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235A -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235A
KR20010070235A KR1020000070169A KR20000070169A KR20010070235A KR 20010070235 A KR20010070235 A KR 20010070235A KR 1020000070169 A KR1020000070169 A KR 1020000070169A KR 20000070169 A KR20000070169 A KR 20000070169A KR 20010070235 A KR20010070235 A KR 2001007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drum
base electrode
cor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542B1 (ko
Inventor
오츠카가즈히코
기노시타사토시
모리지리토모히코
가시와토모오
Original Assignee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다 미쓰구
Publication of KR2001007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Abstract

단자 전극의 접합 강도가 양호한 면실장형 코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면실장형 코일(30)은 권심(1)의 양단부에 돌출부(2, 3)를 갖는 드럼형 코어(4)와, 권선(5)과,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및 단면(2b, 3b)에 설치된 기초 전극(6-1, 6-2)과, 돌출부(2)의 주위면(2a)으로부터 돌출부(3)의 주위면(3a)에 걸쳐 피복된 외장 부재(17)와, 주위면(2a, 3a)의 외장 부재 상으로부터 기초 전극(6-1, 6-2) 상을 피복하는 단자 전극(18-1, 18-2)을 구비함과 동시에,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상의 외장 부재(17)가 돌출부(2, 3)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P)와 해당 돌출부(P)보다 권심 부근 영역에서 기초 전극(6-1, 6-2)을 노출하는 결실부(缺失部)(V)를 구비하고 있고,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상에 외장 부재(17)가 씌워져 있지 않은 기초 전극(6-1, 6-2)의 노출 부분이 존재하고, 단자 전극(18-1, 18-2)과 기초 전극(6-1, 6-2)과의 접합 영역은 돌출부(2, 3)의 단면(2b, 3b)의 대략 전체 영역과 주위면(2a, 3a)의 일부에 이르는 구조이다.

Description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SURFACE-MOUNT C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프린트 기판상에 면실장 가능한 면실장형 코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극 구조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칩 마운터(칩 장착기)를 이용한 프린트 기판으로의 고밀도 면실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전자부품의 소형화, 칩화가 진전되고 있다. 권선을 코어의 권심에 권취하는 구조(권선형)의 면실장형 코일로서는, 예컨대 도 10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내지 도 11의 단면도에 도시된 면실장형 코일(10)과 같이, 권심(1)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2, 3)를 갖는 드럼형 코어(4)와, 상기 권심(1)에 권취된 권선(5)과, 상기 드럼형 코어(4)의 양단부의 돌출부(2, 3)의 각 주위면(2a, 3a) 및 각 단면(2b, 3b)에 마련되어 상기 권선(5)의 단부가 접속된 기초 전극(6-1, 6-2)과, 한쪽의 돌출부(2)[또는 돌출부(3)]의 단면(2b)의 기초 전극(6-1)의 일부로부터 다른쪽의 돌출부(3)[또는 돌출부(2)]의 단면(3b)의 기초 전극(6-2)의 일부에 걸쳐 피복된 외장 부재(7)와, 돌출부 주위면(2a, 3a)의 외장 부재(7)의 상부로부터 기초 전극(6-1, 6-2)의 위를 피복하는 단자 전극(8-1, 8-2)을 갖는 구조가 전형적이다.
