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832A -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832A
KR20010052832A KR1020007014158A KR20007014158A KR20010052832A KR 20010052832 A KR20010052832 A KR 20010052832A KR 1020007014158 A KR1020007014158 A KR 1020007014158A KR 20007014158 A KR20007014158 A KR 20007014158A KR 20010052832 A KR20010052832 A KR 2001005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over
cover
main body
automobile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카가와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후카가와 요시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라파로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카가와 요시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라파로오루 filed Critical 후카가와 요시하루
Publication of KR2001005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8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체를 손상입히지 않고, 개조할 필요없이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트렁크 수납형의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자동차용 보디커버를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본체와, 동 장치본체를 설치한 스탠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에 탄성지지부재를 내뻗을 수 있게 설치하며, 동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트렁크 룸의 내벽사이에서 떠받쳐 지지하는 상태로 수납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Body cover device for car}
종래, 보디커버의 착탈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일본 특개 평8-10414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트렁크 뚜껑(Trunk Lid)의 안쪽 면에 보디커버를 수납하는 포치(porch)를 설치하고 동 포치에 보디커버(Body Cover)의 일단을 연결한 것으로, 차체를 커버할 때에는 보디커버의 선단을 트렁크 뚜껑의 선단 가장자리부(先端緣部)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끌어내고, 벗기는 경우에는 포치 측에서 끌어넣는 정도의 단순작업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디커버는 트렁크 뚜껑의 안쪽 면에 형성된 상기 포치 내에 수납된다.
또한, 차체를 커버할 때 보디커버를 꺼내는 것은 상기와 같이 수행되지만, 벗겨서 수납하는 작업은 자동화시킨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개 평3-38218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서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은 롤러(roller)를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감기 장치를 트렁크 뚜껑의 안쪽 면에 설치하여 보디커버를 항상 트렁크 내에 수납하여 둠과 동시에, 차체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基端緣部)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보디커버의 선단을 끌어내어 차체의 지붕 위에서 펼쳐서 차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커버를 벗기는 경우에는 감기 장치를 작동시켜서 롤러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아서 트렁크 내에 수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포치든지 감기장치든지 어느 쪽도 트렁크 뚜껑의 안쪽 면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기에 기술하는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즉, 트렁크 뚜껑에 포치나 감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이를 위해서는 트렁크 뚜껑을 가공하거나 해야 했다.
또한, 보디커버는 그 천은 얇아도 차체를 덮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중량은 상당히 나가는 것으로, 이것을 포치에 수납한 상태라도, 롤러에 감은 상태라도, 상기한 구조에서는 트렁크 뚜껑에 직접 하중이 실려버리게 된다.
트렁크 뚜껑은 차체의 구조상 그 정도로 강도가 세지 않으며, 더욱이 중량물(重量物)인 보디커버를 트렁크 내에 수납한 채로 주행하게 되면, 트렁크 뚜껑이나 그 안쪽 면에 설치한 포치나 감기장치의 설치수단에 큰 부하가 걸림으로써, 트렁크 뚜껑의 변형이나 설치 수단의 탈락 등의 난처한 상황을 맞을 때가 있다.
이 때문에 결국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를 트렁크 내로 수납하는 기술은 그 실용화가 곤란한 것이 되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터치로 보디커버를 장착,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측면시(側面視)에 의한 설명도.
도 2는 동 커버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동 커버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동 커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장치본체의 단면시(斷面視)에 의한 설명도.
도 6는 도 5의 Ⅰ-Ⅰ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보디커버의 설명도.
도 10는 보디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1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설명도.
도 12는 동 커버장치의 장치본체의 설치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동 설치부분의 측면시(側面視)에 의한 설명도.
도 14는 동 설치부분의 측면시(側面視)에 의한 설명도.
도 15는 동 커버장치의 스탠드부의 탄성지지부의 설명도.
도 1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설명도.
도 17은 동 커버장치 장치본체의 설치부분의 측면시에 의한 설명도.
도 18은 동 설치부분의 정면시(正面視)에 의한 설명도.
도 1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설명도.
도 20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설명도.
그러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보디커버를 감고 풀 수 있게 구성한 장치본체와, 동 장치본체를 설치한 스탠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에 탄성지지부재를 자유롭게 내뻗을 수 있도록 설치하며, 동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트렁크 룸의 내벽사이에 떠받쳐 지지시킨 상태에서 수납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트렁크 룸 안을 개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수월하게 수납, 배설할 수 있으며, 나아가 종래와 같이 보디커버의 감기 뿐만 아니라 풀기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트렁크 내에서 탄성지지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떠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트렁크 룸의 구조상, 가장 튼튼한 곳에 장치를 떠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 시에는 장치본체를 상방향으로 튀어오른 위치에서 지지가능하게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방향으로 매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따라서 보디커버하는 경우에 장치를 손쉽게 다룰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교적 중량물인 보디커버를 트렁크 안에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거친 도로를 주행할 때에도 스탠드부에 걸리는 부하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장치본체는 동 장치본체에 설치한 보디커버의 감기입구·풀기입구가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基端緣部)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향하도록 스탠드부에 가설되어 있도록 했다. 따라서, 보디커버의 선단이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뒷 유리측으로 확실하게 풀릴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장치본체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drum)과, 동 드럼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 따라서 보디커버 풀어내기는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드럼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스프링체를 설치한 풀기 축을 원 웨이 클러치를 매개로 하여 보디커버 두루 감기용의 드럼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풀기축을 보디커버의 풀기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프링체를 휘어지게 하는 축적에너지 수단을 설치하고, 동 축적에너지 수단을 조작한 후의 스프링체의 복원력에 의해 풀기축을 회전시켜서 보디커버를 풀 수 있게 했다. 따라서, 기계적인 간단한 조작으로 보디커버 풀기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에, 풀어낸 보디커버를 감는 감기 장치를 설치했다. 따라서 보디커버를 트렁크 룸 내에 자동적으로 감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 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보디커버를 감고 푸는 데에 있어서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기·풀기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심재(芯材)를 보디커버에 형성했다. 따라서 보디커버의 감기·풀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치본체를 해체하여 보관해 두고, 사용할 때에는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훨씬 편리해졌다.
