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914A - 다극커넥터 - Google Patents

다극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914A
KR20010081914A KR1020000028821A KR20000028821A KR20010081914A KR 20010081914 A KR20010081914 A KR 20010081914A KR 1020000028821 A KR1020000028821 A KR 1020000028821A KR 20000028821 A KR20000028821 A KR 20000028821A KR 20010081914 A KR20010081914 A KR 2001008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pieces
contact
bos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464B1 (ko
Inventor
시치다아키히토
우노유타카
Original Assignee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하시 켄지,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하시 켄지
Publication of KR2001008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9Electrical connectors with grounding to metal mounting panel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두플러그를 상대방커넥터로서 사용하는 다극커넥터에 있어서, 소형화를 저해하는 일없이 다극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키낮은 상자형의 보디(10)에 보스부분(30)을 돌출시킨다. 보디(10)에 복수의 기정접편을 짜붙임으로써, 이들 기정접편에 의해서 복수극을 확보한다. 보스부분(30)의 외주축과 내주축에 소요수의 제 1부가 접편(40)과 소요수의 제 2부가 접편(50)을 배치구비함으로써, 이들 부가접편(40),(50)에 의해서 2극이상의 극수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것이다.

Description

다극커넥터{multipolar connector}
본 발명은, 다극커넥터, 특히 축방향복수개소에 중심전극을 구비한 전극축을 가진 단두(單頭)플러그를 상대방커넥터로서 사용하는 형상의 다극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단두 플러그의 전극축의 삽입공간을 구비한 보디의 상기 삽입공간에 복수의 접편을 짜넣은 구조의 재크형의 다극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주지되어 있다. 이 종류의 다극커넥터에서는, 휴대전화나 휴대형 카세트테이프레코더, 래디오수신기 등에의 용도가 개발되고 있는중에, 작금의 기기의 소형화에 대응해서 그 초소형화가 요구되고, 또한 기기의 다기능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더욱더 다극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상황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보디의 앞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부를 이용해서 접편을 형성함으로써 극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기본으로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다극커넥터의 대형화를 가급적 회피한데다가 다극커넥터의 극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극커넥터를 비스듬히 앞쪽에서 본개략사시도
도 2는 제 1부가 접편과 제 1장착판부를 표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기정접편의 개략사시도
도 4(A)는 다른 기정접편의 개략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IVB시시도
도 5는 또다른 기정접편의 개략사시도
도 6은 제 2부가접편의 개략사시도
도 7(A)는 도 6의 VIIA시시도, 도 7(B)는 도 6의 VIIB시시도, 도 7(C)는 도 6의 VIIC시시도
도 8은 도 1에 표시한 다극커넥터의 개략수평단면도
도 9는 다극커넥터의 개략정면도
도 10은 다극커넥터를 보디의 앞끝부근에서 수직으로 절단했을 경우의 개략단면도
도 11은 삽입공간에 상대방 커넥터의 전극축을 삽입한 상태에서의 도 10에 대응하는 개략단면도
도 12는 상대방커넥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다극커넥터 10: 보디
14: 삽입공간 15, 25: 장착홈부분
30: 보스부분 31: 결원(欠圓)부분
32: 폭좁은부분 33: 폭넓은부분
34: 결제(欠除)부분 35: 다붙임개소
37: 삽발구(揷拔口) 40: 제 1부가접편(付加接片)
41: 제 1장착판부분 42: 제 1부가접점(付加接点)
50: 제 2부가접편 52, 53: 외향설편(舌片)
58: 제 2부가접점 60, 70, 80: 기정접편(旣定接片)
63, 73, 83: 기정접점(旣定接点) 81: 장착판부분
90: 상대방커넥터 91: 전극축
92, 93, 94, 95: 중심전극 96: 주변전극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극커넥터를 설명한다. 또한, 이 난에서 도면중의 부호를 사용한 것은, 발명의 내용의 이해를 도우기 위한 것으로써, 내용을 도면예에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커넥터는, 축방향복수개소에 중심전극 92∼95를 구비한 전극축(91)과 이 전극축(91)의 밑동에 간격을 두고 그 밑동의 바깥쪽에 대향배치 구비된 적어도 1개의 주변전극(96)을 구비하는 단두플러그가 상대방커넥터(90)로서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극커넥터에서는, 상기 전극축(91)의 삽입공간(14)을 구비한 보디(10)에, 상기 삽입공간(14)에 삽입된 상기 전극축(91)의 밑동의 중심전극(95)을 제거한 나머지의 다른 복수의 중심전극 91∼94에 각각 따로 접촉하는 기정접점(63),(73),(83)을 구비한 복수의 기정접편(60),(70),(80)이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보디(10)의 앞끝에 통형상의 보스부분(30)이 돌출형성되어서 그 보스부분(30)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14)에 연이어 통하는 삽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다극커넥터에서는, 복수의 기정접편(60),(70),(80)에 의해서 소정의 극수 예를 들면 제 1극으로부터 제 3극까지의 3개의 극수가 확보되고, 그것보다 많은수의 극수가 상기 보스부분(30)의 외주측이나 내주측에 배치구비된 부가접편에 의해서 확보된다. 