상기 면실장형 코일(10)에 사용되고 있는 드럼형 코어(4)는, 예컨대 고저항율을 가진 니켈 아연계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 또는 알루미나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코어로, 기초 전극(6-1, 6-2)을 직접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초 전극(6-1, 6-2)은 예컨대 딥·베이킹, 또는 도금에 의해 은, 은-백금 또는 동과 그 위에 피착된 니켈·주석 또는 주석합금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도전 피막이고, 상기 외장 부재(7)는 몰드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에폭시계 합성 수지재이다. 또한, 권선(5)은 직경이 0.03 내지 0.15㎜ 정도인 절연 피복된 도선(절연 피복재료로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이며, 그 양단부는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에서 기초 전극(6-1, 6-2)에 용접, 열압착 또는 초음파 진동 또는 이들의 병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드럼형 코어(4)의 권심(1)을 가로로 위치시키고 그 양단부의 돌출부(2, 3)의 단면(2b, 3b) 및 주위면(2a, 3a)에 단자 전극(8-1, 8-2)을 직접 부착한 구조로 하고, 또한 외장 부재(7)를 외장·정형함으로써, 그 외형 치수는 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의 적층 자기 콘덴서 규격 RC-3402에 준한 매우 소형이며 박형인 면실장형 코일(10)이 실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면실장형 코일(10)로는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돌출부(2)에 대하여 주목하면[돌출부(3)도 이하 동일], 외장 부재(7)가 드럼형 코어(4)의 돌출부(2)의 주위면(2a)에서부터 단면(2b)까지 환형상으로 피복되어 있어, 기초 전극(6-1, 6-2)이 외장 부재(7)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6-1a, 6-2a)은 단면(2b, 3b)의 중앙 부근의 일부분이고, 주위면(2a, 3a)측에 있는 기초 전극은 외장 부재(7)에 의해 피복되어 전혀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자 전극(8-1, 8-2)[도 10의 돌출부(2)측에서는 파선으로 도시됨]과 기초 전극(6-1, 6-2)이 접합되어 있는 영역은 상기 돌출부(2, 3)의 단면(2b, 3b)의 일부인 기초 전극 부분(6-1a, 6-2a)에 지나지 않아, 단자 전극(8-1, 8-2)과 기초 전극(6-1, 6-2)의 접합 강도는 구조적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확실히, 프린트 기판에 상기 면실장형 코일(10)을 납땜했을 경우에 온도변화, 예컨대 열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는 단자 전극(8-1, 8-2)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에 의해서 단자 전극(8-1, 8-2)과 기초 전극(6-1, 6-2)의 접합 부분[기초 전극의 참조부호(6-1a, 6-2a) 부분]이 박리되기 쉬웠다.
상기의 점에 대해서는, 단자 전극(8-1, 8-2)이 돌출부(2, 3)의 단면(2b, 3b)뿐만 아니라 적어도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상의 기초 전극(6-1, 6-2)의 일부와 접합되어 있으면 그 접합 강도는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본 발명자의 실험으로 판명되었다.
물론, 돌출부(2, 3)의 단면(2b, 3b)이나 주위면(2a, 3a)에 부착된 여분의 외장 부재를 몰딩 후에 제거하면 되지만, 주위면(2a, 3a)에 환형상으로 부착된 외장 부재는 강하고 단단하여 이것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해결법으로서, 외장 부재(7)의 몰딩시에 외장재료가 충진되어 금형과 주위면(2a, 3a) 상의 기초전극(6-1, 6-2)과의 간극(클리어런스)으로 들어가서 돌출부의 단면(2b)측에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극을 제거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간극을 제거하는 수단은 몰딩시에 외장재료의 도피로가 없어져서 높은 압력이 드럼형 코어(4)나 권선(5)에 인가된다. 외장재료를 균일하게 몰드 금형 내부에 흘려 넣기 위해서는 도피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결과적으로 여분의 외장 부재[소위 몰드의 버(burr)]의 형성은 피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실행된 것으로서, 신뢰성이 높은 전극 구조를 구비한 면실장형 코일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권심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드럼형 코어와, 상기 권심에 권취된 권선과, 상기 드럼형 코어의 양단부의 돌출부의 주위면 및 단면에 마련되어 상기 권선의 단부가 접속된 기초 전극과, 한쪽의 돌출부 주위면의 기초 전극의 일부에서부터 다른쪽의 돌출부의 주위면의 일부에 걸쳐 피복된 외장 부재와, 돌출부 주위면의 외장 부재 상에서부터 기초 전극 상을 피복하는 단자 전극을 갖는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주위면 상의 외장 부재가 돌출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보다 권심 부근 영역에서 기초 전극을 