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268A -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268A
KR20010086268A KR1020000067430A KR20000067430A KR20010086268A KR 20010086268 A KR20010086268 A KR 20010086268A KR 1020000067430 A KR1020000067430 A KR 1020000067430A KR 20000067430 A KR20000067430 A KR 20000067430A KR 20010086268 A KR20010086268 A KR 2001008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acid
treated
electrode
carbonace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4984B1 (ko
Inventor
이와사끼히데하루
스고노조무
니시무라슈시
에가와요시후미
아오끼하지메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구와라 아키오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구와라 아키오,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무라 하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8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82Making shaped products, e.g. fibres, spheres, membranes or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4Carbon-based characterised by carbonisation or activation of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IR- or Raman-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탄소질 재료를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활성탄. 산으로 처리된 활성탄은 물과의 친화성이 커서, 물 처리에 적합하다. 산으로 처리된 활성탄을 성형하여 제조한 전극은 단위 체적 당 정전 용량이 큰 이점을 가지고 있어, 커패시터에 유리하다.

Description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ACTIVATED CARBON AND METHOD FOR PRODUCING IT}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시킨 후, 이를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활성탄은 물과의 친화성이 강하여, 물 처리에 적합하다. 게다가, 정전 용량이 커서, 본 활성탄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에 바람직하다.
[종래기술]
활성탄은 식품공업, 화학공업, 의약공업 등 각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활성탄의 흡착 성능이 본질적으로 상기 분야들에서 이용되나, 보다 큰 흡착 성능을 가진 흡착제가 요망된다. 최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백업 전원 및 보조 전원로 특히 주목받게 되었으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한 전극으로서의 활성탄의 성능에 관한 많은 개발이 당 기술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공학의 개발로, 활성탄의 분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그 정전 용량이 매우 커서, 이에 현재 수요가 많다. 최근, 그러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종래 마이크로 컴퓨터 메모리의 백업 전원에 부가하여, 대량제품의 보조 전원 장치, 예컨대 모터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어 왔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원리는 이전부터 공지되어 있으나, 그것들의 실제 장치에서 사용된 것은 요즘이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은 본질적으로 전기 이중층을 형성하는 그 안의 분극성 전극의 표면적, 또한 단위 면적 당 전기 이중층 용량 및 전극의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실질적으로 사용함에 있어, 단위 체적 당 정전 용량의 증가 및 체적 감소를 위해 전극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으로, 예컨대 이제부터 사용되는 것은, 산성 조건 하, 예컨대 수증기 또는 산성 기체 중에서 (참고 : CMC 발행 (1998) 의 "Large-Scale Capacitor Technique and Material"), 수지, 코코넛 쉘, 피치, 석탄 등을 활성함으로써 제조된 활성탄 (1), 상기 출발 물질을 고산화력을 가진 화학 물질, 예컨대 수산화칼륨 등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제조되는 활성탄 (2) (참고 : WO91/12203, JP-A-199767/1998) 등이다.
탄소질 재료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분극성 전극으로 그것을 이용하는 알칼리 화합물로 활성화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JP-A-139865/1989 는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존재 하에, 500 ℃ 초과의 온도에서 불활성 기체 대기 내 탄소 섬유를 가열하여, 표면적이 큰 탄소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JP-A-258996/1993 은, (피치의 출발 물질을 용융-방사한 후, 수득된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제조된) 탄소질 섬유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으로 활성화하고, 탈회하며, 분쇄하여, 전극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을 개시하고 있다. JP-A-161587/1995 는, 탄성질 물질을 수증기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로 차례로 활성화한 후, 이를 분쇄하여, 전극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흡착제의 흡착 성능을 증가시키고, 커패시터용 전극의 정전 용량을 증가시킬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방법 (1) 에 의해 제조되는 활성탄은 높은 정전 용량을 보증할 수 없을 것이나, 필요한 정전 용량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장치에 있어야 한다. 한편, 방법 (2) 에서는, 출발 탄소질 재료를 고온에서, 고산화력을 가진 활성화제, 예컨대 수산화칼륨 등으로 활성화시킨다. 여기에서 수득된 활성탄은 고도의 용량을 가지고 있으나, 더 큰 용량에 대한 최근 요구에 대해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JP-A-139865/1989, JP-A-258996/1993 및 JP-A-161587/1995 도 또한 만족스럽지 못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물에 용해된 불순물과의 높은 흡착 성능의 이점 및 큰 정전 용량을 가지는 활성탄,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심층 연구를 거듭하여, 그 결과, 상기 문제들은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한 후, 수득된 활성탄을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우리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한 후, 그것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활성탄이다. 또다른 측면은 활성탄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이다. 또다른 측면은,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한 후, 수득된 활성탄을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함을 포함하는 활성탄의 제조 방법이다.
