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452A - 엘리베이터 승강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452A
KR20010062452A KR1020000076815A KR20000076815A KR20010062452A KR 20010062452 A KR20010062452 A KR 20010062452A KR 1020000076815 A KR1020000076815 A KR 1020000076815A KR 20000076815 A KR20000076815 A KR 20000076815A KR 20010062452 A KR20010062452 A KR 2001006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elevator
frame
floor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821B1 (ko
Inventor
리베트라우크리스토프
리히터우쯔
Original Assignee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브뢰흐레 한스, 즈빈덴 레네
Publication of KR2001006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05Lift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설치물용 수직 이동 경로를 만들기 위해, 일층 이상의 층 플로어 (2, 3) 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층 플로어 (2, 3) 내에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의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 프레임 (7) 을 가지는 다층 빌딩용 엘리베이터 승강로 (1) 는, 상기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가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8) 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적은 건설 노력과 저렴한 수단으로 현존하는 다층 빌딩내에 차후 건설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일가구 주택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1) 의 체적은, 엘리베이터가 다음에 설치되는 시점까지, 엘리베이터 용도가 아닌 목적, 예컨대 거주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승강로 프레임 (7) 자체는, 힘의 전달을 위해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고정부와 빌딩 (2, 3) 사이의 접촉면으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ELEVATOR HOISTWA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수직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층 이상의 층 플로어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이 층 플로어내의 승강로 관통 구멍부의 경계를 이루는 하나이상의 승강로 프레임을 가지는 다층 빌딩용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관한 것이다.
점차로 부족해지며 비용이 많이 드는 빌딩부지는 고밀도 구조의 다층의 주거 유니트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거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 수직 운반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개별 층들의 높이 차이가 극복되어야 한다. 수직 운반이 엘리베이터 설치물에 의해 제공되면, 엘리베이터 설치의 승강로에 이용가능한 단지 제한된 공간만이 통상적으로 또한 있게 된다. 더욱이, 엘리베이터 설치는 주거 공간이 건설되기 전에 빌딩 주인이 비용과 관련하여 이익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추가적인 투자와 관련이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된 일가구 주택의 소유자는 낮은 건설 비용에 우선권을 부여하며, 건설 후에 주거 필요성의 변화에 적용될 수 있도록 초기에는 적은 거주 공간을 선호하여 결정하게 된다. 삶의 상이한 단계 동안 변화하는 이러한 필요성은 층들간의 수직 차이를 극복하게 된다. 청년기에는 적절한 신체적인 이동성에 의한 수직 운반이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나이가 들면서 및/또는 손상된 이동성의 출발과 함께, 다층의 일가구 주택의 비제한적인 용도는 엘리베이터 설치와 불가피하게 연결된다. 상기에 언급된 이유들로 인하여, 일가구 주택이 먼저 건설될 때에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설치하지 않고, 필요할 때에만 큰 비용을 들여 주택내 또는 주택상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함께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건설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DE 42 23 017 A1 호에는, 공간 셀들이 서로 상부상에 쌓이며 고정될 때, 연속적인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형성하는 개별 공간 셀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정확하게 조립식 플로어처럼 되는 서로의 상부상에 쌓여진 조립식 공간 셀들로 구성되는 다층의 조립식 주택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엘리베이터가 차후 건설적으로 설치될 때, 대응하는 건설 측정의 실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키는 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공간 셀로부터 공간 셀로의 길이방향 벽에 인접하며 같은 높이에 있어서, 각각의 공간 셀의 플로어 및 천장 슬랩내에, 각각의 경우에 승강로 프레임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직사각형 개구부가 있다. 사이에 벽클래딩을 가진 스틸부들은 플로어 슬랩과, 공간 셀의 천장 슬랩 사이에서 3 개의 측면상으로 연장하며, 반면에 4 번째 측면상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설치된다.
