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625A -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 - Google Patents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625A
KR20010072625A KR1020007014467A KR20007014467A KR20010072625A KR 20010072625 A KR20010072625 A KR 20010072625A KR 1020007014467 A KR1020007014467 A KR 1020007014467A KR 20007014467 A KR20007014467 A KR 20007014467A KR 20010072625 A KR20010072625 A KR 2001007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product
phthalonitrile
composite
thermosetting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304B1 (ko
Inventor
사티아 비. 사스트리
제임스 피. 아미스테드
테디 엠. 켈러
Original Assignee
엘워드 사울
미합중국 (관리부서 : 미합중국 해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워드 사울, 미합중국 (관리부서 : 미합중국 해군성) filed Critical 엘워드 사울
Publication of KR2001007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71Ceramic products contain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 C04B35/78Ceramic products contain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containing non-metallic materials
    • C04B35/80Fibres, filaments, whiskers, platelets, or the like
    • C04B35/83Carbon fibres in a carbon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7Pyrolysis, carbonisation or auto-combus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66Polycondensat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8Organic compounds becoming part of a ceramic after heat treatment, e.g. carbonising pheno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08Fibers
    • C04B2235/5216Inorganic
    • C04B2235/524Non-oxidic, e.g. borides, carbides, silicides or nitrides
    • C04B2235/5244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7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6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boron or compound thereof [not as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8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free carbon or carbide or therewith [not as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는 단계,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만들어진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단계 1), 2)와 3)의 한 사이클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Carbon-based composites derived from phthalonitrile resins}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탄소질 또는 그라파이트 매트릭스에 강화 섬유질을 포함하는 재료이다. 특별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충전재와 코팅이 포함될 수도 있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소질 또는 그라파이트 매트릭스에 강화 섬유질을 갖는 모든 복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탄소/탄소 복합물"이나 "탄소-탄소 복합물"은 강화 섬유질이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지칭한다.
탄소-탄소 복합물은 경량 재료로, 밀도의 범위는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프리커서(전구물질)에 따라 약 1.36 내지 2.00g/㎤가 된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사용된 특정의 강화 섬유질의 밀도에 따라 더 큰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비산화 환경에서는 열적 안정성이 높으며, 산화 환경에 사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섬유질 재료에 유기 수지를 침지시키고 나서 그 혼합물을 탄화 온도로 가열 또는 열분해함으로써 형성된다. 탄소/탄소 복합물을 위하여, 탄소 섬유 재료는 일반적으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레이온 또는 석유 피치(pitch)로부터 유도된다. 실리콘 카바이드, 금속, 유리 또는 세라믹 섬유는 다른 유형의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위한 제1 세대 매트릭스 재료는 페놀 및 페놀-푸르푸릴(phenolic-furfuryl) 알코올 수지에서 유도된다. 이들 수지는, 경화되고 열 분해되어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할 때 휘발성 가스(volatiles)를 생성하는데, 이것이 복합물에 보이드(void)를 만드는 단점이 있다. 보이드를 제거하고 만족스러운 밀도를 갖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다단계의 침지(impregnation) 및 탄화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형의 수지로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만드는 공정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비용이 비싸진다. 현재 사용되는 일부 탄소 프리커서 재료를 사용하여 두껍고 복잡한 탄소/탄소 구조를 만드는데는 6개월 내지 8개월의 반복된 침지 및 열 분해 과정이 걸릴 수 있다. 보다 최근에는 액상 (준결정상:mesophase) 피치 같은 다른 재료가 매트릭스 재료로 사용되었다. 이들 재료는 일반적으로 점성이 높아서 섬유상 재료를 침지하는 과정을 더 어렵게 만든다. 휘발성 하이드로 카본 화합물의 화학증착(CVD)/화학 증기침지(CVI) 등의 다른 공정은 보다 높은 밀도를 얻기 위해 이용되었다. 그러나 화학증기법에서 탄소는 섬유상 재료의 표면에 우선적으로 증착하는 경향이 있으며, 두꺼운 섬유 매트릭스를 완전히 관통하기가 어렵다.
