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006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006A
KR20130080006A KR1020127029315A KR20127029315A KR20130080006A KR 20130080006 A KR20130080006 A KR 20130080006A KR 1020127029315 A KR1020127029315 A KR 1020127029315A KR 20127029315 A KR20127029315 A KR 20127029315A KR 20130080006 A KR20130080006 A KR 2013008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s
pair
housing
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히코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3008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방향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삽발내구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로 구성된다. 일방의 커넥터는 제1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제1콘택트는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커넥터가 감합한 때에 타방의 커넥터를 잠그는 록 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록 아암은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Yy방향)으로 휜다. 록 아암의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고 있다(화살표 Xx방향).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회로기판끼리 혹은 회로 기판과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며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끼리 혹은 회로 기판과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이용되어 있다. 도 9에 종래예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회로 기판(미도시)끼리를 접속하는 것이며 서로 감합하는 플러그 커넥터(1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로 구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10)는 절연성 제1하우징(111)과 제1하우징(111)에 취부되는 복수 쌍의 금속제 제1콘택트(1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112)는 제1하우징(111)에 고정되는 고정부(113)와 고정부(113)로부터 연장되는 접촉아암(114)과 고정부(113)로부터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아암(114)은 고정부(113)로부터 상방(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연장되고 더욱 하방(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유턴 만곡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록용 돌기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접속부(116)는 일방의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된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플러그 커넥터(110)를 수용하는 절연성 제2하우징(121)과, 제2하우징(121)에 취부되는 복수 쌍의 금속제 제2콘택트(1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2콘택트(122)는 제2하우징(121)에 고정되는 고정부(123)와, 고정부(123)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124)와 고정부(123)로부터 연장되는 기판접속부(126)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124)는 고정부(123)로부터 하방(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방향)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콘택트(114)의 록용 돌기(115)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124)의 선단에는 록용 돌기(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용 돌기(125)는 플러그 커넥터(1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감합한 때에 제1콘택트(112)의 록용 돌기(115)와 서로 탄성적으로 계합하여 양 커넥터(110, 120)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기판접속부(126)는 타방의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된다.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제1 및 제2콘택트(112, 122)의 계합에 의해 양 커넥터(110, 120)의 감합을 록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것(특허 문헌 2 참조)도 알려져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는 서로 감합하는 제1커넥터(210) 및 제2커넥터(220)로 구성된다.
제1커넥터(210)는 절연성 제1하우징(211)과 제1하우징(211)에 취부되는 복수 쌍의 금속제 제1콘택트(2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1콘택트(212)는 기부(213)와 기부(213)로부터 상방(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하우징(211)에 고정되는 고정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콘택트(212)는 기부(213)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더욱 상방(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아암(215)와 기부(21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판 접속부(218)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 제1콘택트(212)는 고정부(214)로부터 상방(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편(216)을 구비하고 이 록편(216)의 선단에는 록용 돌기(217)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218)는 일방의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된다.
한편 제2커넥터(220)는 제1커넥터(210)와 감합하는 절연성 제2하우징(221)과 제2하우징(221)에 취부되는 복수 쌍의 금속제 제2콘택트(2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제2콘택트(222)는 제2하우징(221)에 고정되는 고정부(223)와 고정부(223)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224)와, 고정부(22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판 접속부(225)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224)는 고정부(223)로부터 하방(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으로 대략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콘택트(212)의 접촉아암(215)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하우징(221)의 측벽에는 록용 홈(2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록용 홈(226)에는 제1커넥터(210) 및 제2커넥터(220)가 감합한 때에 제1콘택트(212)의 록편(216)의 록용 돌기(217)가 파고들어 양 커넥터(210, 220)의 탈락이 방지된다. 기판 접속부(225)는 타방의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에 의하면 록용 홈(226)에 기계적으로 록하는 록편(216)을 제1콘택트(212)에 설치하였다. 이 때문에 제1커넥터(210)와 상대측 제2커넥터(220)와의 감합 유지력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특개평4-43579호 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040314호 공보
그러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종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200)에 있어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9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1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감합한 때에 록용 돌기(115)와 록용 돌기(125)가 서로 탄성적으로 계합하여 양 커넥터(110, 120)의 어긋남을 방지한다. 여기서 록 기능을 갖는 제1콘택트(112)의 록용 돌기(115)와 제2콘택트(122)의 록용 돌기(125)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것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10)와 리셉터클 커넥터(120)와의 삽발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록 기능을 갖는 제1콘택트(112)의 접촉아암(114)이 연장되는 방향은 고정부(113)로부터 상하 방향(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방향), 제2콘택트(122)의 접촉부(124)는 고정부(123)로부터 아래방향(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방향)이다. 이들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1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감합 방향(도 9에 있어서의 화살표 Aa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감합 방향(화살표 Aa방향)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없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의 경우, 제1커넥터(210) 및 제2커넥터(220)가 감합한 때에 록용 돌기(217)가 록용 홈(226)에 파고들어가고 양 커넥터(210, 220)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여기서 록 기능을 갖는 제1콘택트(212)의 록편(216)은 탄성적으로 변위함으로써 제1커넥터(210)와 제2커넥터(220)과의 삽발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에 있어서도 록 기능을 갖는 제1콘택트(212)의 록편(216)이 연장되는 방향은 고정부(214)로부터 윗방향(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방향)이다. 이 방향은 제1커넥터(210) 및 제2커넥터(220)의 감합 방향(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b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에 있어서도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의 감합 방향(화살표 Bb방향)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없다.