노출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2)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3)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 주위면의 모서리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4)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돌출부의 주위면 및/또는 단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5) 또한, 상기 (1)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기초 전극이 메시 형상, 또는 다공질 형상, 또는 기초 전극의 표면이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6) 또한, 상기 (1) 내지 (5)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기초 전극과 드럼형 코어의 단면 사이에 응력 완화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7) 또한,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돌출부 주위면의 기초 전극과 대향하는 몰드 금형의 일부에 탄성체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체가 몰드 금형 내에 배치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의 상기 기초 전극에 접촉시킨 상태로 외장재료를 몰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단자 전극을 설치하기 전의 돌출부의 주변 측면에 있어서의 기초 전극과 외장 부재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기초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청구항 5에 관한 기초 전극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외장 부재의 몰드시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면실장형 코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면실장형 코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심 2, 3 : 돌출부
2a, 3a : 주위면 2b, 3b : 단면
4, 12, 13, 14, 15 : 드럼형 코어 5 : 권선
6-1, 6-2 : 기초 전극
6-1a, 6-2a : 기초 전극의 노출 부분
7, 17 : 외장 부재
8-1, 8-2, 18-1, 18-2 : 단자 전극
10, 30, 40 : 면실장형 코일 26 : 메시 형상 기초 전극
27 : 다공질 형상 기초 전극 29-1, 29-2 : 응력 완화층
41, 42 : 몰드 금형 43 : 탄성체
R : 홈 PL : 홈이 아닌 주위면 부분
P : 외장 부재의 돌출부 V : 외장 부재의 결실부
X : 볼록부 Y : 오목부
Z1∼Z3 : 절결부
본 발명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면실장형 코일(10)과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동일 면실장형 코일의 단자 전극을 마련하기 전의 돌출부의 주 측면에 있어서 외부 전극과 외장 부재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기초 전극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마찬가지로 청구항 5에 관한 기초 전극의 다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외장 부재의 몰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있어서, 면실장형 코일(30)은 권심(1)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2, 3)를 갖는 드럼형 코어(4)와, 상기 권심(1)에 권취된 권선(5)과, 상기 드럼형 코어(4)의 양단부의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및 단면(2b, 3b)에 마련되어 상기 권선(5)의 단부(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 기초 전극(6-1, 6-2)과, 한쪽의 돌출부(2)의 주위면(2a)의 기초 전극(6-1)의 일부에서부터 다른쪽의 돌출부(3)의 주위면(3a)의 기초 전극(6-2)의 일부에 걸쳐 피복되는 외장 부재(17)와,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의 외장 부재(17) 상부로부터 기초 전극(6-1, 6-2) 상을 피복하는 단자 전극(18-1, 18-2)을 갖는 구조이며, 특히 상기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상의 외장 부재(17)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2, 3)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P)와 해당 돌출부(P)보다 권심 부근 영역에서 기초 전극(6-1, 6-2)을 노출하는 결실부(V)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은, 환언하면 기초 전극(6-1, 6-2)에는 적어도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상에 외장 부재(17)가 피복되어 있지 않은 노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 때에 외장 부재(17)의 돌출부(P)의 선단부는 주위면(2a, 3a)에 머물러 있어도 무방하고, 단면(2b, 3b)에까지 도달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기초 전극(6-1, 6-2)과 외장 부재(17)와의 적층관계에 의하면, 돌출부(2, 3)의 단면(2b, 3b) 및 주위면(2a, 3a)에 마련된 단자 전극(18-1, 18-2)과 기초 전극(6-1, 6-2)과의 접합 영역은 돌출부(2, 