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85B1 - 푸쉬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푸쉬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785B1
KR100324785B1 KR1019980033979A KR19980033979A KR100324785B1 KR 100324785 B1 KR100324785 B1 KR 100324785B1 KR 1019980033979 A KR1019980033979 A KR 1019980033979A KR 19980033979 A KR19980033979 A KR 19980033979A KR 100324785 B1 KR100324785 B1 KR 10032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ase
fixed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781A (ko
Inventor
후유끼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80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22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45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4560A/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2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접점부재를 확실히 전기적인 도통상태로 유지하면서 고정단자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케이스 (1) 의 저부 (1a) 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 (2a) 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 (2) 와, 제 1 고정단자 (2) 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 2 고정접점 (3a) 과, 하방으로 180°되접어 형성하여 제 2 고정접점 (3a) 의 하방에 설치된 시일 (seal) 판부 (3c) 를 가지는 제 2 고정단자 (3) 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4a) 가 되고 일단에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를 슬라이딩하여 제 1 고정접점 (2a)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 (4c) 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제 2 고정접점 (3a) 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 (4b) 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 (4) 와, 가동부 (4a) 를 눌러 내리는 조작노브 (5) 를 갖는다.

Description

푸쉬 스위치 장치{PUSH SWITCH DEVICE}
본 발명은 가동접점의 스프링성을 이용하여 조작노브의 상하운동을 제어하도록 한 푸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그 스프링성에 의해 통상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의 스프링성을 이용하여 조작노브를 항시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는 푸쉬 스위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할 수 있으며 조작감촉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푸쉬 스위치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68645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을 도 11 에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은 제 1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저면에 고정접점 (22, 23) 을 배치한 대략 되형상의 케이스 (21) 와,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24) 로 된 가동접점부재 (25) 와, 이 가동접점부재 (25) 의 가동부 (24) 를 누르는 조작노브 (26) 를 가지고 있다. 가동접점부재 (25) 는 그 일단부가 케이스 (21) 의 측벽에 결합되어 지점부 (27) 를 구성하고, 가동접점부재 (25) 의 타단부가 가동접점 (28) 으로 되어 가동부 (24) 의 하강에 따라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접점 (22) 으로부터 고정접점 (23) 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25) 는, 도 11 에 나타낸 조작노브 (26) 의 비압입 상태에서는 그 스프링성으로 가동부 (24) 가 상승되고, 가동접점부 (28) 는 고정접점 (23) 에서 떨어져 고정접점 (22) 에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노브 (26) 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9 는 케이스 (21) 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 (21a) 의 오목부 (21b) 의 저면에 인서트 성형된 고정접점이며, 이 고정접점 (29) 에 가동접점부재 (25) 의 지점부 (27) 가 항시 접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푸쉬 스위치 장치는, 고정접점 (22, 23) 을 구비한 케이스 (21) 와 가동접점부재 (25) 그리고 조작노브 (26) 의 3 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며 조작노브 (26) 의 조작감촉도 매끄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7 은 제 2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저면에 2 개의 고정접점 (도시생략) 을 배치한 대략 되형상의 케이스 (121) 와,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122) 로 된 가동접점부재 (123) 와, 이 가동접점부재 (123) 의 가동부 (122) 를 누르는 조작노브 (124) 와, 케이스 (121) 로부터 조작노브 (124) 가 이탈하지 않도록 또한 조작노브 (124) 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125) 를 갖고 있다. 조작노브 (124) 는 그 하단부 (124b) 에 오목부 (124a) 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 (124a) 에서 가동접점부재 (123) 의 가동부 (122) 를 누름과 동시에 조작노브 (124) 의 상단부를 커버 (125) 의 구멍 (125a) 에서 돌출시키고 있다. 가동접점부재 (123) 는 그 일단부가 케이스 (121) 의 측벽에 결합되어 지점부 (126) 를 구성하고, 가동접점부재 (123) 의 타단부가 가동접점부 (127) 로 되어 가동부 (122) 의 하강에 따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케이스 (121) 내의 일방의 고정접점으로부터 타방의 고정접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123) 는, 조작노브 (124) 의 비압입 상태에서는 그 스프링성에 의해 가동부 (124) 가 상승하고, 가동접점부 (127) 는 타방의 고정접점에서 분리되어 일방의 고정접점에 접촉하고 조작노브 (124) 도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푸쉬 스위치 장치는, 고정접점을 구비한 케이스 (121) 와 가동접점부재 (123) 와 조작노브 (124) 그리고 커버 (125) 의 4 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며 또 조작노브 (124) 의 조작감촉도 매끄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의 종래예에서는 고정접점 (29) 은 수지 몰딩된 오목부 (21b) 에 노출되고 이 오목부 (21b) 에 가동접점부재 (25) 의 지점부 (27) 를 걸어두기 때문에, 고정접점 (29) 에 수지피복이 잘 발생하고 또 가동접점부재 (25) 의 지점부 (27) 를 수지로 받치고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부재 (25) 의 동작에 의해 미끄러짐이 생기기 쉽고 가동접점부재 (25) 의 지점부 (27) 와 고정접점 (29) 과의 도통불량 등 문제가 잘 발생한다.
