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431A -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431A
KR20160029431A KR1020140118955A KR20140118955A KR20160029431A KR 20160029431 A KR20160029431 A KR 20160029431A KR 1020140118955 A KR1020140118955 A KR 1020140118955A KR 20140118955 A KR20140118955 A KR 20140118955A KR 20160029431 A KR20160029431 A KR 20160029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unlocking
termina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330B1 (ko
Inventor
진장범
신지수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4011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330B1/ko
Priority to PCT/US2015/048579 priority patent/WO2016037076A1/en
Priority to CN201580045109.XA priority patent/CN106797079B/zh
Publication of KR2016002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됨과 동시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단자의 형상이 변경된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는, PCB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링부, 및 커버링부의 양측으로부터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부에 와이어가 억지 끼움되면서 록킹 접속되는 록킹 접속부를 갖는 단자; 및 단자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포크인 커넥터에 있어서, 각 록킹 접속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단으로 가면서 간격이 벌어져 그 사이로 록킹 해제 툴이 삽입되고, 마주보는 면에 록킹 해제 툴의 안정적 삽입을 가이드하는 곡면 형태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POKE-IN CONNECTOR WITH IMPROVED SEPARATIOM PERFORMANCE OF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됨과 동시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단자의 형상이 변경된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들은 와이어가 연결되는 단자가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솔더링되며 절연 하우징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 중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되고 단자와 접속되는 형태가 포크인 커넥터이다.
종래 포크인 커넥터의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0922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저 프로파일 표면 실장 포크인 커넥터’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 와이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송곳 등과 같이 날카로운 도구를 하우징 상면에 형성된 홀로 집어넣은 후 와이어를 압착하고 있는 단자를 눌러 압착력을 해제하게 된다.
선행문헌과 같이 송곳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해 와이어를 압착하고 있는 단자의 압착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구의 단부가 압착부분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압착부분의 압착력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경우 도구의 단부를 압착부분으로 가이드해주는 별도의 가이드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구의 단부가 단자의 압착부분에 용이하게 접촉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와이어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0922호(2011.07.20.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90960호(2014.05.02.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록킹 해제 툴의 단부가 단자의 와이어 록킹부분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와이어를 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는, PCB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링부, 및 상기 커버링부의 양측으로부터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부에 와이어가 억지 끼움되면서 록킹 접속되는 록킹 접속부를 갖는 단자; 및 단자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포크인 커넥터에 있어서,
각 록킹 접속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단으로 가면서 간격이 벌어져 그 사이로 록킹 해제 툴이 삽입되고, 마주보는 면에 록킹 해제 툴의 안정적 삽입을 가이드하는 곡면 형태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면은 위에서 보았을 때 록킹 해제 툴을 좌우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록킹 해제 툴이 가이드면을 따라 가이드된 후 그 아래부분으로 원활하게 하강하여 록킹 접속부를 용이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가이드면과 그 아래에 위치되는 부분과의 경계부분은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록킹 해제 툴은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거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록킹 해제 툴은 하우징의 상면에 레버 형태로 형성된 록킹 해제 레버이며, 록킹 해제 레버는,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신축성을 위해 벤딩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연장부;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 좌우폭에 비해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며, 누를 때 록킹 해제부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 해제부를 양쪽으로 벌려주는 가압부; 및 가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좌우폭이 가압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누를 때 단자의 록킹 접속부 상단에 걸려 추가적인 하강이 제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 가압부 및 스토퍼부는 좌우폭 차이로 인해 위에서 보았을 때 가압부의 양쪽으로 홈이 형성된 ‘H’자 형태로 형성되고, 가압부가 록킹 해제부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록킹 해제부가 홈에 삽입되어 가압부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며, 스토퍼부가 록킹 접속부의 상단에 걸려 정지될 때 스토퍼부의 하단 위치가 록킹 해제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을 포함한 조립품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는, 솔더링부의 전단부 양측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전면부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쐐기 형태로 형성된 쐐기 결합부; 커버링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배면부 결합을 가이드하는 배면 가이드부; 배면 가이드부의 후단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배면부를 록킹시키는 후단 걸림돌부; 및 커버링부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면부를 록킹시키는 측면 걸림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록킹 해제부의 마주보는 면에 록킹 해제 툴의 안정적 삽입을 가이드하는 곡면 형태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구성함으로써, 록킹 해제 툴이 가이드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록킹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단자에 형성되는 쐐기 결합부, 배면 가이드부, 후단 걸림돌부, 및 측면 걸림돌부로 인해 하우징이 단자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셋째, 하우징의 상면에 록킹 해제 툴로서 록킹 해제 레버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 가압부 및 스토퍼부 사이의 좌우폭 차이로 인해 위에서 보았을 때 가압부의 양쪽으로 홈이 형성되고, 가압부가 록킹 해제부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록킹 해제부가 홈에 삽입되어 가압부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며, 스토퍼부가 록킹 접속부의 상단에 걸려 정지될 때 스토퍼부의 하단 위치가 록킹 해제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에 와이어를 끼워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포크인 커넥터로부터 와이어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단자에 와이어가 록킹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에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와이어 록킹 해제를 위해 록킹 해제 툴로 단자를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록킹 해제 툴로 인해 단자의 록킹 접속부가 벌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평면도.
