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792A -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792A
KR20010074792A KR1020017001378A KR20017001378A KR20010074792A KR 20010074792 A KR20010074792 A KR 20010074792A KR 1020017001378 A KR1020017001378 A KR 1020017001378A KR 20017001378 A KR20017001378 A KR 20017001378A KR 20010074792 A KR20010074792 A KR 2001007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ad
biaxially oriented
oriented polyester
wr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506B1 (ko
Inventor
고바야시이에야스
오사와도시후미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4908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47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2001007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68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 G11B5/70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 G11B5/70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 G11B5/702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omprising one or more layers of magnetisable material homogeneously mixed with a bonding agent on a base layer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 containing polyesters, polyethers, silicones, polyvinyl resins, polyacrylresins or epoxy resi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31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layer being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1) 세로방향으로 170(g/12.65mm)의 하중을 걸고 49℃, 90% RH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할 경우, 처리 전후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0.40% 이하이고,
(2) 결정화도가 27 내지 45%이며,
(3) 폭 방향의 온도 팽창계수 αt(× 10-6/℃)와 습도 팽창계수 αh(×10-6/% RH)가 (αt+2αh)≤45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4) 폭 방향의 열 수축률이 0 내지 0.7%이며,
(5) 두께가 3 내지 7μm인, 자기 기록 매체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러한 필름은 특히 리니어 트랙 방식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 용도에 유용하며 테이프 폭의 치수 변화에 따라 트랙이 어긋남으로써 야기되는 에러를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매체용, 특히 디지털 데이터 저장 테이프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베이스 필름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열, 기계 특성으로 인해 자기 기록 매체용, 전기절연용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자기 기록 매체, 특히 데이터 저장용 자기 기록 매체에서는 테이프의 고용량화, 고밀도화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필름에 대한 특성요구도 엄격해지고 있다. QIC, DLT 또는 고용량의 super DLT, LTO와 같이 리니어 트랙 방식(linear track type)을 채용하는 데이터 저장용 자기 기록 매체에서는 테이프의 고용량화를 실현하기 위해 트랙 피치를 대단히 좁게 하고 있으며, 따라서 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일어나면 트랙이 어긋나서 에러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치수 변화에는 온습도 변화에 기인하는 것과 고장력하의 고온고습 상태에서 반복하여 주행시킬 때에 생기는 폭 방향의 경시적 수축에 기인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치수 변화가 크면트랙이 어긋나서 전자 변환시 에러가 발생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테이프 기록 고용량화에 따라 테이프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현저해지며, 이러한 치수 변화의 개선이 새로운 과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폭 방향의 경시적 수축은 베이스 필름의 세로방향의 영률을 크게 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중합체 특성과 막 제조 특성의 측면에서 세로방향의 영률을 크게 할수록 가로방향의 영률의 상한이 작아져 결과적으로 전자의 온습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가 커져 양쪽을 양립시키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212787호에는 세로방향의 영률(EM) 및 가로방향의 영률(ET)이 각각 550kg/mm2이상, 700kg/mm2이상이고 영률의 비(ET/EM)가 1.1 내지 2.0이며 70℃, 65%의 상대 습도에서 무하중 하에 1시간 동안 유지시킬 때의 세로방향의 수축률이 0.02% 이하이고 세로방향의 온도팽창율(αt)이 10×10-6/℃ 이하이며 세로방향의 습도 팽창계수(αh)가 15×10-6/% RH 이하인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WO 99/29488호에는 가로방향의 열팽창 계수 αt(×10-6/℃), 가로방향의 습도 팽창계수 αh(×10-6/% RH) 및 세로방향으로 하중을 부하할 때에 하중에 대한 가로방향의 수축률 P(ppm/g) 사이에 다음 수학식 1의 관계가 성립하는, 두께 7μm 미만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특히 리니어 트랙 방식의 디지털 데이터 저장용 자기 기록 매체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테이프 폭의 치수 변화에 따른 트랙이 어긋남으로 인해 야기되는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 특히 디지털 데이터 저장용 자기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이점은
(1)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 1mm2당 2.7kg의 하중을 부하하여 49℃, 90% RH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할 경우, 처리 전후의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 변화가 0.40% 이하이고,
(2) 결정화도가 27 내지 45%이며,
(3)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도 팽창계수(αt)가 -5×10-6내지 +20×10­6/℃의 범위이고,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습도 팽창계수(αh)가 +5×10­6내지 +20×10­6/% RH의 범위이며, (αt+2αh)의 값이 +45×10-6이하이고,
(4)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률이 0 내지 0.7%의 범위이며,
(5) 필름 두께가 3 내지 7μ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한쪽 표면 위의 자성층으로 이루어진 자기 기록 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필름 가로방향의 수축률을 측정하는 장치의 설명도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
폴리에스테르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소재인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폴리에틸렌-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복실레이트 및 이들 폴리에스테르의 반복 단위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폴리에틸렌-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복실레이트가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는 위에 열거한 중합체 중의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폴리에스테르는 o-클로로로페놀 중의 용액으로서 35℃에서 측정하여 구한 고유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9,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7,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0.65이다.
