드조작중의 압입조작이나 압입조작중의 슬라이드조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작체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에 피착한 덮개부재중 어느 한쪽에 고정측 클릭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체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동접점의 적어도 한 개에 가동측 클릭부를 설치하면, 상기 조작체를 압입조작하였을 때 가동측 클릭부가 고정측 클릭부와 계탈하여 클릭(절도)감을 생기게 하기 때문에 클릭감을 내기 위한 부재를 별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절감이 도모된다.

Claims (6)

  1. 회전검출용 및 압입검출용의 각 고정접점을 가지는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에 회전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이탈가능한 가동접점과,
    감김부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하는 센터복귀용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상기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각각 상기 웨이퍼에 탄성접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와 상기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를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조작체의 센터위치에서 상기 돌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3. 슬라이드검출용 및 압입검출용 각 고정접점을 가지는 웨이퍼와,
    상기 웨이퍼에 슬라이드가능하고 압입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이탈가능한 가동접점과,
    감김부의 양단으로부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하는 센터복귀용 비틀림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감김부를 상기 조작체에 휘감음과 동시에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의 양 아암부를 각각 상기 웨이퍼에 탄성접촉하고,
    상기 웨이퍼와 상기 조작체중 어느 한쪽에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방향과 압입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을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가이드홈에 계합하는 돌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에 덮개부재를 피착하고, 이들 웨이퍼와 덮개부재중 어느 한쪽에 고정측 클릭부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체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동접점의 적어도 한 개에 상기 조작체의 압입조작시 상기 고정측 클릭부와 계탈하는 가동측 클릭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에 덮개부재를 피착하고, 이들 웨이퍼와 덮개부재중 어느 한쪽에 고정측 클릭부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체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동접점의 적어도 한 개에 상기 조작체의 압입조작시 상기 고정측 클릭부와 계탈하는 가동측 클릭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에 덮개부재를 피착하고, 이들 웨이퍼와 덮개부재중 어느 한쪽에 고정측 클릭부를 설치하며, 상기 조작체와 상기 비틀림코일스프링 및 상기 가동접점의 적어도 한 개에 상기 조작체의 압입조작시 상기 고정측 클릭부와 계탈하는 가동측 클릭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19970003668A 1996-02-07 1997-02-06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258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5396 1996-02-07
JP8-21353 1996-02-07
JP8-239481 1996-09-10
JP23948196A JP3793290B2 (ja) 1996-02-07 1996-09-10 複合操作型電気部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838A Division KR100340481B1 (ko) 1996-02-07 1999-12-23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41A true KR19980023941A (ko) 1998-07-06
KR100258483B1 KR100258483B1 (ko) 2000-06-15

Family

ID=26358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668A KR100258483B1 (ko) 1996-02-07 1997-02-06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19990060838A KR100340481B1 (ko) 1996-02-07 1999-12-23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838A KR100340481B1 (ko) 1996-02-07 1999-12-23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93290B2 (ko)
KR (2) KR100258483B1 (ko)
CN (1) CN1044167C (ko)
MY (1) MY128315A (ko)
TW (1) TW3537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469A (ja) 1999-04-21 2000-11-0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4217531B2 (ja) 2003-05-16 2009-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4213019B2 (ja) * 2003-11-17 2009-0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4513579B2 (ja) * 2005-01-18 2010-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US7381912B2 (en) 2005-09-05 2008-06-03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device using the same
KR100770751B1 (ko) * 2006-06-21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스위칭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4651587B2 (ja) * 2006-07-14 2011-03-16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機能型電子部品及びその組立方法
JP4338722B2 (ja) 2006-08-28 2009-10-07 ホシデン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08112671A (ja) * 2006-10-31 2008-05-15 Omron Corp スイッチ
JP4857183B2 (ja) * 2007-05-10 2012-01-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4521450B2 (ja) 2008-03-14 2010-08-11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5327400B2 (ja) * 2008-04-24 2013-10-30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5195304B2 (ja) * 2008-04-24 2013-05-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8001B1 (ko) * 2012-02-09 2013-05-27 주식회사 에이 씨 에스 키 스위치
CN103241192B (zh) * 2013-05-24 2016-03-16 显亮(昆山)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通用多功能方向盘开关
JP6414794B2 (ja) * 2014-11-28 2018-10-31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ダイヤル構造、及びこのダイヤル構造を用い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WO2023047649A1 (ko) * 2021-09-24 2023-03-30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264A (en) * 1988-06-16 1990-04-10 Continental Can Company, Inc. Rotar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481B1 (ko) 2002-06-12
KR20010081141A (ko) 2001-08-29
CN1044167C (zh) 1999-07-14
JPH09274830A (ja) 1997-10-21
KR100258483B1 (ko) 2000-06-15
MY128315A (en) 2007-01-31
CN1160919A (zh) 1997-10-01
JP3793290B2 (ja) 2006-07-05
TW353754B (en) 199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483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US6719577B2 (en) Card connector
JP3911774B2 (ja)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6211474B1 (en) Multi-input switch
KR20010088351A (ko) 포인팅장치
KR100420190B1 (ko) 복합 조작형 스위치장치
JP2012109204A (ja) スイッチ装置
US6943305B2 (en) Switch device
JP389086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20061492A (ko) 스위치장치
JP2004273199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63468B1 (ko) 푸시 스위치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3246648B2 (ja) スイッチ
JP2003345509A (ja) 信号入力装置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KR100690834B1 (ko) 조그 스위치 장치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KR100298507B1 (ko) 스위치
KR100220333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3882251B2 (ja) プッシュ機構付スライドスイッチ
JP3857621B2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JP2002015641A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