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973A -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973A
KR20010071973A KR1020017000801A KR20017000801A KR20010071973A KR 20010071973 A KR20010071973 A KR 20010071973A KR 1020017000801 A KR1020017000801 A KR 1020017000801A KR 20017000801 A KR20017000801 A KR 20017000801A KR 20010071973 A KR20010071973 A KR 2001007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mage data
image
data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638B1 (ko
Inventor
후지모토히사요시
오니시히로아키
다카쿠라도시히코
이마무라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게니치로,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게니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7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6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part of the apparatus being used in common for reading and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와, 원고화상의 복사에 필요한 데이터처리를 행하는 데이터처리수단을 갖고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복수의 수광소자, 및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다.
원고와 기록지의 반송방향이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원고화상의 복사가 행해지는 때에는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본래의 판독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나란히 되는 배열로 한다.
원고와 기록지와의 반송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에 이르는 순서로 배열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IMAGE PROCESSOR}
화상처리장치의 일예로서는 팩시밀리장치가 있다.
팩시밀리장치는 화상의 판독기능과 프린트기능을 겸하여 가질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가능한 한 소형으로 제작될 필요도 있다.
여기서, 종래에 있어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조를 일부에 갖는 팩시밀리장치가 있다.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와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가 구비되어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는 투명커버(19e)를 상면부에 장착한 케이스(1e)를 갖고 있다.
이 케이스(1e)의 내부에는, 투명커버(19e)의 표면상에 설정되는 화상판독라인(Se)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3e) 및 렌즈(5e)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저면부에는, 기판(4e)이 조립되어 있다.
이 기판(4e)의 표면(40) 및 이면(41)에는 복수의 수광소자(2e) 및 복수의 발열소자(8e)의 각각이 기판(4e)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열상(列狀)으로 배열되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원고(D)가 투명커버(19e)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해서 플래튼 롤러(P1)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과정에 있어서, 원고(D)의 표면이 광원(3e)에 의해 조명된다.
그러면, 원고(D)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5e)에 의해 집속되고, 원고(D)의 화상이 각 수광소자(2e)상에 결상되어, 각 수광소자(2e)로부터는 판독화상데이터가 1라인분씩 출력된다.
한편, 감열형의 기록지(K)는 각 발열소자(8e)에 밀착하도록 해서 플래튼 롤러(P2)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과정에 있어서, 선택된 발열소자(8e)가 발열하므로서, 기록지(K)에는 화상이 1라인분씩 프린트된다.
상기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판독헤드와 프린트헤드를 별개로 설치한 것보다 전체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수광소자(2e)로부터 출력된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이에 대응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복수의 발열소자(8e)에 의해 프린트 출력시키면, 원고(D)의 화상을 기록지(K)에 복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의 전체를끼우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P1, P2) 및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의 전체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의 두께방향으로 큰 치수가 된다.
따라서, 팩시밀리장치 전체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둘째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판(4e)의 표면 (40)에 복수의 수광소자(2e)를 탑재시킨 후에, 기판(4e)을 표리 반전시키고 나서 기판(4e)의 이면(41)에 복수의 발열소자(8e)를 탑재시킬 필요가 있다.
또, 복수의 수광소자(2e)에 관련하는 배선패턴과 복수의 발열소자(8e)에 관련하는 배선패턴에 대해서도, 기판(4e)의 표면(40)과 이면(41)의 각각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H)의 생산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화상의 판독기능과 프린트기능을 겸하여 갖는 화상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주요부평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복수의 센서IC칩에 의해 구성된 회로의 블록도.
도 7은, 도 2에 나타낸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구동IC칩의 회로블록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사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IC칩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설명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주요부 개략평면도.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구동IC칩의 회로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제6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설명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화상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화상처리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 또는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도 적절히 행할 수가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는, 투명커버와, 이 투명커버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기판과,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며 또한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원고의 화상을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므로서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독화상데이터를 1라인분씩 출력가능한 복수의 수광소자와,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와 대략 평행인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고, 또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가능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갖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해서 설치된 원고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해서 설치된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와,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그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의 화소데이터에 개개로 대응하는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프린트용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 가능한 데이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과는 동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작성된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의해 상기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되는 때에는, 그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나란히 되는 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첫째로,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2개의 플래튼 롤러에 대해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기판의 동일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수광소자나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기술과는 달리,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전체를 끼도록 2개의 플래튼 롤러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2개의 플래튼 롤러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두께방향으로 크게 팽창하지 않도록 해서,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둘째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제조하는 때에는, 복수의 수광소자나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시키면 되기 때문에, 기판의 표리면을 반전시키면서 그들 부품을 탑재시킬 필요가 없다.
또, 복수의 수광소자나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관련하는 배선패턴도 기판의 동일면에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생산성, 및 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의 생산성을 종래기술보다 높일 수가 있다.
