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999B1 -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999B1
KR100453999B1 KR10-2001-0066637A KR20010066637A KR100453999B1 KR 100453999 B1 KR100453999 B1 KR 100453999B1 KR 20010066637 A KR20010066637 A KR 20010066637A KR 100453999 B1 KR100453999 B1 KR 10045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individual
support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886A (ko
Inventor
다나까다까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0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79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04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59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041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07928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33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omprising an articulating, sliding or rolling contact between movable contact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H01H2011/062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by inserting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접편을 안정적으로 요동 지지할 수 있어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형상을 간단한 구조로 하여 재료비를 저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통 접점과 개별 접점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이 설치된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 (4) 의 지지 설편 (4a) 에 공통 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기부 (4c) 를 형성하고, 이 지지 돌기부 (4c) 를 하우징 (1) 에 형성한 회전 구동 지지부 (1c) 에 지지시켰다.

Description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LEVER OPERATING TYPE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훅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낸다. 도 11 은 스위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2, 도 13 은 동일하게 측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는, 수납부 (11a) 를 갖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 (11) 과, 이 하우징 (11) 의 수납부 (11a) 의 내저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공통 접점 (12) 및 개별 접점 (13) 과, 이 공통 접점 (12) 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支持舌片) (14a) 을 갖고 상기 공통 접점 (12) 의 선단측에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동시에, 이 요동에 따라 상기 지지 설편 (14a) 의 양단측에 설치된 1쌍의 탄성 접촉 설편 (14b) 이 상기 개별 점점 (13) 과 접속 분리되는, 역시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편 (14) 과, 상기 하우징 (11) 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 (14) 을 요동시키는 합성수지제의 조작 레버 (16) 와, 이 조작 레버 (16) 와 상기 하우징 (11) 의 사이에 개재되어 조작 레버 (16) 를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 (15)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로서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복수의 상기 공통 접점 (12) 및 개별 접점 (13) 을 형성하고, 이 공통 접점 (12) 및 개별 접점 (13) 을 상기 하우징 (11) 의 수납부 (11a) 의 내저면에 프레스 지그 등으로 코킹하여 고정시키거나 접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 접편 (14) 은, 상면 중앙에 형성된 축구멍 (14c) 이 상기 공통 접점 (12) 의 선단측에 형성된 돌출부 (12a) 에 걸어맞춰지고, 이 돌출부 (12a) 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 (16) 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조작 레버 (16) 의 내면에 설치된 작동 돌기 (16a) 에 의해 상기 가동 접편 (14) 의 상면측이 눌려져, 상기 돌출부 (12a) 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되어, 상기 1 쌍의 탄성 접촉 설편 (14b) 과 상기 개별 접점 (13) 이 접속 분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설편 (14a) 은 상기 공통 접점 (12) 에 항상 탄성 접촉되어 있고, 1 쌍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14b) 중 어느 일측이 상기 개별 접점 (13) 과 접속 (온) 되어 있을 때에는, 타측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14b) 은 타측의 상기 개별 접점 (13) 과는 이간 (오프) 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조작 레버 (16) 의 회전 구동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접편 (14) 이 요동됨으로써, 상기 개별 접점 (13) 에 탄성 접속 (온) 된 상기 탄성 접촉 설편 (14b) 의 탄성 접촉 협지부가 상기 개별 접점 (13) 으로부터 이탈되어 개별 접점 (13)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후퇴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오프로 되어, 접점의 전환이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접편 (14) 은 평판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통 접점 (12) 의 선단측의 일부를 돌출시킨 상기 돌출부 (12a) 에, 상기 가동 접편 (14) 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상기 축구멍 (14c) 을 걸어맞춰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공통 접점 (12) 에 직접 지지시키기 위하여 평판형상의 금속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재료 생산성 등에 낭비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공통 접점 (12) 과 상기 개별 점점 (13) 을 공통으로 할 수 없어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스위치 온/오프 전환시의 타이밍을 변경하고 싶은 때에는, 상기 탄성 접촉 설편 (14b) 의 탄성 접촉 협지부가 이탈되는 상기 개별 접점 (13) 의 탄성 접촉부의 높이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 요구사양에 따라 복수 종류의 상기 개별 접점 (13) 을 구비해 놓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개별 접점 (13) 의 부품의 공통화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동 접편을 안정적으로 요동 지지할 수 있고,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형상을 간단한 구조로 하여 재료비를 저렴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통 접점과 개별 접점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복수 종류의 개별 접점을 준비하지 않고, 1 종류의 개별접점으로 스위치 온/오프의 전환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으며, 