도 1 은 황산으로 처리되는 탄소질 재료 BP-20 의 한 활성탄의 IR 흡광도이다.
도 2 는 황산으로 처리되는 탄소질 재료 BP-20 의 또다른 활성탄의 IR 흡광도이다.
도 3 은 10 % 질산으로 처리되는 탄소질 재료 BP-20 의 한 활성탄의 IR 흡광도이다.
도 4 는 탄소질 재료 BP-20 의 한 활성탄의 IR 흡광도이다.
도 5 는 전극이 본 발명의 활성탄으로 되어 있는 커패시터의 한 구현예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1) 및 (2) 는 집전부재, (3) 및 (4) 는 분극성 전극, (5) 는 세퍼레이터, 또한 (6) 은 커버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탄소질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활성탄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는 탄소질 코코넛 쉘, 석유계 및/또는 석탄계 피치(coal pitch), 코크스, 페놀계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탄소질 재료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는 예컨대 과립상, 미분상, 섬유상, 시이트상 등이 포함된다.
섬유상 또는 시이트상 탄소질 재료의 예는, 천연 셀룰로스 섬유, 예컨대 면 등; 재생 셀룰로스 섬유, 예컨대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등; 펄프 섬유; 합성 섬유,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섬유, 폴리에틸렌-비닐 알콜 섬유 등, 또한 상기 섬유들의 직포, 부직포, 필름, 펠트 및 시이트이다.
활성탄은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것의 활성을 위해, 임의의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질 재료는 산화능이 있는 화학 물질, 예컨대 염화아연, 인산, 황산, 염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중크롬산칼륨, 과망간산칼륨 등 (화학적 활성화); 또는 수증기, 프로판 가스, C2O 및 H2O 의 혼합물인 연소 기체로부터 발생된 배출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등 (기체 활성화) 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탄소질 재료는, 수득된 활성탄이 더 큰 정전 용량을 보증할 수 있는 알칼리 (알칼리 활성화) 로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활성화를 위해, 예컨대 [Electrochemistry, 12 (1998), pp. 1311 - 1317; Carbon, 177 (1997), pp. 76 - 79] 등에 기재되어 있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알칼리에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예컨대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알칼리의 양은 알칼리와 함께 처리되는 탄소질 재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부이나, 공정의 조작성과 안정성 면에서 0.1 내지 10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탄을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한다. 산에는, 예를 들어 광산, 예컨대 농축 황산, 그을리는 황산, 희석된 질산, 인산, 폴리인산, 피로인산, 메타인산 등; 술폰산, 예컨대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등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농축 황산, 인산 및 폴리인산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폴리인산이다. 일반적으로 이 산들 중 하나는 단독으로 사용되나, 그것들을 산 처리를 위해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다.
탄소질 재료를 공지된 화학 활성화 또는 수증기, 프로판 가스, C2O 및 H2O 의 혼합물인 연소 기체로부터 발생된 배출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등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 기체 활성화에 의해 활성화하는 경우, 수득된 활성탄을 황산, 인산 등의 수용액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 경우, 처리용 산 농도는 0.01 내지 100 중량 % 이나, 처리의 반응 효율, 조작성 및 안정성 면에서 0.1 내지 80 중량 %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0 중량 % 이다. 활성탄을 희석된 질산으로 처리할 경우, 산의 수용액의 농도가 5 내지 20 중량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산의 양은 그것으로 처리되는 활성탄 중량의 0.01 내지 100 배이나, 처리의 반응 효율, 조작성 및 안정성 면에서 0.1 내지 50 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배이다. 처리 온도는 사용되는 산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므로, 임의로 결정될 수 없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산 처리 온도는 활성화 온도보다 낮으나, 실온보다는 높으며, 예컨대 30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 ℃ 이다. 산 처리는 공기 대기 중에서 행해지나,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안정성을 위해 질소,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 대기 중에서 행해진다. 처리는 임의의 압력 하에 행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대기압 하에서 행해진다.
