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488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488B1
KR100234488B1 KR1019950035455A KR19950035455A KR100234488B1 KR 100234488 B1 KR100234488 B1 KR 100234488B1 KR 1019950035455 A KR1019950035455 A KR 1019950035455A KR 19950035455 A KR19950035455 A KR 19950035455A KR 100234488 B1 KR100234488 B1 KR 10023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vable
terminal
leaf spring
switc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627A (ko
Inventor
아이미미쯔오
타케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6001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프린트기판에 장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린트기판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스위치케이스(11)에 대락 L자형상으로 절곡한 가동편쪽단자(13)을 심어 설치하고, 가동절환판(16), 판스프링(15), 절환부재(14)를 절연케이스(11)의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병행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2b도는 동조립후의 사시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부분단면도.
제3b도는 동 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제 1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동작설명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5b도는 동 조립후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의 ON상태의 부분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의 OFF상태의 부분단면도.
제8a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8b도는 동 조립후의 사시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가동절환판과 절환부재의 평면도.
제9b도는 동 조립후의 평면도.
제10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ON상태의 부분단면도.
제11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가동절환판과 절환부재의 조립도.
제12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절환부재와 가동편쪽단자의 조립순서도.
제13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절환부재와 가동편쪽단자의 조립도.
제14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판스프링의 조립순서도.
제15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스위치유닛의 조립도.
제16도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스위치유닛의 조립도.
제17도는 종래의 스위치의 측단면도.
제18도는 종래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위치케이스 (11A) : 스프링걸림부
(11B), (11D) : 긴구멍 (11C) : 바닥판
(12) : 고정단자 (12A), (13E) : 접속부
(13), (23), (33) : 가동편쪽단자 (13A) : 제 1지지부
(13B) : 제 2지지부 (13C), (23C) : 제 1돌출부
(13D) : 잘린부분 (13G) : 제 2돌출부
(14) : 절환부재
(14A), (14B), (15B), (16A), (16B), (17A) : 오목부
(14C), (15D), (25D), (26D) : 슬릿 (15), (25) : 판스프링
(15A) : 타단부 (15C), (25C) : 절곡부
(16), (26), (36) : 가동절환판 (16C), (16E), (17C) : 단부
(16D) : 공간부 (17) : 접동체
(17E) : 내부공간 (18) : 프레임
(19) : 코일스프링 (20A) : 고정접점
(20B) : 가동접점 (26F) : 걸림부
(33F) : 제 3돌출부 (a), (b), (c) : 걸림점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린트기판등에 장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를 제 17도 및 제 1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의 의해 만들어진 스위치케이스(1)에는 접점(10A)을 형성한 고정단자(2) 및 가동절환판(6)을 지지하기 위한 가동편쪽단자(3)가 심어 설치되어 있다. 가동편쪽단자(3)는 도면에 있어서 상부의 잘린부분에 위지지점부(3A) 및 아래지지점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케이스(1)의 상부에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물로 만들어진 접동체(7)가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절환판(6)은 상단부(6A)가 접동체(7)의 오목부(7A)에 걸림되어 있다. 가동절환판(6)의 하단부에는 가동편쪽단자(3)의 접점고정부(3C)의 접하는 접점(10B)을 가진다.
판스프링(5)은 대략 V자형상의 스프링부재이고, 상부가 제 18도의 걸림점B에서 가동절환판(6)에 걸림되고, 하단부가 상기 가동편쪽단자(3)의 아래지지점(3B)에 걸림되어 있다. 절환부재(4)는 대략 L자형상의 판부재이고, 상단부가 가동편쪽 단자(3)의 위지지점부(3A)에 제 19도의 걸림점(C(고정점))에서 걸림되고, 하단부가 제 18도의 걸림점A에서 가동절환판(6)에 걸림되어 있다.
코일스프링(9)은 접동체(7)를 항상 화살표 L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금속커버(8)는 스위치케이스(1)의 개구부를 덮고 있다. 이 스위치는, 일반적으로는 프린트기판(25)의 구멍에 고정단자(2)와 가동편쪽단자(3)를 삽입하고, 양자를 프린트기판(25)의 도체층에 납땜함으로써, 프린트기판에 장착된다.
