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311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311B1
KR101621311B1 KR1020130088375A KR20130088375A KR101621311B1 KR 101621311 B1 KR101621311 B1 KR 101621311B1 KR 1020130088375 A KR1020130088375 A KR 1020130088375A KR 20130088375 A KR20130088375 A KR 20130088375A KR 101621311 B1 KR101621311 B1 KR 10162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cable
convex portion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189A (ko
Inventor
이쿠오 덴포우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해제되기 어렵고, 타측(他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동일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원활하게 해제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직 방향에 있어서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조(組)로 이루어진다. 각 커넥터의 횡측(橫側)면으로서 타측과 일측의 중간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로크하는 제1 로크부와 제2 로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로크부에는 오목부가, 제2 로크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시에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진다. 로크 후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그들 일부에 있어서 충돌하여 해제하는 힘에 대하여 항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볼록부와 오목부의 타측에 있어서의 항력이, 일측에 있어서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의 조(組)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다시 말하면, 그들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로크(lock)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자 기기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전자 부품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 부품의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의 취급도 곤란해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세선(細線) 동축 케이블 커넥터가 있다.
도 12에,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38687호에 개시된 종래의 세선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일 예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이 커넥터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커넥터(120)(도 12의 (a))와 리셉터클 커넥터(110)(도 12의 (b))의 조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시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재(extending)하는 플러그 커넥터(120)의 저면(底面)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상면이, 서로 맞대게 된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기판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120)는, 이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120)와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모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2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세선 동축 케이블(SC)의 일단(一端)이 복수 정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20)의 길이 방향 양단(兩端)부의 횡측면 외벽에는, 도전성 셸(122)을 이용하여 로크 구멍부(122g)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내벽에는, 도전성 셸(112)을 이용하여 로크 돌기부(112g, 112h)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20)와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끼워맞춤시에는, 플러그 커넥터(120)의 로크 구멍부(122g)에,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로크 돌기부(112g, 112h)가 인입하여, 이 걸어맞춤 관계에 의해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38687호
예를 들면,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120)와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로크를 해제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가능한 한 원활하게 로크가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도하지 않고, 사고적으로, 로크가 해제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특히, 세선 동축 케이블 커넥터와 같은 소형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120)에 부착된 케이블을 실수로 손가락에 걸어, 상방으로 들어올려 버림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로크가 해제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가능한 한 로크는 해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들 모순되는 2가지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를 의도적으로 해제할 때, 다시 말하면, 케이블이 부착된 후측과는 반대측의 전측(前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원활하게 해제되고, 그 한편으로, 예를 들면, 케이블에 손가락을 걸어 실수로 로크를 해제할 것 같이 되었을 때, 바꾸어 말하면, 케이블이 부착된 후측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가 해제되기 어려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저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커넥터의 상면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맞댐으로써 끼워맞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는 케이블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他側)과의 사이의 횡측면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로크하는 제1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에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과의 사이의 횡측면으로서 상기 제1 로크부의 대응 위치에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로크부와 로크되는 제2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로크부와 상기 제2 로크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볼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로크부와 상기 제2 로크부의 다른 한쪽에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로크된 후에 그들의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그들의 일부에 있어서 서로 충돌하여 상기 해제하는 힘에 대하여 항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타측에 있어서의 항력이,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이용하는 제2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에 있어서 제1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원활하게 해제되고, 반대로,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에 있어서 제1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가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충돌 부분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상기 볼록부의 돌출의 하변부 주변이라도 좋고, 상기의 항력은, 당해 돌출의 하변부의 모서리부를, 상기 타측에서는 모따기하고, 상기 일측에서는 모따기하지 않음으로써 발생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의 항력을, 상기 오목부의 충돌 부분의 상기 타측에만, 상기 볼록부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발생시켜도 좋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충돌 부분에, 상기 볼록부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타측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경사각을,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발생시켜도 좋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떼어놓아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떼어놓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떼어놓기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로크의 해제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떼어놓기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타측의 측면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복수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로크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외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로크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내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커넥터는, 적어도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그 전체가 제2 커넥터의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게 되고, 따라서,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부착할 때에, 제1 커넥터에 대한 제2 커넥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잘못된 방향으로 끼워맞춤시킴으로써 그들 단자 등을 좌굴(buckling)시켜 버리는 바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벽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이,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외벽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는, 그들의 거리가 상기 개구부의 입구에 접근함에 따라 커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에 있어서 제1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원활하게 해제되고, 반대로,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에 있어서 제1 커넥터에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해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테이퍼는, 상기 돌출부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로크부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에는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로크부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제1 셸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제2 셸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는 원활하게 해제되고, 반대로, 케이블이 부착된 일측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에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로크가 해제되기 어려운,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와 기판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케이블측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판측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로크편(片)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케이블측 커넥터의 변형예이다.