산 처리된 활성탄을 물에 주입하여, 그것으로부터 산을 제거한다. 그것의 물 세척은, 산 제거를 위해 충분하다. 여전히 잔존하는 과도한 산이 활성탄의 용량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경우, 중성화를 통해 그것을 제거할 수 있다. 산을 그것으로부터 제거한 후, 활성탄을 실온에서 건조시키거나, 대기압 하 및/또는 감압 하에서 열 건조시킨다. 그러나, 활성탄이 전극으로 성형되는 경우, 이 단계에서 지나친 건조는 무의미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 활성탄은 그것의 전극으로서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로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활성탄은 IR(적외선) 분광측정에서 1600 내지 1800 cm-1에서 흡수 피크를 보인다. 활성탄의 IR 흡광측정을 위해, 예를 들어 분말 또는 고체 반사법, 액체 파라핀 분산법, KBr 정제법 (이후, KBr 법이라 약칭함) 을 포함한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R 분광측정을 위한 활성탄의 양은 IR 광선이 투과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세하게, KBr 법에서의 활성탄의 농도는 KBr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 %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 일 수 있다.도 1 은 이하 기술될 실시예 3 의 활성탄의 흡수 스펙트럼이고; 도 2 는 실시예 5 의 활성탄의 IR 흡수 스펙트럼이며; 도 3 은 120 ℃에서 6 시간 동안 10 % 질산으로 처리한 활성탄의 IR 흡수 스펙트럼이고; 도 4 는 산으로 처리하지 않은 페놀계 수지 (Kuraray Chemical 사의 BP-20) 의 활성탄의 IR 흡수 스펙트럼이다.
여기에서 수득되는 활성탄은 물과의 친화성이 강하다. 직접적으로 또는, 성형한 후, 그것을 물 처리기에서 물을 처리하는데 사용하여, 그것이 유리 염소, 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기타 소량의 유해 물질들을 물로부터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커패시터용으로, 그것을 바람직하게 전극으로 성형한다. 활성탄을 전극으로 성형하기 위해,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예를 들어 임의적으로 결합제로 잘 알려진, 수 % 이하의 시판용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과 잘 혼합한 후, 압력 하에 몰드에서 성형하거나, 시이트로 말고, 원하는 형상을 갖는 전극으로 타출한다(찍어 낸다). 이 공정에서, 원할 경우, 활성탄을 가열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과하게 가열할 경우, 그것과 함께 임의 혼합된 결합제가 분해되고, 이에 부가적으로 활성탄의 표면, 예컨대 비표면적의 본질을 이루는 활성탄의 물리적 성질이 고온 열 처리로 인해 나쁜 영향을 받게 되므로, 과한 가열을 좋지 않다. 그러므로, 당연히 본 공정에 있어 온도 조건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활성탄을 성형할 동안, 유전성 카본, 금속 미립자 등과 같은 유전성 물질을 거기에 첨가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전극의 저항을 낮춘다. 그와 같은 유전성 물질을 활성탄에 첨가함은, 제조하고자 하는 분극성 전극의 내부 저항성을 낮추고,전극의 체적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이처럼 제조된 전극은 바람직하게 실용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장착된다. 커패시터의 한 구현예의 개요가 도 5 에 나와 있다 (거기에서, (1) 및 (2) 는 집전부재이고, (3) 및 (4) 는 본 발명의 활성탄을 함유한 분극성 전극이며, (5) 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이고, (6) 은 스테인레스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참고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영역이 제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들에서의 IR 분광측정값은, 실험적 조건으로서 KBr 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들이다. 즉, 10 mg 의 활성탄 및 1 g 의 KBr 의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압착성형기기를 이용하여, 1000 kg/cm2의 압력 하에, 정제로 성형한 후, 그 정제를 적외선(IR) 분광측정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참고실시예 1 :
C2O 및 H2O 의 혼합물인 연소 기체로부터 발생된 배출 가스 대기 중에서 활성화 10 g 의 코코넛 쉘 카본 (Kuraray Chemical 사의 YP-17)을 온도계 및 교반기가 장착된 3목 플라스크에 넣고, 거기에 20 g 의 농축 황산을 첨가한다. 이에, 플라스크 내부를 질소로 치환한다. 그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를 200 ℃ 에서 가열된 오일 중탕에 넣고, 그 내용물은 2 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500 g 의 빙수에 첨가한다. 이처럼 처리된 활성탄을 그 안에잘 분산시킨 후, 여과로 취해, 2 리터의 이온교환수로 세척한다. 이와 같이 세척한 후, 활성탄을 감압 하에 100 ℃에서 가열 건조시킨다. 그 중량은 10.7 g 이다.