셋째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시키는 경우, 즉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고화상의 복사처리가 행해지는 때에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로 나란히 되도록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된다.
이와 같이해서 프린트 출력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배열은, 원고가 주주사방향으로 판독된 때의 본래의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의 배열과 동일하다.
한편,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과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지에 프린트 된 화상이, 원고의 반전화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프린트화상을 수신한 때에, 그 수신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그 수신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열방향으로 직렬로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고, 또한 이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은 상기 주주사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배열의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시프트 레지스터에 송신되면, 시프트 레지스터에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직렬로 배열되게 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최초로 수신한 데이터를 입력부분으로부터 가장 먼 부분에 기억시키도록 수신한 데이터를 시프트 레지스터의 길이방향으로 순차로 시프트시켜 기억시키는 것이며,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시프트 레지스터에의 데이터입력이 주주사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구동시키면, 기록지에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프린트 출력되게 된다.
그 결과, 기록지에 프린트 된 화상이, 원고의 반전화상으로는 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는, 투명커버와, 이 투명커버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기판과,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고, 또한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원고의 화상을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므로서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독화상데이터를 1라인 분씩 출력가능한 복수의 수광소자와,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와 대략 평행인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고, 또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 가능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갖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해서 설치된 원고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해서 설치된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그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의 화소데이터에 개개로 대응하는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프린트용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 가능한 데이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과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고, 또한,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작성된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의해 상기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되는 때에는, 그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의 순서로 나란히 되는 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는, 원고와 기록지와의 반송방향의 관계, 및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되는 때의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배열 순서가,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처리장치와는 상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즉, 원고화상의 복사처리가 행해지는 때에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의 순서로 나란히 되도록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된다.
이와 같이해서 프린트 출력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배열은, 원고가 주주사방향으로 판독된 때의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본래의 화소데이터의 배열과는 반대이다.
그러나,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기록지에 프린트된 화상은 원고의 반전 화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프린트화상을 수신한 때에, 그 수신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그 수신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열방향으로 직렬로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고, 또한 이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시프트 레지스터에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나란히 된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송신되고, 이 데이터가 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면, 시프트 레지스터에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에 이르는 순서로 직렬로 배열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구동시키면, 기록지에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의 순서로 배열되도록 프린트 출력되게 된다.
그 결과, 기록지에 프린트 된 화상이, 원고의 반전화상으로는 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은, 상기 기판 중,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구동IC칩을 이용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를 간단히 제작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구동IC칩을 기판에 탑재시키는 경우에도, 기판을 표리 반전시킬 필요가 없어 그 탑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에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도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동제어회로 및 복수의 수광소자의 각각을 기판에 탑재시키는 작업이 용이화 되고,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화상처리장치의 생산성을 일층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스트로브신호를 수신한 때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구동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스트로브신호가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사이에만 상기 원고의 화상판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수광소자에 의해 화상판독이 행해지고 있는 사이에, 스트로브신호의 출력의 ON·OFF전환이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트로브신호의 ON·OFF전환에 기인하는 노이즈가 판독화상데이터에 혼입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 판독화상의 질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투명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기판의 일부를 비어져 나오게 하므로서 상기 기판에 조립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판의 비어져 나온 부분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를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 배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케이스의 측면 쪽에 적절히 확보하면서, 복수의 수광소자를 케이스에 의해 적절히 둘러쌀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는,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 광원을 조립하는 작업이용이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인자용소자는, 발열소자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열전사기록방식 또는 감열기록방식에 의한 화상의 프린트가 행해진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8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 원고(D)를 반송하기 위한 플래튼 롤러(P1), 기록지(K)를 반송하기 위한 플래튼 롤러(P2) 및 데이터 처리회로(7)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이들이 상자체(9)내에 조립된 구성을 갖고 있다.
기록지(K)는 권취 롤(R)로부터 풀려 나오는 긴형상의 감광지이다.
단, 본 발명은 이 대신에, 예를 들면 절단시트상의 기록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케이스(1), 투명커버(19), 렌즈열(5), 및 기판(4)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기판(4)은, 예를 들면 세라믹제이며, 긴 직 4각 형상의 플레이트상이다.
기판(4)의, 표면(4a)에는, 복수의 광원(3), 복수의 센서IC칩(2), 복수의 구동IC칩(80), 및 복수의 발열소자(8)가 탑재되어 있다.
복수의 광원(3)은, 예를 들면 LED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기판(4)의 길이방향에 적당한 간격으로 열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센서IC칩(2)은, 복수의 수광소자(20)를 조립한 반도체칩이며,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나란히 된 열상으로 되어 있다.
각 센서IC칩(2)은, 복수의 수광소자(20)가 광을 받으면, 그 수광량에 대응한 출력레벨의 판독화상신호(판독화상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이것이 데이터 처리회로(7)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센서IC칩(2)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복수의 발열소자(8)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자용소자의 일예에 상당하는 것이다.