도 12는 종래의 세선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끼워맞춤 가능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 도 2는, 그들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끼워맞춤시에는, 수평 방향(도 1의 「Y」방향)으로 연재하는 케이블측 커넥터(110)의 저면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상면이, 서로 맞대게 된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는 모두,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가 끼워맞춤되었을 때,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적어도 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그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내부로 완전히 수용된다. 이 경우,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를 끼워맞춤시킬 때에, 기판측 커넥터(300)에 대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을 잘못된 방향으로 끼워맞춤시켜 단자를 좌굴시켜 버리는 바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측 커넥터가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의 전체를 수용하는 실시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후측(도 1의 「Y2」측)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케이블(4)의 일단이 정렬 지지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이들 복수의 케이블(4)의 일단을 유지한 상태로,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된 기판측 커넥터(300)에 수직 방향(도 1의 「Z」방향)으로 끼워맞춤된다. 기판측 커넥터(300)는, 기판 접속부(314)나 단자(350)를 배선 기판에 납땜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를 끼워맞춤시킨 후라도,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떼어놓아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떼어놓기 부재로서의 풀탭(pull tap;8)을 형성해도 좋다. 풀탭(8)을 형성한 경우에는, 풀탭(8)을 상방(도 1의 「Z1」방향)으로 당겨올리는 것만으로,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풀탭(8)은, 예를 들면, 도시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으로서,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측(도 1의 「Y1」측)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단,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케이블측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좌우측, 혹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측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풀탭(8)은, 예를 들면, 셀로판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PS, 실, 끈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 형상은, 테이프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끈 형상 등 그 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풀탭(8)을 이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15)나 볼록부(29a)에 손가락을 걸음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낼 수도 있다.
도 3에, 도 2의 A-A선 단면도, 즉,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각각의 중심선 단면을 나타낸다.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하우징(20)과, 당해 하우징(20)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단자(21), 당해 하우징(20)의 상측을 덮는 상(上)셸(10) 및, 당해 하우징(20)의 하측을 덮는 하(下)셸(30)을 갖는다.
각 단자(21)에는, 그라운드 바(5)를 이용하여 정렬시킨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의 심선(芯線; 4a)이, 땜납(3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4)로서, 동축 케이블이나 통상의 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일 예로서 케이블(4)이 동축(同軸) 케이블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셸(10) 및 하셸(30)은, 예를 들면, 평판 형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리스 등)판을, 금형(金型)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하고, 엠보싱 등을 행함으로써 성형된다. 특히 상셸(10)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측(도 1의 「Z2」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 걸림편(12), 제2 걸림편(13), 추가로, 전측(도 1의 「Y1」측)에 있어서 하측(도 1의 「Z2」측)을 향하여 절곡된 전벽편(14)을 갖는다.
제1 걸림편(12)과 제2 걸림편(13)은, 케이블(4)의 신장 방향(여기에서는 도 1의 「Y」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에 있어서도 서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걸림편(12)은, 신장 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13)에 대하여 케이블(4)의 신장측(여기에서는 도 1의 「Y2」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에 있어서는 제2 걸림편(13)에 대하여 내측(단자(21)측)의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걸림편(12)은, 하셸(30) 및 하우징(20)의 소정의 피(被)걸림부에 대하여 걸리도록 되어 있다. 제2 걸림편(13)에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소정 부분(311)이 끼워맞춰지기 위한 로크구멍(13b)(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벽편(14)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4b, 14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14b)에는, 하우징(20)의 볼록부(29a)가 끼워넣어지고, 이에 따라 상셸(10)과 하우징(20)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통구멍(14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셸(10)과 하우징(20)을 고정한 후에도, 풀탭(8)을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14c')이 확보된다. 유저는, 이 관통구멍(14c')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풀탭(8)을 부착할 수 있다.
