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507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507B1
KR100298507B1 KR1019970031582A KR19970031582A KR100298507B1 KR 100298507 B1 KR100298507 B1 KR 100298507B1 KR 1019970031582 A KR1019970031582 A KR 1019970031582A KR 19970031582 A KR19970031582 A KR 19970031582A KR 100298507 B1 KR100298507 B1 KR 10029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afer
switch
coil sp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553A (ko
Inventor
도루 와가츠마
다카유키 이타바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801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17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801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90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8001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Abstract

(과제) 스위치를 프린트기판 위에 실장(實裝)하였을 때의 부상(浮上)을 방지한다. 또, 스위치를 소형화하여도 접촉편(절환용 고정접점)과 비틀림 코일스프링(가동접점)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한다.
(해결수단) 제 1 웨이퍼의 기대(5)에 고정접점(6)을 삽입하고, 이 고정접점(6)의 외부단자(6b,6c,6d)를 기대(5)의 3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제 2 웨이퍼(2)에 금속판(14)을 삽입하고, 이 금속판(14)에 스냅편(15)과 외부단자(16) 및 접촉편(17)을 절곡형성하고, 이 외부단자(16)를 기대(13)의 일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시킨다.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는 스냅편(15)을 이용하여 적층시켜 일체화되게 하고, 이들 제 1 웨이퍼(1) 및 제 2 웨이퍼(2)의 내부에 가동접점으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4)과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4)을 구동하는 조작레버(3)를 끼워맞춘다.

Description

스위치
본 발명은 조작체의 회전 또는 누름조작에 의해서 '온/오프'절환동작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를 프린트기판 위에 납땜하였을 때의 부상방지구조(浮上防止構造)에 관한 것이다. 또, 조작체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가동접점으로서 겸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8624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를 개방한 합성수지제로 된 본체케이스와, 이 본체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조작레버와, 이 조작레버에 회전복귀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개략 구성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위치에서는, 본체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코먼(common)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이 배치되고, 이들 양 고정접점이 직각으로 절곡가공되어 각각 본체케이스의 하측으로 외부단자로서 도출되어 있다.
또, 비틀림 코일스프링은 가동접점으로서 기능하며, 복수회 감겨진 감김부의 양 단부에서 제 1 및 제 2 암부가 연장되어 있다. 제 1 암부는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코먼용 고정접점과 항시 접촉되어 있고, 제 2 암부는 "U"자형상으로 절곡되어 절환용 고정접점과 접촉/이탈이 가능하도록 대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는 프린트기판의 배선패턴에 각 외부단자를 납땜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스위치의 사용시에 있어서, 조작레버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가 절환용 고정접점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떨어진 초기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회전조작하면, 이 조작레버가 상기 제 2 암부를 눌러서 이 제 2 암부가 절환용 고정접점의 표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도통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절환된다. 또한, 조작레버를 누르는 압압력을 제거하면, 조작레버와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가 절환용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스위치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에서는 본체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고정접점의 외부단자가 필연적으로 본체케이스의 하측에서 도출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소위 면실장(面實裝)이라는 방법으로 프리트기판 위에 실장(package:구성요소를 배치하고 접속하는 것)하고, 각 외부단자의 판면을 프린트기판 표면의 랜드부에 크림납땜등을 이용하여 납땜하였을 경우, 납땜한 부위가 본체케이스의 한 쪽으로만 집중되게 되어 스위치가 납땜되지 않은 반대측에서 들뜨게 된다는, 즉 부상(浮上)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외부단자에 복잡한 굽힘가공을 하여 본체케이스의 다른 면에서 도출시키고, 이들 외부단자를 부상방지용 단자로서 프린트기판에 납땜한다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스위치의 소형화를 위해서 각 외부단자에 입체적인 굽힘가공을 하고서 삽입한다는 것은 제조기술을 고려하여 볼 때 큰 곤란성이 따르게 된다. 