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535B1 - 다방향 조작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조작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535B1
KR100396535B1 KR10-2000-0077378A KR20000077378A KR100396535B1 KR 100396535 B1 KR100396535 B1 KR 100396535B1 KR 20000077378 A KR20000077378 A KR 20000077378A KR 100396535 B1 KR100396535 B1 KR 10039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
contact portion
stem
inner botto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505A (ko
Inventor
요시다도시히로
가가와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push or pull action on the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04Switch site location in different planes to increase den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로, 중앙고정 접점부상에 설치되는 가동접점과, 주변고정 접점부상에 설치되는 가동접점과의 각각의 전환동작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중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스위치본체의 폭을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저 (有底) 의 수납부 (la) 를 갖는 하우징 (1) 과, 이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형성된 중앙고정 접점부 (2) 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둘레면에 설치된 주변고정 접점부 (3) 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주변고정 접점부 (3) 에 대향하여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 (4) 과, 이 복수의 가동접점 (4) 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접점의 전환을 실행하는 스템 (5) 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 (4, 4) 끼리는, 상기 스템 (5) 의 가압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템 (5) 의 가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수납부 (1a) 내에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다방향 조작스위치{multi-directions operation switch}
본 발명은,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에 관련되고, 특히 스템의 조작방향이 가압방향과 경도 (傾倒)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는 복수의 스위치접점을 구비한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에 관련된다.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로서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도 7 은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8 은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림에 있어서, 하우징 (1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된 유저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 (11) 의 내저면의 중앙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중앙고정 접점부 (12)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중앙고정 접점부 (12)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양측에는,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주변고정 접점부 (13,13) 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및 주변고정 접점부 (13) 는 각각 한 쌍의 접촉편 (12a, 12b) 및 (13a, 13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13) 의 상면측에는, 도전성의 원반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 (l4) 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 (14) 은, 중앙이 팽창하여 돌출한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템 (15)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기부를 구성하는 제 1 스템 (16) 과, 이 제 l 의 스템 (16) 의 중앙에 가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스템 (17)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템 (l6) 의 하면측의 양단에는, 한 쌍의 가압돌부 (1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돌부 (16b) 는, 상기주변고정 접점부 (13) 의 상면측에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 (14) 에 맞닿아 있고, 상기 스템 (15) 의 경도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접점 (14) 을 가압하고, 이 가동접점 (l4) 을 통하여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13) 의 각각의 상기 접촉편 (13a, 13b) 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스템 (17) 은, 상기 제 1 스템 (16) 의 삽입통과구멍 (16a) 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구멍 (16a) 보다 돌출한 봉형상부분이 조작레버부 (17a) 로 되고, 이 조작레버부 (17a) 의 반대측에는 가압돌부 (17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돌부 (l7b) 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의 상면측에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 (14) 에 맞닿아 있고, 상기 조작레버부 (17a) 의 가압 (압입)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 (14) 을 가압하고, 이 가동접점 (14) 을 통하여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의 각각의 상기 접촉편 (12a, 12b) 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버 (18) 는, 판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스템 (l5) 의 상기 조작레버부 (17a) 등을 삽입통과시키는 창구멍 (18a)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1) 의 상면측의 개구를 덮음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14) 이나 상기 스템 (15) 의 튀어나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13) 가, 상기 하우징 (11) 의 내저면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접점 (14) 도,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1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13) 상의 동일 평면상에 각각 대응시켜 설치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가동접점 (l4) 의 설치방향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접점 (l4, 14) 끼리가 부딪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1l) 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없어, 스위치본체의 폭의 소형화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로, 중앙고정 접점부상에 설치되는 가동접점과, 주변고정 접점부상에 설치되는 가동접점과의 각각의 전환동작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겹쳐 설치 할 수 있어, 스위치본체의 폭을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다방향 조작스위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과 같이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다방향 조작스위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수납부
1b, ld : 제 l 의 내저면 1c, le : 제 2 내저면
2 : 중앙고정 접점부 2a, 2b : 접촉편
2c : 접속단자 3 : 주변고정 접점부
3a, 3b : 접촉편 3c : 접속단자
4 : 가동접점 4a : 둘레테두리부
4b : 정상부 5 : 스템
6 : 제 1 스템 6a : 삽입통과구멍
6b : 가압돌부 7 : 제 2 스템
7a : 조작레버부 7b : 가압돌부