상기 종래의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제 18도의 (a), (b), (c)에 표시한 가동절환판(6), 판스프링(5) 및 절환부재(4)의 가동부분의 동작모식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 18도(a)는 스위치가 OFF로 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접동체(7)의 압압동(7C)을 화살표 M방향으로 누르면, 가동절환판(6)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걸림점 A와 걸림점 B를 연결선(6L)이 화살표 N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점 C에 근접한다. 제 18도(b)에 있어서 선(6L)이 걸림점 C상에 있다. 접동체(7)를 또 누르고 제 18(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6L)이 걸림점 C를 넘었을때, 가동절환판(6)은 좌측으로 급속히 이동하고, 점점(10B)은 고정단자(2)에 형성된 접점(10A)에 당접하여, 스위치는 ON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위치에서는 가동절환판(6)은 프린트기판(25)의 면에 대해서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2)로부터 금속커버(8)까지의 치수가 크고, 프린트기판에 장착했을 때의 프린트기판(25)의 면으로부터의 스위치의 높이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동편쪽단자를 대략 L자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가동절환판, 판스프링, 절환부재를 스위치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또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발명의 스위치는, 고정단자 및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하여 가동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가동편쪽단자를 심어 설치하고 중앙부에 공간부를 가진 스위치케이스와, 이 가동편쪽단자의 상부에 형성한 잘린부분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한쪽에 일단부가 걸어맞춤한 만곡된 판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의 다른쪽에 일단부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절환부재와, 중앙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의 공간의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병행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안쪽단부에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부의 안쪽타단부에 상기 절환부재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된 가동절환판과, 상기 가동절환판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에 접동자재하게 수납된 접동체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발명의 스위치는, 한쪽의 단부에 고정접점을 가지고, 다른쪽의 단부에 외부배선으로 접속되는 접속부의 가진 고정단자와, 고정접점에 접속분리하는 가동접점을 가진 가동절환판을 유지하기 위한 L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L자형상의 부재의 한쪽의 단부에 외부배선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단부에 돌출부 및 돌출부의 기부에 형성된 잘린부분을 가진 가동편쪽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와 가동편쪽단자사이의 전기적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단자와 가동편쪽단자의 외부배선으로의 접속부를 동일면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유지하는 스위치케이스와, 상기 가동편쪽단자에 형성된 잘린부분내의 제 2지지부에 일단부가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중심부에 형성된 슬릿속에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가동편쪽단자에 형성된 잘린부분내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지지부에 일단부가 걸어맞춤된 절환부재와, 한쪽의 단부에 가동접점을 가지고, 중앙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고정단자 및 가동편쪽단자의 상기 외부배선으로의 접속부를 돌출시켜서 유지하는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면에 대략 병행해서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의 상기 가동접점으로부터 먼쪽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절환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의 상기 가동접점에 가까운쪽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가동절환판, 및 상기 가동절환판의 다른쪽의 단부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에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접동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발명의 스위치는, 또 상기 판스프링의 슬릿의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돌출부가 접하는 단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떨어져 있을 때 상기 돌출부에 당접하는 절곡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발명의 스위치는, 또 가동절환판의 공간부의 가동접점에 가까운 단부에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절환부재의 단부가 걸어맞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발명의 스위치는, 또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상기 잘린부분에 상기 절환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6발명의 스위치는, 상기 고정단자, 가동편쪽단자, 판스프링, 절환부재 및 가동절환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이 1개의 스위치케이스내에 2개 배설되고, 1개의 접동체에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닛이 걸어맞춤되어서 양스위치 유닛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편쪽단자를 대략 L자형상으로 하고, 가동절환판, 판스프링, 절환부재를 스위치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으로 또한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스위치의 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제 1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실시형태의 스위치를 제 1도, 제 2도, 제 3도 및 제 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 1도에서는, 1개의 스위치케이스(11)에 2조의 스위치유닛(40)을 조립해 넣은 2회로의 스위치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2조의 스위치유닛(40)의 각각의 구성 및 동작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한쪽조(組)의 스위치기구에 대해서 행하는 설명은 다른쪽 조의 스위치기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 1도에 있어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구성된 스위치케이스(11)는 바닥판(11C)에 긴구멍(11B) 및 (11D)를 가지고 있다. 긴구멍(11B)에는,한쪽의 단부에 고정접점(20A)을 가지고 다른쪽의 단부에 접속부(12A)를 가진 고정단자(12)의 접속부(12A)가 삽입되어 있다. 접속부(12A)는 바닥판(11C)의 긴구멍(11B)을 관통해서 외부에 돌출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에 장착할 때에는, 프린트기판의 도전층에 접속된다. 구멍(11D)에는, L자형의 가동편쪽단자(13)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접속부(13E)가 삽입된다. 접속부(13E)는 접속부(12A)와 마찬가기로 프린트기판의 도전층에 접속된다. 가동편쪽단자(13) 및 가동편쪽단자(13)에 장착되는 다른 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제 2도에 표시한다.
