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142A -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142A
KR20010080142A KR1020017004664A KR20017004664A KR20010080142A KR 20010080142 A KR20010080142 A KR 20010080142A KR 1020017004664 A KR1020017004664 A KR 1020017004664A KR 20017004664 A KR20017004664 A KR 20017004664A KR 20010080142 A KR20010080142 A KR 2001008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histone deacetylase
methyl
hydroxy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히로아키
사카모토카쯔토시
쯔루미야스히사
타카세시게히로
히노모토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야마 아키라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P6469A external-priority patent/AUPP646998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P9257A external-priority patent/AUPP925799A0/en
Application filed by 후지야마 아키라,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야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1008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2Cyclic peptides with only normal peptide bonds in the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2Cyclic peptides with only normal peptide bonds in the ring
    • C07K5/126Tetra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Diabet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nc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특히, 화합물 WF27082, 영양 배지에서 아크레모니움에 속하는 WF27082-생산 균주를 배양하고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약학적 허용성이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인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의약용 화합물,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저해하는 의약 제조용 화합물의 용도,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성 합병증, 동형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전골수세포성L), 원충류 감염증,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자가면역질환 또는 종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제조용 화합물의 용도, 면역억제제 또는 항종양제로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자가면역질환 또는 종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CYCLIC TETRA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는 히스톤 과아세틸화를 유도하고,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준다. 띠라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는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병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homozygous thalassemia),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원충류 감염증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에 의해 유발된 수가지 질환에 대한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관계에서, 항종양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이 JP-A-7-199686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 공보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에 대한 작용 및 전술한 다양한 질병에 대한 효과에 관하여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에 대하여 강력한 저해 효과를 가지는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WF27082와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가 강력한 항암 효과 및 강력한 면역억제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WF27082와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는 면역억제제 및 항종양제의 활성 성분으로서 유용하며,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자가면역질환, 종양 등에 대한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영양 배지중 아크레모니움(Acremonium)속에 속하는 WF27082-생산 균주를 발효시켜 WF27082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활성 성분으로 WF27082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전술한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WF27082와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을 가진 WF27082 :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진 히드록시이며, 단 R3가 수소인 경우에 R2는 에틸이다.
(2) R1이 메틸, R2가 에틸, R3가 메틸, R4가 히드록시인 상기 화학식 1의 WF27082 화합물
(3) FERM BP-6539로 기탁되고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속의 진균 균주
(4) 영양 배지중에 상기 (3)의 진균 균주를 배양하고 이들의 배양 발효액(culture broth)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
(5) 영양 배지중에서 아크레모니움속에 속하는 WF27082-생산 균주를 배양하고, 이의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1)의 WF27082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아크레모니움속에 속하는 WF27082-생산 균주가 상기 (3)의 진균 균주인 상기 (5)의 방법
(7) 약학적으로 허용성이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인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1)의 WF27082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의약용 상기 (1)의 화합물
(9) 영양 배지 중에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속 진균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화합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의 제조 방법
(10)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속 진균 균주를 영양 배지중에서 배양하고 이의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다.
(12) 상기 (11)에 사용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저해하는 방법
(13)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저해하기 위한 의약 제조용 상기 (11)에 사용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14) 활성 성분으로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15) 인간 또는 동물에 상기 (14)에 사용된 화합물 (I)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16)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14)에 사용된 화합물의 용도
(17) 인간 또는 동물에게 상기 (1)에 사용된 화합물 WF27082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충류 감염증 또는 종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18) 원충류 감염증 또는 종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제조용 상기 (1)에 사용된 화합물 WF27082의 용도
(19) 면역억제제 또는 항종양제로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
(20)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자가면역질환 또는 종양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제조용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제시될 수 있다: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다
이들 일련의 화합물 가운데, 특히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신규한 화합물이다.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고, 단 R3가 수소인 경우에 R2는 에틸이다.
화학식 (I)을 가진 본 발명의 화합물(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고, 단 R3가 수소인 경우에 R2는 에틸임)을 또한 WF27082라고 부른다.
상기 정의에 있어서의 세부적인 사항 및 이들의 구체적인 구체예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저급"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1-6개의 탄소 원자를 의미한다.
적합한 히드록시-보호기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저급 알킬티오메틸(예를 들어,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프로필티오메틸, 이소프로필티오메틸, 부틸티오메틸, 이소부틸티오메틸, 헥실티오메틸 등) 등과같은 1-(저급 알킬티오)(저급)일킬로서, 바람직한 것은 C1-C4알킬티오메틸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메틸티오메틸일 수 있음;
트리(저급)알킬실릴(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부틸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t-부틸실릴 등), 저급 알킬-디아릴실릴(예를 들어, 메틸-디페닐실릴, 에틸-디페닐실릴, 프로필-디페닐실릴, t-부틸-디페닐실릴 등) 등과 같은 삼치환된 실릴로서, 바람직한 것은 트리(C1-C4)알킬실릴 및 C1-C4알킬-디페닐실릴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t-부틸-디메틸실릴 및 t-부틸-디페닐실릴일 수 있음;
카르복실산 및 설폰산에서 유도된 지방족 아실, 방향족 아실 및 방향족기로 치환된 지방족 아실과 같은 아실 등.
카르복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적당한 치환기(들)를 가질 수 있는 저급 알카노일(예를 들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카르복시아세틸, 카르복시프로피오닐, 카르복시부티릴, 카르복시헥사노일 등), 저급 알킬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당한 치환기(들)를 가질 수 있는 시클로(저급)알킬옥시(저급)알카노일(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옥시아세틸, 시클로부틸옥시프로피오닐, 시클로헵틸옥시부티릴, 멘틸옥시아세틸, 멘틸옥시프로피오닐, 멘틸옥시부티릴, 멘틸옥시헵타노일, 멘틸옥시헥사노일 등), 캄파설포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아실은 니트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아로일(예를 들어, 벤조일, 톨루오일, 크실로일, 나프토일, 니트로페닐, 디니트로페닐, 니트로나프토일 등), 할로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아렌설포닐(예를 들어, 벤젠설포닐, 톨루엔설포닐, 크실렌설포닐, 나프탈렌설포닐, 플루오로벤젠설포닐, 클로로벤젠설포닐, 브로모벤젠설포닐, 요오도벤젠설포닐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급 알콕시 및 트리할로(저급)알킬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당한 치환체(들)를 가질 수 있는 아르(저급)알카노일, 예를 들어 페닐아세틸, 페닐프로피오닐, 페닐부티릴, 2-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2-페닐아세틸, 2-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 -2-페닐아세틸,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폭시-2-페닐아세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입체이성질체를 가지는 경우에, 이러한 이성질체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들어 아미노기와 같은 염기기가 분자내에 존재하는 경우 산부가염(예를 들어, 염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과 같은 무기산의 염, 메탄설폰산, 푸마르산, 말레산, 만델린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이 예시되며, 카르복실기와 같은 산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염기산(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과 염,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의 염)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의 용매화물, 예를 들어 하이드레이트, 에탄올레이트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특정 화합물에 대하여 하기의 명칭을 사용한다.
화합물의 명칭 R1 R2 R3 R4
WF27082 B -CH3 -CH2CH3 -CH3 -OH
WF27082 E -CH3 -CH2CH3 -H -OH
WF27082 F -CH3 -CH3 -CH3 -OH
FR235220 -CH3 -CH3 -H -OH
WF27082 B는 하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다 :
분자식 :
C30H44N4O6
분자량 :
ESI-MS(+): m/z 557(M + H)+
ESI-MS(+): m/z 557(M - H)-
비선형도(Specific rotation) :
[α]D(23℃)-129° (c = 0.5, 클로로포름 중)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λmax(메탄올) : 235(sh)
λmax(메탄올+0.01N HCl) : 235(sh)
λmax(메탄올+0.01N NaOH) : 235(sh)
용해도 :
가용성 : 메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폭사이드
불용성 : 헥산
발색 반응 :
양성 : 황산세륨 반응, 요오드 증기 반응 드라겐도르프(dragendorff) 반응
음성 : 닌히드린 반응, 염화철(ferric chloride) 반응, 몰리쉬(Molish) 반응, 에리히(Ehrlish) 반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
고정상 전개 용매 Rf치
실리카겔 60 클로로포름:메탄올 0.58F254* (20:1, v/v)
* 이 머크에서 제조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
조건 :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물=50:50
컬럼 : YMC ODS AM-303**(250 mm L. x 4.6 mm I.D.)