또한, 보스부분(30)의 외주측에 배치구비된 부가접편에 의해서 1개 또는 복수의 극수가 확보되고, 보스부분(30)의 내주측에 배치구비된 부가접편에 의해서도 1개 또는 복수의 극수가 확보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극코넥터에서는, 상기 보스부분의 외주측의 적어도 1개소에 판자조각형상의 제 1부가접편(40)의 배치구비개소가 형성되고, 이 배치구비개소에 배치구비된 상기 제 1부가접편(40)이 이 제 1부가접편(40)에 대응해서 상기 상대방커넥터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주변전극(96)에 접촉되는 제 1부가 접점(4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보스부분(30)의 내주측의 적어도 1개소에 제 2부가접편(50)의 배치구비개소가 형성되고, 이 배치구비개소에 배치구비된 상기 제 2부가접편(50)이 이 제 2부가접편(50)에 대응해서 상기 상대방코넥터의 상기 전극축(91)의 밑동에 구비되어 있는 중심전극(95)에 접촉되는 제 2부가접점(58)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1부가접편(40)의 수와 제 2부가접편(50)의 수를 합한것만큼의 극수가, 상기한 기정접편(60),(70),(80)에 의해서 확보되어 있는 극수에 부가된다.또, 보스부분(30)을 이용해서 형성되는 제 1부가접편(40)의 형상이 판자조각형상이므로, 그 제 1부가접편(40)을 링형상 내지 원통형상으로 가공하는 경우에 비하면, 형상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쉽게된다. 특히, 제 1부가접편(40)을 보스부(30)의 좌우의 적어도 한쪽의 열부분에 형성할 수 있고, 그와 같이 해두면, 제 1부가접편(40)이나 그 제 1부가접점(42)이 보디(10)의 상부면의 위쪽이나 하부면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어져서 다극커넥터가 키가 높아짐으로 인한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상기 보스부분(10)은 그 둘레벽의 바깥쪽부분의 일부를 결제(欠除)함으로써 형성된 평탄한 결원부분(31)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결원부분(31)이 상기 제 1부가접편(40)의 배치구비개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그 제 1부가 접편(40)의 배치구비위치를 보스부분(30)의 중심에 접근시킬 수 있고, 그 일이 다극커넥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일에 도움이 된다.
상기 제 1부가접편(40)은, 상기 보디(10)에 고정된 제 1장착판부분(41)을 가지고, 또한, 그 제 1장착판부분(41)으로부터 상기 보스부분(30)의 상기 결원부분(31)의 외면을 따라서 앞을 향해뻗어나가 그 결원부분(31)의 외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당해 다극커넥터를 소형화해도 제 1부가접편(40)을 제 1장착판부분(41)을 개재해서 무리없이 짜붙이는 일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제 1장착판부분(41)이, 상기 보디(10)의 앞끝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뻗는 장착홈부분(15)에 삽입된 상태로 그 보디(10)에 고정되어 있다.고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제 1부가접편(40)의 제 1장착판부분(41)을보디(10)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장착홈부분(15)에 삽입해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부가접점(42)이, 상기 보스부분(30)의 상기 결원부분(31)에 의해서 형성된 결원공간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보디(10)의 삽입공간(14)에 상대방커넥터의 전극축(91)을 삽입하기만 하면, 상대방커넥터의 주변전극(96)에 제 1부가접점(42)이 반드시 접촉한다. 그때문에, 제 1부가접점(42)과 상대방커넥터의 주변전극(96)과의 접촉안정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스부분(30)의 둘레벽의 둘레방향의 1개소에, 이 보스부분(30)의 앞끝쪽에 폭좁은 부분(31)이 위치하고 이 폭좁은부분(32)에 연결되는 폭넓은부분(33)이 이 보스부분(30)의 뒤끝쪽에 위치하는 결제부분(34)이 구비되고, 상기 보스부분(30)의 내주쪽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 2부가접편(50)의 배치구비개소에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 2부가접편(50)이 배치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제 2부가접편(50)과 상기 보스부분(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어 있고, 이 제 2부가접편(50)은 그 원고리부분(51)의 둘레방향의 1개소가 분할되어서 그 분할부분에서 서로 대향하는 끝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1쌍의 외향설편(舌片)(52),(53)을 가지고, 이들 외향설편(52),(53)이 상기 결제부분(34)의 폭넓은부분(33)에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외향설편(52),(53)이 상기 원고리부분(51)의 확대수축변형에 따라서 상기 폭넓은부분(33)의 내부에서 접근이반(離反)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1쌍의 상기 외향설편(52),(53)은, 상기 원고리부분(51)에 삽입된 상대방커넥터의 전극축(91)에 의해서 그원고리부분(51)이 확대되었을때에 이반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결제부분(34)의 폭좁은부분(32)과 넓은부분(33)과의 경계부분의 단붙이개소(35)에 상기 보스부분(30)의 축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커넥터의 전극축(91)을 제 2부가접편(50)의 원고리부분(51)에 삽입하고 있을때에는, 제 2부가접편(50)의 원고리부분(51)의 1쌍의 외향설편(52),(53)이 보스부분(30)쪽의 결제부분(34)의 폭넓은부분(33)속에서 이반방향으로 변위해서 상기 단붙이개소(35)에 보스부분(30)의 축방향에서 대향한 상태로된다. 