표면 조도(粗度) 및 첨가 입자
본 발명에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필름의 자성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 조도 WRa(중심면 평균 조도)는 1 내지 1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nm, 특히 2 내지 8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Rz(10점 평균 조도)는 30 내지 25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nm, 특히 30 내지 1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조도 WRa가 10nm보다 크거나 WRz가 150nm보다 크면, 자성층의 표면이 거칠어지며 만족할 수 있는 전자 변환 특성이 수득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표면 조도 WRa가 1nm 미만이거나 WRz가 30nm 미만이면, 표면이 너무 평탄해지며 패스 로울 또는 캘린더에서의 미끄러짐성이 나빠지고 주름이 발생하여 자성층을 양호하게 도포할 수 없게 되거나 양호하게 캘린더를 걸 수 없게 된다.
상기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자성층 측(예: 백 코팅층 도포측)의 표면 조도 WRa(중심면 평균 조도), WRz(10점 평균 조도)는 단층 필름의 경우, 상기한 자성층을 설치하는 측의 표면 조도 WRa, WRz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표면 조도 WRa, WRz의 값은 전자 변환 특성과 주행성을 만족하도록 선택한다.
또한, 적층 필름의 경우, 비자성층 측의 필름 표면 조도 WRa(중심면 평균 조도)는 5 내지 2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nm, 특히 8 내지 12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Rz(10점 평균 조도)는 100 내지 3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nm, 특히 150 내지 2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조도 WRa가 20nm보다 크거나 WRz가 300nm보다 크면, 평탄층(자성층) 측 표면에서 돌기가 돌출되고 또한 자기 테이프 권취시에 자성층 표면에서 표면 요철의 전사가 커지며 자성층면이 거칠어지고 만족할 수 있는 전자 변환 특성이 수득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표면 조도 WRa가 5nm 미만이거나 WRz가 100nm 미만이면, 필름의 미끄러짐성이 나빠지거나 또는 에어 스퀴징성이 나빠지며 필름을 슬리트할 때에 버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세로 주름이 발생하여 만족할 수 있는 권취성이 수득되지 않는다.
상기한 표면 조도 WRa, WRz는 필름에 불활성 미립자, 예를 들면, 주기율표 제IIA, 제IIB, 제IVA, 제IVB의 원소를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예: 카올린, 알루미나,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 가교 실리콘 수지, 가교 폴리스티렌, 가교 아크릴 수지 입자 등과 같이 내열성이 높은 중합체로 이루어진 미립자 등을 함유시키거나,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표면처리, 예를 들면, 미끄럼 용이성 도포제의 코팅처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경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μ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μm이다. 또한, 이의 양은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중량%이다. 또한, 필름에 함유시킨 불활성 미립자는 단성분계 또는 다성분계일 수 있지만, 특히 비자성층 측의 중합체에는 테이프의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권취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2성분계 또는 그 이상의 다성분계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의 WRa 또는 WRz의 조정은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 첨가량을 상기한 범위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하면 양호하다. 또한, WRz의 조정은 미립자의 입자 직경을 작게 하거나 거대 입자를 제거하는 수단 등을 사용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일 수 있지만, 테이프의 전자 변환 특성과 필름의 권취성을 양립시키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적층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필름으로는 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적층시킨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적층시킨 적층 필름의 각각의 층의 폴리에스테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지만 동일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접착성 또는 미끄럼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층을 코팅한 것도 포함된다. 도포층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또는 폴리아크릴계의 수성 수지(예: 수용성 수지, 수분산성 수지 등)를 고형분에 50중량%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성 수지로서는 도포막 형성 수성 수지로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용이성 향상을 위해, 도포층은 불활성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활성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콜로이드성 실리카와 같은 무기 입자 또는 가교 아크릴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스티렌 입자와 같은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내삭성(耐削性)의 관점에서 무기 입자보다는 유기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n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nm이다. 입자의 함유량은 도포제 고형분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이다. 입자는 구형에 가까운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입자 직경도 일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층에는 계면활성제를 고형분 중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 함유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의 두께(고형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n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nm이다.
또한, 도포층의 형성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막 제조공정에서 1축 연신 후 도포하며, 연신방향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시 건조시켜 형성하는 인 라인 도포방식 또는 2축 배향 필름에 도포하는 오프 라인 도포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인 라인 도포 방식이 도포막 형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총 두께가 3 내지 7μ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μm이다. 이의 두께가 7μm를 초과하면 테이프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고, 예를 들면, 카세트에 투입되는 테이프 길이가 짧아지며 충분한 자기 기록용량이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3μm 미만에서는 필름 두께가 얇은 이유로 필름 막 제조시에 필름 파단이 많이 발생하며 또한 필름의 권취성이 불량해지며 양호한 필름 로울이 수득되지 않는다.
