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39B1 -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39B1
KR101029639B1 KR1020030089240A KR20030089240A KR101029639B1 KR 101029639 B1 KR101029639 B1 KR 101029639B1 KR 1020030089240 A KR1020030089240 A KR 1020030089240A KR 20030089240 A KR20030089240 A KR 20030089240A KR 101029639 B1 KR101029639 B1 KR 10102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pcs
terminal
p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521A (ko
Inventor
야마네히로시
미야오다이찌로
우찌다신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5Mechanical mounting details of display modu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커넥터에는 한 쌍의 FPC가 접속된다. FPC는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와 이 절연부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을 갖는 배선부를 구비하고, 배선부는 상기 절연부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단말부를 갖는다. 커넥터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과, 이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FPC의 단말부가 평행하게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커넥터에 한 쌍의 FPC를 접속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FPC를 2개의 커넥터에 접속한 경우에 비해 이들 2개의 커넥터를 일체화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커넥터, 단말부, 소켓 하우징, FPC, 커버 하우징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CONNECTOR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와 FPC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배면도.
도2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
도2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도.
도2d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우측면도.
도3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커버 하우징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커버 하우징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커버 하우징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FPC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71, 72 : FPC
1A, 1B, 10 : 단말 삽입구
3, 3A : 소켓 하우징
4, 4A : 커버 하우징
5 : 스프링형 접촉부
5A : 상부 아암
5B : 하부 아암
5C : 접속 단부
8, 8C : 보강축
8A, 8B : 회전축
9 : 프린트 기판
11, 12 : 단말부
13, 14 : 배선부
15, 16 : 사각형 돌기
17, 18 : 절연부
30 : 중앙부 돌기
31, 32 : 측벽
33 : 절결부
40 : 빠짐 방지 돌기
41, 42 : 탄성 돌기
45 : 리브
61, 62 : 직립벽
71, 72 : 베어링 금구
71A, 72A : 직립 부재
72B : 평면 부재
100, 200 : 커넥터
본 발명은 한 쌍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분야에서는 제품의 소형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전자 부품이나 프린트 기판이 실장된다. 이들 전자 부품과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평면형이고 유연성을 갖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이 FPC용 커넥터가 많이 이용된다. 그로 인해, 이 FPC용 커넥터는 실장 높이의 저감(저배화)을 포함하는 초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배화를 도모하면서 커버의 개방이나 휨을 방지하여 FPC에 대한 도통을 확보할 수 있는 FPC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2067호 공보 참조).
그런데 전술한 FPC용 커넥터에서는, 커버의 회전 지지축은 하우징에 고정된 금속제 보강판의 안내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버를 폐쇄하고 이 폐쇄된 커버를 회전 지지축과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커버의 결합부가 보강판의 로크부에 결합하여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로크된다.
그런데, 프린트 기판에 복수의 FPC가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에서는 각 FPC가 접속되는 FPC용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FPC용 커넥터의 실장 면적이 증대되어 전자 기기의 소형화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실장 면적이 작은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한 쌍의 FPC를 접속하기 위한 새로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를 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한 쌍의 FPC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FPC는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와 이 절연부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을 갖는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절연부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단말부를 갖고, 절연성 소켓 하우징과 이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FPC 단말부가 평행하게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를 갖고 있는 커넥터.
(1)의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커넥터에 한 쌍의 FPC를 접속하였으므로 커넥터 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FPC를 2개의 커넥터에 접속한 경우에 비해, 이들 2개의 커넥터를 일체화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2) (1)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단말 삽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단말 삽입구를 개폐하는 절연성 커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FPC의 단말부를 상기 단말 삽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FPC의 단말부는 상기 스프링 부재 상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FPC의 단말부를 상기 스프링 부재를 향해 압박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접속하는 커넥터.
(3) (2)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 FPC는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사각형 돌기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단말 삽입구측에 형성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커버 하우징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빠짐 방지 돌기를 갖고, 상기 FPC의 단말부가 상기 단말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의 빠짐 방지 돌기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절결부에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FPC의 사각형 돌기에 결합하는 커넥터.
