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927B1 - 포크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포크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927B1
KR101978927B1 KR1020130039941A KR20130039941A KR101978927B1 KR 101978927 B1 KR101978927 B1 KR 101978927B1 KR 1020130039941 A KR1020130039941 A KR 1020130039941A KR 20130039941 A KR20130039941 A KR 20130039941A KR 101978927 B1 KR101978927 B1 KR 10197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wire
terminal
housing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905A (ko
Inventor
주성혁
진장범
유인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3003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9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됨과 동시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록킹과 분해가 용이한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는, 와이어가 끼워져 록킹되면서 접속되는 록킹부를 갖는 단자; 단자를 커버링하는 하우징; 및 단자에 형성되어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크인 커넥터{POKE IN CONNECTOR}
본 발명은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됨과 동시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진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록킹과 분해가 용이한 포크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들은 와이어가 연결되는 단자가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솔더링되며 절연 하우징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 중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단자에 록킹되고 단자와 접속되는 형태가 포크인 커넥터이다.
종래 포크인 커넥터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779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에 ‘저 프로파일 표면 실장 포크인 커넥터’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2785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는 ‘전기 접속 단자용 작동 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기는 용이하지만 단자로부터 분리하는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즉, 와이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송곳 등과 같이 날카로운 도구를 하우징 상면에 형성된 홀로 집어넣은 후 와이어를 압착하고 있는 단자를 눌러 압착력을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구조상 송곳 등으로 단자를 누르기도 쉽지 않다.
선행문헌2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 와이어를 단자에 끼우는 것과 단자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문헌1과 비교하여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절연재 하우징에 형성된 푸셔 아암을 손끝이나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해 간편하게 눌러 와이어를 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선행문헌2에 따른 커넥터의 경우, 푸셔 아암이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후 상면에서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 사용시 절곡부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이 부분이 파손될 염려가 많다. 또한, 푸셔 아암을 누를 때 푸셔 아암의 단부가 하강하는 정도가 일정치 않다. 따라서, 누르는 힘이 강하면 와이어가 단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누르는 힘이 약하면 와이어가 단자로부터 쉽게 분리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록킹해제를 위해 누르도록 된 부분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누르는 부분의 하강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와이어의 분리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포크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는, 와이어가 끼워져 록킹되면서 접속되는 록킹부를 갖는 단자; 단자를 커버링하는 하우징; 및 단자에 형성되어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상면에는 누름버튼을 상방으로 노출시켜 하우징의 위쪽에서 누름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된 누름버튼 노출홀이 형성된다.
누름버튼 노출홀의 양측벽 상부에는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누름버튼을 누를 때 손가락이나 도구의 누름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홈 형태의 버튼 스토퍼부가 각각 형성된다.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은 와이어의 삽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단자는, PCB에 솔더링되는 판 형태의 솔더링부; 솔더링부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절곡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링부; 각 커버링부로부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며, 단부 사이로 와이어가 끼워지면서 록킹되는 록킹부; 각 록킹부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며, 누름버튼의 일부가 대향된 사이로 삽입될 때 록킹부의 틈새가 벌어지도록 하여 와이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 해제부; 및 솔더링부의 타단으로부터 솔더링부의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에 누름버튼이 형성되는 누름 레버부;를 포함한다.
록킹 해제부는, 록킹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 수직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마주보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분; 및 수평부분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으로 가면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부분;을 포함한다.
록킹부는, 커버링부로부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분; 제1 연장부분으로부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분; 및 제2 연장부분으로부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며 단부 사이에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3 연장부분;을 포함한다.
커버링부와 제1 연장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절곡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분에는 비드가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솔더링부의 양측에는 쐐기 형태의 쐐기 결합부가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고, 각 커버링부의 외측에는 하우징의 측면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누름버튼은 누름 레버부에 조립 또는 오버몰딩된다.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이 PCB에 솔더링되어 단자 및 하우징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팅네일을 더 포함한다.
