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727A -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 - Google Patents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727A
KR20010074727A KR1020017000776A KR20017000776A KR20010074727A KR 20010074727 A KR20010074727 A KR 20010074727A KR 1020017000776 A KR1020017000776 A KR 1020017000776A KR 20017000776 A KR20017000776 A KR 20017000776A KR 20010074727 A KR20010074727 A KR 2001007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hair
scissors
slit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037B1 (ko
Inventor
아다치히데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아다치 고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아다치 고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커팅 혹은 헤어 드레싱을 위한 가위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인 선형 슬릿들이 가위의 에지부분에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슬릿들은 헤어의 소정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슬릿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위에 따르면, 헤어가 커팅될 때, 헤어에서 비슬립효과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비슬립 상태는 연마동작에도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강한 저항의 적절한 폐쇄 감각이 가위의 폐쇄동작시얻어진다. 특히, 커팅 가위에서, 자연스런 마무리가 원하는 대로 가능하다. 또한, 슬릿은 가위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고, 슬릿폭은 헤어의 소정두께를 초과하거나 그 소정 두께의 2배보다 작은 슬릿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헤어는 비슬립이 슬릿내에서 작용되는 상태에서 커팅되는데, 몇 가닥의 헤어가 상기 슬릿내로 들어가서 그 슬릿내에서 커팅되는 것이다. 상기 슬릿내에서의 헤어커팅은 부드러운 폐쇄동작과 신뢰성있는 직선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non-slip processed scissors}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 커팅 또는 헤어드레싱을 위한 커팅가위로 헤어를 자를 때, 두 개의 블레이드(102,102) 사이에 위치한 헤어가 블레이드의 힐(heel)부분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커팅되는 헤어의 양은 이러한 슬립에 의해 줄어든다.
게다가, 잘라진 자취(cut trace)를 직선으로 가로방향으로 정렬하면, 헤어 커팅은 이러한 소정의 가로 라인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른 자취가 곡선으로 되어 불편함을 유발한다.
커팅 가위를 수단으로 헤어를 일직선상으로 정렬하는 경우에, 상기 잘라진자취의 일직선이 너무 많이 두드러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직선을 감춰서 자연스런 마무리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선형의 잘라진 자취를 감출 경우에도, 커팅 가위를 사용하는 직선 정렬은 전처리(preprocessing)로서 수행된다. 이후, 이렇게 직선으로 정렬된 헤어를 성기게 자르고, 자른 자취를 감추어, 자연스런 마무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가위의 두 가지 타입, 즉 커팅 가위와 성기게 자르는 가위가 모두 사용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하다. 게다가, 이러한 전처리과정(즉, 커팅 가위를 사용한 직선 정렬)에서, 헤어는 거의 직선으로 정렬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헤어를 직선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가위질을 해야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미끄러짐(slippage)과 관련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팅 가위(201)가 제안되었는데, 이 가위에서는 V자 형상 혹은 U자 형상의 오목한 리지(ridge,202)가 블레이드의 에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V자 형상 혹은 U자 형상 무늬가 반복적으로 제공되어 톱니모양의 블레이드를 형성한다. 이 가위에 따르면, 헤어는 상기 블레이드의 오목한 리지(202)에 의해 걸리게 되어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앞서 상술한 헤어 슬립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한다.
헤어 미끄러짐으로 인한 문제들은 성기게 자르는 가위(thinning shears)에서도 비슷하게 일어난다. 헤어는 성기게 자르는 가위날(이하, 성긴 블레이드(thinning blade)로 명명함)의 에지부분에서 미끄러지므로 거의 헤어가 성기게 잘 커팅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바와 같이, V자 형상 혹은 U자 형상의 오목한 리지(202)가 에지부분에 마련된 성기게 자르는 가위(thinning shears)가 제안되었다. 이 가위에 따르면, 헤어는 상기 에지의 오목한 리지에 의해 걸려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앞서 상술한 헤어 슬립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한다.
일반적으로, 가위가 반복적으로 여러 번 사용되면, 커팅 성능이 감소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가위의 블레이드를 날카롭게 연마하여 가위를 사용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9의 점선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에지에 가까운 부분이 연마된다. 그러나, 블레이드의 에지에 가까운 부분을 연마하는 것은 상기 에지에 형성된 오목한 리지(202)를 얇아지게 하므로, 도 36 내지 도 38에 형성된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오목한 리지(202)가 점차 사라지게 된다. 실제로, 상기 오목한 리지(202)가 사라지고, 선형적인 에지는 1회 또는 2회의 연마작업에 의해서만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슬립되지 않던 헤어가 다시 슬립되게 된다.
게다가, 커팅 가위와 성기게 자르는 가위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에지가 V자 혹은 U자로 형성되면 헤어는 오목리지에 의해 걸리게 되어 이는 구속(lock)을 형성한다. 여분의 힘은 가위가 이러한 구속된 헤어를 자르도록 폐쇄될 때(즉, 벌어진 가위날이 모아질 때) 필요하다. 또한, 강한 저항이 느껴지고, 터치 감각이 떨어지므로 작업하는데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위는 약 650Hv의 경도(hardness)를 갖는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다. 경도를 높일수록 커팅 성능은 더욱 확연하게 개선된다. 사용시, 우수한 커팅 효과가 이루어지고, 강한 웨어(wear) 및 티어(tear) 저항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의 경도의 상한값은 약 800Hv이다. 이 값을 초과하는 물질로서, 하드 툴(hard tool) 물질이 있는데, 이것의 경도는 약 1000 Hv부터 1500Hv 또는 약 2000Hv이다. 그러나, 높은 경도를 가지는 물질로 만들어진 블레이드는 점점 약해지고, 에지부분에서 흠이 생기기 쉽다. 그러므로, 에지 각도를 증가시켜 에지부분에서의 흠을 방지한다. 그러나, 가위의 에지 각도를 증가시키면, 블레이드부분이 헤어를 거의 자르지 못해서 헤어가 쉽게 미끄러진다. 그 결과, 가위가 폐쇄될 때(오므려질 때)의 헤어의 슬립이 매우 뚜렷해지고, 가위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높은 경도의 물질로 만들어진 가위는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약 700Hv의 경도를 가진 가위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 경도는 슬립의 존재여부를 고려하여 가위로서 기능되도록 요구되는 상한값으로 정해진다. 만약 가위가 800Hv의 경도를 가진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지면, 커팅 성능은 개선된다. 더 나아가, 가위가 매우 높은 경도를 가진 하드 툴 물질로 만들어지면, 커팅 성능 및 웨어 및 티어 저항(wear and tear resistance)은 더욱 개선된다. 한편, 헤어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슬립현상이 더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비실용적이다. 특히, 가위를 하드 툴 물질로 만들면, 상기 웨어 및 티어 저항이 기존의 가위의 약 10배만큼이 된다. 비록 이러한 가위는 커팅 성능이나 웨어 및 티어 저항에는 매우 이상적이지만, 헤어 슬립은 더욱 잘 일어나게 되어 비실용적이다.