유속 : 1.0 ml/분
검출 : 210 nm에서 UV
보유 시간 : 10.2분
** YMC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제조함
적외선 스펙트럼
νmax (neat): 3300, 2690, 2940, 2880, 1715, 1680, 1660, 1630, 1510, 1440, 1380, 1250, 1060 cm-1
1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500 MHz, CDCl3) δH
7.52(1H,d,J=10Hz,교환가능), 7.30-7.17(5H,m), 7.17(1H,d,J=10Hz, 교환가능 ), 5.81(1H,s,교환가능), 5.16(1H,m), 4.67(1H,m), 4.26-4.16(2H,m), 4.05(1H,dd,J=10&7.5Hz), 3.56(1H,d,J=5Hz,교환가능), 3.24(1H,dd,J=13.5&10Hz), 2.96(1H,dd,J=13.5&6Hz), 2.73(1H,dd,J=10&8Hz), 2.62(1H,m), 2.54-2.29(4H,m), 2.16(1H,m), 1.82(1H,m), 1.66-1.56(3H,m), 1.38(3H,d,J=7Hz), 1.41-1.27(5H,m), 1.28(3H,s), 0.88(3H,d,J=6.5Hz), 0.84(3H,t,J=7Hz).
13C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125 MHz, CDCl3) δC
212.4(s), 175.6(s), 174.1(s), 173.1(s), 171.9(s), 137.0(s), 129.0(d)x2, 128.6(d)x2, 126.7(d), 72.6(d), 63.0(s), 58.0(d), 54.4(d), 53.8(t), 53.3(d), 37.2(t), 35.7(t), 33.0(t), 32.8(d), 28.8(t), 28.8(t), 27.8(t), 25.3(t), 23.2(t), 22.4(q), 19.8(q), 18.1(q), 8.4(q).
물질의 특성 :
중성 물질
WF27082 E는 하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다.
분자식 :
C29H42N4O6
분자량 :
ESI-MS(+): m/z 543(M + H)+
비선형도 :
[α]D(23℃)-137° (c = 0.2, 클로로포름 중)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λmax(메탄올) : 235(sh)
λmax(메탄올+0.01N HCl) : 235(sh)
λmax(메탄올+0.01N NaOH) : 235(sh)
용해도 :
가용성 : 메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폭사이드
발색 반응 :
양성 : 황산세륨 반응, 요오드 증기 반응 드라겐도르프 반응
음성 : 닌히드린 반응, 염화철 반응, 몰리쉬 반응, 에리히 반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
고정상 전개 용매 Rf치
실리카겔 60 클로로포름:메탄올 0.46F254* (20:1, v/v)
* 이 머크에서 제조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
조건 :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물=50:50
컬럼 : YMC ODS AM-303**(250 mm L. x 4.6 mm I.D.)
유속 : 1.0 ml/분
검출 : 210 nm에서 UV
보유 시간 : 7.6분
** YMC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제조함
적외선 스펙트럼 :
νmax (neat): 3300, 2940, 1720, 1690, 1660, 1630, 1530, 1460, 1420, 1380, 1320, 1250, 1150, 1060 cm-1
1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500 MHz, CDCl3) δH
7.54(1H,d,J=10Hz,교환가능), 7.29-7.17(5H,m), 7.10(1H,d,J=10Hz,교환가능 ), 5.82(1H,s,교환가능), 5.19(1H,m), 4.67(1H,m), 4.26-4.17(2H,m), 3.85(1H,m), 3.54(1H,br.s,교환가능), 3.30-3.20(2H,m), 2.96(1H,dd,J=14&6Hz), 2.54-2.38(2H,m), 2.36-2.28(2H,m), 2.18-2.12(2H,m), 1.84-1.72(3H,m), 1.67-1.57(3H,m), 1.38(3H,d,J=7Hz), 1.37-1.23(4H,m), 1.28(3H,s), 0.83(3H,t,J=7Hz)
13C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125 MHz, CDCl3) δC
212.4(s), 175.6(s), 174.1(s), 172.8(s), 171.8(s), 137.0(s), 129.0(d)x2,128.6(d)x2, 126.7(d), 72.6(d), 63.1(s), 57.8(d), 54.4(d), 53.3(d), 47.0(t), 37.3(t), 35.8(t), 28.8(t), 28.7(t), 27.9(t), 25.3(t), 25.0(t), 24.7(t), 23.2(t), 22.4(q), 19.8(q), 8.4(q).
물질의 특성 :
중성 물질
WF27082 F는 하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다 :
분자식 :
C29H42N4O6
분자량 :
ESI-MS(+): m/z 543(M + H)+
비선형도 :
[α]D(23℃)-114° (c = 0.3, 클로로포름 중)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
λmax(메탄올) : 235(sh)
λmax(메탄올+0.01N HCl) : 235(sh)
λmax(메탄올+0.01N NaOH) : 235(sh)
용해도 :
가용성 : 메탄올,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폭사이드
발색 반응 :
양성 : 황산세륨 반응, 요오드 증기 반응 드라겐도르프 반응
음성 : 닌히드린 반응, 염화철 반응, 몰리쉬 반응, 에리히 반응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
고정상 전개 용매 Rf치
실리카겔 60 클로로포름:메탄올 0.47F254* (20:1, v/v)
* 이 머크에서 제조됨.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
조건 :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물=50:50
컬럼 : YMC ODS AM-303**(250 mm L. x 4.6 mm I.D.)
유속 : 1.0 ml/분
검출 : 210 nm에서 UV
보유 시간 : 7.6 분
** YMC 컴퍼니 리미티드에서 제조함
적외선 스펙트럼 :
νmax (neat): 3300, 2930, 1720, 1690, 1660, 1630, 1530, 1440, 1390, 1280, 1180, 1120, 1060 cm-1
1H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500 MHz, CDCl3) δ
H7.47(1H,d,J=10Hz,교환가능), 7.30-7.18(5H,m), 7.17(1H,d,J=10Hz,교환가능 ), 5.88(1H,s,교환가능), 5.14(1H,m), 4.66(1H,m), 4.26-4.14(2H,m), 4.05(1H,dd,J=10&8Hz), 3.54(1H,d,5Hz,J=교환가능), 3.27(1H,dd,J=14&10Hz), 2.94(1H,dd,J=14&6Hz), 2.70(1H,dd,J=10&8Hz), 2.61(1H,m), 2.53-2.35(3H,m), 1.80(1H,m), 1.78(3H,s), 1.70-1.57(3H,m), 1.40-1.25(5H,m), 1.38(3H,d,J=7Hz), 1.34(3H,s), 0.86(3H,d,J=7Hz)
13C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
(125 MHz, CDCl3) δC
212.4(s), 175.6(s), 174.3(s), 173.0(s), 171.9(s), 137.0(s), 129.0(d)x2, 128.6(d)x2, 126.7(d), 72.6(d), 58.8(s), 57.9(d), 54.3(d), 53.9(t), 53.5(d), 37.3(t), 3.57(t), 33.0(t), 32.8(d), 28.8(t), 28.7(t), 26.5(q), 25.2(t), 23.5(q), 23.2(t), 19.8(q), 8.1(q).
물질의 특성 :
중성 물질
전술한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광범위한 연구로부터, WF27082 B, E 및 F의 화학 구조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나타났다.
