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769A -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769A
KR20080031769A KR1020070035658A KR20070035658A KR20080031769A KR 20080031769 A KR20080031769 A KR 20080031769A KR 1020070035658 A KR1020070035658 A KR 1020070035658A KR 20070035658 A KR20070035658 A KR 20070035658A KR 20080031769 A KR20080031769 A KR 2008003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wiring board
double
connector
sided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리 쓰루유미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제작될 수 있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ZIF형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를 얻는다.
양면에 도체층을 가진 양면인쇄배선판(1)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진 커넥터하우징(6)에 배선판삽입통로(7)를 마련한다. 이 커넥터하우징(6) 내의 콘택트삽입통로(7)로 돌출되는 접점부(9a, 11a)를 가진다. 콘택트(11)가 가진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접촉하여 이 자유단(11c)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유단(11c)과 일체의 접점부(11a)를, 콘택트(9)가 가진 접점부(9a)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이간, 접근조작구(17)가 커넥터하우징(6)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다.
접점부 이간, 접점부 접근, 회전축, 자유단

Description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Connector for a 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a), (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의 표면도 및 이면도이다.
도 2(a), (b)는 본 발명의 일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눕힌 상태와 일으킨 상태의 각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일방의 콘택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a) 내지(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타방의 콘택트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b)는 본 발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다른 예로 접점부 이 간, 접근조작구를 눕힌 상태와 일으킨 상태의 각 종단면도이다.
도 9(a)(b)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a) 내지 (f)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평면도의 Ⅹ-Ⅹ선단면도 및 Y-Y선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일방의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3(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타방의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4(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일방의 잠금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5(a) 내지 (c)은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타방의 잠금부재의 평면도, 배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의 표면도 및 이면도이다.
도 17은종래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양면 인쇄배선판 2:절연 기판 2a:일방의 면
2b:타방의 면 2c, 2d:돌기 3:단자도체
4:접지도체 5: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6:커넥터하우징 7:배선판삽입통로 8:콘택트삽입홈
9:일방의 콘택트 9a:접점부 9b:단자부
9c:고정편부 9d:탄성반환부 10:콘택트삽입홈
11:타방의 콘택트 11a:접점부 11b:단자부
11c: 자유단 11d:상승부 11e:고정편부
11f:탄성반환부 12:절연슬라이드편 12a:판상부
12b:손잡이부 13:접촉편 14:홈
15a, 15b:오삽입방지홈 16:전단연결재 돌기
17: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 18:조작축 18a:조작부
18aa:일방의 대향면 18ab:타방의 대향면 19:조작자
19a:판상부 19b:브래킷부
19c:전면상부덮개부 19d:전면단부덮개부
19e:전단연결재오목부 20:잠금부재 21:잠금부재
22, 23:잠금부재삽입구멍 24a, 25a:하우징외 돌출판부
24b, 25b:하우징내 고정판부 24c, 25c:잠금돌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FPC(Flexible Print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에서, 그 판면의 양면에 도체가 설치되어 있는 양면 인쇄배선판을 접속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면 인쇄배선판(1)으로서, 예를 들면, 도 16(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절연기판(2)의 일방의 면(2a)에서 그 길이 방향의 단부측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로 단자도체(3)의 군을 도체층으로서 마련하고, 타방의 면(2b)에서 각 단자도체(3)의 군의 반대측의 위치에 접지도체(4)를 도체층으로 마련한 것이 있다.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1)을 접속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는 양면 인쇄배선판(1)과의 접속을 ZIF(Zero Insertion Force)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 ZIF구조는 작은 삽입력으로 양면 인쇄배선판(1)을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 삽입하고, 삽입후에 확실하게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일종으로서 커넥터하우징에 마련된 배선판 삽입통로의 상하방향의 양측에 상측 콘택트와 하측 콘택트를 각각 배치하고, ZIF를 위해 상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과 하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을 사용하고, 이들 상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과 하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 중 어느 하나를 양면 인쇄배선판(1)에 따르게 해서 배선판 삽입통로에 삽입하고, 상측 콘택트와 하측 콘택트 중 어느 한편의 접점부에 양면 인쇄배선판(1)의 도체층을 압접시킴과 동시에, 타방의 콘택트의 접점부를 일방의 슬라이드편의 양면 인쇄배선판(1)과는 반대측의 면에 당접시키는 구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참조).
그러나,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서는, 상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과 하측 콘택트용 슬라이드편이 필요하게 되고, 가격이 높게 되고 조작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양면 인쇄배선판(1)을 접속하는 그 밖의 ZIF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로서, 도 17에 보이는 횡형 구조인 것도 있다.