본원의 목적은 비슬립(non-slip)이 헤어에 적용되어, 이러한 비슬립상태가 연마(sharpening) 작업에 상관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적절한 폐쇄(closing)감각을 얻을 수 있고, 가위의 폐쇄 상태에서의 강한 저항으로부터 자유로운 느낌을얻고(즉, 저항성을 덜 느끼게 됨), 특히, 필요한 자연스런 마무리 커트가 커팅 가위로 이루어지고, 우수한 커팅 성능 및 웨어 및 티어 저항을 갖는 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팅 가위(cutting shears)나 성기게 자르는 가위(thinning shears)와 같은 헤어 커팅 또는 헤어드레싱(hairdressing)에 사용되는 가위를 개선시킨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어가 커팅되거나 성기게 잘려질 때, 슬립방지처리를 적용하여 가위의 블레이드의 에지에서 헤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 이 슬립방지 효과는 블레이드를 날카롭게 연마하여도 감소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마무리된 헤어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개선된 커팅 성능과 마모(abrasion) 저항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슬릿들이 서로 동일한 피치로 하나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것이다.
도 2는 도 1을 부분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도 3은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확장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헤어가 슬릿의 개구부에 걸리게 되어 비슬립으로 기능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헤어가 슬릿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슬릿이 연마 동작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것을 보인다.
도 7은 슬릿의 두께가 헤어의 두께를 초과하고 헤어 두께의 두배보다 작을 때, 헤어가 슬릿폭에 적절한 충분한 마진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슬릿이 소정 슬릿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몇 가닥의 헤어가 세로 컬럼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그 슬릿내에서 헤어커팅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얇은 슬릿과 두꺼운 슬릿이 동일한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것을 보인다.
도 10은 도 9를 부분적으로 확장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장도로서, 어떻게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이 헤어 두께와 결합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이 어떻게 마찰 슬라이딩 면(S)과 백 스페이스(P)와 관련되었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슬릿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 14는 슬릿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 15는 슬릿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 16은 슬릿의 개구부의 코너가 제거된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 17은 도 14의 B-B라인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날카로운 에지 각도가 슬릿 바닥에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8은 슬릿이 블레이드의 포인트 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 가위를 보인 것이다.
도 20은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슬릿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부분(Y)과 슬릿이 없는 블레이드 부분(Z)이 교대로 반복되고, 슬릿의 노드에서 크고 작은 갭들이 하나의 슬릿 상에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커팅 가위에 의한 마무리(finish)를 예시한 것이다.
도 22는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구획들(compartments)이 반복되어, 슬릿들이 거친 폐쇄부분부터 힐(heel)부분까지 점차적으로 세밀해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성기게 자르는 가위(thinning shears)를 도시한 것으로, 슬릿들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하나의 블레이드 상에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부분확장도이다.
도 25는 슬릿을 도시하기 위하여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확장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기게 자르는 가위를 보인 것이다.
도 27은 도 26의 부분확장도이다.
도 28은 성기게 자르는 가위의 노드에서 얇은 슬릿과 두꺼운 슬릿이 동일한 피치로 반복적으로 교대하도록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9는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슬릿의 방위(orientation)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위가 폐쇄될 때 대응 블레이드(2b)의 에지 라인에 수직하게 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0은 성기게 자르는 가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9와 비슷한 방법으로 슬릿의 방위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31은 도 29와 도 30에 도시된 슬릿을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경사진 슬릿이 몇 가닥의 헤어에 해당하는 폭으로 정의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33은 얕게 컷아웃되고 실질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피트(fit) 슬릿들이 슬릿 대신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일예를 보인 것이다.
도 34는 헤어슬립이 생기는 종래의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헤어 컷 트레이스(hair cut trace)가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에지에서 오목한 리지(ridges)를 가진 커팅 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에지가 U자형의 오목한 리지를 가진 성기게 자르는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에지가 V자형의 오목한 리지를 가진 성기게 자르는 블레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는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가위에서 에지부의 오목한 리지를 제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0은 가위의 블레이드 백(back)에서의 마찰 슬라이딩 면(S)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에지에서 바깥으로 잘린 실질적으로 선형의 슬릿이나 그와 비슷한 것들이 에지를 따라 연속하여 제공되고, 일정 두께의 헤어를 가정하고 헤어 두께를 기준으로 결정하여 상기 슬릿의 폭의 변동을 결정하는 가위를 제공한다.
청구항 1: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은 슬릿폭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헤어의 소정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다. 즉, 상기 슬릿의 폭은 헤어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상기 가위는 커팅 가위이거나 성기게 자르는 가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이 헤어의 두께보다 작으면, 헤어(X)는 슬릿(3)에 걸리게 되어 비슬립(non-slip)으로 기능한다. 게다가, 슬릿이 상기 헤어의 두께와 동일하고, 헤어가 비슷한 방법으로 걸리면, 이 역시 비슬립으로 기능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혹은 두 개의 헤어(X)가 슬릿으로 들어가, 슬릿에 빠진다. 즉, 헤어가 개구부에 걸리게 되어 헤어가 비슬립으로 기능한다.
더욱이, 이러한 가위에서,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에지를 날카롭게 연마하면 슬릿(3)은 제거되지 않고, 비슬립효과는 종료된다.
상기한 슬릿이 어떤 방법으로는 형성되더라도, 이 슬릿은 각각의 슬릿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가진 휠을 연마하여 실시예로 형성된 것이다. 얇은 슬릿과 이 슬릿보다 더 두꺼운 슬릿이 형성될 경우에는, 이러한 슬릿에 해당되는 두 가지 연마 휠(grinding wheel)들이 연마작업게 사용된다.
청구항2: 헤어의 두께가 소정두께보다 작으면, 이러한 헤어는 슬릿안으로 들어가서 커팅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슬릿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는 가위의 마찰 슬라이딩 면(frictional sliding face)을 넘지 않는다. 여기서, 슬릿 바닥이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을 가로지르는 동안에 블레이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헤어는 상기 슬릿안으로 들어오게 되어, 상기 슬릿의 바닥에서 커팅된다.