개별 모듈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표준화된 플로어 방식의 정확한 조립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지만, 여기에는 또한, 엘리베이터 설치, 승강로 건설 비용 및,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의해 점유되는 부가적인 빌딩 공간에 대한 결정이, 주거 유니트가 건설될 때, 아직은 행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빌딩 소유자는 주택을 계획할 때, 높은 엘리베이터 관련 비용에 아직도 직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에 의해 현존하는 다층 빌딩내에 차후 건설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프레임의 길이방향 개략단면도;
도 2 는 삽입가능한 프레임 플로어 구조물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승강로 프레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조정가능한 승강로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4 는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이 스위블 방식으로 자기 지지 수직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4 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VI-VI 선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승강로 2, 3 : 층 플로어
4, 5 : 승강로 관통 구멍부 6 : 결합 로드
7 : 승강로 프레임 8 : 플로어 커버부
9 : 레일부 10 : 설치 루프
11 : 플로어 슬랩 12 : 천정 슬랩
13 : 단열층 14 : 층 플로어의 두께
15 : 삽입가능한 프레임 16 : 승강로 프레임
17 : 조정가능한 승강로 프레임 18 : 상부 프레임 에지
19 : 하부 프레임 에지 20 : 겹침부
21 : 고정 후크 22 : 보상 프레임부
23 : 고정 프레임부 24 : 조정 범위
25 : 세트/체결 나사 26 : 폴드
27 : 치형 금속판 28 : 리벳
29 : 치형부 30 : 드릴가공된 구멍부
31 : 승강로 벽요소 32 : 드릴가공된 구멍부
33 : 하부 웨브 34 : 상부 웨브
35 : 자유단부 36, 37 : 폴드
38 : 비드 39, 40 : 겹침부
41 : 나사 구멍 42 : 에지
43 : 시이트 (sheet) 금속부 44 : 프레임의 상부 에지
45 : 에이프런 46 : 제 1 수평 웨브
47 : 제 2 수평 웨브 48 : 제 1 수직 웨브
49 : 제 2 수직 웨브 50 : 에지 시이트
51 : 거리 52 : 일 패턴의 구멍부
53 : 에이프런의 상부 에지 54 : 두께, 플로어 슬랩
55 : 밟음 면 56 : 수평 플랜지
57 : 지지 플랜지 58 : 승강로 도어벽
59 : 엘리베이터 승강로 60 : 수직 구조물
61 : 좌측 가이드 레일 62 : 우측 가이드 레일
63 : 상부 횡단 지주 64 : 하부 횡단 지주
65 : 플로어 요소 66, 67 : 부착점
68, 69 : 지지 지주 70 : 나사
71 : 승강로 프레임 72 : 승강로 벽 클래딩 (cladding)
73 : 승강로 도어벽 74 : 승강로 도어
75 : 저장실 76 : 서서 들어갈 수 있는 벽장
77, 78 : 지지 레일 79 : 선반
80 : 일회용 셀 81 : 샤워부
82 : 화장실 83 : 세면기
84 : 빌딩 커버부 85 : 통기 굴뚝
86 : 팬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의 수행시, 청구항 1 에 설명된 특징을 가진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제안되며, 이는 승강로의 관통 구멍부가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구별된다.
빌딩 구조물내에 미리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구성요소는 현존하는 빌딩내에서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이따른 설치물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필요성이 대두되면,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만이 제거되어야 하며, 층 플로어를 통한 승강로의 통로용 관통부 또는 구멍부는 이미 제위치에 배치된 승강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이 일가구 주택의 용도에 특히 적합하도록 하며, 이 주택에서는 이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다음에 설치되는 시점까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체적은 주거 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승강로 체적의 실제적으로 비제한적인 용도는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이 층 플로어와 같은 높이에 정렬되어 연속 평면을 유지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취된다. 상기 플로어 구조물을 정렬시키는 간단한 수단은 다른 실시예에 의해 구비되며, 여기서 승강로 프레임은 개별 층 플로어의 두께 치수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승강로 프레임이 층 플로어의 하중 지지 구조물내에 연결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가지면, 승강로 프레임은 예컨대 한편으로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또는 -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 - 서스펜션 및 가이드 장치와, 다른 한편으로 층 플로어 사이에 힘 전달 접촉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어 구조물은 삽입가능한 프레임으로서 구성되며 조립식 구성요소로서 승강로 프레임내에 삽입된다. 승강로프레임내로의 단순한 삽입 및 이 프레임으로부터의 단순한 제거에 부가하여, 이 실시예는 플로어 구조물의 구성 및 형태와 관련하여 큰 자유도를 부여한다. 또한, 삽입가능한 프레임 구성요소는 플로어 면내에서 부유하는 플로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개별 승강로 프레임에 대해 플로어 면의 응력이나 이동을 보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는, 승강로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전체 이동경로에 걸쳐 연장하는 수직 지지 구조물을 승강로내에 형성하는 층 플로어내에 비고정적으로 고정되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이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승강로 프레임을 구비한다.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에 부가하여, 수직 지지 구조물은 또한, 이 프레임에 예컨대, 승강로 도어 및/또는 승강로 벽, 선반, 또는 심지어 이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는 일체로 된 플로어를 가진 조립식 모듈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는 엘리베이터용으로 계획된 빌딩 공간의 일시적인 용도를 위한 수직 구조물에 의해 성취되는 탄력적인 개념의 일부분이다. 그 용도는 거주자의 욕구가 그의 일생에 걸쳐 변화함에 따라 주택의 거주자의 욕구에 적용될 수 있다. 집안 물 공급, 배출 및, 전력 공급을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에 대응적으로 일체화함과 함께, 조립식 모듈은 수직 지지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샤워기, 변기 및 유사한 항목을 포함하는 위생 유니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하기의 도 1 내지 도 6 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어진다. 도 1 은 3 층 이상으로 연장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길이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1)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내에 차후 건설적으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위한 수직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빌딩이 건설되었을 때 빌딩내에 있는 개별 층 (I, II, III) 상에 이미 건설되어 있다. 