참고실시예 2 :
10 g 의 석탄 피치 (ADCHEMCO 사의 PM-BL) 및 85 % 수산화칼륨을 온도계 및 교반기가 장착된 2-인치 하스텔로이(Hastelloy)제 반응기에 넣는다.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하고, 그 내용물을 200 ℃/시간의 가열 속도로 질소 기류 대기 중에 700 ℃ 까지 가열한다. 700 ℃에서, 이를 2 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한 후, 2 시간에 걸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증류수 버블기를 통과한 질소를 반응기에 1 시간 동안 두고, 반응기 내 혼합물을 10 % 염산으로 중성화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염을 제거한다. 건조 후, 6.8 g 의 피치 탄을 수득한다.
6 g 의 피치 탄을 3-목 플라스크에 넣고, 거기에 20 g 의 농축 황산을 첨가한다. 이에, 플라스크 내부를 질소로 치환한다. 그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를 200 ℃ 에서 가열된 오일 중탕에 넣하고, 그 내용물은 2 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500 g 의 빙수에 첨가한다. 이처럼 처리된 활성탄을 그 안에 잘 분산시킨 후, 여과로 취해, 2 리터의 이온교환수로 세척한다. 이와 같이 세척한 후, 활성탄을 감압 하에 100 ℃에서 가열 건조시킨다. 이처럼 처리된 활성탄의 중량은 5.8 g 이다.
참고실시예 3 :
탄소질 페놀계 레졸 수지 (Showa Polymer 사의 BBL141B) (석탄 피치는 아님)를 참고실시예 2 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이에 4.1 g 의 산 처리된 페놀계 수지 활성탄이 수득된다.
참고실시예 4 :
50 g 의 황산 및 20 g 의 활성탄의 부직포 (Kuraray Chemical 사의 ACF)를 유리 배트 (glass vat)에 넣고, 이에 부직포를 황산 중에 실온에서 30 분간 침적 처리시킨다. 침적 처리시킨 후, 부직포를 통에서 꺼내어, 30 분간 방치하여, 그것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한다. 다음, 이를 질소 기류 대기 중에 15 분간 건조시킨 후, 건조로 (drier furnace) 에 15 분간 220 ℃ 가열 하, 건조시킨다. 이에 건조된 활성탄의 부직포를 200 g 의 순수 물에 넣고, 산을 그것으로부터 제거한다. 이 처리를 3 회 반복하고, 사용된 순수 물이 산성이 아님을 확인한다. 이에 처리된 부직포를 탈수시키고, 50 ℃에서 열풍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후, 동일 온도에서 10 시간 동안 더욱 진공 건조시킨다. 이처럼 황산으로 처리하고 건조시킨 활성탄의 부직포의 중량은 19.3 g 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
참고실시예 1 에서 수득된 200 g 의 활성탄을 직경 40 mm 및 길이 90 mm 의 실린더형 컨테이너에 채운다. 한편, 유리 염소 농도 기준으로 2 ppm 의 소듐 히포클로라이트를 전 유기탄소(TOC) 농도가 2.5 ppm 인 강물에 첨가한다. 이에, 클로로포름, 브로모포름,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및 디브로모클로로메탄을 각기 50 ppb, 20 ppb, 20 ppb 및 20 ppb 첨가하여, 시험용 원수를 제조한다. 이처럼 제조된 시험용 원수를 2 시간 동안 유속 공간속도(SV) 600 hr-1로 컨테이너에 통과시킨다. 이처럼 처리하여, 시험용 원수를 JIS K-0125 에 따라 분석하여, 그 안에 있는 클로로포름 양 및 4 가지 트리할로메탄의 총량을 측정한다. 그 안의 클로로포름의 양은 2 ppb 이하이고, 트리할로메탄의 총량은 8 ppb 이하이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시험용 원수를 산으로 처리되지 않은 코코넛 쉘 카본 (Kuraray Chemical 사의 YP-17)에 통과시키고, 상기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한다. 그 안의 클로로포름의 양은 50 ppb 이고, 트리할로메탄의 총량은 90 ppb 이다.