또한, 케이스 (21) 의 내측면에 지지부 (21a) 를 돌출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21) 의 형성가공이 복잡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가동접점부재를 확실히 전기적인 도통상태로 유지하면서 고정단자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푸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제 2 종래예에서는 조작노브 (124) 가 그 상부측에서 커버 (125) 의 구멍 (125a) 에 삽입되어 상하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의 가이드만으로는, 구멍 (125a) 과 조작노브 (124) 가 끼워맞춰져 있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조작노브 (124) 의 덜거덕거림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그래서 조작노브 (124) 는, 오목부 (124a) 을 형성한 하단부 (124b) 를 상부보다 두껍게 하고 이 하단부 (124b) 를 케이스 (121) 의 마주대하는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홈 (121a) 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 하단부 (124b) 의 상하방향 길이로 조작노브 (124) 의 상하운동에의 슬라이더 흔들림을 방지하고 조작노브 (124) 가 상승했을 때에 받는 가로방향으로의 흔들림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흔들림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하단부 (124b) 의 상하방향 길이 즉, 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지만, 하단부 (124b) 를 두껍게 하면 그만큼 케이스 (121) 내에서의 상하방향의 스트로크를 취할 수 없게 되고 가동접점부재 (123) 의 상하운동도 충분히 행할 수 없으며 온 오프 절환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가이드 홈 (121a) 과 하단부 (124b) 의 끼워맞춤 치수의 간극이 없도록 하면 슬라이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지만, 구멍 (125a) 과 조작노브 (124) 의 치수의 간극이 근소한 경우 양쪽 가이드 부분에서 간극이 없도록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흔들림의 발생을 확실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조작노브 (124) 의 상방을 지지하는 커버 (125) 의 구멍 (125a) 주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지만, 커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두꺼워질수록 외형치수가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외형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케이스만으로 조작노브의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정상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을 절곡가공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을 절곡가공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과 케이스의 일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a), (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가동접점을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 은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9 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a), (b) 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11 은 제 1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정상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 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조작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은 케이스와 덮개의 걸어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17 은 제 2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저부
2 : 제 1 고정단자 2a : 제 1 고정접점
3 : 제 2 고정단자 3a : 제 2 고정접점
3c : 시일판부 4 : 가동접점부재
4a : 가동부 4b : 지점부
4c : 가동접점 5 : 조작노브
6 : 덮개 101 : 케이스
101a : 저부 101b : 가이드홈
101c : 퇴피용 패임부 102 : 제 1 고정단자
102a : 제 1 고정접점 103 : 제 2 고정단자
103a : 제 2 고정접점 104 : 가동접점부재
104a : 가동부 104b : 지점부
104c : 가동접점 105 : 조작노브
105a : 오목부 105b : 다리부
105c : 연결부 106 : 덮개
상기 제 1 과제는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와, 상기 제 1 고정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 2 고정접점과, 하방으로 거의 180°되접어 형성하여 상기 제 2 고정접점의 하방에 설치된 시일판부를 가지는 제 2 고정단자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 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부를 눌러내리는 조작노브를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의 내리누름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결합된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하는 수단으로 해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과제는 마주대하는 내벽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벽에 연속해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고정접점과,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 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부가 끼워져 있는 오목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직교하는 양측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맞춰져 상하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 및 상기 돌출벽이 돌출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분을 덮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의 상기 조작노브의 하단과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그 밖의 저부부분 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퇴피용 패임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의 내리누름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결합된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눌러내려진 상기 조작노브의 하단은 상기 퇴피용 패임부내에 위치하도록 한 제 2 수단으로 해결된다.