탄소/탄소 복합물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재료는 다음을 포함한 수많은 공고 및 특허 자료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뉴저지주 파크 리지의 노예스 퍼플리케이션즈(Noyes Publications)에서 출판한 존 디. 버클리(Buckley, John D.)와 댄 디. 에디(Edie, Dan D.) 편집의 "탄소-탄소 재료 및 복합물"(1993년), 뉴욕주 뉴욕시의 반 노스트랜드 라인홀드 컴패니(Van Nostrand Reinhold Company)에서 출판한 존 델몬트(Delmonte, John)의 "탄소 및 그라파이트 섬유 복합물의 기술"(1981년), 1996년 7월/8월 제32권 4호의 SAMPE Journal의 44-50페이지에 실린 슈미트 등(Schmidt et al.)의 "탄소-탄소 복합물(CCC)의 발생," 고성능 복합물(High Performance Composites) 1998 소스북에 실린 "응용의 확대가 복합물의 가치를 높여준다(Expanding Applications Reinforce the Value of Composites)," Finelli 등(Finelli et al.)의 미국특허 제3,914,395호, 디문다(DeMunda)의 미국특허 제4,178,413호, 엔글(Engle)의 미국특허 제5,061,414호, 짐머 등(Zimmer et al.)의 미국특허 제4,554,024호 및 올센 등(Olsen et al.)의 미국특허 제5,686,027호가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들 특허 및 간행물 전부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는 리 등(Lee et al.)의 미국특허 제5,759,688호에는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 강화 탄소 복합물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열경화성 폴리머를 만들기 위해 프탈로니트릴 모노머와 수지가 이용되어왔다. 프탈로니트릴은 휘발성 부산물을 생성하지 않고 쉽게 가공 및 경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양한 프탈로니트릴 수지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730,946호,제3,763,210호, 제3,787,475호, 제3,869,499호, 제 3,972,902호, 제4,209,458호, 제4,223,123호, 제4,226,801호, 제4,234,712호, 제4,238,601호, 제4,259,471호, 제4,304,896호, 제4,307,035호, 제4,315,093호, 제4,351,776호, 제4,408,035호, 제4,409,382호, 제4,410,676호, 제5,003,039호, 제5,003,078호, 제5,004,801호, 제5,132,396호, 제5,159,054호, 제5,202,414호, 제5,208,318호, 제5,237,045호, 제5,242,755호, 제5,247,060호, 제5,292,854호, 제5,304,625호, 제5,350,828호, 제5,352,760호, 제5,464,926호, 1997년 10월 2일자 출원된 사티야 비. 사스트리(Satya B. Sastri)와 테디 엠. 켈러(Teddy M. Keller)의 미국출원 "저방사능 방향족 아민 경화제로 경화된 섬유 강화 프탈로니트릴 복합물"과 1997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사티야 비. 사스트리와 테디 엠. 켈러의 미국출원 "할로겐 함유 방향족 아민 경화제로 경화된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및 복합물"이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들 특허 및 출원 전부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4,587,325호는 디에테르 연결 비소토니트릴(프탈로니트릴) 모노머 및 아민 혼합물을 450℃ 이상으로 가열시켜 형성되는 전도성 프탈로니트릴 폴리머를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5,389,441호는 경화 또는 부분 경화 프탈로니트릴 코팅 크기로 분류된 섬유와 폴리머 매트릭스를 결합시켜 형성된 섬유 강화 복합물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미국특허 제5,645,219호는 프탈로니트릴 수지를 섬유 강화 단열(ablative) 복합물에서의 매트릭스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 특허는 경화된 순수한(neat) 프탈로니트릴 수진 시료를 900℃까지 가열시키는 열 무게측정 검사(thermogravimetric testing)를 개시한다. 프탈리니트릴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섬유 강화 열경화성 복합물의 제조방법은 폴리머 콤포지트(Polymer Composites) 1996년 12월 제17권 제6호의 816-822 페이지에 실린 사스트리 등의 "프탈로니트릴-탄소 섬유 복합물"과, 폴리머 콤포지트지의 1997년 2월 제18호 제1권의 48-54 페이지에 실린 사스트리 등의 "프탈로니트릴-유리 섬유 복합물"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 내용을 참조한다.
[발명의 요약]
현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은 프탈로니트릴 수지를 이 복합물의 탄소질 매트릭스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프리커서로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소 베이스 복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킨다.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한다.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에 관한 것이다.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킨다.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한다.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탄소/탄소 복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탄소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킨다.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한다.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탄소/탄소 복합물에 관한 것이다.
(1) 탄소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킨다.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한다.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한다.