또한 청구항 10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부는, 각좌(脚座)상에 입설한 외측통과, 동 외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配設)되고 장치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한 바닥이 있는 내측통과, 동 외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에 접촉부재를 설치한 로드(杆體)와, 동 로드의 바닥부와 상기 내측통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트렁크 뚜껑 내에 확실하게 수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로드와 내측통과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설치하고, 로드를 밀어 내린 위치에서 내측통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트렁크 뚜껑 내로의 고정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를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 본체와, 동 장치본체를 설치한 스탠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에 탄성지지부재를 자유롭게 내뻗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동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트렁크 룸의 내벽사이에 떠받쳐 지지시킨 상태로 수납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장치본체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과, 동 드럼을 보디커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드럼을 보디커버 풀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나선형 스프링 등의 스프링체를 설치한 풀기축을 원웨이 클러치를 매개로 하여 보디커버 두루 감기용의 드럼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풀기축을 보디커버 감기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프링체를 휘어지게 하는 축적에너지 수단을 설치하고, 동 축적에너지 수단을 조작한 후의 스프링체의 복원력에 의해 풀기축을 회전시켜서 보디커버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축적에너지 수단으로서는 스프링체를 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그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다면, 기계적인 간단한 조작으로 보디커버의 풀기를 반자동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커버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에, 풀어낸 보디커버를 감아내는 감기 장치를 설치하면, 차체를 덮은 보디커버를 수납할 때에 상기한 고정결합수단을 풀어서 트렁크 룸 내에 자동적으로 감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렁크 룸 안을 개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보디커버 장치를 트렁크 내에 쉽게 수납, 배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디커버를 감거나 풀기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떠받쳐 지지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탠드부를, 각좌상(脚座上)에 입설(立設)한 외측통과, 동 외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장치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한 바닥이 있는 내측통과, 동 내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에 접촉부재를 설치한 로드(杆體)로 순차적으로 포개 넣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동 로드의 바닥부와 상기 내측통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내측통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또한 스프링에 의해 로드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가해 둘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트렁크 룸의 구조상 가장 튼튼한 곳에 장치를 떠받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디커버 장치를 트렁크 룸 내에 안정된 상태로 수납, 배설할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구성도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 때, 로드와 내측통과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설치하고, 로드를 밀어 내린 위치에서 내측통에 고정결합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트렁크 뚜껑 내로의 고정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시에는 장치본체를 상방향으로 튀어오른 위치에서 지지가능하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방향으로 매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지지암을 매개로 하여 요동가능하게 연결해 둠과 동시에, 동 지지암을 스프링 등의 지지수단으로 지지가능하게 해 두고, 보디커버로 차체를 덮는 경우에는, 장치본체를 튀어오른 위치에서 지지하면 장치가 작업자에게 가까이 놓여져 취급이 용이해진다.
한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즉, 트렁크 룸에 보디커버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라면, 비교적 중량물인 장치본체를 하방향으로 매달리게 함으로써 한쪽 고정지지상태에서 벗어나 트렁크 내에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거친 도로를 주행해도 장치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에 걸리는 부하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암의 기단(基端)부 등을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없고 내구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는, 동 장치본체에 설치한 보디커버의 감기입구·풀기입구가,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향하도록 스탠드부에 가설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장치본체의 드럼을 수납하는 통 형상의 케이스에 감기입구·풀기입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동 감기입구·풀기입구의 장치본체를 튀어오른 상태에서 지지한 위치에서의 방향이,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향하도록 해 두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디커버의 선단을 동 간극으로부터 뒷유리측으로 확실하게 풀 수 있다.
또한, 풀어지는 길이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트렁크 룸의 외측으로부터 보디커버 선단을 잡고 끌어낼 수 있을 정도면 좋다. 그리고 끌어낸 후, 차체상에서 펼치고, 보디커버에 설치한 후크 등 고정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하면 좋다.