상기 제 2 과제는 제 2 수단에서 상기 조작노브의 오목부 하단에는 상기 오목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용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3 수단으로도 해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정상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을 절곡가공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을 절곡가공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고정접점측과 케이스의 일부와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a), (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가동접점부재만을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 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측이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이고, 케이스 (1) 의 저부 (1a) 에는 제 1 고정접점 (2a) 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 (2) 과, 절곡가공에 의해 거의 직각으로 세워져 형성된 제 2 고정접점 (3a) 을 가지는 제 2 고정단자 (3) 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고정접점 (2a) 은 저부 (1a) 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노출되어 있다.
제 1 고정단자 (2) 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대략 중앙부에 제 1 고정접점 (공통(共通)측 단자) (2a) 을 가지며 이 제 1 고정접점 (2a) 의 양단측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 하방으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자 (2b) 를 형성한다. 또한, 제 2 고정단자 (3) 도 그의 대략 중앙부에 제 2 고정접점 (3a) 을 가지며 그 양단측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 하방으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자 (3b)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고정단자 (3) 에는, 대략 타원형을 한 시일판부 (3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시일판부 (3c)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90°상방으로 절곡되어 상승한 제 2 고정접점 (3a)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접점 (3a) 의 선단은,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측이 절개되어 결합부 (3d, 3d) 로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6 에 나타낸 케이스 (1) 의 몰딩성형 공정을 도 4 ∼ 도 6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펀칭가공된 후프재를 도 4 에 나타내고 있다. 이 후프재의 제 2 고정접점 (3a) 의 기부인 절곡선 (L1) 에서 상방으로 거의 90°(직각) 절곡하고 이어서 절곡선 (L2) 에서 시일판부 (3c) 를 180°하방으로 되접어 도 5 에 나타낸 상태로 한다. 제 2 고정접점 (3a) 을 90°정도 절곡하여도 전기적으로 악영향은 없다.
이어서, 도시되지 않은 상하금형 및 도 8 에 나타낸 금형 (16) 을 사용하여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자 (2) 과 제 2 고정단자 (3) 에 케이스 (1) 를 몰딩성형한다.
또한, 금형 (10) 에는 오목부 (10a) 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16a) 내에 제 2 고정접점 (3a) 을 수납시킴과 동시에 금형 (10) 의 하단은 시일판부 (3c) 에 의해 시일됨으로써, 저부 (1a) 로부터 세워져 형성된 제 2 고정접점 (3a) 에 수지가 붙지 않고 케이스 (1) 를 몰딩성형할 수 있다.
이 케이스 (1) 내에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부재 (4) 가 수납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부재 (4) 는 도 1 과 도 3 및 도 7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4a) 로 되고 가동접점부재 (4) 의 일단은 두갈래로 갈라진 지점부 (4b, 4b) 가 형성되고, 타단은 굽힘가공 등에 의해 가동접점 (4c) 이 형성되어 있다. 지점부 (4b, 4b) 는 상방으로 절곡선 (4f, 4f) 에서 굴곡형성됨과 동시에 지점부 (4b, 4b) 사이에는 노치부 (4d)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4b) 사이의 노치부 (4d) 에 제 2 고정단자 (3) 의 제 2 고정접점 (3a) 이 삽입되고, 그리고 도 1 및 도 2 의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4) 의 탄성력으로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4b) 가 제 2 고정접점 (3a) 의 결합부 (3d, 3d) 에 끼워맞춤되어 있어, 양자는 항시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접점 (3a) 의 선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촉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부재 (4) 의 가동부 (4a) 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지 않는 한 벗겨지지 않는다.