단자는, 솔더링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PCB에 솔더링되어 단자의 솔더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솔더 테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록킹 해제를 위해 누르도록 된 누름버튼을 단자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반복 사용하더라도 누름버튼이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단자 중 누름버튼이 형성되는 부분이 자체에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누름버튼을 누르더라도 피로도가 최소화되고, 누름버튼의 작동이 종래기술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하우징에 형성된 누름버튼 노출홀의 양측벽 상부에 누름버튼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홈 형태의 버튼 스토퍼부를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누름버튼을 눌러 와이어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과정에서 누름버튼이 항상 일정한 높이로 하강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록킹 해제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록킹 해제를 위해 누르는 부재의 하강높이가 누르는 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느 때는 와이어가 잘 빠지고 어느 때는 와이어가 잘 빠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강높이가 항상 일정하므로 와이어가 항상 잘 빠질 수 있다.
셋째,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와이어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이 와이어의 삽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와이어를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밀기만 하면 와이어가 자동으로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다.
넷째, 솔더링부에 하우징과 결합되는 쐐기 형태의 쐐기 결합부가 형성되고, 커버링부에 하우징의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이 단자에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빼기 위해 상하좌우로 움직이더라도 하우징이 단자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다.
다섯째, 커버링부와 록킹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분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비드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절곡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여섯째, 피팅 네일을 통해 단자 및 하우징의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솔더 테일을 통해서 단자의 솔더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5는 하우징의 정면도.
도 6은 단자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단자에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단자의 사시도.
도 9는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누름버튼을 눌러 와이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자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1)는,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 한다)(2)에 실장되며 와이어가 끼워져 록킹되면서 접속되는 단자(100)와, 단자(100)를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하우징(200), 단자(100)에 형성되어 와이어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누름버튼(300), 및 단자(100)와 하우징(200)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팅네일(400)을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누름버튼(300)을 상방으로 노출시키는 누름버튼 노출홀(201)이 형성되고, 측면 중 일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홀(202)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측면중 와이어 삽입홀(202)이 형성되는 반대쪽 면에는 피팅네일(400)이 고정되는 네일 고정홈(203)이 형성되며, 네일 고정홈(203)의 내측 하부에는 피팅네일(400)이 하부로 빠지지 않게 걸리는 걸림턱(204)이 형성된다.
피팅네일(400)은 하우징(200)의 네일 고정홈(203)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이 PCB에 솔더링된다. 이러한 피팅네일(400)을 통해 단자(100)의 솔더링과 하우징(20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피팅네일(400)의 양측은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네일 고정홈(203)에 피팅네일(4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 포크인 커넥터(1)에 따르면, 와이어를 와이어 삽입홀(202)을 통해 삽입하기만 하면 와이어가 단자(100)에 끼워져 록킹되면서 단자(100)와 접속되고, 누름버튼(300)을 누르기만 하면 와이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와이어(3)를 단자(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누름버튼(300)은 하우징(200)의 누름버튼 노출홀(201)을 통해 누름버튼(300)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된다. 누름버튼 노출홀(201)의 양측벽 상부에는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누름버튼(300)을 누를 때 손가락이나 도구가 걸리도록 하여 누름버튼(300)이 필요 이상 하우징(200) 내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홈 형태의 버튼 스토퍼부(205)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록킹 해제시 누름버튼(300)의 하강높이(h1)가 일정하므로 와이어의 록킹해제시마다 록킹 해제 형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록킹 해제시마다 와이어를 빼는데 어느 때는 잘 빠지고 어느 때는 잘 빠지지 않는 문제가 없으며, 항상 잘 빠지게 된다.
도 6은 단자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단자에 와이어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단자의 사시도이다.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는 하우징(200)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3)가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6)가 형성되되, 가이드부(206)의 가이드면(207)은 와이어(3)의 삽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3)를 와이어 삽입홀(202)을 통해 삽입하기만 하면 와이어(3)가 자동으로 경사지게 삽입된다.
단자(100)는 솔더링부(110), 커버링부(120), 록킹부(130), 록킹 해제부(140) 및 누름 레버부(150)를 포함한다.