여기서, 마찰 슬라이딩 면(S)은 상기 에지의 후면에 제공된 표면을 나타낸다. 이 표면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가위의 블레이드 후면의 단면 모양이 약간 오목하지만,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공간(P)으로 정의되는 곡선의 표면에서, 평평한 마찰 슬라이딩 면(S)이 에지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가위가 벌어지거나 닫힐 때, 커팅 동작이 양쪽 블레이드의 마찰 슬라이딩 표면(S)의 슬라이딩 때문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배면 공간(P)은 오목하게 곡선으로 되어 블레이드 뒷면이 마찰 슬라이딩 면과 서로 부딪히게 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5)은 길이 방향으로 정의되어, 그러한 슬릿 바닥(6)이 마찰 슬라이딩 면(S)에 의해 걸리게 되어, 슬릿이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S)을 넘지 않는다. 소정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 헤어가 슬릿에 들어가는 경우에, 슬릿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위의 마찰 슬라이딩 면(S)을 넘지 않는다. 그래서, 블레이드(7)의 바닥 상에서 헤어를 커팅하는 블레이드(7)가 제공된다.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길이 방향의 슬릿은 무작위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크고 작은 슬릿들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큰 폭을 가진 슬릿(5)은 가는 헤어가 슬릿으로 쉽게 들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이 슬릿의 바닥에 제공되어, 헤어가 그 슬릿내에서 커팅될 수 있다.
청구항 3: 또한, 다른 가위로서, 슬릿이 소정 두께의 헤어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그 헤어 두께의 두배보다 좁게 형성한다. 슬릿 바닥에 블레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슬릿은 길이방향으로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릿 폭은 헤어 두께의 두배보다 좁다.
비록 슬릿 폭이 헤어 두께보다 넓어도, 가위의 폐쇄 동작을 하는 동안에 이 슬릿의 개구부에 의해 헤어가 슬릿내에 붙잡히게 되므로, 비슬립 효과가 이루어진다. 이는 가위가 폐쇄될 때, 많은 헤어가 슬릿의 개구부에 모여지므로, 개구부가 헤어 두께보다 넓어도, 조밀하게 수집된 헤어가 걸려서 상기 개구부를 막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가위에서, 헤어가 슬릿 내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슬릿 폭이 넓기 때문에, 헤어 슬립이 적절해 지고, 슬릿내에 막히는 헤어도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가위에 따르면, 비슬립이 상기 슬릿에 적용되어 헤어가 커팅 될 수 있고, 헤어의 일부가 상기 슬릿 내로 들어가서 커팅되게 된다. 상기 헤어는 이 슬릿내에서 커팅되고, 걸리지도 않는다. 따라서, 부드러운 클로징 동작 및 신뢰성있는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 다른 가위로서, 상기 슬릿의 소정 폭이 몇 가닥의 헤어가 세로 컬럼(longitudinal column)내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릿은 블레이드의 마찰 슬라이딩 면 이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위들에 따르면, 슬릿 폭이 증가하므로, 상기 슬릿내에 걸리는 헤어의 양도 증가한다. 그러나, 몇 가닥의 헤어가 길이방향의 배열로 잘리므로, 종래와는 달리 강한 저항이 느껴지고, 부드러운 폐쇄(closing) 동작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몇 가닥의 헤어가 길이 방향의 컬럼으로 들어가게 되는 소정 슬릿 폭"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가위의 폐쇄(closing) 저항은 가위의 손잡이(grip)의 길이, 블레이드의 길이, 에지의 커팅 특성에 의해 생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특성에 부가하여, 상기 저항은 슬릿내에 들어가는 헤어의 양에 근거한다. 상기 슬릿 폭은 슬릿(즉, 헤어의 길이 방향의 컬럼)내에 걸리게 되는 헤어의 양을 결정하여, 헤어가 커팅될 때의 상기 저항 혹은 평탄성(smoothness)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몇 가닥의 헤어가 길이 방향의 컬럼으로 들어가게 되는 소정 슬릿 폭"은 슬릿폭으로 명명하고, 헤어가 상기 슬릿 내에 들어가더라도, 저항이 제거되는 범위까지는 부드러운 폐쇄 저항이 얻어지므로, 성기게 자르는 가위를 사용할 때 헤어가 구속되어 커팅된다. 따라서, 폐쇄동작의 부드러움이 유지되는 한, 상기 슬릿 폭은 0.4mm 부터 0.5mm 까지 넓힐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의 컬럼은 슬릿(3)의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일예로, 헤어의두께는 0.05mm 부터 0.08mm의 범위이다. 따라서, 폭이 0.2mm 내지 0.25mm 범위인 상기 슬릿이 예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세 가닥 혹은 네 가닥의 헤어가 세로 컬럼내로 들어갈 수 있다.
청구항 5: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이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경우에, 슬릿 바닥은 블레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을 교차하며(cross), 이러한 교차(crossing)는 날카로운 각도(도 17 참조)에서 형성되어, 적당한 커팅 성능이 얻어진다.
슬릿이 휠의 연마(grinding)에 근거한다면, 그 슬릿 바닥은 그린딩 트레이스(grinding trace)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가위에 관계된 상기 그린딩 휠의 어드레싱 방법이 설정되어, 상기 슬릿 바닥의 에지각이 날카롭게 된다.
청구항 6: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3)의 세로 방향은 가위의 각 교차점(C)에서 대응 블레이드의 에지(Kb)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정의된다.
헤어의 소정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슬릿폭을 가진 가위에서, 또는 상기 헤어의 소정두께를 초과하거나 그보다 작은 슬릿폭을 가진 가위에서, 만약 비슬립 효과를 의도한다면,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일단(4'이 날카로운 각도가 된다. 따라서, 걸립(catching) 효과가 증대되고, 비슬립효과가 개선된다.
게다가, 상기 슬릿폭이 소정 폭으로 정의되는데, 이 소정폭내로 몇 가닥의 헤어가 세로 컬럼으로 들어가고, 거기에 들어간 헤어는 상기 슬릿에 의해 커팅시도된다. 대응 블레이드의 선형 블레이드는 상기 슬릿에서 세로 컬럼으로 정렬된 헤어를 아래쪽으로 커팅하게 된다. 따라서, 개선된 커팅 성능, 폐쇄동작의 개선된 부드러움을 이룰 수 있다.