가동접점부재 (4) 의 가동부 (4a) 위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노브 (5) 의 하단이 맞닿고 있다. 이 조작노브 (5) 는 대략 봉형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하단에는 조작노브 (5) 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된 접촉부 (5a)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노브 (5) 의 접촉부 (5a) 의 하면이 가동부 (4a) 의 상면에 맞닿아 있는 동시에 케이스 (1) 의 개구부를 덮는 금속성의 덮개 (6) 에 형성된 개구 (6a)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접점부재 (4) 에 의해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조작노브 (5) 가 케이스 (1) 및 덮개 (6) 로 구성된 수납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조작노브 (5) 의 비압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 1 의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측은, 절곡선 (4f, 4f) 부분에서 제 2 고정단자 (3) 의 제 2 고정접점 (3a) 의 결합부 (3d, 3d) 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다. 한편, 가동접점 (4c) 은 가동접점부재 (4) 의 탄성력으로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에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제 1 고정접점 (2a) 위에는 없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동접점부재 (4) 는 제 2 고정접점 (3a) 에 의한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부 (4a) 에 의해 조작노브 (5) 는 밀어 올려져 있다.
이 도 1 의 상태에서 조작노브 (5) 를 눌러 내리면, 가동접점부재 (4) 는 지점부 (4b) 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이에 의해, 가동접점부재 (4) 의 가동접점 (4c) 은 눌려 구부려지면서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를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1 고정단자 (2) 의 제 1 고정접점 (2a) 위로 이동하여 가동접점 (4c) 과 제 1 고정단자 (2) 이 도통상태가 되며, 이로써 이 푸쉬 스위치는 온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노브 (5)를 눌러 내리면 가동접점부재 (4) 는 거의 수평이 된 후 제 2 고정접점 (3a)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2 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때,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와 가동접점 (4c) 사이에는 가동접점부재 (4) 의 휨에 따른 반발력이 축적되어 있어, 조작노브 (105) 의 눌러 내리는 힘을 해제하면 가동접점부재 (4) 의 복귀력으로 가동접점부재 (4) 는 제 2 고정접점 (3a) 에 의한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부 (4a) 가 상승하고 조작노브 (5) 를 밀어 올린다. 또한, 가동접점 (4c) 은 열리면서 제 1 고정단자 (2) 의 제 1 고정접점 (2a) 위를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에 도달하여 도 1 의 정상상태로 복귀하고, 푸쉬 스위치는 오프가 된다.
이와 같이 가동접점부재 (4) 의 회전운동지점은, 제 2 고정단자 (3) 의 제 2 고정접점 (3a) 의 선단이 직접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에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가동접점부재 (4) 의 회전운동에 대해서는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금속판끼리의 결합 때문에 전기적인 접촉은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의 선단을 두갈래로 분할하고 제 2 고정단자 (3) 의 제 2 고정접점 (3a) 의 선단부를 화살촉형상으로 하여 양자를 걸리도록 하여 결합시키고 있으나, 결합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도 9 및 도 10 (a), (b) 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 에서는 제 2 고정단자 (3) 의 제 2 고정접점 (3a) 의 선단에 세로로 기다란 개구 (11) 를 형성하고,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의 선단에 개구 (11) 의 가로방향 즉 폭보다 큰 폭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 (11) 에지점부 (4b) 의 선단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가동접점부재 (4) 를 약 90°회전시키고 돌출부를 개구 (11) 의 세로방향에서 삽입하고 가동접점부재 (4) 를 도시한 위치로 되돌리면 가동접점부재 (4) 에서 벗겨지는 일은 없다.