솔더링부(110)는 PCB에 솔더링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와이어(3)의 삽입시 와이어(3)의 단부와 솔더링부(110)는 이격된다. 따라서, 와이어(3)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빼낼 때 와이어(3)의 단부가 솔더링부(110)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와이어(3)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솔더링부(110)의 타단부 양측에는 하우징(200)의 측면과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쐐기 형태의 쐐기 결합부(160)가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다.
커버링부(120)는 솔더링부(110)의 일단부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절곡되어 와이어(3)를 감싼다. 이러한 커버링부(120)는 솔더링부(11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분(121)과, 수직 연장부분(121)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분(122)으로 구성된다. 각 커버링부(120)의 수직 연장부분(121) 외측에는 하우징(200)의 측면과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00)의 측면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123)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록킹부(130)는 각 커버링부(120)로부터 솔더링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며 단부 사이로 와이어(3)가 끼워지면서 록킹된다. 이러한 록킹부(130)는, 커버링부(120)로부터 솔더링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분(131)과, 제1 연장부분(131)으로부터 솔더링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분(132), 및 제2 연장부분(132)으로부터 솔더링부(110)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며 단부 사이에 와이어(3)가 끼워져 록킹되는 제3 연장부분(133)을 포함한다. 이러한 벤딩구조에 의해 록킹부(130)는 자체에 탄성력을 갖는다.
록킹 해제부(140)는 각 록킹부(130)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며, 와이어(3)의 록킹 해제시 누름버튼(300)의 하단부가 대향된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부(130)가 서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3)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커버링부(120)와 제1 연장부분(131)에 걸쳐 형성되는 절곡부분에는 절곡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비드(170)가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누름 레버부(150)는 솔더링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솔더링부(110)의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에 누름버튼(300)이 오버몰딩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누름버튼(300)은 조립방식에 의해 누름 레버부(1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누름 레버부(150)는 솔더링부(110)로부터 절곡된 벤딩형상으로 인해 자체에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누름버튼(300)을 누른 후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누름버튼(300)이 원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도 9는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누름버튼을 눌러 와이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록킹 해제부(140)는, 록킹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141)과, 수직부분(141)의 상단으로부터 마주보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분(142), 및 수평부분(142)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으로 가면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부분(143)을 포함한다.
누름버튼(3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록킹부(130) 사이로 끼워지면서 록킹부(130)가 벌어지도록 하는 끼움부분(301)이 형성되고, 끼움부분(301)의 양쪽에는 수평부분(142)과 기울임부분(143) 사이의 절곡부위에 걸려 끼움부분(301)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걸림부분(302)이 각각 형성된다.
와이어(3)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보면, 도 10의 (a)와 같이 누름버튼(300)을 누르면 (b)와 같이 끼움부분(301)이 록킹부(130) 사이로 끼워지면서 두 록킹부(130)가 벌어지고 와이어(3)의 록킹이 해제된다. 와이어(3)의 록킹이 해제되어 와이어(3)를 빼고 누름버튼(300)을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누름 레버부(150)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300)은 도 10의 (c)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끼움부분(301)과 기울임부분(143) 사이에 접촉되는 면적(수평부분(142)와 기울임부분(143) 사이의 라운딩된 부분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누름버튼(300)이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기울임부분(143)의 하단이 외측으로 기울어져 기울임부분(143)의 단부가 끼움부분(301)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끼움부분(301)은 작동시 기울임부분(143)의 단부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서의 피팅네일(400) 대신 단자(100)의 솔더링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솔더 테일(180)을 통해 단자(100)의 솔더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솔더 테일(180)은 솔더링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제작시 누름 레버부(150)의 일부를 절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솔더 테일(180)은 PCB(2)에 솔더링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기울임부분(143)이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기울임부분(143)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기울임부분(143)의 하단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됨으로써 와이어의 록킹 해제 후 누름버튼(300)에 형성되는 끼움부분(301)이 기울임부분(143) 사이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1)에 따르면 두 개의 단자(미도시)를 PCB에 솔더링하고 하나의 하우징(200)으로 단자를 커버링함으로써, 하나의 커넥터(1)에 두 개의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다. 하나의 하우징(200)에 두 와이어의 록킹상태를 각각 해제시키기 위한 두 개의 누름버튼(300)이 구비된다.