기판측 커넥터(300)는, 수지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하우징(330)과, 당해 하우징(33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도 1의 「Z1」측)을 향하여 삽입, 부착되는 단자(350) 및, 당해 하우징(330)을 덮도록 부착되는 금속제의 셸(310)을 갖는다.
단자(350)는, 기판 접속부(351)와, 하우징(330)으로의 삽입부(352), 추가로, U자 형상의 상대 단자와의 접촉부(353, 354)를 포함하고, 기판측 커넥터(300)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끼워맞춤시에, 케이블측 커넥터의 대응 단자(단자(21))와 접촉하여 도통된다. 또한, 이 접촉을 통하여, 케이블(4)은 기판측 커넥터(300)의 각 단자(350)와 도통된다.
기판측 커넥터(300)의 하우징(330)은,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단자(21)와 동일한 간격(피치)으로 단자(350)를 지지한다. 하우징(330)의 상면에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와의 끼워맞춤측으로 개구된 개구부(38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우징(20)의 저면에는, 기판측 커넥터(300)와의 끼워맞춤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가 끼워맞춤했을 때,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에 삽입되고, 또한,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에 형성한 끼워맞춤 볼록부(380)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에 형성한 끼워맞춤 오목부(37)에 끼워진다. 이때, 기판측 커넥터(300)에 형성한 단자(350)의 U자의 접촉부(354와 353)의 극간(358)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형성한 단자(21)가 사이에 끼워져, 복수의 케이블(4)의 각각과 기판 배선의 소정 부분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외측면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소정 부분이 접촉하고, 또한, 기판측 커넥터(300)의 셸(310)의 일부(312)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하셸(30)도 접촉한다. 이들 셸 간의 접촉에 의해, 실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셸(310)은, 예를 들면, 평판 형상(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스테인리스 등)판을, 금형으로 펀칭하고, 그 후, 절곡 등 함으로써 성형된다. 셸(3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내측면에는, 엠보싱에 의해 로크 돌기(311)가, 로크편(locking piece;313)에 의해 길이 방향(도 1의 「X」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태로 형성된다. 기판측 커넥터(300)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끼워맞춤시에는, 로크 돌기(311)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각 외측면에 형성된 로크구멍(13b)에 끼워짐으로써 양 커넥터 간에서의 로크가 실현된다.
도 4에, 도 2의 B-B선 개략 단면도, 다시 말하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에 삽입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가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에 삽입되었을 때,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접촉면 「h」측)과 후측(접촉면 「g」측)의 각각에 있어서, 케이블부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과,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18)의 내벽(340)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촉한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특히 후측의 개구부(381)의 입구 부근에 주목하면, 돌출부(38)의 외벽(18)에는, 테이퍼(33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338)를 형성함으로써, 돌출부(38)의 외벽(18)과 개구부(318)의 내벽(340)과의 사이의 거리 「d」가, 개구부(381)의 입구 부근에 접근함에 따라 커지고 있다. 이러한 테이퍼(338)를 형성함으로써,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탭(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1 등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도 좋음)을 이용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전측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상방(도시 화살표 「e」방향)으로 들어올려,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은 경우, 풀탭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의 중심은 당해 풀탭보다도 후측이 되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과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의 내벽(340)의 접촉면 중, 특히, 후측의 접촉면 「g」에, 전측의 접촉면 「h」보다도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그 후측 「g」에 있어서, 전측 「h」보다도,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도, 후측의 접촉면 「g」에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에 테이퍼(338)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이 테이퍼(338)를 이용하여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약간 기울어지고, 따라서,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비교적 원활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는 설명의 형편상, 효과를 과장하여 기재되어 있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한편,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고, 사고적으로, 케이블(4)을 통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당해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는 방향(도시 화살표 「f」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케이블(4)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의 중심은 당해 케이블(4)보다도 전측이 되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과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의 내벽(340)의 접촉면 중, 특히, 전측의 접촉면 「h」에, 후측의 접촉면 「g」에 비하여, 보다 큰 힘이 가해지게 된다. 즉,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그 전측 「h」에 있어서, 후측 「g」보다도,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내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도, 전측의 접촉면 「h」에 있어서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은,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의 내벽(340)과 그 전(全)범위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는 점에서, 케이블측 커넥터(100)가,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기울어지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퍼를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외벽(18)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기판측 커넥터(300)의 개구부(381)의 내벽(340)에 테이퍼를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변형예도 포함한다.