또한, 보디커버를 감고 풀 때에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기·풀기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심재(芯材)를 보디커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일반 보디커버와 같이 허리부분이 없는 것은 트렁크 룸 내로부터 뒷유리를 따라서 풀어내는 것이 어려운 것이지만, 상기 심재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디커버를 드럼에 질서정연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심재로서는 스프링 강재(鋼材)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적합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장치본체는 스탠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장착본체를 해체하여 보관해 두고, 사용할 때는 간단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하기가 한층 더 편리해졌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폭 넓은 차종에 대응가능하며 조작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보디커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특별하게 차체, 특히 트렁크 룸 안을 개조하거나 할 필요없이 보디커버 장치를 간단히 수납,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풀기를 반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수납은 거의 전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종래 성가셨던 차체의 커버작업을 커버수납에 이르기까지 훨씬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이하, 간단히 「커버장치」라고 한다)(A)의 측면시에서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동 커버장치(A)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동 커버장치(A)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장치(A)는 자동차(1)의 트렁크 룸(10) 내에 수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차용 보디커버(2)를 반자동으로 풀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의 (11)은 트렁크 뚜껑, (12)은 뒷유리, (13)은 뒷좌석 시트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장치(A)는 보디커버(2)를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본체(3)를 스탠드부(4)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가설하고 있으며, 동 스탠드부(4)에는 탄성지지부재(B)를 내뻗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동 탄성지지부재(B)에 의해 트렁크 룸(10)의 내벽사이에 떠받쳐 지지시킨 상태에서 수납가능하게 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성지지부재(B)를 상하방향으로 떠받쳐 지지가능하게 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 룸(10)의 천정벽(14) 및 바닥벽(15)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커버장치(A)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장치본체(3)를 연설(連設)한 스탠드부(4)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입설(立設)한 한 쌍의 지주(40, 40)로 이루어지며, 각 지주(40)는 하면에 고무 등의 미끄럼방지를 겸한 완충재(41a)를 부착한 긴 판 형상의 각좌(脚座)(41)의 일단측 근방상에 외측통(43)을 입설하고, 동 외측통(42)의 내부에 바닥있는 내측통(43)을 습동가능하게 끼워 넣는 동시에, 동 내측통(43) 내에는 중심에 암나사부(44a)를 형성한 로드(杆體)(44)를 요동가능하게 끼워 넣고, 또한 동 로드(44)의 바닥부와 상기 내측통(43)과의 사이에 로드(44)의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즉,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45)을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로드(44)의 암나사부(44a)에는, 선단에 접촉부재(47)를 요동가능하게 원추형으로 접합한 돌출형 길이 조정용의 나사형 로드(46)를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또한 접촉부재(47)는 밑면에 브래킷(47c)을 연설한 원판체(47a)에 고무 등의 완충재(47b)를 부착하여 구성하고, 브래킷(47c)과 나사형 로드(46)의 상단을 원추형 축(47c)을 매개로 하여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코일스프링(45), 로드(44), 나사형 로드(46), 접촉부재(47)에 의해 탄성지지부재(B)가 구성되어 커버장치(A)를 트렁크 룸(10)의 천정벽(14) 및 바닥벽(15) 사이에 설치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각 외측통(42)의 둘레면 하측에 각각 작은 통체(42a)를 연설하고 작은 양쪽 통체(42a) 사이에 양단을 굴곡시킨 연결로드(5)를 건너지르게 설치하여 좌우의 지주(40, 40)를 안정시키고 있다.
또한 내측통(43)의 거의 중간부에는 지지암(6)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동 지지암(6)의 선단에 원추형 축(60)을 매개로 하여 본체암(7)의 기단(基端)을 요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동 본체암(7)의 선단에 장치본체(3)를 연설하고 있다.
또한, 장치본체(3)는 그 축 둘레로 적당히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정 볼트(38)에 의해 그 설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였다.
본체암(7)은 지지암(6)과 연결시킨 제 1암(71)과, 동 제 1암(7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습동가능하게 설치한 제 2암(72)으로 구성되며, 동 제 2암(72)에 관통시킨 고정볼트(73)를, 제 1암(710에 형성한 장공(長孔)(74, 74) 사이로 눌러 관통시켜서 적당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게 했다.
본체암(7)의 거의 중앙부와 상기 내측통(43)의 거의 상단부 근방과의 사이에는 본체지지용 코일스프링(8)을 설치하고, 보디커버(2)로 자동차(1)의 차체를 덮는 경우에는 장치본체(3)를 튀어올린 위치에서 지지가능하게 하며, 장치본체(3)를 작업자에게 가까이 놓아 작업의 편이성을 꾀하였다. (61)은 장치본체(3)가 튀어오르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이고, (80)(81)은 코일스프링 설치용 금속수단이다.
한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치본체(3)를 하방향으로 매달리게 하며, 이와 같이 비교적 중량물인 장치본체(3)를 하방향으로 매달리게 해 둠으로써 한쪽 고정지지상태에서 벗어나 트렁크 룸(10) 내에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예를 들어 거친 도로를 주행했을 경우 등에는, 장치본체(3)를 지지하는 스탠드부(4)에 걸리는 부하를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지지암(6)의 내측통(43)에 대한 설치기단부 등을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 또한, 도 1의 (48)은 상기 외측통(42)의 상단부에 설치한 체결수단이며, 동 체결수단(48)의 레버(48a)를 조작하여 상기 내측통(43)을 임의의 높이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50)은 연결로드(5)의 굴곡단부(51)를 작은 통체(42a) 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다.
다음으로 장치본체(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치본체(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커버(2)를 두루 감는 드럼(30)과, 동 드럼(30)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되는 풀기장치(9)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드럼(30)은 감기입구·풀기입구(31)를 설치한 외장케이스(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33a), (33b)는 드럼(30)의 회전축이며, (34), (34)는 축베어링부(軸受部)이다.
드럼(30)은, 상기 풀기장치(9)의 원웨이 클러치(C)를 매개로 하여 연동연결하고 있고, 일측의 축베어링부(34)를 관통하여 풀기장치(9)의 보호 케이스(35) 내에 돌출한 회전축(33a)의 단부에 클러치 디스크(90)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35)는 상기 외장 케이스(32)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케이스(35) 내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92)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90) 측에 힘이 가해지고, 또한 풀기장치(9)의 풀기축이 되는 구동축(94)상을 돌출(boss)부(91a)를 매개로 하여 습동가능하게 한 압력플레이트(91)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91a)에 돌출하여 설치한 핀(91b)을 링크식 레버(93)에 결합시키고 있다.
압력플레이트(9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체(91c)(91c)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디커버(2)를 푸는 회전 방향에서만 클러치 디스크(90)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보호 케이스(35)의 외측에는 또한 캡 형상의 케이스(36)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며, 동 캡 형상의 케이스(36) 내에 상기 보호 케이스(35)로부터 구동축(94)을 돌출시켜, 종단을 축베어링(axle-bearing)(37)에 의해 축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동 구동축(94) 상에, 상기 보호 케이스(3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도르래(pulley)(95), 웜톱니바퀴(worm wheel)(96),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97)을 배치하고 있다. (97a)는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을 수납한 스프링 케이스다.