L자형의 가동편쪽단자(13)의 다른쪽의 단부에 제 1돌출부(13C)와, 제 1돌출부(13C)보다 짧은 제 2돌출부(13G)를 가지고 있다. 제 1돌출부(13C)와 제 2돌출부(13C)의 사이에는 잘린부분(13D)이 형성되어 있다. 잘린부분(13D)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제 1지지부(13A) 및 제 2지지부(13B)로서 작용하는 각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지지부(13B)에는, 대략 U자형으로 만곡된 판스프링(15)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5B)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제 1지지부(13A)에는, 절환부재(14)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4A)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절환부재(14)는, 오목부(14A)가 형성된 단부가 붙어 있는 부분이 되는 두갈래의 포크형상을 가지고, 포크형상의 슬릿(14C)에 가동편쪽단자(13)의 제 2돌출부(13G)가 삽입되어 있다.
판스프링(15)의 타단부(15A)는 가동절환판(16)의 공간부(16D)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6A)에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가동절환판(16)의 슬릿(16D)의 다른쪽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6B)에는, 절환부재(14)의 선단부에 설치된 오목부(14B)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절환판(16)은 스위치케이스(11)의 바닥판(11C)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병행으로 배치된다. 가동절환판(16)의 단부(16E)에는 가동접점(20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도, 제 3도의 (a) 및 제 3도의 (b)에 있어서, 접동체(17)는, 가동절환판(16)의 단부(16C)와 걸어맞춤하는 오목부(17A)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케이스(11)내에 있어서 화살표 M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18)은 접동체(17)를 스위치케이스(11)내에 유지하기 위한 커버이고, 스위치케이스(11)의 개구부를 덮고 있다. 코일스프링(19)은 접동체(17)의 내부공간(17E)에 압축되어서 수납되어 있으며, 접동체(17)를 향상 화살표 N의 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일단부를 상기 스위치케이스(11)의 스프링걸림부(11A)에 걸게하고, 타단부를 상기 접동체(17)의 상기 내부공간의 단부(17C)에 당접해서 설치시키고 있다.
제 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립시,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A)와 가동편쪽단자(13)의 제 1지지부(13A)가 걸어맞춤되고, 판스프링(15)의 슬릿(15D)에는 가동편쪽단자(13)의 제 1돌출부(13C)가 삽입됨으로써, 절환부재(14) 및 판스프링(15)의 화살표 P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제 2도(b)에 표시한 조립체를 스위치유닛이라고 칭한다. 스위치유닛을 스위치케이스(11)의 바닥판(11C)의 구멍(11D)(제 1도)에 삽입함으로써 스위치가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도의 (a)에 있어서, 접동체(17)를 화살표 M방향으로 압압해서 이동시키면, 접동체(17)의 오목부(17A)와 걸어맞춤하고 있는 가동절환판(16)의 단부(16C)가 화살표 M방향으로 눌려지고, 가동절환판(16)의 가동접점(20B)이 고정단자(12)의 접점(20A)에 당접해서 스위치가 ON으로 된다.
상기의 동작을 제 4도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4도는, 스위치를 구성하는 절환부재(14), 판스프링(15) 및 가동절환판(16)을 간략화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의 걸림점(A)은,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B)와 가동절환판(16)의 오목부(16B)의 걸어맞춤부를 표시하고 있다. 걸림점(B)은, 판스프링(15)의 타단부(15A)와 가동절환판(16)의 오목부(16A)와의 걸어맞춤부를 표시하고 있다. 또 걸림점(C)은,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A)와 가동편쪽단자(13)의 제 1지지부(13A)와의 걸어맞춤부를 표시하고 있다. 걸림점(A) 및 (B)은 스위치의 ON ·OFF동작중에 이동하나, 걸림점(C)은 이동하지 않는다.