청구항 7: 전술한 가위들 모두에서, "슬릿이 계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은 에지를 따라 무작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릿에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연속적으로 제공되거나,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중 일부분에만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릿은 상기 블레이드의 뾰족한 끝부분(point, 이하 포인트로 명명함)에 가까운 부분에만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일반적인 선형 블레이드는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슬릿이 블레이드의 힐(heel)에 가까운 부분에만 연속하여 제공되거나, 다른 부분에도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은 슬릿상에 거칠게 혹은 세밀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의 존재유무에 의거하여, 가위의 에지는 헤어가 슬립없이 커팅되는 부분과, 슬립을 가지고 커팅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슬립의 존재유무는 에지라인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헤어 컷 트레이스(hair cut trace)는 선형이 아니다.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의 배치부분에 해당하는 웨이브는 불규칙하고, 마무리에서 자연스런 변화가 얻어진다.
게다가,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에서, 상기 슬릿의 크고 작은 갭들은 이러한 각 부분과 함께 서로 다르게 될 수 있고, "비슬립"의 범위는 이러한 차이에 달려있다. 따라서, 상기 헤어 컷 트레이스는 상기 크고 작은 갭(도 21에 도시됨)에 해당하는 웨이브로 인하여 불규칙하게 된다. 게다가, 한 개의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에 대하여도, 동일한 피치들이 상기 각 부분에 제공되고, 또는 크고 작은 갭들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고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지 부분에서 상기 "슬릿이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의 자유로운 배치와,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에서 슬릿의 크고 작은 갭들이 함께 사용되어, 헤어의 다양한 마무리가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자유로운 배치와 상기 크고 작은 갭 중 어느 하나만을 구현한 가위도 제공될 수 있다.
청구항 8: 전술한 상기 가위들에서, 얕게 잘리고 실질적으로 오목한 형상의 피트(fit) 슬릿들이 상기 슬릿대신에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한 형상의 피트 슬릿은 헤어가 오목한 리지(ridge)에서 비슬립으로 기능하는 범위까지의 슬릿을 의미하며, 이는 헤어가 슬릿내로 들어가게 되는 모양으로 형성된 슬릿보다도 그리고 상기 에지보다도 더 우묵한 형상을 갖고 있다.
청구항 9 및 청구항 10: 게다가, 본 발명의 배경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헤어는 가위의 재료물질이 소정 경도이거나 그 이상일 때 더욱 두드러지게 슬립되므로, 종래에는 이러한 고경도의 물질은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비슬립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고경도의 물질이 가위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개선된 커팅 효과, 웨어 및 티어 저항, 및 비슬립효과가 한 쌍의 가위에 의해 얻어지므로, 매우 우수한 가위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효과는 하드 툴 물질(hard tool material)을 가위로 사용할 때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이러한 재료물질의 일예는, 약 800Hv 경도의 스테인레스 혹은 고속 툴 스틸(high-speed tool steel) 등을 포함한다. 하드 툴 물질의 일예는 파우더야금(metallurgy) 고속 툴 스틸, 초정밀 분자, 시멘트 카바이드(cemented carbide), 소결된 세라믹, 큐빅 보론 니트리드(cubic boron nitride, CBN) 등을 포함한다.
청구항 11: 청구항 9 및 10에 따른 가위는 두 개의 블레이드가 서로 동일한 경도의 물질로 만들어짐을 가정한다. 가위의 커팅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재료의 경도의 차이를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블레이드에 제공하고, 슬릿을 고경도의 블레이드에만 제공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가위의 사용시 에지에서 헤어 그리스(grease)가 작용된다. 서로 다른 경도를 가진 두 개의 블레이드의 슬라이드 면이 그리스 막(grease film)으로 덮여지고, 이 그리스는 마찰 슬라이딩 면에서 윤활제로서 기능한다. 가위가 오픈되거나 클로즈될 때, 고경도측의 마찰 슬라이딩 면은 저경도측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날카롭게 한다. 따라서, 가위가 사용시 모두 함께 날카롭게 연마되므로, 저경도측의 블레이드는 그 에지를 항상 연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고경도측의 블레이드는 원래 웨어 및 티어 저항을 가지고 있고, 그 슬라이딩 상대측은 저경도의 블레이드이다. 따라서, 고경도의 블레이드가 덜 마모된다. 요약하면, 블레이드 양측이 항상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위가 제공되어, 적절한 커팅 성능이 유지된다.
예를 들면, 한 개의 블레이드를 세라믹으로 만들고, 슬릿을 상기 블레이드 상에 형성하고, 다른 블레이드는 스테인레스(예를 들면, 650 Hv의 경도)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블레이드들을 도성합금(cermet)이나 스테인레스 및다른 물질 조합물로 만들 수도 있다. 저경도측의 블레이드의 웨어 및 티어 속도가 높으면, 상기 블레이드 간의 경도 차이는 줄어든다. 거꾸로, 웨어 및 티어 속도가 낮으면, 저경도측의 블레이드상의 연마 효과는 이루어지지 않고, 경도의 차이를 확장하기 위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커팅 가위(1A)에서, 동일한 피치를 가진 복수의 슬릿(3,3,...)이 두 개의 블레이드(2a,2b) 중 일측 블레이드(2a) 상에 그 블레이드(2a)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고 배치된다. 슬릿폭(W)은 헤어가 0.08mm의 두께를 가진 것으로 가정하고, 약 0.04mm부터 0.05mm의 범위로 결정된다. 슬릿 길이(L)는 약 1.0mm로 결정되고, 슬릿간의 피치 폭은 약 1.0mm로 결정된다.
커팅 가위(1A)의 제조시, 상기 슬릿폭(W)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진 연마 휠(grinding wheel)이 상기 블레이드의 세로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릿이 연마되고, 이러한 연마는 힐(heel)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포인트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슬릿들은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3)의 개구부(4)는 직각으로 날카롭게 형성되어, 헤어(X)가 걸리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게다가, 슬릿 폭은 헤어의 두께보다 좁으므로, 슬릿(3)에 의한 비슬립효과를 이룬다.