이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는 양면 인쇄배선판(1)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지는 커넥터하우징(6)을 가진다. 이 커넥터하우징(6)에는 그 전면에 개구되어 양면 인쇄배선판(1)이 삽입되는 폭으로 배선판삽입통로(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선판삽입통로(7)의 두께 방향의 일방(하측)에는 양면 인쇄배선판(1)의 각 단자도체(3)의 피치로 콘택트삽입홈(8)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삽입홈(8)에는 일방의 콘택트(9)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일방의 콘택트(9)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7)로 돌출되는 접점부(9a)를 가지고, 배선판삽입통로(7)의 외측에 돌출한 단부는 단자부(9b)로 되어 있다. 커넥터하우징(6)의 전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배면에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반대측(상측)에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폭방향에 전술한 콘택트삽입홈(8)과 같은 피치로 콘택트삽입홈(10)이 상하로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삽입홈(10)에는 타방의 콘택트(11)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타방의 콘택트(11)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7)로 돌출되는 접점부(11a)를 가지고, 배선판삽입통로(7)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는 단자부(11b)로 되어 있다. 각 콘택트(9, 11)의 단자부(9b, 11b)는 커넥터하우징(6)의 일방의 면에 평행하게 늘어 놓을 수 있고, 미도시된 피실장기판의 패턴 위로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배선판삽입통로(7)에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절연 슬라이드편(12)의 판상부(12a)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절연 슬라이드편(12)은 판상부(12a)의 기부가 손잡이부(12b)로 되어 있다. 절연 슬라이드편(12)에는 판상부(12a)의 양면에 임하도록 해서 반환형의 접촉편(13)이 인서트 몰드에서 지지되어 있다. 접촉편(13)의 양단은 손잡이부(12b)내에 매립되어있다.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는 양면 인쇄배선판(1)을 그의 각 단자도체(3)가 하측, 즉, 콘택트(9)측을 향하도록 해서 배선판삽입통로(7)로 삽입해(ZIF에 의한 삽입), 그 후부터 절연 슬라이드편(12)의 판상부(12a)를 이 배선판삽입통로(7)에 삽입한다(이 상태에서는 절연 슬라이드편(12)의 판상부(12a)의 삽입에 의해,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의 압력이 늘어나서 확실하게 전기적, 기계적인 접속 상태로 된다). 또는, 양면 인쇄배선판(1)을 그 각 단자도체(3)가 하측, 즉, 콘택트(9)측을 향하도록 하고, 그 위에 절연 슬라이드편(12)의 판상부(12a)를 탑재하고, 양자를 함께 배선판삽입통로(7)에 삽입한다.
이러한 삽입상태가 되면, 양면 인쇄배선판(1)의 각 단자도체(3)가 각 콘택트(9)의 접점부(9a)에 접촉하고, 양면 인쇄배선판(1)의 각 단자도체(3)와 각 콘택트(9)의 단자부(9b)가 도통상태로 되고,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지도체(4)가 반환형의 접촉편(13)을 통해 콘택트(11)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7)에 돌출하는 접점부(11a)콘택트(11)의 접점부(11a)에 접촉하고,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지도체(4)와 콘택트(11)의 단자부(11b)가 도통상태로 된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03693호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서는 접촉편(13)이 인서트 몰드에서 지지된 절연 슬라이드편(12)을 사용하므로, 이들 절연 슬라이드편(12) 및 접촉편(13)은 휴대전화 등의 이용 분야에서는 크기가 대단히 작아지고, 접촉편(13)이 설치된 절연슬라이드편(12)의 제작가격이 비싸게 되고,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의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편(13)이 설치된 절연슬라이드편(12)은 커넥터하우징(6)과는 별개의 부품이 되고, 이 접촉편(13)이 설치된 절연슬라이드편(12)을 분실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상승을 억제해 제작할 수 있고, 게다가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ZIF타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1의 발명은 양면에 도체층을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지는 커넥터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그 일면에 개구된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하는 폭으로 배선판삽입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일방에는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의 각 단자도체의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일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전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배면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타방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폭방향에 소정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타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타방의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쪽 콘택트 중 일방의 상기 콘택트를 가진 상기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접촉하여 상기 자유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유단과 일체의 상기 접점부를 타방의 상기 콘택트를 가진 상기 접점부에 대해 이간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의 구성에 더해,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는, 적어도 조작부가 일방의 대향면의 간격보다 타방의 대향면의 간격이 큰 구조의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자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의 구성에 더해,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에 의해 상기 홈으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1의 구성에 더해, 상기 배선판삽입통로는,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마련된 횡형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2의 구성에 더해, 상기 배선판삽입통로는 상기 커넥터를 