특히, 스위치의 실장(實裝)방향을 표면측과 이면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하고자 할 경우, 본체케이스의 한정된 공간에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을 복잡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스위치를 소형화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에서는, 웨이퍼의 내측 바닥면에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을 병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를 소형화하였을 경우에는 양 고정접점간의 절연성이 충분히 유지되지 않거나 양 고정접점에서 외부단자로의 회로형성에 큰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절환용 고정접점에 대한 제 2 암부의 접촉압이 제 2 암부의 형상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복잡한 굽힘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비틀림 코일스프링에 대한 가공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류의 다른 예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61-112535호, 실용신안공보 평4-36733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환용 고정접점으로서 클립형상의 고정접점을 이용한 푸시형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절환용 고정접점으로서의 1쌍의 클립편간의 스프링 용량을 높게 설정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측 암부가 양 클립편 사이에 끼워졌을 때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작은 클립편으로 충분한 스프링 용량을 낸다는 것은 가공상의 곤란성이 따르기 때문에 역시 스위치의 소형화에는 문제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에 구비된 제 1 웨이퍼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에 구비된 제 2 웨이퍼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제 2 웨이퍼에 구비된 접촉편의 측면도
도 7은 상기 접촉편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접촉편에 형성된 절곡편의 설명도
도 9는 상기 스위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상기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레버의 초기위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상기 스위치가 '온'상태로 되는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은 상기 스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레버의 종단위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상기 스위치를 프린트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상기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실장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웨이퍼 2 - 제 2 웨이퍼
3 - 조작레버 4 - 비틀림 코일스프링
4a - 감김부 4b - 제 1 암부
4c - 제 2 암부 5 - 기대(基台)
5b - 걸림돌기 6 - 고정접점
6a - 돌출부 6b,6c,6d,6e - 외부단자
7 - 절결부 8 - 지지축
8a - 큰지름부 8b - 작은지름부
9 - 가이드벽 10 - 위치결정부
11 - 홈 12 - 리브
13 - 기대 14 - 금속판
15 - 스냅편 16,16a,16b,16c - 외부단자
17 - 접촉편 18 - 접동면부(摺動面部)
18a - 절곡편 19 - 선회체
19a - 맞닿음부 21 - 프린프기판
본 발명은, 스위치의 외각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를,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基台)에서 납땜가능한 제 1 단자를 도출한 제 1 웨이퍼와, 이 제 1 웨이퍼에 일체화되게 적층(積層)되며,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서 납땜가능한 제 2 단자를 도출한 제 2 웨이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는 2개의 웨이퍼에 복수개의 단자를 나누어서 형성하면, 본체케이스의 임의의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자를 간단하게 도출시킬 수 있고, 이들 단자를 프리트기판 표면의 랜드부에 납땜함으로써 스위치의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각 외측표면이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 의해서 덮혀지기 때문에, 프린트기판 위에 실장할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활전부(活電部)가 적어지게 되어 실장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측 암부를 고정접점에 항시 탄성접촉되게 하고 타측 암부를 접촉편에 접촉/이탈되게 함으로써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가동접점으로서 기능하게 함과 아울러, 이들 고정접점과 접촉편을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는 웨이퍼와 커버에 나누어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커버측의 접촉편을 웨이퍼측의 기대에 누름접촉시켰을 때의 반발력에 의해서 접촉편과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암부와의 접촉압이 확보되기 때문에, 접촉편의 성형가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촉편은 웨이퍼와 별체로 된 커버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과 접촉편을 설치하는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넓어져서 접촉편이나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소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에서는, 코먼용 고정접점 및 절환용 고정접점을 가지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코먼용 고정접점에 항시 접촉하는 제 1 접점부 및 상기 절환용 고정접점에 접촉/이탈이 가능한 제 2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접점과, 상기 제 2 접점부를 상기 절환용 고정접점에 접촉/이탈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를,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서 납땜가능한 제 1 단자를 도출한 제 1 웨이퍼와, 이 제 1 웨이퍼에 적층되어 일체화되며,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서 납땜가능한 제 2 단자를 도출한 제 2 웨이퍼로 구성하였다.
