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249A -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249A
KR20030014249A KR1020027016115A KR20027016115A KR20030014249A KR 20030014249 A KR20030014249 A KR 20030014249A KR 1020027016115 A KR1020027016115 A KR 1020027016115A KR 20027016115 A KR20027016115 A KR 20027016115A KR 20030014249 A KR20030014249 A KR 2003001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ocket
base
housing
so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104B1 (ko
Inventor
시미즈카즈오미
사사키쇼이치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커넥터는 설치면(3)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4)와, 베이스커넥터(4)의 삽입공간(5)으로부터 설치면(3)과 대략 직교하는 이탈방향(X2)을 따라서 뽑아내어지는 소켓커넥터(6)를 구비한다. 설치면(3)에 평행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전기도체(7)를 상기 설치면(3)에 평행한 방향(Y)으로 잡아당기면, 이 잡아당기는 힘이 베이스커넥터(4)의 캠면(24)과 소켓커넥터(6)의 캠면(37)의 작용에 의해, 소켓커넥터(6)의 이탈방향(X2)을 따르는 힘으로 변환된다. 소켓커넥터(6)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근래, 휴대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보급에는 눈부신 것이 있다. 휴대전화 등에서는, 기기를 구입한 사용자 자신이 내장의 배터리의 커넥터를 기판 등의 커넥터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배터리가 수명이 다하여, 이것을 신품으로 교환하는 작업도 사용자 자신이 행하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이 취급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커넥터의 착탈작업을 해야 한다. 이때, 양 커넥터를 잘 장착할 수 없고, 커넥터 사이의 접속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 소켓커넥터를 뽑아낼 때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컨택트나 기판을 파손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커넥터의 장착에 있어서, 실장높이가 낮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윗쪽으로 뽑아내는 톱타입에서는, 보통, 전선도 윗쪽에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가 높아진다.
한편,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옆방향으로 뽑아내는 사이드타입에서는 전선도 옆방향에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단, 기기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횡방향으로의 삽입/이탈은 사실상 곤란한다.
그래서, 소켓커넥터를 윗쪽으로 뽑아내는 톱타입이면서, 전선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레이아웃되는 방식이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증가하고 있다. 이른바 양 타입을 절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절충방식에서는 전선이 연장되는 방향과 소켓커넥터의 뽑아내기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에, 뽑아내기 어렵고, 또 무리하게 빼려고 하면 양 커넥터 모두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와, 이 베이스커넥터로부터 기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소켓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의 베이스커넥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커넥터의 소켓커넥터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스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단 컨택트에 대해서는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소켓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소켓하우징의 앞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단자의 앞면도이다.
도 9는 연결상태의 양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단 단자 및 컨택트에 대해서는 단면의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은 완전히 연결되어 있는 양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리드선을 개재하는 앞쪽으로의 뽑아내는 힘을 이탈방향(X2)으로의힘으로 변환하여 소켓커넥터가 뽑아내어지는 중간과정을 나타내는 양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리드선을 개재하는 뽑아내는 힘이 소켓커넥터의 측방으로 향해서 작용할 때의 양 커넥터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상기 목절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복수의 컨택트를 수용하는 삽입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하우징을 포함하고, 설치면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와, 복수의 컨택트를 수용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소켓하우징에서 설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도체를 포함하는 소켓커넥터를 구비한다. 상기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소켓커넥터는 설치면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의 이탈방향을 따라서 베이스커넥터의 삽입공간으로부터 뽑아내어진다. 상기 베이스커넥터 및 소켓커넥터는 서로 합치할 수 있는 캠면을 각각 포함한다. 이들 캠면은, 상기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전기도체로부터 설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소켓커넥터에 부여되는 뽑아내는 힘을 상기 소정의 이탈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한다.