이것을 기대하고, 층 플로어 (2) 와 층 플로어 (3) 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는 서로 정렬되어 승강로의 희망하는 단면의 크기를 가지며 결합 로드 (6) 등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개별 층 플로어 구조물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승강로 프레임 (7) 에 의해 경계지어지도록 만들어져왔다. 승강로 프레임 (7) 이 직사각형인 대신에, 이 프레임은 정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또는 희망하는 적절한 형상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는 하중 지지 커버부 (8) 에 의해 덮혀져서, 승강로 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입방형 하중 지지 커버부 (8) 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내로 돌출하는 승강로 프레임 (7) 의 레일부 (9) 상에 놓인다. 하중 지지 플로어 커버부 (8) 는 주로 방음 및 단열 방식으로 승강로 관통구멍부 (4, 5) 를 적절히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승강로 프레임 (7) 내에서 층 플로어 (2, 3) 의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남아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다음의 설치물을 위해서만 제거된다. 플로어 커버부 (8) 는 예컨대, 샤프트 커버부로부터 알려진 설치 루프 (10) 와 적어도 끼워지는 모노리스 콘크리트 커버부로서 여기에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 도시된다. 예컨대, 리프트 크레인의 서스펜션 요소는 플로어 커버부 (8) 가 이동하거나 제거되었을 때, 설치루프 또는 루프들상에 걸린다. 빌딩이 건설될 때, 플로어 커버부 (8) 자체는 미리 조립된 승강로 프레임 (7)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층 플로어 (2, 3) 와 함께 형성된다. 후자의 경우, 승강로 프레임 (7) 은 층 플로어내에 삽입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위치에 고정되며 보강재에 결합되는 콘크리트 형틀 (formwork) 내에 삽입되며; 대응적으로, 콘크리트 플로어 커버부 (8) 의 필수적인 하중 지지 용량을 발생시키도록, 이 프레임에는 스틸 보강재가 구비되며, 그후 전체적으로 콘크리트가 부어진다.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의 변경적인 실시예들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선택된 개별적인 바람직한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은 층 플로어 (2, 3) 에 맞는 플로어 슬랩 (11) 과 천장 슬랩 (12) 으로 형성되어서, 사이에 놓이는 종래의 재료들의 단열 층 (13) 에 의해 방음 및 단열된다 (도 3). 단열 층 (13) 의 두께는 층 플로어 (2, 3) 의 개별 두께 (14) 에 적합하게 된다. 플로어 슬랩 (11) 과 천장 슬랩 (12) 과 층 플로어 (2, 3) 는 가능한 균일한 적절한 외형을 보장하도록 유사한 타입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적절한 재료들은 콘크리트, 플라스터, 또는 유사한 슬랩이며, 심지어 나무로 만들어진 슬랩도, 플라스터와 함께 용이하게 코팅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
건축학적인 매력은 예컨대, 플로어 슬랩 (11) 과 천장 슬랩 (12) 이 투명재료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천창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하중지지 층 구조물에 있다. 빛이 투과하는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을 가진 승강로 프레임 (7) 이 발광체 (luminaire) 로서 사용되면, 하나 이상의 광원이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쪽으로 승강로 프레임 (7) 내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빌딩을 관통하여 승강로 프레임 (7) 까지 인도되는 전기 연결 수단은 예컨대, 엘리베이터 설치시 필요하다면 승강로 조명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의 기성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경우, 이들의 개별 구성요소에 있어서 승강로 프레임 (7) 상에 조립되거나,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에 조립되거나 할 수 있으며, 조립식 구성요소로서, 도 2 에 부분적으로 도시되며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설치된 승강로 프레임 (16) 내에 현수되거나 삽입된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식 구성요소는, 예컨대 그 위에 서있거나 걸어가는 사람들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유리상자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는 필수적으로 시이트 금속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승강로 프레임 (16) 과, 보완적으로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을 포함하며, 이 프레임 (15) 은 승강로 프레임 (16) 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승강로 관통구멍부 (4) 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플로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승강로 프레임 (16) 은 그 길이가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의 주위에 대응하며 승강로의 단면적에 대응하고, 그 폭이 층 플로어 (2, 3) 의 두께 (14) 와 동일한 시이트 금속의 스트립으로 제작된다. 시이트 금속 스트립은 에지에서 굽혀져 접혀지며 통상적인 방식으로 결합된다. 외측으로 면하는, 다시 말해 층 플로어 (2, 3) 에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시이트 금속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 (18) 및 하부 (19) 에지에 인접하여, 굽힘 겹침부 (20) 는 프레임 제작물(16) 을 강화시키며, 천장 형틀내에 승강로 프레임 (16) 의 정확한 고정을 위해, 그리고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의 위치결정적으로 정확한 삽입을 위해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중요한 특징으로는, 프레임 주위 외측상에,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상부 (18) 및 하부 (19) 에지 사이의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는 고정 후크 (21) 에 있으며, 이들 후크는 영구적으로 고정되며 승강로 프레임 (16) 을 층 플로어의 보강재와 일체로 하는데 사용된다. 강화 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고정 후크 (21) 는 콘크리트내에, 삽입되어 천장 강화물과 함께, 승강로 프레임 (16) 상에 작용하는 힘이 승강로 플로어 (2, 3) 내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주택이 목재 또는 복합 구조물을 가지면, 승강로 프레임 (16) 은 예컨대, 빔, 거더와 같은 하중 지지 구조요소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고정 요소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빌딩과, 설치된 엘리베이터 사이의 접촉면으로서, 하중지지 층 구조물의 또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자체의 모든 중요한 지지 및 유지력은 적절하게 형성된 고정 및 연결 요소들을 통해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내로 해서 빌딩 구조물내로 전달된다.