상기 가동접점은 조작체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면 되나, 조작체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가동접점으로서 겸용하면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스위치의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 조작체는 누름조작되는 푸시타입, 회전조작되는 레버타입 어느 것으로 하여도 되지만, 양 타입 모두에 있어서의 조작체를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접합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면, 스위치를 프린트기판 위에 실장하였을 때에 조작체가 프린트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돌출되기 때문에, 스위치를 표면측/이면측 어느 상태에서라도 실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웨이퍼는 접촉편을 가지는 것이라면 전체를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도 되지만,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 접촉편을 가지는 금속판을 삽입한 제 2 웨이퍼를 이용하면,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각 외측표면이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 의해서 덮혀지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활전부가 적어지게 되어 스위치를 프린트기판 위에 납땜하였을 때의 실장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는 모두 부상방지용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고정접점과는 전기적으로 관계없는 더미(dummy)단자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제 1 단자가 코먼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이고 제 2 단자가 절환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인 경우, 이들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을 2개의 웨이퍼에 나누어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스위치의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에서는,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 고정접점을 설치한 제 1 웨이퍼와, 이 제 1 웨이퍼에 적층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누름접촉되는 접촉편을 가지는 제 2 웨이퍼와, 이들 제 1 웨이퍼와 제 2 웨이퍼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항시 접촉하는 제 1 암부와 상기 접촉편에 접촉/이탈이 가능한 제 2 암부를 가지는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에 탄성접촉하며 이 제 2 암부를 상기 접촉편과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 사이에서 미끄럼접촉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체는 누름조작되는 푸시타입, 회전조작되는 레버타입 어느 것으로 하여도 되지만, 양 타입 모두에 있어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에 의해서 복귀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접촉편은 외팔 보(cantileve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특히 "U"자형상으로 성형한 접촉편의 자유단측을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누름접촉하게 하면, 접촉편의 스프링 스팬(span)을 충분히 길게 하면서 전체 형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촉편의 자유단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와 미끄럼접촉하는 접동면부를 형성하고, 이 접동면부의 단부를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스위치를 '온'상태로 할 때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를 접촉편의 접동면부와 기대의 내측 바닥부 사이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리브를 돌출형성하고, 이 리부 위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를 맞닿게 하면, 스위치의 '온/오프'절환동작중에 제 2 암부가 리브 위를 미끄럼접촉하기 때문에, 양자간의 접동저항이 작아지게 되어 제 2 암부를 원활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웨이퍼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스치에 구비되는 제 2 웨이퍼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제 2 웨이퍼에 구비되는 접촉편의 측면도, 도 7은 상기 접촉면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접촉편에 형성된 절곡편의 설명도, 도 9는 상기 스위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도 12는 상기 스위치의 동작설명도, 도 13은 상기 스위치를 프린트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웨이퍼(1,2)와, 제 1 웨이퍼(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조작레버(3)와, 이 조작레버(3)에 회전복귀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는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는 본체케이스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웨이퍼(1)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기대(基台:5)를 가지며, 이 기대(5)에 고정접점(6)이 삽입되어 있다. 고정접점(6)은 기대(5)의 내측면을 따라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 돌출부(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접점(6)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5)의 내측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의 외부단자(6b,6c,6d)로서 기대(5)의 3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각 외부단자(6b,6c,6d)는 동일한 전위로 유지되어 있다.
기대(5)는 윗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일측면에 절결부(7)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절결부(7)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부상방지돌기(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타측면에 인접하는 양측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5b)가 형성되어 있다.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는 큰지름부(8a)와 작은지름부(8b)를 가지는 지지축(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8)의 큰지름부(8a)를 둘러싸도록 가이드벽(9)과 위치결정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벽(9)은 위치결정부(10)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벽(9)과 위치결정부(10)에 의해서 지지축(8) 주위에 링형상의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는 단면 반구(半球)형상의 리브(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브(12)는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웨이퍼(2)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기대(13)를 가지며, 이 기대(13)에 도전성 금속판(14)이 삽입되어 있다. 기대(13)는 제 1 웨이퍼(1)의 상부 개방단을 덮도록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14)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개의 스냅편(15)과 1개의 외부단자(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스냅편(15)은 기대(13)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서 하측으로 절곡되고, 외부단자(16)는 기대(13)의 타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 금속판(14)에는 접촉편(17)이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촉편(17)은 기대(13)의 뒷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편(17)은 "U"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그 선단(자유단)에 측방으로 돌출된 접동면부(摺動面部)(18)가 형성되어 있다. 접동면부(18)의 일단부에는 절곡편(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편(18a)은 상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도 8 참조).