제 4도(a)는 스위치가 OFF로 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접동체(17)를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점A과 B를 연결선으로 표시하는 가동절환판(16)은 단부(16C)를 접동체(17)에 압압해서 화살표 M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걸림점A은 걸림점(C)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가동절환판(16)은 판스프링(15)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제 4도(b)는 가동절환판(16)이 걸림점(C)상에 온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판스프링(15)은 가장 압축된 상태로 된다. 접동체(17)를 또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4도(c)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절환판(16)이 걸림점(C)을 넘으면, 압축된 판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서 절환부재(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걸림점(A)도 급속히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가동절환판(16)을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점(20B)이 고정단자(12)의 접점(20A)에 당접해서 ON으로 된다. 접동체(17)를 놓아주면, 코일스프링(19)에 의해서 접동체(17)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서 스위치는 OFF로 된다.
제 1도 및 제 3도의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진 2개의 가동절환판(16)은 접동체(17)의 조작에 의해서 동시에 작동하고, 2개의 스위치회로를 동시에, ON ·OFF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접동체(17)를 화살표 M방향으로 누르면 스위치가 ON으로 되고, 놓아주면 OFF로 되는 구성으로 표시하였으나, 이것과는 다른 예로서, 도시를 생략한 공지의 록기구를 조립해 넣음으로써 접동체(17)를 누를때마다 교호로 ON ·OFF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코일스프링(19)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눌렀을 때 ON으로 되어서 그 상태를 유지하고, 끌어당기면 OFF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한 가동편쪽단자(13)를 스위치케이스(11)에 심어설치하고, 가동절환판(16), 판스프링(15), 절환부재(14)를 스위치케이스(11)의 바닥판(11C)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바닥판(11C)으로부터 프레임(18)까지의 치수가 작은 박형의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도 및 제 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이상의 연동형 스위치회로를 설치한 경우에도 바닥판(11C)으로부터 프레임(18)까지의 치수가 단일스위치의 것에 비교해서 증가하는 일은 없고, 복수의 스위치회로를 가진 박형의 스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실시형태]
제 5도, 제 6도 및 제 7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5도(a)에 표시한 분해사시도에 있어서, 가동편쪽단자(23)와 판스프링(25)만이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달라지고 있다. 다른 요소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편쪽단자(23)에 있어서는, 제 1돌출부(23C)의 길이가 제 2도(a)에 표시한 가동편쪽단자(13)의 제 1돌출부(13C)의 길이보다 짧게되어 있으며, 그밖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가동편쪽단자(13)와 동일하다. 또 판스프링(25)은, 오목부(15B)의 근방으로부터 중앙부에 이르는 홀쭉한 슬릿(25D)의 오목부(15B)로부터 먼 단부에, 절곡부(25C)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25C)는 대략 U자형으로 구부러진 판스프링(25)의 U자형의 안쪽을 향해서 구부러져 있다. 제 5도(b)는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유닛의 조립도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슬릿(25D)에는 가동편쪽단자(23)의 제 1돌출부(23C)가 삽입되어 있다.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의 동작을 제 6도 및 제 7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6도는 스위치가 ON으로 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이다. 접동체(17)는 화살표 M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절환판(16)에 형성된 가동접점(20B)은 고정접점(20A)에 당접하고 있다. 이때 가동편쪽단자(23)의 제 1돌출부(23C)는 판스프링(25)의 슬릿(25D)에 삽입되어 있다.
제 7도는 접동체(17)가 화살표 N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가 OFF로 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접동체(17)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가동절환판(16)이 위쪽으로 이동하고 가동접점(20B)이 고정접점(20A)으로부터 떨어진다. 가동절환 판(16)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판스프링(2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판스프링(25)은 최종적으로 절곡부(25C)가 가동편쪽단자(23)의 제 1돌출부(23C)에 당접해서 회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가동절환판(16)의 이동도 정지한다.