최근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끼리나 회로 기판과 전선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도 한 쌍의 커넥터의 감합 방향의 높이를 저배화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방향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삽발내구성이 높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며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일방의 커넥터는 절연성 제1하우징과, 해당 제1하우징에 취부된 제1콘택트를 갖고, 해당 제1콘택트가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해당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커넥터가 감합한 때에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타방의 커넥터를 잠그는 록 아암을 구비하고, 해당 록 아암은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록 아암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해당 수평부의 대략 중앙부에서 하강하는 기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강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기부의 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가 상기 기부의 하단에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 아암이 상기 측판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 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타방의 커넥터는 일단에 전선이 도출되는 전선도출구를 갖는 절연성 제2하우징과, 해당 제2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전선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콘택트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제2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전선도출구의 근방에는 상기 록 아암에 계지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2콘택트에 설치된 록 보강부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록 아암은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므로, 한 쌍의 커넥터의 삽발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록 아암의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방향이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므로 한 쌍의 커넥터의 감합 방향의 높이, 즉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감합 방향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단, 전선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1의 2-2선에 따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2-2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도 4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일방측의 리셉터클 콘택트를 떼어내 분해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단 전선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7]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전선을 접속하기 전의 플러그 콘택트를 인서트 몰드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의 한 쌍의 플러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9] 종래예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 종래의 다른 예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휴대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미도시)과 전선(W)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때에 사용된다. 여기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는 서로 감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일방의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타방의 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커넥터(40)에는 전선(W)이 접속되어 있다. 그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감합함으로써 전선과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40)의 감합 방향은 화살표 Zz방향, 해당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화살표 Xx방향과 화살표 Yy방향으로 표시된다. 해당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중 화살표 Xx방향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폭방향, 화살표 Yy방향은 해당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동일하다. 이후 이 화살표 Xx방향 Yy방향 및 Zz방향을 전제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하우징(제1하우징: 20)과 이 리셉터클 하우징(20)에 취부된 한 쌍의 리셉터클 콘택트(제1콘택트: 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하우징(20)은 도 4에 나타내듯이 대략 구형 형상으로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0)에는 커넥터 수용 요부(21)가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정상면에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커넥터 수용 요부(21)는 플러그 커넥터(40)의 후술하는 벽부(52), 융기부(53) 및 플러그 콘택트(60)의 접촉부(63)를 수용한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정상면에는 플러그 커넥터(40)의 평판상부(51)를 수용하는 요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폭방향 양단부(화살표 Xx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의 화살표 Yy방향의 양측부에는 후술하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30)의 측판부(31c)를 압입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압입용 홈(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압입용 홈(24)으로부터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화살표 Xx방향 내측을 향해 록 아암 삽입용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의 하방부에는 해당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로부터 화살표 Xx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커넥터 수용 요부(21)의 저벽(21a)에는 감합되는 플러그 커넥터(40)의 한 쌍의 융기부(53)가 위치하는 부분에 한 쌍의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27)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를 감합 방향으로 저배화하면서 플러그 콘택트(60)와 리셉터클 콘택트(30)와의 감합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리셉터클 콘택트(3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폭방향 양단, 즉 화살표 Xx방향의 양단에 설치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폭방향 일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와, 폭방향 타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는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동일 형상이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콘택트(30)의 형상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폭방향 일단(도 5에 있어서의 우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의 형상,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리셉터클 콘택트(3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고정부(31), 한 쌍의 접촉부(32) 기판 접속부(33) 및 한 쌍의 록 아암(34)을 구비하여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고정부(31)는 리셉터클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이며,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수평 방향(화살표 Xx방향 및 화살표 Yy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a)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31)는 수평부(31a)의 화살표 Yy방향의 대략 중앙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강하는 기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31)는 수평부(31a)의 화살표 Yy방향의 양단부로부터 하강하는 한 쌍의 측판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31)의 수평부(31a)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하우징(20)의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의 표면에 재치된다. 또한 고정부(31)에 설치된 각 측판부(31c)는 리셉터클 콘택트 취부부(26)의 측부에 설치된 압입용 홈(24)에 파고 들어가 압입 고정된다. 더욱이 기부(31b)에는 기판 접속부(33)를 타넘듯이 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5)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하우징(20)의 돌기(23)가 파고들어간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트(30)를 지지한다.