실시예 2 :
참고실시예 1 에서 수득된 활성탄을 평균 입자 크기 5 내지 20 μ인 활성탄 분말로 분쇄한다. 80 중량 % 의 활성탄 분말, 10 중량 % 의 유전성 카본 및 10 중량 % 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혼합물을, 그것들을 혼련함으로써 제조한다. 그 후, 혼합물을 두께 300 ㎛ 의 시이트로 롤링하고, 직경 2 cm 의 원반형으로 타출한다. 원반을 150 ℃에서 감압 하에 4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이는 시이트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80 ℃ 이하의 이슬점을 갖는 글로우 박스에서, 도 5 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집전 전극, 원반형 분극성 전극 시이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원반형 분극성 전극 시이트 및 집전 전극을 스테인레스 커버 상에 차례로 적층하고, 1 mol 의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분극성 전극에 침투시킨다. 이에, 스테인레스 커버를 폴리프로필렌의 단열 개스켓으로 봉한다. Hioki Electric 사의 이중층 커패시터 테스터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제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해 정전 용량 측정을 위한 시험을 수행한다. 간략히, 그것을 실온에서 방출전사이클 테스트를 10회 행하며, 거기에 정전류 2.5 V 이하를 건다.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평균값을 시험에서 수득된 방전 커브 상에 읽은 결과, 15.4 F/cc 이다.
실시예 3 내지 10, 비교예 2 내지 3 :
페놀계 수지의 활성탄 (Kuraray Chemical 사의 BP-20)을 참고실시예 1 과 같은 방식에 따라 산으로 처리한다 (실시예 3 내지 5, 7, 8 및 10). 활성탄 YP-17 도 또한 참조 실험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에 따라 산으로 처리한다 (실시예 6 및 9). 산으로 처리하지 않은 활성탄 BP-20 및 YP-17 은 각기 비교예 2 및 3 이다. 이들에 대해 정전 용량을 시험하고, IR 분광법을 통해 분석하며, 이에 얻어진 데이터가 표 1 에 나와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5, 실시예 10 및 비교예 2 의 활성탄의 IR 스펙트럼이 도 1, 2, 3 및 4 에 각기 나와 있다.
탄소질 재료 산 처리 정전 용량(F/cc) KBr법의IR피크(cm-1)
실시예 2 YP-17 황산, 200℃ x 2hr 15.4 1715
실시예 3 BP-20 황산, 200℃ x 2hr 16.7 1710
실시예 4 BP-20 황산, 100℃ x 2hr 15.8 1711
실시예 5 BP-20 황산, 250℃ x 2hr 17.1 1726
실시예 6 YP-17 폴리인산, 140℃ x 2hr 15.0 1715
실시예 7 BP-20 폴리인산, 140℃ x 2hr 16.5 1720
실시예 8 BP-20 인산, 200℃ x 2hr 15.6 1720
실시예 9 YP-17 10% 질산 수용액, 120℃ x 6hr 15.0 1720
실시예 10 BP-20 10% 질산 수용액, 120℃ x 6hr 16.5 1710
비교예 2 BP-20 비처리 14.1 1580
비교예 3 YP-17 비처리 12.7 1580
실시예 11 :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참고실시예 2 에서 처리된 피치 탄에 대해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을 통해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1 에 나와 있다.
실시예 12 내지 14 :
참고실시예 2 및 3 의 탄소질 재료를 하기 표 2 에 나와 있는 조건 하에 산으로 처리한다. 이처럼 처리된 활성탄에 대해,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을 통해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2 에 나와 있다.
비교예 4 및 5 :
산으로 처리하지 않은 피치 탄 및 수지 탄에 대해,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을 통해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2 에 나와 있다.