또한, 도 10 (a), (b) 와 같이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의 선단에 걸림편 (14) 을 남기도록 개구 (15) 를 형성하고 가동접점부재 (4) 의 지점부 (4b) 는 개구 (15) 에 삽입관통 가능한 폭으로 하고 또 그 선단을 상방으로 구부려 갈고리부 (16) 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갈고리부 (16) 가 걸림편 (14) 에 결합되도록 삽입 관통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 (1) 와, 케이스 (1) 의 저부 (1a) 에 형성된 제 1 고정접점 (2a) 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 (2) 와, 이 제 1 고정단자 (2) 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 2 고정접점 (3a) 과, 하방으로 180°되접어 형성하여 제 2 고정접점 (3a) 의 하방에 배치된 시일판부 (3c) 를 가지는 제 2 고정단자 (3) 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4a) 로 되고 일단에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를 슬라이딩하여 제 1 고정접점 (2a)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 (4c) 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제 2 고정접점 (3a) 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 (4b) 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 (4) 와, 가동부 (4a) 를 눌러 내리는 조작노브 (5) 를 가지며, 조작노브 (5) 로 눌러 내림으로써 제 2 고정접점 (3a) 과 결합된 지점부 (4b) 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 (4a) 가 하강함으로써 가동접점(4c) 이 케이스 (1) 의 저부 (1a) 위를 슬라이딩되어 제 1 고정접점 (2a) 과 접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지 등을 개재시키지 않고 공통(共通)측 단자를 금속판끼리 직접 결합시켜 구성하고 있으므로, 수지피복에 의한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또 가동접점부재 (4) 를 동작시켰을 때에도 지점부 (4b) 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고, 또 전기적인 접촉을 장기간에 걸쳐 확실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 제 2 고정접점 (3a) 을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고정접점 (3a) 의 높은 위치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접점 (3a) 의 하방에 시일판부 (3c) 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 2 고정접점 (3a) 을 시일하여 케이스 (1) 를 몰딩성형할 수 있어 케이스 (1) 의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정상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노브를 완전히 내부로 밀어 넣은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 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 는 조작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 은 케이스와 덮개의 걸어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1 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상방이 개구된 개구부 (101e) 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이며,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제 1 고정접점 (공통측 단자) (102a) 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 (102) 과, 절곡가공으로 거의 직각으로 세워져 형성된 제 2 고정접점 (103a) 을 가지는 제 2 고정단자 (103) 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접점 (102a) 은 저부 (101a) 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노출되어 있다.제 1 고정단자 (102) 의 제 1 고정접점 (102a) 의 양단측 및 제 2 고정단자 (103) 의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방으로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단자 (103) 에는, 대략 타원형을 한 시일판부 (103c) 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시일판부 (103c) 는 제 2 고정접점 (103a)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접점 (103a) 의 선단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측이 절개되어 결합부 (103d, 103d) 로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 (101) 내에는, 가동접점부재 (104) 가 수납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부재 (104) 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제조된 것으로,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104a) 로 되고 가동접점부재 (104) 의 일단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갈래로 갈라진 지점부 (104b, 104b)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104) 의 타단은, 굽힘가공 등으로 가동접점 (104c) 이 형성되어 있다. 지점부 (104b, 104b) 는 상방으로 절곡선 (104f, 104f) 에서 굴곡 형성됨과 동시에 지점부 (104b, 104b) 사이에는 오목부 (104d)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접점부재 (104) 의 지점부 (104b, 104b) 사이의 오목부 (104d) 에 제 2 고정단자 (103) 의 제 2 고정접점 (103a) 이 삽입되고, 그리고 도 12 및 도 13 의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104) 의 탄성력으로 가동접점부재 (104) 의 지점부 (104b, 104b) 가 제 2 고정접점 (103a) 의 결합부 (103d, 103d) 에 끼워맞춤되어 있어, 양자는 항시 전기적으로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접점 (103a)의 선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촉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접점부재 (104) 의 가동부 (104a) 를 수직으로 들어 올리지 않는 한 벗겨지지는 않는다.
가동접점부재 (104) 의 가동부 (104a) 위에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노브 (105) 의 하부가 맞닿고 있다. 이 조작노브 (105) 는, 도 15 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봉형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하단은 가동접점부재 (104) 의 가동부 (104a) 가 끼워지는 오목부 (105a) 를 그 사이에 형성하도록 두갈래로 갈라진 다리부 (105b, 105b)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105) 위의 조작노브 (105) 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부 (105c)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 (105b, 105b) 의 하단 사이에는 보강용 연결부 (105c) 가 걸쳐져 있다.