또한 한 쌍의 접촉부(32)의 각각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기부(31b)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양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화살표x방향)으로 연장되듯이 절곡하여 형성된다. 각 접촉부(32)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아암 부분(32a)과 지지부(32b)와 접점(32c)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 부분(32a)은 기부(31b)의 측 가장자리에서 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부(32b)는 아암 부분(32a)의 선단에 설치된다. 접점(32c)은 지지부(63b)의 선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부(32b)는 아암 부분(32a)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출부분과 하방연출부분의 하단으로부터 화살표 Yy방향 내측(상대하는 접촉아암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분과, 절곡 부분에서 기립하는 기립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절곡 부분의 프레스면은 접촉부(32)가 하방으로 변위하는 때에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커넥터 수용 요부(21)의 저벽(21a)에 지지된다. 또한 접점(32c)은 지지부(32b)의 기립 부분의 상단에 위치하고 접촉부(32)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접점(32c)은 그 전단면에서 플러그 콘택트(60)의 U자 형상으로 만곡한 각 접촉부(63)의 양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기판 접속부(33)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기부(31b)의 하단으로부터 양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외측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듯이 절곡 형성된다. 기판 접속부(33)는 대략 구형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된다.
더욱이 한 쌍의 록 아암(34)의 각각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측판부(31c)의 각각으로부터 양 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록 아암(34)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양 압입용 홈(24)으로부터 연장되는 록 아암 삽입용 홈(25)에 삽입되고, 측판부(31c)가 압입 고정되면 선단이 제1하우징(20)으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된다. 록 아암(34)은 양 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Yy방향)으로 휘듯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록 아암(34) 중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Yy방향 바로앞측(도 1,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바로앞측)의 록 아암(24)은 양 커넥터 (10, 40)가 감합한 때에 플러그 커넥터(40)를 잠그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도 2 및 도 3에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폭방향 타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의 록 아암(34)이 도시되어 있다), 해당 화살표 Yy방향 바로앞측의 록 아암(24)은 양 커넥터(10, 40)가 감합한 때에 후술 하는 플러그 커넥터(40)에 설치된 오목형상의 계지부(54)에 계지되어 플러그 커넥터(40)를 잠근다. 그 한편 해당 화살표 Yy방향 반대측의 록 아암(24)은 플러그 커넥터(40)를 잠그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해당 화살표 Yy방향 편측의의 록 아암(24)에 의한 유지력으로 충분하다. 그 한편, 록 아암(24)을 해당 화살표 Yy방향 양측에 설치하여 리셉터클 하우징(20)의 폭방향 일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와, 폭방향 타단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콘택트(30)를 좌우 대칭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동일 형상으로 하여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고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 커넥터(4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하우징(제2하우징:50)과 이 플러그 하우징(50)에 취부된 한 쌍의 플러그 콘택트(제2콘택트:6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5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얇은 수평 방향(화살표 Xx방향 및 화살표 Yy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상부(51)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5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플러그 하우징(50)의 평판상부(51)는 도 1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커넥터(4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감합한 때에 리셉터클 하우징(20)의 정상면에 형성된 후술하는 요부(22)에 수용된다. 평판상부(51)의 이면(도 6에서는 이면측이 위를 향하고 있다)에는 중앙에 납땜용 개구(52e)를 갖는 4각형 모양의 벽부(52)가 입설되어 있다. 벽부(52)는 평판상부(51)의 폭방향(화살표 Xx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벽(52a)과 전벽(52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후벽(52b)과, 전벽(52a) 및 후벽(52b)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Yy방향)으로 연장되는 좌벽(52c) 및 우벽(52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평판상부(51)의 이면에는 평판상부(51)의 화살표 Yy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좌벽(52c) 및 우벽(52d)의 각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융기부(5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융기부(53)는 평판상부(51)의 이면에서 좌벽(52c) 및 우벽(52d)보다 약간 높아지는 위치까지 융기하고 있다. 