상기 도르래(95)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을 동 도르래(95)에 연결고정함과 동시에, 선단을 핸들(H)에 연결한 끈(H1)이 감겨져 있으며, 핸들(H)을 끌면, 도르래(95)와 함께 웜톱니바퀴(96) 및 나선형 스프링(97)도 보디커버(2)의 풀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웜톱니바퀴(96)에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99)에 의해 힘을 받는 저항용 웜(98)이 물려져 있다. (98a)는 웜축이다.
즉, 웜톱니바퀴(96)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의해 웜(98)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99) 측으로 어긋나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핸들(H)을 쉽게 끌 수 있게 되어 나선형 스프링(97)을 휘어지게 하여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원웨이 클러치(C)는 공회전(idling)하여 드럼(30)의 회전축(33a)은 회전하지 않는다.
핸들(H)을 떼면 나선형 스프링(97)의 복원력에 의해 구동축(94)이 회전하고, 구동축(94)→원웨이 클러치(C), 회전축(33a)과 회전력이 전해져서 보디커버(2)가 풀려진다. 이 때, 웜(98)이 다시 웜톱니바퀴(96)와 물려지고, 물림 저항이 되어 구동축(9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때문에, 보디커버(2)가 적절한 스피드로 풀려지게 된다. 또한 보디커버(2)의 풀림 길이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트렁크 룸(10)의 외측으로부터 보디커버(2) 선단을 잡고 끌어낼 수 있는 정도라면 좋다.
드디어, 나선형 스프링(97)이 끈(H1)을 모두 감으면 도 5의 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핸들(H)의 선단 돌기부(H2)가 링크식 레버(93)를 눌러, 원웨이 클러치(C)의 압력 플레이트(91)가 클러치 디스크(90)와 떨어져, 풀기장치(9)와 드럼(30)과의 힘의 전달이 단절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A)는 상기 드럼(30)에, 풀린 보디커버(2)를 감는 감기장치(D)를 설치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의 내부에, 일단을 드럼(30)측에 연결하고 타단을 회전축(33b)측에 연결한 코일스프링(S)을 배설하며, 회전축(33b)에 앞서 말한, 스토퍼가 부착된 감기장치(D)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드럼(30)이 보디커버(2)를 풀기 위하여 회전하면 코일스프링(S)에 에너지를 축적하면서 임의의 위치까지 보디커버(2)를 풀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보디커버(2)를 약간 잡아당기면 감기장치(D)의 스토퍼가 해제되어 코일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드럼(30)이 다시 감겨져 보디커버(20)를 감을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보디커버(2)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의 뒷유리(12)부터 차지붕(16), 앞유리(17)에 걸쳐서 덮는 주 커버부(20)와, 그 좌우로 연장되어 차체의 형상에 맞추어 봉합된 슬리브부(21, 21)로 이루어지며, 주 커버부(20)의 선단에는 손잡이로드(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커버부(20)의 좌우측, 즉 슬리브부(21, 21)와의 접합부분에는 보디커버(2)를 감고 풀 때에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강철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심재(芯材)(23, 23)를 형성한다.
이러한 심재(23)를 형성함으로써, 보디커버(2)에 허리부를 마련하여 트렁크 룸(10) 안으로부터 뒷유리(12)를 따라서 풀려나가는 과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디커버(2)를 수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드럼(30)에 질서정연하게 감을 수 있다.
또한 도 9의 (24)는 자동차(1)의 차체에 보디커버(2)를 고정결합하는 후크, (25)는 백미러(19)(도 10 참조)를 커버 밖으로 빼내기 위한 절결(notch)부이다. 또한 도 10의 (18)은 펜더(fender)이며, 상기 후크(24)는 이 펜더(18)에 고정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A)를 실제로 자동차(1)의 트렁크 룸(10)에 배치하여 보디커버(2)를 풀어서 차체를 덮어씌우는 경우, 또한 보디커버(2)를 벗겨서 트렁크 룸(10) 내에 수납할 때까지의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 뚜껑(11)을 열고, 트렁크 룸(10) 내에 비교적 튼튼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안쪽 부분의 천정벽(14) 및 바닥벽(15) 사이에 커버장치(A)를 설치한다.
그리고, 스탠드부(4)의 내측통(43)을 적당한 높이로 세트하여 접촉부재(47)를 천정벽(14)쪽으로 눌러 맞춤과 동시에, 로드(44)를 돌려서 나선형 로드(46)의 길이를 조절하며, 적당한 지지력으로 본 커버장치(A)를 지지한다. 이 때, 각 벽(14, 15)에 접하는 각좌(脚座)(41) 및 접촉부재(47)에는 각각 완충재(41a), (47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렁크 룸(10) 내를 손상시키는 일 따위는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우 간단하게 커버장치(A)를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3)를 윗쪽으로 튀어오르게 하여 그 위치에서 외장 케이스(32)에 설치한 감기입구·풀기입구(31)가, 트렁크 뚜껑(11)의 기단 가장자리부(11a)와 트렁크 룸 개구부(10a)의 안쪽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E)으로 향하도록, 즉 풀려지는 보디커버(2)가 뒷유리(12)를 따라서 풀려나가도록, 장치본체(3)의 본체암(7)에 대한 설치위치를 조정볼트(38)로 조정한다. 또한 장치본체(3)는 감기입구·풀기입구(31)가 기본위치에서 상기 간극(E)으로 향하도록 미리 본체암(7)에 설치되어 있어, 여기서는 미세한 조정을 수행한다.