3)의 단면(2b, 3b)의 대략 전체 영역과 주위면(2a, 3a)의 일부에 미치게 되어, 접합 영역이 단면의 일부에 불과한 종래의 면실장형 코일(10)에 비해 비약적으로 접합 강도가 증가되어 잘 박리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열 사이클 시험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2의 면실장형 코일(30)에 있어서는 돌출부의 주위면(2a, 3a)에서의 외장 부재(17)의 둘레의 돌출부(P)와 결실부(V)는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에 홈(R)이 형성되어 있는 드럼형 코어(12)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상기 드럼형 코어(12)에 도 1과 같이 기초 전극(6-1, 6-2)을 마련한 후에, 외장 부재(17)가 되는 외장재료를 몰딩하면, 돌출부의 상기 홈(R)에 의한 몰드 금형과의 간극이 도피로가 되기 때문에 외장 재료는 홈(R)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침투하고 홈(R)이 아닌 주위면 부분(PL)에는 적은 양이 침투하여 피복하기 때문에 기초 전극(6-1, 6-2)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단면에 도달한 외장재료가 고화(固化)된 버는 제거해도 무방하고(환상이 아니므로 버의 제거는 용이함), 그대로 단자 전극(18-1, 18-2)을 마련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외장 부재(17)의 외장재료의 도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드럼형 코어(4)의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의 모서리부에 코어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 절결부(Z1 내지 Z3)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즉, 도 4a의 드럼형 코어(13)에서는 절결부가 직사각형(Z1)인 경우이고, 도 4b의 드럼형 코어(14)에서는 절결부가 테이퍼(Z2)인 경우이며, 도 4c의 드럼형 코어(15)에서는 절결부(Z)가 곡면 처리된 모서리(Z3)인 경우이다. 이들의 경우에는 상기절결부(Z1 내지 Z3)의 가공이 용이하여, 비교적 깊게 절결될 수 있기 때문에, 외장재료의 도피로로서 유효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기초 전극(6-1, 6-2)을 마련한 드럼형 코어(4, 12, 13, 14, 15)의 돌출부와 몰드 금형과의 클리어런스는 가급적 작게 하여 외장 부재(17)의 외장재료가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 전부에 피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 상기 면실장형 코일(30)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21)의 돌출부의 주위면(2a, 3a) 및/또는 단면(2b, 3b)에 요철[볼록부(X), 오목부(Y)]이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확실히, 몰딩시의 외장 부재(17)의 수지는 오목부(Y)가 도피로로 되어 돌출부(2)의 단면(2b)측으로 압출되지만, 몰드 금형과 돌출부와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함으로써 단면(2b)이나 주위면(2a)의 볼록부(X)의 상면에는 피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초 전극(6-1, 6-2)의 외장 부재(17)로부터의 노출 부분을 단면(2b)과 주위면(2a)의 쌍방에서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면실장형 코일(30)에 있어서는 기초 전극(6-1, 6-2)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정은 없지만, 예컨대 기초 전극(6-1, 6-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 형상 기초 전극(26)인 경우,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형상 기초 전극(27)의 형상으로 하면, 그 요철형상 위에 단자 전극(18-1, 18-2)이 마련됨으로써 방향에 접합면이 형성되어, 평면적으로 적층되는 접합에 비하여 큰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드럼형 코어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단면 내지 주위면의 형상의 고안에의한 기초 전극의 외장 부재로부터의 노출 부분의 확보의 수단, 및 기초 전극의 형상의 고안에 의한 단자 전극과의 접합 강도 향상의 수단에 대하여 복수 설명했지만,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한층 더 단자 전극의 신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면실장형 코일(40)에 있어서는 도 1의 면실장형 코일(30)과 비교하면 명백해지듯이, 기초 전극(6-1, 6-2)과 드럼형 코어(4)의 돌출부(2, 3)의 단면(2b, 3b) 사이에 응력 완화층(29-1, 29-2)이 구비되어 있어, 열 사이클 시험 등에서의 단자 전극(18-1, 18-2)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에 대하여 완충 효과가 발휘된다. 즉, 단자 전극(18-1, 18-2)과 기초 전극(6-1, 6-2)이 바깥방향으로 인장되더라도 응력 완화층(29-1, 29-2)이 신장될 뿐으로, 단자 전극(18-1, 18-2)은 기초 전극(6-1, 6-2)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고, 기초 전극(6-1, 6-2)은 돌출부(2, 3)의 단면(2b, 3b) 및 주위면(2a, 3a)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다.