그 때문에, 상대방커넥터를 뽑아낼때에, 상기 외향설편(52),(53)이 상기 단붙이개소(35)에 걸어맞춤해서 제 2부가 접편(50)의 함께 빠짐을 저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다극커넥터에서는, 3개의 상기 기정접편(60),(70),(80)과 1개씩의 제 1부가접편(40) 및 제 2부가접편(50)에 의해서 5개의 극수가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하면, 5극을 가진 다극커넥터를 형성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3개의 상기 기정접편(60),(70),(80)중의 2개의 기정접편(60),(70)이 상기 삽입공간의 좌우양쪽에 각각 따로 배치구비되어 있고, 나머지의 1개의 기정접편(80)이, 상기 2개의 기정접편(60),(70)중의 한쪽의 기정접편(60)의 앞쪽에 배치구비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하면, 3개의 기정접편(60),(70),(80)을 무리없이 보디(1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고, 그것이 보디(10)의 대형화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작용은, 특히, 상기 나머지 1개의 기정접편(80)이 이 기정접편(80)에 연달아 형성된 장착판부분(81)에 대해서 되접어 꺾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기정접편(80)과 장착판부분(81)이,상기 보디(10)에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장착홈부분(25)에 배치구비되어 있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현저히 발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다극커넥터A를 비스듬히 앞쪽에서 본 개략사시도, 도 2는 제 1부가접편(40)과 제 1장착판부분(41)을 표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기정접편(60)의 개략사시도, 도 4(A)는 기정접편(70)의 개략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IVB시시도, 도 5는 기정접편(80)의 개략사시도, 도 6은 제 2부가접편(50)의 개략사시도, 도 7(A)는 도 6의 VIIA시시도, 도 7(B)는 도 6의 VIIB시시도, 도 7(C)는 도 6의 VIIC시시도, 도 8은 도 1에 표시한 다극커넥터A의 개략수평단면도, 도 9는 다극커넥터의 개략 정면도, 도 10은 보디(10)를 앞끝부근에서 수직으로 절단한 경우의 개략단면도, 도 11은 상대방커넥터의 전극축을 삽입한 상태에서의 도 10에 대응하는 개략단면도, 도 12는 상대방커넥터(90)의 측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다극커넥터 A의 보디(10)은 키낮은 직6면체의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면(11)과 하부면(12)(도 9 또는 도 10참조)이 평탄하게 되어있다. 보디(1)의 앞면(13)은 가로가 긴 평탄면으로 되어있고, 그 앞면(13)의 중앙부에, 보디(10)와 일체로 성형된 합성수지제의 보스부분(30)이 앞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분(30)은, 둘레벽의 바깥쪽 부분의 일부를 결제함으로써 평탄하게 형성된 결원부분(31)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결원부분(31)이 제 1부가접편(40)의 배치구비개소로 되어 있다. 도면예의 다극커넥터A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보스부분(30)의 직경치수는, 보디(10)의 상부면(11)과 하부면(12)과의 간격치수(보디(10)의 높이치수)보다도 크게되어 있고, 또한 그 보수부분(30)의 상하의 각 일부가 평탄하게 되도록 결제되어서 보디(10)의 상부면(11)이나 하부면(12)과 거의 한면으로 되어 있지만, 이점은 보수부분의 상호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원호형상부분이 보디(10)의 상하에 돌출해 있어도 된다.
도 1 또는 도 9와 같이, 보스부(30)의 둘레방향의 1개소(도면예에서는 정상부)에, 이 보수부분(30)의 앞끝쪽에 폭좁은 부분(32)이 위치하고 이 폭좁은부분(32)에 연결되는 폭넓은부분(33)이 보스부분(30)의 뒤끝쪽에 위치하는 절결부분(3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절결부분(34)에 있어서, 폭좁은 부분(32)과 폭넓은부분(33)과의 경계부분에는 단붙이개소(35)가 구비되어 있다. 또, 보스부분(30)의 좌측부분에는 보스부분(30)의 전체길이에 걸친 잘라낸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동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디(10)에는 상대방 커넥터(후술하는)(90)의 전극축(91)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보스부분(30)에는 그 삽입공간(14)에 연이어 통하는 삽발구(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간(14)은 보디(10)의 뒤끝에서 개구하고 있다.