층 플로어 (2, 3) 의 개별 두께 (14) 로 조정가능한 삽입가능 프레임 (15) 을 가진 승강로 프레임 (17) 의 일 실시예의 부분절단도가 도 3 에 도시된다. 이 프레임 (17) 의 조정가능한 높이를 제외하고는, 승강로 프레임 (17) 과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의 형상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의 형상과 상응한다. 승강로관통 구멍부 (4, 5) 내의 승강로 프레임 (17) 에 의해 형성된 평면상에서, 이것은 수평적으로 분리되어 층 플로어 (2, 3) 내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 (23) 와 층 플로어 (2, 3) 의 두께 (14) 를 보상하기 위한 프레임부 (22) 를 포함하는 2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2 개의 프레임부 (22, 23) 는 승강로 프레임 (17) 의 2 개 이상의 평행측면을 따라 상호 고정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며, 다시 말해 서로 걸린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어진 조정 범위 (24) 내에서, 이들은 수직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별 층 플로어 (2, 3) 의 두께 (14) 로 고정된다. 세트/체결 나사 (25) 는 서로에 대해 조정된 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정한다.
2 개의 프레임부 (22, 23) 는 굽힘 시이트 금속부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부 (22) 는 치형 금속판 (27) 의 형태로 조임 고정을 행하도록 u 형상의 폴드를 형성한다. 치형 금속판 (27) 은 폴드 (26) 내에 삽입되어, 예컨대 리벳 (28) 또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고, 층 플로어 (2, 3) 쪽으로 면하는 수렴 치형부 (29) 를 가지며, 경화 콘크리트내에 고정된다. 치형부 (29) 내의 드릴가공된 구멍부 (30) 는 가능한 지지 구조물의 강화 스틸에 일체로 된다.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내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폴드 (26) 를 통해 부가적으로 수직 배열된 구멍부 또는 드릴가공된 구멍부 (32) 는 예컨대, 천장 슬랩 (12) 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며, 필요하다면, 이격 요소가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폴드 (26) 는,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이 제거된 후에 개별 층 플로어 사이에 삽입되며 예컨대 하기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나사 연결부를 가진 폴드 (26) 의 구멍부 또는 드릴링가공된 구멍부 (32) 내에 고정되는 승강로 벽요소 (31) 용 수직 멈춤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벽요소들을 정렬시키기 위해, 심 또는 조정 나사가 벽의 하부 에지와 폴드 (26) 사이에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양측면상에서 폴드 (26) 에 직각으로 주행하는 것은 프레임부 (23) 의 수직 프레임판을 함께 형성하는 하부 웨브 (33) 와 상부 웨브 (34) 이다. 특히 하부 웨브 (33) 는 층 플로어 (2, 3) 를 구성할 때 형틀로서 사용하며, 빌딩 측면상에서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의 측면의 경계를 형성한다. 하부 웨브 (33) 의 자유단부 (35) 는 승강로 프레임 (17) 의 외측에 대해 직각으로 굽혀져서, 이에 의해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와 승강로 프레임 (17) 용 체결 시트에 깨끗한 경계를 보장한다. 상부 웨브 (34) 의 자유단부는 바닥부에서 개방된 수직으로 정렬된 폴드 (36) 내로 180°굽혀지며, 그 폴드내에 상부에서 개방된 보상 형상의 폴드 (37) 내로 굽혀지는 보상 프레임부 (23) 의 자유 하부 웨브가 결합한다. 폴드 (36) 의 최고점 바로 아래의 영역에서, 치수 부정확도를 보상하고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이 삽입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쪽으로 돌출하거나, 또는 제위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비드 (38) 로 형성된다.