탑재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종형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양면에 도체층을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지는 커넥터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는 그 일면에 개구되어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하는 폭으로 배선판삽입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일방에는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의 각 단자도체의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일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에 돌출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콘택트하우징의 전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배면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타방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폭방향에 소정 피치로 콘택트 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타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타방의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서, 상기 양쪽 콘택트 중 일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자유단을 조작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유단과 일체의 상기 접점부를 타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 조작구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있어,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는,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조작하는 조작자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홈에 회전 하도록 끼워 넣어지고 있어,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에 의해 상기 홈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어 있는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이 회전되도록 끼워 넣어진 후, 상기 양쪽콘택트 중 일방의 상기 콘택트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콘택트 삽입홈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에 의해 상기 조작축의 상기 홈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도16(a), (b) 및 도 17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a),(b) 내지 도 7(a) 내지 (c)는 본 예에서 이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과 본 발명에 따른 횡형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일 예를 게시한 것으로, 도 1(a),(b)는 본 예에서 이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의 표면도 및 이면도, 도 2(a),(b)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눕힌 상태와 일으킨 상태의 각 종단면도, 도 3(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 용 커넥터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4(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되는 커넥터하우징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 도 5(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 및 종단면도, 도 6(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되는 일방의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7(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되는 타방의 콘택트의 정면도,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눕히려면 커넥터하우징의 배선판삽입통로에 대하여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평행으로 향하게 하는 조작을 한다.
도 1(a),(b)에 보이는 본 예에서 사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1)은 전술한 도 16(a),(b)와 같은 구조이며, 단지 절연기판(2)의 폭방향의 양측에 표면과 이면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돌기(2c, 2d)가 마련되어져 있다. 즉, 돌기(2c)의 돌출 길이가, 예를 들면 0.8㎜이고, 돌기(2d)의 돌출 길이 0.5㎜ 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도 2(a),(b), 도 3(a) 내지(c) 및 도 4(a) 내지 (e)에서 보이는 본 예의 횡형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로 사용되는 커넥터하우징(6)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도 17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예의 커넥터하우징(6)은 도 4(a)에 보이는 평면도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조작축을 끼우는 홈(14)이 이 커넥터하우징(6)의 후부측에서 상면으로 개구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하우징(6)에는, 도 4(b)에 보이는 정면도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선판삽입통로(7)의 폭방향의 양측에, 양면 인쇄배선판(1)의 표면과 이면 중 어느 쪽을 위를 향하게 하여 삽입할지를 규정하는 오삽입방지 홈(15a, 15b)이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오삽입방지홈(15a)의 폭이 오삽입방지홈(15b)의 폭보다 넓게, 오삽입방지홈(15a)이 좌측으로, 오삽입방지홈(15b)이 우측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양면 인쇄배선판(1)이 그 접지도체(4)의 면을 위를 향하게 해서 배선판삽입통로(7)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하우징(6)의 윗면에는, 그 위에 씌울 수 있는 후술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전단연결재 때문에 복수의 전단연결재돌기(16)가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돌설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하우징(6)의 일방측(하측)의 콘택트삽입홈(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측에서 일방의 콘택트(9)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하우징(6)의 반대측(상측) 콘택트삽입홈(10)에는, 배면측에서 타방의 콘택트(11)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9, 11)의 접점부(9a, 11a)는 배선판삽입통로(7)에 돌출되어 있다. 접점부(9a)는 오목형, 접점부(11a)는 볼록형으로 되어 있다.