개별 접점의 형상을 간단한 구조로 하여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인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동일하게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동일하게 조작 레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동일하게 조작 레버의 조작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동일하게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동일하게 하우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동일하게 가동 접편과 개별 접점의 온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동일하게 가동 접편과 개별 접점의 오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동일하게 가동 접편과 개별 접점의 오프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동일하게 가동 접편과 개별 접점의 온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우징 1a : 수납부
1b : 스프링 수용부 1c : 회전 구동 지지부
1d, 1g : 접점 삽입 구멍 (압입 지지부) 1e : 회전 구동면
1f : 절연벽부 1h : 안내부
1i : 지지 축부 1j : 다리부
2 : 공통 접점 2a : 요철부
3 : 개별 접점 3a : 요철부
4 : 가동 접편 4a : 지지 설편
4b : 탄성 접촉 설편 4c : 지지 돌기부
5 : 복귀 스프링 6 : 조작 레버
6a : 커버부 6b : 조작부
6c : 축 구멍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에는, 상기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회전 구동 지지부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설편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는, 상기 지지 설편과 상기 공통 접점의 탄성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 돌기부의 자유단측의 단면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원호형상의 지지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회전 구동 지지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원호면을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일단측이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돌출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은,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압입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압입 지지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6 수단으로서,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동일한 길이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면이 둥근 선재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부터 각각의 단면까지의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7 수단으로서,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은, 상기 요철부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표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압입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8 수단으로서, 단면이 둥근 선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일단측을, 상기 하우징 수납부의 내저면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일단측의 측면을 상기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과 탄성 설편의 사이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9 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으로 일단측이 돌출되어 설치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개별 접점의 돌출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가동 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상기 개별 접점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벌어지게 하는 절연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10 수단으로서, 상기 절연벽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이 돌출부에는 상기 개별접점으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가동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안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11 수단으로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상기 개별 접점의 돌출 위치 근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12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복수 세트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별접점에 대응하는 상기 절연벽부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 은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동일하게 전체사시도, 도 3 은 조작 레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동일하게 조작 레버를 조작할 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6 은 동일하게 측단면도, 도 7 은 가동 접편과 개별 접점의 온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8 은 동일하게 오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9 는 동일하게 오프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 은 동일하게 온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수납부 (1a) 를 갖는 상면 개구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중앙에는, 후술하는 복귀 스프링 (5) 을 수용하는 오목형상의 둥근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수용부 (1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수용부 (1b)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면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가동 접편 (4) 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1 쌍의 회전 구동 지지부 (1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 지지부 (1c) 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공통 접점 (2) 이 압입 지지되는 접점 삽입 구멍 (1d)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점 삽입 구멍 (1d) 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1 쌍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구동면 (1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면 (1e) 에 후술하는 가동 접편 (4) 의 지지 설편 (4a) 선단의 원호형상의 지지 돌기부 (4c) 가 걸어맞춰져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부 (1a) 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 (1c) 를 사이에 두고 양단부 (兩端部) 에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절연벽부 (1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벽부 (1f) 의 대략 중앙에는, 후술하는 개별 접점 (3) 이 압입되어 지지되는 접점 삽입 구멍 (1g)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점 삽입 구멍 (1g) 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일단측 근방의 상기 절연벽부 (1f) 에는, 후술하는 개별 접점 (3) 으로부터 분리되는 가동 접편 (4) 의 탄성 접촉 설편 (4b) 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안내부 (1h) 가 개별 접점 (3) 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 (1h) 의 개별접점에 대응하는 돌출방향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스위치 온/오프 전환시의 온/오프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1 쌍의 측면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 (6) 를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1 쌍의 지지 축부 (1i) 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것과 직교하는 다른 1 쌍의 측면부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저면측으로 돌출되어 전화기 등의 기기측의 회로 기판 등의 장착 구멍에 걸어맞춰지는 1 쌍의 다리부 (1j)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은,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 형성되어 있어, 전부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의 환봉형상의 측면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압입 지지부인 상기 접점 삽입 구멍 (1d, 1g) 의 내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철부 (2a, 3a) 가, 프레스 가공 등의 방법으로 한쪽으로 치우져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요철부 (2a, 3a) 는 각각의 단면이 둥근 선재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 (2a, 3a) 의 끝가장자리부부터 각각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점 삽입 구멍 (1d, 1g) 에 삽입될 때의 방향성의 식별이 필요없게 되어 간단하게 압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을, 상기 하우징 (1) 의 접점 삽입 구멍 (1d, 1g) 에 압입하여 지지할 때에는, 한쪽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 (2a, 3a) 가 상기 압입 지지부에 강하게 끼워 맞춰짐과 동시에, 스위치의 회로기판으로의 실장시의 납땜시의 열에 의해 압입 부분의 내면의 수지가 연화되어 상기 요철부 (2a, 3a) 에 들어가 응고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1) 에 상기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을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은, 상기 요철부 (2a, 3a) 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 (1) 의 저부로부터 표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1) 에 압입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부 (2a, 3a) 에 의해 플럭스가 침투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철부의 홈부를 플럭스 고임부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납땜시의 플럭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동 접편 (4) 은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박판형상의 금속판을 구부려 클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접편 (4) 의 중앙에는, 상기 공통 접점 (2) 과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설편 (4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설편 (4a) 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상기 개별 접점 (3) 과 접속 분리되는 1 쌍의 탄성 접촉 설편 (4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 설편 (4a) 에는 상기 공통 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기부 (4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돌기부 (4c) 는 상기 지지 설편 (4a) 과 상기 공통 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 돌기부 (4c) 의 자유단측의 단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의 상기 지지 돌기부 (4c) 가,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 (1c) 의 회전 구동면 (1e) 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동 접편 (4) 은 상기 지지 돌기부 (4c) 가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1c) 에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지지 설편 (4a) 이 상기 공통 접점 (2) 과 항상 탄성 접촉되어 있고, 후술하는 조작 레버 (6) 의 회전 구동 조작에 따라,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이 상기 개별 접점 (3) 과 상기 절연벽부 (1f) 의 안내부 (1h) 의 사이를 슬라이딩 접속함으로써, 상기 공통 접점 (2) 과 개별 접점 (3) 의 사이에서 접속 분리되어 접점의 온/오프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5) 은 권선형상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측이 상기 하우징 (1) 의 스프링 수용부 (1b) 에 걸리고, 타단측이 후술하는 조작 레버 (6) 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걸림부에 걸려 조작 레버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조작 레버 (6)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부 (6a) 와, 이 커버부 (6a) 의 일단측에 장척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조작부 (6b) 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부 (6a) 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하우징 (1) 에 형성된 1 쌍의 지지 축부 (1i) 에 축지지되는 1 쌍의 축 구멍부 (6c)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 (6a) 의 내저면이 상기 가동 접편 (4) 의 상면부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 구동 접편 (4) 이, 상기 조작 레버 (6) 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1) 의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 (1c) 를 회전 구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레버 조작 타입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도 4 및 도 7, 도 8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 레버 (6) 는 상기 복귀 스프링 (5) 의 탄성력에 의해 도시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접편 (4) 은, 상기 지지설편 (4a) 이, 항상 상기 공통 접점 (2) 과 접촉되어 있고, 또, 1 쌍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중 우측이 1 쌍의 상기 개별 접점 (3) 중 우측의 개별 접점 (3) 과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냄). 또한, 좌측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은, 상기 절연벽부 (1f) 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되어 있고, 좌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은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냄).