각 FPC의 도선수(심선수)가 적은 경우(예를 들어, 2심 정도), 종래의 FPC용 커넥터에서는 각 도선을 접촉자로 협지하는 구조이므로, 도선과 접촉자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FPC가 커넥터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 FPC의 도선수(심선수)가 적은 경우, FPC 폭이 좁아져 버려 FPC 커넥터의 접촉자에 대한 위치 맞춤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3)의 발명에 따르면, 사각형 돌기를 빠짐 방지 돌기에 결합시켰으므로, FPC를 삽입 방향에 대해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FPC에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도 쉽게 빠지는 일은 없다.
(4) (2) 또는 (3)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단말 삽입구를 2개로 분할하는 중앙부 돌기를 갖고, 상기 2개로 구획된 단말 삽입구 각각의 폭은 상기 각 FPC의 폭보다 넓은 커넥터.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FPC의 단말부를 각각 2분할된 단말 삽입구에 삽입할 때에 각 단말 삽입구에서 FPC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FPC를 쉽게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5) (2) 또는 (3)에 기재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탄성을 갖는 탄성 돌기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의 탄성 돌기가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커버 하우징을 폐쇄하고 이 커버 하우징의 탄성 돌기를 베어링 금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커버 하우징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액정 모듈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이며, 상기 액정 모듈에는 한 쌍의 FPC와 이들 한 쌍의 FPC가 접속되는 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각 FPC는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와 이 절연부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을 갖는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절연부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단말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절연성 소켓 하우징과 이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FPC의 단말부가 평행하게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를 갖고 있는 휴대 전화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대응하여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0)와, 이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한 쌍의 FPC(Flexible Printed Circuit)(1, 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 도1은 후술하는 커버 하우징(4)이 개방된 상태이다.
한 쌍의 FPC(1, 2)는 제1 FPC(1)와 제2 FPC(2)로 구성된다. 각 FPC(1, 2)는 각각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17, 18)와, 이 절연부(17, 18)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을 갖는 배선부(13, 14)를 구비하고 있다. 배선부(13, 14)는 4개의 동박으로 형성된 도선(심선)으로 구성되고, 이들 도선은 절연부(17, 18)의 선단부 이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단말부(11, 12)가 된다.
FPC(1, 2)의 선단부측에는 각각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사각형 돌기(15, 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사각형 돌기(15, 16)는, 한 쌍의 FPC(1, 2)를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00)는 통형이고 절연성인 소켓 하우징(3)과, 이 소켓 하우징(3)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 부재로서의 스프링형 접촉자(5)와, 소켓 하우징(3)의 타단부측에 설치된 절연성 커버 하우징(4)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 하우징(3)의 타단부측에는 FPC(1, 2)의 단말부(11, 12)가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단말 삽입구(10)는 제1 단말 삽입구(1A)와 제2 단말 삽입구(1B)로 분할되어 있다. 한 쌍의 FPC(1, 2) 단말부(11, 12)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각각 제1 단말 삽입구(1A) 및 제2 단말 삽입구(1B)에 삽입된다.
소켓 하우징(3)은 바닥면부와, 이 바닥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직립벽(61) 및 제2 직립벽(62)과, 이들 직립벽(61, 62)을 연결하여 바닥면부를 덮는 상면부를 갖고 있다. 소켓 하우징(3)의 상면부 일부는 절결되어 있고, 이 절결된 부분에 커버 하우징(4)이 배치된다.
스프링형 접촉자(5)는 C형상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단말 삽입구(1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면부에 따라서 연장되는 상부 아암과, 바닥면부에 따라서 연장되는 하부 아암(5B)을 갖고 있다. 이들 스프링형 접촉자(5)는 FPC(1, 2)의 심선수에 대응하여 각 단말 삽입구(1A, 1B)에 대해 4개씩 배치된다.
커버 하우징(4)은 스프링형 접촉자(5)의 상부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단말 삽입구(10)를 개폐한다. 커버 하우징(4)의 선단부 중앙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빠짐 방지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3)의 바닥면부 중앙에는 중앙부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부 돌기(30)는 단말 삽입구(10)를 제1 단말 삽입구(1A)와 제2 단말 삽입구(1B)로 분할한다.