프탈로니트릴 수지를 탄소 베이스 복합물이나 탄소/탄소 복합물의 탄소질 매트릭스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프리커서로 이용함으로써, 침지, 경화 및 열 분해의 단일 주기로, 밀집되고 보이드없는 복합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만족스러운 밀도를 얻기 위한 다른 수지 시스템과 함께 필요한 다단계의 침지, 경화 및 열 분해는 필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탄소 베이스 복합물과,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고, (2)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고, (3)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써 그 복합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는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해 경화될 수 있는 재료나 혼합물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본 정의에서는 프탈로니트릴 모노머, 서로 다른 프탈로니트릴 모노머 혼합물, 프탈로니트릴 모노머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경화제 및 부분 경화된 B-스테이지 프리폴리머가 포함된다.
프탈로니트릴 모노머는 어떠한 프탈로니트릴 모노머도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730,946호 제3,763,210호, 제3,787,475호, 제3,869,499호, 제3,972,902호, 제4,209,458호, 제4,223,123호, 제4,226,801호, 제4,234,712호, 제4,238,601호, 제4,259,471호, 제4,304,896호, 제4,307,035호, 제4,315,093호, 제4,351,776호, 제4,408,035호, 제4,409,382호, 제4,410,676호, 제5,003,039호, 제5,003,078호, 제5,004,801호, 제5,132,396호, 제5,159,054호, 제5,202,414호, 제5,208,318호, 제5,237,045호, 제5,242,755호, 제5,247,060호, 제5,292,854호, 제5,304,625호, 제5,350,828호, 제5,352,760호, 제5,464,926호, 1997년 10월 2일자 출원된 사티야 비. 사스트리(Satya B. Sastri)와 테디 엠. 켈러(Teddy M. Keller)의 미국출원 "저방사능 방향족 아민 경화제로 경화된 섬유 강화 프탈로니트릴 복합물"과 1997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사티야 비. 사스트리와 테디 엠. 켈러의 미국출원 "할로겐 함유 방향족 아민 경화제로 경화된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및 복합물"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프탈로니트릴 모노머는 다음 식을 갖는 화합물이다:
여기서, A는 2가 유기 라디칼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A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라디칼, 폴리페닐 라디칼, 폴리페녹시 라디칼, 용해된 방향족 폴리-링 라디칼 및 일반식인 -Ar-Z-Ar-의 라디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위 일반식에서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 방향족 그룹이며, Z는
,
또는 최대 6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렌, 최대 6개 탄소 원자로 된 할로겐화 알킬렌, 이미드(imide) 함유 그룹 또는 연결 본드이다. "치환"이라는 말은 기존의 치환기(substituent)가 방향족 부분(moiety)에 붙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는 할로겐, 칼코겐, 및 페닐, 알코올, 카프복실, 카르보닐 또는 10개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그룹과 같은 유기 라디칼을 포함하는데, 이것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경화제는 모노머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 등의 반응 조건 하에서 프탈로니트릴 모노머의 중합을 촉진하는데 유용한 경화제가 될 수 있다. 경화제는 온도 상승시에 안정되고 비휘발성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경화제가 방향족 아민, 페놀,무기산, 강한 유기산, 금속, 금속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화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경화제는 방향족 아민이다.
B-스테이지 프리폴리머는 프탈로니트릴 모노머 또는 모노머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경화제 존재 하에서 부분적으로 중합하여 만들어진다. 냉각되면 B-스테이지 프리폴리머는 일반적으로 가루로 분쇄될 수 있는 파열성 고체(frangible solid)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섬유"와 "섬유 재료"는 섬유 강화 복합물을 만드는데 유용한 강화 섬유를 가리키기 위해 번갈아 사용된다. 유용한 섬유 및 섬유 재료의 실시예는 미국특허 제4,894,286호와 제5,002,75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개시된 전체 내용을 참조한다. 바람직하게, 섬유는 탄소 섬유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이다. 탄소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레이온 또는 석유 피치에서 유도된 섬유이다. 섬유는 또 금속, 유리 또는 세라믹 섬유가 될 수도 있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 또는 탄소-탄소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최종 산물에 대한 원하는 밀도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레이온을 베이스로 하는 섬유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 1.42g/㎤의 밀도를 가지며,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베이스로 하는 섬유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 1.76 내지 1.94g/㎤의 밀도를 가지며, 준결정상 석유 피치를 베이스로 하는 섬유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 2.01g/㎤의 밀도를 갖는다. 그에 대응하는 탄소-탄소 복합물은 약 1.36 내지 약 2.00g/㎤의 밀도를 갖는다. 금속이나 유리 금속 같은 무기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더 큰 밀도를 얻을 수 있다.