도 11은 록킹 해제 레버를 누를 때 록킹 해제부가 양쪽으로 벌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록킹 해제 레버의 스토퍼부가 스토퍼면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에 와이어를 끼워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포크인 커넥터로부터 와이어를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1)는 PCB(2)의 상면에 실장되며, 배면부를 통해 와이어(3)가 끼워지고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포크인 커넥터(1)의 내부에는 와이어(3)와 PCB(2)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단자(미도시)가 내장된다.
포크인 커넥터(1)의 배면에는 와이어(3)가 삽입되는 후술할 와이어 삽입홀(210)이 형성되며, 포크인 커넥터(1)의 상면에는 와이어(3) 분리시 록킹 해제 툴(4)을 이용해 와이어(3)의 록킹을 해제시킬 때 록킹 해제 툴(4)이 삽입되는 후술할 툴 삽입홀(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1)에 따르면, 피복이 벗겨진 와이어(3)의 단부를 와이어 삽입홀(210)을 통해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와이어(3)는 단자에 록킹 및 접속되고, 록킹 해제 툴(4)을 툴 삽입홀(220)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와이어(3)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와이어(3)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3은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1)는, PCB(2)에 실장되어 와이어(3)와 PCB(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100)와, 단자(100)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단자(100)는 PCB(2)의 접점에 솔더링되며, 하우징(200)은 비도전성 재질로 제작되어 단자(100)를 커버하면서 단자(100)에 견고히 결합된다.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단자(100)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수용공간이 하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도 4는 단자에 와이어가 록킹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에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하우징(200)의 배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홀(210)의 내측 상부에는 하우징(200)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3)가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면(211)이 와이어(3)의 삽입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하우징(200) 내로 록킹 해제 툴(4)을 삽입하기 위한 툴 삽입홀(220)이 형성된다. 툴 삽입홀(220)의 입구에는 경사진 툴 가이드면(221)이 형성된다.
와이어(3)는 단부가 하우징(200)의 전면부 내면에 접촉되어 추가적인 삽입이 제한될 때까지 삽입이 이루어진다. 하우징(200)의 내측면 중 와이어(3)의 단부가 위치되는 전면부의 양측면에는 단자(100)의 후술할 쐐기 결합부(160)가 억지 끼움되는 쐐기 결합부 끼움홈(230)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내측면 중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배면부 양측면에는 단자(100)의 후술할 측면 걸림돌부(190)에 걸리는 측면 걸림턱(240)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내측면 중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배면부의 후면에는 단자(100)의 후술할 후단 걸림돌부(180)에 걸리는 후단 걸림턱(250)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200)의 내측면 중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배면부의 상면에는 단자(100)의 후술할 배면 가이드부(17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 삽입홈(260)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는 단자(100)의 후술할 록킹 해제부(140)가 삽입되는 록킹 해제부 삽입홈(270)과 커버링부(120)의 상부가 삽입되는 커버링부 삽입홈(280)이 각각 형성된다. 록킹 해제부 삽입홈(270)은 툴 삽입홀(220)의 아래쪽에 연결 형성된다.