본 형태에서는, 가령 전기도체를 잡아당겨서 소켓커넥터를 뽑아내고자 한 경우, 그 힘 중, 설치면에 대략 평행하게 작용하는 성분을, 캠면에 의해서 소정의 이탈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에 무리한 부하를 주지 않고, 소켓커넥터를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다. 한편, 소켓커넥터를 장착할 때에는, 대응하는 캠면이 소켓커넥터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므로, 소켓커넥터를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커넥터에 포함되는 베이스커넥터 및 소켓커넥터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10은 양 커넥터의 조합상태를 나타내는 전기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전기커넥터(1)는 기판(2)의 설치면(3)에 납땜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4)와, 이 베이스커넥터(4)와 쌍을 이루어 베이스커넥터(4)의 삽입공간(5)에 삽입/이탈되는 소켓커넥터(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전기커넥터(1)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PHS 등의 기판과 배터리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베이스커넥터(4)의 삽입공간(5)은 기판(2)의 설치면(3)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설치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소켓커넥터(6)의 이탈방향(X2)에 상당)으로 개방되고, 또 설치면(3)과 평행한 방향 중 앞쪽(Y)으로 개방되어 있다.
소켓커넥터(6)는, 베이스커넥터(4)의 삽입공간(5) 내로 설치면(3)과 직교하는 삽입방향(X1)을 따라서 삽입되고, 또 삽입공간(5)으로부터 설치면(3)과 직교하는 이탈방향(X2)을 따라서 이탈된다. 소켓커넥터(6)는 대체로 앞쪽(Y)으로 연장되는 전기도체로서의 리드선(7)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커넥터(6)를 베이스커넥터(4)로부터 분리할 때에, 리드선(7)이 상기 이탈방향(X2) 이외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일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경우에 리드선(7)을 통하는 인장력을 소켓커넥터(4)의 이탈방향(X2)의 힘으로 변환하여, 뒤틀림을 발생하지 않고, 소켓커넥터(6)를 원활하게 빼낼 수 있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베이스커넥터(4)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커넥터(4)는 베이스하우징(8)을 구비하고 있고, 이 베이스하우징(8)은 설치면(3)을 따라서 고정되는 베이스(9)와, 베이스(9) 위에 세워설치되는 후벽(10) 및 좌우 한쌍의 측벽(11, 1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베이스(9), 후벽(10) 및 좌우의 측벽(11, 12)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5)이 구획되어 있다.
삽입공간(5)에는, 측벽(11, 12)에 평행한 복수의(예를 들면 3개의) 평행판의 컨택트(13)가 수용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각 컨택트(13)는 베이스(9)에 형성된 대응하는 고정구멍(29)에 삽입통과된 상태로, 베이스(9) 및 후벽(1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컨택트(13)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주체부(30)와, 이 주체부(30)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리드부(31)를 포함한다. 주체부(30)는 베이스(9)의 윗쪽으로 돌출되는 컨택트부(32)와, 고정구멍(29)에 압입되는 압입돌기(33)를 갖는 고정부(34)를 가지고 있다. 35는 압입돌기(33)에 대응하여 고정부(34)에 형성되는 투과구멍이다. 36은 컨택트부(32)의 윗가장자리 및 앞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모따기부이고, 소켓커넥터(6)의 대응하는 컨택트(15)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컨택트(13)는 양 커넥터(4, 6)의 연결상태에서, 소켓커넥터(6)의 대응하는 컨택트(14)에 포함되는 한쌍의 컨택트편(15, 15)에 의해서 양측에서 서로 껴안은 형상으로 끼워져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고, 후벽(10)에는 각 측벽(11, 12)을 따르는 형태에서 세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세로홈(16)에는 양 커넥터(4, 6)의 연결상태에서 소켓하우징(17)의 끝면(18)의 대응하는 종리브(19)(도 6 참조)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고, 각 측벽(11, 12)의 내측면(11a, 12a)에 있어서, 컨택트(13)의 측방에는 각각 상하로 연장되는 끼워맞춤홈(20)이 형성되고, 각 끼워맞춤홈(20)에는 소켓하우징(17)의 측면(21)에 형성된 대응하는 2단리브(53)(도 2 및 도 6 참조)가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2단리브(53)는 두꺼운 상리브(54)와 얇은 하리브(2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고, 각 끼워맞춤홈(20)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끼워맞춤홈(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뒷내벽면(23)과,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형상으로 연장되는 앞내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24)과, 홈 저면(2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끼워맞춤홈(20)의 상부에 대응하는 홈 저면(25)은 폐지되고, 끼워맞춤홈(20) 내가 베이스하우징(8)의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소켓커넥터(6)의 하리브(22)는 베이스커넥터(4)의 캠면(24)과 같은 경사를 이루는 캠면(37)을 가지고 있다. 