하중 하에서 온습도 처리에 의한 하중 부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 변화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 1mm2당 2.7kg의 하중을 부하하여 49℃, 90% RH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할 경우, 처리 전후의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0.40% 이하이다. 치수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0.3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이러한 치수 변화가 0.4%보다 크면 고장력하의 고온고습 상태에서 테이프를 반복하여 주행시킬 때,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서 기록·재생의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결정화도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결정화도는 27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이다. 이러한 결정화도가 27% 미만이면 세로방향 하중에 의한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결정화도가 45%를 초과하면 온습도 변화에 따른 가역적인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열 수축률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폭 방향의 열 수축률은 0 내지 0.7%,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5%,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3%이다. 이러한 열 수축률이 0% 이하인 경우, 필름이 연신 방향으로 되어 필름이 물결치며 잘 권취되지 않게 되거나 막 제조공정 등에서 절삭이 발생한다. 한편, 0.7%를 초과하면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팽창계수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또한, 필름면에서 폭 방향의 온도 팽창계수(αt)가 -5×10-6내지 +20×10­6/℃의 범위이고, 필름면에서 폭 방향의 습도 팽창계수(αh)가 +5×10-6내지 +20×10-6/% RH의 범위이며, (αt+2αh)의 값이 +45×10-6이하이다. (αt+2αh)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40×10-6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10­6이하이다. (αt+2αh)의 값이 45×10­6보다 크면 온습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서 기록·재생의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흡열 피크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시차주사형 열량계(D
SC)로 측정할 경우 열량이 120 내지 160℃의 온도 범위에서 0.05mJ/mg 이상인 흡열 피크를 갖는다. 이러한 흡열 피크가 0.05mJ/mg 미만이면 테이프의 크리프가 개량되지 않으며 고장력하의 고온고습 상태에서 반복하여 주행시킬 때,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서 기록·재생의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흡열 피크는 바람직하게는 0.1mJ/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J/mg 이상의 열량을 나타낸다
.
영률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중 부하방향(세로방향)의 영률이 6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GPa 이상, 특히 8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방향의 영률이 6GPa 미만이면 자기 테이프의 세로방향 강도가 약해지며 기록·재생시에 세로방향으로 강한 힘이 걸리면 쉽게 파단되어 버린다. 또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가로방향)의 영률은 4G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GPa 이상, 특히 6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방향의 영률이 4GPa 미만이면 리니어 트랙 방식의 자기 테이프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온습도 변화시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서 기록·재생의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세로방향의 영률과 가로방향의 영률의 합이 10 내지 20GPa, 또는 2 내지 16GP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니어 트랙 방식의 자기 테이프용으로서 제공하는 경우, 세로방향의 연신을 작게 한다는 측면에서 세로방향의 영률이 가로방향의 영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방향의 영률과 가로방향의 영률의 합이 10GPa 미만이면 자기 테이프의 강도가 약해지며 테이프가 쉽게 파단되거나, 온습도 변화시의 치수 변화가 커지며 트랙이 어긋나서 기록·재생의 에러가 발생하여 만족할 수 있는 고밀도 자기매체가 수득되지 않는다. 한편, 20GPa를 초과하면 필름막 제조시에 연신 배율이 높아지며 필름 파단이 많이 발생하여 제품 수율이 현저하게 나빠진다.
막 제조방법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 필름의 경우,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의 융점(Tm: ℃) 내지 (Tm+70)℃의 온도로 압출하여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한 다음, 당해 미연신 필름을 1축 방향(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Tg-10) 내지 (Tg+70)℃의 온도(단, Tg: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연신방향과 직각 방향(1단계에서 세로방향인 경우에는 2단계에서는 가로방향이 됨)으로 Tg 내지 (Tg+70)℃의 온도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시킨 다음 열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에,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처리 조건 등은 상기한 필름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결정한다. 면적 연신 배율은 15 내지 35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배로 한다. 열고정 온도는 190 내지 250℃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고, 처리 시간은 1 내지 60초의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양호하다.
이러한 순차 2축 연신법 이외에 동시 2축 연신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순차 2축 연신법에서 세로방향, 가로방향의 연신 회수는 1회로 한정되지 않으며 종-횡연신을 수회의 연신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당해 회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계 특성을 보다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고정 처리 전에 2축 연신 필름을 (Tg+20) 내지 (Tg+70)℃의 온도로 열처리한 다음, 이러한 열처리 온도보다 10 내지 40℃ 높은 온도에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이어서 연신 온도보다 20 내지 50℃ 높은 온도에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시 연신시켜, 세로방향의 경우에는 총 연신 배율을 4.0 내지 6.0배로 하고, 가로방향의 경우에는 총 연신 배율을 3.0 내지 6.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2종류 이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다이내에서 적층시킨 다음 필름상으로 압출하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폴리에스테르의 융점(Tm: ℃) 내지 (Tm+70)℃의 온도로 압출하거나 2종류 이상의 용융 폴리에스테르를 다이로부터 압출한 후에 적층하고 급냉 고화시켜 적층 미연신 필름으로 한 다음, 단층 필름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에서 2축 연신 및 열처리를 실시하여 적층 2축 배향 필름으로 한다.