도 5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측면도, 도 6에, 도 1의 기판측 커넥터(300)의 「C」부분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도, 도 7에, 도 6의 C-C선 단면도, 바꾸어 말하면, 기판측 커넥터(300)만의 단면도를, 추가로, 도 8에, 도 7의 일부 부분(로크편(313))의 확대도를 각각 나타낸다. 분명한 바와 같이, 이들 도 5 내지 도 8은, 끼워맞춤 전의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 각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9, 도 10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9는, 도 2의 D-D선 단면도, 바꾸어 말하면, 도 7에 상당하는 단면도로서, 기판측 커넥터(300)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2의 E-E선 단면도, 바꾸어 말하면, 기판측 커넥터(300)와 케이블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에 있어서의 그들 로크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측과 후측과의 사이, 예를 들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외벽에, 케이블(4)의 신장 방향(도 1의 「Y」방향)을 따라 제2 걸림편(제1 로크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림편(13)의 선단(도 1의 Z2측)에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본체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2)과,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편(313)에 형성한 로크 돌기(311)의 상부 테이퍼(317)와의 접촉을 통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의 소정 위치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사면(22)의 경사의 방향이나 경사각은, 상부 테이퍼(317)의 경사면을 고려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 등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 돌기(311)에는, 이 상부 테이퍼(317)에 더하여, 횡(橫)후측 테이퍼(318), 횡전측 테이퍼(319) 및, 저측 테이퍼(322)가, 로크 돌기(311)의 최돌부(最突部; 3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저측 테이퍼(322)의 하측의 벽(32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시에는 대략 수직의 방향이 된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걸림편(13)의 대략 중앙에 로크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구멍(13b)은, 하우징(20)의 외부를 덮는 상셸(10)에 형성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의 편측을 덮는 하우징(20)을 이용하여,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오목 형상의 형상이 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하우징(20)에 의해 덮는 일 없이, 상셸(10)의 관통구멍만으로 형성해도 좋다. 로크구멍(13b)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횡측면에 있어서, 당해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 즉, 기판측 커넥터(300)가 대응하는 로크 돌기(볼록부)(311)측으로 패인 형상을 갖고 있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시에는, 이 로크구멍(13b)에,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편(313)(제2 로크부)에 형성된 로크 돌기(311)가 끼워지게 된다. 로크 돌기(311)와 로크구멍(13b)의 로크가 원활하게 해제되도록,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특히, 그의 전측 및 후측의 모서리부(17b, 17c) 부근도 포함한, 로크구멍(13b)의 주변 연부(緣部)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의 전영역에 걸쳐, 로크 돌기(311)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28)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모서리부(17b, 17c)의 경사면은, 오목부(13b)의 측벽(27b,27c)측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제2 걸림편(제1 로크부)(13)에 대응하여, 당해 제2 걸림편(13)의 대응 위치, 즉, 기판측 커넥터(3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전측과 후측과의 사이, 예를 들면, 기판측 커넥터(30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내벽에, 케이블(4)의 신장 방향(도 1의 「Y」방향)을 따라 로크편(제2 로크부)(31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시에, 이들 로크편(313)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제2 걸림편(제1 로크부)(13)과 로크된다. 로크편(313)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하우징(330)의 외부를 덮는 셸(310)을 이용하여 볼록 형상의 로크 돌기(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돌기(311)는, 기판측 커넥터(300)의 횡측면에 있어서, 당해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 즉, 케이블측 커넥터(100)가 대응하는 로크구멍(오목부)(13b)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시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로크구멍(13b)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측 커넥터(300)의 하우징(330)에, 개구부(381)를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335, 336, 337)를 형성해도 좋다. 이들 테이퍼(335, 336, 337)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테이퍼(335, 336, 337)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돌출부(38)의 하측에 형성한 안내 돌기(25)와의 접촉을 통하여, 돌출부(38)를 개구부(381)로 유도하도록 하여, 기판측 커넥터(300)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끼워맞춤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9, 도 10 등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판측 커넥터(300)의 볼록부인 로크 돌기(311)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오목부인 로크구멍(13b)에 끼워져 거기에 걸린다. 로크 돌기(311)가 로크구멍(13b)에 걸림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는 서로 로크된다. 로크편(313)은, 상셸(10)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에 의한 스프링성을 갖고 있고,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상시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탄성 작용을 이용하여, 로크편(313)에 형성된 로크 돌기(311)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끼워맞춤시에, 로크구멍(13b)에 짤깍하고 끼워진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는, 로크편(313)의 탄성 작용 등을 이용하여 로크 돌기(311)를 로크구멍(13b)으로부터 제거하지 않는 한 유지된다.