복수의 발열소자(8)는, 예를 들면 산화루테늄 등을 도체성분으로 하는 후막저항페이스트를 인쇄·소성하므로서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1열로 뻗는 선상의 발열저항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발열저항체를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므로서 제작할 수가 있다.
복수의 구동IC칩(80)은, 복수의 발열소자(8)의 발열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조립한 것이며,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열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구동IC칩(80)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기판(4)의 표면(4a)에는 복수의 광원(3), 복수의 센서IC칩(2), 복수의 구동IC칩(80), 및 복수의 발열소자(8)의 각각에 관련하는 배선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4)의 적당한 개소에는 상기 배선패턴의 각각과 도통한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49)를 거쳐 기판(4)상의 상술한 전자부품군과 데이터 처리회로(7)는 상호 접속되어 있고, 상술한 전자부품군으로의 전력공급이나 각종 신호의 입출력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기판(4)의 이면(4b)에는, 예를 들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제의 방열판(도시생략)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발열소자(8)나 광원(3)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상기 방열판을 거쳐 기판(4)으로부터 도피시킬 수가 있고, 복수의 발열소자(8)의 온도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케이스(1)는,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산화티탄을 함유시킨 백색의 합성수지제이며, 그 길이방향의 전장의 치수는 기판(4)과 대략 동일하다.
도 3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케이스(1)는, 복수의 광원(3), 복수의 센서IC칩(2), 및 복수의 구동IC칩(80)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기판(4)의 표면(4a)상에 조립되어 있다.
케이스(1)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10)와, 그 저면부에 형성된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10)내의 저면부에는, 복수의 광원(3)이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1)내에는, 복수의 센서IC칩(2)과 복수의 구동IC칩(80)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4)의 일측가장자리부(4c) 및 그 근방부분은, 케이스(1)의 한쪽으로 비어져 나와 있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에 복수의 발열소자(8)가 탑재되어 있다.
케이스(1)는, 기판(4)의 상기한 비어져 나온 부분으로부터 올라간 측면(1a)을 갖고 있고, 이 측면(1a)은, 케이스(1)의 위쪽으로 진행하는데 따라 복수의 발열소자(8)와는 반대방향 쪽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투명커버(19)는, 원고(D)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투명커버(19)는, 기판(4)에 대해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케이스(1)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3)에 끼워 맞추어 장착되어 있다.
투명커버(19)는, 기판(4)의 일측가장자리부(4c)쪽이 될수록, 기판(4)과의 간격이 커지게 되도록 기판(4)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것은 플래튼 롤러(P1)와 기판(4)과의 간격을 너무 크게 하는 일이 없이,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커버(19)를 기판(4)과 평행으로 설치해도 된다.
렌즈열(5)은, 길고 가는 블록상의 홀더(50)에 복수의 로드렌즈(rod lense)(51)를 열상으로 배열시켜 유지시킨 것이다.
이 렌즈열(5)은, 케이스(1)의 오목한 홈(12)에 끼워 넣어지므로서, 투명커버(19)의 이면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투명커버(19)의 표면 중, 렌즈열(5)에 대향하는 영역이, 화상판독라인(S)이며, 이 화상판독라인(S)은 투명커버(19)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로드렌즈(51)는, 화상판독라인(S)으로부터 진행해 온 광을 복수의 수광소자(20)상에 집속시키므로서, 원고(D)의 1라인 분의 화상을 복수의 수광소자(20)상에 정립등배율로 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 본 발명은 로드렌즈와는 다른 종류의 렌즈를 사용해도 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제1의 광로(14a)와 제2의 광로(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광로(14a)는, 구멍부(10)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화상판독라인(S)에 도입하는 광로이다.
제2의 광로(14b)는, 화상판독라인(S)으로부터 반사해 온 광을 렌즈열(5)를 거쳐 복수의 수광소자(20)상에 도입하는 광로이며, 오목홈(12)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백색의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에, 케이스(1)의 각부는 광의 반사율이 높은 백색이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에 대해서는, 제1의 광로(14a)의 백색의 벽면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반사되면서 화상판독라인(S)으로 도입할 수가 있어, 화상판독라인(S)에의 광의 조사율을 높게 할 수가 있다.
케이스(1)의 저면부에는, 복수의 센서IC칩(2)을 둘러싸는 보조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부재(6)는, 예를 들면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ABS수지제이며, 그 각부의 표면은 광의 흡수율이 높은 흑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수광소자(20)의 주위에 있어서, 광이 산란반사할 우려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판독화상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조부재(6)는,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0)를 케이스(1)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5)에 끼워넣으므로서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복수의 센서IC칩(2)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단, 동 도면은, 복수의 센서IC칩(2)을 직렬로 접속하여, 하나의 회로로서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는, 복수(n개)의 수광소자(20)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PT1∼PTn), 이들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PT1∼PTn)의 각각의 이미터 측에 접속된 복수의 FET1∼FETn, 이들 복수의 FET1∼FETn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OP), n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29), 패드(VDD), 패드(GND), 패드(AO), 패드(SI), 패드(CLK), 및 패드(SO)가 구비되어 있다.