도 2(a),(b), 도 3(a) 내지(c) 및 도 5(a) 내지 (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서는, 양쪽 콘택트(9, 11)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본 예에서는, 콘택트(11))가 가지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접촉해서 이 자유단(1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유단(11c)과 일체의 접점부(11a)를 타방의 콘택트(본 예에서는, 콘택트(9))가 가지는 접점부(9a)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커넥터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적어도 조작부(18a)가 일방의 대향면(18aa)의 간격보다 타방의 대향면(18ab)의 간격이 큰 거의 타원형 (또는 타원형)구조의 조작축(18)과, 이 조작축(18)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자(19)를 구비하고, 조작축(18)의 양단의 부분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 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조작자(19)는 커넥터하우징(6)의 윗면에 덮이는 판상부(19a)와, 이 판상부(19a)의 후부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하면측에 돌설되어서 조작축(18)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일체로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부(19b), 판상부(19a)의 전면의 중앙측에서 하방을 향하게 돌설된 전면상부덮개부(19c), 이 전면상부덮개부(19c)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진 전면단부덮개부(19d)를 구비하고 있다. 판상부(19a)의 하면에는, 커넥터하우징(6)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 전단연결재돌기(16)에 끼워진 전단연결재(19e)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8a)의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은 판상부(19a)와 평행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18a)의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에는, 판상부(19a)에 대향하는 면에 타방의 각 콘택트(11)를 끼우고 빼는 홈(18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속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서는,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19a)가 커넥터하우징(6)의 상면을 덮고, 조작축(18)의 단면원형의 부분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 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홈(14)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된다.
도 6(a) 내지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의 콘택트(9)는 단자부(9b)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이 고정편부(9c)로 되어 있어, 이 고정편부(9c)와 접점부(9a)와는 U자 모양의 탄성반환부(9d)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일방의 콘택트(9)는 다수개가 평행하게 늘어놓아져 연결대(캐리어)로 연결되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편부(9c)에는 그 폭방향의 양 측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대로 연결된 각 콘택트(9)는 각 콘택트삽입홈(8)에 일괄해서 삽입되어, 각 고정편부(9c)가 각 콘택트삽입홈(8)의 하측부분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대가 떼어버려지게 되어 있다.
도 7(a) 내지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방의 콘택트(11)는 단자부(11b)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은 크랭크형의 상승부(11d)로 되어 있고, 상승부(11d)의 단부에서 단자부(11b)에 평행하고 반대방향으로 늘어진 고정 편부(11e)로 되어 있고, 고정편부(11e)와 접점부(11a)와의 사이는 U자 모양의 탄성반환부(11f)에서 일체로 연결되고, 접점부(11a)의 첨단은 자유단(11c)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타방의 콘택트(11)는, 다수개가 평행하게 늘어놓아지고, 각 단자부(11b)에서 연결대(캐리어)로 연결되어서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대로 연결된 각 콘택트(11)는 각 콘택트삽입홈(10)에 일괄해서 삽입되어, 각 고정편부(11e)가 각 콘택트삽입홈(10)의 상측부분에 각각 압입되고,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부(11b)에서 연결대가 떼어버려지게 되어 있다.
각 콘택트(9, 11)의 단자부(9b, 11b)는 커넥터하우징(6)의 하면측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피실장기판에 탑재되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하우징(6)의 윗면에,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에서의 조작자(19)의 판상부(19a)를 덮은 상태에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커넥터하우징(6)에, 이 커넥터하우징(6)의 저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 지지된 역 U자형의 잠금부재(20), 조작자(19)의 폭방향의 양단에 지지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잠금부재(21)의 교합에 의해 잠궈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a) 커넥터하우징(6)의 일방의 각 콘택트삽입홈(8)에, 전방에서 일방의 콘택트(9)를 각각 삽입한다.
(b)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의 조작축(18)의 단면원형의 부분을 끼워 넣는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그 판상부(19a)를 커넥터하우징(6)의 윗면에 씌우고, 조작부(18a)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을 쓰러뜨려서 눕혀 둔다.