WF27082는 영양 발효액 중에서 기탁 번호 27082호의 아크레모니움 sp.와 같은 아크레모니움에 속하는 WF27082-생산 균주를 배양하고, 필요한 경우 화학적으로개질시켜(예를 들어, 히드록시-보호기 등을 도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4가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진 히드록시인 WF27082는 R4가 히드록시인 화합물에 히드록시-보호기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된 히드록시-보호기의 적합한 도입제는 저급 알킬 메틸 설폭시드(예를 들어, 디메틸 설폭시드, 에틸 메틸 설폭시드, 프로필 메틸 설폭시드, 이소프로필 메틸 설폭시드, 부틸 메틸 설폭시드, 이소부틸 메틸 설폭시드, 헥실 메틸 설폭시드 등)와 같은 디(저급)알킬 설폭시드, 트리(저급)알킬실릴 할라이드(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 트리에틸실릴 브로마이드, 트리부틸실릴 클로라이드,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등), 저급 알킬-디아릴실릴 할라이드(예를 들어, 메틸-디페닐실릴 클로라이드, 에틸-디페닐실릴 브로마이드, 프로필-디톨릴실릴 클로라이드, t-부틸-디페닐실릴 클로라이드 등)와 같은 삼치환된 실릴 화합물,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아실기를 도입할 수 있는 아실화제,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설폰산 및 이들의 반응성 유도체(예를 들어, 산 할라이드, 산 무수물, 활성 아미드, 활성 에스테르 등)와 같은 통상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유도체의 바람직한 예는 산 할라이드, 산 브로마이드, 치환된 인산(예를 들어, 디알킬인산, 페닐인산, 디페닐인산, 디벤질인산, 할로겐화인산염 등)과 같은 산과 혼합된 산 무수물, 디알킬아인산, 아황산, 티오황산, 황산, 알킬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카보네이트, 프로필 카보네이트 등), 지방족 카르복실산(예를 들어, 피발산, 펜타노인산, 이소펜타노인산, 2-에틸부티르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예를 들어, 벤조산 등), 비대칭 산 무수물, 이미다졸, 4-치환 이미다졸, 디메틸피라졸, 트리아졸 및 테트라졸과 같은 이미노 작용기를 가진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을 함유한 활성 산 아미드, 활성 에스테르(예를 들어,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2,4-디니트로페닐 에스테르, 트리클로로페닐 에스테르, 펜타클로로페닐 에스테르, 메실페닐 에스테르, 페닐아조페닐 에스테르, 페닐 티오에스테르, p-니트로페닐 티오에스테르, p-크레실 티오에스테르, 카르복시메틸 티오에스테르, 피리딜 에스테르, 피페리디닐 에스테르, 8-퀴놀릴 티오에스테르, N,N-디메틸히드록실아민, 1-히드록시-2-(1H)-피리돈,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6-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응에서, 디(저급)알킬 설폭시드가 히드록시-보호기의 도입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반응은 아세트산 무수물과 같은 저급 알카노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삼치환된 실릴 화합물이 히드록시-보호기의 도입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반응은 이미다졸 등과 같은 통상의 축합제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실화제가 히드록시-보호기의 도입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반응은 알칼리 금속(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예를 들어, 칼슘 등), 알칼리 금속 하이드라이드(예를 들어, 나트륨 하이드라이드 등), 알칼리 토금속 하이드라이드(예를 들어, 칼슘 하이드라이드 등),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알칼리 금속 수소탄산염(예를들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알콕사이드(예를 들어, 나트륨 메톡사이드, 나트륨 에톡사이드, 칼륨 t-부톡사이드 등), 알칼리 금속 알카노인산(예를 들어, 아세트산나트륨 등),트리알킬아민(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등), 피리딘 화합물(예를 들어, 피리딘, 루티딘, 피콜린,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퀴놀린 등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화제가 이 반응에서 유리 형태 또는 이의 염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이 반응은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예를 들어, N,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사이클로헥실-N'-(4-디에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에틸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등], 케텐이민 화합물(예를 들어, N,N'-카르보닐비스(2-메틸이미다졸), 펜타메틸렌케텐-N-사이클로헥실이민, 디페닐케텐-N-사이클로헥실이민 등),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유도체[예를 들어, 1-(4-클로로벤젠설포닐옥시)-6-클로로-1H-벤조트리아졸 등] 등의 설폰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통상의 축합제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물,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알콜(예를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 테트라히드로푸란, 피리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통상의 용매중에서 수행되며, 또한 히드록시-보호기의 도입제 또는 염기가 액체 상태인 경우에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중요하지 않고, 반응은 일반적으로 냉각하에서부터 가열시까지 수행된다.
생산 균주 27082호의 특성
진균 균주 27082호는 일본 아키타켄의 아키타시에서 수집한 토양 샘플로부터 최초로 분리되었다. 이 유기체는 다양한 배양 배지상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성장하였고, 오렌지색을 띄는 백색 내지 어두운 갈색의 콜로니를 형성하였다. 이 균주는 점액성의 헤드부에 분생자와 단순한 피알리드의 분생자 세포(conidiogenous cell)로 이루어진 분생자 구조체를 생산하였지만, 배양 배지 상에 텔레모르프(teleomorph)를 형성하지는 않았다. 이것의 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다양한 한천 배지 상에서의 배양상의 특징이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감자 덱스트로즈 한천 상에서 배양물은 극히 제한적으로 성장하여 25℃에서 4주후에 직경이 1.5 내지 2.5 cm가 되었다. 콜로니의 표면은 중심부가 융기되어 있고, 솜털이 있으며, 방사상으로 홈이 있거나 내지 주름진, 갈색을 띈 오랜지색 내지 회색을 띈 갈색을 나타내지만 주변부에서는 오랜지색을 띈 백색의 삼출물 형태였다. 분생자 구조체는 배지상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후면의 색상은 어두운 갈색이었고, 갈색의 가용성 색소가 생성되었다. 옥수수 분말 한천 상의 콜로니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상에 유사한 속도로 펼쳤다. 표면은 평평하고, 얇으며, 분말상으로, 중심부는 올리브색이었고, 주변부는 오랜지색을 띈 백색이었다. 분생자 구조체가 다수 형성되었다. 후면은 중심부가 어두운 갈색이었고, 주변 경계부가 회색을띈 오랜지색 내지 회색을 띈 갈색이었으며, 옅은 오랜지색의 가용성 색소가 관찰되었다.
형태학적인 특징은 미우라의 LCA 플레이트(Miura, K. and M. Kudo: Trans. Mycol. Soc. Japan, 11:116-118, 1970) 상의 배양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분생자 자루는 거의 없었고, 마니크로네마터스이고(micronematous), 짧고, 바시토너스하며(basitonous), 때때로 윤생이었다. 분생자 세포는 분리된 정생의 피알리드(경자)였고, 선충류(nematogenous) 내지 올렉토선충류(olectonematogenous)였다. 이들은 투명하고, 미세하게 거친, 바늘 모양 내지 송곳 모양이었으며, 기저부에서 (1.5-)2-2.5 ㎛였고, 첨단부에서 1-2(-2.5) ㎛로 끝이 뾰족한 21 내지 40 ㎛ 길이의 흐릿한 칼라를 가지고 있으며, 점액 방울 상태의 분생자를 생성하였다. 분생자는 처음에 투명하였으나 성숙기에서는 어두운 올리브색을 나타내었고, 평탄하며,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넓은 타원형 내지 타원형의 모양이지만, 일부는 서양배 모양을 하고 있었고, 첨단부가 둥글고, 기저부에 작은 돌출부를 가지며, 크기가 3.5-5(-6) x 2.5-3(-3.5) ㎛였다. 성장력 있는 균사는 투명하고, 평탄하며, 격막을 지니고 있고, 갈라진 형태였다. 균사 세포는 실리더형으로 너비가 2-3 ㎛였다. 후막(厚膜) 포자는 관찰되지 않았다.
균주 27082호는 2 내지 26℃의 온도에서 성장할 수 있었고, 21 내지 22℃에서 최적으로 성장하였다. 이들 온도 데이터는 감자 덱스트로즈 한천(NISSU에서 제조됨) 상에서 측정한 것이다.
악스의 문헌[J. A. von Arx: The Genera of Fungi - Sporulating in PureCulture. 3rd ed., pp.315, J. Cramer, Vaduz, 1974] 및 돔쉬 등의 문헌[K. H. Domsch, W. Gams and T. -H. Anderson: Compendium of Soil Fungi. Vol. 1, pp. 859, Academic Press, London, 1980]에 의한 진균의 분류학적 기준과 비교한 형태학적인 특성을 기초로 할 때, 균주 27082호는 조균류(hyphomycete)속 아크레모니움 링크(Acremonium Link)(1809)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우리들은 이 분리물을 아크레모니움속의 하나의 균주로서 동정하였고, 이를 아크레모니움 sp. 27082호라고 명명하였다. 이 균주는 일본국 305-8566 아바라키켄 쯔쿠바시 히가시 1-초메에 소재하는 내쇼날 인스티튜트 오브 바이오사이언스 앤드 휴먼-테크놀러지, 에이젠시 오브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에 FERM BP-6539로 기탁되었다(기탁 일자 : 1998년 10월 2일).