로크 후에,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 로크 돌기(311)의 일부, 즉, 로크구멍(13b)에 끼워진 로크 돌기(311)의 돌출의 하변부(321) 주변, 특히, 그의 양단의 모서리부 부근과, 로크구멍(13b)의 일부, 즉,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주변, 특히, 그의 양단의 모서리부(17b, 17c) 부근이 서로 충돌하고, 이 해제하는 힘에 대하여 항력이 발생한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가 해제되는 경우로서, 주로 2가지의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풀탭을 이용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가 의도적으로 떼어놓아지는 경우, 또 다른 하나는, 도 4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의도하지 않고, 사고적으로, 케이블(4)을 통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가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아져 버리는 경우이다.
당연히, 전자의 경우에는, 보다 원활하게 로크가 해제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로크의 해제가 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로크 돌기(311)와 로크구멍(13b)과의,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에 있어서의 항력이, 그 후측에 있어서의 항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주로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소망하는 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하나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이 구성예에서는, 기판측 커넥터(30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항력을 발생시킨다.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편(313)의 중앙에 형성된 로크 돌기(311)는, 로크편(313)으로부터 부풀어오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로크 돌기(311)는, 적어도 그의 하변부(321)에 있어서, 로크구멍(13b)의 측에 신장 방향을 따라 돌출을 갖는다. 이 돌출은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지만, 모서리부에 대해서는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즉, 수평 방향의 전측의 모서리부(316)에 대해서는,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는 데에 대하여, 후측의 모서리부(329)에 대해서는, 그러한 모따기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로크 돌기(311)는, 모따기 부분(316)에 관하여, 좌우 비대칭의 형상이 되어 있다.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를 해제할 때, 이들 모따기된 모서리부(316)와 모따기되어 있지 않은 모서리부(329)는 모두, 로크구멍(13b)과 충돌하여 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분이 되지만, 모서리부의 돌출의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케이블측 커넥터(100)나 기판측 커넥터(300)의 전측과 후측과의 사이에서 항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탭(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용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그의 전측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상방(도시 화살표 「e」방향)으로 들어올린 경우, 풀탭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의 중심은 당해 풀탭보다도 후측이 되고, 이 결과, 로크 돌기(311)의 하변부(321)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주변의 충돌 부분 중,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16)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전측의 모서리부(17b)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에,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29)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후측의 모서리부(17c) 주변의 충돌 부분 부근보다도 보다 큰 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전측의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16)는 모따기되어 있는 점에서 항력이 경감되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는,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로크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의도하지 않고, 사고적으로, 케이블(4)을 통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당해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는 방향(도시 화살표 「f」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회전의 중심은 당해 케이블(4)보다도 전측이 되고, 이 결과, 로크 돌기(311)의 하변부(321)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주변과의 충돌 부분 중,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29)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후측의 모서리부(17c)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에,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16)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전측의 모서리부(17b)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보다도 보다 큰 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후측의 로크 돌기(311)의 모서리부(329)는 모따기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로크 돌기(311)와 로크구멍(13b)과의 사이의 항력은 비교적 크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이지 않고, 로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소망하는 항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설명한다. 이 구성예에서는,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항력을 발생시킨다. 도 11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케이블측 커넥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에 유사한 도면이지만,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제2 걸림편(13')에 형성한 로크구멍(13b')의 형상이, 도 5에 나타낸 로크구멍(13b)과는 상이하다. 다시 말하면, 도 11의 변형예에서는,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특히, 그의 전측의 모서리부(17b')의 주변 연부에만, 로크 돌기(311)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28')이 형성되고, 이에 대하여, 후측의 모서리부(17c') 주변에는, 그러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탭(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용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그의 전측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상방(도시 화살표 「e」방향)으로 들어올린 경우, 풀탭은 케이블측 커넥터(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회전의 중심은 당해 풀탭보다도 후측이 되고, 이 결과, 로크 돌기(311)의 하변부(321)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주변과의 충돌 부분 중, 로크구멍(13b')의 전측의 모서리부(17b') 주변과 로크 돌기(311)의 전측의 모서리부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에, 로크구멍(13b')의 후측의 모서리부(17c') 주변과 로크 돌기(311)의 후측의 모서리부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보다도 보다 큰 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전측의 로크구멍(13b')의 모서리부(17b')에 대해서는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항력이 경감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측 커넥터(100)와 기판측 커넥터(300)의 로크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해제되게 된다.