패드(VDD)에는, 예를 들면 5V의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패드(GND)는, 접지 접속되어 있다.
패드(CLK)에는, 예를 들면 8MHz의 클록신호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A4폭의 원고를 8도트/mm의 판독밀도로 판독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수광소자(20)를 1728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개의 센서IC칩(2)에 96개의 수광소자(20)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계18개의 센서IC칩(2)이 기판(4)상에 열상으로 나란히 장착되고, 그들 18개의 센서IC칩(2)이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게 된다.
상기 회로에 있어서는, 우선 패드(SI)에 시리얼인 신호가 입력되면, 시프트 레지스터(29)는, 클록신호에 기초해서 복수의 FET1∼FETn을 일정한 방향(주주사방향)으로 순차 ON해 간다.
그러면,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PT1∼PTn)에 축적되어 있든 수광량에 대응하는 전하는 일정한 순서로 순차로 방전되어가고, 증폭기(OP)에 의해 증폭되고 나서 패드(AO)에 직렬로 출력된다.
이 출력신호는 아날로그신호이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판독화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시프트 레지스터(29)의 동작에 의해 최종의 포토트랜지스터(PTn)로부터 전하가 방전되면, 패드(SO)에는 시리얼 아웃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회로는,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반복해서 실행가능하며, 판독화상데이터를 1라인 분씩 출력시킨다.
1개의 포토트랜지스터는, 1개의 판독화소에 상당한다.
따라서, 상기 1라인 분의 판독화상데이터에는, 복수의 수광소자(20)와 동등수의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가 포함되게 된다.
패드(AO)에 직렬 출력된 판독화상데이터는, 데이터 처리회로(7)로 송신된다.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회로(7)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처리수단의 일예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CPU나 거기에 부속된 각종 메모리, 혹은 화상데이터의 2치화 회로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데이터 처리회로(7)는, 화상데이터의 처리기능에 추가하여, 복수의 수광소자(20)를 이용한 원고(D)의 화상의 판독처리나 복수의 발열소자(8)를 이용한 기록지(K)에의 화상데이터의 프린트 출력처리의 제어기능을 갖고 있다.
각 센서IC칩(2)에의 상술한 각종의 신호류의 송신은, 이 데이터 처리회로(7)로 행해지고 있고, 또 후술하는 구동IC칩(80)에의 각종의 신호류의 송신도 이 데이터 처리회로(7)로 행해지고 있다.
데이터 처리회로(7)는, 화상데이터의 처리기능의 하나로서, 센서IC칩(2)의 패드(SO)로부터 출력된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그 화상데이터를 프린트 출력하기 위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하여,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복수의 구동IC칩(8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7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구동IC칩(80)은 시프트 레지스터(89), 래치(latch)회로(LT), 복수(n개)의 논리적회로(AND1∼ANDn), 복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TRn), 복수의 패드(PO1∼POn) 및 이들 이외의 각종 패드를 구비하고 있다.
단, 1개의 구동IC칩(80)에 조립되어 있는 회로의 비트수「n」은, 도 6에 나타낸 회로 전체의 비트수를 나타내는「n」의 값과는 상이하다.
복수의 패드(PO1∼POn)는 복수의 발열소자(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A4폭의 기록지(K)에 8도트/mm의 프린트밀도로 화상프린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발열소자(8)의 총수는 1728개이다.
따라서, 1개의 구동IC칩(80)에 패드(PO1∼POn)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TRn)의 각각이 144개씩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 12개의 구동IC칩(80)이 복수의 발열소자(8)와 대략 평행으로 직렬상으로 나란히 된다(도 5참조).
복수의 패드(PO1∼POn)는, 배선부(47)를 거쳐 복수의 발열소자(8)의 각각에 개개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구동IC칩(80)은, 패턴 형성된 배선부(48)를 거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2개의 구동IC칩(80)끼리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하나의 구동IC칩(80)의 패드(STRO), 패드(LATO), 패드(CLKO), 및 패드(DO)의 각각이, 다른 하나의 구동IC칩(80)의 패드(STRI), 패드(LATI), 패드(CLKI), 및 패드(DI)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구동IC칩(80)의 패드(STRI)에 송신되는 스트로브신호, 패드(LATI)에 송신되는 래치신호, 패드(CLKI)에 송신되는 클록신호, 및 패드(DI)에 송신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각각은 상기 다른 하나의 구동IC칩(80)에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드(GND)는, 각 구동IC칩(80)마다에 개별로 접지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구동IC칩(8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에는, 데이터 처리회로(7)로부터 패드(DI)에 송신되어 오는 1라인 분의 프린트 화상데이터(예를 들면, 1728비트의 2치화 된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회로(7)로부터의 송신순서대로 직렬로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에는, 화살표 N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의 우단(89b)으로부터 좌단(89a)방향으로 향해 1라인 분의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입력되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은, 복수의 수광소자(20)의 주주사방향 Nb와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주사방향 Nb는, 도 5에 있어서, 복수의 수광소자(20)의 좌단(20a)으로부터 우단(20b)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시프트 레지스터(89)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는, 래치회로(LT)에 래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패드(STRI)에 데이터 처리회로(7)로부터 스트로브신호가 송신되면, 논리적회로(AND1∼ANDn)의 각각의 입력단의 한쪽이 하이레벨이 된다.