보디커버(2)를 풀어내는 경우에는, 장치본체(3)의 핸들(H)을 앞으로 끌어다 놓으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프링(97)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드럼(30)이 회전하고, 보디커버(2)가 뒷유리(12)를 따라서 진출한다.
또한 이 회전속도는 웜(98)의 저항에 의해 최적화되어 있으며, 보디커버(2)는 원활하게 뒷유리(12)를 따라서 풀려진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풀려진 보디커버(2)의 선단을 잡아 차체를 따라서 끌어내고, 보디커버(2)의 슬리브부(21, 21)를 좌우로 펴고, 후크(24)를 사용하여 차체에 고정시키고, 최종적으로 트렁크 뚜껑(11)을 닫는다.
보디커버(2)의 전방측은 후크(24)에 의해, 후방측은 트렁크 뚜껑(11)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팽팽히 당겨진상태에서 말끔하게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우 간단하게 거의 반자동으로 차체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보디커버(2)를 트렁크 룸(10) 내로 수납하는 경우에는, 먼저 트렁크 뚜껑(11)을 열면서 후크(24)를 떼어내고, 슬리브부(21,21)를 주 커버부(20)에 겹쳐서 포개어 접고, 감기 방향과 반대로 조금 끌어당기면, 감기장치(D)가 작동하여 장치본체(3)의 드럼(30)이 회전, 보디커버(2)는 자동적으로 감겨져서 트렁크 룸(10)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트렁크 뚜껑(11)을 닫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렁크 룸(10) 안을 개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보디커버 장치(A)를 트렁크 룸(10) 내에 손쉽게 수납, 배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디커버(2)를 간단히 감거나 풀 수 있다.
(제 2실시예)
이하, 도 11∼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장치본체(3)를 스탠드부(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제 1실시예와 같은 것은 도면에서 사용하는 부호도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부(4)의 본체암(7) 선단에 짧은 길이의 레일부재(75)를 설치함과 동시에, 장치본체(3)의 외장케이스(32)에 동 레일부재(75)에 대응하는 습동평면부를 갖는 슬라이드부재(32a)를 형성한 착탈구조로 하였다.
레일부재(75)의 일단 가장자리부는, 내측으로 구부려 꺾은 결합용 가장자리부(75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결합용 가장자리부(75a)와 슬라이드부재(32a)의 일측 가장자리부(32a')가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32a)의 타측 가장자리부는, 상방 사선 방향으로 굴곡 연장된 잠금용 가장자리부((32a")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 잠금용 가장자리부(32a")를 다음에 설명하는 잠금부재(M)를 매개로 하여 원터치로 잠금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도 12∼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암(7)의 거의 상단부에 잠금부재설치판(76)을 설치하고, 동 잠금부재 설치판(76)에 잠금부재(M)를 설치하고 있다.
잠금부재(M)는 상기 잠금부재설치판(76)에 원추형으로 지지되는 거의 채널 형상의 회동레버(M1)와, 동 회동레버(M1)에 연결된 잠금부(M2)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레버(M1)의 좌우측면(M11,M12)의 일단근방을 원추형 지지핀(MP)에 의해 원추형지지연결하며, 동 원추형 지지핀(MP)의 반대측단부 근방에서 좌우의 잠금부 형성로드(M20)를 원추형 지지연결하고 있다. (MP1)은 각 잠금부 형성로드(M20)용의 원추형 지지핀이다.
그리고, 이러한 좌우의 잠금부 형성로드(M20)의 선단에, 이것도 원추형 지지핀(MP2)을 매개로 하여 상기 잠금용 가장자리부(32a")에 결합하는 잠금편(M2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면의 (M13)은 회동레버(M1)에 연설한 조작편이고, (M22)는 잠금부 형성로드(M20)에 설치한 당김코일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장치본체(3)를 본체암(7)에 설치한 후, 잠금부재(M)의 잠금편(M21)을 장치본체(3)의 잠금용 가장자리부(32a")에 고정결합하고, 잠금부재(M)의 회동레버(M1)를 밀어 내리는 작업만으로 장치본체(3)를 스탠드부(4)의 본체암(7)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장치본체(3)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순서와는 반대 순서로 잠금부재(M)의 회동레버(M1)를 밀어 올리고, 잠금편(M21)을 장치본체(3)의 잠금용 가장자리부(32a")로부터 분리시키면 되고(도 14 참조), 그 후에는 장치본체(3)를 슬라이드시켜서 본체암(7)으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부(4)의 로드(44)와 내측통(43)과의 사이에 결합수단(K)을 설치하고, 로드(44)를 밀어내린 위치에서 내측통(43)에 고정결합가능하게 했다.