하리브(22)가 베이스커넥터(4)의 끼워맞춤홈(20)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하리브(22)의 캠면(37)과 끼워맞춤홈(22)의 캠면(24)이 서로 합치하고, 이것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선(7)을 통하는 예를 들면 베이스커넥터(4)의 앞쪽(Y)으로의 인장력을 소켓커넥터(4)의 이탈방향(X2)의 힘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 측벽(11, 12)의 내측면(11a, 12a)의 앞측 상부에는 끼워맞춤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양 커넥터(4, 6)의 연결상태에 있어서, 각 끼워맞춤 볼록부(26)가 소켓하우징(17)의 측면(21)의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7)(도 2 참조)에 끼워맞춤으로써, 연결상태가 소정의 유지력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28은 금속제의 보강부재로서의 보강태브(tab)이고, 보강태브(28)는 베이스하우징(18)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 압입홈에 압입되어 일부가 베이스하우징(18)의 대응하는 측면에 노출되고, 기판(2) 표면(3)의 도전부에 납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소켓커넥터(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소켓하우징(17)을 가지고 있다. 소켓하우징(17)은 전후로 연장되는 단자수용구멍(38)을 복수 좌우로 나열하여 형성하고 있다. 도 5는 소켓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소켓커넥터의 하우징의 끝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각 단자수용구멍(38)에 각각 리드선(17)의 끝부에 압착된단자(39)가 수용되어 있다. 단자(39)는 리드선(17)의 피복부(40)에 압착되는 절연배럴(41)과, 리드선(17)의 심선(42)에 압착되는 도체배럴(43)과, 사각고리 형상을 이루어 단자수용구멍(38)의 내면에 끼워맞추는 박스부(44)와, 상술의 한쌍의 컨택트편(15)을 포함하는 컨택트(14)를 가지고 있다.
45는 소켓하우징(17)의 대응하는 결합구멍(46)에 결합하여, 단자수용구멍(38)으로부터의 단자(39)의 빠짐방지를 담당하는 탄성돌기로 이루어지는 랜스(lance)(45)이다. 46은 소켓하우징(17)의 상면(47)에 개방되어 있고, 랜스(45)의 결합상태가 윗쪽에서 보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단자수용구멍(38)은 세로길이의 슬릿(48)(도 6 및 도 7도 참조)으로서, 소켓하우징(17)의 앞쪽의 끝면(18) 및 하면(49)으로 개구되어 있고, 각 슬릿(48)에는 대응하는 컨택트(14)가 수용되어 있다.
단자(39)의 앞면도인 도 8을 참조하여, 컨택트(14)는 서로 대향하여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컨택트편(15)을 갖고, 각 컨택트편(15)의 대향면에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컨택트부(50)가 설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한쌍의 컨택트부(50)간의 간극(S)에, 베이스커넥터(4)의 판형상 컨택트(13)(도 8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가 도입되고, 이 컨택트(13)가 한쌍의 컨택트편(15, 15)에 의해 서로 껴안은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유지되어, 양 컨택트(13, 14) 사이에 접촉압력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소켓하우징(17)의 앞부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에서 보아 하향으로 개방되는 대략 홈형을 이루는 프레임형상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형상부(51)에는 소켓하우징(17)의 압압면으로서의 상면(47)에 컨택트(14)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볼록부(52)와, 소켓하우징(17)의 양측면(21)에 각각 돌출되는 상술한 한쌍의 2단리브(5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52)의 표면에는, 소켓커넥터(6)를 장착할 때에 이 부분을 누르는 것을 시사하는 예를 들면 리브형상 마크(58)가 붙여져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리브(53)의 하리브(22)는, 베이스커넥터(4)의 끼워맞춤홈(20)의 하부(홈 저부(25)가 있는 부분)에 끼워맞추고, 상리브(54)는 끼워맞춤홈(20)의 상부(홈 저부(25)가 없는 부분)에 끼워맞춘다. 2단리브(53)에 의한 연결로 양 커넥터(4, 6)의 하우징(8, 17)을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2단리브(53)가 끼워맞춤홈(20)에 끼워맞춰져서 하리브(22)의 캠면(37)과 대응하는 캠면(24)이 합치된 상태에서, 상리브(54)는 끼워맞춤홈(20)의 캠면(24)과의 사이에 역삼각형 형상의 도피부(5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타입의 커넥터에 리드선(7)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타입을 조합시킴으로써, 실장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리드선(7)을 잡아당겨 이탈방향(X2) 이외의 방향으로 소켓커넥터(6)를 빼내고자 한 경우, 그 힘 중, 기판(2)의 표면(3)에 대략 평행하게 작용하는 성분을, 캠면(37, 24)에 의해서 이탈방향(X2)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4, 6)를 무리한 부하를 가하지 않고, 소켓커넥터(6)를 원할하게 뽑아낼 수 있다. 특히, 캠면(37, 24)이 컨택트(13, 14) 측방에 위치하므로, 캠면(37, 24)에 의해 변환되어 이탈방향(X2)으로 작용하는 힘을, 컨택트(13, 14)를 사이에 두는 양측 위치에서 컨택트(13, 14)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작용시킬 수 있는 결과, 소켓커넥터(6)를 보다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다.