한 쌍의 융기부(53)는 화살표 Yy방향 동일 위치로부터 화살표 Xx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고, 평판상부(51)에 대해 대들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평판상부(5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한다. 벽부(52) 및 한 쌍의 융기부(53)는 플러그 커넥터(4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감합한 때에 리셉터클 하우징(20)에 형성된 커넥터 수용 요부(21)에 수용된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50)의 후벽(52b)에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전선도출구(55)가 화살표 Yy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선도출구(55)는 서로 연통하도록 절결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50)의 후벽(52b)의 한 쌍의 전선도출구(55)의 근방에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한 쌍의 오목형상의 계지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계지부(54)는 전선도출구(55)에 대해 화살표 Xx방향의 외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 계지부(5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커넥터(4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감합한 때에 한 쌍의 록 아암(34) 중 화살표 Yy방향 바로앞측의 록 아암(24)이 계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한 쌍의 플러그 콘택트(6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평판상부(21)의 폭방향(화살표 Xx방향)으로 나란히 플러그 하우징(50)에 취부된다. 평판상부(51)의 폭방향 일방측(도 7에 있어서의 상측)에 취부되는 플러그 콘택트(60)와, 폭방향 타방측(도 7에 있어서의 하측)에 취부되는 플러그 콘택트(60)는 도 8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60)는 도 8에 나타내듯이 보강부(61)와, 전선 접속부(62)와, 접촉부(63)와, 록 보강부(65)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60)는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된다. 보강부(61)는 수평 방향(화살표 Xx방향 및 화살표 Yy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평판상으로 형성되지만 전후방향(화살표 Yy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접촉부(63)에 의해 전후로 분단되어 있다. 후측의 보강부(61a)는 접촉부(63)의 근원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고, 그의 후단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하우징(50)의 평판상부(51)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에 의해 얇은 평판상부(51)를 보강한다. 또한 전측의 보강부(61b)는 접촉부(63)의 근원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고, 그 측부(폭방향 일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우측부, 폭방향 타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좌측부)가 플러그 하우징(50)의 평판상부(51)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에 의해 얇은 평판상부(51)를 보강한다.
또한 각 플러그 콘택트(60)의 전선 접속부(62)는 전측의 보강부(61b)의 측부(폭방향 일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좌측부, 폭방향 타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우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64)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62)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64)로부터 평판상부(51)의 표면을 따르도록 보강부(61)와 평행하고 더욱 후방(화살표 y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연결부(64) 및 전선 접속부(62)의 일부는 플러그 하우징(50)의 평판상부(51)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에 의해 얇은 평판상부(51)를 보강한다. 그리고 전선 접속부(62)의 잔부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하우징(50)의 납땜용 개구(52e)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선 접속부(52)상에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전선(W)의 심선(W1)이 납땜 접속된다.
또한 각 플러그 콘택트(60)의 접촉부(6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61)의 전후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전측의 근원이 전측의 보강부(61b)에, 후측의 근원이 후측의 보강부(61a)에 연결된다. 접촉부(63)는 전측의 보강부(61b)와 후측의 보강부(61a)와의 사이에 U자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된다. 접촉부(63)는 전측의 보강부(61b)로부터 전측의 근원에서 절곡하여 기립하고, U자형상의 정상면에서 만곡하여 하강하고, 후측의 근원에서 절곡하여 후측의 보강부(61a)에 이른다.
각 플러그 콘택트(60)의 접촉부(63)는 각 융기부(53)를 덮듯이 배치된다. 다만 각 접촉부(63)의 최외측(폭방향 일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최우측, 폭방향 타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최좌측)의 귀퉁이부는 융기부(53)의 절연 재료로 덮여 있다. 그리고 U자형상으로 만곡한 각 접촉부(63)의 양측면(전면 및 후면)에는 리셉터클 콘택트(30)의 한 쌍의 접촉부(32)가 접촉한다.