(c)커넥터하우징(6)의 타방의 각 콘택트삽입홈(10)에, 후방에서 타방의 콘택트(11)를 각각 삽입하고, 이 콘택트(11)의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조작축(18)의 홈(14)으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잠금부재(20)와 잠금부재(21)의 교합을 떼고, 도 2(a)로부터 도 2(b)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축(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를 일으켜 세운다. 이 조작축(18)의 회전에 의해 조작부(18a)는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이 누워 있던 상태로부터,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어선다. 이 때문에,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의 일방에 접촉하고 있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은,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18a)가 일어서는 것에 의해 타방의 대향면의 간격이 넓은 대향면(18ab)의 일방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자유단(11c)이 들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타방의 콘택트(11)의 접점부(11a)가 일방의 콘택트(9)의 접점부(9a)로부터 떨어진다. 즉, 접점부(11a)와 접점부(9a)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 상태가 되면, 간격이 벌어진 접점부(11a)와 접점부(9a)와의 사이에, 양면 인쇄배선판(1)을 작은 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즉, ZIF에서 양면 인쇄배선판(1)을 접점부(11a)와 접점부(9a)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양면 인쇄배선판(1)은 그 단자도체(3)측의 면을 아래로 바꾸어서 접점부(11a)와 접점부(9a)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 후,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축(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를 눕힐 수 있고, 잠금부재(20)와 잠금부재(21)가 서로 교합된다. 이 조작에 의해, 조작부(18a)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이 눕고, 그 일방의 대향면(18aa)에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이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접점부(11a)와 접점부(9a)와의 간격이 좁아져서, 양면 인쇄배선 판(1)이 접점부(11a)와 접점부(9a)로 협지된다. 그 결과, 양면 인쇄배선판(1)의 각 단자도체(3)가 각 콘택트(9)의 접점부(9a)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지도체(4)가 각 콘택트(11)의 접점부(11a)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서는, 양쪽 콘택트(9, 11)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 본 예에서는 콘택트(11)가 가지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접촉해서 이 자유단(11c)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 자유단(11c)과 일체의 접점부(11a)를 타방의 콘택트(9)가 가지는 접점부(9a)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커넥터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어려운 부품이 사용되지 않아, 비용이 상승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부품이 커넥터하우징(6)에 조립되어 있어,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ZIF타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로서, 적어도 조작부(18a)의 외형이 일방의 대향면(18aa)의 간격보다 타방의 대향면(18ab)의 간격이 큰 구조의 조작축(18), 조작축(18)을 회전조작하는 조작자(19)를 구비하고, 조작축(18)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할 수 있게 끼워 넣어져 있는 구조의 것을 이용하므로, 조작자(19)의 조작에 의해 조작축(18)을 회전해서 조작부(18a)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 조작부(18a)에 의해 본 예에서는 콘택트(11)가 가지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을 이 자유단(11c)과 일체의 접점부(11a)를 타방의 콘택트(9)가 가지는 접점부(9a)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 동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의 조작축(18)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홈(14)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콘텍트하우징(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선판삽입통로(7)가, 해당 커넥터(5)를 실장하는 미도시된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마련되어진 횡형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해당 커넥터(5)를 피실장기판에 평행하게 실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제조방법에서는,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의 조작축(18)을 회전 하도록 끼워 넣은 후, 양쪽 콘택트(9, 11)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 본 예에서는 콘택트(11)를 커넥터하우징(6)의 콘택트 삽입홈(10)에 끼워 넣고, 콘택트(11)의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조작축(18)의 홈(14)으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하므로, 조립의 순서에 의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커넥터하우징(6)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b) 내지 도 15(a) 내지 (c)는 본 발명에 다른 종형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일 예를 게시한 것으로, 도 8(a),(b)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눕힌 상태와 일으킨 상태의 각 종단면도, 도 9(a),(b)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커넥터하우징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평면도의 Ⅹ-Ⅹ선 단면도 및 Y-Y선 단면도, 도 11(a) 내지 (e)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및 종단면도, 도 12(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일방의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13(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타방의 콘택트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14(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일방의 잠금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15(a) 내지 (c)는 본 예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로 사용하는 타방의 잠금부재의 평면도, 배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본 예의 세로형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는 전술한 횡형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본 예에서 사용하는 양면 인쇄배선판(1)은 전술한 횡형구조로 사용한 도 1(a), (b)와 같은 것이므로,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 한다.
도 8(a), (b), 도 9(a), (b) 및 도 10(a) 내지 (e)에서 보이는 본 예의 종형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로 사용하는 커넥터하우징(6)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횡형 구조의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예의 커넥터하우징(6)은, 도 10(b)에 보이는 평면도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조작축을 끼우는 홈(14)이 이 커넥터하우징(6)의 후부측에서 윗면에 개구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하우징(6)에는, 배선판삽입통로(7)의 폭방향의 양측에, 양면 인쇄배선판(1)의 표면과 이면 중 어느 쪽을 정면을 향해 삽입할 지를 규정하는 오삽입방지홈(15a, 15b)이 마련되어 있다. 본 예에서도 오삽입방지홈(15a)의 폭이 오삽입방지홈(15b)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오삽입 방지홈(15a)이 우측으로, 오삽입방지홈(15b)이 좌측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양면 인쇄배선판(1)이 그 단자도체(3)의 면을 정면을 향해서 배선판삽입통로(7)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하우징(6)의 윗면에는, 후술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누워 있는 상태로 이 후술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를 잠그는 잠금부재를 삽입하는 잠금부재삽입구멍(22, 23)이 평판상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잠금부재삽입구멍(22, 23)은 커넥터하우징(6)의 평면도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부 아래의 부분보다 정면을 향해서 널리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하우징(6)의 일방측(정면측)의 콘택트삽입홈(8)에는, 저면측에서 일방의 콘택트(9)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하우징(6)의 반대측(배면측)의 콘택트삽입홈(10)에는, 저면측에서 타방의 콘택트(11)가 각각 삽입되어 위치결정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9, 11)의 접점부(9a, 11a)는 배선판삽입통로(7)로 돌출되어 있다. 이 예에서도, 접점부(9a)는 오목모양, 접점부(11a)는 볼록모양으로 되어 있다.