한편, 소켓커넥터(6)를 장착할 때에는, 캠면(24, 37)이 소켓커넥터(6)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므로, 소켓커넥터(6)를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베이스커넥터(4)의 삽입공간(5)은 윗쪽인 이탈방향(X2) 및 앞쪽(Y)의 2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삽입공간(5)에 삽입된 소켓커넥터(6)는 측벽(11, 12)을 따르는 상태에서, 상기 2방향에 관해서 이동의 자유도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측벽(11, 12)에 평행한 평판상의 컨택트(13)를 대응하는 컨택트(14)의 한쌍의 컨택트편(15, 15)으로 서로 껴안은 형상으로 유지하므로, 상기 자유도가 있는 방향으로 소켓커넥터(6)를 이동시켜도, 컨택트(13, 14)를 비트는 일은 없다.
또, 양 커넥터(4, 6)가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는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소켓커넥터(6)가 이탈방향(X2)측으로 조금 이동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리브(22)의 양측에 도피부(55, 56)가 설치되므로, 소켓하우징(17)의 이동의 자유도가 증대하는 결과, 소켓커넥터(6)를 보다 쉽게 뽑아 내게 된다.
또, 베이스커넥터(4)의 후벽(10)과 좌우의 측벽(11, 12)으로 단면 コ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 측벽(11, 12)과 소켓커넥터(6)가 2단리브(53)를 개재하여 결합되므로, 양 커넥터의 하우징(8, 17)의 일부가 2단리브(53)를 개재하는 박스구조를 이루게 되는 결과, 컨택트(13, 14)에 불필요한 힘이 부하되는 양 하우징(8, 17)의 뒤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소켓커넥터(6)를 삽입공간(5)으로 삽입할 때에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압압면으로서의 상면(47)이, 컨택트(14)의 위치에 대응하여 볼록부(52)를 가지고 있으므로, 소켓커넥터(6)의 장착시에 반드시 볼록부(52)가 강하게 눌려지게 되는 결과, 컨택트(13, 14)간의 확실한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하우징(17)의 일부는, 베이스하우징(8)의 측벽(11, 12)에서 리드선(7)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있어서, 가령 리드선(7)이 소켓하우징(17)의 측방(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에도, 소켓커넥터(6)를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 이것은 도 12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하우징(8)의 측벽(11)(또는 12)의 앞가장자리(57)를 지점으로 하여 소켓하우징(17)을 회전시키는 모멘트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모멘트력을 한쪽의 쌍의 캠면(24, 37)에 의해서 이탈방향(X2)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커넥터를 배터리로부터의 리드선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켓커넥터를 사용자가 메인티넌스할 가능성이 있는 일반적인 보수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소켓커넥터에 접속되는 전기도체로서는, 단선 외, 집합선이어도 좋고,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라 불리는 플렉시블기판이나, FFC(Flexible Flat Cable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복수의 컨택트를 수용하는 삽입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하우징을 포함하고, 설치면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 및
    복수의 컨택트를 수용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소켓하우징으로부터 설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도체를 포함하는 소켓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소켓커넥터는 설치면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의 이탈방향을 따라서 베이스커넥터의 삽입공간으로부터 뽑아내어지고,
    상기 베이스커넥터 및 소켓커넥터는 서로 합치할 수 있는 캠면을 각각 포함하고,
    이들 캠면은 상기 소켓커넥터를 베이스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전기도체로부터 설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소켓커넥터에 부여되는 뽑아내는 힘을 상기 소정의 이탈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설치면을 따라서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세워 설치되는 후벽 및 좌우 한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간은, 베이스, 후벽 및 좌우의 측벽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소정의 이탈방향 및 전기도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넥터의 각 컨택트는 상기 측벽에 평행한 평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후벽 및 베이스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소켓커넥터의 각 컨택트는 베이스커넥터의 대응하는 컨택트를 각각 양측에서 서로 껴안은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쌍의 컨택트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하우징의 한쌍의 측면에 리브가 설치되고,
    베이스하우징의 좌우의 측벽에, 각각 대응하는 리브와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커넥터의 캠면은 상기 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커넥터의 캠면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 리브의 측면은 복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각 끼워맞춤 오목부는 설치면측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와 대응하는 리브가 끼워맞춰졌을 때에, 끼워맞춤 오목부와 리브 사이에 상기 소정의 이탈방향을 향해서 넓어지는 도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커넥터가 베이스커넥터에 연결된 상태에서, 소켓하우징의 일부는 베이스하우징의 측벽에서 전기도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커넥터의 캠면은, 베이스하우징의 좌우의 측벽에 설치되어 베이스커넥터의 컨택트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하우징은, 소켓커넥터를 삽입공간으로 삽입할 때에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 압압면을 갖고, 이 압압면은 소켓커넥터의 컨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11. 설치면상에 고정되는 베이스커넥터의 삽입공간으로부터 설치면과 대략 직교하는 소정의 이탈방향을 따라서 뽑아내어지는 소켓커넥터로서,