8 : 커버 8a : 창구멍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유저의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중앙고정 접점부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의 둘레면에 설치된 주변고정 접점부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 및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 복수의 가동접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접점의 전환을 실행하는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 끼리는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수납부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를 형성하는 제 1 내저면과,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를 형성하는 제 2 내저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및 제 2 내저면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내저면은, 상기 제 2 내저면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내저면은, 상기 제 2 내저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템은, 가압방향과 경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작가능하고,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의 조작에 의해,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가동접점이 가압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가 온 (ON) 하여, 상기 스템의 경도방향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이 가압되어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가 온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l 내지 도 6 에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l 의 실시예인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l 은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2 는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 도 3 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l 내지 도 3 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이 개구된 유저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에는, 수납부 (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 (1a) 의 내저면의 중앙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중앙고정 접점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중앙고정 접점부 (2)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양측에는, 동일하게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주변고정 접점부 (3, 3) 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주변고정 접점부 (3, 3) 는 각각 한 쌍의 접촉편 (2a, 2b) 및 접촉편 (3a, 3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은,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가 형성된 제 1 내저면 (1b) 과,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가 형성된 제 2 내저면 (1c) 이 서로 일정한 단차를 가지고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저면 (1b) 은, 상기 제 2 내저면 (1c) 보다도 한층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설치위치는,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보다도 한층 높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로부터 도출된 타단측에는, 상기 하우징 (1) 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고,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 등의 회로기판의 회로패턴 등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2c, 3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내저면 (1b), 및 상기 제 2 내저면 (lc) 에는, 도전성의 원반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 (4) 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접점 (4) 은, 중앙이 팽창하여 돌출한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점 (4) 은,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에 덮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때, 상기 가동접점 (4) 의 둘레가장자리부 (4a) 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한쪽의 상기 접촉편 (2a, 3a) 과 상시 접촉하고, 또한 돔형상의 정상부 (4b) 는, 다른쪽의 상기 접촉편 (2b, 3b) 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대향한 상태로 되어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주변고정 접점부 (3) 는 오프상태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에 형성되는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는, 후술하는 스템 (5) 의 가압방향 (종방향) 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스템 (5) 의 가압방향 (종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 (횡방향) 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4)의 크기에 맞춰 상기 하우징 (1) 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가동접점 (4) 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 상기 하우징 (1) 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템 (5)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템 (5) 은, 기부를 구성하는 제 1 스템 (6) 과, 이 제 1 스템 (6) 의 중앙에 가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된 제 2 스템 (7)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템 (5) 의 경도조작시에는, 상기 제 1 스템 (6) 과 상기 제 2 스템 (7) 이 서로 일체로 되어 동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템 (6) 에는, 중앙에 상기 제 2 스템 (7) 이 삽입통과하는 삽입통과구멍 (6a)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면측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가압돌부 (6b, 6b)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l 의 스템 (6) 은, 이 가압돌부 (6b) 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스템 (5) 의 경도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 (6b) 가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를 가압하고, 상기 가동접점 (4) 을 통하여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각각의 상기 접촉편 (3a, 3b) 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스템 (7) 은, 상기 제 1 스템 (6) 의 상기 삽입통과구멍 (6a) 에 삽입통과되어 걸어맞춤되어 있고, 상기 삽입통과구멍 (6a) 보다 돌출되어 있는 봉형상부분이 조작레버부 (7a) 로 되고, 이 조작레버부 (7a) 의 반대측에는 상기 제 1 스템 (6) 의 하면측으로부터 돌출한 가압돌부 (7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돌부 (7b) 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상면측에 형성된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에 맞닿아 있고, 상기 조작레버부 (7a) 의 가압 (압입)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돌부 (7b) 가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를 가압하고, 상기 가동접점 (4) 을 통하여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상기 접촉편 (2a, 2b) 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스템 (7) 은, 상기 제 1 스템 (6) 의 삽입통과구멍 (6a) 내를 슬라이딩하여 가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스템 (6) 의 이동은 없다.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된 상기 수납부 (1a) 의 상면에는, 평판의 금속판으로 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8) 가 부착되어 있고, 이 커버 (8) 의 중앙에는, 상기 스템5의 상기 조작레버부 (7a) 등을 삽입통과시키는 창구멍 (8a)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8) 로 상기 하우징 (l) 의 상면측의 개구를 덮음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4) 이나 상기 스템 (5) 의 튀어나감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스위치의 가압 (압입) 조작시에는, 상기 스템 (5) 의 제 2 스템 (7) 을 손가락 등으로 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 2 스템 (7) 은 상기 제 1 스템 (6) 의 삽입통과구멍 (6a) 내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돌부 (6b) 가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상의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를 가압한다. 