이에 대해, 논리적회로(AND1∼ANDn)의 각각의 입력단의 다른쪽은, 래치회로(LT)에 래치되어 있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내용에 의해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의 어느 것인가로 된다.
이 입력단의 다른 쪽이 하이레벨이면, 그 논리적회로 AND의 출력단도 하이레벨로 되어 그에 대응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의 어느 것인가가 ON이 된다.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패드(PO)에 연결되어 있는 발열소자(8)에 통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동IC칩(80)에 조립되어 있는 회로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발열소자(8)의 모두를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한 구동제어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회로(7)는, 복수의 구동IC칩(80)에 대한 상기 스트로브신호의 송출개시와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복수의 센서IC칩(2)에 시리얼 인(serial in)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수광소자(20)는, 상기 스트로브신호가 데이터 처리회로(7)로부터 송출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만, 원고화상의 1라인 분의 판독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발열소자(8)는, 그들 모두의 발열소자(8)가 일괄해서 구동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구동IC칩(80)마다에 스트로브신호가 지연해서 입력되도록 구성하므로서, 복수의 발열소자(8)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해서 그들의 구동시기를 어긋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수광소자(20)는 그들 중의 하나의 스트로브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기간 중에 한하여, 원고화상의 판독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P1)는, 투명커버(19)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원고(D)를 투명커버(19)에 접촉시켜 부주사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화살표 Nc방향으로 구동회전이 자유롭다.
이에 대해, 플래튼 롤러(P2)는 복수의 발열소자(8)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기록지(K)를 복수의 발열소자(8)와의 사이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구동회전이 자유롭다.
플래튼 롤러(P2)의 회전방향은, 플래튼 롤러(P1)와 동일한 화살표 Nd의 방향이다.
따라서, 투명커버(19)상에 있어서의 원고(D)의 반송방향과 복수의 발열소자(8)상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반송방향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커버(19)상에 있어서의 원고(D)의 반송각도와 복수의 발열소자(8)상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반송각도는 상이하고, 엄밀한 의미에 있어서는, 이들 원고(D)와 기록지(K)의 반송방향은 일치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원고(D)와 기록지(K)의 반송방향의 동일이란, 이와 같은 원고(D)와 기록지(K)의 반송각도의 상이함은 불문에 붙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면, 이들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D)와 기록지(K)의 반송방향도 상호 동일하다.
다음에 화상처리장치(B)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화상의 판독기능과 프린트기능을 병합해서 갖기 때문에, 원고(D)의 화상의 판독과 기록지(K)에의 화상의 프린트를 개별로, 또는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는 어느 것이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기판보다도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플래튼 롤러(P2)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와는 화상처리장치(B)의 높이방향에 중첩되고 있다.
따라서, 화상처리장치(B)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케이스(1)의 측면(1a)은, 플래튼 롤러(P2)를 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케이스(1)로부터 기판(4)의 일측가장자리부(4a)가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비교적 적게 하면서, 플래튼 롤러(P2)를 공간효율 양호하게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상처리장치(B)의 소형화를 일층 촉진할 수가 있다.
플래튼 롤러(P1, P2)를 상자체(9)내에 조립하는 경우, 그들은 어느 것이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의 위쪽으로부터 조립한다.
또, 투명커버(19)나 복수의 발열소자(8)에 대한 플래튼 롤러(P1, P2)의 밀어붙이는 방향도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P1, P2)의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3), 복수의 수광소자(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IC칩(2), 복수의 구동IC칩(80) 및 복수의 발열소자(8)의 각각이 기판(4)의 표면(4a)에 장착된 것이다.
또, 그들에 관련되는 배선패턴도 표면(4a)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부품의 장착작업이나 배선패턴의 제작작업에 있어서는, 기판(4)을 표리 반전시킬 필요는 없어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B)에 있어서, 원고화상의 복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원고(D)의 화상의 판독처리가 행해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고(D)의 화상을 주주사방향 Nb로 판독하면, 복수의 수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면 1라인 분의 판독화상데이터는, 원고(D)의 좌단(Da)으로부터 우단(Db)에 걸쳐 순차 판독된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배열된 것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수광소자(20)에 의해 그들의 좌단(20a)으로부터 우단(20b)에 걸쳐 개개로 판독된 1라인 분의 화소데이터가 G1, G2, G3∼Gn이라고 하면,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들 화소데이터가 G1, G2, G3∼Gn의 판독 순서로 배열된 1라인 분의 판독화상데이터가 복수의 수광소자(20)로부터 출력되고, 이것이 데이터 처리회로(7)에 송신된다.