또한, 도포법에 의해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한 (적층) 미연신 필름 또는 (적층) 1축 연신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원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기록 매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며 이의 한면 위에 자성층을 갖는 자기 기록 매체가 동일하게 제공된다.
자기 기록 매체로서는 본 발명의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QIC나 DLT 또는 고용량 타입인 S-DLT나 LTO 등의 리니어 트랙 방식의 데이터 저장 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은 온습도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 및 고장력하의 고온고습 상태에서 반복하여 주행시킬 때에 생기는 세로방향의 경시적 신장(크리프)에 의한 폭 방향의 경시적 수축(크리프)에 의한 치수 변화가 매우 작으므로 테이프의 고용량화를 확보하기 위해 트랙 피치를 좁게 해도 트랙이 쉽게 어긋나지 않는 고밀도 고용량에 적절한 자기 기록 매체로 된다.
실시예
하기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종 물성치 및 특성은 아래와 동일하게 하게 측정하여 정의한다.
(1) 영률
필름을 시료 폭 10mm, 길이 15cm로 절단하고 척(chuck) 사이를 100mm로 하여 인장 속도 10mm/min, 챠트 속도 500mm/min에서 인스트론 타입의 만능 인장시험기로 인장하여 수득되는 하중-신장 곡선의 솟아오른 부분의 접선에서 영률을 계산한다.
(2) 표면 조도(WRa, WRz)
WYKO사제 비접촉식 3차원 조도계(NT-2000)를 사용하여 측정 배율 25배, 측정 면적 246.6μm×187.5μm(0.0462mm2)의 조건에서 측정수(n) 10 이상으로 측정을 실시하고 당해 조도계에 내장된 표면 해석 소프트에 의해 중심면 평균 조도(WRa) 및 10점 평균 조도(WRz)를 구한다.
(A) 중심면 평균 조도(WRa)
위의 수학식 2에서,
이고,
Zjk는 측정방향(246.6μm)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187.5μm)을 각각 m분할, n분할할 때의 각 방향의 j번째, k번째 위치에서의 3차원 조도 챠트 위의 높이이다.
(B) 10점 평균 조도(WRz)
피크(Hp)가 높은 쪽으로부터 5점을 취하고 골짜기(Hv)가 낮은 쪽으로부터 5점을 취하여 평균 조도를 WRz로 한다.
(3) 불활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시마쓰세이사쿠쇼제 CP-50형 원심성 입자 크기 분석기(Centrifugal Particle Size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수득된 원심 침강 곡선을 기초하여 산출하는 각 입자의 입자 직경과 이의 존재량의 누적 곡선으로부터 50매스 퍼센트(mass percent)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을 판독하고 이러한 값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한다.
(4) 폭 방향의 열 수축률
온도 105℃로 설정된 항온실 속에 미리 정확한 길이를 측정하여 폭 방향으로 길이 약 30cm, 폭 1cm로 절단한 필름을 무하중으로 투입하여 30분 동안 유지 처리한 다음 인출하고 실온으로 회복시킨 다음 이의 치수 변화를 판독한다. 열처리 전의 길이(L0)와 열처리 후의 길이(L1)로부터 다음 수학식 4로부터 열 수축률을 구한다.
열 수축률=(L0-L1)/L0×100[%]
(5) 온도 팽창계수(αt)
필름 샘플을 필름 폭 방향으로 길이 15mm, 폭 5mm로 절단하여 인출하고 신쿠리코제 TMA 3000에 고정시켜 질소 분위기 하에서 60℃에서 30분 동안 전처리한 다음, 실온까지 강온시킨다. 이어서, 25℃로부터 70℃까지 2℃/min로 승온하여 각 온도에서 샘플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5로부터 온도 팽창계수(αt)를 산출한다.
αt=[(L2-L1)/(L1×△T)]+0.5×10­6(주)
위의 수학식 5에서,
L1은 40℃에서의 샘플 길이(mm)이고,
L2는 60℃에서의 샘플 길이(mm)이며,
△T는 20(= 60-40℃)이다.
주: 석영 유리의 온도 팽창계수이다.
(6) 습도 팽창계수(αh)
필름 샘플을 필름 폭 방향으로 길이 15mm, 폭 5mm로 절단하여 인출하고 신쿠리코제 TMA 3000에 고정시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습도 30% RH 및 습도 70% RH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이때의 샘플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6으로부터 습도 팽창계수를 산출한다.
αh=[(L2-L1)/(L1×△H)]
위의 수학식 6에서,
L1은 습도 30% RH에서의 샘플 길이(mm)이고,
L2는 습도 70% RH에서의 샘플 길이(mm)이며,
△H는 40(= 70-30% RH)이다.
(7) 필름의 세로방향 하중 인가 후의 폭 방향의 잔류수축
온도 23℃, 습도 50%의 분위기 하에 폭 12.65mm(1/2인치)로 슬리트한 필름(길이 30cm)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한다. 또한, 12.65mm로 슬리트한 샘플을 검출기로 폭 방향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리 표면에 스퍼터로 금을 증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의 한쪽(또다른 한쪽은 고정)에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당 2.7kg의 추를 달아 이때의 필름 폭(L1)을 키엔스제 레이저 외부 직경 측정기(본체: 3100형, 센서: 3060형)로 측정한다.