    복수의 컨택트를 수용하는 소켓하우징;
    소켓하우징으로부터 설치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도체; 및
    이 전기도체로부터 설치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부여되는 뽑아내는 힘을, 상기 소정의 이탈방향으로의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하우징의 한쌍의 측면에 상기 캠면을 갖는 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측면은 복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커넥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하우징은 해당 소켓커넥터를 삽입공간으로 삽입할 때에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 압압면을 갖고, 이 압압면은 상기 컨택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커넥터.
KR1020027016115A 2000-07-14 2001-07-12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KR100795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4782 2000-07-14
JP2000214782A JP3386783B2 (ja) 2000-07-14 2000-07-14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PCT/JP2001/006034 WO2002007268A1 (fr) 2000-07-14 2001-07-12 Connecteur électrique et connecteur de cul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249A true KR20030014249A (ko) 2003-02-15
KR100795104B1 KR100795104B1 (ko) 2008-01-17

Family

ID=1871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115A KR100795104B1 (ko) 2000-07-14 2001-07-12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08345B2 (ko)
EP (1) EP1313176B1 (ko)
JP (1) JP3386783B2 (ko)
KR (1) KR100795104B1 (ko)
CN (1) CN1187869C (ko)
DE (1) DE60124733T2 (ko)
TW (1) TW546867B (ko)
WO (1) WO2002007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4741B2 (ja)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602050B2 (ja) * 2003-11-07 2010-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5158730A (ja) * 2003-11-07 2005-06-16 Jst Mfg Co Ltd ソケットコネクタ
TW200520319A (en) * 2003-11-07 2005-06-16 J S T Mfg Co Ltd Multi-connection type header connector, vertically stacked type socket connector to be connected thereto, and laterally laid type socket connector
TW200527766A (en) 2003-11-07 2005-08-16 J S T Mfg Co Ltd Socket connector
JP2005196975A (ja) * 2003-12-26 2005-07-21 Jst Mfg Co Ltd コネクタ
ATE389960T1 (de) * 2004-06-30 2008-04-15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Verbinder für elektronische bauteile
JP4117888B2 (ja) * 2004-10-27 2008-07-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115983B2 (ja) 2004-11-01 2008-07-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ブレードコンタクト
JP4020907B2 (ja) 2004-11-01 2007-12-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4328709B2 (ja) 2004-11-01 2009-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303401B2 (en) * 2005-06-23 2007-12-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header connector capable of direct and indirect mounting
JP4605785B2 (ja) * 2005-11-30 2011-0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471390B2 (ja) * 2007-05-25 2010-06-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に嵌合接続される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425316B2 (ja) * 2007-06-29 2010-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488372B2 (ja) * 2007-08-03 2010-06-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9059481A (ja) * 2007-08-29 2009-03-19 Jst Mfg Co Ltd 平形柔軟ケーブルの傾斜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2010010024A (ja) * 2008-06-30 2010-01-14 Hirose Electric Co Ltd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5248398B2 (ja) * 2009-04-07 2013-07-3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72174B2 (ja) 2009-04-16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247904B2 (ja) * 2009-04-16 2013-07-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CN201966384U (zh) * 2010-11-16 2011-09-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3515758B (zh) * 2012-06-21 2016-03-09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JP6309780B2 (ja) * 2013-03-29 2018-04-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のソケットハウジング