더욱이, 비록 헤어두께가 상기 슬릿폭과 동일하더라도, 이러한 걸림 효과(catching effect)는 비슷하게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가 상기 슬릿 사이에 끼워져서, 헤어의 비슬립효과를 이룬다. 헤어가 상기 개구부에 걸리면, 다른 헤어는 이러한 헤어에 의해 걸리게 되고, 또 다른 헤어도 이 다른 헤어에 의해 걸리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헤어들이 계속적으로 걸리게 되어, 적절한 비슬립효과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커팅 성능이 가위의 반복된 사용 때문에 무뎌지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는 커팅 성능을 복구하고자 연마된다. 상기 에지가 이러한 연마(도 6에 도시된 교대하는 길고 짧은 대시라인은 연마면(grinding face)에 해당한다)에 의해 줄어들어도, 슬릿(3)은 제거되지 않고, 비슬립효과는 끝까지 계속된다. 더 나아가, 슬릿의 개구부의 코너(4)가 반복된 사용으로 둥글게 되더라도, 상기 에지를 연마함으로써 새로운 코너(4)가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비슬립효과를 복구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청구항 3에서의 가위(1)를 개시하는데, 이는 헤어의 두께를 0.08mm로 가정한 것이다. 상기 가위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비슷하고, 상기 가위의 외관은 도 1의 가위와 비슷하다. 즉, 복수의 슬릿(3,3,...)이 블레이드(2a)에 이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제공되고, 선형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2b)에 제공된다. 이러한 가위에서, 상기 슬릿폭(W)은 약 0.1mm로 결정되고, 이는 헤어의 두께(0.8mm)보다 크고, 상기 헤어두께의 두배보다는 작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폭은 마진을 제공하도록 정의되어, 헤어들이 상기 슬릿내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비록 마찰 슬라이딩 면(S)이 약 1.0mm의 폭으로 정의되어도, 슬릿(3)은 약 0.5mm의 슬릿길이(L)로 결정되어, 상기 슬릿(3)은 이러한 마찰 슬라이딩 면(S)내에 포함된다. 게다가, 약 0.4mm의 동일한 피치들이 슬릿(3)사이에 형성된다. 나아가, 블레이드(5)는 그 자신의 날카로운 에지 각도에서 도 3과 같이 제공된다.
이러한 가위에 따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어가 커팅될 때, 비슬립효과가 슬릿의 개구부에서 얻어져서, 슬립이 억제되고, 직선 배열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몇 가닥의 헤어가 슬릿내로 들어가서 슬릿에 캡쳐된 채로 커팅되더라도, 오직 한 가닥의 헤어만이 세로 컬럼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헤어들은 폐쇄(closing) 저항없이 커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헤어들이 상기 슬릿내에 캡쳐된 채 커팅되더라도, 헤어가 상기 슬릿내에 때때로 끼여 있게 된다. 만약 헤어를 계속하여 자르면, 일시적으로 상기 슬릿내에 끼여 있게 된 헤어들은 상기 슬릿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진다. 따라서, 헤어가 상기 슬릿내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상기 가위의 특징은 1)가위가 비슬립으로 잘 기능하고, 2)헤어가 슬릿에 들어가도, 가위가 폐쇄될 때의 저항은 종래의 가위보다 부드럽고, 3)헤어가 상기 슬릿내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청구항 4에 따른 가위가 있는데, 여기서 슬릿폭은 헤어가 세로 컬럼으로 들어가게 되는 소정 슬릿폭내에서 변화된다. 이러한 가위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의 에지(Ka)에서 제공되고, 슬릿(3)의 슬릿폭(W)은 0.2mm로 정의되어, 둘 혹은 세 개의 헤어가 세로 방향으로 들어간다. 게다가, 슬릿 폭(L)은 약 1.0mm 이거나 이보다 작은데, 여기서, 슬릿 바닥(4)은 마찰 슬라이딩 면(S)을 넘지 않고, 피치 폭은 약 1.0mm이다.
이러한 가위에 따르면, 인접 슬릿(3)에 삽입된 선형 에지부(6)에서 헤어가 커팅되는 동안, 몇 가닥의 헤어들이 상기 슬릿에 걸려서 잘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동양인들의 헤어의 두께는 약 0.08mm이고, 서양인들의 헤어두께는 0.06mm이다. 특히 가는 헤어의 두께는 약 0.03mm이다. 같은 사람에서는, 헤어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두께의 범위도 좁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위가 일본에서 사용될 때, 동양인 헤어의 소정 평균 두께는 약 0.08mm로서 정의되고, 전술한 다양한 가위들은 상기 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제작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다양한 슬릿 폭들이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에서, 커팅 가위(1B)가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이 연속하여 블레이드(2a)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가는 슬릿(3)은 그 슬릿 폭 범위가 약 0.04mm부터 0.05mm까지이고, 상기슬릿 길이는 약 1.0mm이거나 이보다 작으며, 마찰 슬라이딩 면(S)(약 0.5mm의 폭,도 11 참조)을 초과한다. 게다가, 두꺼운 슬릿(5)은 슬릿폭이 약 0.08mm이고, 상기 슬릿 길이는 0.3mm 부터 0.4mm로 형성되고, 이는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슬릿들은 1.0mm의 피치로서 연속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Xa)는 얇은 슬릿(3)에 의해 잡히게 되어 비슬립으로 기능한다. 또한, 헤어(Xb)가 두꺼운 슬릿(5)에 걸리게 되어 비슬립으로 기능한다. 게다가, 두꺼운 슬릿(5)에서, 블레이드(7)가 슬릿 바닥(6)에 형성된다. 따라서, 헤어가 상기 슬릿 내부로 들어가더라도 헤어는 커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꺼운 슬릿(5)이 제공될 때, 헤어의 두께가 평균보다 두꺼워도 비슬립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어의 두께가 다양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슬릿 폭은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헤어 두께에서의 개별적인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무작위적으로 배치된 서로 다른 슬릿 폭을 구비한 커팅 슬릿들이 연속적으로 제공되어, 단일의 폭을 가진 슬릿만을 구비한 가위들과는 다른 커팅 성능과 터치 느낌을 얻는다.