단자(100)는 솔더링부(110), 커버링부(120), 록킹 접속부(130), 및 록킹 해제부(140)를 포함한다.
솔더링부(110)는 PCB(2)의 상면에 솔더링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PCB(2)의 접점과 솔더링된다. 와이어(3)의 삽입시 와이어(3)의 단부와 솔더링부(110)는 상하로 이격된다. 따라서, 와이어(3)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빼낼 때 와이어(3)의 단부가 솔더링부(110)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와이어(3)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커버링부(120)는 솔더링부(110) 중 와이어(3)가 삽입되는 후단부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와이어(3)를 감싼다. 이러한 커버링부(120)는 솔더링부(11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분(121)과, 수직 연장부분(121)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분(122)으로 구성된다. 수평 연장부분(122)은 와이어(3)가 하향 경사지게 삽입되는 것을 고려하여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어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 커버링부 삽입홈(280)도 내측 상면이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록킹 접속부(130)는 와이어(3)의 록킹 및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커버링부(120)의 각 수직 연장부분(121)으로부터 와이어(3)가 삽입되는 방향 즉, 솔더링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단부 사이로 와이어(3)가 억지 끼움되면서 록킹된다.
커버링부(120)의 수직 연장부분(121)과 록킹 접속부(130)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절곡부분에는 절곡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비드(15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록킹 해제부(140)는 록킹 접속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간격이 벌어져 그 사이로 록킹 해제 툴(4)이 삽입되고, 마주보는 면에는 록킹 해제 툴(4)의 안정적 삽입을 가이드하는 곡면 형태로 경사진 경사 가이드면(141)이 형성된다. 록킹 해제 툴(4)은 단부가 원형 단면을 가지며, 록킹 해제부(140)의 경사 가이드면(141)은 위에서 보았을 때 록킹 해제 툴(4)의 단부를 좌우 양쪽에서 접촉하면서 감싸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록킹 해제 툴(4)과 경사 가이드면(141)은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 가이드면(141)의 곡면구조로 인해 록킹 해제 툴(4)은 경사 가이드면(141) 사이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면서 경사 가이드면(141)을 양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벌려준다. 경사 가이드면(141)이 벌어지면 록킹 접속부(130)도 동시에 벌어지게 되고 와이어(3)의 록킹이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한편, 록킹 해제 툴(4)이 경사 가이드면(141)을 따라 가이드된 후 그 아래부분으로 원활하게 하강하여 록킹 접속부(130)를 용이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경사 가이드면(141)과 그 아래에 위치되는 부분과의 경계부분은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솔더링부(110)의 전단부 양측에는 하우징(200)의 전면부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쐐기 형태의 쐐기 결합부(160)가 각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쐐기 결합부(160)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된 쐐기 결합부 끼움홈(230)에 각각 억지 끼움됨으로써, 하우징(200)의 전면부를 단자(100)에 견고하게 결합해준다.
커버링부(120)를 구성하는 수직 연장부분(121)의 후단에는 하우징(200)의 배면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배면 가이드부(170)가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배면 가이드부(170)의 후단에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된 후단 걸림턱(250)이 걸려 하우징(200)의 배면부를 록킹시키는 후단 걸림돌부(180)가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수직 연장부분(121)의 측면에는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된 측면 걸림턱(240)이 걸려 하우징(200)의 측면부를 록킹시키는 측면 걸림돌부(190)가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면 걸림돌부(190)는 수직 연장부분(121)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측으로 벤딩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7은 와이어 록킹 해제를 위해 록킹 해제 툴로 단자를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록킹 해제 툴로 인해 단자의 록킹 접속부가 벌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와이어(3)를 포크인 커넥터(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록킹 해제 툴(4)을 하우징(200)의 툴 삽입홀(220)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하면, 록킹 해제 툴(4)의 단부가 두 록킹 해제부(140)의 경사 가이드면(141) 사이로 삽입되면서 두 록킹 해제부(140)를 양쪽으로 벌려주게 된다.