상기 응력 완화층(29-1, 29-2)에는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단자 전극(18-1, 18-2)의 접합 강도의 향상 방법은 모두 면실장형 코일 자신에 있어서의 수단이지만, 일반적인 몰드 금형에 의한 사출성형을 이용한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 코어(4)의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의 기초 전극(6-1, 6-2)과 대향하는 몰드 금형(41, 42)의 일부에 탄성체(43)를 배치하여, 해당 탄성체(43)가 몰드 금형(41, 42)내에 배치된 드럼형 코어(4)의 돌출부(2, 3)의 상기 기초 전극(6-1, 6-2)에 접촉시킨 상태로 외장 부재(17)의 외장재료를 몰딩하는 제조 방법의 채용으로도 실현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외장 부재(17)의 외장재료는 탄성체(4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몰드 금형(41, 42)과 돌출부(2, 3)와의 간극을 도피로로 하여 충진되고, 탄성체(43)가 접촉되어 있는 부분의 기초 전극(6-1, 6-2)의 표면에 침입하지 못하여, 거기에는 외장 부재(17)가 피복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43)로서는 내열성 수지, 예컨대 전술한 응력 완화층(29-1, 29-2)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수지 또는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전극(6-1, 6-2) 및 단자 전극(18-1, 18-2)은, 예컨대 은 함유 수지 페이스트이며, 또한 외장 부재(17)의 외장재료로서는 에폭시계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또는 이들에 자성체 분말 또는 절연체 분말을 부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30)은 외장 부재(17)가 돌출부(2, 3)의 주위면(2a, 3a)에 일부에 가해지지만 기초 전극(6-1, 6-2)이 노출되는 결실부(V)를 가짐으로써, 단자 전극(18-1, 18-2)과 기초 전극(6-1, 6-2)과의 접합부가 주위면에 반드시 형성되어, 양자의 접합 강도가 증대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전극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 방법은 단자 전극의 접합 강도향상에 적합하고, 몰드 금형에 마련한 탄성체에 의해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의 주위면에 외장 부재를 피복하지 않고서 기초 전극을 노출하여 단자 전극과 접합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권심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드럼형 코어와, 상기 권심에 권취된 권선과, 상기 드럼형 코어의 양단부의 돌출부의 주위면 및 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권선의 단부가 접속된 기초 전극과, 한쪽의 돌출부 주위면의 기초 전극의 일부로부터 다른쪽의 돌출부의 주위면의 일부에 걸쳐 피복하고 돌출부 단면의 기초전극을 대부분 노출시키는 외장 부재와, 돌출부 주위면의 외장 부재 상에서부터 기초 전극 상을 피복하는 단자 전극을 갖는 면실장형 코일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주위면 상의 외장 부재가 돌출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보다 권심 부근 영역에서 기초 전극을 노출하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의 주위면의 모서리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의 주위면 및/또는 단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초 전극이 메시(mesh) 형상 또는 다공질 형상을 가지며, 그의 표면이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 전극과 드럼형 코어의 단면 사이에 응력 완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실장형 코일.
  7.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돌출부 주위면의 기초 전극과 대향하는 몰드 금형의 일부에 탄성체를 배치하고, 상기 탄성체를 몰드 금형 내에 배치된 드럼형 코어의 돌출부의 상기 기초 전극에 접촉시킨 상태로 외장 부재를 몰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실장형 코일의 제조 방법.