제 2 웨이퍼(2)는 제 1 웨이퍼(1)의 상부 개방단에 부착되며, 이들 제 2 웨이퍼(2)와 제 1 웨이퍼(1)는 각 스냅편(15)을 대응하는 걸림돌기(5b)에 걸어맞춤으로써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된다. 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는 접촉편(17)의 접동면부(18)가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누름접촉하게 되며, 그 반발력에 의해서 접촉편(17)이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변위한다. 또, 제 1 웨이퍼(1)에서 도출되는 각 외부단자(6b,6c,6d)와 제 2 웨이퍼(2)에서 도출되는 외부단자(16)의 각 선단은 기대(5)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면상에 놓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조작레버(3)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며, 두께가 두꺼운 선회체(旋回體)(19)와, 이 선회체(19)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두께가 얇은 봉형상체(20)를 가지고 있다. 봉형상체(20)에는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20a)을 상기 지지축(8)의 작은지름부(8b)에 끼워맞춤으로써 조작레버(3)가 제 1 웨이퍼(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 1 웨이퍼(1)에 축지지된 상태에서는, 선회체(19)의 일단부가 제 1 웨이퍼(1)의 절결부(7)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타단부에 형성된 맞닿음부(19a)가 제 1 웨이퍼(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비틀림 코일스프링(4)은 가동접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복수회 감겨진 감김부(4a)와, 이 감김부(4a)의 양단에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암부(4b,4c)를 가지고 있다. 감김부(4a)는 제 1 웨이퍼(1)의 홈(11)내에 삽입되며, 그 외형이 가이드벽(9)과 위치결정부(10)에 의해서 위치가 규제된다. 제 1 암부(4b)는 위치결정부(10) 상측을 통하여 고정접점(6)에 탄성접촉되며, 그 선단이 돌출부(6a)와 맞닿음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제 2 암부(4c)는 가이드벽(9)에 의해서 개방각도가 규제되며,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리브(12)와 접촉되어 있다. 또, 제 2 암부(4c)의 선단은 상기 조작레버(3)의 맞닿음부(19a)에 탄성접촉되어 있으며, 그 반발력에 의해서 조작레버(3)에 회전복귀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를 조립할 때에는, 우선 제 1 웨이퍼(1)의 홈(11)내에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감김부(4a)를 삽입하고, 제 2 암부(4c)의 근원부분을 가이드벽(9)에 걸어붙인다. 이 결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을 성형할 때에 다소 분산이 있었다 하더라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암부(4b)와 제 2 암부(4c)의 개방각도가 일정한 각도(α)로 규제된다. 이어서, 조작레버(3)의 구멍(20a)을 지지축(8)의 작은지름부(8b)에 삽입함과 아울러,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2 암부(4c)의 선단을 맞닿음부(19a)에 탄성접촉시킨다. 이 결과, 조작레버(3)에 도 9의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복귀력이 부여되고, 이 회전복귀력에 의해서 봉형상체(20)의 일측면이 기대(5)의 내측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조작레버(3)는 선회체(19)의 일단부가 절결부(7)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제 1 웨이퍼(1)의 상부 개방단에 제 2 웨이퍼(2)를 덮고, 제 2 웨이퍼(2)의 각 스냅편(15)을 제 1 웨이퍼(1)의 대응하는 각 걸림돌기(5b)에 걸어맞춤으로써,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가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스위치가 조립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조립된 스위치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웨이퍼(1)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프린트기판(21) 위에 얹어놓고, 각 외부단자(6b,6c,6d,16)의 선단을 프린트기판(21) 표면의 랜드부(도시생략)에 크림납땜(22)을 이용하여 납땜함으로써 프리트기판(21) 위에 실장된다. 이 때, 제 1 웨이퍼(1)에서 도출되는 각 외부단자(6b,6c,6d)는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돌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3방향에서 납땜되고, 제 2 웨이퍼(2)에서 도출되는 외부단자(16)는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납땜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부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기대(5)의 일측면에 선회체(19)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상방지돌기(5a)가 형성되고, 이 부상방지돌기(5a)가 외부단자(6d)와 외부단자(16) 사이에서 프린트기판(21) 표면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만일 스위치에 조작레버(3)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였다 하더라도 각 외부단자(6b,6c,6d,16)의 납땜부분이 쉽게 박리되지 않게 되어 있다.