섬유 재료는 실제 형태에 있어서 섬유 강화 복합물을 생성하는데 이용가능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편직물, 비편직 매트 또는 토우 등이 포함된다. 섬유 재료는 특정의 바람직한 최종 생성물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섬유 프리폼을 가질 수 있다.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하는 단계와 그 혼합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는,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 생성을 위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이행될 수 있다. 특히, 프리프레그 경화(consolidation), 필라멘트 감기, 수지 전사 몰딩 및 수지 주입(infusion) 몰딩의 종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복합물 구조를 만드는 기술이 여러 소스에 기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는 다음의 특허 및 간행물을 포함한다. 폴리머 콤포지트(Polymer Composites) 1996년 12월 제17권 제6호의 816-822 페이지에 실린 사스트리 등의 "프탈로니트릴-탄소 섬유 복합물"과, 폴리머 콤포지트의 1997년 2월 제18권 제1호의 48-54 페이지에 실린 사스트리 등의 "프탈로니트릴-유리 섬유 복합물," 뉴저지주 파크 리지의 노예스 퍼플리케이션즈(Noyes Publications)에서 출판한 존 디. 버클리(Buckley, John D.)와 댄 디. 에디(Edie, Dan D.) 편집의 "탄소-탄소 재료 및 복합물"(1993년), 뉴욕주 뉴욕시의 반 노스트랜드 라인홀드 컴패니(Van Nostrand Reinhold Company)에서 출판한 존 델몬트(Delmonte, John)의 "탄소 및 그라파이트 섬유 복합물의 기술"(1981년), 1996년 7월/8월 제32권 4호의 SAMPE Journal의 44-50페이지에 실린 슈미트등(Schmidt et al.)의 "탄소-탄소 복합물(CCC)의 발생," 고성능 복합물 1998 소스북에 실린 "응용의 확대가 복합물의 가치를 높여준다(Expanding Applications Reinforce the Value of Composites)," Finelli 등(Finelli et al.)의 미국특허 제3,914,395호, 디문다(DeMunda)의 미국특허 제4,178,413호, 엔글(Engle)의 미국특허 제5,061,414호, 짐머 등(Zimmer et al.)의 미국특허 제4,554,024호 및 올센 등(Olsen et al.)의 미국특허 제5,686,027호, 크레인 등(Crane et al.)의 미국특허 제5,744,221호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대로, 섬유 재료를 "침지한다"는 용어는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포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수지 전사 몰딩 및 수지 주입 몰딩의 종래의 방법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섬유 재료와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의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약 375℃에서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그 혼합물을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는, 열경화성 폴리머를 탄화시키기 위해 충분한 시간 및 충분한 온도에서 불활성 분위기에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가열시켜서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열 분해된다. 바람직하게, 열 분해를 위한 온도 범위는 약 450℃와 1000℃ 사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와 850℃ 사이이다.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가 450℃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는 폴리머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다르며, 바람직하기로는 100 시간 이상이다.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만들 때, 열 분해 공정 동안에 열 스트레스나 휘발성산물의 발생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결점이나 파열의 생성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휘발성 산물의 발생은 본 발명에서처럼 프탈로니트릴을 사용하면 상당히 줄어들 수 있지만, 400℃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의 가열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훨씬 더 줄어들 수 있다. 열경화성 폴리머와 섬유 재료 간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열 스트레스도 가열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줄어든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의 가열은 20℃/min 미만의 속도로 실행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min 미만의 속도로 실행된다.
침지, 경화 및 열 분해 단계는 하나의 연속 공정으로 실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화가 일어나는 온도의 범위까지 혼합물을 가열하고, 그리고 나서 혼합물을 탄화가 일어나는 온도의 범위까지 계속 가열하는 동안에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원격 스테이지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차원 섬유 재료가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프리커서로 침지되어 나중에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될 수 있는 프리프레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연속으로 프리프레그는 적층되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고, 경화 및 탄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침지, 경화 및 열 분해에 대한 단 한번의 사이클을 이행함으로써 구조적 응용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밀도를 가지며, 가시적인 보이드가 없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단계의 침지, 경화 및 열 분해는 다른 수지 시스템이 이용될 때 (예를 들면, 버클리 등(Buckley et al.)의 supra, 9-11페이지에 기재된 실린 침지와 탄화의 반복 사이클 참조) 필요하지만,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가 이용될 때는 필요하지 않다.