균주 27082호의 배양 특성
배지 배양 특성
맥아 추출물 한천*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이고, 평평하며, 펠트 내지 면(솜털 있음)과 같고, 몇개의 분생자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가 올리브 갈색(4D3-4E3)이고, 주변부가 오랜지색을 띈 백색(6A2) 내지 회색을 띈 오랜지색(6B4-6B5)임R: 중심부가 갈색(7E8)이고, 주변부가 엷은 오랜지색(5A3)임
감자 덱스트로즈 한천(Difco 0013)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이며, 중심부가 융기되어 있고, 솜털이 있으며, 방사상으로 홈이 있거나 내지는 주름져 있고, 분생자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삼출물의 형태로서, 갈색을 띈 오랜지(7C4) 내지 회색을 띈 갈색(7D4)이고 주변부는 오랜지색을 띈 백색(6A2)임R: 어두운 갈색(7F7-7F8)이고, 갈색의 가용성 색소를 생성함
자펙의 용액 한천*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 내지 불규칙한 형태의, 평평하거나 내지 중심부가 융기되어 있고, 주변부가 침지되어 있으며, 분생자 구조체가 없고, 중심부는 어두운 갈색(7F6) 또는 오랜지색을 띈 백색(6A2)이고, 주변부는 황색을 띈 백색(4A2)이며 중간 영역은 갈색(6E6-6E8)임R: 중심부가 어두운 갈색(6F5-6F7), 주변부는 황색을 띈 백색(4A2)임
사보라우드 덱스트로즈 한천(Difco 0190) G: 매우 제한적임, 1.5-2.0 cmS: 원형이며, 중심부가 융기되어 있고, 펠트와 유사하며, 방사상으로 홈이 있거나 내지는 주름져 있고, 분생자 구조체를 형성하지 않으며, 중심부는 회색을 띈 오랜지색(6B4-6B5)이고, 주변부는 밝은 갈색(6D6) 내지 갈색(6E6)임R: 갈색(7E7) 내지 어두운 갈색(7F7)이고, 갈색의 가용성 색소를 생성함
에머슨 Yp Ss 한천(Difco 0739)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원형이고, 평평하며, 펠트와 같은 삼출물의 형태이며, 분생자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오랜지색을 띈 백색(5A2)이며, 주변부는 밝은 갈색(6D6-6D7)임R: 밝은 갈색(6D7) 내지 어두운 갈색(6F7)
옥수수 분말 한천(Difco 0386)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이고, 평평하며, 얇고, 분말상이며, 분생자 구조체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가 올리브(3F5-3F6)색이고, 주변부가 오랜지색을 띈 백색(6A2)임R: 중심부가 어두운 갈색(7F7)이고, 주변부는 회색을 띈 오랜지색(5B4) 내지 회색을 띈 갈색(5D3)이며, 엷은 오랜지색의 가용성 색소를 생성함
MY20 한천*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이고, 중심부가 융기되어 있으며, 솜털이 있거나 많고, 방사상으로 홈이 있고, 분생자 구조체가 없고, 중심부가 회색을 띈 오랜지색(6B4-6B6)이고 주변부가 오랜지색을 띈 백색(5A2)임R: 밝은 갈색(6D7-6D8)이고, 주변부는 밝은 오랜지색(5A5)임
오우트밀 한천(Difco 0552) G: 매우 제한적임, 1.5-2.5 cmS: 원형이고, 평평하며, 펠트 내지 면(솜털 있음)과 같고, 방사상으로 홈이 있으며, 약간의 분생자 구조체를 형성하며, 중심부는 흐린 녹색(30D4-30E4)이고, 주변부는 오랜지색을 띈 백색(6A2)이고, 회색을 띈 갈색의 가용성 색소를 생성함
약자 G: 성장, 콜로니의 크기를 직경으로 측정함
S: 콜로니의 표면, R: 후면
*: 맥아 추출물 한천, 자펙(Czapek)의 용액 한천, MY20 한천의 조성은 JCM 균주 카탈로그(Nakase, T., 6th ed., pp.617, Jap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the Institute of Physical and Chemical Research, Saitama, 1995)를 기초로 한 것이다.
이들 특성은 25℃에서 28일의 항온처리 후에 관찰되었다. 이 색상에 대한 설명은 문헌[Methuen Handbook of Colour(Kornerup, A. and J. H. Wanscher, 3rd ed., pp.252, Methuen, London, 1978)]을 기초로 한다.
WF27082의 생산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본원에 기재된 특정 유기체의 사용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조합 DNA 기법, X-선 조사, 자외선,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 2-아미노퓨린 등으로의 처리와 같은 통상의 수단에 의해 기술된 유기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인위적 돌연변이체뿐 아니라 자연 돌연변이체를 비롯한 WF27082를 생산할 수 있는 임의의 돌연변이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WF27082의 생산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가운데, WF27082는 아크레모니움에 속한 WF27082-생산 균주가 호기 조건(예를 들어, 교반 배지, 침지 배지 등) 하에서 동화성 탄소원 및 질소원을 포함하는 영양 배지 중에서 성장하는 경우에 생산된다.
영양 배지 중 바람직한 탄소원은 글루코오즈, 수크로오즈, 전분, 프럭토오즈또는 글리세린 등과 같은 탄화수소이다.
바람직한 질소원은 땅콩 분말, 효모 추출물, 쇠고기 추출물, 펩톤, 폴리펩톤, 글루텐 가루, 목화씨 분말, 대두 분말, 대두 분말, 옥수수를 담그는 액체(corn steep liquor), 건조 효모, 밀의 배아 등 뿐만 아니라 암모늄염(예를 들어,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등), 우레아 또는 아미노산 등의 무기 및 유기 질소 화합물이다.
유리하게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라도, 탄소원 및 질소원은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미량의 성장 인자 및 상당량의 무기질 양분을 포함하는 덜 순수한 물질들도 사용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필요한 경우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륨, 마그네슘염, 구리염, 아연염, 철염 또는 코발트염 등과 같은 무기질 염을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특히 배양 배지가 심하게 발포한다면 액체 파라핀, 지방유, 광물유, 실리코운 등과 같은 소포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배양 혼합액의 교반 및 통기는 프로펠러 또는 유사한 기계적 교반 장치에 의한 교반, 발효기를 회전시키거나 흔드는 것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발효는 통상 약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약 50 내지 150시간동안 수행하는데, 이는 발효 조건과 규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수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WF27082를 수집하고,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사용한 용매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적절한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와 같은 방법으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정제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가운데, 예를 들어 JP-A-7-19968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R1이 메틸, R2가 메틸, R3가 수소 및 R4가 히드록시 또는 보호된 히드록시인 화합물(예를 들어, FR23522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WF27082를 제조하고 필요한 부분을 개질시킴으로써 또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질은 이미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WF27082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용매화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용매화물은 하이드레이트 및 에탄올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여주는 실시예로서, 몇가지 생물학적 데이타가 하기에 제시된다.
시험 1. 림프구 배자발생 반응에 대한 효과
WF27082 B 및 FR235220이 시험 화합물로서 사용되었다.
림프구 배자발생(blatogenesis) 시험은 웰 당 항-CD3 항체(2C11)(1 ㎍/ml)가 첨가된, 10% 태아 소 혈청(FBS), 50 mM 2-메르캅토에탄올, 페니실린(100 유닛/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ml)로 보충한 0.1 ml RPMI-1640 배지에서 Balb/c 마우스의 골수 세포를 1 x 105개 함유하는 웰을 가진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중에서 수행되었다. 세포를 72시간동안 37℃의 습한 5% CO2대기중에서 항온처리하였다. 배양 기간이 지난 후, 림프구 배자발생에서 시험 샘플의 억제 활성을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 염색 환원 분석에 의해 정량하였다.
WF27082 B를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RPMI-1640 배지에서 추가로 희석하여 50 ng/ml 이하의 최종 농도를 가지도록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FR235220을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RPMI-1640 배지 중에서 더욱 희석하여 500 ng/ml 이하의 최종 농도를 가지도록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3에서 각각 제시하고 있다.