탄소질 재료 산 처리 정전 용량(F/cc) KBr법의IR피크(cm-1)
실시예 11 피치 탄 황산, 200℃ x 2hr 24.0 1720
실시예 12 수지 탄 황산, 200℃ x 2hr 21.2 1715
실시예 13 피치 탄 폴리인산, 140℃ x 2hr 24.3 1718
실시예 14 수지 탄 폴리인산, 140℃ x 2hr 20.1 1720
비교예 4 피치 탄 비처리 22.0 1550
비교예 5 수지 탄 비처리 19.1 1575
실시예 15 :
참고실시예 4 에서 수득된 활성탄의 부직포를 직경 2 cm 의 원반으로 타출한다. 원반을 150 ℃에서 감압 하에 4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이는 시이트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80 ℃ 이하의 이슬점을 갖는 글로우 박스에서, 도 5 에나와 있는 바와 같이, 집전 전극 (2), 원반형 분극성 전극 시이트 (4),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5), 원반형 분극성 전극 시이트 (3) 및 집전 전극 (1) 을 스테인레스 커버 (6) 상에 차례로 적층하고, 1 mol 의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 분극성 전극에 침투시킨다. 이에, 스테인레스 커버를 폴리프로필렌의 단열 개스켓으로 봉한다. Hioki Electric 사의 이중층 커패시터 테스터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제조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해 정전 용량 측정을 위한 시험을 수행한다. 간략히, 그것을 실온에서 방출전사이클 테스트를 10회 행하며, 거기에 정전류 2.5 V 이하를 건다. 커패시터의 정전 용량의 평균값을 시험에서 수득된 방전 커브 상에 읽은 결과, 40.1 F/g 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활성탄에 대해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 IR 피크가 하기 표 3 에 나와 있다.
실시예 16 :
분극성 전극을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활성탄의 부직포를 인산으로 처리한다. 활성탄에 대해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으로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3 에 나와 있다.
실시예 17 :
분극성 전극을 실시예 15 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황산으로 처리된 활성탄의 부직포를 200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활성탄에 대해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으로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3 에 나와 있다.
비교예 6 :
분극성 전극을 산으로 처리하지 않은 활성탄의 부직포로부터 제조한다. 활성탄에 대해 정전 용량 시험을 행하고, IR 분광법으로 분석한다. 수득된 데이터가 표 3 에 나와 있다.
탄소질 재료 산 처리 정전 용량(F/g) KBr법의IR피크(cm-1)
실시예 15 ACF 황산, 220℃ x 15min 40.1 1715
실시예 16 ACF 황산, 220℃ x 15min 38.3 1718
실시예 17 ACF 황산, 200℃ x 2hr 39.2 1720
비교예 6 활성탄의 부직포 비처리 31.1 1530
본 발명에 따라, 물과의 친화성이 크고, 정전 용량이 큰 활성탄이 수득된다. 그 활성탄은 물 처리에 적합하다. 그것은, 성형 후, 커패시터용 전극으로 유리하다.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현예들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당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있어 본 발명의 취지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화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8)

  1.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시킨 후, 그것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활성탄.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로 활성화되는 활성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산으로 처리되는 활성탄.
  4. 제 3 항에 있어서, 황산 또는 희석된 질산으로 처리되는 활성탄.
  5. 제 3 항에 있어서, 임의의 인산으로 처리되는 활성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R 분광법의 IR 흡수 피크가 1600 내지 1800 cm-1의 범주 내에서 발견되는 활성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성탄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
  8. 탄소질 재료를 활성화한 후, 그것을 승온에서 산으로 처리함을 포함하는 활성탄의 제조 방법.
KR1020000067430A 1999-11-16 2000-11-14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744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27999 1999-11-16
JP99-325279 1999-11-16
JP32985799 1999-11-19
JP99-329857 1999-11-19
JP2000075809 2000-03-17
JP2000221784 2000-07-24
JP2000-75809 2000-07-24
JP2000-221784 2000-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68A true KR20010086268A (ko) 2001-09-10
KR100744984B1 KR100744984B1 (ko) 2007-08-02

Family

ID=27480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30A KR100744984B1 (ko) 1999-11-16 2000-11-14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9904B1 (ko)
EP (1) EP1103523B1 (ko)
KR (1) KR100744984B1 (ko)
CN (1) CN1183033C (ko)
DE (1) DE60043645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2B1 (ko) * 2002-06-20 2005-03-10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리그노셀룰로오즈계 성형활성탄 제조방법
KR100803740B1 (ko) * 2006-02-13 2008-02-15 오희범 필터조립체의 활성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5191B1 (ko) * 2007-08-28 2009-03-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철촉매 이온교환법을 이용하는 메조포아 활성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76617B1 (en) * 2000-07-25 2010-09-22 Kuraray Co., Ltd. Activated carb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able electrode,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KR20040108755A (ko) 2002-04-22 2004-12-24 구라레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활성탄의 제조방법, 분극성 전극 및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JP4238830B2 (ja) * 2002-07-30 2009-03-18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活性炭、その製造方法、分極性電極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0834410B1 (ko) * 2003-12-05 2008-06-09 니혼쇼꾸세이가부시끼가이샤 음이온 흡착 탄소 재료와 그 제조 방법