상기 커팅 가위에서, 상기 슬릿들은 하나의 블레이드에 연속적으로 제공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블레이드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얇은 슬릿들이 하나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후에, 더 두꺼운 슬릿들이 다른 블레이드에 형성된다. 각각의 슬릿폭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한, 각 슬릿의 일정 폭까지의 범위내에서 제한없이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도 13(a) 내지 도 13(c), 도 14(a) 내지 도 14(c), 및 도 15 각각은 슬릿들이 양 블레이드(2a,2b)에 제공되는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3(a)에서, 동일한 피치를 가진 얇은 슬릿(3)이 양 블레이드(2a,2b)에 제공된다. 도 13(b)에서, 동일한 피치를 가진 얇은 슬릿(3)이 블레이드(2a)에 제공되고, 동일한 피치를 가진 두꺼운 슬릿(5)이 블레이드(2b)에 제공된다. 도 13(c)에서, 좁은 동일 피치를 가진 얇은 슬릿(5)이 블레이드(2a)에 제공되고, 넓은 동일 피치를 구비한 얇은 슬릿(3)이 블레이드(2b)에 제공된다. 도 14(a)에서,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의 반복은 양 블레이드(2a,2b)에서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제공된다. 도 14(b)에서, 얇은 슬릿(3)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제공되고, 얇은 슬릿들(3,3) 사이에 형성된 두꺼운 슬릿(5)이 매 두 개의 얇은 슬릿(3)에 배치된다. 상기 얇은 슬릿(3)과 상기 두꺼운 슬릿(5)은 양 블레이드(2a,2b)상에 동일한 피치로 제공된다. 도 14(c)에서, 얇은 슬릿(3)은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제공되고, 얇은 슬릿(3) 사이에 위치한 두꺼운 슬릿(5)은 블레이드(2b)에서 두 개의 얇은 슬릿(3)만큼 교대로 배치된다.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은 넓고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블레이드(2a)상에 배치된다. 도 15에서, 동일한 길이의 얇은 슬릿(5a)과 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두꺼운 슬릿(5b)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얇은 슬릿들(3)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는 양 블레이드(2a,2b)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에서, 슬릿(3)의 개구부의 코너(corner)가 제거된 경우를 보인다. 여기서, 헤어들은 슬릿에 서로 다르게 걸린다. 게다가, 헤어가 슬릿에 들어가 커팅되는 가위일 경우에, 복수의 헤어는 서로 다르게 슬릿에 채워질 것이다.
도 17은 도 14(a)의 B-B 라인의 단면도로서, 청구항 5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다. 여기서, 두꺼운 슬릿(5)의 슬릿바닥(6)은 블레이드 백(back)의 마찰 슬라이딩 면(S)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날카로운 에지 각도를 가진 에지(7)가 슬릿 바닥(6)에 제공되는데, 그 각도범위는 15°∼ 89°까지이다. 이러한 경우, 헤어가 두꺼운 슬릿의 슬릿 바닥에 들어가 헤어커팅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커팅 가위(1C)가 있는데, 여기서, 슬릿은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블레이드(2a)의 포인트 부분에서 2cm 내지 3cm 만큼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포인트 부분에 제공되는데, 이 포인트 부분은 커팅 가위에서 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부분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커팅 가위(1D)가 있는데, 여기서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서 하나의 블레이드(2a)상에 교대로 제공된다, 에지 라인의 모양은 전체 블레이드의 중간부분에서 돌출한 상태로 불룩하게 형성되고, 몸체(shank)(8)로부터 쏙 들어간 위치(도면부호: K)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가위가 폐쇄될 때 생기는 에지라인 양측이 힐부분부터 포인트부분까지 교차되는 어디에서든, 같은 교차 각도(crossing angle)가 유지된다. 그 결과, 커팅 가위의 헤어슬립 특성이 상기 힐부분부터 포인트부분까지 비교적 균일하다. 슬릿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에지상에 연속하여 제공될 때, 비슬립효과는 힐부분부터 포인트부분까지 비교적 균일하여, 쓰기 편리한 가위가 만들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0에서 청구항 7에 따른 커팅가위(1E)를 도시한다. 여기서, 슬릿이 연속하여 제공된 세 개의 부분(Y)들이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즉, 슬릿이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Y)과 슬릿이 없는 블레이드 부분(Z)이 반복된다. 슬릿(3)에서 크고 작은 갭들이 제공되어 힐부분에 가까운 부분에서 거칠게 울퉁불퉁함(roughness)이 생기고, 이러한 울퉁불퉁함은 상기 부분(Y)에서 포인트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미세해진다. 커팅 가위(1E)가 사용될 때, 커팅된 헤어는 도 21에 도시된 웨이브(Q)형태로 마무리되고, 직선 배열과 다른 느낌을 얻는다. 각 슬릿의 다른 크고 작은 갭들도 어떠한 모양으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2는 청구항 7에 개시된 커팅가위(1F)를 도시한다, 여기서, 부분(R)이 블레이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세 번 반복되어 있는데, 상기 부분(Y)이란 슬릿(3)이 포인트쪽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힐부분에 가까운 부분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3은 성기게 자르는 가위(1G)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성긴 블레이드(20)와 직선 블레이드(30)가 서로 피봇되고, 넓은 성긴 블레이드(21)와 좁은 성긴 블레이드(22)가 교대로 제공된다. 게다가, 성긴 블레이드(22)간의 간격은 다른 간격과 동일하다. 복수개의 슬릿(3)이 넓은 성긴 블레이드(21)에 제공되고, 좁은 성긴 블레이드(22)에는 슬릿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3)이 배치되는데, 여기서 슬릿폭은 약 0.04mm부터 0.05mm의 범위로 정해지고, 상기 슬릿폭은 약 1.0mm로 정해진다.
성기게 자르는 가위(1G)는 헤어슬립이 상기 슬릿에 의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가위가 폐쇄될 때, 성긴 블레이드의 에지부분에서 오목한 리지에 걸린 헤어들 때문에 생기는 강한 저항이 제거되어, 부드러운 폐쇄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성긴 블레이드에서 슬릿을 형성하지 않은 직선 블레이드의 에지부분에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6 및 도 27에서 성긴 가위(1H)를 도시하는데, 이는 두 개의 성긴 블레이드(40,50)를 구비한다. 이러한 성긴 블레이드(40,50)에서, 이들의 성긴 블레이드(41,42,51,52)들은 선회축(pivot)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concentric shape)로 형성된다. 넓은 성긴 블레이드(41,51) 및 좁은 성긴 블레이드(42,52)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성긴 블레이드(50)의 폭은 움직이는 블레이드(피크(peak)부터 포인트부분까지의 길이)로 기능하게 하는데, 이는 성긴 블레이드(40)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50)의 성긴 블레이드(51,52)는 다른 블레이드의 성긴 블레이드(41,42)보다 짧게 형성된다. 성긴 블레이드들의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슬릿(3)이 상기 성긴 블레이드(40)의 측면에 제공된다. 여러 개의 슬릿(3)이 넓은 성긴 블레이드(41)에 제공되고, 한 개의 슬릿(3)이 좁은 성긴 블레이드(42)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8은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슬릿들이 성긴 가위에 적용된 것을 보인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 각각과, 얇은 슬릿(3)과 두꺼운 슬릿(5)이 동일한 피치를 가지고 성긴 블레이드에 교대로 형성된 점, 각 슬릿의 폭과 길이, 비슬립효과면에서 서로 동일하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각각과, 블레이드(7)가 두꺼운 슬릿(5)의 슬릿 바닥에 형성된 점에서 동일하여, 헤어가 슬릿속으로 들어가더라도 헤어커팅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청구항 7에 개시된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성긴 가위에 적용한 예가 있다. 먼저, 복수의 슬릿들이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의 무작위적인 배치가 성긴 블레이드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서 이루어지는데, 이 성긴 블레이드 위에 슬릿이 형성된다. 종래의 성긴 블레이드 상에는 선형 에지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다. 게다가, 슬릿의 크고 작은 갭에 대하여, 슬릿들이 각각의 성긴 블레이드를 위해 제공되고, 각각의 성긴 블레이드를 위하여 슬릿의 밀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넓은 성긴 블레이드의 경우(예를 들면, 1cm의 폭), 크고 작은 갭들이 하나의 성긴 블레이드에 제공될 수 있다.