이 때, 상기 가동접점 (4) 은, 돔형상의 팽창하여 돌출한 상기 정상부 (4b) 가 반전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상기 접촉편 (2b) 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촉편(2a, 2b) 끼리가 상기 가동접점 (4) 을 통하여 도통하여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가 온상태로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스템 (6) 은 상기 제 2 스템 (7) 의 동작에 추종동작을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3) 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손가락의 가압을 제거하면, 상기 가동접점 (4) 이 스스로의 반전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제 2 스템 (7) 은 상기 가동접점 (4) 의 반전에 수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의 경도조작시에는, 상기 제 2 스템 (7) 을 손가락 등으로 횡방향으로 경도시키면, 상기 제 1 스템 (6) 이, 상기 제 2 스템 (7) 에 추종하여 횡방향으로 경도한다. 이때, 경도된 방향에 있는 상기 제 1 스템 (6) 의 상기 가압돌부 (6b) 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상의 상기 가동접점 (4) 의 정상부 (4b) 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4) 은, 돔형상의 팽창하여 돌출한 상기 정상부 (4b) 가 반전되어,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기 접촉편3b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촉편 (3a, 3b) 끼리가 상기 가동접점 (4) 을 통하여 도통하고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가 온상태로 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스템 (7) 도 횡방향으로 경도하지만, 상기 제 2 스템 (7) 의 가압돌부 (7b) 는 종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는 가압되지 않고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손가락의 횡방향의 가압을 제거하면, 상기 가동접점 (4) 이 스스로의 반전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제 1 스템 (6) 은 상기 가동접점 (4) 의 반전에 수반하여 초기위치에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횡방향으로 경도되는 동작은, 좌우 어느쪽의 방향에서도 가능하고, 이때의 동작은 상기와 같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를 형성한 내저면에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를, 그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하여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4) 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 상기 하우징 (l) 의 폭을 작게 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 (4) 의 설치위치의 위치결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를 설치하는 상기 제 1 내저면 (1b) 과,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를 설치하는 상기 제 2 내저면 (1c) 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제 1 및 제 2 내저면 (1b, 1c) 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를 이간 시켰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이한 구조로 신뢰성이 있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동접점 (4) 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본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4 는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종단면도, 도 5 는 하우징에 가동접점을 형성한 상태의 평면도, 도 6 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에서 설명한 동일부품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상기 하우징 (l)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형성한 단차의 구조가 약간 다른 점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의 단차의 구조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가 형성된 제 1 내저면 (1d) 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3) 가 형성된 제 2 내저면 (1e) 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설치위치는,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보다도 한층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수납부 (1a) 의 내저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3의 상면측에 형성되는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는, 상기 스템 (5) 의 가압방향 (종방향) 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스템 (5) 의 가압방향 (종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 (횡방향) 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4) 의 크기에 맞춰서 상기 하우징 (1) 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가동접점 (4) 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서 상기 하우징 (1) 의 폭을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l 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의 상면측의 상기 가동접점 (4) 의 상측에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의 상기 가동접점 (4) 이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를 형성한 내저면에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및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의 상면측에 설치되는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를, 그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하여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4) 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서 상기 하우징 (l) 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 (4) 의 설치위치의 위치결정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 (2) 를 설치하는 상기 제 1 내저면 (1d) 과,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 (3) 를 설치하는 상기 제 2 내저면 (1e) 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제 1 및 제 2 내저면 (1d, 1e) 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4,4) 끼리를 이간시켰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 (4, 4) 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이한 구조로 신뢰성이 있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동접점 (4) 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작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스위치본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3를 좌우방향의 2 방향으로 형성한 구조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의 어느쪽의 1 방향이나, 좌우상하의 4 방향, 및 8 방향 등에 설치한 다방향 조작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구조는, 하우징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형성된 중앙고정 접점부와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가동접점끼리는, 스템의 가압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스템의 가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수납부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동접점의 크기에 맞추어 하우징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동접점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 하우징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의 내저면에는, 중앙고정 접점부를 설치하는 제 1 내저면과, 주변고정 접점부를 설치하는 제 2 내저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및 제 2 내저면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수납부내에서 가동접점끼리를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접점끼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저면은, 제 2 내저면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이한 구조로 신뢰성이 있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내저면은, 제 2 내저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간이한 구조로 신뢰성이 있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템은, 가압방향과 경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작가능하고, 스템의 가압방향의 조작에 의해, 중앙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가동접점이 가압되어 중앙고정 접점부가 온하고, 스템의 경도방향의 조작에 의해,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가동접점이 가압되어 주변고정 접점부가 온하도록 하였으므로, 복수의 가동접점을 사용한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본체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Claims (5)