다음의 실험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특정 응용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특정의 실험예는 본 출원서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실험예
실험예 1: 4,4'-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 모노머, 아민 촉매와 단방향 IM7-탄소 섬유로부터 프탈로니트릴 복합물 형성
4,4'-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 모노머(1000g, 2.27몰)가 자동 교반기를 갖춘 2000ml짜리 반응 케틀에서 275℃에서 융해되었다. 온도는 265℃로 낮아졌고, 소량의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21g, 0.072몰)을 강하게 교반시켜 첨가하였다. 15분의 반응 시간 후에,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시켜 B-스테이지 프탈로니트릴 수지나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프리폴리머를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 프탈로니트릴/탄소 프리프레그를 형성하기 위한 용액 침지 공정에 사용하였다. 37 중량% 수지로 단방향 테이프를 만들기 위해 1.77g/㏄의 밀도를 갖는 치수없는(unsized) Hercules IM7-12K 탄소 섬유가 이용되었다. 복합물 패널은, 200psi 압력 하에서 250℃에서는 1시간 동안, 325℃에서는 3시간 동안 가열시켜서 오토클레이브에서 8겹 프리프레그(9″×11″)의 경화(consolidation)에 의해 제조되었다. 복합물 패널은 탄화 이전에 질소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325℃, 350℃와 375℃에서 추가로 각각 8시간 동안 가열시켜 후경화되었다(postcured).
실험예 2: 4,4'-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 모노머, 아민 촉매와 T-650/35탄소 섬유로부터 프탈로니트릴 복합물 형성
4,4'-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 모노머(1000g, 2.27몰)가 자동 교반기를 갖춘 2000ml짜리 반응 케틀에서 275℃에서 융해되었다. 온도는 265℃로 낮아졌고, 소량의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18g, 0.062몰)을 강하게 교반시켜 첨가하였다. 15분의 반응 시간 후에,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시켜 B-스테이지 프탈로니트릴 수지나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프리폴리머를 미세한 가루로 만들어 수지 주입법에 의한 복합물 공정에 이용하였다. UC 309 크기와 1.77g/㏄의 농도를 갖는 Amoco T650/35, 8 하니스 새틴 위브 탄소 섬유가 이용되었다. 8겹의 섬유(6″×6″)가 6″×6″유리 위브에 고르게 분포된 49g의 프리폴리머 위에 적층되었다. 복합물 패널은 200psi 압력 하에서 250℃에서는 한 시간 동안, 325℃에서는 3시간 동안 가열시켜서, 오토클레이브에서 처리되었다. 복합물 패널은 탄화 이전에 질소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325℃, 350℃와 375℃에서 추가로 각각 8시간 동안 가열시켜 후경화되었다.
실험예 3: 경화제로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벤젠과 1,3 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을 베이스로 하는 순수한 수지 시료의 형성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벤젠(2.3g, 6.2m㏖)이 220℃ 핫플레이트 위의 알루미늄 플랜칫에서 용해되었다. 용해물에서는 220℃에서 2시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0.044g(0.15m㏖)의 1.3 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을 교반시켜 용해물에 첨가시켰다. 220℃에서 15분 머문 후에 용해물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하였다. 시료는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260℃에서 12시간 동안, 325℃에서 12시간 동안, 350℃에서 8시간 동안, 그리고 37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오븐에서 경화되었다.
실험예 4: 경화제로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벤젠과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을 베이스로 하는 순수한 수지 시료의 형성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벤젠(2.3g, 6.2m㏖)이 220℃ 핫플레이트 위의 알루미늄 플랜칫에서 용해되었다. 용해물에서는 220℃에서 2시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0.068g(0.15m㏖)의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BAPS)을 교반시켜 용해물에 첨가시켰다. 220℃에서 15분 머문 후에 용해물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하였다. 시료는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260℃에서 12시간 동안, 325℃에서 12시간 동안, 350℃에서 8시간 동안, 그리고 37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오븐에서 경화되었다.
실험예 5: 경화제로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과 1,3 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을 베이스로 하는 순수한 수지 시료의 형성
1,3 비스(3,4-디시아노페녹시)바이페닐(2.73g, 6.2m㏖)이 250℃ 핫플레이트 위의 알루미늄 플랜칫에서 용해되었다. 용해물에서는 250℃에서 2시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0.044g(0.15m㏖)의 1,3 비스(3-아미노페녹실)벤젠(APB)을 교반시켜 용해물에 첨가시켰다. 250℃에서 15분 머문 후에 용해물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하였다. 시료는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260℃에서 12시간 동안, 325℃에서 12시간 동안, 350℃에서 8시간 동안, 그리고 37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오븐에서 경화되었다.