제 5도(b)의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을 제 2도(b)의 제 1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과 비교하면, 제 2도(b)에 있어서의 제 1돌출부(13C)는 제 5도(b)에 있어서의 제 1돌출부(23C)보다 길고, 판스프링(15)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제 5도(b)에 있어서의 제 1돌출부(23C)는 판스프링(25)의 면과 거의 동등한 위치에 있다. 그 이유는, 판스프링(25)의 절곡부(25C)가 판스프링(25)의 U자형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 돌출한 절곡부(25C)가 제 1돌출부(23C)에 당접하므로, 제 1돌출부(23C)를 판스프링(25)의 슬릿(25D)을 관통하도록 길게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제 1돌출부(23C)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으므로 가동편쪽단자(23)를 제조할 때의 재료가 절감되는 동시에, 스위치의 치수를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실시형태]
제 8도, 제 9도 및 제 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8도에 표시한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에 있어서는, 가동편쪽단자(33) 및 가동절환판(26)이 제 5도에 표시한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에 있어서의 가동편쪽단자(23) 및 가동절환판(16)과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그밖의 요소는, 제 2실시형태의 스위치가 대응하는 요소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 8도(a)에 있어서, 가동편쪽단자(33)는 L자형으로 절곡된 부재의 한쪽의 단부에 외부배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3E)를 가지고, 다른쪽의 부분에는 제 1돌출부(23C)와 제 1돌출부(23)보다 짧은 제 2돌출부(13G)를 가지고 있다. 제 1 돌출부(23)와 제 2돌출부(13G)사이에는, 제 2돌출부(13G)보다 더욱 짧은 제 3돌출부(33F)가 형성되어 있다.
제 8도(b)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의 조립도이다. 제 8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3돌출부(33F)는 절환부재(14)의 슬릿(14D)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 3돌출부(33F)의 위치, 형상 및 치수는, 절환부재(14), 판스프링(25) 및 가동절환판(26)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정되어 있다. 제 8도a에 있어서, 가동절환판(26)은, 슬릿(26D)의 가동접점(20B)에 가까운 단부에 걸림부(26F)를 설치하고 있다. 걸림부(26F)는 2개의 갈고리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 8도(a), (b)에 있어서, 가동편쪽단자(33)의 상부에 설치된 돌기(33F)는, 절환부재(14)에 설치한 슬릿(14D)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 돌기(33F)를 설치함으로써, 스위치에 충력력등이 가해질 때, 절환부재(14)가 가동접점(20B)쪽으로 이동하고, 가동편쪽단자(33)의 지지부(13A)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제 9도(a)는, 가동절환판(26)과 가동절환판(26)의 걸림부(26F)에 걸림되는 절환부재(14)의 걸림전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절환부재(14)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B)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단부를 각각의 걸림부(26F)에 압입한다. 절환부재(14)는 슬릿(14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력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의 압입에 의해서 제 9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4B)에 걸림부(26F)를 길게할 수 있다. 걸림부(26F)는 갈고리형상부를 가졌으므로, 일단 오목부(14B)에 걸림부(26F)가 삽입되면 절환부재(14)는 용이하게 빠지는 일은 없다. 즉, 절환부재(14)가 가동절환판(26)에 임시고정된 상태로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제 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유닛이 스위치케이스(11)에 수납된 상태에서, 화살표 F방향으로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절환부재(4)로부터 가동절환판(26)이 빠지는 일은 없다. 또, 제 3돌출부(33F)가 절환부재(14)의 슬릿(14D)에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화살표 F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때 절환부재(14)가 제 3돌출부(33F)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절환부재(14)가 화살표 F방향으로 벗어나는 일도 없고, 가동절환판(26)의 단부 (16C)가 접동체(17)의 오목부 (17A)로 부터 벗어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절환부재(14)로부터 가동절환판(26)이 벗어난 경우에 판스프링(15)이 압축되어서 발생하는 판스프링(1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항상 안정된 최적한 접점압력이 유지되고, 고신뢰성이고 또한 장수명의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제 11도에서부터 제 16도까지는 제 3실시형태의 스위치의 조립순서를 표시한것이다. 제 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가동절환판(26)의 걸림부(26F)에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B)를 삽입해서 임시고정한다. 제 12도는 제 11도에서 임시고정한 것을 가동편쪽단자(33)와 조립하기 전의 상태를 표시한다. 다음에 제 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절환부재(14)의 오목부(14A)를 가동편쪽단자(33)의 제 1지지부(13A)와 제 3돌출부(33F)사이에 걸어 맞춤한다. 또 제 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5)의 오목부(15B)를 가동편쪽단자(33)의 제 2지지부(13B)에 걸어둔다. 