즉 도 11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드부(4)의 로드(44)의 상측부에 레버(44')를 설치함과 동시에, 동 레버(44')의 하방측에 로드(44)를 관통하고 또한 양단이 돌출하도록 스프링핀(44b)를 배설하는 한편, 내측통(43)에 동 스프링 핀(44b)의 단부가 결합하는 L자형상의 결합홈(43b)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프링핀(44b)과 결합홈(43b)에 의해 결합수단(K)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44)의 상단에 설치한 접촉부재(47)를 자유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로드(44)의 상단에 폴(pole)축(44c)을 설치하고, 동 폴축(44c)에 대응하는 홈부를 접촉부재(47)의 하면에 형성하여, 접촉부재(47)가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양자를 끼워 맞추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탠드부(4)를 트렁크 룸(10) 내에 설치할 때에는, 레버(44')를 들고 로드(44)를 압축하여 결합수단(K)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보지하면, 스탠드부(4)의 상부가 트렁크 룸(10)의 천정벽(14)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워지며, 스탠드부(4)의 설치지점을 확실한 위치로 결정하기 쉽고, 그 후에 결합수단(K)을 해제함으로써, 정확한 설치지점에서 확실하게 스탠드부(4)를 보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장치(A)의 설치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작이 훨씬 더 수월해진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좌(脚座)(41)의 안쪽 면에 부착한 완충재(41a)의 길이나 외측통(42)의 상단부에 설치한 체결수단(48)의 구성, 코일스프링 설치용 금속수단(80)이나 장치본체(3)가 튀어오르는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61)의 형상 등을 제 1실시예와는 다르게 설정하고 있지만,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장 적합한 형태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이하, 도 16∼도 18을 참조하면서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잠금부재(M)를, 그 기능은 그대로 하고 구성을 간략화하여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M')는 へ형상으로 형성한 조작편(M13')의 기단부 좌우로부터 일으켜 세운 회동레버 구성편(M1', M1')의 선단부를 잠금부재설치판(76)에 원추형 지지함과 동시에, 동 회동레버구성편(M1', M1')의 거의 중앙부에 원추형핀(MP1')을 축으로 놓고, 동 원추형핀(MP1')에, 스프링 강철로 되어 있으며, 선단을 안으로 구부려 꺾어서 고정결합부(M21a)를 형성하고, 전체를 거의 아치 형상으로 형성한 잠금스프링(M21')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고정결합부(M21a)가 장치본체(3)측의 잠금용 가장자리부(32a")에 결합하여, 본 실시예에서도 장치본체(30)를 스탠드부(4)의 본체암(7)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구성이 간단해져서 취급하기 쉽고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드부(4)의 높이 조절을 외측통(42)과 내측통(43)과의 사이에서 핀고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였다.
즉, 외측통(42)에 작은 간격으로 다수의 위치결정용 관통홀(49)을 형성하고, 내측통(43)을 외측통(42) 내에서 습동시켜서 스탠드부(4)가 적정 높이가 되는 위치에서 위치결정 관통공(49)에 스토퍼핀(49a)을 삽입통과시켜, 내측통(43)의 바닥부 위치를 규제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의 스탠드부(4)의 적정 높이란, 내층통(43) 내에 수납한 코일스프링(45)이 로드(44)에 충분하게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촉부재(47)가 트렁크 룸(10) 내에서 떠받쳐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말한다.
또한 로드(44)에는 핸들(44e)을 설치하여 로드(44)를 코일스프링(45)에 대항하여 쉽게 밀려 내릴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탠드부(4)를 트렁크 룸(10) 내로 세트하기가 수월해지고 취급이 용이해져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드(44)에 コ형상으로 형성한 피아노선(44a)과, 이것에 연결된 결속밴드(44d)에 의해 구성한 안전고정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l
로드(44)의 선단근방에 설치한 설치공(44f)에 결속밴드(44d)를 관통시켜, 동 결속밴드(44d)에 설치한 피아노선(44c)을, 트렁크 룸(10)의 천정벽(14)에 형성된 비교적 튼튼한 대들보부(14a)에 고정결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자동차(1)가 급브레이크 등을 걸 때에도 커버장치(A)가 떨어져나가 버리거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취급하기가 더욱 수월해지고, 또한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3)를 지지하는 지지암(6)의 폭을 넓혀서 더욱 지지강도를 높여 장치본체(3)의 중량 및 자동차(10의 진동 등에 의해 걸리는 부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로 표시했다.
(제 4실시예)
이하,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제 1, 2실시예와 다른 점은, 앞의 두 실시예에서의 스탠드(4)를, 고정용 스탠드부(4')와 본체지지용 스탠드부(4")로 분리하고, 고정용 스탠드(4')의 각좌(41')를 레일형상으로 형성하여 트렁크 룸(10)의 바닥벽(15)에 설치하고, 이러한 레일형상각좌(41') 위에 본체지지용 스탠드부(4")의 각좌(41")를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점에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본체지지용 스탠드부(4")의 내측통(43)의 상단면(43a)은 막아놓는다. (41'a)는 고정용 스탠드부(4')의 각좌(41')에 형성한 슬라이드용 장공(長孔), (41"a)는 본체지지용스탠드부(4")의 각좌(41'')에 형성한 가이드, (41"b)는 가이드 겸용 고정수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차종에 의해 트렁크 룸(10)의 깊이 등이 크게 달라지게 되고, 트렁크 뚜껑(11)의 기단 가장자리부(11a)와 트렁크 룸 개구부(10a)의 안쪽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E)보다도 상당히 깊이 들어간 위치에 커버장치(A)를 세트해야 하는 경우에도, 사용시에 본체지지용 스탠드부(4")를 앞으로 슬라이드시켜 적절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런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 고정용 스탠드부(4') 및 본체지지용 스탠드부(4")의 각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5실시예)
이하, 도 20을 참조하면서 제 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실시예 4와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본체(3)를 지지하는 지지암(6)과 본체암(7)을 링크 구성에 의해 구성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치본체(3)를 트렁크 룸(10) 내에 수직으로 내린 상태(hanging down)로 수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시의 자세에서 뒤쪽 하방측으로 거의 평행이동한 상태로 수납가능하게 하였다.