더욱이 각 플러그 콘택트(60)의 록 보강부(65)는 후측의 보강부(61a)의 후단에서부터 연장된다. 록 보강부(65)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러그 하우징(50)의 후벽(52b)의 계지부(54) 근방에 인서트 성형되어 계지부(54)를 보강하도록 기능한다.
록 보강부(65)는 도 3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후측의 보강부(61a)의 후단부 측 가장자리(폭방향 일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좌측가장자리, 폭방향 타방측의 플러그 콘택트의 경우는 우측가장자리)에서부터 기립하는 기립부(6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록 보강부(65)는 기립부(65a)의 상하 방향(화살표 Zz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전방(화살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65b)와, 기립부(65a)의 상단에서 후방(화살표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65c)를 구비하고 있다.
제1보강부(65b)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계지부(54)의 저측(도 3에 있어서 우측)을 보강하고, 제2보강부(65c)는 계지부(54)의 상측(도 3에 있어서 하측)을 보강한다.
다음으로 전기 커넥터 조립체(1)의 조립 방법 및 플러그 커넥터(4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감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리셉터클 커넥터(10)를 구성하는 플러그 콘택트(30)의 기판 접속부(33)를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납땜 접속한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가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내듯이 2개의 전선(W)의 일단을 플러그 커넥터(40)의 전선도출구(55)로부터 전선 접속부(62) 상에 위치시키고, 그들 전선(W)의 심선(W1)을 납땜용 개구(52e)로부터 전선 접속부(62)에 납땜 접속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40)의 벽부(52), 융기부(53) 및 플러그 콘택트(60)의 접촉부(63)를 도 1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수용 요부(21) 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록 아암(34)이 플러그 커넥터(40)의 계지부(54)에 계지되어 플러그 커넥터(4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감합한다.
이 양커넥터(10, 40)의 감합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록 아암(34)은 플러그 커넥터(40)의 후벽(52b)에 의해 일단 후방(화살표 y방향)으로 휜다. 그리고 감합이 진행되어 플러그 커넥터(40)의 계지부(54)가 록 아암(34)의 부분까지 오면 록 아암(34)은 전방(화살표 Y방향)으로 휘어 원상태로 복원하여 계지부(54)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4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1)에 있어서 록 아암(34)은 양 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Yy방향)으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해 삽발하는 회수를 많게 하더라도 록 아암(34)의 기능에 지장은 발생하지 않고 양 커넥터(10, 40)의 삽발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록 아암(34)의 고정부(31)(측판부(31c))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이 양 커넥터(10, 40)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고 있다. 즉 각 록 아암(34)은 한 쌍의 측판부(31c)의 각각으로부터 양 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 하는 내측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커넥터(10, 40)의 감합 방향의 높이, 즉 전기 커넥터 조립체(1)의 감합 방향의 저배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4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감합하면 플러그 콘택트(60) 각 접촉부(63)의 U자형상 양측면이 리셉터클 콘택트(30)의 한 쌍의 접촉부(32)에 있어서의 접점(32c)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전선(W)과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덧붙여 플러그 커넥터(4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를 감합한 후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전선(W)이 당겨져 양 커넥터(40, 10)의 감합이 해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전선(W)이 당겨진 때에 전선(W)을 당기는 부분에서 양 커넥터(40, 10)를 잠그는 부분까지의 거리가 짧으면 양 커넥터(40, 10)를 잠그는 부분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이 경우 양 커넥터(10, 40)의 감합이 해제되기 어렵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1)에 있어서, 록 아암(34)에 계지하는 계지부(54)는 플러그 하우징(50)에 설치된 전선도출구(5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커넥터(40, 10)를 잠그는 부분이 전선(W)을 도출하는 부분에 근접하고 있어 전선(W)을 끌어당기는 부분에서부터 양 커넥터(40, 10)를 잠그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극력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W)이 끌어 당겨진 때에 양 커넥터(40, 10)를 잠그는 부분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고, 전선(W)이 끌어 당겨지더라도 예기치 못한는 감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1)에 있어서 계지부(54)가 플러그 콘택트(60)에 설치된 록 보강부(65)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양 커넥터(10, 40)의 삽발을 반복하더라도 계지부(54)가 손상하기 어렵고, 삽발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리셉터클 콘택트(30)에 록 아암(34)을 설치하고, 그 상대측 플러그 커넥터(40)측의 플러그 하우징(50)에 계지부(54)를 설치하였으나, 그와 반대로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리셉터클 하우징(20)에 계지부를 설치하고, 플러그 커넥터(10)측의 플러그 콘택트(60)에 록 아암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고정부(3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a)와 수평부(31a)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기립하는 기부(31b)와, 수평부(31a)의 단부로부터 하강하고, 리셉터클 하우징(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측판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부(31)는 리셉터클 하우징( 제1하우징:20)에 고정되는 기능을 갖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들 수평부(31a)와, 기부(31b)와, 측판부(31c)를 구비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접촉부(32)는 기부(31b)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한 쌍의 커넥터(10, 40)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3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기판 접속부(33)는 기부(31b)의 하단으로부터 한 쌍의 커넥터(10, 40)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외측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3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구성이면 좋다.