이어서, 49℃(120oF)×90% RH의 고온고습하에서 한쪽(또다른 한쪽은 고정)에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당 2.7kg의 추를 달아 72시간(3일 동안) 동안 처리한 다음, 추를 떼어내고 온도 23℃, 습도 50%의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동안 습도 를 조절한 후에, 다시 필름의 한쪽(또다른 한쪽은 고정)에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당 2.7kg의 추를 달아 이때의 필름 폭(L2)을 키엔스제 레이저 외부 직경 측정기(본체: 3100형, 센서: 3060형)로 측정한다.
위에서 측정한 온습도 처리 전후의 치수로부터 하중하에 온습도 처리 전후의 폭 치수 변화(αW)를 수학식 7로부터 산출한다.
αW= [(L2-L1)/L1]×100(%)
(8) 결정화도
밀도 구배관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밀도를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8로부터 결정화도를 산출한다.
위의 수학식 8에서,
d는 필름의 밀도이고,
da는 비결정 밀도이며,
dc는 결정 밀도이다.
또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의 경우, 비결정 밀도(da)는 1.325g/cm3이고, 결정 밀도(dc)는 1.407g/cm3으로 한다.
(9) 트랙 어긋남(에러 레이트)
미디어 로직사제 ML 4500B, QIC용 시스템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에러 레이트를 측정한다.
전류(Current): 15.42mA
주파수(Frequency): 0.25MHz
로케이션(Location): 0
역치(Threshold): 40.0
Bad/Good/MAX: 1/1/1
트랙(Tracks): 28
또한, 에러 레이트의 수는 측정한 트랙수(= 28)의 평균치로 나타낸다.
조건 1 및 조건 2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조건 1: 10℃, 10% RH의 온습도 하에서 기록한 다음, 45℃, 80% RH의 온습도 하에서 재생하여 온습도 변화에 따른 트랙이 어긋나는 양을 측정한다.
조건 2: 23℃, 50% RH의 온습도 하에서 기록한 다음, 40℃, 260% RH의 온습도 하에 60시간 동안 반복하여 주행시키고 23℃, 50% RH의 온습도 상태로 되돌려 24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기록을 재생하여 비교적 고온 고습도 하에서의 주행에 따른 폭 수축에 의해 트랙이 어긋나는 양을 측정한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에러 레이트 없음
○: 에러 레이트는 있지만 실용적으로 문제없음
×: 에러 레이트가 많으며 실용적으로 문제있음
(10) 유리전이점(Tg)
필름 10mg을 330℃에서 5분 동안 용융시킨 다음, 세이코-덴시고교(주)제 열분석 시스템(시차주사 열량계) SSC 5200, DSC 220에 고정하여 질소 기류 속에서 20℃/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여 베이스 라인에 불연속이 나타나는 영역의 중점의 온도를 Tg로 한다.
(11) 흡열 피크의 흡열 에너지량
필름 10mg을 세이코-덴시고교(주)제 열분석 시스템(시차주사 열량계) SSC 5200, DSC 220에 고정하여 질소 기류 속에서 20℃/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고 필름의 흡열 에너지에 대응하는 DSC 챠트 위의 흡열측 면적으로부터 구한다. 이러한 면적은 승온함으로써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흡열측으로 어긋나며, 승온을 계속하여 흡열 피크를 경유한 다음 베이스 라인 위치까지 되돌아갈 때까지 흡열측의 면적이며, 흡열 개시 온도 위치로부터 종료 온도 위치까지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면적(A)을 구한다. 동일한 DSC의 측정 조건에서 In(인듐)을 측정하고 이러한 면적(B)을28.5mJ/mg으로 하여 다음 수학식 9로부터 구한다.
흡열 에너지량= (A/B)×28.5mJ/mg
실시예 1
평균 입자 직경이 0.6μm인 탄산칼슘 입자 0.02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실리카 입자 0.2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를 18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압출기 호퍼에 공급하여 300℃로 용융하고 T형 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압출시키고 표면 가공 0.3S, 표면온도 60℃로 유지되는 캐스팅 드럼 위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75℃로 예열한 다음, 저속, 고속의 로울 사이에서 14mm 상방으로부터 830℃의 표면온도의 적외선 가열기로 가열하여 5.1배 연신시키고 급냉한 다음, 이어서 텐터에 공급하여 125℃에서 가로방향으로 4.8배 연신시킨다. 이어서, 240℃에서 10초 동안 열고정한 다음, 120℃에서 가로방향으로 1.0% 이완처리하여 두께 4.5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의 영률은 세로방향 8GPa, 가로방향 6.5GPa이다.
한편, 하기에 기재된 조성물을 볼 밀에 투입하고 16시간 동안 혼련, 분산시킨 다음,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바이엘사제의 데스모듈 L) 5중량부를 가하여 1시간 동안 고속 전단분산하여 자성도료로 한다.