  1. 유저 (有底) 의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수납부의 내저면에 설치된 중앙고정 접점부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의 둘레면에 설치된 주변고정 접점부와, 이 중앙고정 접점부, 및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과, 이 복수의 가동접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접점의 전환을 실행하는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와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끼리는,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으로는 단이 다르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외형의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수납부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는,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를 설치하는 제 1 내저면과,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를 설치하는 제 2 내저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제 1 및 제 2 내저면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저면은, 상기 제 2 내저면보다도 높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l 의 내저면은, 상기 제 2 내저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가압방향과 경도 (傾倒)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작가능하고, 상기 스템의 가압방향의 조작에 의해,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이 가압되어 상기 중앙고정 접점부가 온하고, 상기 스템의 경도방향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에 대향하여 설치된 상기 가동접점이 가압되어 상기 주변고정 접점부가 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2000-0077378A 1999-12-16 2000-12-16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0396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57753 1999-12-16
JP35775399A JP3875438B2 (ja) 1999-12-16 1999-12-16 多方向操作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05A KR20010062505A (ko) 2001-07-07
KR100396535B1 true KR100396535B1 (ko) 2003-09-02

Family

ID=1845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378A KR100396535B1 (ko) 1999-12-16 2000-12-16 다방향 조작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3911B2 (ko)
JP (1) JP3875438B2 (ko)
KR (1) KR100396535B1 (ko)
CN (1) CN1150574C (ko)
TW (1) TW480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4037B2 (ja) * 1999-12-28 2010-02-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スイッチ装置
TW535037B (en) * 2000-06-20 2003-06-01 Swatch Group Man Serv Ag Electric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at least three different contacts
JP2003045291A (ja) * 2001-08-02 2003-02-14 Fuji Photo Film Co Ltd 操作ボタン構造
JP2004139335A (ja) * 2002-10-17 2004-05-13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4088577B2 (ja) * 2003-10-16 2008-05-21 ホシデ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用可動接点および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418399B2 (ja) * 2004-08-09 2010-02-17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接点入力装置
TWI249952B (en) * 2004-12-29 2006-02-21 Tatung Co Ltd A direction key structure of preventing correlating action
US7173206B2 (en) * 2005-04-22 2007-02-06 Tyco Electronics Canada Ltd. Sealed soft switch assemblies
EP1750195B1 (en) * 2005-08-05 2011-01-19 Niles Co., Ltd. Joystic input device
CN2891254Y (zh) * 2006-04-10 2007-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
US20080237009A1 (en) * 2007-03-27 2008-10-02 Adam Weisz-Margulescu Sealed switch assembly
JP2012195057A (ja) * 2011-03-14 2012-10-1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CN102779674B (zh) * 2012-07-11 2014-07-30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三向开关
KR102423811B1 (ko) * 2020-09-15 2022-07-22 동아전기부품(주) 버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537U (ja) * 1984-02-10 1985-09-02 株式会社精工舎 時計などのスイツ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7285A (en) * 1974-07-08 1975-12-16 L H Frost And Company Inc Multidirectional switch with universally pivot actuator for activating plural circuits
LU74330A1 (ko) * 1976-02-11 1977-08-19
US6201196B1 (en) * 1995-06-02 2001-03-13 Gerhard Wergen Joystick assembly
US5889242A (en) 1996-10-17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nd multidirectional op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160225A (en) * 1997-07-03 2000-12-12 Alp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537U (ja) * 1984-02-10 1985-09-02 株式会社精工舎 時計などのスイツ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04045A1 (en) 2001-06-21
KR20010062505A (ko) 2001-07-07
CN1150574C (zh) 2004-05-19
CN1305207A (zh) 2001-07-25
JP3875438B2 (ja) 2007-01-31
TW480510B (en) 2002-03-21
US6423911B2 (en) 2002-07-23
JP2001176357A (ja) 200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75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및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0800242B1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KR100715069B1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KR20010088351A (ko) 포인팅장치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US592488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C card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US4046982A (en) Switch means for short-stroke push-button keys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050105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KR100234488B1 (ko) 스위치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100403B1 (ko) 다단동작 스위치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1250450A (ja) 押釦スイッチ
KR200297764Y1 (ko) 택트 스위치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960005877Y1 (ko) 주회로 기판과 스위치의 연결장치
JP2003151404A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222485Y1 (ko) 키보드용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