조작레버(3)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도 10에 나타낸 초기위치)에서는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1 암부(4b)가 고정접점(6)에 탄성접촉되어 있지만 제 2 암부(4c)가 접촉편(17)의 접동면부(18)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도 13에 나타낸 화살표A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눌려지면, 조작레버(3)가 지지축(8)의 작은지름부(8b)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 암부(4c)의 선단을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암부(4c)의 중앙부분이 접촉편(17)의 접동면부(18)에 접촉하게 되어, 고정접점(6)과 접촉편(17)이 비틀림 코일스프링(4)을 통하여 도통된 상태, 즉 스위치가 '온'상태로 절환된다. 이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편(18a)이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2 암부(4c)를 접동면부(18)의 아랫면으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상기한 회살표A 또는 화살표B 방향으로 더 눌려지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암부(4c)가 접동면부(18)의 아랫면과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리브(12) 사이를 미끄럼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상태로 유지된다. 또, 조작레버(3)를 누르는 압압력을 제거하면,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2 암부(4c)가 그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조작레버(3)도 도 10에 나타낸 초기위치로 되돌아 간다. 따라서, 제 2 암부(4c)가 접촉편(17)의 접동면부(18)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된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에 각 외부단자(6b,6c,6d,16)를 균형있게 나누어서 형성하였기 때문에, 본체케이스의 임의의 방향에서 복수개의 외부단자(6b,6c,6d,16)를 간단하게 도출시킬 수 있으며, 이들 외부단자(6b,6c,6d,16)를 프리트기판(21) 표면의 랜드부에 납땜함으로써 스위치의 부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웨이퍼(1) 및 제 2 웨이퍼(2)의 각 외측표면이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5,13)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프린트기판(12) 위에 실장할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활전부가 적어지게 되어 실장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먼용 고정접점으로서 기능하는 고정접점(6)이 제 1 웨이퍼(1)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절환용 고정접점으로서 기능하는 접촉편(17)이 제 2 웨이퍼(2)측에 형성되고, 이들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가 적층되어 일체화된 시점에서 접촉편(17)의 접동면부(18)가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누름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편(17)을 단순한 "U"자형상으로 성형하여도 접촉편(17)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2 암부(4c)와의 접촉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편(17)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가공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들 접촉편(17)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전체 형상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6)과 접촉편(17)이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로 나눠져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고정접점(6)과 접촉편(17)을 형성하는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넓어져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편(17)과 비틀림 코일스프링(4)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소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촉편(17)의 자유단을 접동면부(18)로 하고, 이 접동면부(18)의 일단부에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진 절곡편(18a)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위치를 '온'상태로 할 때에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2 암부(4c)를 접동면부(18)와 기대(5)의 내측 바닥면 사이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의 '온/오프'절환동작중에, 비틀림 코일스프링(4)의 제 2 암부(4c)가 기대(5)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리브(12) 위를 미끄럼접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2 암부(4c)와 리브(12)간의 접동저항이 작아지게 되어, 조작레버(3)에 의해서 제 2 암부(4c)를 원활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실장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상기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도 13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변형예에 관한 스위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단자의 성형형상 및 갯수만이 다를 뿐, 제 1 웨이퍼(1)와 제 2 웨이퍼(2), 조작레버(3), 비틀림 코일스프링(4) 등의 기본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즉, 제 1 웨이퍼(1)측에는 고정접점(6)과 도통하는 1개의 외부단자(6e)가 기대(5)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한편, 제 2 웨이퍼(2)측에는 접촉편(17)과 도통하는 3개의 외부단자(16a,16b,16c)가 기대(13)의 3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과 기대(13)의 외측표면이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들 외부단자(6e,16a,16b,16c)에 있어서, 제 1 웨이퍼(1)측에 형성되는 외부단자(6e)는 도 4에 나타낸 외부단자(6d)의 성형형상만을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고{이 경우, 다른 외부단자(6b,6c)는 그 근원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한다}, 제 2 웨이퍼(2)측의 각 외부단자(16a,16b,16c)도 도 5에 나타낸 금속판(14)의 절단위치와 성형형상만을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을 새로 제조할 필요가 없다.