도 1, 도 9, 도 10과 같이, 보디(10)의 앞부분우측에는 보디(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장착홈부분(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보디(10)의 상부면(11)에는, 상기 장착홈부분(15)에 연결된 오목한 곳(1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보디(10)의 앞끝부근의 좌측부분에는, 그 하부면에서 개구하여위쪽으로 뻗는 장착홈부분(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과 같이 보디(10)에는, 상기 삽입공간(14)을 사이에 둔 좌우양쪽에, 뒤끝에서 개방하는 장착홈부분(18),(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보디(10)의 상부면의 (11)뒤끝 근방개소에 걸어맞춤돌기(21)(도 1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보디(10)의 하부면(12)에도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돌기(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제 1부가 접편(40)은 가늘고긴 판자조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바깥쪽으로 팽출한 구면(球面)형상의 제 1부가접점(4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제 1부가접편(40)에 판조각형상의 제 1장착판부분(41)이 연달아형성되어 있다. 제 1장착판부분(41)에는, 그 위가장자리에 걸림편(43)이 접어구부려서 형성되고, 또한, 그 아래가장자리에 납땜단자(44)가 접어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8에 의해서 유추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부가접편(40)은, 제 1장착판부분(41)을 보디(1)의 우측에 형성된 장착홈부분(15)에 앞쪽으로부터 질러넣으므로써 그 장착홈부분(15)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 1장착판부분(41)에 구비시켜놓은 걸림클릭(45)(도 2참조)이, 장착홈부분(15)의 홈벽에 걸어맞춤해서 장착홈부분(15)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한다. 이 장착상태에서는, 도 1 또는 도 8과 같이, 제 1부가접편(40)이, 보스부분(30)의 결원부분(31)의 평탄한 외면을 따라서 앞을 향해서 뻗어나오고, 또한, 그 결원부분(31)의 평탄한 외면과의 사이에 틈새S1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 1부가접점(42)이, 보스부분(30)의 결원부분(31)에 의해서 형성된 결원공간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상기 틈새S1은, 제 1부가접편(40)의 안쪽으로의 변위를 흡수하는데 도움이 된다.제 1장착판부분(41)에 형성되어 있는 납땜단자(44)는, 도 1 또는 도 8과 같이 보디(10)의 아래쪽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부가접편(40)을 보스부분(30)의 결원부분(31)의 평탄한 외면을 따라서 앞을 향해서 뻗어나오도록 배치구비해두면, 제 1부가접편(40)을 보스부분(30)의 중심에 접근시켜 배치구비해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50)은 제 2부가접편이다. 도 6 및 도 7(A)(B)(C)와 같이, 제 2부가접편(50)은 원고리부분(51)을 가지고, 자연상태의 원고리부분(51)의 내경은 도 11에 표시한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의 밑동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되어 있다. 또, 원고리부분(41)은 둘레방향의 1개소가 분할되어서 그 분할부분에서 대향하는 1쌍의 끝부분의 각각에 외향설편(52),(53)이 접어구부린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부가접편(50)을 보스부분(30)에 배치구비하기 전에 있어서는, 1쌍의 외향설편(52),(53)은, 접근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아도 상기 결제부분(34)의 폭좁은 부분(32)에 삽입할 수 있는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원고리부분(51)의 좌축부분에는 불룩하게 나온부분(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불룩하게 나온부분(54)의 뒷끝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판자조각부분(55)이 돌출되고, 이 판자조각부분(55)의 바깥끝으로부터 뒷쪽을 향해서 장착판부분(56)이 뻗어나와 있고, 이 장착판부분(56)에 걸어맞춤클릭(57)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58),(58)은 원고리부분(51)의 2개소에 형성된 제 2부가접점, (59)는 장착판부분(56)에 열달아형성된 납땜단자이다.