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공통 접점 (2) 과 우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이 접속되어 온 상태로 되어 있고, 좌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은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레버 (6) 의 조작부 (6b) 가 수화기 등으로 눌리면, 상기 조작 레버 (6) 가 상기 하우징 (1) 의 지지 축부 (1i) 를 중심으로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 접편 (4) 이 회전 구동되어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가동 접편 (4) 은, 온 상태이었던 우측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이 상기 절연벽부 (1f) 에 의해 벌어지게 되어 우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으로부터 이간되어 오프 상태로 되고, 반대로, 오프상태이었던 좌측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이 상기 절연벽부 (1f) 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별 접점 (3) 에 접촉함으로써 온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공통 접점 (2) 과 좌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이 접속되어 온 상태로 되고, 우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은 상기 공통 접점 (2) 으로부터이간되어 오프 상태로 되는 점에서 접점의 전환이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부 (6b) 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조작 레버 (6) 는 상기 복귀 스프링 (5) 의 탄성력에 의해 도 3 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 접편 (4) 의 지지 설편 (4a) 에는, 상기 공통 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 돌기부 (4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돌기부 (4c) 의 선단을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형성된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 (1c) 에 지지시켜, 상기 지지 설편 (4a) 을 상기 공통 접점 (2) 에 항상 탄성 접촉시키면서 상기 가동 접편 (4) 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도록 한 점에서, 종래의 구조와 같이 공통 접점에 직접 가동 접편을 축지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공통 접점 (2) 이나 개별 접점 (3) 을 폭이 좁은 단면이 둥근 선재로 바꾸어도, 상기 가동 접편 (4) 을 안정적으로 요동 지지할 수 있고, 접점 형상을 단순한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나 가공비가 저렴해져, 상기 공통 접점 (2) 과 개별 접점 (3) 의 부품의 공통화를 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 설편 (4a) 에 형성된 상기 지지 돌기부 (4c) 는, 상기 지지 설편 (4a) 이 상기 공통 접점 (2) 을 끼우고 슬라이딩 접속하는 탄성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 (1) 수납부 (1a) 의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 구동시에, 상기 지지 돌기부 (4c) 와 상기 하우징 (1) 의 회전 구동 지지부 (1c) 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깍여 마모분이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상기 공통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보다 하측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공통 접점 (2) 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 돌기부 (4c) 의 자유단측의 단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 돌기부 (4c) 의 선단이, 상기 하우징 (1) 의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 (1c) 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회전 구동면 (1e) 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간단한 구조로 회전 구동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회전 구동 동작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온/오프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상기 개별 접점 (3) 의 돌출방향을 향하여 돌출시킨 상기 절연벽부 (1f) 를 형성하고, 이 절연벽부 (1f) 에 상기 가동 접편 (4) 의 탄성 접촉 설편 (4b) 을 끼우고 벌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개별 접점 (3) 으로부터 분리시켜 접점부를 오프시키도록 한 점에서, 상기 절연벽부 (1f) 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위치 온/오프 전환시의 온/오프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절연벽부 (1f) 는, 상기 하우징 (1) 과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상기 개별 접점 (3) 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동 접편 (4) 의 탄성 접촉 설편 (4b) 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상기 안내부 (1h)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안내부 (1h) 를 적당히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다양한 변경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안내부 (1h) 는,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절연벽부 (1f) 상에서, 상기 개별 접점 (3) 이 돌출된 위치의 근방에, 이 개별 접점 (3) 과는 일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스위치 전환시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상기 절연벽부 (1f) 의 수지벽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부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상기 공통 접점 (2) 및 개별 접점 (3) 을 복수 세트 설치하여, 각각의 상기 개별 접점 (3) 에 대응하는 상기 절연벽부 (1f) 의 안내부 (1h) 의 돌출방향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전환시의 타이밍을 동일 스위치 중에서 각각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종에 걸친 다양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9 및 도 10 은 절연벽부 (1f) 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이 경우, 절연벽부 (1f) 에 형성되어, 상기 개별 접점 (2) 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동 접편 (4) 의 탄성 접촉 설편 (4b) 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안내부 (1h) 는, 상기 개별 접점 (3) 의 돌출방향과는 반대 방향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측) 을 향하여, 상기 개별 접점 (3) 의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벽부 (1f)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절연벽부 (1f) 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측면에서 연장시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 접편 (4) 