도 8(a), (b), 도 9(a),(b) 및 도 11(a) 내지 (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서는, 양쪽 콘택트(9, 11)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본 예에서는, 콘택트(11))가 가지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접촉해서 이 자유단(11c)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유단(11c)과 일체의 접점부(11a)를 타방의 콘택트(본 예에서는, 콘택트(9))가 가지는 접점부(9a)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커넥터하우징(6)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적어도 조작부(18a)가 일방의 대향면(18aa)의 간격보다 타방의 대향면(18ab)의 간격이 큰 거의 타원형 (또는 타원형)구조의 조작축(18)과, 이 조작축(18)을 회전조작 하는 조작자(19)를 구비하고, 조작축(18)의 양단의 부분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 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조작자(19)는 도 8(a)로 커넥터하우징(6)의 배면을 덮는 판상부(19a)와, 이 판상부(19a)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정면측에 돌설되어서 조작축(18)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일체로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부(19b), 판상부(19a)의 타단의 중앙측에서 정면측에 돌설된 전면상부덮개부(19c), 이 전면상부덮개부(19c)의 폭방향의 양측에 마련되어진 전면단부덮개부(19d)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8a)의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은 판상부(19a)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조작부(18a)의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에는, 판상부(19a)에 대향하는 면에 타방의 각 콘택트(11)를 끼우고 빼는 홈(18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속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서는,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상부(19a)가 커넥터하우징(6)의 배면을 덮고, 조작축(18)의 양단부분이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홈(14)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어 있다.
도 12(a) 내지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의 콘택트(9)는 도 6(a) 내지 (c)와 거의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a) 내지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타방의 콘택트(11)는 단자부(11b)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은 고정편부(11e)로 되어 있고, 이 고정 편부(11e)의 끝은 일체의 S자 모양을 하는 더블의 탄성반화부(11f)로 되어 있고, 이 탄성반환부(11f)의 끝은 일체의 접점부(11a)로 되어 있고, 이 접점부(11a)의 끝은 일체의 상승부(11d)로 되어 있고, 이 상승부(11d)의 끝은 고정편부(11e)와 동일한 방향의 자유단(11c)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고정편부(11e)의 끝의 탄성반환부(11f), 접점부(11a), 상승부(11d), 자유단(11c)과의 부분은, 고정편부(11e)에 2열로 돌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단자부(11b)의 양측에 연결편이 연설되어, 이 연결편에서 인접한 콘택트(11)가 연결대(캐리어)로 연결되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대로 연결된 각 콘택트(11)도 각 콘택트삽입홈(10)에 일괄하여 삽입되고 각 고정편부(11e)가 각 콘택트삽입홈(10)의 입구측 부분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편부(11e)로부터 연결대가 떼어버려지게 되어 있다.
커넥터하우징(6)에 대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눕힌 상태에서 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가 뒤쪽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도 14(a) 내지 (c) 및 도 15(a) 내지 (c)에 보여지는 잠금부재(24, 25)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잠금부재(24, 25)는 하우징(6) 밖으로 돌출하는 하우징외돌출판부(24a, 25a), 그 아래로 연설되어 있어 하우징(6)의 잠금부재삽입구멍(22, 23)에 넣어 고정되는 하우징내고정판부(24b, 25b), 하우징외돌출판부(24a, 25a)의 판면으로부터 측면에 내세워진 잠금돌기(24c, 25c), 하우징내고정판부(24b, 25b)의 하부에 잠금돌기(24c, 25c)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연설된 지주판부(24d, 25d)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잠금부재(24, 25)는 지주판부(24d, 25d)에서 연결대(24e,25e)에서 연결되어 제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부재(24, 25)는 하우징외돌출판부(24a, 25a)에 대하여 하우징내 고정판부(24b, 25b)의 돌출 방향이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잠금부재(24, 25)는 하우징(6)의 저부측에서 잠금부재삽입구멍(22, 23)에 잠금부재(24, 25)를 삽입하고, 하우징외돌출판부(24a, 25a)를 하우징(6) 밖으로 돌출하고, 하우징내고정판부(24b, 25b)의 외주의 돌기에서 잠금부재삽입구멍(22, 23) 내에 고정한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의 조작자(19)에는, 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를 배선판삽입통로(7)에 따라 눕힌 때에 잠금돌기(24c, 25c)를 극복해서 이들 잠금돌기(24c, 25c)에 결합되는 잠금부재(21, 21)가 마련되어 있다.