중앙부 돌기(30)는 제1 직립벽(61)에 대향하는 제1 측벽(31)과, 제2 직립벽(62)에 대향하는 제2 측벽(32)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제1 직립벽(61)과 중앙부 돌기(30)의 제1 측벽(31) 간격은 제1 FPC(1)의 폭보다 약간 크다. 또한, 제2 직립벽(62)과 중앙부 돌기(30)의 제2 측벽(32) 간격도 제2 FPC(2)의 폭보다 약간 크다.
또, 소켓 하우징(3)의 바닥면부 중앙이며 또한 단말 삽입구(10)측에는, 커버 하우징(4)의 빠짐 방지 돌기(40)가 끼워 맞추어지는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커넥터(100) 작용을 도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FPC(1)의 사각형 돌기(15)와 제2 FPC(2)의 사각형 돌기(16)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이들 FPC(1, 2)를 단말 삽입구(1A, 1B)에 평행하게 삽입한다.
그러면, 제1 FPC(1)의 단말부(11)는 중앙부 돌기(30)의 제1 측벽(31)과 직립벽(61)에 안내되어 단말 삽입구(1A)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제2 FPC(2)의 단말부(12)는 중앙부 돌기(30)의 제2 측벽(32)과 직립벽(62)에 안내되어 단말 삽입구(1B)에 삽입된다.
FPC(1, 2)에 형성된 사각형 돌기(15, 16)가 중앙부 돌기(30)에 접촉할 때까지 단말부(11, 12)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FPC(1, 2)의 단말부(11, 12)는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 상에 위치한다. 즉, 사각형 돌기(15, 16)는 삽입 방향의 위치 결정 기능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FPC(1) 및 FPC(2)를 동시에 삽입하였지만, 각각 따로따로 삽입해도 좋다.
FPC(1, 2)의 단말부(11, 12)가 단말 삽입구(1A, 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하우징(4)을 폐쇄하면, 커버 하우징(4)은 FPC(1, 2)의 단말부(11, 12)를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을 향해 압박하여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 선단부에 접속한다. 동시에, 커버 하우징(4)의 빠짐 방지 돌기(40)는 절결부(33)에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FPC(1, 2)의 사각형 돌기(15, 16)에 결합한다.
따라서, FPC(1, 2)를 커넥터(100)로부터 빼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면, 사각형 돌기(15, 16)의 각각의 후단부가 빠짐 방지 돌기(40)에 접촉하여 FPC(1, 2)의 커넥터(10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돌기(40) 및 절결부(33)에 의한 빠짐 방지 기구를 설치한 이유를 설명한다.
스프링형 접촉자(5)는 단말부(11, 12)를 소정의 힘으로 협지하고 있다. 이 스프링형 접촉자(5)가 단말부(11, 12)를 협지하는 힘은, 단말부(11, 12)를 파괴하지 않는 정도의 약한 힘이며 전기적 접속에는 충분하다. 이 경우, FPC(1, 2)에 커넥터(100)로부터 빼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면 스프링형 접촉자(5)와 단말부(11, 12)의 마찰력에 의해, FPC(1, 2)의 커넥터(100)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그러나 스프링형 접촉자(5)의 개수(FPC의 도선수)가 적은 경우, 스프링형 접촉자(5)와 단말부(11, 12)의 마찰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FPC(1, 2)에 커넥터(100)로부터 빼고자 하는 힘에 저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빠짐 방지 기구를 설치하여 FPC(1, 2)의 커넥터(10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또, 이러한 빠짐 방지 기구가 필요해지는 FPC의 도선수(심선수)는 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이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FPC(1, 2)의 구조, 소켓 하우징(3A)의 구조 및 커버 하우징(4A)의 구조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200)의 배면도이다. 도2b는 커넥터(200)의 평면도, 도2c는 커넥터(200)의 정면도, 도2d는 커넥터(200)의 우측면도이다.
FPC(1, 2)는 각각 2개의 도선(심선)을 갖고 있다.