케이스 (101) 의 마주대하는 내측면에는, 조작노브 (105) 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 (101b, 101b) 이 형성되어 있고, 조작노브 (105) 의 일방의 마주대하는 측면이 이들 가이드홈 (101b, 101b) 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조작노브 (105) 가 위치하는 부분의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에는, 조작노브 (105) 의 하단이 일단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퇴피용 패임부 (101c)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노브 (105) 가 위치하는 부분의 케이스 (101) 의 상부는 조작노브 (105) 가 하강하였을 때에 그 상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사각통 형상의 돌출벽 (101d)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벽 (101d) 의 일면에는 개구부 (101e) 에 연통하는 슬릿 (101f) 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노브 (105) 의 오목부 (105a) 의 수평한 면이 가동부 (104a) 의 상면에맞닿아 있는 동시에, 케이스 (101) 의 개구부 (101e) 를 덮어 조작노브 (105) 의 상승을 저지하는 금속성 덮개 (106) 에 의해, 가동접점부재 (104) 에 의해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조작노브 (105) 가 케이스 (101) 및 덮개 (106) 로 구성된 수납공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덮개 (106) 의 일단에는, 개구부 (106b) 가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스 (101) 의 돌출벽 (101d) 의 슬릿 (101f) 에 끼워지는 돌기편 (106a) 이 개구부 (106b) 의 일측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편 (106a) 에 조작노브 (105) 의 접촉부 (105c) 의 상면이 결합되어 상승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덮개 (106) 는 그 개구부 (106b) 의 중앙부근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케이스 (101) 의 외측면의 걸어맞춤 돌기부에 스냅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푸쉬 스위치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는 조작노브 (105) 의 비압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 12 의 상태에서는 가동접점부재 (104) 의 지점부 (104b) 측은, 절곡선 (104f, 104f) 부분에서 제 2 고정단자 (103) 의 제 2 고정접점 (103a) 의 결합부 (103d, 103d) 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다. 한편, 가동접점 (104c) 은 가동접점부재 (104) 의 탄성력으로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위에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제 1 고정접점 (102a) 위에는 없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동접점부재 (104) 는 제 2 고정접점 (103a) 에 의한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가동부 (104a) 에 의해 조작노브 (105) 는 밀어 올려져 있다. 조작노브 (105) 를 밀어 올리면, 그 접촉부 (105c) 가 덮개 (106) 의 돌기편(106a) 에 결합되어 정지한다.
이 도 12 의 상태에서 조작노브 (105) 를 눌러 내리면, 가동접점부재 (104) 는 지점부 (104b) 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간다. 이에 의해, 가동접점부재 (104) 의 가동접점 (104c) 은 눌려 구부러지면서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위를 왼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 1 고정단자 (102) 의 제 1 고정접점 (102a) 위로 이동하여 가동접점 (104c) 과 제 1 고정단자 (102) 이 도통상태가 되며, 이로써 이 푸쉬 스위치는 온상태가 된다. 다시, 조작노브 (105) 를 눌러 내리면 가동접점부재 (104) 는 거의 수평이 된 후 제 2 고정접점 (103a)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에는 퇴피용 패임부 (101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퇴피용 패임부 (101c) 에 조작노브 (105) 의 하단이 맞닿을 때까지 조작노브 (105) 을 눌러 내릴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도 13 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조작노브 (105) 는 그 상단이 돌출벽 (101d) 의 상단과 동일평면이 될 때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접점부재 (104) 의 회전운동지점은, 제 2 고정단자 (103) 의 제 2 고정접점 (103a) 의 선단이 직접 가동접점부재 (104) 의 지점부 (104b) 에 슬라이딩할 수 있지만, 가동접점부재 (104) 의 회전운동에 대해서는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고, 금속판끼리의 결합 때문에 전기적인 접촉은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온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가동접점부재 (104) 의 지점부 (104b) 와 가동접점 (104c) 사이에는 가동접점부재 (104) 의 휨에 따른 반발력이 축적되어 있어, 조작노브 (105) 의 압하력을 해제하면 가동접점부재 (104) 의 복귀력으로 가동접점부재 (104) 는 제 2 고정접점 (103a) 에 의한 결합부분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부 (104a) 가 상승하고 조작노브 (105) 를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조작노브 (105) 는 가이드홈 (101b, 101b) 을 따라서 상승하고 조작노브 (105) 의 접촉부 (105c) 가 덮개 (106) 의 돌기편 (106a) 에 결합되었을 때 이 상승은 정지된다. 한편, 가동접점 (104c) 은 열리면서 제 1 고정단자 (102) 의 제 1 고정접점 (102a) 위를 오른쪽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위에 도달하여 도 12 의 정상상태로 복귀하고, 푸쉬 스위치는 오프가 된다. 이 오프 상태에서, 조작노브 (105) 의 접촉부 (105c) 보다 아래의 하단부분은 상당한 길이에 걸쳐 케이스 (101) 의 가이드홈 (101b, 101b) 에 끼워맞춰져 있으며 조작노브 (105) 의 선단부가 돌출벽 (101d) 의 선단에서 돌출되어도 조작노브 (105) 를 흔들림 없이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주대하는 내벽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벽 (101d) 에 연속하여 가이드홈 (101b) 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 (101) 와, 상기 케이스 (101)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고정접점 (102a, 103a) 과,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 (104a) 로 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위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고정접점 (102a)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 (104c) 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접점 (103a) 