더욱이 록 아암(34)의 연장되는 방향이 측판부(31c)에서 한 쌍의 커넥터(10, 40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화살표 x방향)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31)에서 한 쌍의 커넥터(10, 40)끼리의 감합 방향(화살표 Zz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화살표 x방향) 및 외측방향(화살표 X방향)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른바 기판대전선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대기판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1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리셉터클 커넥터(일방의 커넥터)
20 리셉터클 하우징(제1하우징)
30 리셉터클 콘택트(제1콘택트)
31 고정부
31a 수평부
31b 기부
31c 측판부
32 접촉부
33 기판 접속부
34 록 아암
40 플러그 커넥터(타방의 커넥터)
50 플러그 하우징(제2하우징)
54 계지부
55 전선도출구
60 플러그 콘택트(제2콘택트)
65 록 보강부

Claims (4)

  1. 서로 감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일방의 커넥터는 절연성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취부된 제1콘택트를 갖고,
    상기 제1콘택트가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기판 접속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커넥터가 감합한 때에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타방의 커넥터를 잠그는 록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록 아암은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록 아암의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이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대략 중앙부에서 하강하는 기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서 하강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기부의 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가 상기 기부의 하단에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록 아암이 상기 측판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커넥터끼리의 감합 방향과 거의 직교 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중 타방의 커넥터는 일단에 전선이 도출되는 전선도출구를 갖는 절연성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전선에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콘택트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제2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전선도출구의 근방에는 상기 록 아암에 계지하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가 상기 제2콘택트에 설치된 록 보강부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27029315A 2010-05-28 2011-05-25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30080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3122 2010-05-28
JP2010123122A JP5597030B2 (ja) 2010-05-28 2010-05-28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CT/JP2011/002926 WO2011148638A1 (ja) 2010-05-28 2011-05-25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006A true KR20130080006A (ko) 2013-07-11

Family

ID=4500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315A KR20130080006A (ko) 2010-05-28 2011-05-25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97030B2 (ko)
KR (1) KR20130080006A (ko)
CN (1) CN102906945B (ko)
WO (1) WO2011148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734B2 (ja) 2016-06-02 2019-10-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JP7202937B2 (ja)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073U (ko) * 1990-04-03 1991-12-19
JP4097513B2 (ja) * 2002-11-27 2008-06-11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31354B2 (ja) * 2003-07-14 2009-02-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ソケット装置
JP4026605B2 (ja) * 2004-03-01 2007-12-26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248537B2 (ja) * 2005-09-29 2009-04-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05785B2 (ja) * 2005-11-30 2011-0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126073U (ja) * 2006-07-31 2006-10-12 ピン シャン インダストリア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コネクタの掛止構造
JP4917448B2 (ja) * 2007-02-02 2012-04-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073314A (ja) * 2008-09-16 2010-04-02 Jst Mfg Co Ltd 接続装置
JP5005822B2 (ja) * 2010-03-31 2012-08-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6945B (zh) 2015-06-17
CN102906945A (zh) 2013-01-30
JP2011249230A (ja) 2011-12-08
WO2011148638A1 (ja) 2011-12-01
JP5597030B2 (ja)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388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JP3121386U (ja) コネクタガイド部材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056916A (ja) コネクタ
KR200800791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갖는 조합 커넥터
WO2010135556A1 (en)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JP2017204325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100112836A1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EP1235303B1 (en) A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00582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639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0771348B1 (ko) 기판용 커넥터
KR101042120B1 (ko) 전기 커넥터
US850047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nforcedd locking portion
JP535100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30080006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116503B2 (ja)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KR20110063737A (ko) 커넥터
JP5869346B2 (ja) ホルダ、平型導体付ホルダおよび該平型導体付ホルダ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立体
KR10100779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200711557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220797279U (zh) 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