표 2 및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WF27082 B 및 FR235220는 용량-의존적인 방식으로 항-CD3 항체에 의해 유도된 뮤린 림프구 배자발생을 억제하였다. WF27082 B는 특히 강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항-CD3 항체에 의해 유도된 뮤린 림프구 배자발생에 대한 WF27082의 효과
농도(ng/ml) 50 25 12.5 6.3 3.1 1.6 0.8
저해(%) 113.5 114.1 111.7 86.6 46.1 19.3 4.4
항-CD3 항체에 의해 유도된 뮤린 임파구 배자발생에 대한 FR235220의 효과
농도(ng/ml) 500 250 125 63 31 16 8 4
저해(%) 126.0 126.0 127.2 125.3 106.0 45.1 -1.3 -23.4
시험 2. 마우스에서의 DTH(지연형 과민증)에 대한 WF27082 B의 효과
피하 주사에 의해 암컷 Balb/c 마우스를 양의 적혈구(1 x 108개)로 면역화시켰다. WF27082 B를 10% 수성 HCO-60에 용해시키고, 면역화 1일 전에 시작해서 8일간 연속해서 경구 투여하였다. 면역화 후 6일째에, 양의 적혈구(1.25 x 108)를 오른쪽 뒤발바닥에 주사하고 24시간 후에 다이알 게이지(Ozaki MFG co., Ltd.)를 사용하여 발바닥의 부종을 측정하였다. DTH의 정도는 미처리된 왼쪽 발바닥에 비해 항원투여된 오른쪽 발바닥의 두께로서 표현되었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WF27082 B를 투여함으로써 발바닥의 부종은 어떠한 체중의 손실없이 용량-의존적인 방식으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마우스에서 DTH 반응에 대한 WF27082 B의 효과
N 용량(mg/kg) 발바닥 부종(% 저해) 체중 증가(g)
프라임처리되지 않음 5 100*** 1.2 ±0.2
프라임처리 10 0 1.2 ±0.2
WF27082 B 5 10 20 1.5 ±0.2
5 32 34** 1.5 ±0.3
5 100 47*** 1.1 ±0.3
** : P<0.01 *** : P<0.001
시험 3. 부분적으로 정제된 인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활성에 대한 효과
인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부분적인 정제, [3H]아세틸 히스톤의 제조 및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활성 분석은 기본적으로 요시다 등에 의해 제안된 것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인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부분적인 정제 :
인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인간 T-세포 백혈병 주캇트 세포(Jurkat cell)로부터 부분적으로 정제하였다. 주캇트 세포(5 x 108개)를 15 mM 인산칼륨, pH 7.5, 5%의 글리세롤 및 0.2 mM EDTA로 이루어진 HDA 완충액 40 ml 중에 현탁시켰다. 균질화시킨 후, 핵을 원심분리(35,000 x g, 10분)에 의해 수집하고, 1 M (NH4)2SO4로 보충한 동일한 완충액 20 ml로 균질화시켰다. 점성의 균질물을 음파처리(sonication)하고, 원심분리(35,000 x g, 10분)에 의해 맑게 한 다음 (NH4)2SO4의 농도를 3.5 M로 증가시켜 디아세탈라아제를 침전시켰다. DHA 완충액 10 ml중에 침전된 단백질을 용해시키고, 동일한 완충액 4 리터에 대하여 투석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완충액으로 평형화시킨 DEAE-셀룰로오스(와트만 DE52) 컬럼(25 x 85 mm)상에 투석물을 부하한 다음, NaCl(300 ml) 직선 구배(0-0.6 M)로 용출시켰다.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활성의 단일 피크 분획은 0.3 내지 0.4 M NaCl 에서 용출되었다.
[3H]아세틸 히스톤의 제조 :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분석을 위한 기질로서 [3H]아세틸-표지된 히스톤을 얻기 위하여, 75 cm2의 플라스크 내에서 10% FBS, 페니실린(50 유닛/ml) 및 스트렙토마이신(50 ㎍/ml)로 보충한 RPMI-1640 배지 20 ml 중에 5 μM의 나트륨 부티레이트 존재하, 37 ℃의 5% CO2-95% 공기 대기 중에서 1 x 108개의 주캇트 세포를 300 MBq [3H]아세트산나트륨으로 30분간 항온처리하고, 원심분리 튜브(50 ml)에 포획한 후, 1000 rpm에서 10분간의 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1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세포를 15 ml의 빙냉 분해 완충액(10 mM Tris-HCl, 50 mM 아황산수소나트륨, 1% 트리톤 X-100, 10 mM MaCl2, 8.6% 슈크로오스, pH 6.5)중에 현탁시켰다. 2회 균질화시킨 후(30 스트로크), 연속적으로 1000 rpm에서 10분간의 원심분리에 의해 핵을 수집하고, 분해 완충액 15 ml로 3회 세척하고, 빙냉 세척 완충액(10 mM Tris-HCl, 13 mM EDTA, pH 7.4) 15 ml로 1회 세척하였다. 믹서를 사용하여 펠렛을 빙냉수 6 ml 중에 현탁시키고, H2SO468 ml를 현탁액에 첨가하여 농도가 0.4 N이 되게 하였다. 4℃에서 1시간동안 항온처리한 후, 현탁액을 15,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청액을 취하고, 60 ml의 아세톤과 혼합하였다. -20℃에서 밤새 항온처리한 후, 응고된 물질을 미세원심분리에 의해 수집하였고, 공기 건조시킨 후 -8℃에서 보관하였다.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활성 분석 :
표준 분석에 있어서 [3H]아세틸-표지된 히스톤 10㎕를 효소 분획 90㎕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5℃에서 30분간 항온처리하였다. 10 ㎕의 HCl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방출된 [3H]아세트산을 에틸 아세테이트 1 ml로 추출하고,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용매층 0.9 ml를 취해 10 ml의 톨루엔 섬광 용액에 넣었다.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WF27082 B, E 및 F 및 FR235220는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부분 정제된 인간(주캇트 세포)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하였다.
부분적으로 정제된 인간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활성에 대한 효과
농도(ng/ml) 1000 100 10 1
저해(%) WF27082 B 98.6 76.5 37.3 1.9
WF27082 E 104.9 88.5 57.6 11.1
WF27082 F 91.7 74.1 36.5 11.4
FR235220 94.6 74.6 33.7 -13.1
시험 4.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WF27082 B의 항종양 활성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WF27082 B의 세포독 활성은 하기와 같은 시험관내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세포 성장의 50% 저해에 필요한 화합물의 농도(IC50; ng/ml)를, 처리된 세포의 성장율(대조군의 백분율) 대 농도의 로그함수로 플롯함으로써 시험하였다. 인간 T 세포 백혈병 주캇트 세포(1 x 104개/ml) 및 인간 결장 선암 HT-29 세포(5 x 104개/ml)를 10% FBS, 페니실린(50 유닛/ml) 및 스트렙토마이신(50 ㎍/ml)으로 보충한 RPMI-1640 배지 100 ㎕ 중에서 WF27082 B로 37℃의 5% CO2-95% 공기 대기 조건하에서 처리하였다. 세포 독성은 전술한 MTT 방법에 따라 550 nm(및 대조군으로서 660 nm)에서 열계량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서 제시한다. WF27082 B는 주캇트 세포 및 HT-29 세포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WF27082 B의 항종양 활성(시험관내)
IC50(ng/ml)
주캇트 HT-29
11 14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병, 당뇨병, 당뇨병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원충류 감염증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하기에 예시한 것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및 장기 이식 거부 반응을 방지하는 면역억제제 및 항종양제로서 유용하다.