이 스위치는 도 1∼도 13에 나타낸 스위치와 같은 순서로 조립되나, 본체케이스의 표면측과 이면측을 반대로 한 상태로 사용된다. 즉,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웨이퍼(2)를 아래쪽으로 한 상태에서 프린트기판(21) 위에 얹어놓고, 각 외부단자(6e,16a,16b,16c)의 선단을 프린트기판(21) 표면의 랜드부에 크림납땜(22)을 이용하여 납땜함으로써 프린트기판(21) 위에 실장된다. 이 경우, 제 1 웨이퍼(1)에서 도출되는 외부단자(6e)는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측에 납땜되고, 제 2 웨이퍼(2)에서 도출되는 각 외부단자(16a,16b,16c)는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돌출되는 방향을 제외한 3방향에서 납땜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부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시에, 조작레버(3)의 선회체(19)가 도 14의 화살표B 또는 화살표C 방향으로 눌려지면, 조작레버(3)가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한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온/오프'동작이 절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 외부단자에 약간의 변경을 가함으로써 프린트기판(21)에 대하여 표면측/이면측 어느 상태에서라도 실장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은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체케이스를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는 제 1 웨이퍼와 제 2 웨이퍼로 구성하고, 이 제 1 및 제 2 웨이퍼에 납땜가능한 복수개의 단자를 나누어서 형성하면, 본체케이스의 임의의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자를 간단하게 도출시킬 수 있고, 각 단자를 프린트기판 표면의 랜드부에 납땜함으로써 스위치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각 외측표면이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프린트기판 위에 실장할 때에 외부로 노출하는 활전부가 적어지게 되어 실장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조작체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가동접점으로서 겸용하면,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어 스위치의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또, 조작체를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접합면에서 외측으로 돌출시키면, 스위치를 프린트기판 위에 실장하였을 때에 조작체가 프린트기판의 표면을 따라서 돌출되기 때문에, 스위치를 표면측/이면측 어느 상태에서라도 실장할 수 있다.