마지막으로 제 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5)의 타단부(15A)를 가동절환판(36)의 오목부(16A)에 걸리게 해서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가동절환판(36)의 걸림부(26F)및 가동편쪽단자(33)의 상기 제 3돌출부(33F)에 의해서, 각각 절환부재(14) 및 가동절환판(36)을 가동편쪽단자(33)에 임시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조립작업이 도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의 일방향으로부터 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따라서 자동조립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6도는 가동절환판(26)을, 스위치가 OFF로 되는 상태로 했을 때의 스위치유닛의 도면이고, 이 상태에서 스위치케이스(11)에 장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는, 가동편쪽단자를 측면도면상에서 대략 L자형의 형상으로 하고, 가동절환판, 판스프링, 절환부재를 스위치케이스의 평면도면상에서 대략 평행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스위치의 프린트기판 장착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 판스프링(25)이 절곡부(25C)를 가진 것에 있어서는, 스위치를 OFF로 했을 때, 이 절곡부(25C)가 가동편쪽단자(33)의 제 1돌출부(23C)와 당접해서, 판스프링(25)을 정지시키므로, 가동편쪽단자(33)의 제 1돌출부(23C)의 길이를 짧게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편쪽단자(33)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가동절환판(26)의 슬릿(26D)의 단부에 설치된 걸림부(26F)에 절환부재(14)의 타단부(14B)를 절환부재(14)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압입해서 걸리게 한 것에 있어서는, 걸림부에 의해서 절환부재를 가동절환판에 임시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작업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가동편쪽단자(33)가 대향하는 지지부사이에 돌기(33F)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는, 스위치에 강한 충격을 주어도, 이 돌출부(33F)에 절환부재(14)가 당접하고, 절환부재(14)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고정단자 및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하고 가동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가동 편쪽단자를 심어 설치하여 중앙부에 공간부를 가진 스위치케이스와, 이 가동편쪽단자의 상부에 형성한 잘린부분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한쪽에 일단부가 걸어맞춤한 만곡된 판스프링과, 상기 지지부의 다른쪽에 일단부가 걸어맞춤하고 있는 절환부재와, 중앙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의 공간의 바닥면에 대해서 대략 병행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안쪽단부에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동시에 상기 공간부의 안쪽타단부에 상기 절환부재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된 가동절환판과, 상기 가동절환판의 단부와 걸어맞춤하는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에 접동자재하게 수납된 접동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단부에 고정접점을 가지고, 다른쪽의 단부에 외부배선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가진 고정단자, 고정접점에 접속분리하는 가동접점을 가진 가동절환판을 유지하기 위한 L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L자형상의 부재의 한쪽의 단부에 외부배선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단부에 돌출부 및 돌출부의 기부에 형성된 잘린부분을 가진 가동편쪽단자, 상기 고정단자와 가동편쪽단자사이의 전기적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단자와 가동편쪽단자의 외부배선으로의 접속부를 동일면으로부터 돌출시켜서 유지하는 스위치케이스, 상기 가동편쪽단자에 형성된 잘린부분내의 제 2지지부에 일단부가 걸어맞춤과 동시에,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속에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판스프링, 상기 가동편쪽단자에 형성된 잘린부분내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 1지지부에 일단부가 걸어맞춤된 절환부재, 한쪽의 단부에 가동접점을 가지고, 중앙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고정단자 및 가동편쪽단자와 상기 외부배선으로의 접속부를 돌출시켜서 유지하는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면에 대략 병행해서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의 상기 가동접점으로부터 먼쪽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절환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의 상기 가동접점에 가까운 쪽에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가동절환판, 및 상기 가동절환판의 다른쪽의 단부에 걸어맞춤되고 상기 스위치케이스내에서 접동가능하게 설치된 접동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1항과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슬릿의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돌출부가 접하는 단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떨어져 있을 때 상기 돌출부에 당접하는 절곡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동절환판의 공간부의 가동접점에 가까운 단부에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에 상기 절환부재의 단부가 걸어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쪽단자의 상기 잘린부분에 상기 절환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가동편쪽단자, 판스프링, 절환부재 및 가동절환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이 1개의 스위치케이스내에 2개 배설되고, 1개의 접동체에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닛이 걸어맞춤되어서 