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 (104b) 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 (104) 와, 상기 가동부(104a) 가 끼워져 있는 오목부 (105a) 가 하단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 (105a) 에 직교하는 양측부가 상기 가이드홈 (101b) 에 끼워맞춰져 상하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 조작노브 (105) 와, 상기 조작노브 (105) 및 상기 돌출벽이 돌출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 (101) 의 개구부 (101e) 를 덮는 덮개 (106) 와, 상기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의 상기 조작노브 (105) 의 하단과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그 밖의 저부부분 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퇴피용 패임부 (101c) 를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 (105) 로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제 2 고정접점 (103a) 과 결합시킨 상기 지점부 (104b) 를 중심으로 상기 가동부 (104a) 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 (104c) 이 상기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위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 (102a) 과 접촉함과 동시에, 눌러 내려진 상기 조작노브 (105) 의 하단은 상기 퇴피용 패임부 (101c) 내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노브 (105) 가 최대로 상승하여도 그 하단부는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에서의 조작노브 보다도 길게 케이스 (101) 에 지지되므로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의 퇴피용 패임부 (101c) 에 의해 조작노브 (105) 는 하강하였을 때에 케이스 (101) 의 저부 (101a) 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가동접점 (104c) 을 제 1 고정접점 (102a) 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조작노브의 오목부 하단에는, 상기 오목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용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회 온 오프 조작을 행하여도, 또는 조작노브에 가로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오목부를 구성하는 다리부분이 꺽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저부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 2 고정접점과, 하방으로 거의 180°되접어 형성하여 제 2 고정접점의 하방에 배치된 시일판부를 가지는 제 2 고정단자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 되고 일단에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가동부를 눌러 내리는 조작노브를 가지며 조작노브의 눌러 내림에 의해 제 2 고정접점과 결합시킨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가동접점이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지 등을 개재시키지 않고 공통측 단자를 금속판끼리 직접 결합시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지 피복에 의한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또 가동접점부재를 동작시켰을 때에도 지점부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적인 접촉을 장기간에 걸쳐 확실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고정접점을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고정접점의 높은 위치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2 고정접점의 하방에 시일판부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 2 고정접점을 시일하여 케이스를 몰딩성형할 수 있어 케이스의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마주대하는 내벽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벽에 연속하여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고정접점과,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 되고 일단에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탄에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가동부가 끼워져 있는 오목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직교하는 양측부가 가이드홈에 끼워맞춰져 상하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 조작노브와, 조작노브 및 돌출벽이 돌출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케이스의 개구부분을 덮는 덮개와, 케이스의 저부의 조작노브의 하단과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그 밖의 저부부분 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퇴피용 패임부를 가지며, 조작노브의 눌러 내림에 의해 제 2 고정접점과 결합시킨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가동접점이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눌러 내려진 조작노브의 하단은 퇴피용 패임부 내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노브가 최대로 상승하여도 그 하단부는 종래의 푸쉬 스위치 장치에서의 조작노브 보다도 길게 케이스 내에 지지되므로, 조작노브의 흔들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저부의 퇴피용 패임부에 의해, 조작노브는 하강하였을 때에 케이스의 저부의 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히 가동접점을 제 1 고정접점과 접촉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작노브의 오목부 하단에는 오목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용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회 온·오프 조작을 행하여도, 또는 조작노브에 가로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오목부를 구성하는 다리부분이 꺽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배치된 제 1 고정접점을 가지는 제 1 고정단자와,
    상기 제 1 고정단자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제 2 고정접점과, 하방으로 거의 180°되접어 형성하여 상기 제 2 고정접점의 하방에 배치된 시일판부를 가지는 제 2 고정단자와,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서, 일단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부를 눌러 내리는 조작노브를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의 눌러 내림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결합시킨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장치.