DE102013208696A1 (de) * 2013-05-13 2014-11-1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Aktuator und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CN103500900B (zh) * 2013-10-18 2015-10-07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扣合式电连接器组合
US9942999B2 (en) 2014-07-01 2018-04-1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holding member
US9337573B2 (en) * 2014-07-01 2016-05-10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JP7042711B2 (ja)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706302B2 (ja) * 2018-10-01 2020-06-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WO2020214856A1 (en) 2019-04-17 2020-10-22 Bard Access Systems, Inc. Catheter securement device including extended anchor pad and release liner clasping features
WO2021001688A1 (en) 2019-07-01 2021-01-07 Amphenol Fci Asia Pte. Ltd.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JP2021132001A (ja) * 2020-02-21 2021-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DE102020202352A1 (de) * 2020-02-24 2021-08-2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Winkelsteckverbindung, elektrischer Stecker für eine solche Winkelsteckverbindung und elektrisch beheizter Scheibenwischer mit einer solchen Winkelsteckverbindung
CN117293575A (zh) * 2020-03-26 2023-12-2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5444A (en) * 1960-05-23 1962-11-20 Thomas & Betts Corp Terminal connector
JPS402941B1 (ko) * 1963-03-23 1965-02-16
US4289366A (en) * 1979-09-18 1981-09-15 Marks Dale H Bisexual electrical connector
JPS5919630B2 (ja) 1981-10-02 1984-05-08 東洋端子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用小型コネクタ
JPS60109187A (ja) * 1983-11-11 1985-06-14 アムプ 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S63218174A (ja) * 1987-03-07 1988-09-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回転挿抜コネクタ
US5061197A (en) * 1989-05-19 1991-10-29 Yazaki Corporation Multi-terminal electric connector requiring low insertion and removal force
JPH0629014U (ja) * 1992-09-07 1994-04-15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接続装置
JP2974098B2 (ja) * 1992-11-25 1999-11-08 矢崎総業株式会社 面接触型コネクタ
FR2737348B1 (fr) * 1995-07-26 1997-09-26 Clearplas France Procede pour monter en position enfichee les elements male et femelle d'un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et suppor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0125666Y1 (ko) * 1995-07-26 1998-09-15 김태구 터미널의 탈거가 용이한 커넥터
DE29513172U1 (de) * 1995-08-16 1995-10-12 Siemens Ag Steckverbindergehäuse
JP3296707B2 (ja) * 1995-12-22 2002-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抜け止め具付きコネクタ
JP2001257040A (ja) * 2000-03-14 2001-09-2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電装部品及び自動車用内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02265A1 (en) 2004-01-01
KR100795104B1 (ko) 2008-01-17
TW546867B (en) 2003-08-11
JP2002033150A (ja) 2002-01-31
JP3386783B2 (ja) 2003-03-17
US6908345B2 (en) 2005-06-21
WO2002007268A1 (fr) 2002-01-24
EP1313176B1 (en) 2006-11-22
CN1440577A (zh) 2003-09-03
DE60124733D1 (de) 2007-01-04
EP1313176A4 (en) 2005-08-17
DE60124733T2 (de) 2007-09-13
EP1313176A1 (en) 2003-05-21
CN1187869C (zh)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104B1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KR100504057B1 (ko)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7140896B2 (en) Connector
US711842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061375B (zh) 连接器、对接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US11158967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disengageable by an operation portion
KR20060048048A (ko) 커넥터의 피팅부에 탄성 가동부가 있는 셀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EP1188193A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100292632B1 (ko) 편평가요성회로용전기커넥터시스템
JP2006164943A (ja) 電気コネクタ
KR20190061351A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1166230B1 (ko) 커넥터
US7559792B2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CN103081238A (zh) 用于平板状电缆的连接器
US70776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lider member
KR101300008B1 (ko) 커넥터
US6146172A (en) Electrical connector
US69358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160029431A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KR2013008000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