제 2부가접편(50)은 보스부분(30)의 내주쪽에 앞쪽으로부터 끼워넣어진다.즉, 도 8과 같이, 장착판부분(56)을 보디(1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부분(17)에 질러넣고, 또한, 원고리부분(51)의 불룩하게 나온부분(54)을 보스부분(30)의 잘라낸구멍(36)에 조금 끼우는 동시에, 1쌍의 외향설편(52),(53)을 보스부분(30)의 결제부분(34)의 폭좁은부분(32)에 조금 끼우고, 그 상태로부터 제 2부가접편(50)을 뒤쪽으로 밀어서 원고리부분(51)를 보스부분(20)에 끼워맞춤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불룩하게 나온부분(54)이 잘라낸구멍(36)에 완전히 끼워지고, 또, 1쌍의 외향설편(52),(53)이 결제부분(34)의 폭넓은부분(3)에 끼워져들어간다. 또, 장착판부분(56)은 장착홈부분(17)에 밀어넣어지고, 걸어맞춤클릭(57)이 보디(10)쪽의 걸어맞춤오목한곳(24)에 걸어맞춤한다. 이 때문에, 원고리부분(51)이 보스부분(30)의 내주쪽에 끼워맞춤형상으로 배치구비된 제 2부가접편(50)은, 걸어맞춤클릭(57)과 걸어맞춤오목한곳(24)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보스부분(30)으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이 장착상태에 있어서, 원고리부분(51)과 보스부분(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도 9에 표시한 틈새 S2가 확보되어 있고, 이 틈새S2에 의해서 원고리부분(51)의 확경이 가능해진다. 또, 납땜단자(59)는, 도 8과 같이 보디(10)의 아래쪽으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보스부분(30)에 제 2부가 접편(50)을 짜붙인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1쌍의 외향설편(52),(53)이 결제부분(34)의 폭넓은부분(33)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져있고, 또한 폭좁은부분(32)에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이 원고리부분(51)에 삽입되면, 원고리부분(51)이 전극축(91)에 의해 확대되고, 그에 따라서 도 1에 표시한 1쌍의 외향설편(52),(53)이 결제부분(34)의 폭넓은부분(33)의 속에서 상호이반방향으로 변위하고, 폭좁은부분(32)과 폭넓은부분(33)과의 경계부분의 단붙이개소(35)에 보스부분(30)의 축방향에서 대향한다. 이 때문에,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을 뽑아낼때에는, 외향설편(52),(53)이 상기 단붙이개소(35)에 걸어맞춤해서 함께 빠짐을 저지한다.
제 2부가접편(50)의 원고리부분(51)은, 상대방커넥터(90)의 끼우고 빼기가 반복됨으로써 소성(塑性)변형해서 약간 확경하고, 그와 같은 소성변형에 의해 1쌍의 외향설편(52),(53)이 상기 단붙이개소(35)에 상시 대향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보디(1)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간(14)을 향해서 3개의 기정접편(60),(70),(80)이 배치구비되어 있다. 이들 기정접편중, 2개의 기정접편(60),(70)이 삽입공간(14)의 좌우양쪽에 각각 따로 배치구비되어 있고, 나머지 1개의 기정접편(80)이, 기정접편(60)의 앞쪽에 배치구비되어 있다.
도 3∼도 5에 각 기정접편(60),(70),(80)을 표시하고 있다.
도 3에 표시한 기정접편(60)은, 장착판부분(61)에 대해서 그 앞끝부분으로부터 되접어 꺾음형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정접편(60)에는 기정접점(63)이 형성되고, 장착판부분(61)에는 납땜단자(62)가 연달아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판부분(61)에 접어구부림형성된 돌편(突片)에 의해서, 기정접편(60)의 지나친변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기정접편(60)은, 장착판부분(61)을 보디(10)의 장착홈부분(18)에 뒷쪽으로부터 질러넣으므로써 보디(10)에 장착되고, 그 장착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기정접편(60)의 기정접점(63)이 삽입공간(14)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면예의 다극커넥터에서는, 기정접편(60)의 선단부에 가동접점(65)을 형성하고, 이 가동접점(65)의 상대방이되는 고정접점(66)을 보디(10)의 후단부에 배치구비 하고 있다. 기정접편(60)쪽의 납땜단자(62)나 고정접점(66)에 연달아 형성되어 있는 납땜단자(66)는 보디(10)의 아래쪽으로부터 옆쪽이나 뒷쪽에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표시한 기정접편(70)은, 장착판부분(71)에 대해서 그 앞끝부분으로부터 되접어꺾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정접편(70)에는 기정접점(73)이 형성되고, 장착판부분(71)에는 납땜단자(72)가 연달아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판부분(71)에 접어구부림형성된 돌편(74)에 의해서, 기정접편(70)의 지나친 변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기정접편(70)은, 장착판부분(71)을 보디(10)의 장착홈부분(19)에 뒷쪽으로부터 질러넣으므로써 보디(10)에 장착되고, 그 장착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기정접편(70)의 기정접점(73)이 삽입공간(14)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면예의 다극커넥터에서는, 기정접편(70)의 선단부에 가동접점(75)을 형성하고, 이 가동접점(75)의 상대방이되는 고정접점(76)을 보디(10)에 배치구비하고 있다. 기정접편(70)쪽의 납땜단자(72)나 고정접점(76)에 연달아형성되어 있는 납땜단자(76)는 보디(10)의 아래쪽으로부터 옆쪽이나 뒷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표시한 기정접편(80)은, 장착판부분(81)에 대해서 그 상단부로부터 되접어꺾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정접편(80)에는 만곡형상으로 구부러진 부분에 기정접점(83)이 형성되고, 장착판부분(81)에는 납땜단자(82)가 연달아형성되어 있다. 도 10과 같이, 이 기정접편(80)은, 보디(10)의 앞끝부분 부근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해서 형성된 장착홈부분(25)에 장착판부분(81)을 아래쪽으로부터 질러넣으므로써 보디(10)에 장착되고, 그 장착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기정접점(83)이 삽입공간(14)의 안쪽으로 돌출해 있다. 기정접편(80)쪽의 납땜단자(82)는 보디(10)의 아래쪽으로부터 옆쪽이나 뒷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커넥터(90)는, 그 전극축(91)에, 제 1∼제 4의 4개의 중심전극(92),(93),(94),(95)이 구비되고, 그들이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1개의 기정접편(60)에 제 1극째의 중심전극(92)이, 다른 1개의 기정접편(70)에 제 2극째의 중심전극(93)이, 또다른 1개의 기정접편(80)에 제 3극째의 중심전극(94)이, 각각 대응하고 있는 동시에, 제 2부가접편(50)에 전극축(91)의 밑동의 제 4극째의 중심전극(95)이 대응하고 있다. 