록킹 해제부(140)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록킹 접속부(130)도 함께 양쪽으로 벌어짐에 따라 와이어(3)의 록킹 상태가 자동 해제되며, 와이어(3)을 잡아당김으로써, 와이어(3)가 포크인 커넥터(1)로부터 분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1)는, 단자(300)와, 록킹 해제 툴로서의 기능을 하는 록킹 해제 레버(410)를 갖는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단자(300)는, 솔더링부(310), 커버링부(320), 록킹 접속부(330) 및 록킹 해제부(340)를 포함한다. 록킹 해제부(340)는 록킹 접속부(33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록킹 해제 레버(410)를 누를 때 록킹 해제 레버(410)의 일부가 그 사이로 삽입되면서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록킹 해제부(14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라운딩되게 벤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록킹 해제부(340)는 록킹 접속부(33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하우징(400)은 단자(300)를 커버하면서 단자(300)에 견고히 결합되며, 상면에 록킹 해제 레버(41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400)의 상면에는 록킹 해제 레버(410)가 상하로 작동될 수 있도록 레버 작동홀(420)이 형성된다.
록킹 해제 레버(410)는, 하우징(40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자체 신축성을 보유하기 위해 벤딩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연장부(411), 플렉시블 연장부(4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플렉시블 연장부(411)의 단부 좌우폭에 비해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며 누를 때 록킹 해제부(340)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 해제부(340)를 양쪽으로 벌려주는 가압부(412), 및 가압부(41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좌우폭이 가압부(412)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누를 때 단자(300)의 록킹 접속부(330) 상단에 걸려 추가적인 하강이 제한되는 스토퍼부(413)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연장부(411)의 단부, 가압부(412) 및 스토퍼부(413)는 좌우폭 차이로 인해 위에서 보았을 때 가압부(412)의 양쪽으로 홈이 형성된 ‘H’자 형태로 형성되고, 가압부(412)가 록킹 해제부(340)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록킹 해제부(340)가 홈에 삽입되어 가압부(412)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며, 스토퍼부(413)가 록킹 접속부(330)의 상단에 걸려 정지될 때 스토퍼부(413)의 하단 위치가 록킹 해제부(340)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400)을 포함한 조립품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록킹 해제 레버를 누를 때 록킹 해제부가 양쪽으로 벌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록킹 해제 레버의 스토퍼부가 스토퍼면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자(300)를 구성하는 록킹 해제부(340)는 상면이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두 록킹 해제부(34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상면이 라운딩된 두 록킹 해제부(340)의 형상으로 인해 록킹 해제 레버(410)를 누를 때 가압부(412)가 록킹 해제부(340)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부(413)는 단자(300)를 구성하는 록킹 접속부(330)의 상단에서 록킹 해제부(340)의 뒷쪽에 걸려 추가적인 하강이 방지된다. 스토퍼부(413)가 록킹 접속부(330)의 상단에 걸릴 때까지 록킹 해제 레버(410)를 누르면, 록킹 해제부(340)가 가압부(412)에 의해 벌어지면서 와이어(3)의 록킹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1 : 포크인 커넥터 2 : PCB
3 : 와이어 4 : 록킹 해제 툴
100 : 단자 110 : 솔더링부
120 : 커버링부 121 : 수직 연장부분
122 : 수평 연장부분 130 : 록킹 접속부
140 : 록킹 해제부 141 : 경사 가이드면
150 : 비드 160 : 쐐기 결합부
170 : 배면 가이드부 180 : 후단 걸림돌부
190 : 측면 걸림돌부 200 : 하우징
210 : 와이어 삽입홀 211 : 와이어 가이드면
220 : 툴 삽입홀 221 : 툴 가이드면
230 : 쐐기 결합부 끼움홈 240 : 측면 걸림턱
250 : 후단 걸림턱 260 : 가이드부 삽입홈
270 : 록킹 해제부 삽입홈 280 : 커버링부 삽입홈
300 : 단자 310 : 솔더링부
320 : 커버링부 330 : 록킹 접속부
340 : 록킹 해제부 400 : 하우징
410 : 록킹 해제 레버 411 : 플렉시블 연장부
412 : 가압부 413 : 스토퍼부
420 : 레버 작동홀

Claims (6)

  1. PCB에 솔더링되는 솔더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링부, 및 상기 커버링부의 양측으로부터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각 길게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단부에 와이어가 억지 끼움되면서 록킹 접속되는 록킹 접속부를 갖는 단자; 및 상기 단자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포크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 록킹 접속부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단으로 가면서 간격이 벌어져 그 사이로 록킹 해제 툴이 삽입되고, 마주보는 면에 록킹 해제 툴의 안정적 삽입을 가이드하는 곡면 형태로 경사진 가이드면을 갖는 록킹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은 위에서 보았을 때 록킹 해제 툴을 좌우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툴이 가이드면을 따라 가이드된 후 그 아래부분으로 원활하게 하강하여 록킹 접속부를 용이하게 벌려줄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면과 그 아래에 위치되는 부분과의 경계부분은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툴은 상기 하우징과 별도로 형성되거나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 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레버 형태로 형성된 록킹 해제 레버이며,
    록킹 해제 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신축성을 위해 벤딩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연장부;