이,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도시한 윗방향) 으로 회전 구동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 (1h) 에 의해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이 벌어지게 되고, 그 반대로,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접근하는 방향 (도시한 아래방향) 으로 회전 구동했을 때에는, 상기 안내부 (1h) 로부터, 올려져 있었던 상기 탄성 접촉 설편 (4b) 이 떨어져, 상기 개별 접점 (3) 과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도 3 및 도 4 에서 나타낸 스위치 전환시의 온/오프의 전환이 좌우의 상기 개별 접점 (3) 사이에서 역전하게 되어, 예컨대, 도 3 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접편 (4) 은, 상기 공통 접점 (2) 과 좌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이 접속 (온) 된 상태로 되고, 반대로 우측의 상기 개별 접점 (3) 과는 이간 (오프) 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안내부 (1h) 의 상기 개별 접점 (3) 에 대응하는 돌출방향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스위치 온/오프 전환시의 온/오프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술된 도 7 및 도 8 의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도 7 및 도 8 의 구성과 조합함으로써 여러가지 전환시의 타이밍의 다양성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이 설치된 하우징의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에,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 돌기부를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 구동 지지부에 지지시킨 점에서, 공통 접점이나 개별 접점을 폭이 좁은 단면이 둥근 선재로 바꾸어도, 가동 접편을 안정적으로 요동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 형상을 단순한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할 수 있어 재료비나 가공비가 저렴해짐과 동시에, 공통 접점과 개별 접점 부품의 공통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지지 설편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는, 지지 설편과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에 대하여, 하우징의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 구동시에, 지지 돌기부와 하우징의 회전 구동 지지부와의 슬라이딩에 의해 깍여 마모분이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보다도 하측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접촉을 얻을 수 있다.
또, 지지 돌기부의 자유단측의 단면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원호형상의 지지 돌기부를 하우징에 형성한 원호형상의 회전 구동 지지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점에서, 간단한 구조로 회전 구동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어 안정된 회전 구동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회전 구동 지지부는,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원호면을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구조가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탄성 접촉하는 일단측이,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돌출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압입 지지하여,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측면에, 하우징의 압입 지지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점에서, 한쪽에 형성된 요철부가 압입 지지부에 강하게 끼워 맞춰짐과 동시에, 스위치의 회로기판으로의 실장할 때의 납땜시의 열에 의해 압입 부분의 내면의 수지가 연화되어 요철부에 들어가 응고함으로써, 하우징으로의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장착을 강고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동일한 길이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면이 둥근 선재에 형성된 요철부부터 각각의 단면까지의 길이를 대략 동일 길이로 형성한 점에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접점 삽입 구멍에 삽입할 때의 방향성 식별이 필요없어져 간단하게 압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은, 요철부의 일부를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표출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압입 지지한 점에서, 이 요철부에 의해 플럭스가 침투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철부의 홈부를 플럭스 고임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시의 플럭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단면이 둥근 선재로 이루어지는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일단측을, 하우징 수납부의 내저면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일단측의 측면을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과 탄성 접촉 설편의 사이에 둔 점에서, 접점부의 구조가 간단해져 저렴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 및 탄성 접촉 설편이 탄성 접촉되는,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일단측이 돌출되어 설치된 하우징의 수납부에, 개별 접점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가동 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개별 접점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벌어지는 절연벽부를 형성한 점에서, 절연벽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스위치 온/오프 전환시의 온/오프하는 시간적인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스위치 전환 타이밍의 다양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절연벽부는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이 돌출부에는 개별 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가동 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안내부를 형성한 점에서, 안내부를 적당히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다양한 변경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안내부는,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개별 접점의 돌출 위치 근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형성된 점에서, 스위치의 전환시에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절연벽부의 수지벽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부의 전환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복수 세트 형성함과 동시에, 개별 접점에 대응하는 절연벽부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형성한 점에서, 스위치 전환시의 타이밍을 동일 스위치 중에서 각각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종에 걸친 다양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Claims (12)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에는, 상기 공통 접점과의 탄성 접촉 위치로부터 자유단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지지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회전 구동 지지부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설편에 형성된 지지 돌기부는, 상기 지지 설편과 상기 공통 접점의 탄성 접촉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저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부의 자유단측의 단면을 원호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원호형상의 지지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원호형상의 회전 구동 지지부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원호면을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일단측이 설치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돌출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은, 봉형상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에 압입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압입 지지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동일한 길이의 단면이 둥근 선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단면이 둥근 선재에 형성된 상기 요철부부터 각각의 단면까지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은, 상기 요철부의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표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압입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단면이 둥근 선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의 일단측을,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일단측의 측면을 상기 가동 접편의 지지 설편과 탄성 접촉 설편의 사이에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으로 일단측이 돌출되어 설치된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과, 상기 공통 접점에 항상 탄성 접촉하는 지지 설편 및 상기 개별 접점과 접속 분리 가능한 탄성 접촉 설편을 갖고, 상기 수납부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접편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편을 요동시키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개별 접점의 돌출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가동 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상기 개별 접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벌어지게 하는 절연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벽부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이 돌출부에는 상기 개별접점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가동 접편의 탄성 접촉 설편을 벌어지게 하는 테이퍼형상의 안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상기 개별 접점의 돌출 위치 근방에 일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부에는, 상기 공통 접점 및 개별 접점을 복수 세트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별접점에 대응하는 상기 절연벽부의 돌출 방향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01-0066637A 2000-11-02 2001-10-29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KR100453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0408 2000-11-02
JP2000340408A JP3807927B2 (ja) 2000-11-02 2000-11-02 スイッチ装置
JP2000340409A JP3835982B2 (ja) 2000-11-02 2000-11-02 スイッチ装置
JP2000340410A JP3807928B2 (ja) 2000-11-02 2000-11-02 スイッチ装置
JPJP-P-2000-00340409 2000-11-02
JPJP-P-2000-00340410 2000-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86A KR20020034886A (ko) 2002-05-09
KR100453999B1 true KR100453999B1 (ko) 2004-10-26

Family

ID=2734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637A KR100453999B1 (ko) 2000-11-02 2001-10-29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04128A3 (ko)
KR (1) KR100453999B1 (ko)
CN (1) CN1201353C (ko)
TW (1) TW509956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85294A (fr) * 1929-11-21 1930-07-08 L App Electr De La Seine Soc Interrupteur
FR1348817A (fr) * 1962-02-28 1964-01-10 Merlin Gerin Contacts glissants pour interrupteurs électriques
DE1540189A1 (de) * 1965-10-16 1970-01-02 Markwortit Gmbh ?von Kontaktplatten fuer? fuer Rundfunk- und? Magnettongeraete od.dgl.
JPS608355Y2 (ja) * 1979-12-31 1985-03-2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ピン端子形スイッチ
US4740661A (en) * 1985-03-08 1988-04-26 Kabushiki Kaisha Sagami Denshi Kogyo Seesaw switch
JP2573191Y2 (ja) * 1991-02-22 1998-05-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揺動スイツチの可動接片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4128A2 (en) 2002-05-08
CN1352459A (zh) 2002-06-05
TW509956B (en) 2002-11-11
CN1201353C (zh) 2005-05-11
EP1204128A3 (en) 2005-01-05
KR20020034886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US3983341A (en) Simplified slide switch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US5051552A (en) Slide selector switch mechanism
KR20000028573A (ko) 다방향입력장치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KR100453999B1 (ko) 레버 조작형 스위치 장치
JPH0526652Y2 (ko)
KR100298507B1 (ko) 스위치
EP0184815B1 (en) Snap acting mechanism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3807928B2 (ja) スイッチ装置
JP3835982B2 (ja) スイッチ装置
JP3807927B2 (ja) スイッチ装置
JP3648835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3698610B2 (ja) スイッチ付き回転型電気部品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JP5115236B2 (ja) 電磁石装置
EP1134764A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JP2748985B2 (ja) スイツチ用ウエハの製造方法
JP2004327115A (ja) スイッチ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S5824349Y2 (ja) スイッチ機構
JP2001093382A (ja) 小型レバー形検出スイッチ
JPH0896649A (ja) スイッチ装置の端子かし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