또, 이 상대방커넥터(90)는, 전극축(91)의 밑동에 대향해서 전극축(91)과 동심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주변전극(96)을 가지고 있고, 이 주변전극(96)이 제 1부가접편(40)에 대응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다극커넥터A에 있어서, 도 11과 같이, 보스부분(30)의 삽발구(37)(도 1 또는 도 9참조)를 통과해서 보디(10)쪽의 삽입공간(14)에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을 삽입하면, 3개의 기정접편(60),(70),(80)의 각 기정접편(63),(73),(83)에 전극축(91)의 제 1극째로부터 제 3극째의 각중심전극(92),(93),(94)이 각각 따로 탄력접촉한다. 아울러서, 제 1부가접편(40)의 제 1부가접점(42)이 상대방커넥터(90)의 주변전극(96)에 접촉하고, 제 2부가접편(50)의 제 2부가접점(58)(도 9참조)이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의 밑동에 위치하고 있는 제 4극째의 중심전극(95)에 탄력접촉한다. 이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면예의 다극커넥터A에 있어서는, 보디(10)의 삽입공간(14)에 짜붙여져 있는 3개의 기정접편(60),(70),(80)에 의해서 3극이 확보되는 외에, 보스부분(30)의 결원부분(31)에 배치구비되어 있는 제 1부가접편(40)에 의해서 1극이 확보되고, 또 보스부분(30)의 내주쪽에 배치구비되어 있는 제 2부가 접편(50)에 의해서도 1극이 확보되어서 전체로는 5극이 된다.
또, 상대방커넥터(90)의 주변전극(96)이 원통형상으로 되어있으므로, 제 1부가접편(40)이 가늘고긴 판자조각형상이라하더라도, 삽입공간(14)에 상대방커넥터(90)의 전극축(91)을 삽입하기만 하면, 그 주변전극(96)에 제 1부가접점(42)이 반드시 탄력접촉한다. 또한, 제 1부가접점(42)과 주변전극(96)과의 접촉상태는, 제 1부가접점(42)이 탄성을 구비하는 판자조각형상의 제 1부가접점(4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정되어 있고, 또한 그 신뢰성도 높은것으로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상기 기정접편(60),(70),(80)과 1개씩의 제 1부가접편(40) 및 제 2부가접편(50)에 의해서 5개의 극수를 형성한 5극의 다극커넥터를 설명했으나, 제 1부가접편이나 제 2부가접편을 2개이상 형성함으로써 5극보다 많은 극수의 다극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개이상의 제 1부가접편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스부분의 둘레방향 복수개소에 그들의 제 1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를 형성한다. 이 배치구비개소는 보스부분의 외주쪽의 둘레방향복수개소를결제함으로써 형성된 결원부분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2개이상의 제 2부가접편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보스부분의 내주쪽의 둘레방향복수개소에 그들 제 2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 2부가접편은 전후방향으로 긴판자조각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극수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제 1부가접편이나 제 2부가접편을 보스부분의 외주쪽이나 내주쪽에 배치구비하고 있으므로, 당해 다극커넥터의 두께를 두껍게하지 않고 그 다극화를 도모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한, 제 1부가접편의 형상을 판자조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그 제 1부가접편자체의 형상이 종래의 링형상 내지 원통형상의 것에 비해서 각별히 소형화되고, 그것이 당해 다극커넥터를 소형화하는데 현저하게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또 보스부분에 형성한 결원부분을 활용해서 제 1부가접편을 배치구비한 것에서는, 보스부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보수부분의 소형화에 의해 발생한 잉여의 스페이스가 제 1부가접편의 배치구비 스페이스로서 활용되므로, 제 1부가접편을 사용해서 극수를 증가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다극커넥터전체의 형상이 커지지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축방향복수개소에 중심전극을 구비한 전극축의 밑동에 간격을 두고 그 밑동의 바깥쪽에 대향배치구비된 적어도 1개의 주변전극을 구비하는 단두 플러그가 상대방커넥터로서 사용되고, 또한, 상기 전극축의 삽입공간을 구비한 보디에,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전극축의 밑동의 중심전극을 제외한 나머지의 다른 복수의 중심전극에 각각 따로 접촉하는 기정접점을 구비한 복수의 기정접편이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보디의 앞끝에 통형상의 보스부분이 돌출형성되어서 그 보스부분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에 연이어 통하는 삽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극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외주측의 적어도 1개소에 판자조각형상의 제 1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가 형성되고, 이 배치구비개소에 배치구비된 상기 제 1부가접편이 이 제 1부가접편에 대응해서 상기 상대방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주변전극에 접촉되는 제 1부가접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스부분의 내주측의 적어도 1개소에 제 1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가 형성되고, 이 배치구비개소에 배치구비된 상기 제 2부가접편이 이 제 2부가접편에 대응해서 상기 상대방커넥터의 상기 전극축의 밑동의 중심전극에 접촉되는 제 2부가접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분은 그 둘레벽의 바깥쪽부분의 일부를 결제함으로써 형성된 평탄한 결원부분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결원부분이 상기 제 1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가접편은, 상기 보디에 고정된 제 1장착판부분을 가지고, 또한, 그 제 1장착판부분으로부터 상기 보스부분의 상기 결원부분의 외면을 따라서 앞을 향해서 뻗어나와서 그 결원부분의 외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장착판부분이, 상기 보디의 앞끝면으로부터 뒤쪽을 향해서 뻗는 장착홈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그 보디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부가접점이, 상기 보스부분의 상기 결원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결원공간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분의 둘레벽의 둘레방향의 1개소에, 이 보스부분의 앞끝쪽에 폭좁은 부분이 위치하고 이 폭좁은부분에 연결되는 폭넓은부분이 이 보스부분의 뒤끝쪽에 위치하는 결제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보스부분의 내주쪽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 2부가접편의 배치구비개소에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 2부가접편이 배치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그 제 2부가접편과 상기 보디부분(3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어 있고,