    상기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 좌우폭에 비해 좌우폭이 좁게 형성되며, 누를 때 록킹 해제부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 해제부를 양쪽으로 벌려주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좌우폭이 가압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누를 때 단자의 록킹 접속부 상단에 걸려 추가적인 하강이 제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연장부의 단부, 가압부 및 스토퍼부는 좌우폭 차이로 인해 위에서 보았을 때 가압부의 양쪽으로 홈이 형성된 ‘H’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가 록킹 해제부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록킹 해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가압부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며, 상기 스토퍼부가 록킹 접속부의 상단에 걸려 정지될 때 스토퍼부의 하단 위치가 록킹 해제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을 포함한 조립품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솔더링부의 전단부 양측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전면부와의 결합을 가이드하면서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쐐기 형태로 형성된 쐐기 결합부;
    커버링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의 배면부 결합을 가이드하는 배면 가이드부;
    배면 가이드부의 후단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배면부를 록킹시키는 후단 걸림돌부; 및
    커버링부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면부를 록킹시키는 측면 걸림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1020140118955A 2014-09-05 2014-09-05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10161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55A KR101617330B1 (ko) 2014-09-05 2014-09-05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PCT/US2015/048579 WO2016037076A1 (en) 2014-09-05 2015-09-04 Poke-in connector with improved wire separation performance
CN201580045109.XA CN106797079B (zh) 2014-09-05 2015-09-04 具有改进导线分离性能的插入式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955A KR101617330B1 (ko) 2014-09-05 2014-09-05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31A true KR20160029431A (ko) 2016-03-15
KR101617330B1 KR101617330B1 (ko) 2016-05-02

Family

ID=5544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955A KR101617330B1 (ko) 2014-09-05 2014-09-05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17330B1 (ko)
CN (1) CN106797079B (ko)
WO (1) WO20160370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81A (ko) * 2018-08-30 2020-03-1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포크인 커넥터
US10594052B2 (en) 2017-11-07 2020-03-17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MT box receptacle with release lev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904B1 (en) * 1998-01-16 2001-06-1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attaching conductors to speaker leads
DE20013652U1 (de) * 2000-08-09 2001-12-13 Adels Kg Elektrische Klemmeneinrichtung
DE102010014143B4 (de) * 2010-04-07 2016-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S8968022B2 (en) * 2013-02-25 2015-03-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4052B2 (en) 2017-11-07 2020-03-17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MT box receptacle with release levers
KR20200025281A (ko) * 2018-08-30 2020-03-1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포크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330B1 (ko) 2016-05-02
CN106797079B (zh) 2019-03-05
CN106797079A (zh) 2017-05-31
WO2016037076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3452B (zh) 软扁平电缆电连接器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EP2434581B1 (en) Electrical connector
TWI424631B (zh) 電線對基板用連接器
KR101406883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7651375B2 (en) Cable assembly having outer cover robustly supported
US8475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878843B2 (en) Cable assembly having hold-down arrangement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KR20030014249A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10034076A1 (en) Electric connector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110103901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621311B1 (ko) 전기 커넥터
KR20070032896A (ko) 전선 접속용 커넥터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JP568805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20060124564A (ko) 암형단자 및 암형단자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
KR101408440B1 (ko) 분리 방지 커넥터
KR101978927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1978925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0677181B1 (ko) 플러그 커넥터
KR101978926B1 (ko) 포크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