각 콘택트(9, 11)의 단자부(9b, 11b)는 커넥터하우징(6)의 하면측의 미도시된 피실장기판에 탑재되어서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a) 커넥터하우징(6)의 일방의 각 콘택트삽입홈(8)에, 저부로부터 일방의 콘택트(9)를 각각 삽입한다.
(b) 커넥터하우징(6)의 홈(14)에,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의 조작축(18)의 단면원형의 부분을 끼워 넣는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는 그 판상 부(19a)를 커넥터하우징(6)의 배면에 씌우고, 조작부(18a)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을 쓰러뜨려서 눕혀 둔다.
(c) 커넥터하우징(6)의 타방의 각 콘택트삽입홈(10)에 저부로부터 타방의 콘택트(11)를 각각 삽입하고, 이 콘택트(11)의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에 의해 조작축(18)의 홈(14)으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잠금돌기(24c, 25c)로부터 잠금부재(21, 21)의 교합을 떼고, 도 8(a)로부터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축(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를 일으켜서 커넥터하우징(6)의 배면측으로 일으킨다. 이 조작축(18)의 회전에 의해 조작부(18a)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운 상태로부터,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어선다. 이 때문에,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대향면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의 일방에 접촉하고 있는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은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18a)가 일어서는 것에 의해 타방의 대향면의 간격의 큰 대향면(18ab)의 일방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고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자유단(11c)의 들어 올리기에 의해, 타방의 콘택트(11)의 접점부(11a)가 일방의 콘택트(9)의 접점부(9a)로부터 떨어진다. 즉, 접점부(11a)와 접점부(9a)와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 상태가 되면, 간격이 벌어진 접점부(11a)와 접점부(9a)와의 사이에, 양면 인쇄배선판(1)을 작은 삽입력으로 삽입할 수 있다. 즉, ZIF에서 양면 인쇄배선판(1)을 접점부(11a)와 접점 부(9a)와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양면 인쇄배선판(1)은 그 단자도체(3)측의 면을 정면을 향해서 접점부(11a)와 접점부(9a)와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 후, 도 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축(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17)를 눕히고, 잠금돌기(24c, 25c)를 극복해서 잠금부재(21, 21)를 이동시키고, 잠금부재(21, 21)를 잠금돌기(24c, 25c)에 결합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조작부(18a)의 간격이 좁은 대향면(18aa)이 눕고, 그 일방의 대향면(18aa)에 접점부(11a)측의 자유단(11c)이 접촉하는 상태로 되고, 접점부(11a)와 접점부(9a)의 간격이 좁아져서, 양면 인쇄배선판(1)이 접점부(11a)와 접점부(9a)로 협지된다. 그 결과, 양면 인쇄배선판(1)의 각 단자도체(3)가 각 콘택트(9)의 접점부(9a)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양면 인쇄배선판(1)의 접지도체(4)가 각 콘택트(11)의 접점부(11a)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5)에서도, 전술한 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서는, 양쪽 콘택트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가 가지는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이 자유단을 조작 하는 것에 의해 이 자유단과 일체의 접점부를 타방의 콘택트가 가지는 접점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커넥터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어려운 부품이 사용되지 않아서, 비용상승을 억제하여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부품이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되어 있어서,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ZIF타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로서, 적어도 조작부의 외형이 일방의 대향면의 간격 보다 타방의 대향면의 간격이 큰 구조의 조작축과, 조작축을 회전조작 하는 조작자를 구비하고, 조작축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면,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축을 회전해서 조작부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이 조작부에 의해 콘택트가 가지는 접점수도측의 자유단을 이 자유단과 일체의 접점부를 타방의 콘택트가 가지는 접점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조작축이, 커넥터하우징의 홈에 회전 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의해 홈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어 있으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판삽입통로가, 해당 커넥터를 탑재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평행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진 횡형구조로 되어 있으면, 해당 커넥터를 피실장기판에 평행하게 실장할 수 있다.