성기게 자르는 가위가 직선 블레이드와 성긴 블레이드로 구성된 경우에, 종래에는 성긴 블레이드는 에지부분에서 선형을 유지한다. 또한, 전술한 커팅가위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은 상기 직선 블레이드의 측면에 자유롭게 배치되거나, 슬릿의 크고 작은 갭들이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존재여부에 따라, 상기 성긴 가위가 두 개의 성긴 블레이드로 구분되는데, 일측 성긴 블레이드에 의해 헤어가 슬립없이 커팅될 수 있고, 타측 성긴 가위에 의해서는 헤어가 슬립을 가지고 커팅되는 것이다. 따라서, 헤어의 성김 양(thinning quantity)이 상기 블레이드의 각 부분에서 달라지고, 자연스런 변화가 헤어 성김(hair thinning) 마무리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가위(1A∼1H)에서, 비록 모든 슬릿들이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으로 커팅되어도,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a,20)의길이 방향으로 슬릿들이 소정의 경사진 각도로 커팅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가위가 폐쇄될 때 각 교차점(C)에서, 슬릿들 각각이 대응 블레이드(2b,30)의 에지 라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 각각이 상기 대응 블레이드(2b,30)의 에지라인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의 개구부의 일단(4'이 날카롭고, 걸림 효과(cathing effect)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비슬립효과가 개선된다. 게다가, 상기 슬릿이 경사지게 커팅되므로, 개구부의 폭(W0)이 상기 슬릿폭(W)보다 넓다.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비슬립효과가 개선된다. 또한, 헤어가 슬릿의 폭두께와 동일하다면, 이러한 헤어는 그 슬릿에 더욱 쉽게 들어간다.
게다가, 상기 슬릿폭이 몇 가닥의 헤어의 폭과 상응하는 경우에, 이러한 헤어들은 상기 슬릿내에 걸리게 되어 커팅된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가 상기 슬릿에 의해 쉽게 걸리게 된다. 아나가, 슬릿(3)내에 걸린 헤어들은 대응 블레이드(2b)의 에지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세로 컬럼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커팅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릿 폭, 얇고 두꺼운 슬릿의 혼합된 배치, 피치, 슬릿 길이, 슬릿의 존재여부, 및 상기 슬릿의 크고 작은 갭들은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블레이드 대체형(replacement type) 가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대체형의 가위에서, 상기 가위의 블레이드는 가위의 몸체와 독립된 대체 블레이드로서 제공되고, 다양한 대체 블레이드들이 설치 방법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블레이드에, 본원의 구성요소인 슬릿이 제공된다. 이블레이드는 가위 몸체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가위를 형성한다.
전술한 가위에서, 실질적으로 선형 슬릿 대신에, 도 33과 같이 얕게 컷아웃되고 실질적으로 오목한 피트(fit,3'들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피트(3'의 개구부는 전술한 슬릿의 폭에 상응한다. 헤어는 헤어의 평균두께를 가정한 얇은 슬릿(3)에는 거의 걸리지 않으므로, 비슬립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도, 헤어는 다른 두꺼운 슬릿(5)에는 걸리고, 이때 비슬립효과는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피트 슬릿(3'은 연마에 의해 비교적 일찍 사라진다. 이들은 값싸게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가위를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블레이드 대체형 가위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제조방법이든 적용가능하다.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물질로부터 떨어지도록 압박될 경우에, 블레이드를 압박하는 방법과 피트 슬릿(fit slit)이 동시에 제공된다. 또한, 피트 슬릿이 완성단계에서 블레이드에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1)

  1. 블레이드 혹은 복수의 블레이드의 에지에 형성된 실질적 선형 슬릿들이 소정의 헤어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얇은 슬릿폭내에 형성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은 가위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실질적 선형 슬릿들이 블레이드 혹은 복수의 블레이드의 에지에 제공되고, 상기 슬릿들이 가위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고, 헤어의 소정 두께를 초과하고 헤어의 소정 두께의 2배보다는 작은 슬릿폭내에 형성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실질적 선형 슬릿들이 블레이드 혹은 복수의 블레이드의 에지에 제공되고, 상기 슬릿들이 상기 블레이드의 마찰 슬라이딩 면을 넘지 않는 길이내에 형성되고, 몇 가닥의 헤어가 세로 컬럼으로 들어가게 되는 소정의 슬릿폭내에 형성되어, 상기슬릿들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상기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바닥은 블레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마찰 슬라이딩 면에 날카로운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6.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이 절단된 방향은 상기 가위의 교점에서 대응 블레이드 혹은 대응 블레이드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7.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이 연속하여 제공된 부분은 상기 에지 혹은 에지들을 따라 무작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속적으로 제공된 부분은 상기 슬릿에 형성된 크고 작은 갭들과 함께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8.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얕게 절단되고 실질적으로 오목한 피트 슬릿들이 실질적인 선형 슬릿 대신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9.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경도 720Hv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10. 제9항에 있어서,
    경도 720Hv 혹은 그 이상의 경도를 가진 물질은 하드 툴 물질(hard tool materi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블레이드 물질의 경도의 크기 차이가 마주보는 양 블레이드 간에 제공되고, 슬릿 혹은 피트 슬릿들이 고경도의 블레이드 상에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017000776A 1999-01-22 1999-09-29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 KR100591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63499 1999-01-22
JP11-014634 1999-01-22
JP4149899 1999-02-19
JP11-041498 1999-02-19
JP11-043138 1999-02-22
JP4313899 1999-02-22
JP11-137998 1999-05-19
JP13799899 1999-05-19
JP11-223710 1999-08-06
JP22371099 1999-08-06
PCT/JP1999/005381 WO2000043172A1 (fr) 1999-01-22 1999-09-29 Ciseau antiderap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727A true KR20010074727A (ko) 2001-08-09