자성도료의 조성:
침상 Fe 입자 100중량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5중량부
(세키스이가가쿠제 에스렉 7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중량부
산화크롬 5중량부
카본 블랙 5중량부
레시틴 2중량부
지방산에스테르 1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메틸에틸케톤 50중량부
사이클로헥사논 50중량부
이러한 자성도료를 상기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필름의 한면에 도포 두께 0.5μm로 되도록 도포한 다음, 2,500가우스의 직류 자장 속에서 배향처리를 실시하여 100℃로 가열 건조한 후에 슈퍼 캘린더 처리(선압 2,000N/cm, 온도 80℃)를 실시하여 권취한다. 이와 같이 권취된 로울을 55℃의 오븐 속에 3일 동안 방치한다.
또한, 하기 조성의 백 코팅층 도료를 두께 1μm로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12.65mm(= 1/2인치)로 재단하여 자기 테이프를 수득한다.
백 코팅층 도료의 조성:
카본 블랙 100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6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8중량부
(니혼폴리우레탄고교사제 콜로네이트 L)
실리콘 오일 0.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50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수득된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1에 기재한다. 이러한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에러 레이트가 적으며 출력 특성도 양호하다.
실시예 2
평균 입자 직경이 0.3μm인 가교 실리콘 수지 입자 0.13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5중량%를 함유하는 A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와 평균 입자 직경 0.1μm의 구상 실리카 입자를 0.1중량% 함유하는 B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를 제조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의 펠릿을 18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2대의 압출기 호퍼에 각각 공급하여 용융 온도 300℃에서 용융하고 멀티 매니폴드형 공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A층과 B층을 적층하여 압출시키고 표면 가공 0.3S, 표면온도 60℃로 유지되는 캐스팅 드럼 위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75℃에서 예열한 다음, 저속, 고속의 로울 사이에서14mm 상방으로부터 830℃의 표면온도의 적외선 가열기로 가열하여 5.4배 연신시키고 급냉한 다음, 이어서 텐터에 공급하여 125℃에서 가로방향으로 3.9배 연신시킨다. 이어서, 220℃에서 10초 동안 열고정한 다음, 120℃에서 가로방향으로 4.0% 이완처리하여 두께 4.5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의 영률은 세로방향 9GPa, 가로방향 6GPa이다.
하기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처리한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자성도료를 B층면에 도포하고, 반대면의 A층면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백 코팅을 도포하고 자기 테이프를 수득하여 평가한다. 이러한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A층용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이 0.3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5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3중량%로 변경하고 B층용 불활성 입자에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0.01 중량%를 사용하며 열고정 온도를 200℃로 하고 가로 이완율을 2.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4.5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의 영률은 세로방향 9GPa, 가로방향 6GPa이다.
이러한 2축 배향 필름을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가공하여 자기 테이프를 수득한다. 이러한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고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시키고 표 1에 기재된 열고정 온도로 10초 동안 처리하여 두께 4.5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수득한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건 1 또는 조건 2에서 트랙이 어긋나는 정도가 크며 결과가 나쁘다.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5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고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표 1에 기재된 영률로 되도록 세로 연신 배율 및 가로 연신 배율을 조정하고 열고정을 205℃에서 10초 동안 처리하여 4.5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수득한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조건 1 또는 조건 2에서 트랙이 어긋나는 정도가 크며 결과가 나쁘다.
실시예 4
평균 입자 직경이 0.6μm인 탄산칼슘 입자 0.02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실리카 입자 0.2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고유 점도: 0.6)를 18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300℃에서 용융 압출시키고 60℃로 유지되는 캐스팅 드럼 위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이러한 미연신 필름을 속도차를 가진 2개의 로울 사이에서 120℃의 온도로 5.5배 연신시키고, 또한 텐터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4.1배 연신시킨 다음, 205℃에서 10초 동안 열고정하여 두께 5.0μm의 2축 배향 필름을 수득한다.
수득된 2축 배향 필름을 폭 1,000mm, 길이 5,000m로 슬리트하여 샘플 로울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24시간에 걸쳐 120℃로 승온하여 24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24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강온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열처리 후의 필름에는 결정 융해열을 나타내는 피크와는 상이한 별도의 흡열 피크가 DSC 측정으로 관측되며, 이의 흡열 에너지량은 1.7mJ/mg이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영률은 세로방향 900kg/mm2, 가로방향 600kg/mm2이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것과 동일한 자성도료를 상기한 2축 배향 필름의 한면에 도포 두께 0.5μm로 되도록 도포한 다음, 2,500가우스의 직류 자장 속에서 배향처리를 실시하여 100℃로 가열 건조한 후에 슈퍼 캘린더 처리(선압 200kg/cm, 온도 80℃)를 실시하여 권취한다. 이러한 권취 로울을 55℃의 오븐 속에서 3일 동안 방치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것과 동일한 백 코팅층 도료를 당해 필름의 다른 면(비자성층 측의 면)에 두께 1μm로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12.65mm(= 1/2인치)로 재단하여 자기 테이프를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한다. 이러한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는 에러 레이트가 적으며 출력 특성도 양호하다.