한편, 의도하지 않고, 사고적으로, 케이블(4)을 통하여,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당해 케이블측 커넥터(100)를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는 방향(도시 화살표 「f」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회전의 중심은 보다 당해 케이블(4)보다도 전측이 되고, 이 결과, 로크 돌기(311)의 하변부(321) 주변과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7a') 주변과의 충돌 부분 중, 로크구멍(13b')의 후측의 모서리부(17c') 주변과, 로크 돌기(311)의 후측의 모서리부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에, 로크구멍(13b')의 전측의 모서리부(17b') 주변과, 로크 돌기(311)의 전측의 모서리부 주변과의 충돌 부분 부근보다도 보다 큰 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라도, 후측의 로크구멍(13b')의 하변부(19)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로크 돌기(311)와 로크구멍(13b')과의 사이의 항력은 비교적 크고, 이 결과, 케이블측 커넥터(100)는 기판측 커넥터(300)로부터 떼어놓이지 않고, 로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전측의 모서리부(17b')에만 경사면(28')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대신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전측과 후측의 쌍방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전측의 모서리부(17b)의 주변에 있어서의 경사면(28)의 경사각을, 후측의 모서리부(17c)의 주변에 있어서의 경사면(28)의 경사각보다도 작게, 즉, 전측의 경사면을 완만하게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그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위의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측 커넥터(100)에 볼록부(311)를, 기판측 커넥터(300)에 오목부(13b)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반대로, 케이블측 커넥터에 오목부를, 기판측 커넥터에 볼록부를 형성해도 좋다.
100 : 케이블측 커넥터
300 : 기판측 커넥터
4 : 케이블
13 : 제2 걸림편(제1 로크부)
13b : 로크구멍(오목부)
311 : 로크 돌기(볼록부)
313 : 로크편(제2 로크부)
321 : 하변부
19 : 하변부

Claims (12)

  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조(組)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저면(底面)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커넥터의 상면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맞댐으로써 끼워맞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는 케이블의 일단(一端)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他側)과의 사이의 횡측(橫側)면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로크하는 제1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에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과의 사이의 횡측면으로서 상기 제1 로크부의 대응 위치에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로크부와 로크되는 제2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로크부와 상기 제2 로크부의 어느 한쪽에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로크부와 상기 제2 로크부의 다른 한쪽에 상기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로크된 후에 그들의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그들의 일부에 있어서 서로 충돌하여 상기 해제하는 힘에 대하여 항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타측에 있어서의 항력이,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충돌 부분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상기 볼록부의 돌출의 하변부 주변이고, 당해 돌출의 하변부의 모서리부는, 상기 타측에서는 모따기 되고, 상기 일측에서는 모따기 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타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떼어놓아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는 떼어놓기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떼어놓기 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타측의 측면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넥터에 복수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로크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길이 방향 양단(兩端)부의 횡측면 외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제2 로크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횡측면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의 저면(底面)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벽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이,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외벽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는, 그들의 거리가 상기 개구부의 입구에 접근함에 따라 커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는, 상기 돌출부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크부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에는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크부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제1 셸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의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제2 셸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충돌 부분의 상기 타측에만, 상기 볼록부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충돌 부분에, 상기 볼록부 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경사각은,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2. 