양스위치유닛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가동편쪽단자, 판스프링, 절환부재 및 가동절환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이 1개의 스위치케이스내에 2개 배설되고, 1개의 접동체에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닛이 걸어맞춤되어서 양스위치유닛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가동편쪽단자, 판스프링, 절환부재 및 가동절환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이 1개의 스위치케이스내에 2개 배설되고, 1개의 접동체에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닛이 걸어맞춤되어서 양스위치유닛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 가동편쪽단자, 판스프링, 절환부재 및 가동절환판에 의해서 구성되는 스위치유닛이 1개의 스위치케이스내에 2개 배설되고, 1개의 접동체에 상기 2개의 스위치유닛이 걸어맞춤되어서 양스위치유닛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19950035455A 1994-10-18 1995-10-14 스위치 KR100234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91194 1994-10-18
JP94-251911 1994-10-18
JP7230510A JPH08171832A (ja) 1994-10-18 1995-09-07 スイッチ
JP95-230510 1995-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627A KR960015627A (ko) 1996-05-22
KR100234488B1 true KR100234488B1 (ko) 1999-12-15

Family

ID=2652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455A KR100234488B1 (ko) 1994-10-18 1995-10-14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08248A (ko)
JP (1) JPH08171832A (ko)
KR (1) KR100234488B1 (ko)
CN (1) CN10946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7552B2 (ja) 2000-10-24 2008-05-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N102623227B (zh) * 2012-03-30 2015-07-08 叶春林 拉线滑动式信号触通的方法及其构成
JP5898564B2 (ja) * 2012-05-16 2016-04-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型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1690A (en) * 1950-06-17 1953-09-08 Ranco Inc Electric snap switch
US2688058A (en) * 1952-07-28 1954-08-31 Allen Bradley Co Snap switch apparatus
DE1242735B (de) * 1965-04-21 1967-06-22 Marquardt J & J Durch einen Stoessel betaetigbarer elektrischer Schnappschalter
US3497649A (en) * 1967-06-28 1970-02-24 Appliance Mfg Co Inc Snap-action switch
JPS4963475U (ko) * 1972-09-14 1974-06-04
US3965316A (en) * 1973-09-07 1976-06-22 Mcgill Manufacturing Company, Inc. Low force switch mechanism
DE2409604B2 (de) * 1974-02-26 1978-04-27 Rudolf Schadow Gmbh, 1000 Berlin Schiebetasten-Schnappschalter
DE7801399U1 (de) * 1978-01-19 1978-05-11 Bsg Schalttechnik Gmbh & Co Kg, 7460 Balingen Schnappschalter
FR2597658B1 (fr) * 1986-04-16 1992-09-11 Vialy Roger Commutateur miniature a rupture brusque
US4835348A (en) * 1988-03-07 1989-05-30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switch device
JPH0287337A (ja) * 1988-09-22 1990-03-28 Canon Inc 光ヘッド
JPH0443051A (ja) * 1990-06-08 1992-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転写プリンタ装置
JP2924353B2 (ja) * 1991-09-17 1999-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627A (ko) 1996-05-22
CN1131331A (zh) 1996-09-18
JPH08171832A (ja) 1996-07-02
US5808248A (en) 1998-09-15
CN1094642C (zh)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US6554630B2 (en) Movable terminal,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30863B1 (ko) 동축 커넥터
KR100289216B1 (ko) 스위치 접속 구조
US8344275B2 (en) Switching device
US6816044B2 (en)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KR100258483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US20060254901A1 (en) Switch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US5891591A (en) Battery terminal
KR100234488B1 (ko) 스위치
US4046982A (en) Switch means for short-stroke push-button keys
EP1363301B1 (en) Power-supply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US4398069A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KR100324785B1 (ko) 푸쉬스위치장치
JP3399170B2 (ja) スイッチ
KR101029639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JPH1021805A (ja) 温度スイッチ
KR100551920B1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US4523064A (en) Snap action switch
EP0708465B1 (en) Switch
JP4552357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H048588Y2 (ko)
KR890000051Y1 (ko) 자동 복귀형 스위치
JPH04224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