배선판삽입통로가, 해당 커넥터를 실장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진 종형구조로 되어 있으면, 해당 커넥터를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제조방법에서는, 커넥터하우징의 홈 에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조작축을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후, 양쪽 콘택트 중 어느 일방의 콘택트를 커넥터하우징의 콘택트삽입홈에 끼어 넣고, 콘택트의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의해 조작축의 홈으로부터의 탈출을 누르므로, 조립의 순서에 의해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양면에 도체층을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지는 커넥터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그 일면에 개구된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하는 폭으로 배선판삽입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일방에는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의 각 단자도체의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일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배면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타방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폭방향에 소정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타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결정되고, 상기 타방의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쪽 콘택트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자유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유단과 일체의 상기 접점부를 타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는, 적어도 조작부가 일방의 대향면의 간격보다 타방의 대향면의 간격이 큰 구조의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조작하는 조작자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회전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에 의해 상기 홈으로부터의 탈출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판삽입통로는, 상기 커넥터를 실장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마련된 횡형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판삽입통로는, 상기 커넥터를 실장하는 피실장기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마련된 종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6. 양면에 도체층을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가 지는 커넥터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그 일면에 개구된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을 삽입하는 폭으로 배선판삽입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일방에는 상기 양면 인쇄배선판의 각 단자도체의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일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면에 대하여 반대측의 배면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두께 방향의 타방에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폭방향에 소정 피치로 콘택트삽입홈이 마련되고 이들 콘택트삽입홈에는 타방의 콘택트가 각각 삽입되어서 위치 결정되고, 상기 타방의 콘택트는 상기 배선판삽입통로의 깊이측에서 이 배선판삽입통로로 돌출되는 접점부를 가지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에서,
    상기 양쪽 콘택트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측의 자유단에 접촉해서 상기 자유단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유단과 일체의 상기 접점부를 타방의 상기 콘택트가 가지는 상기 접점부에 대하여 이간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과, 반대로 접근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행하는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는,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을 회전조작하는 조작자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홈에 회전되도록 끼워 넣어지고,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회전되도록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조작을 받는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 에 의해 상기 홈에서의 탈출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홈에 상기 접점부 이간, 접근조작구의 상기 조작축을 회전하도록 끼워 넣고,
    그 후, 상기 양쪽콘택트 중 어느 일방의 상기 콘택트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상기 콘택트삽입홈에 끼워 넣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측의 상기 자유단에 의해 상기 조작축의 상기 홈으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070035658A 2006-10-05 2007-04-11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17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3610 2006-10-05
JP2006273610A JP4446278B2 (ja) 2006-10-05 2006-10-05 両面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769A true KR20080031769A (ko) 2008-04-11

Family

ID=3937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658A KR20080031769A (ko) 2006-10-05 2007-04-11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46278B2 (ko)
KR (1) KR20080031769A (ko)
TW (1) TWI381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2484B2 (ja) 2010-08-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50980B2 (ja) * 2012-02-08 2017-06-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95488B2 (ja) * 2018-08-27 2022-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ソケット部品およびコネクタ
JP7123213B1 (ja) * 2021-04-21 202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板実装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661B2 (ja) * 2000-01-11 2004-04-1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Fpc/ffc用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2002190360A (ja) * 2000-12-20 2002-07-05 Smk Corp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4006000B2 (ja) * 2004-11-01 2007-11-14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46278B2 (ja) 2010-04-07
JP2008091284A (ja) 2008-04-17
TW200818616A (en) 2008-04-16
TWI381591B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5256B2 (ja) 電気コネクタ
JP4484218B2 (ja) コネクタ
CN1307746C (zh) 扁平柔性电缆连接器
KR100826744B1 (ko)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US20070197104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at-type circuit board
US723234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ing a substrate as a contacting member
KR100885862B1 (ko) 전기 커넥터
JP2006351453A (ja) コネクタ
KR101668186B1 (ko) 전기 커넥터
JP2004178958A (ja) コネクタ
KR20080031769A (ko) 양면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33319A1 (en) Stacked fpc connector
JP4927454B2 (ja) コネクタ
JP2006294394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5482388B2 (ja) 電気コネクタ
JP5185543B2 (ja) コネクタ
JP2010244809A (ja) 電気コネクタ
JP2020126864A (ja) コネクタ
KR101029639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
US20110143601A1 (en) Connector
JP2009164144A (ja) 両面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20040060773A (ko) 커넥터
JP4907436B2 (ja) コネクタ
JP2007173255A (ja) コネクタ
JP4135902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