데이터 처리회로(7)는, 상기 판독화상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화상데이터를 백흑 2치화하므로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하여 이것을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에 1라인 분씩 직렬 송신한다.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는,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 G1,G2, G3∼Gn을 그대로의 배열 순서로 2치화 한 복수의 화소데이터 G1', G2', G3'∼Gn'를 포함하는 화상데이터이다.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는, 도 5의 화살표 N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에 대해 그들의 우단(89b)으로부터 입력된다.
따라서,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에는, 그들의 좌단(89a)으로부터 우단(89b)에 걸쳐, 즉, 주주사방향 Nb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데이터 G1', G2', G3'∼Gn'의 순서로 직렬 배열되어서 기억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발열소자(8)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프린트 출력을 행하면, 원고(D)와 동일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록지(K)의 좌단(Ka)으로부터 우단(Kb)에 걸쳐 복수의 화소데이터 G1', G2', G3'∼Gn' 가 프린트 출력되게 된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K)에 프린트된 화상은, 원고(D)의 화상에 정확히 대응하는 것이 되고, 원고(D)의 화상을 좌우 반전시킨 부당한 화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1라인 분씩 반복해서 실행하므로서 행해진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화상처리장치(B)에 있어서는, 복수의 구동IC칩(80)에 스트로브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동안만, 복수의 수광소자(20)에 의한 판독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스트로브신호의 올라감이나 내려감에 원인하는 잡음이 판독화상데이터에 혼입할 우려를 없앨 수가 있다.
따라서, 판독화상의 질을 높일 수가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 9 이후의 도면에서는, 앞서의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는,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기판(4)의 표면에, 복수의 IC칩(2A)이 열상으로 나란히 탑재되어 있다.
각 IC칩(2A)은, 제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 센서IC칩(2)에 조립되어 있는 회로와 각 구동IC칩(80)에 조립되어 있는 회로가 단일칩화 되어 내부에 조립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IC칩(2A)의 표면에는, 복수의 수광소자(20), 복수의 발열소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패드(PO), 및 신호출입용의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IC칩(2A)끼리는,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고화상을 1라인 분 판독하는데 필요한 수의 수광소자(20)를 구비한 화상판독용의 회로와 복수의 발열소자(8) 모두를 선택적으로 구동제어 가능한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앞서의 제1의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에, 상기 복수의 IC칩(2A)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판(4)에 탑재되는 IC칩의 총 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 기판(4)에 대한 IC칩의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의 IC칩(2A)에 대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을, 도 5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하므로서, 기록지에 프린트된 화상이 원고의 반전화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a)에 있어서는,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이, 어느 것이나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P1, P2)와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해도, 투명커버(12)상에 있어서의 원고(D)의 반송방향과 복수의 발열소자(8)상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반송방향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Ba)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광소자(20)가 원고(D)의 화상을 판독하는 때의 주주사방향 Nb에 대해, 복수의 구동IC칩(80)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대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이 주주사방향 Nb와는 역의 화살표 Na의 방향으로 되어 있으면, 원고(D)의 화상을 좌우 반전시키는 일없이, 기록지(K)에 적절히 프린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화상처리장치(Ba)에 있어서는, 원고(D)의 화상이 그 우단(Db)으로부터 좌단(Da)에 걸쳐 판독되는데 대해, 우단(Db)에 대응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화소는 기록지(K)의 우단(Kb)에 프린트되고, 또 원고(D)의 좌단(Da)에 대응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화소는 기록지(K)의 좌단(Ka)에 프린트된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Ba)의 구성은, 앞서의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와는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제1의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와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도 13∼도 16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b)는, 플래튼 롤러(P1)가 화살표 Nc의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대해, 플래튼 롤러(P2)는 그것과는 반대의 화살표 Ne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투명커버(19)상에 있어서의 원고(D)의 반송방향과 복수의 인자용소자(8)상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반송방향과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화상처리장치(Bb)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Aa)에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구동IC칩(80a)의 각각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의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각종의 패드류가, 앞서의 도 7에 나타낸 구동IC칩(80)과는 좌우 반전한 배치로 되어 있고, 시프트 레지스터(89A)로서는, 그 좌단으로부터 데이터입력이 행해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수의 구동IC칩(80a)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판(4)의 표면(4a)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패턴을 거기에 대응시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단, 이 배선패턴은, 앞서의 화상처리장치(B)의 기판(4)의 배선패턴을 좌우반전시킨 형상으로 하면 되므로, 기판(4)의 패턴형성에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를 표리 반전시켜 사용하므로서 배선패턴의 변경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상처리장치(Bb)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복수의 수광소자(20)에 의해 화살표 Nb로 나타내는 주주사방향으로 원고화상의 판독이 행해지므로서, 복수의 화소데이터(G1, G2, G3∼Gn)를 포함하는 판독화상데이터가 직렬 출력된다.