KR10-2000-0070169A 1999-11-26 2000-11-24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0387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573599A JP3583965B2 (ja) 1999-11-26 1999-11-26 面実装型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99-335735 1999-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235A true KR20010070235A (ko) 2001-07-25
KR100387542B1 KR100387542B1 (ko) 2003-06-18

Family

ID=1829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169A KR100387542B1 (ko) 1999-11-26 2000-11-24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566993B1 (ko)
EP (1) EP1103993B1 (ko)
JP (1) JP3583965B2 (ko)
KR (1) KR100387542B1 (ko)
CN (1) CN1168103C (ko)
DE (1) DE60035471T2 (ko)
HK (1) HK10368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00A (ko) * 2003-04-22 2004-11-05 삼화전자공업 주식회사 칩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782B1 (ko) * 2004-09-30 2007-06-22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면실장 코일 부품 및 상기 면실장 코일 부품을 실장한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3965B2 (ja) * 1999-11-26 2004-11-04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6738B2 (ja) * 2001-07-19 2011-02-09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用巻芯体の製造方法及びインダクタンス素子の製造方法
US6960976B2 (en) * 2002-05-21 2005-11-01 Yun-Kuang Fan Ferrite cored coil structure for SMD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US6680664B2 (en) * 2002-05-21 2004-01-20 Yun-Kuang Fan Ferrite core structure for SM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412702B2 (ja) * 2003-03-28 2010-02-1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US7088211B2 (en) * 2003-07-15 2006-08-08 Astec International Limited Space saving surface-mounted inductors
AU2005263186B2 (en) * 2004-07-20 2012-01-19 Conexio 4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nucleic acid sequence
JP2006253394A (ja) * 2005-03-10 2006-09-21 Taiyo Yuden Co Ltd チップ状巻線型コイル部品
DE102005022927A1 (de) * 2005-05-13 2006-11-16 Würth Elektronik iBE GmbH Elektronisches Bauteil und Verfahren zu seiner Befestigung
JP2006324490A (ja) * 2005-05-19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0111B2 (ja) * 2005-11-22 2011-09-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
CN100433926C (zh) * 2005-12-15 2008-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到达时间定位中准确定位移动台的方法
JP4781223B2 (ja) * 2005-12-22 2011-09-2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07180400A (ja) * 2005-12-28 2007-07-12 Tdk Corp 表面実装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86711B1 (ko) * 2005-12-28 2007-02-26 주식회사 이수 표면실장형 파워 인덕터
JP4777100B2 (ja) * 2006-02-08 2011-09-21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コイル部品
JP2007266487A (ja) * 2006-03-29 2007-10-11 Tdk Corp 巻線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9915A (ja) * 2006-04-28 2007-11-15 Sumida Corporation 磁性素子
US20070285200A1 (en) * 2006-06-13 2007-12-13 Tai-Tech Advanced Electronics Co., Ltd. Surface mount inductor
JP4791270B2 (ja) * 2006-06-28 2011-10-12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磁性素子
US20080036566A1 (en) 2006-08-09 2008-02-14 Andrzej Klesyk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967748B (zh) * 2006-10-20 2010-05-12 福群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线圈绕线方法
JP2008166596A (ja) * 2006-12-28 2008-07-17 Tdk Corp 電子部品
WO2008096487A1 (ja) * 2007-02-05 2008-08-1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巻線型コイル及びその巻線方法
JP4535083B2 (ja) * 2007-04-10 2010-09-01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8125305B2 (en) * 2007-05-21 2012-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Inductance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witching power supply using the same
US7786837B2 (en) * 2007-06-12 2010-08-31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Semiconductor power device having a stacked discrete inductor structure
JP5084408B2 (ja) * 2007-09-05 2012-11-28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電子部品
TWM332922U (en) * 2007-10-11 2008-05-21 Darfon Electronics Corp Inductance
US8284005B2 (en) * 2007-10-31 2012-10-09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ve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005766A (en) * 2008-07-29 2010-02-01 Delta Electronics Inc Magnetic element