즉,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암(6)을, 스탠드부(4)의 내측통(43)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돌출하여 설치한 짧은 길이의 지지용 하부암(6a)과 지지용 상부암(6b)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본체암(7)을, 일단을 원추형 지지연결한 본체용 하부암(7a)와 본체용 상부암(7b)으로 구성하고, 본체용 하부암(7a)의 기단을 상기 지지용 하부암(6a)에 원추형 연결함과 동시에, 본체용 상부암(7b)의 선단을, 연결링크암(7c)를 매개로 하여 지지용 상부암(6a)에 원추형 지지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통(43)에 있어서, 지지용상·하부암(6a, 6b)의 사이에서 지지용 하부암(6)측에 스프링지지 금속수단(82)을 설치하고, 동 스프링 금속수단(82)과, 본체용 하부암(7a)과 본체용 상부암(7b)과의 원추형 지지부(77)와의 사이를 본체지지용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20에서 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암(6)과 본체암(7)이 링크기구가 되어 굴곡되며, 장치본체(3)가 사용위치로부터 뒤쪽 후방으로 거의 평행이동하여 수용된다.
따라서, 트렁크 룸(10) 내에서의 하부공간을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보디커버 장치(A)를 트렁크 룸(10)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도 다른 짐 등을 쉽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실시예에서 설명한 잠금부재(M')(도 16 및 도 17 참조)와 같은 잠금부재(M")를 사용하여 장치본체(3)를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실시에에서는 잠금부재(M")의 설치위치를 제 3실시예와는 반대측, 즉 트렁크 룸 개구부(10a)측에 설치하여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탠드부(4)의 높이 조절을 외측통(42)과 내측통(43)과의 사이의 핀고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로드(44)에 コ형상으로 형성한 피아노선(44c)과, 이것에 연결한 결속밴드(44d)에 의해 구성한 안전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1)가 급브레이크 등을 걸 때에도 커버장치(A)가 떨어져 나가거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각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주지(主旨)의 범위 내에서 변형하거나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부(4)의 트렁크 룸(10) 내에서의 떠받치는 지지는, 상하방향에 한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상관 없으며, 드럼(30)을 보디커버 풀기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수단을 기계적으로 구성하지 않고, 모터 등을 사용한 전기적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형태로 실시되어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보디커버를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본체와, 동 장치본체를 설치한 스탠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재 탄성지지부재를 내어 뻗을 수 있도록 설치하며, 동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트렁크 룸의 내벽간에 떠받쳐 지지시킨 상태로 수납가능하게 함으로써, 트렁크 룸 내를 개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수납, 배설할 수 있게 되어 실용화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와 같이 보디커버의 감기뿐만 아니라 풀기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2)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트렁크 룸 내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떠받쳐 지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 룸의 구조상 가장 견고한 지점에 장치를 떠받치고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1)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3)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시에는 본체를 상방향으로 튀어올린 위치에서 지지가능하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방향으로 매달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디커버하는 경우에 장치를 취급하기가 쉽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교적 중량물인 보디커버를 트렁크 내에 안정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거친 도로를 주행해도 스탠드부에 걸리는 부하를 가급적 억제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4) 청구항 4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치본체는 동 장치본체에 설치한 보디커버의 감기입구·풀기입구를,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향하도록 스탠드부에 가설시킴으로써, 보디커버의 선단이 트렁크 뚜껑의 기단 가장자리부와 트렁크 룸 개구부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뒷유리측으로 확실하게 풀릴 수 있으며, 보디커버의 사용자가 손으로 끌어내기가 쉬워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5) 청구항 5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치본체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과, 동 드럼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디커버의 풀기를 반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차제를 커버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다.
(6) 청구항 6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스프링체를 설치한 풀기축을 원웨이 클러치를 매개로 하여 보디커버 두루감기용 드럼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풀기축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프링체를 휘어지게 하는 축적에너지 수단을 설치하고, 동 축적에너지 수단을 조작한 후의 스프링체의 복원력에 의해 풀기축을 회전시켜서 보디커버를 풀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기계적 동작으로 보디커버를 쉽게 풀 수 있다.
(7) 청구항 7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보디커버를 두루 감는 드럼에 풀어낸 보디커버를 감는 감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보디커버를 트렁크 룸 내에 자동적으로 감아 수납할 수 있으며, 번거로웠던 커버의 수납에 이르기까지의 차체커버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8) 청구항 8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보디커버를 감고 풀 때에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기·풀기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심재를 보디커버에 형성함으로써, 보디커버의 감기·풀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9) 청구항 9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치본체를 스탠드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장치본체를 해체하여 보관해 두고, 사용할 때에는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10) 청구항 10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탠드부는, 각좌(脚座)상에 입설(立設)한 외측통과, 동 외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장치본체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한 바닥있는 내측통과, 동 내측통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에 접촉부재를 설치한 로드와, 동 로드의 바닥부와 상기 내측통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트렁크 룸 내에 확실하게 수납, 고정할 수 있다.