프레임부 (22, 23) 의 상호 결합된 폴드 (36, 37) 의 겹침부 (39, 40) 는 승강로 프레임의 높이에 대한 조정 범위 (24) 를 결정한다. 겹침부 (39) 의 에지의 높이에, 나사 구멍 (41) 을 통해 대향하여 놓인 프레임부 (22) 의 접혀진 시이트로부터 나사체결되며, 다른 프레임부 (23) 의 겹침부 (39) 를 파지하는 세트 나사 (25) 가 있다. 세트 나사 (25) 대신에, 곧바로 통과하는 나사 연결부들이 동등하게 잘 있으며, 이 연결부들은 겹침부 (39, 40) 내에 형성된 수직 배향 타원 구멍부내에 결합된다. 보상 프레임부 (22) 의 상단부는 직각으로 외측으로 굽혀져서 에지 (42) 를 형성한다.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은 에지 (42) 상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은 4 조각의 시이트 금속부 (43) 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승강로 프레임 (17) 에, 특히 보상 프레임부 (22) 에 의해 형성된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에 보상적으로 되도록 하는 크기로 되는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의 프레임부를 형성한다.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에 의해 구성된 표면은 적절히 형성된 구멍부의 도움으로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에 나사 고정되며 동일 평면상에 있게 되는 플로어 슬랩 (11) 에 의해 덮혀진다.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제 1 수평 웨브 (46) 와 제 2 수평 웨브 (47) 와 제 1 수직 웨브 (48) 와 제 2 수직 웨브 (49) 로 형성되는 2 개의 계단부를 가진, 에지가 있는 시이트 (50) 인 직사각형의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은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수직 에이프런 (45) 을 형성한다. 제 1 수평 웨브 (46) 는 제 1 수직 웨브 (48) 로부터 에이프런 (45) 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며, 이는 폴드 (36) 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다. 또한, 제 1 수평 웨브 (46) 에는 일 패턴의 구멍부 (52) 들내에 나사체결된 나사들이 플로어 슬랩 (11) 을 고정시키도록 나사결합되는 일 패턴의 구멍부들이 구비된다. 에이프런 (45) 의 상부 에지의 높이에서, 제 1 수직 웨브 (48) 가 제 2 수평 웨브 (47) 와 결합하며; 이들 2 개의 웨브는 함께, 플로어 슬랩 (11) 이 고정되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제 2 수평 웨브 (47) 에서 시작하여, 제 2 수직 웨브 (49) 는 나사면 (55) 과 동일한 평면으로 수평 플랜지 (56) 내에서 종결되는 플로어 슬랩 (11) 의 두께 (54) 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제 2 수평 웨브 (47) 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플랜지 (56) 는 평행하게 지지 플랜지 (57) 와 결합하여 작용한다. 수평 플랜지 (56) 와 지지 플랜지 (57) 사이의 공간은 예컨대, 융단 또는 조각마루의 형태를 취하는 층 플로어 (2, 3) 상에 놓여진 플로어 커버부의 에지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은 부유 방식으로 지지되며, 결과적으로 층 플로어에 대한 플로어 커버부의 장착 및 신장 운동을 추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응력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의 부유 지지부는 어떠한 계단부도 그 에지상에 높인 플로어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1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비고정적으로 고정되는 승강로 프레임 (7, 16, 17) 으로부터 시작하여, 승강로벽 (31, 58) 은 승강로 프레임 (17) 내에 삽입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층 플로어 (2, 3)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1) 의 경계를 형성한다. 승강로 벽 (31, 58) 은, 빌딩이 룸 분리기로서 구성되어 사용될 때, 미리 조립된 빌딩 요소로서 또는 통상의 공간 분리기로서 이미 삽입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가 차후 건설적으로 설치될 때, 제위치에 놓이게 된다. 또한, 빌딩의 희망하는 내부 건축물과 대응하도록 단일 벽 (31, 58) 만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벽 (58) 이, 필요한 경우에 승강로 도어 (74) (도 4) 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도어에 끼워지게 하여,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엘리베이터 카 또는 대응하는 운반 장치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양자의 경우에, 각각의 층 (I, II, III) 상에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된 하중지지 플로어 구조물 (8, 15) 은 각각의 플로어상에서, 승강로의 단면 표면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섹션의 일시적인 엘리베이터 용도가 아닌 사용을 허용한다.
도 4 는 3 개의 층 (I, II, III) 에 걸쳐 연장되는 자기 지지 수직 구조물 (60) 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승강로는 상부 횡단 지주 (63) 에 의해 바람직하게 결합되며, 플로어 요소 (65) 가 각각의 층의 높이에 부착되는 좌측 가이드레일 (61) 및 우측 가이드레일 (62) 을 포함한다. 플로어 요소 (65) 는 모노리스 또는 샌드위치 구조의 플로어 슬랩 (11) 을 본질적으로 포함하며, 후방 및 전방 횡방향 빔에 의해 결합되어 적절한 슬랩을 가진 프레임와 클래드를 형성하는 좌측 빔과 우측 빔으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길이방향 빔들은 직사각형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빔에는 신축자재식 연장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많은 상이한 위치에서 타원형 구멍부를 통행 길이방향 빔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플로어 요소 (65), 및 특히 좌측 및 우측 길이방향 빔은 스위블 방식으로, 부착점 (66, 67) 에서 좌측 가이드레일 (61) 과 우측 가이드레일 (62) 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 요소는 나사, 볼트, 체결핀 또는 이와 유사한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식을 갖고 있는 당업자는 그에게 알려진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선택할 수 있다.