커넥터(200)에서는 FPC(1, 2)의 도선수에 대응하고, 스프링형 접촉자(5)는 각 단말 삽입구(1A, 1B)에 대해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커버 하우징(4A)은 회전축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보강축(8, 8C)을 구비하고(도3a 내지 도3c 참조), 이 중 보강축(8)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축(8A, 8B)이 되어 있다. 또, 커버 하우징(4)은 선단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탄성을 갖는 탄성 돌기(41, 42)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하우징(3A)은 단말 삽입구(1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베어링 금구(71, 72)를 갖고 있다. 베어링 금구(71)는 커버 하우징(4)의 회전축(8A)을 피봇 지지하는 직립 부재(71A)와, 프린트 기판(9)에 납땜 등으로 고정되는 평면 부재(71B)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 금구(72)는 커버 하우징(4)의 회전축(8B)을 피봇 지지하는 직립 부재(72A)와, 프린트 기판(9)에 납땜 등으로 고정되는 평면 부 재(72B)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커넥터(200) 작용을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a는 커버 하우징(4)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b는 커버 하우징(4)이 폐쇄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3c는 커버 하우징(4)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커넥터(200)는 프린트 기판(9)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형 접촉자(5)의 접속 단부(5C)는 프린트 기판(9)의 시트 패턴에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프린트 기판(9)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액정 모듈을 구성한다.
최초,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4)은 개방된 상태이고, 소켓 하우징(3)의 상면부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상태이다. 이 커버 하우징(4)이 개방된 상태는, 커버 하우징(4)의 리브(45)가 스프링형 접촉자(5)의 상부 아암(5A) 선단부에 결합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FPC(1)를 제1 단말 삽입구(1A)에 삽입하고, 제2 FPC(2)를 제2 단말 삽입구(1B)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FPC(1, 2)의 단말부(11, 12)는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 상에 위치한다.
FPC(1, 2)의 단말부(11, 12)가 단말 삽입구(1A, 1B)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3a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3a의 상태로부터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4)의 리브(45)와 스프링형 접촉자(5)의 상부 아암(5A) 선단부의 결합이 해제된다.
커버 하우징(4)을 또한 도3b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4)의 리브(45)는 FPC(1, 2)의 단말부(11, 12)를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을 향해 압박하여, 스프링형 접촉자(5)의 하부 아암(5B) 선단부에 접속시킨다. 이에 의해, FPC(1, 2)의 단말부(11, 12)는 리브(45)를 거쳐서 스프링형 접촉자(5)의 상부 아암(5A)과 하부 아암(5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적절한 힘으로 협지된다.
또한, 커버 하우징(4A)의 탄성 돌기(41, 42)는 직립 부재(71A, 72A)에 결합되어 로크된다. 또, 커버 하우징(4A)의 탄성 돌기(41, 42)를 직립 부재(71A, 72A)의 결합력에 대항하여 떼어냄으로써, 커버 하우징(4A)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커넥터에 한 쌍의 FPC를 접속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FPC를 2개의 커넥터에 접속한 경우에 비해 이들 2개의 커넥터를 일체화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는 가로 폭이 8 내지 9.5 ㎜, 안길이가 4.77 ㎜, 높이 0.9 ㎜ 정도이며 가로 폭을 특히 작게 할 수 있었다.