상대측 커넥터와 조로 하여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는,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저면과 수평 방향으로 연재하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면을 수직 방향으로 서로 맞댐으로써 끼워맞춤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는 케이블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과의 사이의 횡측면에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를 로크하는 상대측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과 타측과의 사이의 횡측면으로서 상기 상대측 로크부의 대응 위치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대측 로크부와 로크되는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의 어느 한쪽의 상기 횡측면에 당해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대측 로크부와 상기 로크부의 다른 한쪽의 상기 횡측면에 당해 횡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가 서로 로크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가 서로 로크된 후에 그들의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했을 때는,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가 그들의 일부에 있어서 서로 충돌하여 상기 해제하는 힘에 대하여 항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충돌 부분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상기 볼록부의 돌출의 하변부 주변이고, 당해 돌출의 하변부의 모서리부는, 상기 타측에서는 모따기되고, 상기 일측에서는 모따기되어 있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타측에 있어서의 항력이, 상기 일측에 있어서의 항력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30088375A 2012-08-08 2013-07-26 전기 커넥터 KR101621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5639 2012-08-08
JP2012175639A JP5786228B2 (ja) 2012-08-08 2012-08-08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89A KR20140020189A (ko) 2014-02-18
KR101621311B1 true KR101621311B1 (ko) 2016-05-16

Family

ID=5005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375A KR101621311B1 (ko) 2012-08-08 2013-07-2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86228B2 (ko)
KR (1) KR101621311B1 (ko)
CN (1) CN103579856B (ko)
TW (1) TWI553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6078B2 (ja) * 2015-02-09 2017-05-31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6483038B2 (ja) * 2016-01-22 2019-03-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と実装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US10170849B2 (en) * 2017-04-07 2019-01-0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JP6857073B2 (ja)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000866B2 (ja) * 2018-01-09 2022-01-19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67066B2 (ja) * 2018-01-09 2022-05-16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58798B2 (ja) 2018-06-05 2020-03-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268A (ja) 2006-08-01 2008-02-21 Hirose Electric Co Ltd 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2076B2 (en) * 2004-08-11 2006-09-26 Hon Hai Precisiion Inc. Co., Ltd.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pulling tab
JP2007115578A (ja) * 2005-10-21 2007-05-1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60037B2 (ja) * 2008-11-28 2014-04-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
TWM372566U (en) * 2009-05-12 2010-01-1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Electrical connector
JP5385022B2 (ja) * 2009-06-16 2014-01-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
TWM374177U (en) * 2009-07-03 2010-02-11 Tyco Holdings Holdings Bermuda No 7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901944B2 (ja) * 2009-12-03 2012-03-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94053B2 (ja) * 2010-10-22 2014-09-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5785451B2 (ja) * 2011-07-01 2015-09-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268A (ja) 2006-08-01 2008-02-21 Hirose Electric Co Ltd 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5851A (ja) 2014-02-24
CN103579856B (zh) 2016-04-13
JP5786228B2 (ja) 2015-09-30
KR20140020189A (ko) 2014-02-18
TW201414102A (zh) 2014-04-01
TWI553973B (zh) 2016-10-11
CN103579856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11B1 (ko) 전기 커넥터
TWI408853B (zh) 基板對基板連接器
JP5943774B2 (ja) コネクタ
US71349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function latching member
KR200438440Y1 (ko) 정합 보호 및 정렬 수단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
US8876543B2 (en) Connector
US20110306229A1 (en) Connector assembly
KR101385184B1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11450988B2 (en) Strap connector with strap unlocking device
CN210156592U (zh) 第一连接器、第二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18120686A (ja) コネクタ
CN111247701B (zh) 电连接器
JP2012049015A (ja) 電気コネクタ
US9331428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US7156685B2 (en) Connector
US115090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54785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30131430A (ko) 커넥터
JP2012049014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08440B1 (ko) 분리 방지 커넥터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101300008B1 (ko) 커넥터
JP5785451B2 (ja) コネクタ
TWM594286U (zh) 電連接裝置
JP2005158728A (ja) マルチ接続形ヘッダーコネクタ並びにこれに接続する縦積形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横置形ソケッ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