스위블 방식으로 부착된 플로어 요소 (65) 는 좌측 가이드레일 (61) 와 우측 가이드레일 (62) 에 부착된 지지 지주 (68, 69) 에 의해 그 수평 설치 위치에서 지지 유지된다. 지지 지주 (68, 69) 자체는 스위블 방식으로 예컨대, 플로어 요소 (65) 와 가이드레일 (61, 62) 각각에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 지주 (68, 69) 는 우측/좌측 나사산을 가진 조정가능한 튜브로서 구성되어서, 이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조정가능한 튜브의 대응하는 회전에 의해, 그 설치 위치에 있는 플로어 요소 (65) 는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개별 플로어 레벨과 동일 평면으로 배열된다. 지지 지주 (68, 69) 의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의 변경예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상기 기능의 실행시에 본 발명의 손상없이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수직 구조물 (60) 은, 플로어 요소가 수직위치로 아직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조립된 구성요소로서 빌딩내에 이미 구비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내에 도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승강로 프레임 (71) 에 고정되어야 하며 하중 전달 고정요소, 예컨대 나사 (70) 에 의해서만 지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회전된 하중 지지 베어링 플로어요소 (65) 는, 엘리베이터가 차후 건설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시간까지,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가 상이한 목적으로, 예컨대 주거 공간으로서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덮혀진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가 도 4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예를 통해, 승강로 벽 클래드 (72) 가 수직 구조물 (60) 상에 배열되며, "DIN 4109" 조건을 수행하는 승강로 도어 (74) 를 가진 벽 (73) 이 2 개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배열된다. 승강로 벽 클래드 (72) 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 승강로 프레임 (71) 은 이를 유지하는 대응수단과 끼워맞춰진다. 예컨대, 도 1 과 도 3 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홈 및/또는 슬롯 또는 유사요소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에지 (18, 19) 내에 또는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내에 형성된다.
제 1 층 (I) 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는 저장실 (75) 로서 사용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저장실 상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의 영역에서 하중 지지 플로어 요소 (65) 에 의해 이 저장실로부터 분리되어, 가이드 레일 (61, 62) 에 대향하는 제 2 층 (II) 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의 높이에 걸쳐 승강로 프레임 (71) 에 부착되어서, 선반 (79) 이 공지된 방식으로 놓이는 2 개의 지지레일 (77, 78) 있으며, 다른 선반 모듈은, 이 영역이 소위 워크인 벽장 (76) 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최상부 층 (III) 에서는, 완전한 플로어 요소 (65) 와 함께 조립식으로 미리 조립된 모듈의 형태로 위생 셀 (80) 이 수직 구조물 (60) 에 고정된다. 여기서 또한, 이 위생 셀 (80) 을 거주 주택의 기초 시설과 필수적으로 일체화하는 것은 승강로 프레임 (71) 에 의해서이다. 빌딩에서, 집안 물 공급용 및 전력 공급용의 연결부가 승강로 프레임 (71) 내로 도입된다. 이들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자체내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승강로 프레임 (71) 은 수직 구조물 (60) 을 위생 셀 (80) 과 연결시키는 표전 접촉면을 형성하며, 이들 위해 요구되는 연결 요소를 가진다. 대응하는 층 (III) 으로부터 승강로 도어 (74) 를 통해 위생 셀 (80) 로 들어가는 워크인 출입구가 있다.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생 셀 (80) 에는 샤워기 (81), 변기(82) 및 세면기 (83) 가 설치되어 있다. 위생 셀 (80) 은 수밀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로부터 격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셀은 플라스틱 구조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6 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위생 셀 (80) 은 빌딩 커버부 (84) 를 통해 설치된 통기 굴뚝 (85) 을 통해 개방 공기로 통기된다. 통기 굴뚝 (85) 내에 설치된 팬 (86) 은 이 통기를 능동적으로 지지한다.