심장, 신장, 간, 골수, 피부, 각막, 폐, 췌장, 소장, 사지, 근육, 신경, 척추간 디스크, 기관, 근아세포, 연골 등과 같은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의한 거부 반응;
골수 이식 후에 일어나는 이식편-대-숙주의 거부 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하시모토 갑상선염, 다발성 경화증, 그레이브스 근무력증, 제I형 당뇨병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등; 및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예를 들어, 아스페르질루스 푸미가투스, 푸사리움 옥시스포럼, 트리클로파이톤 아스테로이데스 등).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약학 조성물은 하기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염증성 또는 과증식성 피부 질환 또는 면역학적으로 매개된 질병의 피부 손상적 징후(예를 들어,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편평태선, 펨피구스, 수포성 유천포창, 표피수포증, 담마진, 혈관부종, 혈관염, 홍반, 피부 호산구증가증, 홍반성 낭창, 여드름 및 원형탈모증);
눈의 자가면역질환(예를 들어, 각결막염, 춘계 결막염, 베세트병(Behcet's disease)과 연관된 포도막염, 각막염, 헤르페스성 각막염, 원뿔형 각막염, 각막 상피 이영양증, 각막혼탁, 눈의 펨피구스, 뮤렌 궤양(Mooren's ulcer), 공막염, 그레이브스 눈병(안질), 보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Vogt-Koyanagi-Harada syndrome), 건성 각결막염(건조한 눈), 소수포, 홍채모양체염, 유육종증, 내분비성 눈병 등);
가역성 항공로 장애 질병(reversible obstructive airways disease)[천식(예를 들어,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천식, 선천성 천식, 외래성 천식 및 먼지 천식), 특히 만성 또는 고질적 천식(예를 들어, 최근의 천식 및 항공로 과잉-반응), 기관지염 등];
점막 또는 혈관 염증(예를 들어, 위궤양, 허혈성 또는 혈전증의 혈관 손상, 허혈성 장 질환, 장염, 괴사성 소장결장염, 열화상과 연관된 장의 손상, 류코트리엔 B4-매개 질환);
장의 염증/알러지(예를 들어, 체강 질환, 직장염, 호산구증가성 위장염, 비만세포증,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
위장관과 동떨어진 증후군적 증상을 가진, 음식과 관련된 알러지 질환(예를 들어, 편두통, 비염 및 습진);
신장 질환(예를 들어, 장의 신염, 굳파스퇴르 증후군(Goodpasture's syndrome), 용혈성 요독증 및 당뇨병성 신증);
신경 질환(예를 들어, 다발성 근염, 길라인-바르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메니에르병, 다발성 신경염, 단순 신경염, 뇌경색,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면 경화증(ALS) 및 신경근증);
뇌허혈성 질환(예를 들어, 두부 손상, 뇌출혈(예를 들어, 지주막하 출혈, 뇌내 출혈), 뇌내 혈전증, 뇌색전증, 심장 정지(cardiac arrest), 졸증, 일시적 허혈성 발작(TIA) 및 고혈압성 뇌병);
내분비성 질환(예를 들어,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바제도우씨 병);
혈액내 질환(예를 들어, 순수 적혈구 형성부전증, 재생불량성 빈혈, 형성부전성 빈혈,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무과립구증, 악성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및 적혈구생성결핍증);
골 질환(예를 들어, 골다공증)
호흡성 질환(예를 들어, 유육종증, 폐섬유증 및 특발성 장의 폐렴);
피부 질환(예를 들어, 피부근염, 통상의 백반, 어린선, 광민감증 및 피부 T-세포 림프종);
순환성 질환(예를 들어, 동맥경화증, 죽상 동맥경화증, 대동맥염 증후군, 다중 결절 동맥염(polyarteritis nodosa) 및 심근증);
콜라겐 질환(예를 들어, 경피증, 베게너 육아종 및 쇠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지방증;
호산구증가성 근막염;
치근막 질환(예를 들어, 치은, 치근막, 치조골 또는 치아골 조직 질환(substantia ossea dentis));
신증후군(예를 들어, 사구체신염);
남성형 탈모증, 노인성 탈모증;
근위축증;
농피증 및 세자리 증후군(Sezary syndrome);
염색체 이상-관련 질환(예를 들어, 다운증후군);
애디슨 질환;
활성 산소-매개 질환[예를 들어, 장기 손상(예를 들어, 보존(preservation), 이식 또는 허혈성 질환(예를 들어, 혈전증, 심근경색 등)과 관련된 장기(예를 들어, 심장, 간, 신장, 소화관 등)의 허혈성 순환 이상)]:
장의 질환(예를 들어, 내독소 쇽, 위막 결장염, 약물이나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결장염):
신질환(예를 들어, 허혈성 급성 신장 부전증, 만성 신부전):
폐질환(예를 들어, 폐의 산소 또는 약물(예를 들어, 파라코트, 블레오마이신등)에 의해 유발된 중독증, 폐암 및 폐기종):
눈의 질환(예를 들어, 백내장, 철결핍증(구상 철침착증(siderosis bulbi)), 망막염, 색소증, 노인성 페스트(senile plaques), 투명한 상처, 각막의 알칼리 화상):
피부염(예를 들어, 다판성 홍반(erythema multiforme), 선형 면역글로불린 A 수포성 피부염, 접합성 피부염(cement dermatitis)):
및 기타 질병[예를 들어, 치은염, 치근염, 패혈증, 췌장염 및 환경 오염(예를 들어, 공기 오염), 고령화, 발암 물질, 암종의 전이 및 고산병에 의해 유발된 질환];
히스타민 방출 또는 류코트리엔 C4 방출에 의해 유발된 질환;
혈관성형술 후의 관상 동맥 재발협착증 및 수술후 유착의 방지;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 질병(예를 들어, 원발성 점막 부종, 자가면역 위축성 위염, 조기 폐경, 남성의 불임증, 연소성 당뇨병, 펨피구스 불가리스(pemphigus vulgaris), 유천포창, 교감신경성 안구염, 수정체에 의해 유도된 포도막염,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활성 만성 간염, 특발성 경변증, 원판상 홍반성 낭창, 자가면역 고환염, 관절염(예를 들어, 변형성 관절염) 또는 단절성다중연골염 (polychondritis));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증, AIDS;
알러지성 결막염;
외상, 화상 또는 수술에 의한 켈로이드 및 비후성 반흔.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간의 질환[예를 들어, 면역원성 질환(예를 들어, 자가면역 간 질환, 원발성 담즙 경변증 또는 경화성 담도염과 같은 만성 자가면역 간 질환), 부분적인 간 절제, 급성 간 괴사(예를 들어, 독소, 바이러스성 간염, 쇽 또는 산소결핍증에 의해 유발된 괴사), B형 간염, non-A non-B형 간염, 간경변증 및 간부전증(예를 들어, 전격성 간염, 나중에 발병하는 간염 및 "만성 중 급성(acute-on chronic)" 간부전증(만성 간 질환중의 급성 간부전증))]을 치료 및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와 외용, 내용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와 같은 약학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정제, 펠렛, 캡슐, 좌제, 용액, 유제, 현탁제, 주사제, 연고제, 리니멘트제, 점안제, 로션, 겔, 크림 및 기타 임의의 사용에 적합한 제형에 있어서 통상 비독성이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물, 포도당, 유당, 아카시아검, 젤라틴, 만니톨, 전분 페이스트, 마그네슘 트리실리테이트, 탈크, 옥수수 전분, 케라틴, 콜로이드성 실리카, 감자 전분, 우레아 및 제제의 제조에 적합한 기타 담체일 수 있고, 그 밖에 보조제, 안정화제, 점증제, 가용화제, 발색제 및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인간에게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맥내, 근육내, 국소 또는 경구 투여에 의해 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환자가 치료되어야 하는 경우에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투여량은 치료되어야 할 개개 환자의 상태 및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데, 치료의 목적으로 통상 정맥 투여의 경우 인간의 체중 kg 당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0.01 내지 10 mg의 일일 용량이 제공되며, 근육내 투여의 경우 인간의 체중 kg 당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0.1 내지 10 mg의 일일 용량이 제공되며, 경구 투여의 경우 인간 체중 kg 당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같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0.5 내지 50 mg의 일일 용량이 제공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시예 1
(1) WF27082 B의 발효 생산 :
4.0%의 슈크로오스, 1.0%의 글루코오스, 2.0%의 수용성 전분, 3.0%의 목화씨 분말, 1.5%의 대두 분말, 1.0%의 KH2PO4, 0.2%의 CaCO3, 0.05%의 아데칸올 LG-09(소포제, 아사히 덴카 컴퍼니 리미티드) 및 0.05%의 실리코운 KM-70(소포제, 신 에쯔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를 포함하는 수성 종균 배지를 100 ml 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부어넣고, 120℃에서 30분간 멸균시켰다. 진균 균주 27082호의 루프(loop)를 경사 배지로부터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회전 교반기 상에서 220 rpm(5.1 cm-반경)으로 4일간 25℃로 배양하였다. 30리터의 자아(jar) 배양기 내에서 3.0% 개질 전분, 2.0% 목화씨 분말, 0.2%의 밀의 배아, 0.1% KH2PO4, 0.1% NaCl, 0.0005% ZnSO4·7H2O, 0.05% 아데칸올 LG-109 및 0.05% 실리코운 KM-70(pH 7.0)으로 이루어진 멸균 생산 배지 20 리터에 종균 배양물(6 ml)을 접종하였다. 20 리터/분의 25℃의 호기 조건하에서 4일간 배양하였고, 200 내지 300 rpm에서 교반하였다.