또, 사각형 돌기를 빠짐 방지 돌기에 결합시켰으므로, FPC를 삽입 방향에 대해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FPC에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도 쉽게 빠지는 일은 없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및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FPC(1, 2)를 4개의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한 쌍의 FPC(1, 2)를 2개의 도선을 포함하여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FPC의 도선수를 2개와 4개, 3개와 2개, 4개와 2개 등, 다른 수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선은 FPC에 한정되지 않으며 FFC(Flexible Flat Cable)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FPC가 접속되고, 상기 FPC는 가요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와 이 절연부의 내부에 설치된 도전성을 갖는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절연부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단말부를 갖고, 절연성 소켓 하우징과 이 소켓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FPC 단말부가 평행하게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를 갖고 있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1개의 커넥터에 한 쌍의 FPC를 접속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즉, 한 쌍의 FPC를 2개의 커넥터에 접속한 경우에 비해, 이들 2개의 커넥터를 일체화한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한 쌍의 FPC가 접속되는 커넥터이며,
    상기 FPC는 가용성을 갖는 띠 형상의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부의 선단부로부터 노출되는 단말부를 갖는 도전성의 배선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FPC의 단말부가 평행하게 삽입되는 단말 삽입구를 갖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 삽입구를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단말 삽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소켓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단말 삽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단말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FPC의 단말부를 상기 스프링 부재를 향해 압박하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접속시키는 절연성의 커버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기 단말 삽입구측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커버 하우징에 설치되며,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빠짐 방지 돌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FPC는 각각, 상기 단말 삽입구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돌출 방향이 대향하는 사각형의 돌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FPC의 단말부가 상기 단말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의 빠짐 방지 돌기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절결부에 끼워 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FPC 각각의 사각형 돌기에 결합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의 바닥면부의 중앙에는, 상기 단말 삽입구를 2개로 분할하는 중앙부 돌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FPC의 단말부가 상기 단말 삽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중앙부 돌기는 상기 한 쌍의 FPC 각각의 사각형 돌기에 접촉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2개로 구획된 단말 삽입구 각각의 폭은 상기 각 FPC의 폭보다 넓은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탄성을 갖는 탄성 돌기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의 탄성 돌기가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탄성을 갖는 탄성 돌기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커버 하우징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커버 하우징의 탄성 돌기가 결합되는 베어링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FPC용 커넥터가 액정 모듈에 실장되어 있고, 이러한 액정 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액정 모듈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6. 삭제
KR1020030089240A 2002-12-11 2003-12-10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KR101029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9925A JP4099047B2 (ja) 2002-12-11 2002-12-11 Fpc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JP-P-2002-00359925 2002-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521A KR20040051521A (ko) 2004-06-18
KR101029639B1 true KR101029639B1 (ko) 2011-04-15

Family

ID=3275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240A KR101029639B1 (ko) 2002-12-11 2003-12-10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99047B2 (ko)
KR (1) KR101029639B1 (ko)
CN (1) CN100345344C (ko)
TW (1) TWI2332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1555B2 (en) 2017-06-09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restricting substrate movemen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6424A (ja) * 2005-01-17 2006-07-27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KR101860858B1 (ko) 2011-03-02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pcb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평판 표시 장치
JP5903957B2 (ja) * 2012-03-16 2016-04-13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とその接続用のfpc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115A (ko) * 1999-04-30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JP2001217522A (ja) * 2000-01-31 2001-08-10 Olympus Optical Co Ltd 電気基板接続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機器
JP2002203619A (ja) * 2000-12-27 2002-07-19 Fujikura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05C (zh) * 2000-03-16 2003-1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3472532B2 (ja) * 2000-07-28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CN2519442Y (zh) * 2001-12-03 2002-10-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115A (ko) * 1999-04-30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JP2001217522A (ja) * 2000-01-31 2001-08-10 Olympus Optical Co Ltd 電気基板接続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機器
JP2002203619A (ja) * 2000-12-27 2002-07-19 Fujikura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1555B2 (en) 2017-06-09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restricting substrate movemen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7122A (zh) 2004-06-23
TWI233246B (en) 2005-05-21
JP2004192967A (ja) 2004-07-08
TW200414629A (en) 2004-08-01
CN100345344C (zh) 2007-10-24
KR20040051521A (ko) 2004-06-18
JP4099047B2 (ja)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955B2 (en) Poke-in electrical connector
US7140896B2 (en) Connector
EP1885026B1 (en) Connector easily adapted to miniaturization
US6162083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or flat circuitry
US6386905B1 (en) Flat cable connector
KR20030014249A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EP1235304B1 (en) Connector for flat circuit member
KR20050024245A (ko) 복수의 카드 수용부들을 구비하고 소형화될 수 있는 카드장착 기구
JP200202566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0810689B1 (en) Battery connector
JP2016046005A (ja) コネクタ
JP3099108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101029639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KR101150035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JPH07335342A (ja) フレキシブル導体用コネクタ
JP2008004340A (ja) コネクタ
KR20080031769A (ko)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688766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20113523A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0613472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9358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4044822B2 (ja) コネクタ
KR100515173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장치
JP200211792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