엘리베이터 설치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면, 위생 셀 (80) 은 승강로 프레임 (71) 과 수직 구조물 (60) 로부터 연결해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위생 연결부는 폐쇄되며, 이에 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의 엘리베이터 용도의 사용을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또한 있게 된다. 다음으로, 수직 구조물 (60) 자체는 구동장치를 위한 엘리베이터의 지지 및 안내 구조물과, 이 가이드레일 (61, 62) 을 따라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수직 구조물 (60) 의 사용에 있어서의 일시적인 변화 대신에, 예컨대, 등반벽, 체력단련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레져 설치물을 위한 접촉면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거주 주택내에 먼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에 있어서, 자동승강기 시스템에 따라 순환하는 선반의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 (61, 62) 은 선반 루프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에 의해 현존하는 다층 빌딩내에 차후 건설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위한 수직 이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층 이상의 플로어 (2; 3) 를 관통하여 연장하고, 이 층 플로어 (2; 3) 내에서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의 경계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을 가지는 다층 빌딩용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에 있어서,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8; 15; 65) 은 승강로 관통 구멍부 (4; 5) 를 덮는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8; 15; 65) 은 상기 층 플로어 (2; 3) 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은 개별 층 플로어 (2; 3) 의 두께 (14) 치수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은 고정수단 (6; 21; 27) 을 가져서, 이 고정수단상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층 플로어 (2, 3) 의 지지 구조물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은 삽입가능한 프레임 (15) 내에 조립되며, 상기 승강로 프레임 (7, 16, 17)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65) 은 이동 경로상으로 연장하는 수직 지지 구조물 (60) 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승강로 프레임 (71)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65) 은 상기 수직 지지 구조물 (60) 에 스위블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59).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플로어 구조물 (65)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지며 수직 지지 구조물 (60) 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공간 셀 (80) 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어터 승강로 (59).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프레임 (7; 16; 17; 71) 은 승강로 벽 (31, 58; 73, 77) 을 위한 연결/설치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1; 59).
KR1020000076815A 1999-12-16 2000-12-15 엘리베이터 승강로 KR100740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1166.0 1999-12-16
EP99811166 199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52A true KR20010062452A (ko) 2001-07-07
KR100740821B1 KR100740821B1 (ko) 2007-07-19

Family

ID=824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15A KR100740821B1 (ko) 1999-12-16 2000-12-15 엘리베이터 승강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516570B2 (ko)
EP (1) EP1108828B1 (ko)
JP (1) JP2001226054A (ko)
KR (1) KR100740821B1 (ko)
CN (1) CN1112497C (ko)
AR (1) AR026976A1 (ko)
AT (1) ATE301222T1 (ko)
AU (1) AU771008B2 (ko)
BR (1) BR0005921A (ko)
CA (1) CA2328359C (ko)
DE (1) DE50010866D1 (ko)
DK (1) DK1108828T3 (ko)
ES (1) ES2246792T3 (ko)
HK (1) HK1038779A1 (ko)
MX (1) MXPA00012077A (ko)
NO (1) NO322953B1 (ko)
SG (1) SG92764A1 (ko)
ZA (1) ZA2000073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1421A1 (de) * 2001-12-21 2003-06-25 Inventio Ag Schachtgrubenwanne als Basismodul für einen Aufzugsschacht
DE10231775A1 (de) 2002-07-13 2004-01-22 Blanch Productions Limited Verfahren zum Einbau eines Personenaufzugs
US6962236B2 (en) * 2003-09-08 2005-11-08 Spacelift Products, Inc. Platform lift apparatus with integrated ladder for accessing attic storage space
US7416055B2 (en) * 2003-09-08 2008-08-26 Spacelift Products, Inc. Platform lift apparatus for attic storage space
AU2005200669B2 (en) * 2004-02-17 2010-05-27 Peter Theo van Emmerik Residential Lift
FI122357B (fi) * 2004-03-10 2011-12-15 Kone Corp Menetelmä hissikäyttöön varatun tilan uudistamiseksi ja järjestely rakennuksessa
GB2429021B (en) * 2005-08-10 2010-02-17 Ambar Kelly Ltd Building construction service shaft assembly and an associated closure arrangement and closure therefor
FR2892713B1 (fr) * 2005-11-03 2009-05-08 Ceima Conception D Equipements Ascenseur en coin.
JP2010202398A (ja) * 2009-03-05 2010-09-1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昇降路最上端部構築用型枠ユニット
US8800725B2 (en) * 2011-01-05 2014-08-12 Dominick J. Alois Elevator liner apparatus and utilization method thereof
US9120645B2 (en) 2011-11-16 2015-09-01 Spacelift Products, Inc. Control system for a platform lift apparatus
CN103967258A (zh) * 2014-05-15 2014-08-06 张家口市宝通建筑配套制品厂 一种分层独立安装的组合式排气道
CN106049826A (zh) * 2016-07-06 2016-10-26 南京市莱茵帝得电梯有限公司 一种预制型电梯井
CN106892315A (zh) * 2017-04-26 2017-06-27 万勇 一种框架装配式外加电梯井道
CN108408543B (zh) * 2018-01-30 2019-12-13 上海盛蒂斯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层站楼板孔洞填补系统
CN108178047B (zh) * 2018-03-15 2024-02-13 西继迅达电梯有限公司 一种复式楼电梯楼板补偿装置
CN108824764A (zh) * 2018-07-26 2018-11-16 凯斯博电梯有限公司 一种别墅用电梯井支撑框
CN109208936B (zh) * 2018-11-02 2024-06-14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既有建筑电梯井道结构加建结构及其施工方法
JP7251733B2 (ja) * 2019-06-13 2023-04-04 大成建設株式会社 荷受ステージおよび揚重システム
CN113602937A (zh) * 2021-08-12 2021-11-05 广东奥菱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的安装工艺
WO2024033415A1 (en) * 2022-08-11 2024-02-15 Inventio Ag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and installing an elevator unit in the build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49A (en) * 1889-07-30 And warren k
US431676A (en) * 1890-07-08 Device for operating elevator-hatchway gates
US420744A (en) * 1890-02-04 Hatch-door for elevators
US969557A (en) * 1910-02-16 1910-09-06 Clyde B Norris Safety device for elevators.