(분석 HPLC 조건)
컬럼 YMC 팩 ODS-AM AM303, S-5 120A
(250 mm L. x 4.6 mm I.D., YMC Co., Ltd.)
용출액 50% 수성 아세토니트릴
유속 1 ml/분
검출 210 nm에서 UV
보유 시간 WF27082 B 10.4 분
(2) WF27082 B의 분리
배양된 배양 발효액(20 L : WF27082 B 380 mg을 함유함)을 간헐적인 교반에 의해 아세톤 20 L로 추출하였다. 규조토를 사용하여 아세톤 추출물을 여과하고, 동체적의 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여과물을 디아이온 HP-20(미쯔비시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의 컬럼(1L)을 통과시켰다. 컬럼을 물, 70% 수성 메탄올로 세척하고 메탄올로 용출시켰다. 용출물(1L)을 2L의 물로 희석하고, 45% 수성 아세토니트릴로 충전된 YMC GEL ODS-AM 120-S50(YMC Co., Ltd.)의 컬럼(180 mL)상에 적용하였다. 이 컬럼을 45% 수성 아세토니트릴로 용출시키고, 전술한 분석 HPLC에 의해 용출을 모니터링하였다. WF27082 B에 해당하는 부분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수성 잔여물을 생성하였다. 이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추출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유성 잔여물을 얻었다(WF27082 B를 351 mg 함유함). 이 유성 잔여물을 소량의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실리카 겔 60(70-230 메쉬, 머크) 20 ml와 혼합하여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충전시킨 동일한 실리카 겔 60(230 ml)을 사용하여 건조 분말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컬럼을 클로로포름으로 용출시키고, 전술한 분석 HPLC에 의해 용출을 모니터링하였다. 정제된 WF27082 B에 해당하는 부분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무색의 오일 230 mg을 얻었다.
실시예 2
(1) WF27082 E 및 F의 발효 생산 :
배양된 배양 발효액(20 L)를 실시예 1(1)에서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얻었다.
(2) WF27082 E 및 F의 분리 :
배양된 배양 발효액(20L)을 간헐적인 교반에 의해 아세톤 20L로 추출하였다. 규조토를 사용하여 아세톤 추출물을 여과하고, 동체적의 물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여과물을 디아이온 HP-20(미쯔비시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의 컬럼(1 L)을 통과시켰다. 컬럼을 물, 70% 수성 메탄올로 세척하고, 메탄올로 용출시켰다. 용출물(1L)을 2L의 물로 희석하고, 45% 수성 아세토니트릴로 충전시킨 YMC GEL ODS-AM 120-S50(YMC Co., Ltd.)의 컬럼(180 mL)상에 적용하였다. 이 컬럼을 45% 수성 아세토니트릴로 용출시키고, 하기의 분석 HPLC에 의해 용출을 모니터링하였다. WF27082 E및 F의 혼합물에 해당하는 부분(500 ml)를 500 ml의 물로 희석하고, 60% 수성 메탄올로 충전시킨 YMC GEL ODS-AM 120-S50(YMC 컴퍼니 리미티드) 컬럼(180 ml) 상에 적용하였다. 이 컬럼을 60% 수성 메탄올로 용출시키고, WF27082 E 및 F에 해당하는 부분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수성 잔여물을 생성하였다. 이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고, 그 추출물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유성 잔여물을 얻었다. 유성 잔여물을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제조 HPLC를 한 후, 이동상으로서 40% 수성 메탄올을 충전한 컬럼 플루오픽스 120E 1EW225(20 mm x 250 mm, NEOS Co., Ltd.)에 유속 9.9 ml/분으로 적용하였다. 정제된 WF27082 E 및 F에 해당하는 부분(보유 : WF27082 E; 74.8 분, WF27082 F; 85.7 분)을 진공에서 농축하여 유성 잔여물의 형태로 8 mg 및 18 mg을 각각 산출하였다.
(분석 HPLC 조건)
컬럼 YMC 팩 ODS-AM AM303, S-5 120A
(250 mm L. x 4.6 mm I.D., YMC Co., Ltd.)
용출액 40% 수성 아세토니트릴
온도 50℃
유속 1 ml/분
검출 210 nm에서 UV
보유 시간 WF27082 E 15.3 분
WF27082 F 16.1 분
이 출원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출원된 6469/1998 및 9257/1999(출원 번호)를기초로 한 것이며, 상기 출원들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WF27082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며, 단 R3가 수소인 경우에 R2는 에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메틸, R2는 에틸, R3는 메틸, R4는 히드록시인 화합물 WF27082.
  3. 기탁 번호가 FERM BP-6539이고,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Acremonium)속의 진균 균주.
  4. 영양 배지에서 제3항의 진균 균주를 배양하고, 이의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
  5. 영양 배지에서 아크레모니움속의 WF27082-생산 균주를 배양하고, 이의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화합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WF27082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아크레모니움속의 WF27082-생산 균주가 제3항의 진균 균주인 방법.
  7. 약학적으로 허용성이고 실질적으로 비독성인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WF27082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기재된 화합물.
  9.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속 진균 균주를 영양 배지에서 배양하고, 상기 화합물을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의 제조 방법.
  10.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생산하는 아크레모니움속진균 균주를 영양 배지에서 배양하고 이의 배양 발효액으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수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
  1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이다.
  12. 제11항에 사용된 화합물 (I)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의 저해 방법.
  13.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저해하는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1항에 사용된 화합물 (I)의 용도.
  14.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병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여기서, R1은 메틸, R2는 메틸 또는 에틸, R3는 수소 또는 메틸, R4는 선택적으로 히드록시-보호기를 가진 히드록시이다.
  15. 제14항에 사용된 화합물 (I)을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병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16. 염증성 질환, 당뇨병, 당뇨병성 합병증, 동종접합 탈라세미아, 섬유증, 경변증, 급성 전골수세포성 백혈병(APL),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또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제14항에 사용된 화합물 (I)의 용도.
  17. 제1항에 사용된 화합물 WF27082를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충류 감염증 또는 종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18. 원충류 감염증 또는 종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에 사용된 화합물 WF27082의 용도.
  19. 면역억제제 또는 항종양제로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저해제의 용도.
  20. 장기 이식 거부 반응, 자가면역질환 또는 종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억제제의 용도.