또, 제 1 단자를 코먼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 제 2 단자를 절환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로서 사용하면, 이들 코먼용 고정접점과 절환용 고정접점을 2개의 웨이퍼에 나누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일측 암부를 고정접점에 항시 접촉되게 하고 타측 암부를 접촉편에 접촉/이탈되게 하여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가동접점으로서 기능하게 함과 아울러, 이들 고정접점과 접촉편을 서로 적층되어 일체화되는 제 1 웨이퍼와 제 2 웨이퍼에 나누어서 형성하면, 접촉편과 비틀림 코일스피링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여도 양자간의 접촉압이 충분히 확보될 뿐만 아니라, 고정접점과 접촉편을 형성하기 위한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넓어지게 됨으로써 소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촉편을 "U"자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자유단측을 제 1 웨이퍼의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누름접촉하게 하면, 접촉편의 스프링 스팬을 충분히 길게 하면서 전체 형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접촉편의 자유단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와 접촉하는 접동면부를 형성하고, 이 접동면부의 단부를 제 1 웨이퍼의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면, 스위치를 '온'상태로 할 때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를 접촉편의 접동면부와 기대의 내측 바닥부 사이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 제 1 웨이퍼의 기대의 내부 바닥부에 리브를 돌출형성하고, 이 리브 위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를 맞닿게 하면, 스위치의 '온/오프'절환동작중에 제 2 암부가 리브 위를 미끄럼접촉하기 때문에, 양자간의 접동저항이 작아지게 되어 제 2 암부를 원활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코먼용 고정접점 및 절환용 고정접점을 가지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코먼용 고정접점에 항시 접촉하는 제 1 접점부 및 상기 절환용 고정접점에 접촉/이탈이 가능한 제 2 접점부를 가지는 가동접점과, 상기 제 2 접점부를 상기 절환용 고정접점에 접촉/이탈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는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서 납땜가능한 제 1 단자를 도출한 제 1 웨이퍼와, 이 제 1 웨이퍼에 적층되어 일체화되며, 합성수지제로 된 기대에서 납땜가능한 제 2 단자를 도출한 제 2 웨이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웨이퍼의 접합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코먼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이고,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절환용 고정접점의 외부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웨이퍼와 제 2 웨이퍼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접점에 항시 탄성접촉하는 제 1 암부와 상기 접촉편에 접촉/이탈이 가능한 제 2 암부를 가지는 비틀림 코일스프링과,
    이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에 탄성접촉되며, 이 제 2 암부를 상기 접촉편과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 사이에서 미끄럼접촉시키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U"자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자유단측을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누름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의 자유단에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와 미끄럼접촉하는 접동면부를 형성하고, 이 접동면부의 단부를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대의 내측 바닥부에 리브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제 2 암부를 이 리브 위에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19970031582A 1996-07-08 1997-07-08 스위치 KR100298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01896A JPH1021791A (ja) 1996-07-08 1996-07-08 スイッチ
JP96-178019 1996-07-08
JP96-178018 1996-07-08
JP17801996A JP3569079B2 (ja) 1996-07-08 1996-07-08 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553A KR980011553A (ko) 1998-04-30
KR100298507B1 true KR100298507B1 (ko) 2001-10-24

Family

ID=2649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582A KR100298507B1 (ko) 1996-07-08 1997-07-08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98507B1 (ko)
CN (1) CN1069780C (ko)
TW (1) TW3456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732B2 (ja) * 2001-01-15 2007-06-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6768069B1 (en) 2003-04-08 2004-07-27 Shin Jiuh Corp. Micro swi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40U (ja) * 1993-05-27 1994-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19223A (en) * 1980-06-02 1982-03-02 Northern Telecom Limited Multiple cantilever spring contact switch
JPH056240U (ja) * 1991-07-05 1993-01-29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液封入防振マウント
TW295671B (ko) * 1995-07-11 1997-01-11 Alps Electric Co Lt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40U (ja) * 1993-05-27 1994-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80C (zh) 2001-08-15
TW345673B (en) 1998-11-21
CN1174385A (zh) 1998-02-25
KR98001155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107B1 (ko) 다양한 전기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US5459295A (en)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stationary terminal and an armature of a switch
US6841750B2 (en) Switch device
US5051552A (en) Slide selector switch mechanism
JPH09274830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JP2002110002A (ja) スイッチ装置
US4924047A (en) Seesaw switch
JP4026211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0298507B1 (ko) 스위치
JP3569079B2 (ja) スイッチ
JP3399170B2 (ja) スイッチ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H1021791A (ja) スイッチ
JP3648835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2729914B2 (ja) 押釦スイッチ
JP3959900B2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S62268020A (ja) スイツチの短絡用素子
KR100453999B1 (ko)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JP3807927B2 (ja) スイッチ装置
JPH0635322Y2 (ja) 薄形スイッチ
JP2001093382A (ja) 小型レバー形検出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