그러면, 데이터 처리회로(7)는, 상기 복수의 화소데이터(G1, G2, G3∼Gn)를 그대로의 순서로 2치화 한 복수의 화소데이터(G1', G2', G3'∼Gn')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해서 이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화살표 Nh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89A)의 좌단으로부터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화상처리장치(Bb)에 있어서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89A)의 우단으로부터 좌단에 걸쳐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G1', G2', G3'∼Gn')의 배열로 기억되고, 이들이 그 배열인 채로 기록지(K)에 프린트 출력된다.
이와 같이해서 프린트 출력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화소데이터(G1', G2', G3'∼Gn')의 배열방향은, 본래의 판독화상데이터의 화소데이터(G1, G2, G3∼Gn)의 배열방향과는 반대방향이다.
그렇지만, 기록지(K)와 원고(D)와의 반송방향과는 상호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결국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K)의 표면에는 원고(D)의 화상을 좌우 반전시키는 일없이 적절히 프린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기판(4)의 표면에, 복수의 IC칩(2B)이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탑재되어 있다.
각 IC칩(2B)은, 앞서의 제2의 실시형태의 각 IC칩(2A)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광소자(20)를 구비한 화상판독용의 회로와, 복수의 발열소자의 구동제어용의 회로가 단일칩화 되어 내부에 조립된 것이다.
상기 구동제어용의 회로의 구성은,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은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앞서의 제4의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b)에, 상기 복수의 IC칩(2B)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판(4)에 탑재되는 IC칩의 총 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원고화상의 복사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의 IC칩(2B)에 대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을, 도 15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하므로서, 기록지에 프린트된 화상이 원고의 반전화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c)에 있어서는,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의 각각의 회전방향(Nf, Ng)을, 어느 것이나 제3의 실시형태의 화상처리장치(Bb)의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Bc)에 있어서도, 화상처리장치(Bb)와 마찬가지로, 투명커버(19)상에 있어서의 원고(D)의 반송방향과 복수의 발열소자(8)상에 있어서의 기록지(K)의 반송방향은 상호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Bc)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광소자(20)의 주주사방향 Nb에 대해, 복수의 구동IC칩(80a)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대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을 주주사방향 Nb와 동일의 방향 Nh로 하면, 원고(D)의 화상을 좌우 반전시키는 일이 없이 기록지(K)에 적절히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화상처리장치(Bc)의 구성은, 화상처리장치(Bb)와는 플래튼 롤러(P1, P2)의 회전방향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구성은 모두 화상처리장치(Bb)와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고화상의 복사처리시에 기록지에 적절한 화상프린트(좌우 반전하지 않는 화상의 프린트)를 행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시프트 레지스터에 대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을, 원고와 기록지의 반송방향에 따라 변경하고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회로로 작성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1라인 분씩 시프트 레지스터에 송신하는 때에, 이 1라인 분의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선두와 후미의 순번을 바꾸거나, 또는 바꾸지 않으므로서,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배열을 소정의 배열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이 자유롭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의 판독처리나 프린트처리 등에 불합리함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 화상처리장치의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그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게 한 화상처리장치가 이루어진다.