실험예 6: 경화제로 2,2-비스[4-(3,4-디시아노페녹시)페닐]프로판과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을 베이스로 하는 순수한 수지 시료의 형성
2,2-비스[4-(3,4-디시아노페녹시)페닐]프로판(2.99g, 6.2m㏖)이 220℃ 핫플레이트 위의 알루미늄 플랜칫에서 용해되었다. 220℃에서 2시간 동안 용해물에서 가스가 제거되었고, 0.044g(0.15m㏖)의 1,3 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APB)을 교반시켜 용해물에 첨가시켰다. 220℃에서 15분 머문 후에 용해물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가스가 제거되었고, 용해물을 실온으로 급속 냉각하였다. 시료는 아르곤의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260℃에서 12시간 동안, 325℃에서 12시간 동안, 350℃에서 8시간 동안, 그리고 37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오븐에서 경화되었다.
실험예 7: 탄화
실험예 1, 2로부터의 프탈로니트릴 복합물 시료(1″×1″)와 실험예 3, 4, 5와 6의 작은 조각(0.5-1g)의 순수한 수지가 110℃의 진공 오븐에서 2시간 동안 건조되었고, 건조기에서 냉각되어 초기 중량을 기록하였다. 가열 사이클이 시작하기 전에 시료를 증류기 퍼니스에 놓고, 12시간 동안 아르곤으로 세척하였다. 다음의 가열 프로그램이 이용되었다. (1) 5℃/min로 25℃에서 325℃까지 가열하고, (2) 1시간 동안 325℃에서 유지하고, (3) 120 시간 이상 (0.07℃/min) 325℃에서 850℃까지 가열하고, (4) 4시간 동안 850℃에서 유지하고, (5) 약 1℃/min으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실험예 3 내지 6에서 순수한 수지 시료의 탄화로 인한 관찰된 중량 손실은 각각 25.1%, 25.4%, 23.3%와 20.3%였다. 단방향 및 섬유 베이스 복합물은 각각 9.0%와 7.4%의 중량을 잃었다. 열 분해된 복합물 시료의 밀도는 증류 변위 기술(water displacement technique) (ASTM D 792)에 의해 결정되었다. IM7-베이스 단방향 복합물의 밀도는 1.65g/㏄이고, 섬유 베이스 복합물의 밀도는 1.60g/㏄이다. 결과물인 탄소/탄소 복합물의 밀도는 섬유 밀도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므로 밀도가 높은 복합물은 (IM7과 T-650 섬유에 대한 1.77g/㏄와는 반대로) 2.01g/㏄의 밀도를 갖는 피치 베이스 섬유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분명히 상기 교시 내용에 비추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더라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 베이스 복합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9)

  1. 탄소 베이스 복합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2)와 (3)의 한 사이클 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는 단계 (3)은 상기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탄화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약 450℃와 약 1000℃ 사이의 온도에서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가열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산물은 적어도 100 시간 동안 약 450℃와 약 1000℃ 사이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산물은 20℃/min 미만의 속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산물은 분당 1℃ 미만의 비율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는 프탈로니트릴 폴리머와 경화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로니트릴 모노머는 다음 식의 화합물이며,
    여기서 A는 2가 유기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라디칼, 폴리페닐 라디칼, 폴리페녹시 라디칼, 용해된 방향족 폴리-링 라디칼 및 일반식인 -Ar-Z-Ar-의 라디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일반식에서 Ar은 치환 또는 비치환 방향족 그룹이며, Z는
    또는 최대 6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렌, 최대 6개 탄소 원자로 된 할로겐화 알킬렌, 이미드 함유 그룹 또는 연결 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방향족 아민, 페놀, 무기산, 강한 유기산, 금속, 금속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화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는 부분 경화된 B-스테이지 프탈로니트릴 프리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는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 유리 섬유, 금속 섬유 및 세라믹 섬유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탄소 베이스 복합물에 있어서,
    (1)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상기 단계 (1), (2)와 (3)의 한 사이클 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베이스 복합물.