US1142405A (en) * 1913-08-25 1915-06-08 George M Derry Door-operating mechanism.
US3990589A (en) * 1975-08-11 1976-11-09 Manaugh Carlisle F Parking apparatus with barriers in the storage stalls that are actuated by a vehicle transfer dolly
JPS58190513U (ja) * 1982-06-14 1983-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式フロア
JPS5912062A (ja) * 1982-07-09 1984-01-2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機械室床
US4901490A (en) * 1984-12-17 1990-02-20 Gabalan Corporation Raised flooring panel and raised flooring assemblies
FR2626265A1 (fr) * 1988-01-25 1989-07-28 Marot Jacques Systeme d'ascenseur, du type elevateur, dont la base forme faux plafond a l'etage
JPH0213081U (ko) * 1988-07-08 1990-01-26
DE4223017A1 (de) 1992-07-13 1994-01-20 Oliver Dipl Ing Franz Fahrstuhlschacht für mehrgeschossige Fertighäuser
JP3023280B2 (ja) * 1994-08-30 2000-03-21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トンネル覆工壁へのスラブ基材の架設方法およびスラブ基材
US5687816A (en) * 1994-10-14 1997-11-18 Mannesmann Rexroth Gmbh Underground storage space
JPH08284295A (ja) * 1995-04-10 1996-10-2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大型alcパネルおよびそのパネルを使用した床構造
US5644871A (en) * 1995-07-18 1997-07-08 Eli Gonen Modular building system
JPH11190136A (ja) * 1997-12-26 1999-07-13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介護用住宅
US6131702A (en) * 1998-05-29 2000-10-17 Berridge; Harold Arthur Home platform lift for attached garages
JP3352043B2 (ja) * 1998-12-25 2002-12-03 旭化成株式会社 床構造
JP2000344447A (ja) * 1999-05-07 2000-12-1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シャフト内で作業を行なう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821B1 (ko) 2007-07-19
ATE301222T1 (de) 2005-08-15
CN1112497C (zh) 2003-06-25
BR0005921A (pt) 2001-07-31
NO20006408L (no) 2001-06-18
HK1038779A1 (en) 2002-05-03
CA2328359A1 (en) 2001-06-16
NO322953B1 (no) 2006-12-18
MXPA00012077A (es) 2002-05-23
EP1108828B1 (de) 2005-08-03
US6516570B2 (en) 2003-02-11
DK1108828T3 (da) 2005-11-21
AU7228900A (en) 2001-06-21
ZA200007354B (en) 2001-06-14
ES2246792T3 (es) 2006-03-01
EP1108828A1 (de) 2001-06-20
DE50010866D1 (de) 2005-09-08
AR026976A1 (es) 2003-03-05
CA2328359C (en) 2007-08-28
AU771008B2 (en) 2004-03-11
NO20006408D0 (no) 2000-12-15
CN1299911A (zh) 2001-06-20
US20010003887A1 (en) 2001-06-21
SG92764A1 (en) 2002-11-19
JP2001226054A (ja) 200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82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AU2023202731A1 (en) Modular Building
US10208475B2 (en) Building modules
US4171596A (en) Prefabricated room structure for facilities in general such as toilets, baths, kitchens and the like
WO2017193179A1 (en)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EA000200B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ногоуровневого, многомодульного, на каждом уровне, здания с каркасом
US5233808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EP0462790B1 (en) A building and building method
JP5722083B2 (ja) 住宅
KR100228646B1 (ko) 건물 및 건축방법
PL242919B1 (pl) Łazienka modułowa
JP2004011154A (ja) ユニット式建物
JPH0212943Y2 (ko)
FI87824C (fi) Golvplatta foer byggnaders vaotrum
US20050188624A1 (en) Room constructing
RU2243333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наружных трехслойных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с несущей перегородкой
JP2001132093A (ja) 玄関ポーチの設置構造
JPH07100960B2 (ja) 家屋の床架構体
GB2279378A (en) Prefabricated shaft for lift or stairwell
CZ108897A3 (cs) Pochozí spojovací prvek mezi víceúčelovými kontejnery upravenými v rozdílných podlažích
MXPA97006321A (en) Panels and prefabricated construction modules for multiple floor buildings and method for your
JPH0813612A (ja) ユニット建物
JP2000160688A (ja) 建築物の構造
JP2000045547A (ja) 太陽電池付建物
JPH06272343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床構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