비교예 6
샘플 로울을 열처리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테이프를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한다. 이러한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는 조건 2의 트랙이 어긋나는 정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비교예 7 및 비교예 8
2축 배향 필름 막 제조시의 연신 배율을 변경하여 표 2에 기재된 영률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비교예 6과 동일하게 하여 테이프를 수득한다. 수득된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하며, 비교예 7의 경우에는 조건 1의 트랙이 어긋나는 정도가 크고, 비교예 8의 경우에는 조건 2의 트랙이 어긋나는 정도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 5
평균 입자 직경이 0.3μm인 가교 실리콘 수지 입자 0.13중량%와 평균 입자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5중량%를 함유하는 B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고유 점도: 0.6)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를 0.1중량% 함유하는 A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고유 점도: 0.6)를 제조하여 이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의 펠릿을 18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2대의 압출기 호퍼에 공급하여 용융 온도 300℃에서 용융하고 멀티 매니폴드형 공압출 다이를 사용하여 B층의 한쪽에 A층을 적층시켜 표면가공 0.3S 정도, 표면온도 60℃의 캐스팅 드럼 위에서 압출하여 적층 미연신 필름을 수득한다. 또한, 층 두께 구성은 표 1의 표면 조도로 되도록 2대의 압출기의 토출량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수득된 적층 미연신 필름을 속도차를 가진 2개의 로울 사이에서 120℃의 온도에서 5.5배 연신시키고 다시 텐터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4.1배 연신시킨 다음, 205℃에서 10초 동안 열처리한다.
수득된 적층 2축 배향 필름을 폭 1,000mm, 길이 5,000m로 슬리트하여 샘플 로울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24시간에 걸쳐 100℃로 승온하여 24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24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강온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열처리 후의 필름에는 결정 융해열을 나타내는 피크와는 상이한 별도의 흡열 피크가 DSC 측정으로 관측되며, 이의 흡열 에너지량은 1.0mJ/mg이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영률은 세로방향 900kg/mm2, 가로방향 600kg/mm2이다.
이러한 필름의 A층(자성층 측) 표면에 자성도료를 도포하고, B층(비자성층측) 표면에 백 코팅층 도료를 실시예 4와 동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12.65mm(= 1/2인치)로 재단하여 자기 테이프를 수득한다.
수득된 적층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한다. 이러한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는 에러 레이트가 적으며 출력 특성도 양호하다.
실시예 6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시키는 불활성 입자를 B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3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5중량%와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23중량%로 하고 A층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01중량%로 변경하고, 수득된 2축 배향 필름의 로울 샘플의 열처리 온도를 80℃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테이프 샘플을 수득한다.
수득된 적층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한다. 이러한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는 에러 레이트가 적으며 출력 특성도 양호하다.
실시예 7
폴리에스테르에 함유시키는 불활성 입자를 평균 입자 직경이 0.3μm인 구상 실리카 입자 0.15중량%로 변경하며, 로울 샘플의 열처리 온도를 60℃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및 테이프를 수득한다.
수득된 필름 및 테이프의 특성을 표 2에 기재한다. 당해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득된 테이프는 에러 레이트가 적으며 출력 특성도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랙이 어긋남으로 인한 에러 레이트가 발생하지 않고 출력 특성이 우수하며 디지털 데이터 저장 테이프로서 유용한 자기 기록 매체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1) 필름의 두께 방향의 단위단면적 1mm2당 2.7kg의 하중을 부하하여 49℃, 90% RH에서 72시간 동안 처리할 경우, 처리 전후의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 변화가 0.40% 이하이고,
    (2) 결정화도가 27 내지 45%이며,
    (3)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온도 팽창계수(αt)가 -5×10-6내지 +20×10­6/℃의 범위이고,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습도 팽창계수(αh)가 +5×10­6내지 +20×10­6/% RH의 범위이며, (αt+2αh)의 값이 +45×10-6이하이고,
    (4) 필름면에서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열 수축률이 0 내지 0.7%의 범위이며,
    (5) 필름 두께가 3 내지 7μm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매체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로 측정하여 열량이 120 내지 160℃의 온도 범위에서 0.05mJ/mg 이상인 흡열 피크를 갖는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단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노출 표면의 중심면 평균 조도(WRa)가 1 내지 10nm이며, 10점 평균 조도(WRz)가 30 내지 250nm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노출 표면의 WRa가 1 내지 10nm이고 WRz가 30 내지 250nm이며, 다른쪽의 노출 표면의 WRa가 5 내지 20nm이고 WRz가 100 내지 300nm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하중 부하방향의 영률이 6GPa 이상이고, 하중 부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이 4GPa 이상이며, 이들 직교하는 두 방향의 영률의 합이 10 내지 20GPa인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하중 부하방향의 영률이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영률보다 큰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를 소재로 하는 필름.