Claims (16)

  1. 투명커버와, 이 투명커버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기판과, 열상(列狀)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며 또한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원고의 화상을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므로서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독화상데이터를 1라인 분씩 출력가능한 복수의 수광소자와,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와 대략 평행인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며 또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 가능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갖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여 설치된 원고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의 화소데이터에 개개로 대응하는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프린트용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 가능한 데이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은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된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의해 상기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되는 때에는, 그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1번째로부터 n번째의 순서대로 나란히 되는 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수신한 때에, 그 수신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그 수신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열방향으로 직렬로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고, 또한 이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은, 상기 주주사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은, 상기 기판 중,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에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도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스트로브신호를 수신한때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구동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스트로브신호가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사이에만 상기 원고의 화상판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투명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기판의 일부를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상기 기판에 조립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판의 비어져 나온 부분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중,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는,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자용소자는, 발열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투명커버와, 이 투명커버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기판과,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며 또한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 배치되는 원고의 화상을 주주사방향으로 판독하므로서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판독화상데이터를 1라인 분씩 출력 가능한 복수의 수광소자와, 이들 복수의 수광소자와 대략 평행인 열상으로 나란히 되어 상기 기판에 탑재되며 또한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 가능한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갖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와,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여 설치된 원고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와,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판독화상데이터의 1번째로부터 n번째의화소데이터에 개개로 대응하는 1번째로부터 n번째까지의 프린트용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작성 가능한 데이터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기판의 동일면에 탑재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투명커버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원고의 반송방향과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기록지의 반송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판독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된 프린트 화상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에 의해 상기 기록지에 프린트 출력되는 때에는, 그 프린트 출력되는 복수의 화소데이터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n번째로부터 1번째의 순서로 나란히 되는 배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프린트 화상데이터를 수신한 때에, 그 수신한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복수의 화소데이터를 그 수신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열방향으로 직렬로 기억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갖고, 또한 이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복수의 화소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제어회로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의 상기 프린트 화상데이터의 입력방향은, 상기 주주사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은, 상기 기판 중,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그 구성단위가 되는 회로가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IC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IC칩에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도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회로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 스트로브신호를 수신한때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의 구동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는, 상기 스트로브신호가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으로부터출력되고 있는 사이에만 상기 원고의 화상판독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투명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기판의 일부를 비어져 나오도록 하여 상기 기판에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기판의 비어져 나온 부분에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중,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면에는,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자용소자는, 발열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KR1020017000801A 1998-07-24 1999-07-21 화상처리장치 KR100359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09435A JP2000050007A (ja) 1998-07-24 1998-07-24 画像処理装置
JP10-209435 1998-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973A true KR20010071973A (ko) 2001-07-31
KR100359638B1 KR100359638B1 (ko) 2002-11-04

Family

ID=1657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801A KR100359638B1 (ko) 1998-07-24 1999-07-21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52273B1 (ko)
EP (1) EP1102469A4 (ko)
JP (1) JP2000050007A (ko)
KR (1) KR100359638B1 (ko)
CN (1) CN1151658C (ko)
TW (1) TW423246B (ko)
WO (1) WO2000005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267A (ja) * 1998-07-13 2000-03-31 Rohm Co Ltd 壁掛け用画像処理装置
US6992801B2 (en) 2000-09-08 2006-01-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system, image rea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60009379A1 (en) * 2002-10-02 2006-01-12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n As Represented By The Dept. Of Health And Human Svc Methods for controlling proliferation of cells
WO2013062010A1 (ja) * 2011-10-25 2013-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CN103179303A (zh) * 2011-12-21 2013-06-26 赵文志 一种多功能打印机
JP5445983B2 (ja) * 2012-02-03 2014-03-19 横河電機株式会社 塗工寸法測定装置
JP1553414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5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6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2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8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3S (ko) * 2015-06-18 2016-07-11
JP2023173165A (ja) * 2022-05-25 2023-12-07 株式会社リコー 照明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058A (ja) * 1984-11-14 1986-06-05 Casio Comput Co Ltd 携帯用リ−ダ・プリンタ装置
JPS61284160A (ja) 1985-06-10 1986-12-15 Brother Ind Ltd 複写機用ヘツド
US4745489A (en) * 1985-08-15 1988-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only the image area of a film
JPS63108255U (ko) 1986-12-27 1988-07-12
JPH04282952A (ja) 1991-03-12 1992-10-08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記録読み取り素子並びに駆動用ic
JPH0591248A (ja) * 1991-09-30 1993-04-09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
JP2968662B2 (ja) 1993-05-07 1999-10-25 ローム株式会社 読取・プリント兼用ヘッド
JPH09284470A (ja) 1996-04-15 1997-10-31 Rohm Co Ltd 画像読み書きヘッド
TW417380B (en) * 1998-05-29 2001-01-01 Rohm Co Ltd Unified pick-up head for image reading and writing and the image processor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658C (zh) 2004-05-26
US6952273B1 (en) 2005-10-04
KR100359638B1 (ko) 2002-11-04
JP2000050007A (ja) 2000-02-18
EP1102469A1 (en) 2001-05-23
WO2000005873A1 (fr) 2000-02-03
EP1102469A4 (en) 2005-07-20
CN1311950A (zh) 2001-09-05
TW423246B (en)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638B1 (ko) 화상처리장치
US5040074A (en) Full-width simultaneous read/write copier
US6195183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sensor chip thererfor
KR100420936B1 (ko)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US6947168B2 (en) Wall-moun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age-reading and image-printing functions
KR100376014B1 (ko)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JP3703851B2 (ja) 画像読み書きヘッドおよびこれに用いる集積回路
EP1119184B1 (en) Integrated image read/write head and image processor with the head
JP3798911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H09284470A (ja) 画像読み書きヘッド
JPH1051587A (ja) 画像読み書きヘッド
JP2001339574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6486979B1 (en) Image sensor chip and image reading device provided with it
JP3798912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US5717502A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or having the image reading device
JP400863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703967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379891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S60140971A (ja) 複写装置
JPH04142860A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JPH07183995A (ja) 読取装置
JPH02162870A (ja) 画像入出力デバイス
JPH0574070U (ja) 読み書き装置とそのヘッ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