  2. 마주대하는 내벽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서 돌출된 돌출벽에 연속해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그 상부는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및 제 2 고정접점과,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부재로 제조되고, 대략 U 자형으로 구부려져 굴곡부를 구성하고, 이 굴곡부가 역점이 되는 가동부로서, 일단에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 1 고정접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접점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점부를 형성한 가동접점부재와,
    상기 가동부가 끼워져 있는 오목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직교하는 양측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맞춰져 상하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 및 상기 돌출벽이 돌출하는 관통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분을 덮는 덮개와,
    상기 케이스의 저부의 상기 조작노브의 하단과 마주대하는 부분에는 그 밖의 저부부분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된 퇴피용 패임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의 내리누름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접점과 결합된 상기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동부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 위를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고정접점과 접촉함과 동시에 눌러 내려진 상기 조작노브의 하단은 상기 퇴피용 패임부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의 오목부 하단에는 상기 오목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용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장치.
KR1019980033979A 1997-08-22 1998-08-21 푸쉬스위치장치 KR10032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26808 1997-08-22
JP22680897A JP3692218B2 (ja) 1997-08-22 1997-08-22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97-304510 1997-11-06
JP30451097A JPH11144560A (ja) 1997-11-06 1997-11-06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781A KR19990023781A (ko) 1999-03-25
KR100324785B1 true KR100324785B1 (ko) 2002-05-09

Family

ID=2652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979A KR100324785B1 (ko) 1997-08-22 1998-08-21 푸쉬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324785B1 (ko)
CN (1) CN1106025C (ko)
MY (1) MY129501A (ko)
TW (1) TW381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567B1 (ko) * 2001-07-27 2003-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CN100359617C (zh) * 2003-12-03 2008-0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检测开关
JP4062319B2 (ja) * 2005-05-02 2008-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15109246A (ja) * 2013-12-05 2015-06-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スイッチ部材および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870A (ja) * 1992-10-27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の構造
JP3196375B2 (ja) * 1992-11-27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9501A (en) 2007-04-30
CN1210349A (zh) 1999-03-10
CN1106025C (zh) 2003-04-16
TW381279B (en) 2000-02-01
KR19990023781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KR970003318A (ko) 다양한 전기 장치 제어용 레버 스위치
KR890002592B1 (ko) 접편 매설지지형 잭
KR20200080647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0301878B1 (ko) 소형푸쉬버튼스위치
KR100324785B1 (ko) 푸쉬스위치장치
US6433291B1 (en) Switch device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KR890001843B1 (ko) 전기스위치
JP4628307B2 (ja) スイッチ装置
KR890005142Y1 (ko) 로크식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634779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234488B1 (ko) 스위치
EP0901138B1 (en) Slide switch
JPH0229666Y2 (ko)
KR200364827Y1 (ko) 더블 액션 스위치
JP4326987B2 (ja) スイッチ装置
KR910004228Y1 (ko) 다단식 푸쉬버튼 스위치
JP369221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KR900007110Y1 (ko) 푸쉬 스위치
JP2004235115A (ja) コネクタ装置
US200502608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