KR1020017004664A 1998-10-13 1999-10-08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010080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P6469 1998-10-13
AUPP6469A AUPP646998A0 (en) 1998-10-13 1998-10-13 Novel compound wf27082b substance
AUPP9257A AUPP925799A0 (en) 1999-03-16 1999-03-16 Novel compound WF27082
AUPP9257 1999-03-16
PCT/JP1999/005597 WO2000021979A2 (en) 1998-10-13 1999-10-08 Cyclic tetrapeptide and their use as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142A true KR20010080142A (ko) 2001-08-22

Family

ID=2564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664A KR20010080142A (ko) 1998-10-13 1999-10-08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56905B1 (ko)
EP (1) EP1123309A2 (ko)
JP (1) JP2002527449A (ko)
KR (1) KR20010080142A (ko)
CN (1) CN1330660A (ko)
BR (1) BR9914779A (ko)
CA (1) CA2346943A1 (ko)
CZ (1) CZ20011342A3 (ko)
HK (1) HK1042308A1 (ko)
HU (1) HUP0103985A2 (ko)
IL (1) IL142531A0 (ko)
PL (1) PL348648A1 (ko)
TR (1) TR200101049T2 (ko)
TW (1) TW536544B (ko)
WO (1) WO20000219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5199D0 (en) * 2000-03-04 2000-04-26 Imp College Innovations Ltd Modulation of histone deacetylase
EP1598067B1 (en) 2000-09-29 2009-05-06 TopoTarget UK Limited Carbamic acid compounds comprising an amide linkage for the treatment of malaria
AU2002243231A1 (en) 2000-11-21 2002-07-24 Wake Forest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US20040087657A1 (en) * 2001-10-16 2004-05-06 Richon Victoria M.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cancer of the brain using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20060229236A1 (en) * 2001-12-28 2006-10-12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Cyclic tetra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AU2003219803B8 (en) * 2002-02-15 2005-08-25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Method of treating TRX mediated diseases
US7488712B2 (en) 2002-02-20 2009-02-10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EP1487426B1 (en) 2002-03-04 2012-08-22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Methods of inducing terminal differentiation
US7456219B2 (en) 2002-03-04 2008-11-25 Merck Hdac Research, Llc Polymorphs of 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US7148257B2 (en) 2002-03-04 2006-12-12 Merck Hdac Research, Llc Methods of treating mesothelioma with 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DE60331297D1 (de) 2002-03-07 2010-04-01 Univ Delaware Verfahren zur verstärkung der oligonucleotid-vermittelten nucleinsäuresequenzänderung unter verwendung von zusammensetzungen mit einem hydroxyharnstoff
CN100566711C (zh) * 2002-04-15 2009-12-09 斯隆-凯特林癌症研究院 治疗癌症的化合物及其用途
US7154002B1 (en) 2002-10-08 2006-12-26 Takeda San Diego,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US7250514B1 (en) 2002-10-21 2007-07-31 Takeda San Diego,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RU2352337C2 (ru) * 2002-11-12 2009-04-20 Алькон, Инк. Ингибиторы гистондеацетилазы для лечени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х неоваскулярных нарушений и заболеваний
FR2847817B1 (fr) * 2002-11-28 2006-11-10 Centre Nat Rech Scient Utilisation d'un inhibiteur d'histone deacetylase pour le traitement des dystrophies musculaires
US8299126B2 (en) * 2003-02-27 2012-10-30 Leonard A. Cohen Treatment of canine hemangiosarcoma with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US7375228B2 (en) 2003-03-17 2008-05-20 Takeda San Diego, Inc.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WO2004113366A1 (ja) 2003-06-20 2004-12-29 Riken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阻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491188A1 (en) * 2003-06-25 2004-12-29 G2M Cancer Drugs AG Topical use of valproic aci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orders
JP2007501775A (ja) * 2003-08-07 2007-02-01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免疫抑制剤としての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阻害剤
DK1663194T3 (da) 2003-08-26 2010-07-19 Merck Hdac Res Llc Anvendelse af SAHA til behandling af mesotheliom
CN1964714B (zh) 2003-08-29 2011-09-28 Hdac默克研究有限责任公司 辛二酰苯胺异羟肟酸和吉西他滨在制备用于治疗癌症的药物中的用途
EP1810028A2 (en) * 2004-10-14 2007-07-25 Rigel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inhibitors of ires-mediated transl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8524246A (ja) 2004-12-16 2008-07-10 タケダ サン ディエ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阻害剤
NZ599464A (en) 2005-02-03 2014-03-28 Topotarget Uk Ltd Combination therapies using hdac inhibitors
JP2008540574A (ja) 2005-05-11 2008-11-20 タケダ サン ディエ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ストンデアセチラーゼ阻害剤
JP5108750B2 (ja) 2005-05-13 2012-12-26 トポターゲット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Hdac阻害剤の医薬製剤
TWI365068B (en) 2005-05-20 2012-06-01 Merck Sharp & Dohme Formulations of 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CN101263121A (zh) 2005-07-14 2008-09-10 塔克达圣地亚哥公司 组蛋白脱乙酰基酶抑制剂
WO2007054719A2 (en) 2005-11-10 2007-05-18 Topotarget Uk Limited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s (pxdlol)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eutic agent
US20100137239A1 (en) 2006-04-24 2010-06-03 Gloucester Pharmaceuticals Gemcitabine combination therapy
WO2007146730A2 (en) 2006-06-08 2007-12-21 Gloucester Pharmaceuticals Deacetylase inhibitor therapy
KR101114970B1 (ko) 2006-09-05 2012-03-13 도꾸리쯔교세이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US20090022720A1 (en) * 2007-07-20 2009-01-22 Stephan Fischer Conjugate of an antibody against CD4 and antifusogenic peptides
MX2010003230A (es) * 2007-09-25 2010-04-07 Topotarget Uk Ltd Metodos para la sintesis de ciertos compuestos de acido hidroxamico.
US20110044952A1 (en) * 2007-11-27 2011-02-24 Ottawa Health Research Institute Amplification of cancer-specific oncolytic viral infection by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ES2536208T3 (es) * 2008-03-07 2015-05-21 Onxeo Dk, Branch Of Onxeo S.A., France Métodos de tratamiento que emplean infusión continua prolongada de Belinostat
WO2009149201A1 (en) * 2008-06-03 2009-12-10 Cedars-Sinai Medical Center Methods of treatment for pulmonary fibrosis
GB0900555D0 (en) * 2009-01-14 2009-02-11 Topotarget As New methods
PL219569B1 (pl) 2010-02-19 2015-05-29 Peptaderm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Cykliczne tetrapeptydy i ich zastosowanie
CN102153622A (zh) * 2010-12-25 2011-08-17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免疫增强剂脯氨酸-甘氨酸环四肽(c14h20n4o4)及应用
CN107141335B (zh) * 2017-04-12 2020-10-20 宁波大学 一种环肽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461480A1 (en) 2017-09-27 2019-04-03 Onxeo Combination of a dna damage response cell cycle checkpoint inhibitors and belinostat for treating cancer
EP3461488A1 (en) 2017-09-27 2019-04-03 Onxeo Combination of a dbait molecule and a hdac inhibitor for treating cancer
WO2021148581A1 (en) 2020-01-22 2021-07-29 Onxeo Novel dbait molecule and its use
WO2023041805A1 (en) 2021-09-20 2023-03-23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for improving the efficacy of hdac inhibitor therapy and predict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with hdac inhibitor
WO2023194441A1 (en) 2022-04-05 2023-10-12 Istituto Nazionale Tumori Irccs - Fondazione G. Pascale Combination of hdac inhibitors and stati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686A (ja) * 1994-01-06 1995-08-01 Takeda Chem Ind Ltd 化合物tan−1746類、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EP0855024A4 (en) 1995-09-20 2001-08-22 Merck & Co Inc HISTONE DEACETYLASE AS THE ATTACK POINT FOR ANTIPROTOZOIC ACTIVE SUBSTANCES
GB2309696B (en) * 1996-01-31 2000-02-23 Merck & Co Inc Antiprotozoal cyclic tetrapeptides
US6777217B1 (en) * 1996-03-26 2004-08-1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Histone deacetylases, and uses related thereto
AUPP505798A0 (en) 1998-08-04 1998-08-2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Novel compound fr225497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11342A3 (cs) 2001-09-12
WO2000021979A2 (en) 2000-04-20
JP2002527449A (ja) 2002-08-27
HUP0103985A2 (hu) 2002-02-28
TR200101049T2 (tr) 2002-01-21
CA2346943A1 (en) 2000-04-20
US6656905B1 (en) 2003-12-02
TW536544B (en) 2003-06-11
BR9914779A (pt) 2001-07-03
WO2000021979A3 (en) 2000-07-20
PL348648A1 (en) 2002-06-03
EP1123309A2 (en) 2001-08-16
HK1042308A1 (zh) 2002-08-09
IL142531A0 (en) 2002-03-10
CN1330660A (zh)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0142A (ko) 사이클릭 테트라펩티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6596518B2 (en) Percyquinnin,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as a pharmaceutical
JPH0372483A (ja) 免疫抑制剤
JPS61148181A (ja) Fr―900506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JPH02204499A (ja) ペプチド誘導体
US7098186B2 (en) Depsipeptide compound
EP1142905B1 (en) Novel depsipeptide compound
US5801143A (en) Cyclic depsipeptides useful for treatment of hyperlipemia
US5043354A (en) Pharmaceutically useful 5-hydroxy-2,3-dihydro-benzofurans and 5-hydroxy-benzofurans
JPH0394692A (ja) 生理活性物質be―18257類
ZA200103338B (en) Cyclic tetra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JP3156006B2 (ja) テトロン酸誘導体、その製造法及び用途
AU6007299A (en) Cyclic tetra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JP2810752B2 (ja) 新規生理活性物質サイクロオクタチン、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EP0629184A1 (en) TETRALIN DERIVATIVES A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JP2000169495A (ja) 糖脂質、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MXPA01003742A (en) Cyclic tetrapeptide compound and use thereof
JPH09221428A (ja) Wb2663b物質を含有する免疫抑制剤
JPH06157520A (ja) 新規物質hq24
WO1997009298A1 (en) Production of an immunosuppressant using microorganisms
JPH04243894A (ja) 新規q−6402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239749A (ja) 新規物質fr901537、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JPH05301857A (ja) Ws63967物質、その製法及び用途
JPH09316068A (ja) 骨吸収阻害物質a−75943
JPH09241242A (ja) 新規ピエリサイジ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