US20080063592A1 (en) * 2004-05-20 2008-03-13 Kuraray Chemical Co., Ltd Spherical Active Carb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GB0516154D0 (en) * 2005-08-05 2005-09-14 Ntnu Technology Transfer As Carbon membranes
WO2007105802A1 (ja) * 2006-03-10 2007-09-20 Nippon Oil Corporation カーボン系固体酸、それからなる触媒およびそれを触媒として用いる反応
RU2472702C2 (ru) * 2007-02-14 2013-01-20 Университи оф Кентукки Ресеарч Фоундатион Инк. Способы формирования активированного углерода
CN101423210B (zh) * 2008-10-20 2012-05-30 浙江富来森竹炭有限公司 一种用生物质材料为原料的极性电极用活性炭的制造方法
DE102010031012A1 (de) 2010-07-06 2012-01-12 Sgl Carbon Se Hochreiner poröser Kohlenstoff für Doppelschichtkondensatoren
CA2834780C (en) * 2011-05-03 2016-08-23 Axion Power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sheet for an electrode
CN102397852B (zh) * 2011-11-08 2013-08-14 江苏竹溪活性炭有限公司 活性炭酸洗装置
WO2014078834A1 (en) 2012-11-19 2014-05-22 Aquion Energy In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ical interconnection
US20140291246A1 (en) 2013-03-16 2014-10-02 Chemica Technologies, Inc. Selective Adsorbent Fabric for Water Purification
US20160075567A1 (en) * 2013-05-02 2016-03-17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Manufacture of oxidatively modified carbon (omc) and its use for capture of radionuclides and metals from water
JP6119849B2 (ja) * 2013-05-22 2017-04-26 富士通株式会社 吸着式ヒートポンプ用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着式ヒートポンプ
SG11201600627UA (en) 2013-07-27 2016-03-30 Farad Power Inc Sol-gel method for synthesis of nano-porous carbon
CN206273779U (zh) 2013-12-18 2017-06-23 碧然德公司 倾倒时过滤器系统
US10654725B2 (en) 2013-12-18 2020-05-19 Brita Lp Filter assembly for filter as you pour filtration
US10351442B2 (en) 2013-12-18 2019-07-16 Brita Lp Flow control device for filter as you pour system
US10604420B2 (en) 2013-12-18 2020-03-31 Brit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oir free and ventless water filtering
US11066311B2 (en) 2013-12-18 2021-07-20 Brita I.P Method of using a filter media for filtration
CN103922336A (zh) * 2014-04-05 2014-07-16 南开大学 一种活性炭的处理方法
CN104129785B (zh) * 2014-07-27 2016-04-06 许盛英 酸化后的活性炭
CN104779072A (zh) * 2015-04-02 2015-07-15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改性废弃pvc基活性炭负载氧化镧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779076A (zh) * 2015-04-02 2015-07-15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掺杂银锑合金的复合活性炭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10427951B2 (en) 2015-08-20 2019-10-01 Brita Lp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system
US10391427B2 (en) 2015-09-30 2019-08-27 Brita Lp Filter design with interchangeable core cover
US10765973B2 (en) 2015-09-30 2020-09-08 Brita Lp Filter core configuration
CA3000308C (en) 2015-09-30 2023-05-09 Brita Lp Filter cartridge placement in filter as you pour system
KR101976500B1 (ko) * 2016-07-04 2019-08-2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활성탄소의 제조방법
CN109865508A (zh) * 2019-04-09 2019-06-11 福建农林大学 一种超声辅助熔融共晶碱再生废弃活性炭的方法
CN110233060B (zh) * 2019-04-30 2021-06-22 杭州星宇炭素环保科技有限公司 活性炭金属氧化物电极材料及其合成工艺
CN110240161B (zh) * 2019-07-10 2022-07-12 合肥工业大学 一种通过酸性矿山废水强化储能效率的秸秆基活性炭超级电容器电极材料的制备方法
WO2022108791A1 (en) * 2020-11-18 2022-05-27 Entegris, Inc. Modified carbon adsorbe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2692A (en) * 1978-06-15 1979-12-24 Toho Rayon Co Ltd Removing method for compound coordinating to metal
JPS591771A (ja) * 1982-06-23 1984-01-07 東邦レーヨン株式会社 繊維状活性炭の製造法
US4604788A (en) * 1985-06-17 1986-08-12 The Standard Oil Company Method for making electrodes for double layer capacitors
JPS6263415A (ja) * 1985-09-13 1987-03-20 株式会社クラレ 電気二重層キヤパシタ
GB8724211D0 (en) 1987-10-15 1987-11-18 British Petroleum Co Plc Activation of carbons
US5021164A (en) * 1988-12-27 1991-06-04 Olin Corporation Oxidized activated carbon and its use in removal of aromatic compounds from aqueous solutions