KR100591037B1 KR100591037B1 (ko) 2006-06-22

Family

ID=2751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776A KR100591037B1 (ko) 1999-01-22 1999-09-29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1345B1 (ko)
EP (1) EP1153712A4 (ko)
JP (1) JP3470175B2 (ko)
KR (1) KR100591037B1 (ko)
HK (1) HK1036776A1 (ko)
TW (1) TWM240328U (ko)
WO (1) WO2000043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0147B2 (en) * 2001-11-20 2004-12-14 Francis Ford Coppola Disc holder adapted for attachment to a bottle
US6925717B1 (en) * 2002-07-01 2005-08-09 Tech Cast, Inc Industrial scissors
EP1648665A1 (de) * 2003-08-01 2006-04-26 Wella Aktiengesellschaft Effilieraufsatz für eine haarschneidemaschine
US20050204566A1 (en) * 2004-03-22 2005-09-22 Denise Loporcaro Travel food scissor
US7159321B2 (en) 2004-09-01 2007-01-09 Wen-Ya Yeh Notched single-edge thinning scissors
CN100337797C (zh) * 2004-09-10 2007-09-19 叶文雅 美发剪
DE602004031732D1 (de) * 2004-09-22 2011-04-21 Wen-Ya Yeh Effilierschere
US20080229587A1 (en) * 2007-03-21 2008-09-25 Topet Usa Inc. Grooming Scissors
US7954245B2 (en) * 2009-04-24 2011-06-07 Chih-I Chen Hair thinning scissors
US20110047802A1 (en) * 2009-05-28 2011-03-03 Sandra Kay Long Cut blocker
US8393083B2 (en) * 2010-04-08 2013-03-12 Pei-Ling Wu Adjustable thinning scissors
USD773268S1 (en) * 2015-10-14 2016-12-06 Mohammad Usman Cutting shears
CN105538349A (zh) * 2015-12-14 2016-05-04 江门市江海区南粤金石榴茶制品厂 一种剪刀
JP5950379B1 (ja) * 2016-02-12 2016-07-13 株式会社カペリート すきバサミ
CN207448532U (zh) * 2017-09-25 2018-06-05 徐腾章 一种分段式去发牙剪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964A (en) * 1884-05-06 Guard for barbers shears
US1903257A (en) * 1932-02-23 1933-03-28 Dahl Charles Shears
US2558264A (en) * 1949-04-21 1951-06-26 John H Metcalf Tapering and thinning shears
US3250001A (en) * 1963-12-13 1966-05-10 Cercone Daniel Shears
GB1187984A (en) 1966-05-16 1970-04-15 Norton Co "Abrasive Tool"
JPS599183B2 (ja) * 1982-02-16 1984-02-29 有限会社染谷製作所
JPS60108276A (ja) 1983-11-16 1985-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ねじ締め機のねじ保持具
JPS60141573A (ja) 1983-12-28 1985-07-26 Ricoh Co Ltd ペ−ジ・プリンタ
JPH0199589A (ja) * 1987-10-13 1989-04-18 Masatoshi Watanabe 鋏の製造方法
US5069872A (en) * 1989-09-08 1991-12-03 Penoza Frank J Cutting tool
JPH04273083A (ja) 1991-02-28 1992-09-29 Ando Electric Co Ltd 音波による測距装置の温度補正回路
US5107591A (en) * 1991-04-01 1992-04-28 Hikari Corporation Thinning scissors
JPH0576474A (ja) 1991-09-19 1993-03-30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H06236485A (ja) 1993-02-08 1994-08-23 Tokyo Electric Co Ltd ドロワ装置
JP2607278Y2 (ja) * 1993-12-25 2001-05-28 八朗 平川 梳 鋏
JPH0871264A (ja) * 1994-09-08 1996-03-19 Matetsuku Matsuzaki:Kk すき鋏
JP3619907B2 (ja) * 1995-05-08 2005-02-16 八朗 平川 調髪用梳鋏
JPH09165039A (ja) 1995-12-12 1997-06-24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パレット
SE9601564D0 (sv) * 1996-04-24 1996-04-24 Manuel Braun Self-sharpening cutting device
IT1289393B1 (it) * 1996-09-24 1998-10-02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china lavabiancheria o simile con cesto rotante ad asse orizzontale
JP3194426B2 (ja) * 1997-03-06 2001-07-30 株式会社シゲル工業 理容用梳き鋏
JP2967269B1 (ja) * 1998-06-29 1999-10-25 有限会社刃物屋トギノン 毛すき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3172A1 (fr) 2000-07-27
EP1153712A4 (en) 2005-01-19
TWM240328U (en) 2004-08-11
EP1153712A1 (en) 2001-11-14
JP3470175B2 (ja) 2003-11-25
KR100591037B1 (ko) 2006-06-22
US6651345B1 (en) 2003-11-25
HK1036776A1 (en)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037B1 (ko) 슬립방지 처리된 가위
EP0925003B1 (en) File, particularly nail file
US20030035693A1 (en) Ribbon tooth cutting tool and method
JPS62173194A (ja) ナイフブレ−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64662A1 (en) Cutting Edge with Microscopically Sized Channels to Enhance Cutting Performance
JP2003532546A (ja) 真っ直ぐな歯とあさり歯とを備える金属切削用鋸、及びその製造方法
US4584745A (en) Double angled precision file
EP0989926B1 (en) Hair cutting method and device
WO2011161842A1 (ja) 爪ヤス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7598B2 (ja) 滑り止め加工されたカット鋏
US2672148A (en) Burnishing device for the fingernails
JP2004049902A (ja) 滑り止め加工されたカット鋏
US20050223565A1 (en) Jagged edged hairdressing scissors
GB2335226A (en) A trowel blade with a layer of hard chrome disposed at its edge
US3200670A (en) Stropper
CN1104307C (zh) 防滑处理的剪刀
US3215150A (en) Finger nail scraping and trimming nail file
US4333506A (en) Pencil sharpener
EP1581075A1 (en) A progressive hair removal surface
JP3066938U (ja) 爪やすり
JPH08299051A (ja) 爪みがき
US20040049922A1 (en) Hair cutting tool
WO2001072480A1 (fr) Ciseaux
MXPA99011880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cortar cabello
JP2003117903A (ja) 鋸 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