    이 제 2부가접편은 그 원고리부분(51)의 둘레방향의 1개소가 분할되어서 그 분할부분에서 서로 대향하는 끝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1쌍의 외향설편을 가지고, 이들 외향설편이 상기 결제부분의 폭넓은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외향설편이 상기 원고리부분의 확대수축변형에 따라서 상기 폭넓은부분의 내부에서 접근이반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1쌍의 상기 외향설편은, 상기 원고리부분에 삽입된 상대방커넥터의 전극축에 의해서 그 원고리부분이 확대되었을때에 이반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상기 결제부분의 폭좁은 부분과 폭넓은부분과의 경계부분의 단붙이개소에 상기 보스부분의 축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8. 제 1항 내지 제 6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기정접편과 1개씩의 제 부가접편 및 제 2부가접편에 의해서 5개의 극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기정접편중의 2개의 기정접편이 상기 삽입공간의 좌우양쪽에 각각 따로 배치구비되어 있고, 나머지의 1개의 기정접편이, 상기 2개의 기정접편중의 한쪽의 기정접편의 앞쪽에 배치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의 1개의 기정접편이 이 기정접편에 연달아 형성된 장착판부분에 대해서 되접어 꺾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기정접편과 장착판부분이 상기 보디에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장착홈부분에 배치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코넥터.
KR10-2000-0028821A 2000-02-14 2000-05-27 다극커넥터 KR100372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4857 2000-02-14
JP2000034857A JP3546162B2 (ja) 2000-02-14 2000-02-14 多極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14A true KR20010081914A (ko) 2001-08-29
KR100372464B1 KR100372464B1 (ko) 2003-02-17

Family

ID=1855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821A KR100372464B1 (ko) 2000-02-14 2000-05-27 다극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70380B1 (ko)
JP (1) JP3546162B2 (ko)
KR (1) KR100372464B1 (ko)
CN (1) CN1172410C (ko)
HK (1) HK1038282A1 (ko)
TW (1) TW463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286B2 (ja) * 2000-10-30 2006-01-1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ジャック、多極プラグ、並びに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との接続構造
US6461199B1 (en) * 2001-06-12 2002-10-08 Nobutaka Koga Multiple electrode connecting apparatus
FR2829881A1 (fr) * 2001-09-20 2003-03-21 Framatome Connectors Int Prise femelle electrique
US6503106B1 (en) * 2001-10-03 2003-01-07 Smk Corporation Electric jack
TW532591U (en) * 2001-12-26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Voice socket connector
JP2003308933A (ja) * 2002-04-18 2003-10-31 Hosiden Corp ジャック
TWM249324U (en) * 2002-04-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Audio jack
DE20303526U1 (de) * 2003-02-28 2003-05-22 Tyco Electronics Amp Gmbh Mikroschaltverbinder
DE10334650B4 (de) * 2003-07-28 2005-06-30 Neutrik Aktiengesellschaft Einbausteckerbuchse
CN2667738Y (zh) * 2003-10-31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语音插座连接器
KR100619969B1 (ko) * 2004-12-13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CN2770127Y (zh) * 2004-12-14 2006-04-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285826U (en) * 2005-04-06 2006-01-1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socket
GB0521552D0 (en) * 2005-10-22 2005-11-30 Ibm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classifier
CN2850025Y (zh) 2005-11-14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语音插座连接器
CN2909611Y (zh) * 2006-03-17 2007-06-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7285024B1 (en) * 2006-03-29 2007-10-23 Speed Tech Corp. Audio jack connector
JP2008098018A (ja) * 2006-10-13 2008-04-24 Hosiden Corp コネクタ
JP2008159425A (ja) * 2006-12-25 2008-07-10 Hosiden Corp ジャック
JP2008270085A (ja)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JP4134247B1 (ja) * 2007-06-20 2008-08-20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多極ジャック及び多極プラグ
CN201113066Y (zh) * 2007-07-03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048922A (ja) * 2007-08-22 2009-03-05 D D K Ltd ジャック用コネクタ
US20090298348A1 (en) * 2008-05-28 2009-1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terminal with contact engaging portion supported by reinforced spring arm
JP4738444B2 (ja) * 2008-06-17 2011-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54633B2 (en) * 2008-09-05 2010-12-21 Apple Inc. Low profile plug receptacle
US9664711B2 (en) 2009-07-31 2017-05-30 Pulse Electronics, Inc. Current sensing devices and methods