  8. 제1항에 따르는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한쪽 표면 위의 자성층으로 이루어진 자기 기록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단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쪽의 노출 표면의 중심면 평균 조도(WRa)가 1 내지 10nm이고 10점 평균 조도(WRz)가 30 내지 250nm이며, 노출 표면 위에 자성층이 존재하는 자기 기록 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한쪽의 노출 표면의 WRa가 1 내지 10nm이고 WRz가 30 내지 250nm이며, 다른쪽의 노출 표면의 WRa가 5 내지 20nm이고 WRz가 100 내지 300nm이며, WRa가 1 내지 10nm이고 WRz가 30 내지 250nm인 노출 표면 위에 자성층이 존재하는 자기 기록 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디지털 기록형 자기 기록 매체인 자기 기록 매체.
KR1020017001378A 1999-06-14 2000-06-09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KR100572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6593 1999-06-14
JP16659399 1999-06-14
JP34739199 1999-12-07
JP99-347391 1999-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792A true KR20010074792A (ko) 2001-08-09
KR100572506B1 KR100572506B1 (ko) 2006-04-24

Family

ID=2649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78A KR100572506B1 (ko) 1999-06-14 2000-06-09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70351B1 (ko)
EP (1) EP1120225B1 (ko)
JP (1) JP4008706B2 (ko)
KR (1) KR100572506B1 (ko)
DE (1) DE60015062T2 (ko)
TW (1) TW527273B (ko)
WO (1) WO2000076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5602A1 (de) * 2000-09-15 2002-03-28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agnetbandträgerfolie mit niedrigem Skew
DE60130793T2 (de) 2000-12-11 2008-07-17 Teijin Ltd.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3062901A (ja) * 2001-08-27 2003-03-0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32524A (ja) * 2001-10-23 2003-05-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14492A (ja) * 2002-09-26 2004-04-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355276B (en) * 2003-01-14 2012-01-01 Akira Tsuji Gastrointestinal absorption enhancer mediated by p
US8067105B2 (en) 2004-01-29 2011-11-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Biaxially oriented film
US7429544B2 (en) * 2004-04-16 2008-09-30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Coated facer
WO2005110718A1 (ja) * 2004-05-14 2005-11-24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624850B2 (ja) * 2004-05-17 2011-02-0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二軸配向積層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EP1983512A4 (en) * 2006-02-09 2009-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GNETIC RECORDING TAPE
US7905973B2 (en) * 2006-07-31 2011-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monocomponent monolayer respirator
KR101468937B1 (ko) * 2008-09-05 2014-12-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49540B (zh) * 2011-02-21 2016-08-31 东丽株式会社 双轴取向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膜
US11037592B2 (en) * 2017-12-07 2021-06-15 Toyobo Co., Ltd. Resin film with controlled youngs modul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730A (ja) 1983-01-07 1984-07-23 Toray Ind Inc 2軸配向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トフイルム
US5665454A (en) * 1991-03-22 1997-09-09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2,6-naphthalate film and magnetic tape formed therefrom
JPH0520664A (ja) * 1991-07-10 1993-01-29 Diafoil Co Ltd 高密度磁気記録媒体
JP3056575B2 (ja) 1992-02-06 2000-06-26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056574B2 (ja) * 1992-02-06 2000-06-26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テープ用ベースフィルム
KR0158242B1 (ko) * 1994-07-04 1999-01-15 안시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JP3687127B2 (ja) 1995-03-09 2005-08-24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ンジカルボキシレートフィルム
TW434453B (en) 1996-11-14 2001-05-16 Teijin Ltd Base film for photographic films
JPH1134262A (ja) 1997-07-22 1999-02-09 Teijin Ltd 積層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129327A (ja) 1997-10-31 1999-05-18 Toray Ind Inc 二軸延伸フィルム
JPH11144227A (ja) 1997-11-07 1999-05-28 Teijin Ltd 磁気記録媒体用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イルム
AU1052299A (en) 1997-11-13 1999-06-07 Teijin Limited Readily bondable polyester film
WO1999029488A1 (fr) 1997-12-11 1999-06-17 Teijin Limited Feuil de polyester a orientation biaxiale pour supports d'enregistrement magn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5062T2 (de) 2006-03-09
KR100572506B1 (ko) 2006-04-24
TW527273B (en) 2003-04-11
EP1120225A1 (en) 2001-08-01
DE60015062D1 (de) 2004-11-25
EP1120225B1 (en) 2004-10-20
WO2000076749A1 (fr) 2000-12-21
US6770351B1 (en) 2004-08-03
JP4008706B2 (ja) 2007-11-14
EP1120225A4 (en)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908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924050B1 (en) Production method for a polyester film
KR100572506B1 (ko)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KR100463695B1 (ko)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EP0561596B1 (en) Oriented polyester film
KR0184607B1 (ko)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
KR100297271B1 (ko)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카세트용자기테이프및그에사용되는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기재필름
US5431976A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using it as base film
JP2004292656A (ja)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積層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らからなる磁気記録媒体
US5463015A (en) Magnetic tape for use in cassette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an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base film therefor
JP3068942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6148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8737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法
JPH11302408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051263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06832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4151994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00037834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310899A (ja) 磁気記録媒体用支持体
JPH113426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1578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30311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