(11) 청구항 11기재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드와 내측통과의 사이에 결합수단을 설치하고, 로드를 밀어 내린 위치에서 내측통에 고정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버장치의 트렁크 뚜껑 내로의 고정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자동차용의 보디커버(2)를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본체(3)와, 동 장치본체(3)를 설치한 스탠드부(4)를 구비하고,
    상기 스탠드부(4)에 탄성지지부재(B)를 내뻗을 수 있도록 설치하고, 동 탄성지지부재(B)에 의해 트렁크 룸(10)의 내측벽간에 떠받쳐 지지시킨 상태에서 수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트렁크 룸(10) 내에서, 탄성지지부재(B)를 상하방향으로 떠받쳐 지지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장치본체(3)를 스탠드부(4)에 상하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시에는 장치본체(3)를 상방향으로 튀어오른 위치에서 지지가능하게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방향으로 매달려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본체(3)는, 동 장치본체(3)에 설치한 보디커버(2)의 감기입구·풀기입구(31)가, 트렁크 뚜껑(11)의 기단 가장자리부(11a)와 트렁크 룸 개구부(10a)의 가장자리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E)으로 향하도록 스탠드부(4)에 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장치본체(3)는, 보디커버(2)를 두루 감는 드럼(30)과, 동 드럼(30)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장치본체(3)를 보디커버 풀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9)은, 스프링체(97)를 설치한 풀기축(94)을 원웨이 클러치(C)를 매개로 하여 보디커버 두루 감기용의 드럼(30)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풀기축(94)을 보디커버 풀기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프링체(97)를 휘어지게 하는 축적에너지 수단을 설치하고, 동 축적에너지 수단을 조작한 후의 스프링체(97)의 복원력에 의해 풀기축을 회전시켜서 보디커버(2)를 풀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보디커버(2)를 두루 감는 드럼(30)에 풀어낸 보디커버(2)를 감는 감기장치(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보디커버(2)를 감고 풀 때에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기·풀기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심재(23)를 보디커버(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장치본체(3)를 스탠드부(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스탠드부(4)는,
    각좌(脚座)(41)상에 입설(立設)한 외측통(42)과,
    동 외측통(42)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장치본체(3)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한 바닥이 있는 내측통(43)과,
    동 내측통(43) 내에 습동가능하게 배설되고 선단에 접촉부재(47)를 설치한 로드(44)와,
    동 로드(44)의 바닥부와 상기 내측통(43)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로드(44)와 내측통(43)과의 사이에 결합수단(K)을 설치하고, 로드(44)를 밀어 내린 위치에서 내측통(43)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KR1020007014158A 1999-04-16 2000-04-14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KR20010052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50499 1999-04-16
JP11-109504 1999-04-16
PCT/JP2000/002468 WO2000063040A1 (fr) 1999-04-16 2000-04-14 Dispositif de revetement de carrosserie pour voi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832A true KR20010052832A (ko) 2001-06-25

Family

ID=1451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158A KR20010052832A (ko) 1999-04-16 2000-04-14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086841A1 (ko)
JP (1) JP3378570B2 (ko)
KR (1) KR20010052832A (ko)
CN (1) CN1127412C (ko)
AU (1) AU762602B2 (ko)
BR (1) BR0006066A (ko)
CA (1) CA2334981C (ko)
HK (1) HK1037152A1 (ko)
MX (1) MXPA00012729A (ko)
TW (1) TW469231B (ko)
WO (1) WO20000630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787B1 (ko) * 2012-11-15 2014-01-13 강정기 차량용 자동커버장치
KR20220000581U (ko) * 2020-09-03 2022-03-11 최병국 승용차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1362A (ja) * 1988-01-25 1989-08-01 Fuji Photo Film Co Ltd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338218A (ja) 1989-06-30 1991-02-19 Daikin Ind Ltd 悪臭ガス除去装置
JPH047921U (ko) * 1990-05-11 1992-01-24
US5456515A (en) * 1993-04-19 1995-10-10 Dang; Curtis W. Vehicle window and windshield cover
JPH07237456A (ja) * 1994-03-01 1995-09-12 Junji Inoue 車用ル−フシ−ト
JPH08104142A (ja) 1994-09-27 1996-04-23 Tabibi Ariana Mohamadie 自動車用収納付き日よけカバーの取付方法
US5503212A (en) * 1995-02-21 1996-04-02 Lin; Zen C. Solar shield device for a vehicle
JPH1191362A (ja) * 1997-09-18 1999-04-06 Takeshi Hayashi 車輌カバー装着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787B1 (ko) * 2012-11-15 2014-01-13 강정기 차량용 자동커버장치
KR20220000581U (ko) * 2020-09-03 2022-03-11 최병국 승용차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6066A (pt) 2001-03-20
CN1127412C (zh) 2003-11-12
CA2334981A1 (en) 2000-10-26
TW469231B (en) 2001-12-21
HK1037152A1 (en) 2002-02-01
WO2000063040A1 (fr) 2000-10-26
CA2334981C (en) 2006-05-16
AU3679700A (en) 2000-11-02
JP3378570B2 (ja) 2003-02-17
CN1300257A (zh) 2001-06-20
EP1086841A1 (en) 2001-03-28
MXPA00012729A (es) 2002-04-24
AU762602B2 (en) 200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223B2 (en) Automobile cover removal and installation roller assembly
JP3523242B2 (ja) 自動車用ボディカバー
KR20010052832A (ko) 자동차용 보디커버 장치
JP2952415B1 (ja) 自動車ドアにおける雨除け装置
US6502889B2 (en) Body cover device for car
JP3492728B2 (ja) 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用u字状ロックの収納構造
KR101055061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JP4180937B2 (ja) 自動車用ボディカバー装置
JP3128681U (ja) 新聞配達用の雨避けカバー装置
JP2005178487A (ja) 車両用給油口装置
EP4335987A2 (en) Awning fixation, awning accessory and awning arrangements
KR100558417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구조
JP3100848U (ja) 自動車用の車体カバー装置
JP4068775B2 (ja) アウトリガフロート格納装置
JPS58141920A (ja) 車輌の車体カバ−装置
JP2002364138A (ja) 可動式の日除装置
JP2576657Y2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JPH0517316Y2 (ko)
KR100352999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JPH0235588Y2 (ko)
JPH0235587Y2 (ko)
JPH0669081U (ja) 車両用スペアタイヤ脱着装置
FR3099594A1 (fr) Dispositif manuel de commande a distance d'un organe situe dans un compartiment moteur d'un vehicule
KR20030024265A (ko)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NL1023344C1 (nl) Hefinrichting voor het heffen van een voorwerp, in het bijzonder een fi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