US9823274B2 (en) 2009-07-31 2017-11-21 Pulse Electronics, Inc. Current sensing inductive devices
JP5553380B2 (ja) * 2010-02-12 2014-07-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US8353729B2 (en) * 2010-02-18 2013-01-15 Apple Inc.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US8591262B2 (en) 2010-09-03 2013-11-26 Pulse Electronics, Inc. Substrate inductive devices and methods
CN202076508U (zh) * 2011-03-07 2011-12-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导电端子
US9304149B2 (en) 2012-05-31 2016-04-05 Pulse Electronics, Inc. Current sensing devices and methods
CN202872010U (zh) * 2012-07-12 2013-04-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US20140125446A1 (en) 2012-11-07 2014-05-08 Pulse Electronics, Inc. Substrate inductive device methods and apparatus
TWD166673S (zh) * 2013-07-10 2015-03-21 星電股份有限公司 插口之部分
US9680264B2 (en) 2015-09-28 2017-06-13 David J. Polinski Multi-contact audio jack connector assembly
US9812824B1 (en) * 2016-09-13 2017-11-07 David Polinski Multi-contact connector for an audio jack assembly
US10074945B2 (en) 2016-09-13 2018-09-11 David Polinski Multi-contact connector for an audio jack assembly
US10153597B1 (en) 2017-09-18 2018-12-11 David Polinski PC board mounted jack connector assembly
TWI633726B (zh) * 2017-11-09 2018-08-21 徐振健 多段訊號傳輸之連接器
US11183788B2 (en) * 2020-04-01 2021-11-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a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JPH02112589A (ja) * 1988-10-19 1990-04-25 Taisei Corp 掘削機位置検出ワイヤの保護装置
US5338215A (en) * 1993-03-19 1994-08-16 Molex Incorporated Jack assembly including a contact switching system
JP3266518B2 (ja) * 1996-08-28 2002-03-1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プラグとジャックの接続構造
JP3268430B2 (ja) * 1997-02-26 2002-03-25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TW371120U (en) * 1997-04-08 1999-09-21 Hon Hai Prec Ind Co Ltd Joint structure of plug
US5893767A (en) * 1997-05-30 1999-04-1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witch
JP3261448B2 (ja) * 1997-06-02 2002-03-04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ー
TW379869U (en) * 1997-09-17 2000-01-1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ing apparatus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TW430192U (en) * 1998-06-25 2001-04-1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with a receiving hole
TW453528U (en) * 1999-07-02 2001-09-01 Hon Hai Prec Ind Co Ltd Socket connector
TW427559U (en) * 1999-07-06 2001-03-21 Hon Hai Prec Ind Co Ltd Speech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30029A (ja) 2001-08-24
CN1172410C (zh) 2004-10-20
JP3546162B2 (ja) 2004-07-21
HK1038282A1 (en) 2002-03-08
TW463421B (en) 2001-11-11
US6270380B1 (en) 2001-08-07
CN1309442A (zh) 2001-08-22
KR100372464B1 (ko) 200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464B1 (ko) 다극커넥터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643993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EP0362598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95644B2 (en) Power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US4908335A (en) One-piece molded insulating housing for a circular din connector
CN102195153B (zh) 电路板端子
JP3112261U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690801B2 (en) Audio jack having improved arrangement of contacts
US755319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004797B2 (en) Female terminal with rattle prevention feature
US7465183B2 (en) Electrical connector which has a wire aligning function and which can be reduced in size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EP0944135B1 (en) Terminal structure of connector
US20060166561A1 (en) Audio jack connector
EP1339139A1 (en) Connector assembly for igniter system and shorting assembly
US5326282A (en) Miniature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JP2002141124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JPH0997647A (ja) 低背型コネクタソケット
EP3823102A1 (en) Connector structure
JP3825238B2 (ja) 防水コネクタ
EP1804343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20010044230A1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US200301948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ap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