JP5325799B2 (ja) * 2009-01-22 2013-10-23 日本碍子株式会社 小型インダクタ及び同小型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5280500B2 (ja) * 2011-08-25 2013-09-04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インダクタ
KR101862409B1 (ko) * 2011-12-22 2018-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인덕터 및 칩 인덕터 제조방법
US8789262B2 (en) * 2012-04-18 2014-07-29 Mag. Layers Scientific Technics Co., Ltd.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 inductor
KR20140011693A (ko) *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용 자성체 모듈,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2767B1 (ko) * 2014-12-12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341138B2 (ja) * 2015-04-10 2018-06-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2421B2 (ja) 2015-06-02 2018-08-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の製造方法
JP6554947B2 (ja) * 2015-07-06 2019-08-0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2667A (ja) * 2015-09-25 2017-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18061461A1 (ja) 2016-09-30 2018-04-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10028387B2 (en) 2016-11-29 2018-07-17 Fujitsu Limited Electronic part bonding substrate
JP7221583B2 (ja) * 2017-03-29 2023-02-14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899999B2 (ja) * 2018-02-26 2021-07-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リアクトル
EP4362050A1 (en) * 2022-10-26 2024-05-01 Premo, SL Waterproof electromagnet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9706A (ja) 1981-11-06 1983-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ツプインダクタ
JPH02235305A (ja) 1989-03-08 1990-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部品
US6144280A (en) 1996-11-29 2000-11-07 Taiyo Yuden Co., Ltd. Wire 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0172832A (ja) 1996-12-11 1998-06-26 Taiyo Yuden Co Ltd 巻線型電子部品
KR100283371B1 (ko) 1997-03-28 2001-04-02 모리시타 요이찌 칩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3255876B2 (ja) 1997-07-15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3352950B2 (ja) * 1998-07-13 2002-12-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インダクタ
JP3583965B2 (ja) * 1999-11-26 2004-11-04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型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200A (ko) * 2003-04-22 2004-11-05 삼화전자공업 주식회사 칩코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731782B1 (ko) * 2004-09-30 2007-06-22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면실장 코일 부품 및 상기 면실장 코일 부품을 실장한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6993B1 (en) 2003-05-20
JP3583965B2 (ja) 2004-11-04
KR100387542B1 (ko) 2003-06-18
CN1298188A (zh) 2001-06-06
DE60035471D1 (de) 2007-08-23
HK1036873A1 (en) 2002-01-18
JP2001155937A (ja) 2001-06-08
EP1103993B1 (en) 2007-07-11
US6825746B2 (en) 2004-11-30
US20040021541A1 (en) 2004-02-05
EP1103993A1 (en) 2001-05-30
CN1168103C (zh) 2004-09-22
DE60035471T2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542B1 (ko) 면실장형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US10224138B2 (en) Electrod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u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769621B2 (en) Inductor with an electrode structure
KR100366925B1 (ko) 인덕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4498067A (en) Small-size inductor
US7460682B2 (en) Voice coil, speaker apparatus using the voice c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eaker apparatus
JP3301384B2 (ja) ビーズ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及びビーズインダクタ
JP2000306757A (ja) コイル部品
CN109119234B (zh) 线圈部件
JP2000012362A (ja) ビーズ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及びビーズインダクタ
KR20180087989A (ko) 인덕터 및 인덕터 제조 방법
JPH0632654Y2 (ja) コイル部品
JP2020077839A (ja) コイル部品
JPH0351964Y2 (ko)
JP4172571B2 (ja) チップインダクタ
JPH11233351A (ja)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5214A (ja) 表面実装型小型トランス
JP2777517B2 (ja) 薄型コイルの保持基板
JP2901279B2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40331Y2 (ko)
JPH06284616A (ja) 薄型コイルの保持基板
JPH0351965Y2 (ko)
JPH10241958A (ja) 電子素子および電子素子実装用台座シート
JP2003319492A (ja) スピーカ
JPH11162309A (ja) リードスイッチとリード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