단자 및 누름버튼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인 커넥터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1 : 포크인 커넥터 2 : PCB
3 : 와이어 100 : 단자
110 : 솔더링부 120 : 커버링부
130 : 록킹부 140 : 록킹 해제부
150 : 누름 레버부 160 : 쐐기 결합부
170 : 비드 180 : 솔더 테일
200 : 하우징 201 : 누름버튼 노출홀
202 : 와이어 삽입홀 203 : 네일 고정홈
204 : 걸림턱 205 : 버튼 스토퍼부
206 : 가이드부 207 : 가이드면
300 : 누름버튼 400 : 피팅네일

Claims (12)

  1. 와이어가 끼워져 록킹되면서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를 커버링하는 하우징; 및,
    상기 단자에 형성되어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PCB에 솔더링되는 판 형태의 솔더링부;
    상기 솔더링부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커버링부;
    상기 커버링부로부터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며, 단부 사이로 상기 와이어가 끼워지면서 록킹되는 록킹부;
    상기 록킹부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일부가 대향된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록킹부의 틈새가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의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 해제부; 및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솔더링부의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단부에 상기 누름버튼이 형성되는 누름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누름버튼을 상방으로 노출시켜 상기 하우징의 위쪽에서 상기 누름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된 누름버튼 노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 노출홀의 양측벽 상부에는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상기 누름버튼을 누를 때 손가락이나 도구의 누름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홈 형태의 버튼 스토퍼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와이어가 사선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은 와이어의 삽입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분;
    상기 수직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마주보는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분; 및
    상기 수평부분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으로 가면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기울임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커버링부로부터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분;
    상기 제1 연장부분으로부터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분; 및
    상기 제2 연장부분으로부터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연장되며 단부 사이에 와이어가 끼워지는 제3 연장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부와 제1 연장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절곡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분에는 비드가 내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솔더링부의 양측에는 쐐기 형태의 쐐기 결합부가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각 커버링부의 외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내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은 상기 누름 레버부에 조립 또는 오버몰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단이 PCB에 솔더링되어 상기 단자 및 하우징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피팅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솔더링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PCB에 솔더링되어 단자의 솔더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솔더 테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인 커넥터.
KR1020130039941A 2013-04-11 2013-04-11 포크인 커넥터 KR10197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41A KR101978927B1 (ko) 2013-04-11 2013-04-11 포크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41A KR101978927B1 (ko) 2013-04-11 2013-04-11 포크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05A KR20140122905A (ko) 2014-10-21
KR101978927B1 true KR101978927B1 (ko) 2019-05-15

Family

ID=5199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941A KR101978927B1 (ko) 2013-04-11 2013-04-11 포크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039288U (zh) * 2015-08-27 2016-02-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KR102011845B1 (ko) * 2017-07-12 2019-08-19 몰렉스 엘엘씨 포크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452Y2 (ja) * 1993-12-14 1998-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低挿抜力電気コネクタ
US7513793B2 (en) * 2006-12-22 2009-04-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 poke in connector
DE102010014143B4 (de) * 2010-04-07 2016-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ssklem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05A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960B1 (ko) 포크인 커넥터
US8475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4089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being moved by vacuum-suction device
KR101860641B1 (ko) 커넥터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JP565920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30137307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6012647A (ja) コネクタ
WO2010135556A1 (en)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US20140328037A1 (en) Carrier and carrier assembly used thereof for positioning ic package
KR101621311B1 (ko) 전기 커넥터
TW201409860A (zh) 電連接器組合
EP3376609A1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KR20150003378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1978927B1 (ko) 포크인 커넥터
US8333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nnecting section and a held section on two opposite sides of a contact section
JP436194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3077558A (ja) 端子台
KR101978925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TW201414092A (zh) 偏置式線對板連接器
KR101408440B1 (ko) 분리 방지 커넥터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KR102248014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KR101978926B1 (ko) 포크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