  15. 탄소/탄소 복합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1) 탄소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는단계,
    (2) 상기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탄소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2)와 (3)의 한 사이클 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재료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에서 유도된 섬유, 레이온에서 유도된 섬유와 석유 피치에서 유도된 섬유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1) 탄소 섬유 재료를 프탈로니트릴 열경화성 폴리머 프리커서로 침지시키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산물을 경화시켜 섬유 강화 열경화성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산물을 열 분해하여 탄소 베이스 복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탄소 복합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2)와 (3)의 한 사이클 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탄소 복합물
KR10-2000-7014467A 1998-06-26 1999-06-25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 KR100525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05,087 US5965268A (en) 1998-06-26 1998-06-26 Carbon-based composites derived from phthalonitrile resins
US09/105,087 1998-06-26
PCT/US1999/014293 WO2000000350A1 (en) 1998-06-26 1999-06-25 Carbon-based composites derived from phthalonitrile res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25A true KR20010072625A (ko) 2001-07-31
KR100525304B1 KR100525304B1 (ko) 2005-11-02

Family

ID=2230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467A KR100525304B1 (ko) 1998-06-26 1999-06-25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65268A (ko)
EP (1) EP1098760A4 (ko)
JP (1) JP2002519277A (ko)
KR (1) KR100525304B1 (ko)
CA (1) CA2332366C (ko)
WO (1) WO20000003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323A1 (ko) * 2015-09-24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KR20170064870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WO2018030552A1 (ko) * 2016-08-08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성 조성물
US10870728B2 (en) 2015-07-01 2020-12-22 Lg Chem, Ltd. Phthalonitrile resin
US11091592B2 (en) 2016-11-04 2021-08-17 Lg Chem,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1415A1 (en) * 2000-07-28 2002-08-15 Mack Edward J. Thermoplastic materials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7235514B2 (en) * 2000-07-28 2007-06-26 Tri-Mack Plastics Manufacturing Corp. Tribological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6756470B2 (en) 2002-04-26 2004-06-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ligomeric hydroxy arylether phthalonitiles and synthesis thereof
US8039576B2 (en) * 2007-09-06 2011-10-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romatic ether and alkynyl containing phthalonitriles
EP2880079B1 (en) 2012-08-02 2021-01-20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nthesis of and curing additives for phthalonitriles
US8921510B1 (en) 2013-10-03 2014-12-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thalonitrile prepolymer intermediate
WO2015130652A1 (en) 2014-02-25 2015-09-03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nthesis of oligomeric divinyldialkylsilane containing compositions
CN103834008B (zh) * 2014-03-10 2016-09-28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邻苯二甲腈树脂及其制备方法
RU2580927C1 (ru) * 2014-10-24 2016-04-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ститут новых углер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технологий" (ЗАО "ИНУМиТ")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кремнийорганическими фрагментами фталонитрильный мономер,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связующее на его основе и препрег
KR101772287B1 (ko) 2014-11-18 2017-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WO2016080762A1 (ko) * 2014-11-18 2016-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KR101985800B1 (ko) * 2014-11-27 2019-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KR101901128B1 (ko) * 2014-11-28 2018-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WO2016099667A1 (en) 2014-12-15 2016-06-23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trolling crosslinking density and processing parameters of phthalonitriles
US9394404B2 (en) 2014-12-16 2016-07-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nthesis and polymerization of oligomeric aliphatic-aromatic based phthalonitriles
US9824797B2 (en) 2014-12-19 2017-11-21 General Electric Company Resistive grid elements having a thermosetting polymer
KR101959463B1 (ko) 2015-05-22 2019-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KR101953369B1 (ko) * 2015-12-04 2019-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성 조성물
EP3401351B1 (en) * 2016-01-07 2020-05-13 LG Chem, Ltd. Phthalonitrile resin
CN106142586B (zh) * 2016-06-27 2018-04-27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一种邻苯二甲腈复合材料耐热护板及其制作方法
KR102113484B1 (ko) * 2016-09-30 2020-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KR102071911B1 (ko) * 2016-12-23 2020-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수지
US20180313405A1 (en) 2017-04-26 2018-11-01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Bearing including a phthalonitrile-based polymer material