EP0514545A4 (en) 1990-02-09 1993-03-1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arbonaceous material with high electrostatic capacitance
EP0490317B1 (en) * 1990-12-13 1994-06-0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Active carbon material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JPH05258996A (ja) 1992-03-09 1993-10-08 Mitsubishi Kasei Corp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ー用電極
EP0663370B1 (en) * 1992-05-27 2001-08-29 Jca, Ltd. Method of producing active carbon from waste tires
JP3440515B2 (ja) 1993-12-07 2003-08-25 三菱化学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ー用電極
US5965479A (en) * 1995-02-03 1999-10-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ctivated carb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060424A (en) * 1995-09-28 2000-05-09 Westvaco Corporation High energy density carbons for use in double layer energy storage devices
JPH09225454A (ja) * 1996-02-28 1997-09-02 Takeda Chem Ind Ltd 湿潤活性炭及びその保存方法
JP3537581B2 (ja) * 1996-03-04 2004-06-14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水銀吸着剤
US5891822A (en) * 1996-09-17 1999-04-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ion process of active carbon used for electrode for organic solvent typ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JP4113596B2 (ja) 1997-01-07 2008-07-09 関西熱化学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用炭素材の製造法
RU2131767C1 (ru) * 1997-05-28 1999-06-20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ого адсорбента высокой чистоты
US6225256B1 (en) * 1997-06-04 2001-05-01 New Mexico State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Corporation Activated carbon feedsto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12B1 (ko) * 2002-06-20 2005-03-10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리그노셀룰로오즈계 성형활성탄 제조방법
KR100803740B1 (ko) * 2006-02-13 2008-02-15 오희범 필터조립체의 활성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5191B1 (ko) * 2007-08-28 2009-03-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철촉매 이온교환법을 이용하는 메조포아 활성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3523B1 (en) 2010-01-06
CN1295973A (zh) 2001-05-23
EP1103523A2 (en) 2001-05-30
EP1103523A3 (en) 2002-04-10
KR100744984B1 (ko) 2007-08-02
US6589904B1 (en) 2003-07-08
CN1183033C (zh) 2005-01-05
DE60043645D1 (de)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984B1 (ko)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lwar Characteristics of pore structures and surface chemistry of activated carbons by physisorption, Ftir And Boehm methods
KR101751370B1 (ko) 고활성 표면적을 갖는 활성탄
Gundogdu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novel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tea industry waste
JP3446339B2 (ja) 活性炭の製造方法
CA2353770C (en) Activated carb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able electrode,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RU2447531C2 (ru) Композит, содержащий карбонизованные биополимеры и углеродные нанотрубки
JP5781992B2 (ja) 塩基性官能基を付与した非経口用吸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Soudani et al. Influence of nitric acid concentration on characteristics of olive stone based activated carbon
JP7397093B2 (ja) 分子状極性物質吸着炭
KR101871174B1 (ko) 커피콩 추출물을 이용한 활성 탄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JP2005123462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その電極用活性炭とその製造方法
JP2007302512A (ja) 活性炭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4864238B2 (ja) 活性炭とその製造方法
JP6288663B2 (ja)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US3501272A (en) Carbon purification process
JP2002104816A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7010B1 (ko) 응답특성이 빠른 고축전 수퍼캐패시터 전극의 제조 방법
Zh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preparation of active carbon with cottonwood based on phosphoric acid activation method
CN116529207A (zh) 碳质材料及其制造方法、含氟有机化合物去除材料、净水用过滤器和净水器
Kalyani et al. Phytomass-Derived Multifunctional Activated Carbon as a “Wonder-Material”: A Paradigm Shift of Filth-to-Wealth
JP2016026985A (ja) 活性炭の製造方法
KR100671154B1 (ko) 메조페이스 핏치를 이용한 고축전 수퍼캐패시터 전극제조방법
JP2008137878A (ja) 活性炭の製造方法
WO2007132936A1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電極用炭素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