RU2694030C2 (ru) * 2017-10-31 2019-07-08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ститут новых углер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технологий" (ЗАО "ИНУМиТ") Аппретированное углеродное волокн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695606C1 (ru) * 2018-11-08 2019-07-2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ститут Новых Углеро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Технологий" Композиция фталонитрильного связующего для поли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материал, получ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RU2745825C1 (ru) * 2020-07-27 2021-04-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Ломоносова» (МГУ)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углеродны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з углепластиков с фталонитрильными матрицами
EP4032936A1 (en) * 2021-01-20 2022-07-27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preparing phthalonitrile coating compositions
CN115385710B (zh) * 2022-09-05 2023-11-03 华东理工大学 一种混编纤维增强的多孔碳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8035A (en) * 1981-08-24 1983-10-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thalonitrile resin from diphthalonitrile monomer and amine
US4409382A (en) * 1982-01-07 1983-10-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nthesis and polymerization of phthalonitrile monomers containing multiple phenoxy and sulfone linkages
US4587325A (en) * 1985-01-09 1986-05-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ocessable and stable conductive polymers from diether-linked bisorthodinitrile monomers
JPS63199228A (ja) * 1987-02-13 1988-08-1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熱硬化性樹脂原料組成物
US5594058A (en) * 1988-06-15 1997-01-14 Aerojet- General Corporation Polyphenylene resins from vinylethynylbenzene, diethynylbenzene and phenylacetylene
US5004801A (en) * 1988-11-21 1991-04-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lymer of dithioether-linked phthalonitrile
US5159054A (en) * 1989-05-16 1992-10-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nthesis of phthalonitrile resins containing ether and imide linkages
EP0495570B1 (en) * 1991-01-16 1999-04-28 Sgl Carbon Composites, Inc. Silicon carbide fiber reinforced carbon composites
JPH0532457A (ja) * 1991-07-26 1993-02-09 Kanebo Ltd 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783927B2 (ja) * 1991-11-29 1998-08-06 三菱鉛筆株式会社 電極用炭素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89441A (en) * 1993-06-28 1995-02-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hthalonitrile prepolymer as high temperature sizing material for composite fibers
US5645219A (en) * 1993-08-03 1997-07-08 Thiokol Corporation Addition-polymerization resin systems for fiber-reinforced nozzle ablative components
JPH08210402A (ja) * 1995-02-06 1996-08-20 Nippon Oil Co Ltd ブレーキ
JPH1067572A (ja) * 1996-08-26 1998-03-10 Tonen Corp 三方向性繊維強化複合材料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0728B2 (en) 2015-07-01 2020-12-22 Lg Chem, Ltd. Phthalonitrile resin
WO2017052323A1 (ko) * 2015-09-24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KR20170036543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US10683261B2 (en) 2015-09-24 2020-06-16 Lg Chem, Ltd. Phthalonitrile compound
KR20170064870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탈로니트릴 화합물
US10640650B2 (en) 2015-12-02 2020-05-05 Lg Chem, Ltd. Phthalonitrile compound
WO2018030552A1 (ko) * 2016-08-08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성 조성물
US10927215B2 (en) 2016-08-08 2021-02-23 Lg Chem,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US11091592B2 (en) 2016-11-04 2021-08-17 Lg Chem, Ltd. Polymerizabl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00350A1 (en) 2000-01-06
JP2002519277A (ja) 2002-07-02
CA2332366C (en) 2009-09-22
EP1098760A4 (en) 2006-03-29
EP1098760A1 (en) 2001-05-16
CA2332366A1 (en) 2000-01-06
KR100525304B1 (ko) 2005-11-02
US5965268A (en) 199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304B1 (ko) 프탈로니트릴 수지로부터 유도된 탄소 베이스 복합물
JP2595437B2 (ja) ベンズオキサジンによるコンポジットの緻密化
US902891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density fiber reinforced ceramic composite materials
EP0335736B1 (e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carbon composites
JP2017515771A (ja) 炭素/炭素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2008530309A (ja) 改良されたフタロニトリル複合材料
JP5944618B2 (ja) 炭素繊維複合材、及びこの炭素繊維複合材を用いたブレーキ用部材、半導体用構造部材、耐熱性パネル、ヒートシンク
CN1868971A (zh) 一种碳纤维增韧的碳-碳化硅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ielage et al. A cost effective route for the densification of carbon–carbon composites
US5932335A (en) Oxidation resistant fiber-reinforced composites with poly(carborane-siloxane/silane-acetylene)
JPH0559072B2 (ko)
JPS60200860A (ja) 高強度、耐酸化性のカ−ボン/カ−ボン複合材の製造法
JP3422515B2 (ja) 炭素質基材の耐酸化性被膜形成法
JP2018052791A (ja) 炭素/炭素複合材料の前駆体用マトリックス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JPH0585513B2 (ko)
JP2607409B2 (ja) 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の耐酸化処理法
JPH0292886A (ja) 耐酸化性を有する炭素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法
USH420H (en) Co-pyrolysis process for forming carbonized composite bodies
JP2001181062A (ja) 樹脂含浸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とその製造方法
JP3519105B2 (ja) 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セミカーボン材の製造法
JP3058180B2 (ja) 炭化硼素含有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ホットプレス用材料
JPS6126563A (ja) 耐酸化性炭素繊維強化炭素材の製造法
KR970007019B1 (ko) 고밀도 탄소섬유 강화 탄소복합재의 제조방법
JPH06183863A (ja) 耐酸化性炭素繊維強化炭素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H0952777A (ja) 耐酸化性c/c複合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